KR20240051388A -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388A
KR20240051388A KR1020220130839A KR20220130839A KR20240051388A KR 20240051388 A KR20240051388 A KR 20240051388A KR 1020220130839 A KR1020220130839 A KR 1020220130839A KR 20220130839 A KR20220130839 A KR 20220130839A KR 20240051388 A KR20240051388 A KR 20240051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rsv
prrs
present
virus
respiratory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388A/ko
Publication of KR2024005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10011Arteriviridae
    • C12N2770/100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10011Arteriviridae
    • C12N2770/100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RRSV는 돼지에 접종시 중화항체의 분비량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PRRS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PRRS 치료용 백신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RRSV를 포함하는 PRRS의 백신 조성물은 최근 국내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식기 질병 예방으로 임신 모돈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유산, 사산, 및 조산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병 예방으로 7-70일령의 자돈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간질성 폐렴 또는 임파절 염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Korean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이하 ‘PRRS’라고 함)은 돼지 써코바이러스 감염증 및 구제역과 함께 국내 양돈산업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전염병에 해당한다. PRRS는 임신한 암퇘지의 생식 불능, 유산이나 조산, 사산의 번식장애를 유발하며, 젖먹이 돼지와 비육돈에게 재채기, 발열 등의 호흡기 증상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이환된 이후 세균 등의 2차 감염에 의해 심한 호흡기 증상을 야기하지만, 만성적으로 감염된 경우에는 특징적인 임상 증상 없이 증체량 감소 및 폐사율의 증가를 나타나게 된다.
이 바이러스 질환은 미국에서 1987년에 최초로 발견되었고, 이어서 유럽에서 발견되었으며, 1990년대 초에 아시아에서 동정되었다. 지금까지, PRRS는 양돈국가에서 풍토병의 특징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매년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일으켰다.
PRRS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는 Arterivirus 속, Arteriviridae 과, Nidovirales 목에 속하는 PRRS 바이러스이다. PRRS 바이러스는 positive-sense single stranded RNA genome을 갖고 있으며, 크기는 약 15.4 kilobase이다. PRRS 바이러스의 genome은 9개의 ORF를 갖고 있다(Conzelmann et al., 1993; Meulenberg et al., 1993). 그 중 비구조단백질(Non Structural Protein, NSP)을 코딩하는 ORF1a 및 ORF1b가 바이러스 지놈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Bautista et al., 2002; Meulenberg et al., 1993; Snijder and Meulenberg, 1998, 2001). 상기 비구조단백질 중 NSP1-alpha, NSP-1 beta, NSP2 내지 NSP8은 ORF1a에, NSP9 내지 NSP12는 ORF1b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리코실화된 구조 단백질인 GP2, GP3, GP4, GP5와, 비글리코실화된 막(Membrane, M) 단백질, 뉴클레오캡시드 (N) 단백질은 나머지 20%를 차지하는 ORF2-7에 의하여 코딩된다. minor 구조단백질인 GP2, GP3, GP4가 heterotrimer를 형성하여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로 침입할 때 작용하며, major 구조단백질인 GP5, M은 heterodimer를 형성하여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높여주는 작용을 한다.
PRRS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의 특성상 변이가 심하여 바이러스 간에 차이가 많이 난다. PRRS 바이러스는 크게 북미형과 유럽형으로 나뉜다. 유럽형을 대표하는 타입 I형(Lelystad virus, LV) 및 북미형 바이러스주(Northern American strain) ATCC VR2332를 대표하는 타입 II 형(VR2332의 게놈 서열은 GenBank 등록번호 AY150564 참조)(Murtaugh et al., Arch Virol. 1995; 140:1451-1460) 이 있다.
