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722B1 -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722B1
KR102003722B1 KR1020180022819A KR20180022819A KR102003722B1 KR 102003722 B1 KR102003722 B1 KR 102003722B1 KR 1020180022819 A KR1020180022819 A KR 1020180022819A KR 20180022819 A KR20180022819 A KR 20180022819A KR 102003722 B1 KR102003722 B1 KR 10200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link
vehic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919A (ko
Inventor
이두면
강성준
김동현
임정규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PCT/KR2018/0159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24889A1/ko
Publication of KR2019007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은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되어 회동가능한 외부 수납체(200);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키고, 인출된 외부 수납체(200)를 회동시키는 회동 슬라이드부(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회동할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부 수납체(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 사이의 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A DRAWER STRUCTURE MOUN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 사이의 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수납 및 적재를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특히 차량의 도어트림(door trim)의 내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도 1은 자동차 도어의 도어트림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고, 맵포켓의 전면판이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맵포켓 용량의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며, 맵포켓이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맵포켓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트림 내부에 삽입하여 둠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넓은 운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맵포켓을 도어트림 내부에 삽입하면 도어 내측이 깔끔하게 보여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를 가지는 서랍식 맵포켓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물품보관을 위한 수용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면서 도어트림에 고정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도어의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후면 양쪽 끝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 인너패널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힌지암과; 상기 힌지암의 자유 단부 끝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의 최대 개방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스톱퍼플랜지와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커버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부재와; 일단은 상기 스톱퍼부재에 인접한 힌지암의 자유 단부 끝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개방된 하우징커버의 탄력적인 복귀를 위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의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기술은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 사이의 내부공간 중 극히 일부만을 활용 가능하며, 상기 내부공간 중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은 여전히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701호 (2006년 03월 10일) 등록특허공보 제10-0830158호 (2008년 05월 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서랍(수납체)를 동일평면상에 배치하고, 어느 하나의 서랍을 인출시 회전 링크 힌지 구조를 통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하나의 서랍을 슬라이딩 개방시켜 수납공간을 극대화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은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되어 회동가능한 외부 수납체(200);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키고, 인출된 외부 수납체(200)를 회동시키는 회동 슬라이드부(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회동할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부 수납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바디(110); 인출홀(12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바디(110)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된 커버(120); 및 상기 내부 수납체(4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벽과 상기 내부 수납체(400) 사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이송장치(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 내벽 및 하측 내벽에 장착되는 회동축 고정 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수납체(200)는, 내부에 제1 수납공간(P1)이 형성되며, 후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개방된 외부 수납체 본체(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수납체(200)는, 상기 외부 수납체 본체(2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 본체(210)를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에 장착하는 고정 브라켓(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회동축(310); 상기 회동축(310)에 장착되어 회동하며, 상측 및 하측에는 장착부(321)가 형성된 회동 브라켓(320); 일단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 이송장치(330); 일단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직방향의 제1 회동돌기(341)가 형성된 링크 브라켓(340); 및 일단은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상기 제1 회동돌기(34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 수납체(4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링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회동돌기(341)는 상기 링크(35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회동돌기(341)와 상기 링크(350)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는 제2 고정레일(331); 고정 브라켓(220)에 장착되는 제2 이송레일(332); 및 상기 제2 고정레일(331) 및 상기 제2 이송레일(3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중간레일(3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 브라켓(320) 및 상기 링크 브라켓(340)은, 상기 제2 고정레일(33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1차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2차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는, 푸쉬-풀(push-pull)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수납체(400)는, 내부에 제2 수납공간(P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이 개방된 방향 측 측면이 개방된 내부 수납체 본체(410); 및 상기 내부 수납체 본체(410)의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링크(350)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돌기(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동돌기(420)는 제1 회동돌기(341)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돌기(420)와 상기 링크(350)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외부 수납체(200)에 외력을 가하여, 제2 고정레일(331)에 고정되었던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S100);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단계(S200);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송장치(330)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장치(330)에 연결된 링크 브라켓(340)을 함께 회동시키는 단계(S300);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회동에 의해 링크(350)의 제1 회동돌기(341)측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에 의해 내부 수납체(4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내부공간(P2)을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은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송장치(330)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장치(330)에 연결된 링크 브라켓(340)을 함께 회동시키는 단계(S600);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링크(350)의 제1 회동돌기(341)측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700);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체(4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내부공간(P2)을 폐쇄하는 단계(S8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외부 수납체(20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을 상기 제2 고정레일(331)에 고정시키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 사이의 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의 순서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상태도.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0 내지 도 14에서 하우징바디를 제거한 작동상태도.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5 내지 도 19의 다른 각도에서의 작동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할 때, 상기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은 하우징(100), 외부 수납체(200), 회동 슬라이드부(300) 및 내부 수납체(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내부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바디(110), 커버(120) 및 제1 이송장치(130)을 포함한다. 하우징바디(110)는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커버(120)는 인출홀(12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바디(110)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인출홀(121)은 외부 수납체(200)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공간이다.
