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524A -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524A
KR20240049524A KR1020240044366A KR20240044366A KR20240049524A KR 20240049524 A KR20240049524 A KR 20240049524A KR 1020240044366 A KR1020240044366 A KR 1020240044366A KR 20240044366 A KR20240044366 A KR 20240044366A KR 20240049524 A KR20240049524 A KR 20240049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kanban
chat room
not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24004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524A/ko
Publication of KR2024004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간반보드 처리부;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간반카드 처리부; 상기 제1 전용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업무노트 처리부;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해당 업무노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업무대화방 처리부; 및 상기 제3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고,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객체의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업무객체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업무 처리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반보드 또는 간반보드 내 간반카드에 대한 업무대화방 등 업무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하여 업무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메신저는 사용자들 간의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참여되는 채팅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넷 메신저는 모바일 환경(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메신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카오톡, 라인, 위챗, 페이스북 메신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의 관리와 진행에 있어 이와 같은 인터넷 메신저가 점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간반보드(Kanban board)는 개인적 또는 조직적인 수준에서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간반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간반보드는 업무 단계 및 각 업무 단계별 하위 업무들을 평면 상에 나열하여 시각화한 보드이다. 간반보드는 상위 업무의 전체 프로세스의 각 단계들을 한 방향으로 나열하고 작업 항목 표현을 위해 카드들을 사용한다. 간반보드에 사용되는 카드를 간반카드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간반카드가 업무 단계 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따라 업무의 진행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간반(看板)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중의 하나로, 개발자들에게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적시에 상품을 출시하도록 하는 개발 방법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0928호 (2017.04.1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간반보드를 통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경과를 한눈에 파악하고, 간반카드에 연관된 고유 대화방과 업무노트에 연관된 개별 대화방을 통해 각 업무에 대한 피드백과 보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계열 순으로 공유되는 업무메시지들을 통해 업무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간반보드 처리부;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됨 -를 포함하는 간반카드 처리부; 상기 제1 전용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업무노트 처리부;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해당 업무노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업무대화방 처리부; 및 상기 제3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고,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객체의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업무객체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간반보드는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노트를 관리하기 위한 제1 통합 컨테이너,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대화방을 관리하기 위한 제2 통합 컨테이너,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제3 통합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합 컨테이너, 상기 제2 통합 컨테이너 및 상기 제3 통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간반보드 처리부는 상기 업무노트, 상기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에 대해 외부 공유가 설정되면 고유 접근 가능한 퍼머넌트 링크(permanent link)를 생성하여 해당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에 삽입하고 상기 업무노트, 상기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 각각을 상기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간반카드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각각을 통해 해당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의 조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노트 처리부는 상기 제1 전용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업무노트의 생성 기능을 제공하고, 해당 생성 기능을 통해 특정 파일이 업로드 된 경우 해당 특정 파일에 연관된 업무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간반카드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된 제2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에 관한 대화 및 상기 업무노트에 관한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업무메시지는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상기 업무객체에 관한 제1 리마인더와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상기 업무노트에 관한 제2 리마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메시지의 생성 과정에서 상기 업무객체에 접근 가능한 업무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특정 업무객체에 관해 특정 업무 참여자와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 참여자가 대화메시지를 공유하는 경우 해당 업무 참여자에게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를 상기 대화메시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대화메시지를 상기 업무메시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메시지로의 