북미형과 유럽형 간에는 최대 40%까지 유전자 차이가 존재하여 서로 교차 방어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같은 타입에 속하는 변이주 간에도 교차 방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Meng, X. J. et al., 2000). 이로 인해, 각각에 대해 표준 변이주 기반의 백신은 제작되어 있지만 교차 방어능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PRRS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PRRSV의 유전적 특성을 보고한 국내 각 연구자들의 자료를 검토하고 전국적으로 양돈 농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PRRSV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국내 발생 PRRSV는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기 북미형 또는 유럽형 PRRSV와 유적전인 상동성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발생 PRRSV는 국내에 들어온 이후 약 30년 동안 한반도의 특징적인 유전형으로 변이되어 왔다. 국내 양돈업계는 1990년대에 이 질병이 국내에 들어온 이후 지속적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고, 그 이후 해외에서 생산된 PRRSV 백신이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으나, 국내에 토착화된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변이를 일으킴으로써 양돈에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유행 우점주 PRRS 바이러스를 방어할 수 있는 우수한 백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즉, 북미형 또는 유럽형 PRRSV에 사용되는 백신의 경우 한국형 PRRSV에는 교차반응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적합하지 않은 바, 한국형 PRRSV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2148259 B1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신규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를 동정하고, 이를 약독화 또는 사독화시켜 제조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예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의 유전체로서,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핵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놈으로 포함하는 PRRSV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RRSV는 한국형 PRRSV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RRSV 또는 이의 계대 배양된 자손을 포함하는, PRRS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RRSV는 생균 또는 사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어주번트(adhuvant)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돼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RRS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PRRSV는 돼지에 접종시 중화항체의 분비량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PRRS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PRRS 치료용 백신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RRSV를 포함하는 PRRS의 백신 조성물은 최근 국내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식기 질병 예방으로 임신 모돈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유산, 사산, 및 조산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병 예방으로 7-70일령의 자돈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간질성 폐렴 또는 임파절 염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PRRS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지놈 배열(genomic arrangement)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 바이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RRSV는 모균주보다 약독화되어 있어 병원성이 낮고 안정성이 높으며, 교차면역이 가능한 중화항체의 분비를 향상시킴으로써 돼지의 면역력을 현저히 증진시킨다. 이에, PRRS 질환의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용 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독화된 바이러스"는 PRRS 질환의 임상 징후를 유발하지 않고 표적 포유동물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무독성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또한 약독화된 바이러스로 감염된 후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투여 받지 못한 동물에 비해 임상 징후의 발생빈도를 낮추거나, 징후의 중증도가 비-약독화된 PRRS 바이러스로 감염된 "대조군" 동물에 비해 감소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소/감소된"이란 용어는 앞에서 정의한 대조군에 비해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의 감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백신 조성물”은 PRRS 바이러스 또는 이의 임의의 면역원성 단편 또는 분획, 바람직하게는 약독화된 PRRS 바이러스, 예컨대 상기 본 발명의 PRRS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숙주의 PRRSV에 대한 세포 및/또는 항체 매개의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백신 조성물은 PRRSV 감염 및 이와 관련된 임상 징후들에 대해 예방 면역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반응”은 상기 본 발명의 PRRSV,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투여받은 동물에게 투여된 PRRS 바이러스 또는 백신에 대한 임의의 세포- 및/또는 항체-매개의 면역 반응을 의미한다. 보통, "면역 반응"은 다음과 같은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조성물 또는 백신에 포함된 항원 또는 항원들에 대해 특이적으로 유도된 항체, B 세포, 헬퍼 T 세포, 억제인자 T 세포 및/또는 세포독성 T 세포 및/또는 γδ T 세포의 생산 또는 활성화. 숙주는 면역원성 조성물이나 백신을 투여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새로운 감염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고/되거나 질환의 임상 중증도가 감소되도록 치료적 또는 예방적 면역학적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방은 최대 전술한 숙주 감염과 관련된 증상들의 결여 및 이를 비롯하여 빈도 또는 중증도의 감소에 의해 증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PRRSV” 및 “PRRS 바이러스”는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돼지들", "돼지" 및 "새끼돼지"는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의 유전체로서,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핵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RNA, 상기 RNA의 역전사체 (DN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PRRSV의 지놈(genome)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의 지놈은 DNA 또는 RNA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NA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PRRSV를 암호화하고 세포에 형질감염되는 경우 생 바이러스를 생산할 수 있는 핵산 분자이다. 상기 바이러스는 약독화된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놈으로 포함하는, PRRSV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이러스는 약독화된 것이다.
