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609A -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609A
KR20240050609A KR1020220130195A KR20220130195A KR20240050609A KR 20240050609 A KR20240050609 A KR 20240050609A KR 1020220130195 A KR1020220130195 A KR 1020220130195A KR 20220130195 A KR20220130195 A KR 20220130195A KR 20240050609 A KR20240050609 A KR 2024005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iston rod
plate
r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철
Original Assignee
오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철 filed Critical 오세철
Priority to KR102022013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609A/ko
Publication of KR2024005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하드 탑에 있어서, 후면과 좌우 양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의 후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후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측도어(12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2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24); 상기 프레임의 좌측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좌측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좌측도어(13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3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34); 상기 프레임의 우측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우측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우측도어(14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4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44); 상기 판브라켓(124)(134)(144)에는 피스톤로드(P)의 핀공이 삽입되어 피스톤로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핀축(s); 상기 후측도어의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과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후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후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후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후측도어실린더장치(150); 상기 좌측도어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좌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좌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좌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좌측도어실린더장치(160); 상기 우측도어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과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우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우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우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우측도어실린더장치(170); 상기 프레임(110)의 모서리 하부에 용접 결합되되, 두 번 절곡되어 진동이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다리(182)와 플레이트(184)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돌출되어 핀축이 형성되어 실린더장치의 실린더베럴의 끝에 형성된 핀공이 삽입되어 실린더베럴이 핀축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격자브라켓(180); 상기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적재함프레임에 안착시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하여 수평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격자고정판(190); 상기 프레임(110)이 적재함프레임에서 착탈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드 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Removable car hard top that is installed over the car's load box}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하드 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적재함의 후면과 좌우 양면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자동차용 하드 탑은 적대함을 구조적 강성이 높은 금속재로 제작하여 덮는 지붕을 의미한다.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적재함이 구비된 자동차는 적재함의 물건을 보호하고 방수나 방풍을 위하여 적재함을 덮는 지붕인 하드 탑을 설치한다.
하드 탑은 적재함에 물건을 넣거나 빼야 하므로 도어를 설치하게 되는데, 대부분 하드 탑 후면에 도어를 설치하고, 그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물건의 입출을 수행한다. 또한 하드 탑 양 측면에 도어를 설치하기도 하고, 양 측면 및 후면에 설치하기도 한다.
하드 탑에 설치되는 도어의 개폐장치의 조작 용이성에 따라 하드 탑에 물건을 실거나 내릴 때 편리성이 높아지고 작업 능률이 오르게 된다.
지금까지 개발된 하드 탑은 도어를 후면이나 측면에서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어의 개폐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도 단순하지 않으며, 조작시 사용자의 과도한 힘이 요구되는 등 불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 210849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909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88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34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 탑의 삼면에서 도어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의 구조가 단순하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을 간단하게 착탈 가능하며, 도어의 개폐조작이 용이하여 적재함에 물건을 실거나 내릴 때 도어의 개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하드 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하드 탑에 있어서, 후면과 좌우 양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의 후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후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측도어(12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2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24); 상기 프레임의 좌측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좌측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좌측도어(13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3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34); 상기 프레임의 우측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우측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우측도어(14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4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44); 상기 판브라켓(124)(134)(144)에는 피스톤로드(P)의 핀공이 삽입되어 피스톤로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핀축(s); 상기 후측도어의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과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후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후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후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후측도어실린더장치(150); 상기 좌측도어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좌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좌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좌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좌측도어실린더장치(160); 상기 우측도어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과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우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우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우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우측도어실린더장치(170); 상기 프레임(110)의 모서리 하부에 용접 결합되되, 두 번 절곡되어 진동이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다리(182)와 플레이트(184)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돌출되어 핀축이 형성되어 실린더장치의 실린더베럴의 끝에 형성된 핀공이 삽입되어 실린더베럴이 핀축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격자브라켓(180); 상기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적재함프레임에 안착시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하여 수평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격자고정판(190); 상기 프레임(110)이 적재함프레임에서 착탈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드 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면 뿐만 아니라 좌우면에도 도어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드 탑이 형성되어 있어도 적재함에 수하물을 실거나 내릴 때 편리하고, 각각의 도어가 키박스에 키만 돌려서 록킹을 해제하면 자동으로 도어가 상승하면서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수하물을 실을 때 도어에 의한 간섭이 적다.