변경 과정에서 상기 해당 업무객체에 접근 가능한 업무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업무플로우에 따라 다른 업무들과의 선후관계가 설정되는 업무객체로서 상기 업무 지시자 및 상기 업무 처리자가 각각 지정되어 포함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는 업무마감기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상기 업무플로우의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상기 업무객체의 업무상태를 갱신하여 상기 업무객체의 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방법은 간반보드 처리부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단계; 간반카드 처리부를 통해,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는 단계; 업무노트 처리부를 통해, 업무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단계; 업무대화방 처리부를 통해,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단계; 및 업무객체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상기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됨 -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는 기능; 업무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기능;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기능; 및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상기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됨 -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반보드를 통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경과를 한눈에 파악하고, 간반카드에 연관된 고유 대화방과 업무노트에 연관된 개별 대화방을 통해 각 업무에 대한 피드백과 보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계열 순으로 공유되는 업무메시지들을 통해 업무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간반카드와 연관된 대화방 내에서 공유되는 업무메시지는 해당 업무 전반의 기록을 한 곳에서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고 간편한 접근을 위한 링크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반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대화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메시지의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무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 및 업무처리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은 제1 사용자 그룹, 제2 사용자 그룹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a)은 제1 사용자의 단말이다. 제2 사용자 단말(110b)은 제2 사용자의 단말, 제3 사용자 단말(110c)은 제3 사용자의 단말, 제4 사용자 단말(110d)은 제4 사용자의 단말로 각각 대응된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는 업무 참여자로서 하나 이상의 간반보드(Kanban board)에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하나의 간반보드를 통해 진행되는 업무에 대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업무 지시자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업무 처리자일 수 있다. 업무 지시자와 업무 처리자를 제외한 업무 참여자는 업무 관련자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가 참여하는 공동의 전체 프로젝트가 있고, 해당 전체 프로젝트는 간반보드를 통해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전체 프로젝트에 포함 또는 종속되는 다수의 업무 프로젝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 업무 프로젝트에 포함 또는 종속되는 하위의 업무들이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위 업무로서 해당 업무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크고 작은 업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무객체(또는 태스크)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업무객체들은 간반카드에 업로드 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간반카드를 통해 하나의 업무 프로젝트가 각각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해당 업무 프로젝트에 종속되는 개개의 업무객체들은 간반카드에 업로드 되는 업무노트를 통해 수행되고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경과나 상태 등을 단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일컬어 업무 진행 단계로 지칭할 수 있다.
업무 진행 단계는 예컨대 PDCA 사이클에 따라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보완 완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PDCA 사이클(PDCA cycle)은 업무 수행과 성과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관리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P는 플랜(plan) 수립, 즉 프로젝트(또는 업무)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D는 업무수행(do), 즉 계획이 수립된 사항에 대하여 규정, 지침, 표준 등에 따라 실제로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C는 확인(check), D의 업무 수행 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처음 설정된 목표와의 차이 여부를 점검하고 개선하거나 시정할 부분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그리고 A는 실행(act)를 의미하는데, 앞의 C 단계에서 확인된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반영하여 기존의 업무 수행 결과를 수정하거나, 업무 내용을 다시 처리하는 등 개선과 보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즉, 업무 지시자에 의하여 간반카드에 업무 지시내용이 업로드되면(Plan, P)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진행중'이 된다. 또한,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자가 업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로써 업무 처리내용을 업로드하면(Do, D)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확인중'이 된다. 이때, 업무 지시자 또는 업무 처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 관련 내용은 업무노트로서 기록되어 간반카드에 업로드될 수 있다. 또한, 업무노트에 종속되는 업무 관련 내용은 업무객체, 즉 태스크로서 생성되고 업무노트에 연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확인중' 인 태스크에 대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Check, C) 해당 태스크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태스크의 업무 진행 단계는 '종료'가 될 수 있다. 반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한 후, 업무 처리내용에 대하여 업무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무 보완 요청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무 지시자에 의해 간반카드에 업로드되면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보완중'이 된다.
