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526A -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526A
KR20240050526A KR1020220129692A KR20220129692A KR20240050526A KR 20240050526 A KR20240050526 A KR 20240050526A KR 1020220129692 A KR1020220129692 A KR 1020220129692A KR 20220129692 A KR20220129692 A KR 20220129692A KR 20240050526 A KR20240050526 A KR 2024005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mannia glutinosa
glutinosa
rehmannia
extrac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민
정유성
라흐마트 엔당
남현화
박준홍
이아영
문병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2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526A/ko
Publication of KR2024005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황은 가공하지 않은 생지황 및 건지황뿐만 아니라, 종래 방법으로 가공한 지황에 비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특징이 있다. 특히, 기내배양을 통해 획득한 KIOM 지황을 가공하는 경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진되는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사료첨가제 또는 한약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KIOM Rehmanniae Radix Preparata with enhanced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의 다년생 숙근초이며, 한약재로서 지황 뿌리가 이용된다. 육색이 황적색을 띠며 뿌리가 굵고 긴 것을 상품으로 취급하고 있다. 대한약전 생약규격집에 의하면 '한약으로 제조된 생지황의 뿌리는 원주형∼방추형을 이루고 길이 5∼15 cm, 지름 8∼20 mm로 때로는 꺾이었거나 변형되어 있다. 바깥 면은 황적색∼황적갈색을 띠고 가로로 깊이 패어진 골이 있으며, 질은 매우 연하여 잘 꺾인다. 꺾인 면은 평탄하며 목부는 백색, 피부는 엷은 황정색이다. 피부와 목부에는 전혀 기계조직이 없고 목부에는 망문도관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형태를 규정하고 있다. 지황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단 것 같으나 뒤에는 조금 쓰다.
지황은 가공하지 않은 신선한 뿌리를 생지황이라 하고, 40∼50℃에서 생지황 무게의 25∼30% 정도가 되도록 지황의 신선한 뿌리를 건조한 것을 건지황이라 하고, 숙지황은 생지황을 포제가공한 것으로, 생지황 뿌리를 건조 및 증숙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지황의 효능은 보혈, 강장, 해열약으로 빈혈이나 토혈 및 허약증 등에 효능이 있다. 또한 강심, 지혈작용이 있어서 하혈, 자궁출혈 등에 사용하며, 결핵성 쇠약에 효과가 있고, 타박상에 외상약으로 사용한다. 생지황은 일반적으로 동의보감의 처방인 '경옥고'를 제조하는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건지황은 생지황을 건조한 것으로 약성이 차서 소화장애를 유발하므로, 대부분 약술로 9번 찌고 말린 숙지황을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숙지황은 약성을 따뜻하게 만들어 소화장애가 없으며 보혈, 강장, 강심, 당뇨병, 혈압강하, 해열 작용을 하며, 빈혈이나 토혈, 그리고 허약증에 효능이 있다.
종래의 숙지황 제조방법은 지황의 생뿌리 혹은 건지황을 찜통에 수증기로 찐 다음 약주를 묻혀 햇볕에 말린 후 다시 꿀물을 골고루 묻히고 약간 말리고, 이를 다시 찜솥에 찌고 말려 꿀물을 묻히는 과정을 9번 반복해서 제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황의 가공과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0061215호에 지표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숙지황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413084호에 건지황이 가공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516300호에 숙지황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본 발명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숙지황은 생지황, 건지황 또는 종래의 방법으로 가공한 숙지황에 비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지황(R. glutinosa) 뿌리를 50~70℃에서 40~6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한 건조지황 뿌리를 절단하여 물에 12~20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115~125℃에서 1~4시간 동안 에탄올 용액으로 1~5회 스팀 처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50~70℃에서 40~6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지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숙지황은 생지황, 건지황 또는 종래의 방법으로 가공한 숙지황에 비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 내에 함유된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CRG-U,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건조한 건지황; CRG-CP,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종래 방법으로 제조한 숙지황; CRG-KP(5~40%E),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5~40%(v/v)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 처리하여 제조한 숙지황이다. a~e 문자의 차이는 Tukey test(p<0.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 내에 함유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CRG-U,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건조한 건지황; CRG-CP,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종래 방법으로 제조한 숙지황; CRG-KP(5~40%E),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5~40%(v/v)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 처리하여 제조한 숙지황이다. a~d 문자의 차이는 Tukey test(p<0.