또한, 프레임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함에 조립하여 설치하고 다니다가 필요하지 않으면 클램프를 해제하고 바로 분리할 수 있고,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격자프레임이 적재함프레임에 조립되었을 때 각각의 방향이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되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있어서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측도어와 좌측도어에 설치된 구성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측도어와 우측도어에 설치된 구성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장치가 각도어에 한쌍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프레임 위에 설치된 프레임의 후측도어와 좌측도어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프레임 위에 설치된 프레임의 후측도어와 우측도어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프레임 위에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클램프가 물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프레임 위에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클램프가 물린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적재함(210L)의 후면과 좌우 양측면 위에 안착될 수 있는 금속재 프레임(110)이 구비되고, 프레임(110)의 후면과 좌우 양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다.
프레임(110) 후면의 개구부에는 후측도어(120)가 설치되고, 프레임(110) 좌측면의 개구부에는 좌측도어(130)가 설치되며, 프레임(110) 우측면 개구부에는 우측도어(140)가 설치된다. 후측도어(120), 좌측도어(130), 우측도어(140)는 개구부 상단의 프레임과 경첩으로 결합하여 개구부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후측도어(120), 좌측도어(130), 우측도어(140)는 경첩을 축으로 상하로 회전하므로 상하로 열고 닫을 수 있다.
후측도어(120)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후측도어실린더장치(150)가 설치된다. 후측도어실린더장치(150)는 실린더베럴(C)과 실린더베럴에서 신축되는 피스톤로드(P)로 구성된다. 실린더베럴(C)과 피스톤로드(P)의 끝에는 각각 핀공(h)이 형성되어 있다. 후측도어실린더장치(150)는 피스톤로드(P)가 신장된 상태로 있다가, 외력을 가해 누르면 실린더베럴(C)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내부의 스프링장치에 의해 바로 신장된 상태로 원위치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후측도어(120)의 배면 상부에는 보강판(122)을 형성하고, 보강판(122)의 양측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판브라켓(124)이 형성된다. 보강판(122)은 후측도어 실린더장치(150)에 의해 후측도어(120)에 외력이 가해지면 후측도어(120) 상부 전체로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12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판브라켓(124)에는 각각 돌출된 핀축(s)이 형성되고, 핀축에는 피스톤로드의 핀공(h)이 삽입되어 피스톤로드(P)가 핀축(s)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후측도어(120)가 설치되는 개구부 하부의 프레임(110) 일측에는 두 번 절곡되어 (┌┐)와 같이 두 개의 다리(182)와 플레이트(184)로 이루어지는 격자브라켓(180)이 용접 결합되고, 격자브라켓(180)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핀축(s)이 형성되며, 핀축에는 후측도어 실린더장치(150)의 실린더베럴(C)의 끝에 형성된 핀공(h)이 삽입되어 실린더베럴(C)이 핀축(s)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판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격자브라켓(180)을 사용한 것은 실린더베럴(C)에 의해 플레이트(184)에 외력을 가해지면 그 외력을 양쪽의 다리(182)로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후측도어(120)가 열리고 닫힐 때 유동이나 진동의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한 곳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해도 용접부위에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후측도어(120)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키뭉치(K)가 설치된다. 키뭉치(K)는 후측도어(120)의 외측에서 키홈에 키를 꽂아 한쪽으로 돌리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후측도어(120)가 열리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원위치 되면 후측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좌측도어(130)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좌측도어 실린더장치(160)가 설치된다. 좌측도어 실린더장치(130)는 실린더베럴(C)과 실린더베럴에서 신축되는 피스톤로드(P)로 구성된다. 실린더베럴(C)과 피스톤로드(P)의 끝에는 각각 핀공(h)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도어 실린더장치(160)는 피스톤로드(P)가 신장된 상태로 있다가, 외력을 가해 누르면 실린더베럴(C)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내부의 스프링장치에 의해 바로 신장된 상태로 원위치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좌측도어(130)의 내면 상부에는 보강판(132)을 형성하고, 보강판(132)의 양측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판브라켓(134)이 형성된다. 