업무 처리자가 업무 보완 지시의 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내용을 보완하고(Act, A), 해당 업무 보완내용이 업무 처리자에 의해 간반카드에 업로드된 경우, 또는 업로드된 업무 보완내용이 업무 지시자에 의해 확인된 경우,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보완 완료'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간반카드들은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어 간반보드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처리장치(130)는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구성원, 즉 업무 참여자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처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1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10)과 업무처리장치(13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업무처리장치(13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업무처리장치(13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또는 파일 공유자의 개인 폴더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업무처리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업무처리장치(13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는 데스크톱일 수 있고, 업무처리장치(13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일정 표시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처리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처리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업무처리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3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거나 이와 연결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업무처리장치(130)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의 프로세서(210)는 간반보드 처리부(310), 간반카드 처리부(330), 업무노트 처리부(350), 업무대화방 처리부(370), 업무객체 처리부(390) 및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상기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간반보드는 전체 프로젝트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전체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 생성되는 다양한 업무 프로젝트들을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각 업무 프로젝트는 간반카드에 대응되어 생성되고 간반보드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접근되며,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되는 간반보드 또는 간반보드 내 하나 이상의 간반카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입출력부(250)를 통해 입력받아, 간반보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 생성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이후 간반카드의 처리, 업무노트의 생성, 업무객체의 생성 및 업무대화방의 생성 등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 단계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 생성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간반보드나 간반카드와 관련된 업무에 대한 일정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제공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대화방을 생성 또는 구동 시에도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대화방을 위한 사용자 그룹의 생성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사용자 그룹의 명칭이나 사용자 그룹의 분류 기준, 구성원 등에 대한 정보, 사용자 그룹 별 매칭되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그룹 별 분류 또는 소속, 각 사용자 또는 각 사용자 그룹의 권한 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소속이나 직위 등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그룹이 달라지는 경우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소속, 부서 또는 직위에 따라 매칭되는 사용자 그룹의 식별정보를 설정하거나, 개별 사용자 각자에 대해 사용자 그룹을 지정하는 경우 지정된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각 사용자 별로 대화방, 파일, 간반카드 또는 간반보드 등에 대해 접근 또는 오픈, 편집 등이 가능한 권한에 대한 내용도 함께 설정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반보드는 일정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만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간반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에 한하여 간반보드, 간반카드 및 업무노트에 연관된 업무대화방의 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다.
만약 간반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업무대화방의 참여자로 초대되면, 해당 사용자는 해당 간반보드, 간반카드 또는 업무노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간반보드, 간반카드 또는 업무노트에 대한 접근 권한은 제한적일 수 있다. 예컨대, 업무대화방을 통한 접근만 가능하며, 특정 간반카드에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획득한 접근 권한으로는 동일한 간반보드 내 다른 간반카드로의 접근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업무노트에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획득한 접근 권한으로는 동일한 간반카드 내 다른 업무노트로의 접근은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각 사용자들이 업무의 지시나 처리와 관련하여 간반보드에 업로드하는 각종 문서, 데이터, 자료(이하 업무 자료라 지칭)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로드된 해당 업무 자료와 관련하여 업무대화방이 생성된 경우, 대화방 정보가 삽입된 업무 자료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 자료나 간반보드와 관련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체 프로젝트 생성 요청 신호나 기한 설정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와 관련하여 생성된 업무대화방이 하나 이상인 경우, 연관된 업무대화방들의 목록(또는 리스트)을 해당 간반보드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에 대한 업무대화방의 목록 등을 제공할 때, 하이퍼링크 정보로서 해당 업무대화방으로의 접근 경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는 다수의 간반카드들과 연관되어 생성되는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간반카드들과 연관되어 생성된 업무노트들은 제1 통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통합 관리될 수 있고, 업무대화방들과 업무객체들 또한, 제2 및 제3 통합 컨테이너에 각각 삽입되어 통합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들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큐레이션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간반보드와 연관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또는 업무객체가 조회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에 외부 공유가 설정되면 고유 접근 가능한 퍼머넌트 링크(permanent link)를 생성하여 삽입하고 