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481Y1 -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 Google Patents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481Y1
KR200247481Y1 KR2019980003459U KR19980003459U KR200247481Y1 KR 200247481 Y1 KR200247481 Y1 KR 200247481Y1 KR 2019980003459 U KR2019980003459 U KR 2019980003459U KR 19980003459 U KR19980003459 U KR 19980003459U KR 200247481 Y1 KR200247481 Y1 KR 200247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main body
arm
c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48U (ko
Inventor
판 기 윤
Original Assignee
판 기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 기 윤 filed Critical 판 기 윤
Priority to KR2019980003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48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481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팔걸이에 테이블을 설치한 테이블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팔걸이는 팔을 지지하거나 내부에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그다지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 수납실을 두고 개구된 상부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어 팔을 올려놓거나 내부에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팔걸이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제1축(13)을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면 상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1축(13)에 전후로 180°회전되는 아암(14)을 축결합하고, 상기 아암(14)의 단부에 U형의 브래킷(16)을 형성하여 이 브래킷(16)에 아암(14)이 전방으로 회동 완료되었을 때 제1축(13)과 수평상태에서 직각을 이루는 제2축(15)을 구비하고, 상기 제2축(15)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각 회동되는 테이블(20a)(20b)을 구비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 팔걸이에 절첩식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접어서 팔걸이의 수납통에 보관하여 팔걸이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펼쳐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화된 팔걸이로 인하여 편리해지고 안락한 승차공간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걸이의 내부에 절첩되는 테이블을 설치하여 평소에는 팔걸이 또는 내부공간에 물건을 수납하여 사용하다가 필요할 때에는 펼쳐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할 때 좀더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팔걸이가 설치된다. 즉, 운전자가 운전중 팔을 올려놓고 운전할 수 있토록 자동차의 도어 내측이나 운전석 또는 조수석 사이에 팔걸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팔걸이에는 또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카세트 테이프, 담배, 동전, 장갑 등과 같이 운전에 필요한 여러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팔걸이는 팔을 지지하거나 내부에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으므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그다지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 또 차내에서 간단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메모를 해야 할 때 그리고 독서를 할 때 이때 문서 또는 책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없어 불편하였다. 또 음료수 또는 간식을 먹거나 할 때 예전에는 별도의 컵받침대를 구비하거나 간식은 자동차의 프론트패널의 상부에 올려놓고 먹게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팔걸이에 절첩식 테이블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접어서 팔걸이의 수납통에 보관하여 공간을 줄이고, 필요시에는 펼쳐서 문서를 작성하거나 독서를 하는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팔걸이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승차공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팔걸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이 장치된 팔걸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팔걸이의 테이블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a)도,제4(b)도는 본 고안 팔걸이의 테이블이 1단계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후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팔걸이의 테이블이 2단계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 팔걸이의 테이블이 3단계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테이블 요부 확대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테이블이 팔걸이의 후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팔걸이 본체 11a,11b : 수납실
12 : 뚜껑 13 : 제1축
14 : 아암 15 : 제2축
16 : 브래킷 17 : 연결부재
18a,18b : 레일 19 : 홈
20a, 20b : 테이블 21 : 탄성돌기
22 : 걸림홈 30 : 테이블(후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팔걸이는, 본체의 내부에 수납실을 두고 개구된 상부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어 팔을 올려놓거나 내부에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는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을 격판으로 구획하여 테이블 수납실을 구비하고, 이 수납실의 선부에 제1축을 횡설하고, 상기 제1축에 전후로 180°회전되는 아암을 축결합하고, 상기 아암의 단부에 U형의 브래킷을 형성하고 이 브래킷에 아암이 전방으로 회동 완료되었을 때 제1축과 수평상태에서 직각을 이루는 제2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축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각 회동되는 테이블을 구비하여 달성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팔걸이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이 장착된 팔걸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는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본체(10) 내부에 수납실(11a)을 갖고 있다. 이 본체(10)는 양측하부에 브래킷(110)(120)을 통해 차체에 지지된다. 