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024A - 냉매 배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냉매 배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024A
KR20240050024A KR1020220129691A KR20220129691A KR20240050024A KR 20240050024 A KR20240050024 A KR 20240050024A KR 1020220129691 A KR1020220129691 A KR 1020220129691A KR 20220129691 A KR20220129691 A KR 20220129691A KR 20240050024 A KR20240050024 A KR 20240050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frigerant piping
female connector
coupled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규
변상철
윤길상
김종수
조영욱
김진욱
천성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024A/ko
Priority to PCT/KR2023/014379 priority patent/WO2024080616A1/ko
Publication of KR2024005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비드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챔버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챔버부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비드가 일면에 걸어지는 록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매 배관용 커넥터{CONNECTOR FOR REFRIGERANT PIPE}
본 발명은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각 시스템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 시스템에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며 주변으로부터 기화열을 흡수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냉각하고, 이로써 하나의 냉각 사이클이 이루어진다.
냉각 시스템에서 냉매의 유동을 위한 각종 배관이 사용되며, 상기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가 사용된다. 기존의 커넥터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양자의 결합을 위해서 암커넥터의 단부에 스웨이징, 열융착 등의 별도 가공이 필요하고 암커넥터에 오링(O-Ring)이 구비되는 구조로서 오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페이서, 리테이너 등의 추가 부품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간의 연결 및 탈착을 위한 공수가 절감되고 암커넥터의 양측에 수커넥터가 각각 연결되므로 배관 간의 연결이 용이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커넥터에 오링이 구비되므로 암커넥터 측에 오링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수가 감소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비드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챔버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챔버부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비드가 일면에 걸어지는 록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비드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암커넥터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수커넥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록킹몸체; 및 상기 록킹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암커넥터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록킹몸체의 하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선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레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의 양측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비드가 타고 넘어가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록킹몸체의 전면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비드가 걸어지는 상기 록킹몸체의 일면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몸체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록킹몸체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록킹몸체에는 살빼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살빼기부에는 인서트 사출 시 압착을 위한 압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몸체에는 상기 비드가 걸어지는 록킹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는 상기 수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수커넥터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의 축공에는 상기 수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수커넥터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내면과의 밀봉을 위한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비드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의 단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비드가 일면에 걸어지고, 상기 비드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암커넥터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3개 이상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에 상기 수커넥터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를 구성하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간의 연결 및 탈착을 위한 공수가 절감되고 암커넥터의 양측에 수커넥터가 각각 연결되므로 배관 간의 연결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커넥터에 오링이 구비되므로 암커넥터 측에 오링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수가 감소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록킹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록킹부재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서 록킹부재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록킹부재에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 냉매 모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록킹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록킹부재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암커넥터(10), 상기 암커넥터(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면에 비드(24)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커넥터(20), 및 상기 암커넥터(10)의 양측에 형성된 챔버부(18)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20)가 결합될 때, 상기 챔버부(18)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비드(24)가 일면에 걸어지는 록킹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10)의 양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20)가 결합될 때 상기 비드(24)가 일면에 걸어지고, 상기 비드(24)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암커넥터(10)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암커넥터(1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커넥터(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공(12)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암커넥터(10)는 양방향으로 수커넥터(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결합부(14)가 구비된다. 