각각을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들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머넌트 링크는 외부에서 간반카드를 통한 간접적인 접근에 의하지 않고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에 직접적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간반카드는 해당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들에 대해서만 접근이 허용되도록 권한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않는 외부인의 경우 간반카드로의 접근 권한이 없다면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로의 개별적인 접근 역시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에 외부 공유가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외부 공유가 설정된 경우 외부 공유를 위한 퍼머넌트 링크가 생성되어 해당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노트는 간반보드의 DO 탭(또는 제1 통합 컨테이너)을 통해 공유될 수 있고, 업무 참여자는 DO 탭에서 해당 업무노트 선택시 바로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은 간반보드의 CHECK 탭(또는 제2 통합 컨테이너)을 통해 공유될 수 있고, 업무 참여자는 CHECK 탭에서 해당 업무대화방 선택시 바로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업무객체는 간반보드의 ACT 탭(또는 제3 통합 컨테이너)을 통해 공유될 수 있고, 업무 참여자는 ACT 탭에서 해당 업무객체 선택시 바로 접근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해당 동작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업무노트 처리부(350), 업무대화방 처리부(370) 및 업무객체 처리부(390)와 연동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의 동작에 관한 상기의 설명은 다른 구성들, 즉 간반카드 처리부(330), 업무노트 처리부(350), 업무대화방 처리부(370) 및 업무객체 처리부(3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할 수 있다. 즉,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간반카드의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의 기본적인 관리 기능과 함께 간반카드와 연관된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고 처리할 수 있다. 간반카드 처리부(330)에 의해 생성된 간반카드는 간반보드에 삽입되어 업무 프로젝트의 수행 및 기록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생성되는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을 전용하여 관리하는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업무노트는 제1 전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고, 업무대화방은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업무객체는 제3 전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간반카드에 업무 지시내용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되면 업무 지시내용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된 간반카드를, 업무 지시내용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되기 전의 간반카드와 차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간반카드의 표시 상태만으로 새로운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 프로젝트가 신규로 생성될 때마다 신규의 간반카드를 간반보드에 삽입할 수 있다. 즉, 간반카드는 업무 프로젝트에 대응되어 생성되고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간반보드에 삽입된 간반카드들은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업무 진행 단계는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및 보완 완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신규의 간반카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간반보드 처리부(310)로부터 간반보드 생성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는 업무 참여자들 간의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하기 위한 업무노트, 업무 참여자들 간의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하기 위한 업무객체 및 해당 간반카드 또는 업무노트와 연관되는 복수의 업무대화방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간반카드는 복수의 업무노트들, 업무대화방들 및 업무객체들을 각각 리스트 형태로 관리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전용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대화방들은 해당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즉, 간반카드는 업무 프로젝트마다 진행 과정 전반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 내에서는 전체 프로젝트의 업무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들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큐레이션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또는 업무객체가 조회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노트에 대해 시계열 또는 중요도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대화방에 대해 특정인과의 일대일 업무 대화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객체에 대해 업무 지시자 또는 업무 처리자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설정을 직접 수신하여 전용 컨테이너들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업무노트 처리부(350)는 제1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대화방 또는 제1 전용 컨테이너(또는 간반카드의 DO 탭)내에서 제공되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업무노트는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의 제1 통합 컨테이너에 추가되어 전체 프로젝트의 업무 참여자들 간에 기본적인 업무내용으로서 공유될 수도 있다. 업무노트에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이 포함될 수 있고, 정보 전달 목적의 간단한 메모 등이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업무노트는 파일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업무 참여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업로드 된 파일 자체도 독립적인 업무노트로서 정의되어 간반카드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노트의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업무 참여자에 의해 파일 자체가 업로드 된 경우 해당 파일은 업무노트로 변환되어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노트 처리부(350)는 업무대화방에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를 포함하는 업무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대화방은 기본적으로 간반보드의 제2 통합 컨테이너를 통해 공유되는 업무대화방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업무노트에 관한 기록은 간반카드와 고유하게 연결되는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메시지로서 공유될 수 있으며, 만약 외부 공유가 설정되어 업무노트에 퍼머넌트 링크가 삽입된 경우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업무메시지에도 해당 퍼머넌트 링크가 삽입될 수 있다. 