보강판(132)은 좌측도어 실린더장치(160)에 의해 좌측도어(1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좌측도어(130) 상부 전체로 외력을 분산시켜 좌측도어(13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판브라켓(134)에는 각각 돌출된 핀축(s)이 형성되고, 핀축에는 피스톤로드의 핀공(h)이 삽입되어 피스톤로드(P)가 핀축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좌측도어(130)가 설치되는 개구부 하부의 프레임 일측에는 두 번 절곡되어 (┌┐)와 같이 두 개의 다리(182)와 플레이트(184)로 이루어지는 격자브라켓(180)이 용접 결합되고, 격자브라켓(180)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핀축(s)이 형성되며, 핀축에는 좌측도어 실린더장치(160)의 실린더베럴(C)의 끝에 형성된 핀공(h)이 삽입되어 실린더베럴(C)이 핀축(s)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판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격자브라켓(180)을 사용한 것은 실린더베럴(C)에 의해 플레이트(184)에 외력을 가해지면 그 외력을 양쪽의 다리(182)로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좌측도어(130)가 열리고 닫힐 때 유동이나 진동의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한 곳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해도 용접부위에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우측도어(140)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우측도어 실린더장치(170)가 설치된다. 우측도어 실린더장치(170)는 실린더베럴(C)과 실린더베럴에서 신축되는 피스톤로드(P)로 구성된다. 실린더베럴(C)과 피스톤로드(P)의 끝에는 각각 핀공(h)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도어 실린더장치(170)는 피스톤로드(P)가 신장된 상태로 있다가, 외력을 가해 누르면 실린더베럴(C)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내부의 스프링장치에 의해 바로 신장된 상태로 원위치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우측도어(140)의 내면 상부에는 보강판(142)을 형성하고, 보강판(142)의 양측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판브라켓(144)이 형성된다. 보강판(122)은 우측도어 실린더장치(170)에 의해 우측도어(140)에 외력이 가해지면 우측도어(140) 상부 전체로 외력을 분산시켜 우측도어(14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판브라켓(144)에는 각각 돌출된 핀축(s)이 형성되고, 핀축(s)에는 피스톤로드(P)의 핀공(h)이 삽입되어 피스톤로드(P)가 핀축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우측도어(140)가 설치되는 개구부 프레임(110) 하부에는 두 번 절곡되어 (┌┐)와 같이 두 개의 다리(182)와 플레이트(184)로 이루어지는 격자브라켓(180)이 용접 결합되고, 격자브라켓(180)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핀축(s)이 형성되며, 핀축(s)에는 우측도어 실린더장치(170)의 실린더베럴(C)의 끝에 형성된 핀공(h)이 삽입되어 실린더베럴(C)이 핀축(s)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판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격자브라켓(180)을 사용한 것은 실린더베럴(C)에 의해 플레이트(184)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양쪽의 다리(182)로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우측도어(140)가 열리고 닫힐 때 유동이나 진동의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한 곳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해도 용접부위에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4개의 격자고정판(190)이 형성된다. 후측도어(120)가 형성되는 하단에 형성된 격자고정판(190), 좌측도어(130)가 하단에 형성되는 격자고정판(190), 우측도어(140) 하단에 형성되는 격자고정판(190) 및 프레임(1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는 격자고정판(190)이다.
격자고정판(190)은 수평판(192)과 수직판(194)으로 구성되고, 수평판(192)은 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수직판(194)은 수평판(192)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향 절곡된다. 적재함프레임(F)의 상단 구조를 보면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절곡되어 있는데, 수평판(192)은 적재함프레임(F)의 1단 절곡부인 상단 폭과 대략 비슷하고, 수직판(194)의 높이는 적재함프레임(F)의 2단 절곡부인 상부 측면과 대략 비슷한다. 즉 격자고정판(190)은 적재함프레임(F)의 상단 구조에 맞춰서 형성된 것이다.
프레임(110)이 적재함프레임(F)에 올려지면 격자고정판(190)의 수평판(192)은 적재함프레임(F) 상면에 걸쳐지고, 수직판(194)은 적재함프레임(F)의 상단 측면 내측에 맞대어져 프레임(110)이 적재함프레임(F)에 안착된다. 격자고정판(190)이 적재함프레임(F)에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되더라고 전후좌우면에 형성된 수직판(194)이 적재함프레임(F)의 상단 내측에 맞대어져 있기 때문에 격자고정판(190)은 수평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지만, 수직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수직방향으로도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프(200)를 설치한다.