결합부(14)는 실질적으로 수커넥터(20) 및 록킹부재(3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암커넥터(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축공(12)에는 중앙 부분에 수커넥터(20)의 결합 시 수커넥터(20)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3)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13)은 축공(12)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4)는 암커넥터(10)의 양측에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4)에는 수커넥터(20)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홀(16)이 형성된다. 공구홀(16)은 암커넥터(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넓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공구홀(16)은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하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공구인 펜치의 양날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부(14)의 일측에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구홀(16)의 상단에는 각각 록킹부재(30)의 걸이후크(42)가 걸어지는 체결턱(17)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체결턱(17)에 걸이후크(42)가 걸어짐으로써 록킹부재(30)와 암커넥터(10)의 결합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구홀(16)의 체결턱(17)에는 결합이 이루어진 록킹부재(30)의 걸이후크(42)가 위치하게 되고, 작업자는 펜치의 양날부를 각각 공구홀(16)에 삽입한 상태에서 걸이후크(42)를 가압하여 록킹부재(3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록킹부재(30)는 걸이후크(42)가 체결턱(17)에 걸어짐으로써 최종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걸이후크(42)의 체결턱(17)에의 체결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펜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걸이후크(42)의 체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홀(16)이 결합부(14) 상에 형성됨으로써 록킹부재(3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30)의 고장 시 공구로 록킹부재(30)만 탈거하여 교체하고 암커넥터(10) 및 수커넥터(20)는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4)의 일측에는 록킹부재(30)가 결합될 때 삽입되는 부분인 챔버부(18)가 형성된다. 챔버부(18)는 록킹부재(30)의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록킹부재(3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챔버부(18)는 대략 결합부(14)의 상측부터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록킹부재(30)는 챔버부(18)를 통해 삽입되어 암커넥터(10)에 가결합될 수 있다. 챔버부(18)는 결합부(14)의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챔버부(18) 상에서 수커넥터(20)의 결합 시 상하로 이동되면서 수커넥터(20)가 암커넥터(10)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수커넥터(20)는 각각 암커넥터(1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수커넥터(20)는 암커넥터(10)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하기 위한 축공(22)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커넥터(20)는 암커넥터(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암커넥터(10)의 축공(12)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커넥터(20)가 암커넥터(10)의 양측에 양방향으로 결합이 되기 때문에 수커넥터(20)에 배관 또는 호스를 결합할 수 있어 적용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수커넥터(20)의 외주면에는 암커넥터(10) 및 록킹부재(30)와의 결합을 위한 비드(24)가 구비된다. 비드(24)는 수커넥터(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록킹부재(30)의 일면 즉 후면에 걸어져 축방향으로 수커넥터(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커넥터(20)의 외주면에는 암커넥터(10)와의 결합 시 밀봉을 위한 오링(26)이 구비된다. 오링(26)은 수커넥터(2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링(26)은 비드(24)보다 암커넥터(1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밀봉을 담당할 수 있다. 오링(26)이 수커넥터(20)가 아닌 암커넥터(10)에 구비되면, 오링(26)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이서, 리테이너 등의 별도 구성이 필요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오링(26)이 수커넥터(20) 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수커넥터(20)의 부품수가 감소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록킹부재(30)는 상기 수커넥터(20)가 관통하는 관통공(34)이 형성되는 록킹몸체(32), 및 상기 록킹몸체(32)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암커넥터(1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부재(30)는 암커넥터(10)에 형성된 챔버부(18)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록킹몸체(32)는 암커넥터(10)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수커넥터(20)와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커넥터(20)의 삽입을 위해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록킹몸체(32)의 일면 즉 후면에는 보강 플레이트(5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8)이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몸체(32)의 내측 즉 관통공(34)의 일측에는 수커넥터(20)가 결합될 때 비드(24)가 타고 넘어가는 가이드면(36)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이드면(36)은 록킹몸체(32)의 전면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비드(24)가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면(36)을 타고 넘어가 비드(24)는 록킹몸체(32)의 일면 즉 후면에 걸어짐으로써 축방향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비드(24)는 록킹몸체(32)의 후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록킹돌기(44)에 걸어질 수 있다.
탄성체(40)는 록킹몸체(32)의 하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탄성체(4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선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레그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탄성체(40)는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상방에서 하방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되면서 눌러질 수 있다.