해당 업무 메시지가 공유되는 업무대화방은 제2 통합 컨네이너를 통해 간반카드의 외부로 공유되므로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도 업무메시지의 퍼머넌트 링크를 통해 해당 업무노트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에 해당 업무노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제1 업무대화방은 특정 업무노트와 고유하게 연결되는 업무대화방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하나의 간반카드 내에서 신규의 업무노트가 생성될 때마다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삽입할 수 있고, 업무노트와 연관된 업무 참여자들은 제1 업무대화방에 참여하여 해당 업무노트 관련 대화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1 업무대화방은 업무노트에 관한 대화뿐만 아니라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으며, 업무객체에 관한 생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노트와 연관되어 생성되는 업무객체(또는 태스크)는 제1 업무대화방 내에서 제공되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업무노트와 연관되는 다수의 업무객체들에 관한 기록(생성, 수정 및 삭제 포함)은 업무메시지로서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업무메시지에는 업무객체에 관한 제1 리마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간반카드가 생성되면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된 제2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에 업무 프로젝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노트에 관한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제2 업무대화방은 특정 간반카드와 고유하게 연결되는 업무대화방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하나의 간반카드 내에서 하나의 제2 업무대화방을 제공할 수 있고,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 참여자들은 제2 업무대화방에 참여하여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모든 활동들에 관한 정보를 업무메시지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업무대화방은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되는 노트기록, 대화 내용, 태스크기록 등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메시지의 조회를 통해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모든 활동들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계열순, 업무 처리자 또는 업무 지시자 별로 정렬된 메시지 기록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업무메시지에는 업무노트에 관한 제2 리마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업무메시지의 생성 과정에서 업무객체에 바로 접근 가능한 업무링크를 생성하여 해당 업무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업무메시지는 해당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될 수 있으며, 해당 업무대화방에 참여한 업무 참여자들은 해당 업무메시지에 포함된 업무링크를 통해 별도의 접근 동작에 의하지 않더라도 해당 업무객체에 직접 접근하여 관련 업무 내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업무대화방에 참여하여 업무링크가 포함된 업무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업무객체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는 경우라면 해당 업무링크를 통한 접근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링크가 포함된 업무메시지는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으며,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되지 않은 업무 참여자들의 경우 제2 업무대화방에 대한 접근과 별개로 해당 업무객체로의 접근은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특정 업무객체에 관해 특정 업무 참여자와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삽입된 일대일 업무대화방은 간반카드와 연관되는 제2 업무대화방 및 업무노트와 연관되는 제1 업무대화방과 함께 간반카드의 CHECK 탭에서 리스트 형태로 조회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기본적으로 간반카드 또는 업무노트가 신규로 생성될 때마다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업무 참여자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에 따라 제한된 업무 참여자들만이 선택적으로 참여하는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대일 업무대화방은 간반보드의 제2 통합 컨테이너에 추가될 수 있으며, 간반카드의 제2 전용 컨테이너와 별개로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참여자가 대화메시지를 공유하는 경우 해당 업무 참여자에게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를 대화메시지에 표시함으로써 업무메시지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업무대화방은 간반카드에 고유하게 생성되는 업무대화방에 해당하며 제1 업무대화방과는 달리 해당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업무 참여자들에게 접근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업무대화방에서 공유되는 대화메시지는 업무객체의 참여 여부에 상관없이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도 공유될 수 있다. 다만 대화메시지는 필요에 따라 어떠한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 참여자가 작성한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대화메시지를 작성한 업무 참여자와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를 대화메시지에 표시함으로써 업무메시지로 자동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대화메시지를 작성한 업무 참여자와 연관된 업무객체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에 각 업무객체를 함께 표시하여 하나의 업무메시지로 전환하거나 또는 대화메시지에 각 업무객체를 개별로 표시하여 각각의 업무메시지로 전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대화메시지에 업무객체를 표시하여 업무메시지로 전환할 수 있으며, 대화메시지에 표시되는 업무객체는 업무객체를 식별하는 객체식별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업무메시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해당 업무객체에 접근 가능한 업무링크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된 대화메시지는 업무링크가 포함된 업무메시지로 전환될 수 있고,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다른 업무 참여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업무객체로의 직접적인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업무대화방을 통해 파일이 업로드 되면 업무 참여자의 제어에 따라 파일을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로서 처리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파일 업로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업무대화방 내에 제공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는 이를 통해 파일 업로드와 함께 해당 파일의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업무객체 처리부(390)는 제3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의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업무객체 처리부(390)는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객체의 생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 참여자들은 제1 업무대화방에 참여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객체(또는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업무객체는 해당 업무노트 및 해당 간반카드와 각각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의 제3 통합 컨테이너에 추가되어 전체 프로젝트의 업무 참여자들 간에 지시적인 업무내용으로서 공유될 수도 있다.