제1 이송장치(130)는 상기 내부 수납체(4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벽과 상기 내부 수납체(400)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이송장치(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장치(130)는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131) 또는 롤러 조립체(13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도 3 및 도 25 참조).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131)는 통상적인 고정레일 및 이송레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송레일 사이에 중간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 조립체(132)는 롤러(132-1) 및 상기 롤러(132-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3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 상기 제1 이송장치(130)가 반드시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131) 또는 롤러 조립체(13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다른 마찰력 저감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 내벽 및 하측 내벽에 회동축 고정 브라켓(140)이 장착될 수도 있다. 즉, 후술할 회동축(310)이 상기 회동축 고정 브라켓(140)에 장착되어, 최종적으로는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것이다.
외부 수납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된 후, 상기 회동축(310)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외부 수납체(200)는 외부 수납체 본체(210), 고정 브라켓(220)을 포함한다. 외부 수납체 본체(210)는 내부에 제1 수납공간(P1)이 형성되며, 후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개방되어 제1 수납공간(P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 브라켓(220)은 상기 외부 수납체 본체(2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 본체(210)를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할 제2 이송레일(332)의 외측면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 슬라이드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키고, 인출된 외부 수납체(20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는 회동축(310), 회동 브라켓(320), 제2 이송장치(330), 링크 브라켓(340) 및 링크(350)를 포함한다.
회동축(3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외부 수납체(200)는 회동축(310)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동 브라켓(320)은 상기 회동축(310)에 장착되어 회동한다. 즉, 회동 브라켓(320)은 상기 회동축(310)을 감싸는 형태로써, 상기 회동축(310)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동 브라켓(32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장착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321)는 후술할 제2 이송장치(330) 및 링크 브라켓(340)과 체결된다.
제2 이송장치(330)의 일단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수납체(200), 특히 고정 브라켓(220)에 장착된다.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는 제2 고정레일(331), 고정 브라켓(220)에 장착되는 제2 이송레일(332) 및 상기 제2 고정레일(331) 및 상기 제2 이송레일(3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중간레일(333)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으로 인입시키거나,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에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1차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2차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는 푸쉬-풀(push-pull)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340)은 일단이 상기 회동 브라켓(320, 특히 장착부(321))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직방향의 제1 회동돌기(3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회동돌기(341)는 상기 링크(35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회동돌기(341)에 대해 상기 링크(350)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회동돌기(341)와 상기 링크(350)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회동 브라켓(320) 및 상기 링크 브라켓(340)은 상기 제2 고정레일(331)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310)을 축으로 상기 회동 브라켓(320)이 회전하면, 상기 링크 브라켓(340) 및 상기 제2 고정레일(311)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링크(350)는 일단이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상기 제1 회동돌기(34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회동돌기(42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내부 수납체(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 수납체(400)는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회동할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내부 수납체(400)는 내부 수납체 본체(410) 및 제2 회동돌기(420)를 포함한다.
내부 수납체 본체(410)는 내부에 제2 수납공간(P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이 개방된 방향 측 측면이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수납공간(P2)에 물품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다.
