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763B1 - 차량의 후드힌지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힌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7763B1 KR101547763B1 KR1020140051977A KR20140051977A KR101547763B1 KR 101547763 B1 KR101547763 B1 KR 101547763B1 KR 1020140051977 A KR1020140051977 A KR 1020140051977A KR 20140051977 A KR20140051977 A KR 20140051977A KR 101547763 B1 KR101547763 B1 KR 101547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coupling
- assembly
- arm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후드힌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후드힌지는: 차체와 연결되며, 체결부가 형성되는 차체조립부와, 후드와 연결되며, 결합부를 구비하여 차체조립부와 힌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와, 결합부에 결합되며, 후드조립부의 상향 회동 시 체결부에 걸려 후드조립부를 상향 회동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차량의 후드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마련된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는 힌지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방유지장치로는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와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가 있다.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는 후드 스테이 로드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스테이 로드를 후드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린더부재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후드의 개방 시에 실린더부재가 개방력을 보조하게 되어 후드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1770호(1999.07.26. 공개, 고안의 명칭 : 자동차의 후드힌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의 후드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는: 차체와 연결되며, 체결부가 형성되는 차체조립부; 후드와 연결되며,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체조립부와 힌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드조립부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체결부에 걸려 상기 후드조립부를 상향 회동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체조립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체조립부는, 상기 후드조립부가 힌지 연결되며, 상부가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체결부를 이루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차체연결대; 및 상기 브라켓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향 회동된 상기 후드조립부의 단부가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후드조립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드조립부는, 일측부가 상기 차체조립부와 힌지 연결되며, 가장자리부가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암; 상기 결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후드와 연결되는 후드연결대; 및 상기 암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암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차체조립부와 접하며 상기 암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은, 수직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굴곡부; 및 상기 보강굴곡부상에 상기 보강굴곡부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차체조립부의 일부를 벤딩시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근접한 상기 후드조립부의 일부를 벤딩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탄성에 의해 너비가 신축 변형되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 걸리는 홀딩부재; 및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결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걸림홀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에 걸리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의 단부에 내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이루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는, 후드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에 지지부를 결합하고, 후드조립부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체결되는 결합부를 차체조립부상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후드힌지의 기능 뿐만 아니라 후드의 개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후드 스테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서, 후드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테이 로드나 가스리프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후드의 개방 상태가 별도의 지지대 없이 유지될 수 있어,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엔진룸을 점검 시 사용자의 동선이나 시야를 제한하지 않아 차량의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후드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면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지지부가 결합부에 체결된 상태가 되어 후드를 개방시킨 상태로 지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후드를 내리는 동작을 하면 지지부가 결합부로부터 자연히 이탈되며 후드가 닫히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후드를 단지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사용자의 동작만으로 후드의 개폐 작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후드조립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후드조립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후드조립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300)는 차체조립부(310), 후드조립부(330), 지지부(350)를 포함한다.
차체조립부(310)는 체결부(312)를 구비하여 차체(10)에 조립, 고정된다.
후드조립부(330)는 체결부(312)와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부(332)를 구비하여 후드(20)에 조립, 고정된다.
후드조립부(330)는 차체조립부(3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된다.
지지부(350)는 결합부(332)에 결합되어 후드조립부(330)와 일체로 연결되며, 후드조립부(330)와 함께 이동되면서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2)에 체결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2)로부터 이탈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조립부(330)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 좌, 우측 등의 방향을 설정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체조립부(310)는 브라켓(311), 차체연결대(317), 스토퍼(318)를 포함한다.
브라켓(311)은 차체조립부(31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게 형성되고, 후드조립부(330)의 일측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311)은 후드(20)의 개방 시, 후드조립부(330)와 지지부(350)를 통해 전달되는 후드(20)의 하중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한다.
브라켓(311)의 상부에는 지지부(350)가 체결되는 체결부(3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312)는, 걸림부(313)와 걸림홀부(314)를 포함한다.
걸림부(313)는 브라켓(311)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홀부(314)는 걸림부(313)상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지부(350)는 한 쌍의 판스프링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도 3 참조)
걸림홀부(314)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지지부(350)의 양단부가 걸림홀부(314)를 통해 걸림부(313)상에 안정되게 걸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롯 형상을 가지는 걸림홀부(314)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지지부(350)의 좌, 우측 단부가 각각 안정되게 통과하여 걸림부(313)상에 걸쳐질 수 있는 한 쌍의 걸림턱을 이룬다.