한편, 업무객체에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자에게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처리부(390)는 업무 지시자 및 업무 처리자 간의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는 업무마감기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업무마감기한은 업무개시일 및 업무마감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업무객체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들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업무플로우의 다른 업무들과의 선후관계에 따라 업무마감기한(또는 업무마감일)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업무객체는 업무 처리를 지시한 업무 지시자와 업무 수행을 처리할 업무 처리자가 각각 지정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처리부(390)는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업무상태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는 업무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대응되어 생성된 업무객체는 업무상태로서 새로운, 하는중, 다했음 및 확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업무상태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및 보완 완료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업무객체 처리부(390)는 업무객체의 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진행 경과에 따라 업무객체의 업무상태를 갱신하여 업무객체의 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간반카드의 제3 전용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객체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각 업무객체에 접근하여 개별 업무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반보드의 제3 통합 컨테이너를 통해 전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객체들의 현황과 업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 처리부(310)를 통해 전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10). 이때, 간반보드는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들은 각각 DO, CHECK 및 ACT 탭에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업무처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사용자 신호에 응답하여 업무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단계 S420), 간반카드 처리부(330)를 통해 간반보드에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할 수 있다(단계 S420). 이때, 간반카드는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을 전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들은 각각 DO, CHECK 및 ACT 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를 통해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된 제2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에 업무 프로젝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노트에 관한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후,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노트 처리부(350)를 통해 제1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를 통해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에 업무노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440 및 S450)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객체 처리부(390)를 통해 제3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에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의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업무객체는 업무노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제1 업무대화방 내에서 생성됨으로써 해당 업무노트와의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500)를 통해 업무 진행 상태(510)에 따른 간반카드(530)들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반카드(530)는 업무 진행 상태(510)에 따라 구분되어 배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당 부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마감기한 및 업무플로우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행중'인 간반카드(530)에는 업무 지시내용이 업로드되고, '확인중'인 간반카드(530)에는 업무 처리내용이 업로드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자 또는 업무 지시자가 간반카드(53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해당 간반카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반카드(530)와 연관된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WRITE, UPLOAD, DELETE 및 CREAT CHAT-ROOM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간반카드(530)의 상세화면으로 접근할 수 있고, 해당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로 접근할 수도 있다. 또한, 업무 지시자의 경우 간반카드(530)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처리내용에 대한 업무 보완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업무 지시자는 보다 구체적인 지시를 위해 특정 업무노트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보완 지시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업무 보완 지시에 관한 새로운 업무객체가 생성되어 해당 간반카드(530)에 업로드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업무객체의 생성으로 갱신된 간반카드(530)는 새로운 이슈가 없는 다른 간반카드들에 비하여 간반보드(500) 상에서 굵기, 밝기, 색상 등이 차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간반보드(500)는 간반카드(530)들이 보여지는 간반카드 영역(520) 이외에 다양한 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반보드(500)는 D(DO), C(CHECK) 및 A(ACT)탭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탭에는 간반보드(500)에 속한 업무노트 