본 발명은 최근 국내에서 분리된 PRRSV 균주를 MARC 세포에서 반복 약독화시켜 유전적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다음, 돼지의 타깃 기관(target organ)에 대한 조직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돼지 폐포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연속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PRRSV는 약독화된 것으로, 상기 약독화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국내에서 분리된 PRRSV 모균주를 10 내지 100계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계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계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계대 배양하여 약독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PRRSV는 한국형 PRRSV, 또는 국내에서 분리된 북미형 PRRSV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PRRSV는 국내에 들어온 이후 한반도의 특징적인 유전형으로 변이된 북미형 PRRSV를 의미하며,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북미형 PRRSV 또는 유럽형 PRRSV와는 염기서열의 상동성이 적어도 95% 이하로서, 신규한 백신 주이다. 본 발명의 PRRSV는 돼지에 접종시 중화항체의 분비량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PRRSV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국내 농장에서 키우고 있는 돼지로부터 분리한 후 약독화한 본 발명의 PRRSV는 Sanger sequencing method를 이용하여 유전체염기서열 (genomic sequences)을 분석한 결과,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핵산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PRRSV를 각각 KU-N20 및 KU-N21이라 명명하였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2022년 9월 15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9029P 및 KCT19030P).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V는 폐포대식세포에 감염되었을 때 모균주의 TCID50 값에 비해 0.99배 이하, 0.95배 이하, 0.7배 이하, 0.6배 이하, 또는 0.5배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V는 돼지 폐포대식세포에 접종 후 1일 째에 모균주에 비해 약 65% 수준의 TCID50/mL 값을 보였으며, 접종 후 4일 째에는 약 35% 수준의 TCID50/mL 값을 나타내어, 모균주에 비해 현저히 낮은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PRRSV 또는 이의 계대 배양된 자손을 포함하는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은 북미형(타입 II)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PRRSV 백신 조성물은 PRRSV 또는 이의 계대 배양된 자손을 103 ~ 1010 입자/mL, 바람직하게는 105 ~ 1010 입자/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 ~ 109 입자/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 ~ 108 입자/m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RRSV 또는 이의 계대 배양된 자손의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PRRSV에 대한 예방 효과가 미미해지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시적인 고열이나, 드문 경우 호흡곤란, 결막충혈, 드러누움, 진전, 흥분, 구토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계대 배양된 자손은 상기 바이러스 백신주를 1 내지 80계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계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계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계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계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계대 배양한 자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PRRSV는 생균 또는 사균일 수 있으나, 생균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약독화된 생균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백신은 생백신 또는 사백신일 수 있으나, 생백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 바이러스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전술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주를 생존 상태로 함유하는 변형 생백신일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를 사백신을 제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신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어주번트(adhuvant)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 안정제, 보존제, 항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제, 흡수지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주번트의 예로는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광물겔, 리조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사포닌이나 사포닌 유도체와 같은 글리코시드, 란티딘, Avridine, 카보폴(carbopol), 폴리포스파젠, DDA(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퀼 에이(quil A), 암피겐,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에 포함된 PRRS 바이러스의 유효량은 바이러스의 유효 용량이 투여된 동물에서 면역 반응을 유인하거나 유인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양일 수 있다. 유효한 양은 백신 성분 및 투여 스케줄에 의존적일 수 있다. 