탄성체(40)의 양측에는 암커넥터(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턱(17)에 걸어지는 걸이후크(4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걸이후크(42)는 암커넥터(10)와의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턱(17)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본 도면에서 걸이후크(42)는 탄성체(4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록킹몸체(32)의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록킹돌기(44)에는 비드(24)가 걸어지는데, 록킹돌기(44)는 수커넥터(20)의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부분이다.
록킹몸체(32)의 일면 즉 전면에는 살빼기부(46)가 복수개로 형성되고, 살빼기부(46) 중 적어도 일부에는 인서트 사출 시 압착을 위한 압착홀(4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록킹몸체(32)의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33)에는 보강 플레이트(50)가 안착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50)는 합성수지 재질의 록킹몸체(3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고 록킹부재(30)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50)의 록킹몸체(32)의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링 형상을 가지고, 양측에는 안착홈(33)에의 위치 고정을 위한 위치 고정부(52)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록킹부재(30)가 암커넥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냉매가 유동하게 되면 록킹부재(30)의 하부(응력 집중부) 측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력이 집중되는 비드(24)는 응력에 의해 뭉개지거나 파손이 될 수 있으며 록킹부재(30)의 접촉면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록킹몸체(32)의 일면에 금속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50)를 인서트 삽입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비드(24) 및 록킹부재(30)의 접촉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저압 및 고압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플레이트(50)를 압력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를 고압에서 사용 시에는 보강 플레이트(50)를 인서트 삽입하여 사용하고 저압에서 사용 시에는 보강 플레이트(50)를 인서트 삽입하지 않고 록킹몸체(32) 만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고압에서 커넥터를 사용 시 보강 플레이트(50)를 적용하면 비드(24) 및 록킹부재(30)의 접촉면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저압에서 커넥터를 사용 시 보강 플레이트(50)를 굳이 적용하지 않아도 비드(24) 및 록킹부재(30)의 접촉면이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보강 플레이트(50)를 인서트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저압에서 커넥터를 사용 시 보강 플레이트(50)를 인서트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서 록킹부재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결합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록킹부재(30)는 암커넥터(10)의 챔버부(18)를 통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어 가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수커넥터(20)의 결합을 위해 수커넥터(20)는 암커넥터(10)의 양측으로 삽입된다.
수커넥터(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비드(24)는 가이드면(36)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이때, 록킹부재(30)는 수커넥터(20)의 삽입력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하방으로 눌러지게 된다. 록킹부재(30)의 탄성 지지는 탄성체(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탄성체(40)는 하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지지되고 걸이후크(42)는 체결턱(17)에 걸어지게 된다.
가이드면(36)을 타고 넘어간 수커넥터(20)는 비드(24)가 록킹부재(30)의 후면 즉 록킹돌기(44)에 걸어지면서 암커넥터(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커넥터(20)의 오링(26)은 암커넥터(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진 수커넥터(20)의 양측에는 배관, 호스 등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최종 결합된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의하면, 암커넥터(10)의 단부에 별도의 스웨이징, 열융착 등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수커넥터(20)를 결합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록킹부재(30)의 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록킹부재(30)의 상단을 누르게 되고, 도면에서와 같이 비드(24)와 록킹돌기(44)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수커넥터(20)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록킹부재(30)와의 간섭이 없이 용이하게 암커넥터(10)에서 분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암커넥터(10) 및 수커넥터(20)의 결합이 록킹부재(30)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1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편의상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암커넥터(110)의 양측에 수커넥터(120)가 결합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암커넥터(110)의 양측 뿐만 아니라 상부로 더 연장되어 3부분에 수커넥터(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암커넥터(110)는 T자 형상으로 3부분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냉배 배관용 커넥터가 장착되는 차량의 경우 일부 차량에는 3군데로 분기되는 형태의 배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관 형태에 본 커넥터를 적용하게 되면 내부 부품의 교체 시 전체 배관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즉,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공조장치, 팽창밸브 등의 교체 시 수커넥터(120)가 연결된 배관 측만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암커넥터(110)는 일자 형태, T자 형태 뿐만 아니라 배관의 연결 각도에 따라 90°, 120° 등으로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암커넥터 12: 축공
13: 걸림턱 14: 결합부
16: 공구홀 17: 체결턱
18: 챔버부 20: 수커넥터
22: 축공 24: 비드
26: 오링 30: 록킹부재
32: 록킹몸체 34: 관통공
36: 가이드면 38: 안착홈
40: 탄성체 42: 걸이후크
44: 록킹돌기 50: 보강 플레이트
52: 위치 고정부

Claims (19)