걸림홀부(314)는 지지부(35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50)가 90°의 상대 각도로 배치되는 동일한 형상의 단부 4개를 가지는 경우, 걸림홀부(314)를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면, 지지부(350)에 구비되는 4개의 단부 각각이 안정되게 걸쳐질 수 있는 4개의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브라켓(311)을 금속판재로 구성하면, 브라켓(311)의 상부를 후드조립부(330)를 향해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부(312)를 돌출된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차체연결대(317)는 차체조립부(310)를 차체(10)와 연결시키기 위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브라켓(311)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체연결대(317)에는 볼트, 리벳 등의 결합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차체(10)에 조립, 고정된다.
스토퍼(318)는 후드조립부(330)의 상향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으로, 브라켓(311)의 측면부에 형성된다.
후드조립부(330) 중 스토퍼(31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대(338)가 형성되어, 후드조립부(330)가 상향 회동되는 중에 걸림대(338)가 스토퍼(318)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상향 회동이 제한된다.(도 6 참조)
차체조립부(310)를 금속판재로 구성하면, 브라켓(311)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부(312)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311)의 하부를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차체연결대(317)를 형성할 수 있고, 브라켓(311)의 측면부를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스토퍼(31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차체조립부(31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체결부(312)가 형성된 브라켓(311), 차체연결대(317), 스토퍼(318)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드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조립부(330)는 암(331), 후드연결대(337), 걸림대(338)를 포함한다.
암(331)은 후드조립부(33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일측부가 브라켓(31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암(331)의 가장자리부 중, 체결부(312)와 근접하게 위치되는 암(331)의 상부에는 결합부(3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32)는, 고정부(333)와 고정홀부(334)를 포함한다.
고정부(333)는 암(331)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홀부(334)는 고정부(333)상에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지지부(350)의 고정부재(357)는 고정홀부(334)를 관통하여 고정부(333)상에 고정 결합된다.(도 3 참조)
암(331)을 금속판재로 구성하면, 암(331)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체결부(312)와 대향되도록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부(332)를 돌출된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331)은, 보강굴곡부(335)와 보강리브부(336)를 포함한다.
보강굴곡부(33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암(331)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수직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암(331)의 수직 방향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보강리브부(336)는 보강굴곡부(335)상에 보강굴곡부(335)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일측부가 결합부(332)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금속재로 이루어진 보강굴곡부(335)에 횡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볼록하게 가공함으로써 보강리브부(336)를 보강굴곡부(335)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보강굴곡부(335)와 보강리브부(336)에 의해 암(331)의 수직 방향 강성을 보강할 수 있어, 후드연결대(337)를 통해 암(331)에 전달되는 후드(20)의 수직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암(331)에 전달된 후드(20)의 수직 하중이 지지부(350)를 통해 차체조립부(31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결합부(332)가 형성된 암(331)의 일측부에 수직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결합부(332)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보강리브부(336)에 의해, 결합부(332)가 위치되는 암(331)의 일측부의 수직 방향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조립부(33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결합부(332)를 통해 차체조립부(310)측으로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후드연결대(337)는 후드조립부(330)를 후드(20)와 연결시키기 위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암(331)의 상부에 결합부(332)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후드연결대(337)에는 볼트, 리벳 등의 결합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후드(20)에 조립, 고정된다.
걸림대(338)는 차체조립부(310)에 형성된 스토퍼(318)와 접하는 부분으로, 암(331)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스토퍼(318)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암(331)의 상향 회동 시, 걸림대(338)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조립부(310)에 형성된 스토퍼(318)와 접하게 되고, 이후 암(331)은 더 이상의 상향 회동이 제한된다.
즉, 걸림대(338)가 스토퍼(318)의 상면부에 접한 상태가, 후드조립부(330)가 최대로 상향 회동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318)와 걸림대(338)의 작용에 의해, 후드조립부(330)의 상향 회동 가능한 각도가 일정하게 한정된다.