백신 조성물의 투여량은 TCID50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범위이나, 개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PRRS 바이러스의 지놈,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PRRS 질환의 영향으로부터 돼지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 바이러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PRRS를 유발하는 PRRS 바이러스주에 돼지가 노출되기 전에 예방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바이러스주에 돼지가 노출됨과 동시에 돼지에 투여될 수 있고, 바이러스주에 표적 돼지가 노출된 후 치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의 예방, 예를 들어 국내에서 발생하는 북미형 PRRSV 또는 한국형 PRRSV에 의해 발병하는 PRRS의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상기 북미형 PRRSV는 타입 II형 VR2332 바이러스 균주(strain)일 수 있고, 상기 한국형 PRRSV는 국내 북미형 야외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제약기술 분야 및 수의학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백신의 함량은 의학기술분야 및 수의학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투여 대상 개체의 연령, 성별, 체중, 종족 및 상태와 같은 인자 및 투여 경로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또는 다른 면역학적 항원 또는 백신 조성물 또는 치료제 조성물과 함께 투여하거나 후속투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이 사용될 수 있는 제형의 예로는 구강, 비강, 항문, 질, 위 내 투여용의 현탁액, 시럽 등과 같은 액상 제제 및 피하, 내피,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용의 멸균 현탁 또는 에멀션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에 재현탁되는 가용성 성분 또는 미립자의 고체 제제일 수 있다. 가용성 성분 또는 미립자는 코아세르베이션, 바이아세르베이션, 응고, 분무건조, 기포건조, 침전, 동결건조 등 약제학 분야 및 수의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V,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피하, 근육내, 피내, 설하, 경피, 직장, 경점막, 흡입을 통한 표면적, 협측 투여를 통해, 또는 이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약독화된 PRRS 바이러스는 약독화된 바이러스의 서방출을 허용할 수 있는 이식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V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주사, 흡입 또는 이식을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주사가 특히 바람직하다. 백신접종 또는 치료의 원하는 기간 및 유효성에 따라 약독화된 PRRSV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1회 또는 여러 번, 또한 간헐적으로, 예컨대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 동안 매일 다른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주사는 원하는 양으로 주사하거나 피하 혹은 비강에 분무하여 주입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연속 주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포함하는 PRR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본 발명의 PRR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0 mg/kg(체중)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백신 조성물을 돼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RRS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RRS 바이러스 지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돼지에 투여함으로써 PRRSV 항원에 대한 돼지의 면역 반응이 증강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PRRSV 항원에 대한 돼지의 면역 반응이 증강되도록 유도해,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조성물을 피하 주사, 정맥내 주사, 진피내 주사, 비경구 주사, 근육내 주사, 무침(needle free) 주사, 전기천공, 경구 전달, 비내 전달, 구비강(oronasal) 전달,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키트(kit)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키트는 용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독화된 PRRS 키메라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백신 조성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강제 및 PRRS 감염의 임상 징후 또는 효과, 바람직하게는 PRRS의 빈도 또는 중증도를 경감시키도록 이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상기 면역원성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사용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또한 주사 수단 및/또는 다른 형태의 투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트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약독화된 백신은 동결건조될 수 있고, 용매로 복원되어 주사 및/또는 흡입용 용액이 될 수 있다. 용매는 물, 생리식염수, 완충액 또는 보강 용매일 수 있다. 키트는 약독화된 바이러스, 용매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분리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설명서는 하나 이상의 용기에 부착된 라벨 및/또는 인쇄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로 인해 임신한 모돈에 유산, 사산, 및 조산 등의 생식기 문제가 유발된 양돈 농장의 경우, 모돈에게 종부 6주 전 백신을 직접 접종할 수 있다.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의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이 7일령에서 18일령의 어린 포유자돈 시기에 유발되는 경우, 어린 포유자돈에 백신을 직접 접종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임신한 모돈에게 상기 백신을 접종하여 모돈에서 형성된 항체가 초유를 통하여 포유자돈에게 이행되게 하여,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의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3주령 이상의 이유자돈이나 육성돈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이유자돈에 직접 백신을 접종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분리 및 동정
1-1. 돼지 폐로부터 폐포대식세포의 채취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 및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ycoplasma hyopneumoniae)에 음성인 8주령 이하의 돼지의 폐로부터 폐포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를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한 폐포대식세포를 200ml PBS로 3-4번 세척하여 얻은 세척액을 300g,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펠렛으로 모인 폐포대식세포를 PBS에 다시 부양시킨 후 원심분리를 2번 반복하였다. 마지막 원심분리 후 펠렛을 50ml PBS에 풀어주고, 세포 농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농도를 6×107 macrophages/1.5 ml vial로 맞추어 액체질소에 저장하였다.
1-2. 폐포대식세포 검사
채취 후 저장한 폐포대식세포를 사용하기 전에 이미 역가를 알고 있는 표준 PRRSV을 이용하여 immunoperoxidase monolayer assay(IPMA)을 진행하였다. 표준 PRRSV가 기존의 역가에 맞게 잘 자라는지 확인하여 폐포대식세포가 사용에 적합한지 평가하였다.