브래킷(110)(120)은 하단부에 나사구멍(111)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차체에 나사고정되고, 상부가 본체(10)와 핀(130)으로 연결되어 본체(10)가 전후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런데 양측의 핀결합부는 그 구조가 다르다. 즉, 운전석쪽의 브래킷(110) 상단에는 전후로 형성된 절결구멍(112)이 구비되어 있고, 이 절결구멍(112)의 일정간격으로 위치고정구멍(114)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에 핀(130)이 끼워진다. 그리고 핀(130)은 외측단부쪽의 지름이 절결구멍(112) 간격을 지름으로 되어 있고 타단은 위치고정구멍(114)과 같은 지름으로 되어있다. 핀(130)의 내측단은 본체(10)의 저부에 브래킷편(116)을 형성하여 이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관통 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편(116)내에 위치한 핀(130) 둘레에 스프링받이(131)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받이(131)와 브래킷편(116)사이에 스프링(118)이 탄력 설치되어 있다. 이때 핀(130)은 브래킷(110)의 절결구멍(112)과 본체(10)의 브래킷편(11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핀(130)은 항상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핀(130)을 누르게 되면 지름이 작은 부분이 절결구멍(112)에 위치하게 되어 절결구멍(112)을 따라 이동을 할 수 있어 본체(10)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위치고정구멍(114)에서 누르고 있던 핀(130)을 놓으면 스프링(132)의 탄발력에 의해 핀(130)이 외부로 돌출 되어 지름이 큰 부분이 위치고정구멍(114)에 끼워지게 되므로 본체(10)는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팔걸이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반대측 브래킷(120)에는 전후로 형성된 절결구멍(112)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하부에는 절결구멍(112)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핀(13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뚜껑(12)이 설치된다. 뚜껑(12)의 일측에는 경첩(12a)이 설치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팔걸이 본체(10) 내부에 테이블(20a)을 설치한다. 테이블은 본체(10)의 측면 상단부에 아암(14)을 설치하고, 이 아암(14)의 단부에 테이블(18a)을 설치한다. 팔걸이 본체(10)의 내측에는 일측 측면과 이격되는 격벽을 형성하여 테이블이 수납되는 별도의 수납실(11b)을 갖는다. 테이블 수납실(11b) 전방 상부에는 횡방향의 제1축(13)을 횡설하여 이에 아암(14)을 축설한다. 아암(14)의 타측단부에는 'U'형 브래킷(16)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에 제2축(15)을 설치한다. 이때, 제2축(15)은 제1축(13)과 수평한 상태에서 직각을 이룬다.
제2축(15)에는 테이블 연결부재(17)가 축결합된다. 연결부재(17)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일측단은 제2축(15)에 축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17)가 완전히 펴지게 되면 그 저면을 제2축(15)의 브래킷(16)이 형성된 아암(14)의 단부가 받쳐주게 되어 연결부재(17)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7)의 다른 일측은 테이블(20a)의 저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테이블(20a)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된 면에 홈(19)이 형성된 레일(18a)(18b)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 레일(18a)(18b)에 연결부재(17)가 조림되며, 연결부재(17)의 선단부에는 제7도에서와 같이 탄성돌기(21)가 형성되고, 테이블(20a)의 저면에는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조립완료시 탄성돌기(21)가 테이블의 걸림흠(22)에 삽입되어 테이블과 연결부재(17)는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물론 연결부재(17)를 레일(18a)(18b)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나 나사 등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테이블(20a)(20b)은 하나의 판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제6도와 같이 두개의 판을 조립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두 개의 판으로 구성할 때는 일측판을 펼쳐지는 쪽의 단부예 힌지 또는 경첩(210)으로 연결하며, 테이블을 완전히 펼쳤을 때 맞대응되는 측면부에 서로 맞접촉되는 리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다수개 형성하여 테이블(20a)(20b)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테이블(20a)(20b)의 표면에는 여러 가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컵을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컵받이, 필기구를 올려놓을 수 있는 필기구 안착홈 및 메모지를 비치하는 메모지 꽃이 등을 부설하여 테이블(20a)(20b)의 기능을 다양하게 한다.
특히, 두 개의 판부로 이루어진 테이블(20a)(20b)은 상면 둘레로 약간의 턱을 형성하여 운전 중 흔들림에 의해 테이블에 있던 물건이 테이블(20a)(20b)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테이블(20a)(20b)을 절첩시켰을 때 부설된 필기구홈에 안착된 필기구, 메모지 꽃이에 비치된 메모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한편, 이러한 테이블(20a)(20b)은 제8도에서와 같이 앞좌석 뿐만 아니라 뒷좌석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팔걸이의 내부 후측에도 앞좌석에 설치된 테이블과 같은 구조의 테이블(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테이블(20a)(20b)을 제3도에서와 같이 팔걸이의 수납실(11a)내부에 수납시켜 단순한 팔걸이로 사용하거나 내부에 운전할 때 사용하는 물품들을 수납시켜 사용한다. 그러다가 차내에서 음식이나 음료수를 마신다거나 메모지에 필기를 해야 하는 등의 경우에는 테이블(20a)(20b)을 편다. 이때에는 먼저 제4(a)도, 제4(b)와 같이 팔걸이의 뚜껑(12)을 개방시킨 후 수납된 테이블(20a)(20b)을 상부로 회동시킨다. 테이블(20a)(20b)은 결합된 아암(14)이 제1축(1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1단계 회동시킨다. 전방으로 180°정도 회전하게 되면 테이블(20a)(2Ob)은 수평한 상태가 되떠, 아암(14)의 하부가 팔걸이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더 이상 회동되지 않아 테이블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단계 펼쳐진 테이블(20a)(20b)은 아직 팔걸이의 수납실(11b)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상태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을 제2축(15)으로 중심으로 하여 제5도에서와 같이 2단계로 회동시킨다. 테이블(20a)(20b)이 90°정도 회동하게 되면 제2축(15)을 지지하는 브래킷(16)부의 아암(14)단부가 테이블(20a)(20b)과 연결된 연결부재(17)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20a)(20b)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이 하나의 판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만약 두개의 판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3단계로 절첩된 일측 테이블(20b)을 펼친다. 