클램프(200)는 상편(202)과 하편(204)으로 구성되는데, 상편(202)은 평평하고, 하편(204)은 적재함프레임(F)의 상부 하단부에 걸리면서 물릴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편(202)과 하편(204)의 일측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분에 볼트구멍을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200)를 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하편(204)을 적재함프레임(F)의 상부 하단부에 걸리도록 하고, 상편(202)을 적재함프레임(F)의 상단 위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볼트구멍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면 상편(202)과 하편(204)이 볼트의 회전에 따라 밀착되면서 격자고정판(190)을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단단히 잡아준다. 격자고정판(190)은 프레임(1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프레임(110)이 적재함프레임(F)에서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단단히 잡아준다.
클램프(200)를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볼트를 풀고 상편(202)과 하편(204)을 분리하면 된다. 자동차용 하드 탑은 필요에 따라 적재함에서 분리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프레임(110)을 적재함프레임(F)의 상단에 완전히 고정 결합하지 않고 클램프(200)를 채우거나 풀어서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프레임(110)의 전후좌우 4면에 클램프(200)를 수 개씩 채우면 프레임(110)을 적재함프레임(F)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후측도어(120)와 좌측도어(130) 및 우측도어(130)의 일측에는 키박스(K)가 형성되어 있다. 키박스(K)에는 도어의 작금 상태를 개폐하는 록킹바(R)가 구비되어 있다. 즉 키박스(K)에는 도어(후측도어, 좌측도어, 우측도어)의 내측에 키박스의 키홀에 키를 꽂아 돌리면 좌우로 움직이는 록킹바(R)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10)에는 록킹바(R)가 걸리거나 빠지는 홀더(H)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박스에 키를 꽂아 돌리면 도어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각 도어에 설치된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로드(P)가 상승되면서 도어가 열린다.
전술한 바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하드 탑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측도어(110)의 키박스(K)에 키를 꽂아 돌리면 프레임(110)의 홀더(H)에 걸려 있던 록킹바(R)가 해제되면서 후측도어 실린더장치(150)의 피스톤로드(P)가 신장되면서 후측도어(120)가 열린다. 피스톤로드(P)가 신장되면 후측도어(120)의 열리는 각도에 따라 핀축(s)을 축으로 후측도어 실린더장치(150)의 각도가 변화면서 간섭없이 연동된다. 후측도어(12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후측도어 실린더장치(150)의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장치의 탄성력이 후측도어(120)의 자중 보다 강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후측도어(1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후측도어(120)를 닫고자 할 때는 후측도어(120)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피스톤로드(P)가 수축되면서 닫히고 완전히 닫으면 록킹바(R)가 프레임(110)의 홀더(H)에 걸리면서 잠긴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후측도어(120)를 키박스(K)에 키를 꽂아 돌리면 열리고, 열린 후측도어(120)를 닫을 때는 후측도어(120)를 위에서 눌러 닫으면 된다. 좌측도어(130)와 우측도어(140)도 후측도어(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110 : 프레임 120 : 후측도어
122 : 보강판 124 : 판브라켓
130 : 좌측도어 132 : 보강판
134 : 판브라켓 140 : 우측도어
142 : 보강판 144 : 판브라켓
150 :후측도어 실린더장치 160 : 좌측도어 실린더장치
170 : 우측도어 실린더장치 180 : 격자브라켓
190 : 격자고정판 192 : 수평판
194 : 수직판 200 : 클램프
202 : 상편 204 : 하편
210 : 적재함

Claims (3)

  1.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하드 탑에 있어서,
    후면과 좌우 양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의 후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후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측도어(12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2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24);
    상기 프레임의 좌측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좌측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좌측도어(13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3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34);
    상기 프레임의 우측면 개구부를 막으면서 개구부 상단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우측면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우측도어(140);
    상기 후측도어의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그 외력을 분산시켜 후측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142);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브라켓(144);
    상기 판브라켓(124)(134)(144)에는 피스톤로드(P)의 핀공이 삽입되어 피스톤로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핀축(s);
    상기 후측도어의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과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후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후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후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후측도어실린더장치(150);
    상기 좌측도어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좌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좌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좌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좌측도어실린더장치(160);