1-3. 바이러스 분리
상기 액체질소에 저장되어 있던 폐포대식세포를 녹였다. 상기 세포를 50ml PBS에 풀어 300g에서 10분 간 원심분리한 후 세척하였다. 상기 세포를 40ml RPMI 1640 medium(1% glutamine, 10% FBS, 1-2% antibiotic mixture)에 풀어주었다. 상기 세포 부유액을 cell culture flask 혹은 cell culture 6 well에 소분하고, 세포가 붙은 것을 확인 후 국내 경기 소재의 양돈장 및 전북 소재의 양돈장 각각에서 채취한 2종의 PRRSV 양성 샘플을 접종하여 각각 PRRS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상기 PRRSV 샘플들은 혈청이나 10% 조직 유제액(편도, 폐, 림프절, 비장)을 배지에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PRRSV는 대식세포에 접종 후 1-2일이 지나면 CPE(cytopathic effect)을 나타내지만, 종종 바이러스에 따라 CPE가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계대를 넘긴 후에 CPE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4-5일 배양 후 새로운 폐포대식세포에 계대를 넘기고, 다시 4-5일간 배양 후 폐포대식세포를 이용한 면역염색으로 PRRSV가 세포에 제대로 접종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1-4. 면역염색
상기 PRRSV로 감염시킨 폐포대식세포를 PBS로 3회 washing하였다.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5분 동안 건조시켰다. 각 Well당 Acetone 50% 및 Methanol 50% 용액을 1mL씩 분주하였다. -20 ℃에서 20 min동안 고정 후 용액을 버렸다. 이후, 1X Anti-PRRSV MAb를 세포가 완전히 덮히도록 첨가하였다. 실온의 습상에서 30 ~ 60분간 반응시켰다. 용액을 버리고, 충분한 양의 1X 세척액으로 3회 washing하였다. 1X FITC Anti-Mouse Conjugate를 세포가 완전히 덮히도록 첨가하였다. 실온의 습상에서 30-60분간 반응시켰다. 용액을 버리고, 충분한 양의 1X 세척액으로 3회 washing하였다. 형광현미경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관찰하였다.
1-5. 약독화
상기 폐포대식세포에서 분리한 PRRSV을 MARC-145 cell에 접종하여 계대를 넘겼다. 75T Cell culture flask에 15ml DMEM(1% glutamine, 10% FBS, 1-2% antibiotic mixture)을 넣고, MARC-145 cell을 풀어준 후 상기 바이러스 분리주를 접종하였다. incubator에서 4-5일 배양 후 세포를 얼리고 녹이는 것을 3번 반복하였다. 2000xg, 10분 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70 ℃에서 저장하였다. 위 과정을 80회 반복하여 세포 연속 계대를 통해 바이러스를 약독화하였다.
1-6: PRRSV의 동정
① 구체적인 동정 방법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동물질병표준진단요령을 참조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상기 약독화한 바이러스 균주들로부터 유전자를 추출한 후 PPRSV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기법을 이용해 특정 유전자만을 증폭하였다(표 1 참조). 그 후 3% agarose gel으로 전기영동하여 알맞은 위치(EU:398bp, NA:433bp)에 밴드가 뜨는 것을 확인하고 각각 PRRSV로 동정하였다.
Forward primer ATGGCCAGCCAGTCAATCA
Reverse primer TCGCCCTAATTGAATAGGTGA
PCR 조건 Annealing: 55 ℃, 30 sec.
Extension: 72 ℃, 30 sec.
Target size Type 1 (EU): 398bp
Type 2 (NA): 433bp
② 염기서열 분석
Geneious Prime® 2021.2.2. 프로그램에 내장된 MUSCLE alignment 방식을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alignment하였다. 상기 동정한 바이러스 균주들은 PRRSV에 속하는 균주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상기 동정한 균주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에 나타내었다.
상기 균주들을 GenBank에 등록된 다른 균주들과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표준균주인 PRRSV 균주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와 100% 상동성을 갖는 균주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균주들을 2022년 9월 15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하기와 같은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 PRRSV KU-N20 - 수탁번호 KCTC19029P
- PRRSV KU-N21 - 수탁번호 KCTC19030P
③ 본 발명의 KU-N20 및 KU-N21의 지놈 배열을 하기 표 2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도 1 참조).
gene product Nucleotide location(KU-N20) Nucleotide location(KU-N21)
ORF1a replicase - -
ORF1b helicase - -
ORF2a GP2a 1 - 768 1 - 768
ORF2b E 6 - 227 6 - 227
ORF3 GP3 624 - 1,388 624 - 1,388
ORF4 GP4 1,169 - 1,705 1,169 - 1,705
ORF5 GP5 1,716 - 2,318 1,716 - 2,318
ORF5a GP5a 1,706 - 1,846 1,706 - 1,846
ORF6 M 2,303 - 2,827 2,303 - 2,827
ORF7 N 2,817 - 3,188 2,817 - 3,188
<시험예>
시험예 1: 모균주와의 상동성 확인
본 발명의 PRRSV인 KU-N20 및 KU-N21와 각각의 모균주와의 상동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상동성은 Geneious Prime® 2021.2.2. 프로그램에 내장된 MUSCLE alignment 방식을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alignment한 후 확인하였다.