이에 따라, 도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331)의 상향 회동 시, 지지부(350)가 체결부(312)에 무리하게 접촉되어 손상되거나, 체결부(312)와 결합부(332)가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드조립부(330)를 금속판재로 구성하면, 암(331)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부(332)와 후드연결대(337)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331)의 일측부를 횡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대(338)를 형성할 수도 있다.
후드조립부(33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부(332)가 형성된 암(331), 후드연결대(337), 걸림대(338)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지지부(350)는 후드조립부(330)에 형성된 결합부(332)에 결합되며, 후드조립부(330)의 상향 회동 시 체결부(312)에 걸려 후드조립부(330)를 상향 회동된 상태로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50)는 홀딩부재(351)와 고정부재(357)를 포함한다.
홀딩부재(351)는 탄성에 의해 너비가 신축 변형되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딩부재(351)는 연결부(352), 연장부(353), 홀딩부(354), 가이드부(355)를 포함한다.
연결부(352)는 고정부재(357)에 의해 결합부(332)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결합부(332)와 접촉되는 일측부가 결합부(332)의 외면에 대응되는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연결부(352)상에는 결합부(332)에 형성된 고정홀부(334)(도 5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고정부재(357)는 연결부(352)에 형성된 관통홀과 고정홀부(334)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연결부(352)의 양단부에는 체결부(312)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353)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50)가 체결부(312)에 걸린 상태에서, 연장부(353)의 단부는 체결부(312)에 형성된 걸림홀부(314)의 내부까지 진입하게 된다.
걸림홀부(314)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부(353)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부(313)의 상면부에 안정되게 걸칠 수 있는 적정 위치에 홀딩부(354)를 형성할 수 있다.
홀딩부(354)는 연장부(353)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체결부(312)에 형성된 걸림홀부(314)를 통해 걸림부(313)의 단부에 걸쳐진다.
지지부(350)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외측은 홀딩부재(351)의 너비가 확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은 홀딩부재(351)의 너비가 축소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홀딩부(354)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50)가 체결부(312)에 걸린 상태에서, 홀딩부(354)는 걸림홀부(314)의 내측에 위치되는 연장부(353)의 단부에서 걸림홀부(314)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걸림홀부(314)를 통과하고 걸림부(313)상에 자연히 걸쳐지게 된다.
가이드부(355)는 홀딩부(354)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걸림홀부(314)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부(355)는 홀딩부재(351)의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드조립부(33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355)의 경사면을 타고 홀딩부재(351)의 단부가 걸림홀부(314)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홀딩부재(351)는 금속판재의 양단부를 내외측으로 복수회 벤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이 연장부(353)가 형성된 연결부(352), 홀딩부(354), 가이드부(355)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 구조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홀딩부재(351)는 상기와 같은 판스프링 구조를 가짐에 따라, 그 너비가 신축변화되면서 걸림홀부(314)로 안정되게 진입, 통과할 수 있다.
내향 경사진 형상의 가이드부(355)에 의해 걸림홀부(314)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외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홀딩부(354)에 의해 홀딩부(354)와 가이드부(355)간의 경계부가 걸림홀부(314)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고, 체결부(312)에 걸쳐진 상태로 후드(2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홀딩부(354)가 걸림부(313)에 걸쳐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홀딩부재(351)가 상기와 같이 너비가 탄성적으로 신축 변형되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홀딩부(354)가 걸림홀부(314)로 원활하게 진입, 통과할 수 있으며, 후드(20)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357)는 홀딩부재(351)를 결합부(332)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로, 볼트, 리벳 등의 결합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고정부재(357)는 상측으로부터 연결부(352)에 형성된 관통홀과 결합부(332)에 형성된 고정홀부(334)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홀딩부재(351)를 결합부(332)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체 20 : 후드
300 : 차량의 후드힌지 310 : 차체조립부
311 : 브라켓 312 : 체결부
313 : 걸림부 314 : 걸림홀부
317 : 차체연결대 318 : 스토퍼
330 : 후드조립부 331 : 암
332 : 결합부 333 : 고정부
334 : 고정홀부 335 : 보강굴곡부
336 : 보강리브부 337 : 후드연결대
338 : 걸림대 350 : 지지부
351 : 홀딩부재 352 : 연결부
353 : 연장부 354 : 홀딩부
355 : 가이드부 357 : 고정부재
300 : 차량의 후드힌지 310 : 차체조립부
311 : 브라켓 312 : 체결부
313 : 걸림부 314 : 걸림홀부
317 : 차체연결대 318 : 스토퍼