    상기 우측도어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실린더베럴과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베럴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은 상기 우측도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닫혀 있던 우측도어의 록킹을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장치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우측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우측도어실린더장치(170);
    상기 프레임(110)의 모서리 하부에 용접 결합되되, 두 번 절곡되어 진동이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다리(182)와 플레이트(184)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돌출되어 핀축이 형성되어 실린더장치의 실린더베럴의 끝에 형성된 핀공이 삽입되어 실린더베럴이 핀축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격자브라켓(180);
    상기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적재함프레임에 안착시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하여 수평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격자고정판(190);
    상기 프레임(110)이 적재함프레임에서 착탈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고정판은 수평판과 수직판으로 구성되고, 수평판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수직판은 수평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향 절곡되어 이루어지지고, 상기 격자고정판은 2단 절곡된 적재함프레임의 상단 구조에 맞춰서 형성되어 적재함프레임에 결합되면 상하로 자유롭게 분리 가능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편과 하편으로 구성되고, 상편은 평평하며, 하편은 적재함프레임의 상부 하단부에 걸리면서 물릴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고, 상편과 하편의 일측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분에 볼트구멍을 형성되어 있어, 클램프를 체결하면 하편을 적재함프레임의 상부 하단부에 걸리도록 하고, 상편을 적재함프레임의 상단 위에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볼크구멍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면 상편과 하편이 볼트의 회전에 따라 밀착되면서 격자고정판을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단단히 잡아주며, 클램프를 해제하고잘 할 때는 볼트를 풀고 상편과 하편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KR1020220130195A 2022-10-12 2022-10-12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KR20240050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195A KR20240050609A (ko) 2022-10-12 2022-10-12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195A KR20240050609A (ko) 2022-10-12 2022-10-12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609A true KR20240050609A (ko) 2024-04-19

Family

ID=9088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195A KR20240050609A (ko) 2022-10-12 2022-10-12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60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44B1 (ko) 2014-05-29 2016-03-10 김동근 다목적 차량의 하드탑
KR102018884B1 (ko) 2016-03-03 2019-09-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드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KR200490968Y1 (ko) 2019-06-18 2020-01-3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의 적재실용 하드탑 텐트 설치구조
KR102108495B1 (ko) 2019-06-07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 적재실용 하드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44B1 (ko) 2014-05-29 2016-03-10 김동근 다목적 차량의 하드탑
KR102018884B1 (ko) 2016-03-03 2019-09-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드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KR102108495B1 (ko) 2019-06-07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 적재실용 하드탑
KR200490968Y1 (ko) 2019-06-18 2020-01-3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의 적재실용 하드탑 텐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9689B2 (en) Folding cargo bay cover for pickup truck
CN105329118B (zh) 交通工具用锁紧装置
US6227602B1 (en) Pick-up truck lightweight cargo cover
US7419207B2 (en) Tonneau cover for a truck box
US9365097B1 (en) Pickup cab mount pack
JP4633739B2 (ja) 車両座席用ロック機構
US6702360B1 (en) Tonneau cover mounting mechanism
BRPI0415056B1 (pt) Dispositivo de trava para o assento de um veículo
US62734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mounting tonneau covers
CN112219021A (zh) 车辆的前部构造
KR20240050609A (ko)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US9650806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101699355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 조립체
KR20210034427A (ko) 로프걸이와 도어경첩구가 구비된 알루미늄 일체형 차량 적재함 도어
JP6750344B2 (ja) 車両用上開きドアのストラップ固定構造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JP3100682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ロック装置
EP3067256B1 (fr)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renfort de fixation au plancher arriere d'une tige de retenue d'un panier de roue de secours et d'une gache de verrouillage d'un volet arriere
KR101547763B1 (ko) 차량의 후드힌지
KR101630434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
CN210760564U (zh) 用于消防车储物箱的挡板结构
CN218206280U (zh) 一种汽车发动机罩铰链总成
JP2623262B2 (ja) トラックの側あおり板の中間支持装置
JP4197801B2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観音開扉の開放位置保持装置
KR920003796Y1 (ko) 청소용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