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732A -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732A
KR20240050732A KR1020220130481A KR20220130481A KR20240050732A KR 20240050732 A KR20240050732 A KR 20240050732A KR 1020220130481 A KR1020220130481 A KR 1020220130481A KR 20220130481 A KR20220130481 A KR 20220130481A KR 20240050732 A KR20240050732 A KR 2024005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lower support
vehicle
doo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조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덕 filed Critical 조기덕
Priority to KR1020220130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732A/ko
Publication of KR2024005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7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mounted on the window s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은, 차량 도어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평한 상면을 갖는 테이블 본체;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차량 도어의 포켓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된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상기 테이블 본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 및 차량 도어 프레임과 윈도우 사이의 틈새에 절곡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테이블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ㄱ'자 단면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틈새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실내 구조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차량 도어에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에는 마찬가지로 손쉽게 차량 실내 구조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에 따라 설치 및 이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table for vehicle door mounting}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물품을 안착한 후 이용할 수 있도록 수납 영역을 제공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이동수단 뿐만 아니라 생활필수품으로 사용자의 기호와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편의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자율주행차세대의 기대에 맞물려 실내구성요소의 변화가 예고되어, 최근에는 이동식 사무용으로 많이 개조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편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일예로 차량내부에 장착하는 테이블이 있다. 테이블은 통상적으로 전방시트의 내면에 설치되고, 뒷좌석의 중간에 설치되어 컵을 올려 놓거나, 책 또는 노트북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것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테이블은 더 많은 공간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충분한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는 기존 테이블 외에 추가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 구조물을 훼손하지 않고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원하고 있으나 현재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할만한 제품이 개발되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4702호(2009. 06. 01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실내 구조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차량 실내 구조물, 구체적으로 차량 도어에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에는 마찬가지로 손쉽게 차량 도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에 따라 설치, 이용 및 보관이 편리하며, 협소한 차량 실내에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도어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평한 상면을 갖는 테이블 본체;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차량 도어의 포켓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된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상기 테이블 본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 및 차량 도어 프레임과 윈도우 사이의 틈새에 절곡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테이블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ㄱ'자 단면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틈새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이 제공된다.
상기 하방 지지부는, 상기 포켓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방 지지부;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방 지지부의 측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제1 하방 지지부가 상기 테이블 본체에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제2 하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방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 및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포켓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 또는 우측 내벽면에 접촉 가능한 포켓내벽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방 지지부가 상기 포켓 내측으로 삽입시, 상기 포켓내벽 접촉부재의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의 일측면이 각각 상기 포켓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과 우측 내벽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포켓내벽 접촉부재는 고무,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방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관; 및 상기 외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관의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방 지지부는,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에 각각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포켓의 길이방향 전방 내벽면과 후방 내벽면에 각각의 단부가 접촉가능한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는,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에 각각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 및 상기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기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에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포켓의 길이방향 전방 내벽면과 후방 내벽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에는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 플런저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 플런저의 볼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계적으로 제한하도록 복수의 볼 삽입홈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에 의하면, 차량 실내 구조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차량 도어에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에는 마찬가지로 손쉽게 차량 실내 구조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에 따라 설치 및 이용이 편리하다.