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 내에 함유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이다. CRG-U,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건조한 건지황; CRG-KP-20%E,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20%(v/v)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 처리하여 제조한 숙지황; KRG-KP-20%E, 지황 영양체를 기내배양하여 획득한 지황 묘를 재배하여 생산된 지황(KRG)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20%(v/v)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 처리하여 제조한 숙지황;이다. a~c 문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5는 LPS 자극 대식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것이다. CON,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 LPS, LPS를 처리한 대조군; CRG-U,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건조한 건지황; CRG-CP,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종래 방법으로 제조한 숙지황; CRG-KP-20%E, 일반적으로 재배된 지황(CRG)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20%(v/v)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 처리하여 제조한 숙지황;이다. a, b 문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6은 LPS로 자극시킨 대식세포에서, 숙지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iNOS 및 NF-κB에 발현량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 iNOS 발현에 대한 숙지황 추출물의 효과이고, (B) NF-κB 발현에 대한 숙지황 추출물의 효과이다. CRG-KP-20%E Low: 100㎍/㎖의 숙지황 추출물 처리군이고, CRG-KP-20%E High: 200㎍/㎖의 숙지황 추출물 처리군이다. a~c 문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p<0.05이다.
본 발명은 (1) 지황(R. glutinosa) 뿌리를 50~70℃에서 40~6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한 건조지황 뿌리를 절단하여 물에 12~20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115~125℃에서 1~4시간 동안 에탄올 용액으로 1~5회 스팀 처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50~70℃에서 40~6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탄올 용액은 15~25%(v/v)의 에탄올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0%(v/v)의 에탄올 용액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황은 (1) 0.125~0.375mg/ℓ의 CuSO4·5H2O, 18.35~55.05mg/ℓ의 FeNaEDTA, 3.1~9.3mg/ℓ의 H3BO3, 11.15~33.45mg/ℓ의 MnSO4·H2O, 0.125~0.375mg/ℓ의 Na2MoO4·2H2O, 4.3~12.9mg/ℓ의 ZnSO4·7H2O, 36.25~326.25mg/ℓ의 CaCl2, 235.63~706.89mg/ℓ의 Ca(NO3)2·4H2O, 85~255mg/ℓ의 KH2PO4, 495~4455mg/ℓ의 K2SO4, 90.27~270.81mg/ℓ의 MgSO4, 200~600mg/ℓ의 NH4NO3, 1~3mg/ℓ의 글리신, 50~150mg/ℓ의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0.25~0.75mg/ℓ의 니코틴산(Nicotinic acid), 0.25~0.75mg/ℓ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Pyridoxine HCl), 0.5~1.5mg/ℓ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Thiamine HCl), 0.1~2.0ppm의 IAA(indole-3-acetic acid) 및 0.1~2.0ppm의 IBA(indole-3-butyric acid)를 포함하는 고체 배지에, 지황의 영양체를 치상하여 줄기분화 및 다개체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형성된 다개체를, 0.125~0.375mg/ℓ의 CuSO4·5H2O, 18.35~55.05mg/ℓ의 FeNaEDTA, 3.1~9.3mg/ℓ의 H3BO3, 11.15~33.45mg/ℓ의 MnSO4·H2O, 0.125~0.375mg/ℓ의 Na2MoO4·2H2O, 4.3~12.9mg/ℓ의 ZnSO4·7H2O, 36.25~326.25mg/ℓ의 CaCl2, 235.63~706.89mg/ℓ의 Ca(NO3)2·4H2O, 85~255mg/ℓ의 KH2PO4, 495~4455mg/ℓ의 K2SO4, 90.27~270.81mg/ℓ의 MgSO4, 200~600mg/ℓ의 NH4NO3, 1~3mg/ℓ의 글리신, 50~150mg/ℓ의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0.25~0.75mg/ℓ의 니코틴산(Nicotinic acid), 0.25~0.75mg/ℓ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Pyridoxine HCl), 0.5~1.5mg/ℓ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Thiamine HCl) 및 0.1~2.0ppm의 NAA(1-naphthaleneacetic acid)를 포함하는 고체 배지에 치상하여 지황 조직배양 묘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황의 대량 생산방법으로 생산한 KIOM 지황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지황의 영양체는 액아, 엽아 또는 종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종근이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KIOM 지황'의 대량 생산은 20~27℃의 온도, 3,000~7,000Lux의 광도 및 16/8 시간의 명/암 주기 조건으로 기내 배양하여 생산한 조직배양 묘를 토양에 순화시켜 재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기내배양을 통해 묘를 생산한 후, 정식하여 생산한 지황을 'KIOM 지황'이라 지칭한다.