제2 회동돌기(420)는 상기 내부 수납체 본체(410)의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링크(35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회동돌기(420)는 제1 회동돌기(341)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돌기(420) 및 상기 제1 회동돌기(341)는 상기 링크(350)와 회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회동돌기(420)와 상기 링크(350)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을 개방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은 도 10 내지 도 14에서 하우징바디를 제거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5 내지 도 19의 다른 각도에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24를 참조할 때, 상기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은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S100), 외부로 인출되는 단계(S200), 회동시키는 단계(S300),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400) 및 외부와 연통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S100)에서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외부 수납체(200)에 외력을 가하여, 제2 고정레일(331)에 고정되었던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을 해제한다(도 10, 도 15, 도 19 참조). 즉, 슬라이딩 레일(300)은 푸쉬-풀(push-pull) 구조로써,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1회의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외부로 인출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된다(도 11, 도 16, 도 20 참조).
회동시키는 단계(S300)에서는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송장치(330)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장치(330)에 연결된 링크 브라켓(340)을 함께 회동시킨다(도 12, 도 17, 도 21 참조). 이에 따라, 제1 수납공간(P1)이 사용자를 향해 개방되어, 사용자가 제1 수납공간(P1)에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동하는 단계(S400)에서는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회동에 의해 링크(350)의 제1 회동돌기(341)측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7 참조). 외부와 연통시키는 단계(S500)에서는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에 의해 내부 수납체(4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내부공간(P2)을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시킨다(도 12 참조).
즉,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에 삽입되어, 하우징바디(110) 및 커버(120)에 의해 둘러싸여 있던 내부 수납체(40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수납공간(P2)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제2 수납공간(P2)에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활용할 수 없었던 공간(제2 수납공간, P2)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외측패널(outer panel)과 내측패널(inner panel) 사이의 내측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을 폐쇄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회동시키는 단계(S600)에서는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송장치(330)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장치(330)에 연결된 링크 브라켓(340)을 함께 회동시킨다(도 13, 도 18, 도 23 참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700)에서는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링크(350)의 제1 회동돌기(341)측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8 참조). 이때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방향은 이동하는 단계(S400)에서의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이 된다.
또한, 폐쇄하는 단계(S800)에서는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체(4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내부공간(P2)을 폐쇄한다(도 14 및 도 19 참조).
제2 이송장치(330), 링크 브라켓(340), 링크(35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시키는 단계(S600),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700), 폐쇄하는 단계(S800)가 동시에 수행된다.
고정시키는 단계(S900)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외부 수납체(20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을 상기 제2 고정레일(331)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푸쉬-풀(push-pull)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2회의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적용으로, 종래에는 사용자로부터 멀거나,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기 어려웠던 공간(본 발명의 제2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공간(P1) 및 제2 수납공간(P2)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활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많은 물품을 차량에 수납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하우징
110 제1 이송장치
120 회동축 고정 브라켓
130 제1 이송장치
131 슬라이딩 레일 조립체
132 롤러 조립체
132-1 롤러
132-2 가이드레일
200 외부 수납체
210 외부 수납체 본체
220 고정 브라켓
300 회동 슬라이드부
310 회동축
320 회동 브라켓
321 장착부
330 제2 이송장치
331 제2 고정레일
332 제2 이송레일
333 제2 중간레일
340 링크 브라켓
341 제1 회동돌기
350 링크
400 내부 수납체
S 내부공간
P1 제1 수납공간
P2 제2 수납공간

Claims (14)

  1.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되어 회동가능한 외부 수납체(200);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키고, 인출된 외부 수납체(200)를 회동시키는 회동 슬라이드부(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회동할 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내부 수납체(400);
    를 포함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차량 내벽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바디(110);
    인출홀(12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바디(110)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된 커버(120); 및
    상기 내부 수납체(4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벽과 상기 내부 수납체(400) 사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이송장치(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 내벽 및 하측 내벽에 장착되는 회동축 고정 브라켓(1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납체(200)는,
    내부에 제1 수납공간(P1)이 형성되며, 후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개방된 외부 수납체 본체(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납체(200)는,
    상기 외부 수납체 본체(2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 본체(210)를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에 장착하는 고정 브라켓(2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슬라이드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회동축(310);
    상기 회동축(310)에 장착되어 회동하며, 상측 및 하측에는 장착부(321)가 형성된 회동 브라켓(320);
    일단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 이송장치( 330);