KU-N20 모균주와 약독화주의 상동성 확인
KU-20 모균주 KU-N20 약독화주
KU-N20 모균주 - 99.153%
KU-N20 약독화주 99.153% -
KU-N21 모균주와 약독화주의 상동성 확인
KU-21 모균주 KU-N21 약독화주
KU-N21 모균주 - 98.839%
KU-N21 약독화주 98.839% -
상기 표 3 및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는 각각의 모균주와의 상동성이 높기는 하지만 모균주와는 또 다른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북미형 및 유럽형 PRRSV와의 상동성 확인
2-1: 북미형 PRRSV와의 상동성 확인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과 베링거 잉겔하임에서 사용한 북미형 PRRSV인 VR2332 (http://www.ncbi.nlm.nih.gov/nuccore; GenBank accession number M90262)의 상동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KU-N20 ORF2-7 KU-N21 ORF2-7 VR2332 ORF2-7
KU-N20 ORF2-7 - 88.927% 94.479%
KU-N21 ORF2-7 88.927% - 90.213%
VR2332 ORF2-7 94.479% 90.213% -
2-2: 유럽형 PRRSV와의 상동성 확인
또한,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과 유럽형 PRRSV인 Lelystad(http://www.ncbi.nlm.nih.gov/nuccore; GenBank accession number EF536003)의 상동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KU-N20 ORF2-7 KU-N21 ORF2-7 Lelystad ORF2-7
KU-N20 ORF2-7 - 88.927% 65.000%
KU-N21 ORF2-7 88.927% - 64.167%
Lelystad ORF2-7 65.000% 64.167% -
상기한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는 PRRSV 중 북미형에 비교적 유사하기는 하지만 북미형과는 또 다른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내 북미형 야외주들 및 선행문헌에 기재된 북미형 PRRSV의 키메릭 변이주 K418DM1.1 및 국내에서 분리한 KEU090450와도 다른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국내 유행 PRRSV 우점주들과의 상동성 확인
3-1: 국내 유행 PRRSV 우점주들의 lineage 경향
Kim 등(Kim, Seung-Chai, et al. "Temporal lineage dynamics of the ORF5 gene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in Korea in 2014-2019." Archives of Virology 166.10 (2021): 2803-2815)은 최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분리된 한국 PRRSV 균주의 ORF5 염기서열 총 1349개를 분석하여 한국 PRRSV 우점주들의 lineage 경향을 보고하였다(표 7).
한국 PRRSV 균주 점유율
Lineage 5 (L5) 36.3%
Lineage Kor B (LKB) 25.1%
Lineage Kor C (LKC) 16.6%
Lineage 1 (L1) 11.6%
Lineage Kor A (LKA) 9.1%
상기 표 7을 살펴보면, 한국 PRRSV 균주 중에서 L5 및 LKB 균주의 점유율이 각각 36.3% 및 25.1%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2: KU-N20, KU-N21의 ORF2-7과 국내 우점주의 ORF2-7의 상동성 비교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와 PRRSV 국내 우점주들의 상동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PRRSV 국내 우점주 L5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3, LKB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4, LKC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5, L1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6, L1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6, 및 LKA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7에 나타내었다.