상기 숙지황의 제조방법은 지황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또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숙지황의 제조방법은 지황에 함유된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iso-verbascoside)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지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 중에서, 지황 영양체를 기내배양하여 획득한 지황 묘를 재배하여 생산한 지황(KIOM 지황)을 이용하는 제조한 경우, 'KIOM 숙지황'이라고 지칭한다.
본 발명의 숙지황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재배한 지황 또는 기내배양을 통해 생산한 지황(KIOM 지황)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KIOM 지황'을 이용하여 숙지황을 제조할 경우, 숙지황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또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증진이 현저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지황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숙지황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숙지황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숙지황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숙지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추출물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 한약재의 추출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숙지황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숙지황 추출물을 혼합하는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숙지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2,0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30~500m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300mg/kg이며, 하루 1~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시약]
일반적으로 재배한 지황 뿌리는 한국의 충청남도 금산 농장에서 채집되었고, 지황 영양체로부터 기내배양하여 획득한 지황은 한국등록특허 제1881305호에 개시한 방법으로 획득하였다.
지황 뿌리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60℃ 오븐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였으며, 가공 전후에 수분 분석기 밸런스(Kett Electric Laboratory, 일본 도쿄)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는 크로마토그래피 등급의 물, 아세토니트릴, 메탄올(Merck, Darmstadt Germany)을 사용하였다.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DPPH), 갈산 및 기타 모든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로부터 구입하였다. COX-2와 iNOS의 1차 항체는 Cell Signaling (Denvers, MA, USA)에 의해 공급되었으며, NF-κB 및 기타 모든 웨스턴 시약은 산타크루즈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1. 지황의 가공 및 숙지황 추출물의 제조
(1) 지황의 가공
건조된 지황 뿌리를 20mm 슬라이스로 절단하고, 물에 16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증기처리를 하였다(도 1). 모든 시료는 다양한 온도(100℃, 110℃ 또는 120℃), 1~5회의 증자 횟수, 1~4시간의 증자시간에 따른 조건으로, 증류수, 5~40%(v/v)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 처리하였다(KSP-240 L, Kyungseo E&P, South Korea). 처리된 시료는 모두 오븐을 이용하여 6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지황을 '숙지황'이라고 칭하였고, 특별히, 지황 영양체로부터 기내배양하여 생산한 지황을 'KIOM 지황'이라 칭하였고, 이를 가공한 경우, 'KIOM 숙지황'이라고 명명하였다.
(2) 숙지황 추출물의 제조
이후, 가공처리된 모든 시료를 분쇄기(250G New Type Pulverizing Machine, Model RT-N04-2V, Taiwan)로 분쇄하고, 60메쉬의 체로 여과하여 시료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시료 분말에 70%(v/v) 메탄올을 10배 부피로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숙지황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숙지황의 제조 조건별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숙지황이 제조 조건별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립한의학 식품의약품안전성평가원 지침에 따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HPLC는 물(A)과 아세토니트릴(B)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Capcell Pak UG120 C18 분석 컬럼(250×4.6 mm, 5μm, 일본 시세이도)을 장착한 워터 얼라이언스 2695 HPLC 시스템(Milford, MA, USA)을 사용하였다. 구배 용출은 0~15분, 95% A; 15~25분, 85% A; 25~45분, 70% A; 45~60분, 95% A이었다. 205 nm와 280 nm에서 흡광도가 검출되었으며 Column은 25 ℃로 유지되었다. 주입 부피는 10㎕이고, 유속은 0.8㎖/min으로 하였다.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의 함량은 가공하지 않은 지황(CRP-U) 또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에탄올을 스팀처리하지 않고 제조한 숙지황(CRG-CP)에 대비하여 에탄올 용액을 스팀처리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에 함유된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의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20%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처리한 경우,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숙지황의 제조 조건 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1)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은 종래의 방법(Mu et al., 2021)을 변형하여 Folin-Ciocateu 시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분쇄된 시료 추출은 1g 및 70%(v/v) 메탄올을 사용하여 4℃에서 8000×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채취하였다. 