    일단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직방향의 제1 회동돌기(341)가 형성된 링크 브라켓(340); 및
    일단은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상기 제1 회동돌기(34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 수납체(4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링크(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돌기(341)는 상기 링크(35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회동돌기(341)와 상기 링크(350)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회동 브라켓(320)에 장착되는 제2 고정레일(331);
    고정 브라켓(220)에 장착되는 제2 이송레일(332); 및
    상기 제2 고정레일(331) 및 상기 제2 이송레일(3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중간레일(3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브라켓(320) 및 상기 링크 브라켓(340)은,
    상기 제2 고정레일(33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장치(33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1차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상기 외부 수납체(200)에 2차적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는,
    푸쉬-풀(push-pull)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체(400)는,
    내부에 제2 수납공간(P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이 개방된 방향 측 측면이 개방된 내부 수납체 본체(410); 및
    상기 내부 수납체 본체(410)의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링크(350)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돌기(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돌기(420)는 제1 회동돌기(341)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돌기(420)와 상기 링크(350)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외부 수납체(200)에 외력을 가하여, 제2 고정레일(331)에 고정되었던 제2 이송레일(332)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S100);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이 상기 제2 고정레일(331)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어, 상기 외부 수납체(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단계(S200);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송장치(330)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장치(330)에 연결된 링크 브라켓(340)을 함께 회동시키는 단계(S300);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회동에 의해 링크(350)의 제1 회동돌기(341)측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에 의해 내부 수납체(4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내부공간(P2)을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은,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송장치(330)을 회동시키고, 상기 제2 이송장치(330)에 연결된 링크 브라켓(340)을 함께 회동시키는 단계(S600);
    상기 링크 브라켓(3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링크(350)의 제1 회동돌기(341)측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700);
    상기 링크(350)의 제2 회동돌기(420)측 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체(4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내부 수납체(400)의 제2 내부공간(P2)을 폐쇄하는 단계(S8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향해 외부 수납체(20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외부 수납체(2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제2 이송레일(332)을 상기 제2 고정레일(331)에 고정시키는 단계(S9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의 작동방법.
KR1020180022819A 2017-12-20 2018-02-26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 KR10200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934 WO2019124889A1 (ko) 2017-12-20 2018-12-14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12 2017-12-20
KR20170175712 2017-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19A KR20190074919A (ko) 2019-06-28
KR102003722B1 true KR102003722B1 (ko) 2019-07-25

Family

ID=6706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819A KR102003722B1 (ko) 2017-12-20 2018-02-26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986A (ja) 2004-03-17 2005-09-29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グラブボックス
JP2008044579A (ja) 2006-08-21 2008-02-28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閉構造
JP2015030316A (ja) 2013-07-31 2015-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701Y1 (ko) 2005-11-17 2006-03-20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 도어의 서랍식 맵포켓
KR100830158B1 (ko) 2007-02-26 2008-05-19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수납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986A (ja) 2004-03-17 2005-09-29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グラブボックス
JP2008044579A (ja) 2006-08-21 2008-02-28 Calsonic Kansei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閉構造
JP2015030316A (ja) 2013-07-31 2015-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19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2990B2 (en) Door assembly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US7828366B2 (en) Motor vehicle door
CN111806349A (zh) 用于车辆的行李箱装置
KR101558371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EP3667006B1 (en) Vehicle comprising opposite sliding doors and a device for operating opposite sliding doors
US20160123060A1 (en) 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8602476B2 (en) Drawer and storage compartment device with a drawer
KR101189403B1 (ko) 차량용 트레이 어셈블리
CN103867058B (zh) 用于滑动门的线性中心轨道结构
KR20110019030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US10023127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8430440B1 (en) Console door that pivots and stows
JP5993136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2002259B1 (ko) 가구용 홀딩 도어 장치
CN105953517A (zh) 冰箱及其储物装置
KR102003722B1 (ko) 차량 내벽에 장착되는 수납체 구조물 및 그 작동방법
WO2012173246A1 (ja) 蓋開閉機構及び収納装置
JP2020131816A (ja) 蓋開閉構造
KR20100107274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CN208827664U (zh) 可多向开启的盖体与汽车扶手箱
CN216628393U (zh) 一种扫地机基站以及扫地机组件
KR20140011834A (ko) 차량용 물품수납장치
EP2498656A1 (en) Shower enclosure
CN116572848A (zh) 用于车辆的后备箱总成及具有其的车辆
JPH09136577A (ja) 小物入れの出し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