펼쳐지는 한쪽 테이블(2Ob)은 힌지 또는 경첩(210)을 축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 또한 180°정도 회전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펼쳐지면 운전석 및 조수석의 승차자가 모두 테이블(20a)(20b)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제8도에서와 같이 수납실의 일측에 또 다른 수납실(11c)을 형성하여 이에 후측으로 펼쳐지는 동일구조의 또 다른 팔걸이(30)를 설치하여 뒷좌석에서도 편리하게 테이블(3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테이블(20a)(20b)을 사용한 후에는 테이블을 펼칠 때의 반대순으로 접어 팔걸이의 수납실(11a)(11b)내부에 수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팔걸이에 절첩식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접어서 팔걸이의 수납통에 보관하여 팔걸이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펼쳐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팔걸이의 다기능화로 인한 편리성을 향상시켜 보다 안락한 승차공간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의 내부에 수납실(11a)을 갖고 개구된 상부는 개폐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팔걸이에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1a)을 격판으로 구획하여 별도의 테이블 수납실(11b)을 구비하고; 이 수납실의 선부에 제1축(13)을 횡설하여 이에 전후로 180°회전되면서 단부에 U형의 브래킷(16)이 구비된 아암(14)을 축결합하고, 상기 브래킷(16)에 아암(14)을 전방으로 회동시켰을 때 제1축(13)과 수평상태에서 직각을 이루는 제2축(15)을 구비하여 이에 테이블 연결부재(17)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각 회동되는 테이블(20a)(20b)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내측에 대향된 홈(19)을 갖는 레일(18a)(18b)을 평행하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재(17)를 레일(18a)(18b)의 흠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부재(17)의 일측에 탄성돌기(21)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테이블(20a)에는 걸림홈(22)을 형성하여 테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두 개의 판이 경첩(210)으로 연결되어 수평하게 펼쳐치는 철첩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10)의 수납실(11a)일측에 또 다른 수납실(1lc)을 형성하여 이에 후측으로 펼쳐지는 동일 구조의 테이블(3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브래킷(110)(120)을 각각 설치하여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110)(120)의 상단에 전후로 수평하게 형성된 절결구멍(112)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상기 절결구멍(112)에 삽입되는 핀(130)을 각각 횡설하여 상기 본체(10)가 전후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하되, 상기 운전석 쪽 브래킷(110)의 절결구멍(112)에 일정한 간격으로 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구멍(114)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핀(130)을 탄성수단을 통해 외측으로 탄성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핀(130)이 돌출 되었을 때 절결구멍(112)에 위치한 부분을 위치고정구멍(114)보다 작고 절결구멍(112)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하여 상기 핀(130)을 눌러 테이블을 전후로 이동시키고, 핀을 놓아 위치고정구멍(114)에 위치하도록 하여 핀(130)의 조작에 의해 테이블을 전후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자동차 팔걸이.
KR2019980003459U 1998-03-10 1998-03-10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KR200247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59U KR200247481Y1 (ko) 1998-03-10 1998-03-10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59U KR200247481Y1 (ko) 1998-03-10 1998-03-10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48U KR19990037648U (ko) 1999-10-15
KR200247481Y1 true KR200247481Y1 (ko) 2001-12-28

Family

ID=6971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59U KR200247481Y1 (ko) 1998-03-10 1998-03-10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4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76A (ko) 2019-07-30 2021-02-09 노홍길 사물 출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76A (ko) 2019-07-30 2021-02-09 노홍길 사물 출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48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4755B1 (en) Automotive console having a double hinged lid
US7147259B2 (en) Console and object holder assembly for a vehicle
US7784843B2 (en) Vehicle console with sliding panel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6726267B2 (en) Console assembly
US6250729B1 (en) Dual opening sliding console for use with a vehicle
US6386612B2 (en) Under seat storage system
US7429068B2 (en) Removable storage console
US8052190B2 (en) Multi-position cargo holder for use in vehicles
US20020175531A1 (en) Reconfigurable console
GB2326589A (en) Pivotable vehicle seat with utility compartment
CN210707177U (zh) 一种用于汽车副驾驶仪表板的置物装置及汽车
KR200247481Y1 (ko)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US20070051764A1 (en) Folding floor mounted console
KR100350580B1 (ko) 차량의 선반용 받침대
KR0137291Y1 (ko) 신장가능한 자동차의 콘솔박스
JPH0958316A (ja) 補助シート
JPH06962U (ja) グローブボックス
JP2001122030A (ja) 車両用多目的コンソール
KR20220132358A (ko) 다목적 테이블로 사용하는 자동차용 콘솔 커버
JP3097417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KR200404898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240006114A (ko) 콘솔박스용 포터블 테이블장치
JP2000312626A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
KR20240080369A (ko) 차량의 폴딩 프레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