330 : 후드조립부 331 : 암
332 : 결합부 333 : 고정부
334 : 고정홀부 335 : 보강굴곡부
336 : 보강리브부 337 : 후드연결대
338 : 걸림대 350 : 지지부
351 : 홀딩부재 352 : 연결부
353 : 연장부 354 : 홀딩부
355 : 가이드부 357 : 고정부재
Claims (9)
- 차체와 연결되며, 체결부가 형성되는 차체조립부;
후드와 연결되며,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체조립부와 힌지 연결되는 후드조립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드조립부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체결부에 걸려 상기 후드조립부를 상향 회동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탄성에 의해 너비가 신축 변형되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 걸리는 홀딩부재; 및
상기 홀딩부재를 상기 결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체조립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조립부는,
상기 후드조립부가 힌지 연결되며, 상부가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체결부를 이루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차체연결대; 및
상기 브라켓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향 회동된 상기 후드조립부의 단부가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후드조립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상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조립부는,
일측부가 상기 차체조립부와 힌지 연결되며, 가장자리부가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암;
상기 결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후드와 연결되는 후드연결대; 및
상기 암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암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차체조립부와 접하며 상기 암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수직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굴곡부; 및
상기 보강굴곡부상에 상기 보강굴곡부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차체조립부의 일부를 벤딩시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근접한 상기 후드조립부의 일부를 벤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걸림홀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에 걸리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이루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힌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977A KR101547763B1 (ko) | 2014-04-29 | 2014-04-29 | 차량의 후드힌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977A KR101547763B1 (ko) | 2014-04-29 | 2014-04-29 | 차량의 후드힌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7763B1 true KR101547763B1 (ko) | 2015-08-27 |
Family
ID=5406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1977A KR101547763B1 (ko) | 2014-04-29 | 2014-04-29 | 차량의 후드힌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77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734B1 (ko) * | 2016-02-16 | 2017-02-21 | 주식회사 금창 | 후드 오픈에포트 저감을 위한 오픈에포트 어시스트 4절 후드힌지 |
-
2014
- 2014-04-29 KR KR1020140051977A patent/KR10154776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734B1 (ko) * | 2016-02-16 | 2017-02-21 | 주식회사 금창 | 후드 오픈에포트 저감을 위한 오픈에포트 어시스트 4절 후드힌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92755B1 (en) | Li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KR101636135B1 (ko) | 자동차용 암레스트 힌지 | |
US9551176B2 (en) | Door hinge for automob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rst bracket thereof | |
US20140367194A1 (en) | Cable hook attachment for ladders | |
KR20160144347A (ko) | 차량용 후방 스포일러 장치 | |
US9346494B2 (en) | Pivoting door | |
KR101547763B1 (ko) | 차량의 후드힌지 | |
US20140360957A1 (en) | Adjustable truck trailer removable rack | |
US2703430A (en) | Deck lid hinge | |
KR20160029943A (ko) |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 |
KR20150104250A (ko) | 탑차용 적재함 문 고정장치 | |
KR20130045677A (ko) |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 |
JP2011004974A (ja) | 吊具 | |
KR100844676B1 (ko) |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 |
JP7492845B2 (ja) | 吊り上げ治具 | |
US6533374B2 (en) | Clips for restraining furniture doors from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during shipping and handling | |
US20170022741A1 (en) | Door assembly for vehicles | |
KR20090040768A (ko) | 트렁크 리드의 힌지 장치 | |
KR100994015B1 (ko) | 트럭 적재함의 캐치 구조 | |
JP3208213U (ja) | 電気転てつ機吊上げ補助具 | |
JP3624305B2 (ja) | 天井収納用梯子 | |
KR20130045676A (ko) |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 |
KR101449158B1 (ko) | 후드 지지구조가 내장된 후드 힌지 | |
JP7094624B2 (ja) | 部品の取付構造 | |
JP2003096822A (ja) | カバー体を備えた作業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