구분
(PRRSV ORF2-7)
PRRSV ORF2-7
KU-N20 KU-N21 L5 LKB LKC L1 LKA
KU-N20 - 88.927% 94.542% 89.241% 87.108% 85.853% 88.739%
KU-N21 88.927% - 90.339% 87.829% 85.634% 84.410% 99.216%
L5 94.542% 90.339% - 90.841% 87.077% 86.230% 90.213%
LKB 89.241% 87.8295 90.841% - 87.390% 84.536% 87.673%
LKC 87.1085 85.634% 87.077% 87.390% - 85.163% 85.696%
L1 85.634% 84.410% 86.230% 84.536% 85.163% - 84.442%
LKA 88.739% 99.216% 90.2135 87.673% 85.696% 84.442% -
상기 표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는 PRRSV 국내 우점주들과 상동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3: 국내에서 분리된 북미형 야외주와의 상동성 확인
또한,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과 국내에서 분리된 북미형 야외주 의 상동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에서, 국내야외주 1은 경남 지역의 양돈장에서, 그리고 국내야외주 2 및 3은 각각 제주 지역의 서로 다른 양돈장에서 무작위로 채취한 북미형 야외주이다. 참고로, 국내야외주 1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8, 국내야외주 2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9, 및 국내야외주 3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PRRSV ORF2-7)
PRRSV ORF2-7
KU-N20 KU-N21 국내야외주 1 국내야외주 2 국내야외주 3
KU-N20 - 88.927% 92.832% 90.621% 89.555%
KU-N21 88.927% - 91.358% 87.265% 87.265%
국내야외주 1 92.832% 91.358% - 91.060% 90.417%
국내야외주 2 90.621% 87.265% 91.060% - 88.018%
국내야외주 3 89.5555 87.265% 90.417% 88.018% -
상기 표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는 PRRSV 국내 북미형 야외주들과 상동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선행문헌의 PRRSV와의 상동성 확인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과 북미형 PRRSV의 키메릭 변이주인 K418DM1.1(한국등록특허 제10-2148259호 참조) 및 국내에서 분리한 KEU090450(한국등록특허 제10-1245029호 참조)의 상동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10 내지 표 1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K418DM1.1의 ORF5 염기서열은 한국등록특허 제10-2148259호의 서열번호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약독화 KEU090450의 ORF5 염기서열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45029호의 서열번호 3, KEU090450의 ORF5 염기서열은 해당 문헌의 서열번호 1, 약독화 KEU090450의 ORF7 염기서열은 해당 문헌의 서열번호 4, 및 KEU090450의 ORF7 염기서열은 해당 문헌의 서열번호 2에 기재되어 있다.
구분
(PRRSV ORF5)
PRRSV ORF5
KU-N20 KU-N21 K418DM1.1
KU-N20 - 88.962% 91.097%
KU-N21 88.962% - 89.182%
K418DM1.1 91.097% 89.182% -
구분
(PRRSV ORF5)
PRRSV ORF5
KU-N20 KU-N21 약독화 KEU090450 KEU090450
KU-N20 - 88.962% 63.262% 65.239%
KU-N21 88.962% - 61.285% 63.427%
약독화 KEU090450 63.262% 61.285% -
KEU090450 65.239% 63.427% -
구분
(PRRSV ORF5)
PRRSV ORF7
KU-N20 KU-N21 약독화 KEU090450 KEU090450
KU-N20 - 91.989% 63.868% 64.377%
KU-N21 91.989% - 61.905% 62.434%
약독화 KEU090450 63.868% 61.905% - 97.921%
KEU090450 64.377% 62.434% 97.921% -
상기 표 10 내지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는 선행문헌의 PRRSV와는 또 다른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중화항체 분비 양상 확인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와 현재 상용화된 PRRSV 백신의 국내 유행 PRRSV에 대한 중화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참고로, Ingelvac은 현재 상용화된 PRRSV 백신주이고, Primepac은 현재 3차 임상까지 마친 PRRSV 백신주이다.
본 발명의 PRRSV(KU-N20 및 KU-N21)를 접종한 이후, 중화항체 분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 (제주 소재) A 양돈장의 모돈 20마리와 한국 (경북 소재) B 양돈장의 모돈 20마리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혈청을 2 ml 분리한 후 혈청 내 중화항체가(SN titer(Log2))를 측정하여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으며, SN titer가 3log2 이상인 경우 중화능이 있다고 판단하였다(Lopez, O. J., et al. "Protection against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infection through passive transfer of PRRSV-neutralizing antibodies is dose dependent." Clinical and Vaccine Immunology 14.3 (2007): 269-275).