각 500㎕의 시료 분취액을, 500㎕의 Folin-Ciocalteu 시약과 혼합하였다. 3분 후, 10% 탄산나트륨(Na2CO3) 500㎕를 첨가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암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흡수율은 SpectraMaxi3x(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725nm에서 측정하였다. 정량화를 위한 표준 곡선을 생성하기 위해 갈산이 사용되었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Okello et al.(2021)의 방법론을 변형하여 확인하였다. 90% 디에틸글리콜(0.8㎖)과 1N 수산화나트륨(10㎕)을, 0.1㎖의 각 시료 추출물(1000ppm 농도)과 혼합한 후, 볼텍스를 사용하여 용액을 균질화하고 37℃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시료 흡광도는 420nm 파장에서 3 반복으로 분광광도계(Spectramax i3x(Molecular Devices, Workingham, U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물질과 루틴 사이의 검정곡선을 구성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루틴 당량(Rue)/g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가공하지 않은 지황(CRP-U) 지황 대비 종래의 방법에 따라 에탄올을 스팀처리하지 않고 제조한 숙지황(CRG-CP) 또는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처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에 함유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진되었고, 특히, 20%의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처리한 경우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가장 많이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20% 에탄올 용액 스팀 처리 조건으로, 일반적인 재배를 통해 생산된 지황(CRG) 및 영양체의 기내배양을 통해 생산한 지황(KRG)을 이용하여 제조한 숙지황 내에 함유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특이하게도 영양체의 기내배양을 통해 생산한 지황(KRG)을 이용하여 제조한 숙지황(KRG-KP)에서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4. 항염 활성 확인
(1) 세포 배양
세포는 이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배양되었다(Vimala et al., 2012). RAW 264.7 대식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에서 얻었다. 세포주는 1%(v/v) 스트렙토마이신/페니실린과 10% 소태아혈청을 보충한 DMEM에서 5% CO2, 37℃에서 배양했다. 세포는 96웰 플레이트에서 3×105 세포/㎖로 접종되었다. 이후, 건지황 및 다양한 조건의 숙지황을 처리하였고, 37℃에서 24시간 동안 LPS(1㎍/㎖) 유무에 따라 추가로 배양하였다.
(2) 세포 생존능 확인
RAW 264.7 대식세포주를 1%(v/v) 페니실린과 10% 소태아혈청(FBS)을 첨가한 DMEM(Dulbecoo's Modified Eagle Medium)(Gibco, Invitrogen)에서 배양한 후,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200㎍/㎖의 지황 추출물로 처리한 후 LPS(1㎍/㎖) 존재 또는 부재하에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기질에서의 세포주 증식의 측정은 세포 계수 키트 어세이(CCK-8)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2×105 세포를 분주하고, 조건별 시료를 첨가하였다. ELISA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에 개시한 바, 건지황(CRG-U), 종래방법으로 가공한 숙지황(CRG-CP) 및 본 발명의 방법인 20% 에탄올 용액으로 스팀처리하여 제조한 숙지황(CRG-KP)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웨스턴 블랏 분석
RAW264.7 세포의 핵 및 세포질 분획은 이전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얻었다(Nam et al., 2018). Raw264.7 대식세포(2×106 세포/㎖)는 24웰 플레이트에서 자극을 위해 LPS(1㎍/㎖)를 첨가하기 전에 숙지황 추출물로 전처리하였다. 16시간 후, RIPA 버퍼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단백질은 10% SDS-PAGE에 의해 분리되고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옮겨졌다. 막은 5%(w/v)의 탈지 우유로 블로킹하였고, 블랏은 iNOS, phospho-NF-κB p65, 및 β-액틴에 대한 1차 항체(1:1,000)로 4℃에서 밤새 배양되었다. 그 후 2차 항체(1:10,000)를 막과 2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Western Blotting Luminal 시약으로 밴드를 평가하였으며 ChemiDoc MP Imaging System(Bio-Rad,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iNOS 및 phospho-NF-κB p65 발현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통계 분석]
모든 실험 데이터는 Prism (Graph Pad v 5. 03)을 이용한 Dunnett의 사후 테스트 또는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를 사용한 분산 분석(ANOVA)으로 평가되었다. 차이는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Claims (12)