또한, 틈새 삽입부가 차량 도어 프레임과 윈도우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어 걸림되고 하방 지지부가 도어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테이블 본체가 도어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의 길이방향 전후 내벽면에 각각 접촉 가능하도록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가 마련됨으로써, 차량 모델에 관계없이, 즉 포켓의 길이 변경에 관계없이 테이블 본체가 차량 주행시 차량주행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없이 더욱 확실히 차량 실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이 차량 도어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의 제1 하방 지지부가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에서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에서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은 차량 실내 구조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차량 실내 구조물, 구체적으로 차량 도어에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에는 마찬가지로 손쉽게 차량 도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에 따라 설치, 이용 및 보관이 편리하며, 협소한 차량 실내에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1000)은 차량 도어(10)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차량 도어 프레임(20)과 윈도우(30) 사이의 틈새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걸림되고 다른 부분이 차량 도어의 포켓(40) 부위에 지지(거치)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1000)은 테이블 본체(100), 하방 지지부(200) 및 틈새 삽입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테이블 본체(100)는 다양한 물품을 안착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실질적인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하방 지지부(200)는 테이블 본체(10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차량 도어(10)의 포켓(40)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하단부가 포켓(40)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테이블 본체(10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지지부(200)는 제1 하방 지지부(210)와 제2 하방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제1 하방 지지부(210)는 포켓(40)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하단부가 포켓(40)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테이블 본체(100)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하방 지지부(220)는 마찬가지로 테이블 본체(100)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하방 지지부(210)의 측면에 접촉 지지되어 제1 하방 지지부(210)가 테이블 본체(100)에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2 하방 지지부(220)는 제1 하방 지지부(210)의 하단부가 포켓(40)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테이블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하방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방 지지부(210)와 제2 하방 지지부(220)는 테이블 본체(100)의 하부에 경첩(230), 예를 들면 토크 힌지 등을 통해 힌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방 지지부(210)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와 포켓내벽 접촉부재(218)를 포함한다.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는 테이블 본체(10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단부가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내벽 접촉부재(218)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포켓(40)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 또는 우측 내벽면에 접촉할 수 있다. 포켓내벽 접촉부재(218)는 일정 이상의 표면 마찰력을 갖는 마찰부재로서 고무,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의 일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방 지지부(210)가 포켓(40) 내측으로 삽입시, 외부에 노출되는 포켓내벽 접촉부재(218)의 일측면은 예를 들어 포켓(40)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에 접촉 가능하고, 포켓내벽 접촉부재(218)의 일측면과 대응하는(마주보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의 일측면은 포켓(40)의 폭방향 우측 내벽면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하방 지지부(210)는 포켓내벽 접촉부재(218)를 통해 포켓의 내벽면에 미끄러짐없는 상태로 포켓(40)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과 우측 내벽면에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테이블 본체(100)가 도어(10)로부터 이격되거나 접근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방 지지부(210), 구체적으로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는 테이블 본체(10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관(213)과, 외관(213)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내관(2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내관(215)의 하단부가 포켓(40)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포켓내벽 접촉부재(218)는 내관(215)의 외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 가능하다.
여기서, 외관(213)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볼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내관(215)에는 복수의 볼 삽입홀(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길이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볼(미도시)을 포함하는 볼 플런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방 지지부(210)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한 구조로 적용됨에 따라, 후술하는 틈새 삽입부(300)가 안착되는 차량 도어 프레임(20)의 상단부위와 도어 포켓(4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차량 모델에 따라 상이한 경우, 사용자는 제1 하방 지지부(210)의 길이를 적절하여 조절하여 차량 모델변동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방 지지부(200)는 테이블 본체(100)에 경첩 등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제품 보관 및 이송시 좀 더 컴팩트한 사이즈로 보관/이송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 삽입부(300)는 테이블 본체(100)의 일측에 스크루, 접착 등의 방식을 통해 고정되게 마련되며, 차량 도어 프레임(20)과 윈도우(30) 사이의 틈새에 절곡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틈새 삽입부(300)는 테이블 본체(10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제1 틈새 삽입부와, 제1 틈새 삽입부에 절곡되며 차량 도어 프레임(20)과 윈도우(30)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는 제2 틈새 삽입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틈새 삽입부는 차량 도어 프레임(20)의 상단부위에 안착되며, 제2 틈새 삽입부는 차량 도어 프레임(20)과 윈도우(30) 사이의 틈새로 삽입됨에 따라 테이블 본체(1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는 하나로 표현되어 있지만, 틈새 삽입부(300)는 테이블 본체(100)의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방 지지부(210)는 포켓(40)의 폭방향 양측 내벽면에 각가 접촉되어 테이블 본체(100)가 포켓(4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지만, 차량 주행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포켓(40)의 전후방향 양측 내벽면에 접촉하지 않는다면 차량 주행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 테이블 본체(100)가 차량 주행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차량 모델에 관계없이, 즉 차량 주행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포켓(40)의 길이(차량 길이방향에 대응)가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에도 관계없이 사용자가 제1 하방 지지부(210)를 조절하여 제1 하방 지지부가 포켓(40)의 전후방향(길이방향) 양측 내벽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하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안한다. 