  1.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비드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챔버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챔버부 상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비드가 일면에 걸어지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비드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암커넥터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수커넥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록킹몸체; 및
    상기 록킹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암커넥터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록킹몸체의 하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선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레그 형상인 냉매 배관용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양측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비드가 타고 넘어가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록킹몸체의 전면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비드가 걸어지는 상기 록킹몸체의 일면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록킹몸체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록킹몸체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몸체에는 살빼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살빼기부에는 인서트 사출 시 압착을 위한 압착홀이 형성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몸체에는 상기 비드가 걸어지는 록킹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는 상기 수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수커넥터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홀이 형성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의 축공에는 상기 수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수커넥터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의 외면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내면과의 밀봉을 위한 오링이 구비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8.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비드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수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의 단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비드가 일면에 걸어지고, 상기 비드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암커넥터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3개 이상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에 상기 수커넥터가 각각 결합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1020220129691A 2022-10-11 2022-10-11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20240050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691A KR20240050024A (ko) 2022-10-11 2022-10-11 냉매 배관용 커넥터
PCT/KR2023/014379 WO2024080616A1 (ko) 2022-10-11 2023-09-21 배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691A KR20240050024A (ko) 2022-10-11 2022-10-11 냉매 배관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024A true KR20240050024A (ko) 2024-04-18

Family

ID=9066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691A KR20240050024A (ko) 2022-10-11 2022-10-11 냉매 배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0024A (ko)
WO (1) WO20240806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3624A1 (fr) * 2002-08-13 2004-02-20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branchement d'alimentation pour un systeme a pression de fluide
DE102015003792B4 (de) * 2015-03-23 2021-08-26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Kupplungsvorrichtung
FR3060097B1 (fr) * 2016-12-12 2019-08-23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circuit hydraulique
JP6330081B1 (ja) * 2017-05-12 2018-05-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角型電線管用管継手、角型電線管と角型電線管用管継手の接続構造
JP6894815B2 (ja) * 2017-09-22 2021-06-30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パイプ用コネクタ
KR20230139604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화영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616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72166B (zh) 连接器
US5467611A (en) Two plate TXV block connector for automotive A/C system with common bolts and independently attachable sides
JP5637422B2 (ja) 冷却機械用内部熱交換器
US8146953B2 (en) Pipe joint cover structure and pipe connection method
US6896298B2 (en) Conduit coupling assembly
EP0814295B1 (en) Conduit fast connection
CN100485244C (zh) 软管连接装置
EP1961598A1 (en) Internal heat exchange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KR20240050024A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20240050134A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20240050154A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20240050155A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20200049964A (ko) 차량용 냉각수 배관의 연결기구
KR20100087971A (ko) 차량 공조장치의 냉매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WO2024080678A1 (ko) 배관용 커넥터
KR100927104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CN212377507U (zh) 管路连接组件及管路连接装置
KR100737157B1 (ko)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이중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JP2009074619A (ja) 配管継手
KR102225479B1 (ko) 축 방향 및 방사상의 탄성 밀봉 요소 및 금속간 테이퍼 새들을 구비하는 공조 피팅
JP2973000B1 (ja) キャップ
JP4241024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配管接続構造
KR0129559Y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관접속장치
KR101125446B1 (ko) 에어컨 냉매관 연결용 플랜지 구조
CN207961859U (zh) 接头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