  1. (1) 지황(R. glutinosa) 뿌리를 50~70℃에서 40~6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한 건조지황 뿌리를 절단하여 물에 12~20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115~125℃에서 1~4시간 동안 에탄올 용액으로 1~5회 스팀 처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50~70℃에서 40~6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용액은 15~25%(v/v)의 에탄올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황은
    (1) 0.125~0.375mg/ℓ의 CuSO4·5H2O, 18.35~55.05mg/ℓ의 FeNaEDTA, 3.1~9.3mg/ℓ의 H3BO3, 11.15~33.45mg/ℓ의 MnSO4·H2O, 0.125~0.375mg/ℓ의 Na2MoO4·2H2O, 4.3~12.9mg/ℓ의 ZnSO4·7H2O, 36.25~326.25mg/ℓ의 CaCl2, 235.63~706.89mg/ℓ의 Ca(NO3)2·4H2O, 85~255mg/ℓ의 KH2PO4, 495~4455mg/ℓ의 K2SO4, 90.27~270.81mg/ℓ의 MgSO4, 200~600mg/ℓ의 NH4NO3, 1~3mg/ℓ의 글리신, 50~150mg/ℓ의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0.25~0.75mg/ℓ의 니코틴산(Nicotinic acid), 0.25~0.75mg/ℓ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Pyridoxine HCl), 0.5~1.5mg/ℓ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Thiamine HCl), 0.1~2.0ppm의 IAA(indole-3-acetic acid) 및 0.1~2.0ppm의 IBA(indole-3-butyric acid)를 포함하는 고체 배지에, 지황의 영양체를 치상하여 줄기분화 및 다개체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형성된 다개체를, 0.125~0.375mg/ℓ의 CuSO4·5H2O, 18.35~55.05mg/ℓ의 FeNaEDTA, 3.1~9.3mg/ℓ의 H3BO3, 11.15~33.45mg/ℓ의 MnSO4·H2O, 0.125~0.375mg/ℓ의 Na2MoO4·2H2O, 4.3~12.9mg/ℓ의 ZnSO4·7H2O, 36.25~326.25mg/ℓ의 CaCl2, 235.63~706.89mg/ℓ의 Ca(NO3)2·4H2O, 85~255mg/ℓ의 KH2PO4, 495~4455mg/ℓ의 K2SO4, 90.27~270.81mg/ℓ의 MgSO4, 200~600mg/ℓ의 NH4NO3, 1~3mg/ℓ의 글리신, 50~150mg/ℓ의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0.25~0.75mg/ℓ의 니코틴산(Nicotinic acid), 0.25~0.75mg/ℓ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Pyridoxine HCl), 0.5~1.5mg/ℓ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Thiamine HCl) 및 0.1~2.0ppm의 NAA(1-naphthaleneacetic acid)를 포함하는 고체 배지에 치상하여 지황 조직배양 묘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황의 대량 생산방법으로 생산한 KIOM 지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황의 영양체는 액아, 엽아 또는 종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숙지황의 제조방법은 지황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또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숙지황의 제조방법은 지황에 함유된 이소-베르바스코사이드(iso-verbascoside)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숙지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
  8. 제7항의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숙지황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7항의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사료 첨가제.
  11. 제7항의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 조성물.
  12. 제7항의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한약재 조성물.
KR1020220129692A 2022-10-11 2022-10-11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KR20240050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692A KR20240050526A (ko) 2022-10-11 2022-10-11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692A KR20240050526A (ko) 2022-10-11 2022-10-11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526A true KR20240050526A (ko) 2024-04-19

Family

ID=9088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692A KR20240050526A (ko) 2022-10-11 2022-10-11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5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3231B (zh) 含有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更年期疾病的预防及治疗用组合物
JP2005330289A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0526A (ko)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KR20120060002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20138392A (ko) 알코올성 간손상 내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20130070616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21579B1 (ko) Kiom 법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00017A (ko) 수수로부터 분리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90041350A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1839908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050094079A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용약학조성물
KR20230034591A (ko) 쇠고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2968B1 (ko)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