농장 개체번호 KU-N20 KU-N21 IngelvacTM PrimepacTM
A 농장 1 3 3 2 2
2 4 3 1 2
3 4 3 3 3
4 5 4 4 4
5 4 4 2 4
B 농장 1 6 4 2 1
2 3 1 0 0
3 4 1 0 2
4 5 3 3 3
5 2 0 0 2
상기 표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KU-N20, KU-N21가 상기 Ingelvac 및 Primepac에 비해 PRRSV에 대한 중화능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KU-N20 및 KU-N21이 현재 상용화된 PRRSV 백신주에 비해 PRRSV 국내 야외주에 대해 더욱 적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PRRS 방어를 위한 백신은 바이러스 간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을 때만 방어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백신은 현재 국내 야외주들과 유전적 상동성을 비교해 볼 때 전혀 그 상동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현재 유통되고 있는 PRRSV 백신의 방어력에 대한 의문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가진 바이러스를 농장 내 돼지들에 접종할 경우 바이러스 간의 재조합 등으로 인해 종종 새로운 바이러스가 출현하여, 이 질병의 방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방어력과 안전성이 확보된 국내 바이러스 주를 이용한 백신 개발이며, 현재의 국내 야외 우점주에 대한 유전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면, 본 발명의 KU-N20, KU-N21 백신 주가 방어력이 매우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실험실적, 및 일부 숙주 동물인 돼지에서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KU-N20, KU-N21 백신 주는 국내 야외주에 대한 방어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구체적 실험 내용을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KU-N20, KU-N21 백신 주를 접종한 돼지에서 바이러스 혈증이 현저히 감소되고, 항체 형성능이 좋은 것뿐만 아니라, 항체의 결합력(avidity)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7)

  1.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의 유전체로서,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핵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
  2. 제1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놈으로 포함하는, PRRSV.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RRSV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타에 수탁번호 KCTC19029P 또는 KCT19030P로 기탁된 한국형 PRRS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RSV.
  4. 제2항의 PRRSV 또는 이의 계대 배양된 자손을 포함하는, PRRS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RRSV는 생균 또는 사균인, PRRS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어주번트(adhuvant)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PRRS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7. 제4항의 백신 조성물을 돼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RRS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220130839A 2022-10-12 2022-10-12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KR20240051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839A KR20240051388A (ko) 2022-10-12 2022-10-12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839A KR20240051388A (ko) 2022-10-12 2022-10-12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388A true KR20240051388A (ko) 2024-04-22

Family

ID=9088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839A KR20240051388A (ko) 2022-10-12 2022-10-12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3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259B1 (ko) 2018-10-01 2020-09-03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키메릭 변이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259B1 (ko) 2018-10-01 2020-09-03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키메릭 변이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469B2 (ja) 高病原性ブタ繁殖・呼吸障害症候群(hpprrs)のワクチン
TWI673362B (zh) 新穎歐洲型prrsv株
CN106148287B (zh) 猪流行性腹泻病毒株及其疫苗组合物、制备方法和应用
WO2016150026A1 (zh) 一种猪伪狂犬病病毒致弱方法、及其致弱的病毒株、疫苗组合物和应用
CA2892948C (en)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TW201522643A (zh) 豬生殖與呼吸道症候群病毒、組合物、疫苗及使用方法
KR20210121293A (ko) 젖떼기 전, 유럽의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 (prrs) 균주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접종
KR102193460B1 (ko)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예방용 백신 조성물 및 이의 예방 방법
KR101245029B1 (ko)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예방 백신 조성물
CN106924726B (zh) 一种用于预防猪繁殖与呼吸综合征的疫苗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Ren et al. Construction and immunogenicity of a DNA vaccine coexpressing GP3 and GP5 of genotype-I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KR20200081225A (ko)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키메라 바이러스 및 이를 이용한 백신
KR101430223B1 (ko) 면역유도능이 증가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KR20240051388A (ko) 한국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KR101281361B1 (ko) 북미형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예방 백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백신 조성물
KR20220021304A (ko) 돼지 써코바이러스 예방용 백신 조성물
CN107537034B (zh) 猪繁殖与呼吸综合征、猪伪狂犬病二联活疫苗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4098741A1 (en) Mutant strain of european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and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345786B1 (ko) 신규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및 그의 용도
WO2024029707A1 (ko) 북미형 및 유럽형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키메라 균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19015A (ko) 북미형 및 유럽형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키메라 제조방법
KR20240019014A (ko) 북미형 및 유럽형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키메라 균주
KR20230144463A (ko) 신규한 재조합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주 kprrsv2-d3
KR20150137215A (ko) 신규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prrs 예방 또는 치료용 면역원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prrs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20230144464A (ko) 신규한 재조합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주 kprrsv2-d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