이에 따라, 차량 모델에 관계없이, 즉 포켓(40)의 길이 변경에 관계없이 테이블 본체(100)가 보다 확실히 차량 실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방 지지부(210)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에 각각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포켓(40)의 길이방향 전방 내벽면과 후방 내벽면에 각각의 단부가 접촉가능한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는 포켓의 길이방향 전방 내벽면을 향해 힌지 회전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는 포켓의 길이방향 후방 내벽면을 향해 힌지 회전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와 더불어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시킨 후 컴팩트한 사이즈로 보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는 각각, 제1 하방 지지부 본체(211)에 각각 힌지축 등을 통해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와,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에 결합되는 이동블록(24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의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관련 도면에는 상이한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에는 이동블록(247)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홈(243)이 마련되고, 슬라이드홈(243)은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의 길이방향 일측 모서리 단부까지 완전히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드홈(2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블록(247)을 슬라이드 삽입하고 이동블록이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별도의 마개(미도시)가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의 모서리 단부의 슬라이드홈(243)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43)의 바닥면을 마주보는 이동블록(247)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 플런저(248)가 마련되며, 슬라이드홈(243)의 바닥면에는 볼 플런저(248)의 볼이 삽입되어 이동블록(247)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계적으로 허용 또는 제한하도록 복수의 볼 삽입홈(24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포켓(40)의 길이에 맞게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240)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이동블록(247)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서로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포켓(40)의 길이방향 양측 내벽(전방 내벽면과 후방 내벽면)에 각각의 이동블록(247)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243)은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의 일측면을 향해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동블록(247)은 슬라이드홈(243)에 대응하도록 양측면이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블록(247)은 슬라이드홈(2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24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동블록(247)에는 사용자가 이동블록을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손으로 파지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별도의 손잡이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도어 20: 도어 프레임
30: 윈도우 40: 포켓
1000: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100: 테이블 본체
200: 하방 지지부 210: 제1 하방 지지부
211: 제1 하방 지지부 본체 213: 외관
215: 내관 218: 포켓내벽 접촉부재
220: 제2 하방 지지부 240: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
241: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 243: 슬라이드홈
245: 볼 삽입홈 247: 이동블록
248: 볼 플런저 300: 틈새 삽입부

Claims (8)

  1. 차량 도어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평한 상면을 갖는 테이블 본체;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차량 도어의 포켓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된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됨으로써 상기 테이블 본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 및
    차량 도어 프레임과 윈도우 사이의 틈새에 절곡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테이블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ㄱ'자 단면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틈새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지지부는,
    상기 포켓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방 지지부; 및
    상기 테이블 본체의 하부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방 지지부의 측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제1 하방 지지부가 상기 테이블 본체에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제2 하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방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방 지지부 본체; 및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포켓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 또는 우측 내벽면에 접촉 가능한 포켓내벽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방 지지부가 상기 포켓 내측으로 삽입시, 상기 포켓내벽 접촉부재의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의 일측면이 각각 상기 포켓의 폭방향 좌측 내벽면과 우측 내벽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내벽 접촉부재는 고무, 실리콘,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방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관; 및
    상기 외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관의 하단부가 상기 포켓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방 지지부는,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에 각각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포켓의 길이방향 전방 내벽면과 후방 내벽면에 각각의 단부가 접촉가능한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켓 길이방향 접촉부는 각각,
    상기 제1 하방 지지부 본체에 각각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 및
    상기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기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에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포켓의 길이방향 전방 내벽면과 후방 내벽면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접촉부 본체에는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 플런저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 플런저의 볼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계적으로 제한하도록 복수의 볼 삽입홈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KR1020220130481A 2022-10-12 2022-10-12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KR20240050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481A KR20240050732A (ko) 2022-10-12 2022-10-12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481A KR20240050732A (ko) 2022-10-12 2022-10-12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732A true KR20240050732A (ko) 2024-04-19

Family

ID=9088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481A KR20240050732A (ko) 2022-10-12 2022-10-12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7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702Y1 (ko) 2007-12-11 2009-06-01 김형팔 차량용 시트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702Y1 (ko) 2007-12-11 2009-06-01 김형팔 차량용 시트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259B2 (en) Console and object holder assembly for a vehicle
JP6883022B2 (ja) 格納式テーブル
JP6204452B2 (ja) 車両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アセンブリ
JP2006063767A (ja) 引戸の戸閉装置。
WO2014012438A1 (en) A vehicle seat
JP2005023615A (ja) 引戸の戸閉装置
WO2006011294A1 (ja) 引戸の戸閉装置
US7036785B2 (en) Cam activated extendable cupholder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20240050732A (ko) 차량의 도어 거치용 테이블
US20150274041A1 (en) Folding vehicle seat
EP3438389A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CN112744324A (zh) 折叠装置及具有折叠装置的滑板车
KR200336882Y1 (ko) 독서실용 책상
KR20240049873A (ko) 차량용 테이블 지지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테이블 조립체
JP5268592B2 (ja) キャビネット及びトイレユニット
KR200399065Y1 (ko) 슬라이딩 선반
KR10086865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장치
KR200247481Y1 (ko)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JP4025215B2 (ja) ボトルホルダー
CN220236341U (zh) 一种带灯的新型阅读架
KR200337756Y1 (ko) 싱크대 수납식 도마
CN217309762U (zh) 镜柜
CN112937399A (zh) 一种车身结构和具有其的车辆
KR102003722B1 (ko)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