리스트(또는 파일 리스트), 업무대화방 리스트 및 업무객체 리스트(또는 태스크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500)의 D, C 및 A 탭은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즉, D 탭에서 조회 가능한 업무노트들은 제1 통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고, C 탭에서 조회 가능한 업무대화방들은 제2 통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A 탭에서 조회 가능한 업무객체들은 제3 통합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각 탭에서 표시되는 리스트 상에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또는 태스크) 각각에는 연관된 간반카드(530)로 연결되는 링크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스트 상에서 특정 개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간반카드(530)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에는 외부 공유를 위한 퍼머넌트 링크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리스트 상에서 해당 개체를 선택하여 직접 접근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반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에 신규 업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530)를 생성하여 삽입할 수 있다. 생성된 간반카드(530)는 간반보드 상에 시각화 되어 표시될 수 있고, 업무 참여자는 특정 간반카드(530)를 선택하여 상세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간반카드(530)의 상세화면에는 플랜 영역(600), DO 탭(610), CHECK 탭(620) 및 ACT 탭(6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DO 탭(610)은 제1 전용 컨테이너, CHECK 탭(620)은 제2 전용 컨테이너, ACT 탭(630)은 제3 전용 컨테이너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랜 영역(600)은 해당 간반카드(530)에 관한 간단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 영역(600)에는 간반카드(530)의 업무내용, 업무수행기한, 참여자, 간반보드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530)는 각 탭을 통해 조회 정보를 리스트(640)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O 탭(610)은 업무노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노트 리스트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등록된 업무노트들에 대한 목록에 해당할 수 있다. 업무노트 리스트는 업무노트 뿐만 아니라 업무노트로서 등록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HECK 탭(620)은 업무대화방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리스트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생성된 업무대화방들에 대한 목록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대화방 리스트에는 간반카드(530)에 고유하게 연관되는 제2 업무대화방, 업무노트 별로 생성되는 제1 업무대화방 및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에 따라 생성되는 일대일 업무대화방이 포함될 수 있다.
ACT 탭(630)은 통해 업무객체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객체 리스트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생성된 업무객체들에 대한 목록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 리스트는 업무객체들을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객체들은 업무객체 리스트 상에서 새로운(S1), 하는중(S2), 다했음(S3) 및 확인(S4)으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530)의 각 탭을 통해 고유 인터페이스(650)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인터페이스(650)는 해당 탭에서 관리하는 개체들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인터페이스(650)는 개체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을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탭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은 업무메시지로서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O 탭에서 업무노트가 생성되는 경우 업무노트 생성에 관한 업무메시지가 생성되어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ACT 탭에서 업무객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업무객체 생성에 관한 업무메시지가 생성되어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대화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를 통해 특정 간반카드(530)에 대응하여 하나의 제2 업무대화방(710)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간반카드 처리부(330)에 의해 간반보드 상에 신규의 간반카드(530)가 생성되는 경우 업무대화방 처리부(370)는 해당 간반카드(530)에 연관되는 제2 업무대화방(710)을 생성하여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삽입할 수 있다.
제2 업무대화방(710) 내에서는 노트기록, 파일업로드 및 대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업무대화방(710) 내에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독립적인 인터페이스(720)가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업무대화방(710)은 간반카드(530)와 연관된 모든 활동에 관한 기록을 대화방 내의 업무메시지들로서 시계열순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 프로젝트에 관한 진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a에서, 업무 보완 지시는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입력된 업무 보완 지시는 해당 간반카드(530)에 실시간으로 자동 업로드 되어,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한 업무 진행이 해당 제2 업무대화방(710)과 연관되어 있는 간반카드(530)에 실시간으로 공유 및 동기화될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는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업무 보완 지시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업무 보완 지시 이후의 업무 보완내용 역시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입력된 후 간반카드(530)에 업로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행중, 확인중의 상태에 있는 간반카드(530)에 대해서도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처리내용이 입력된 후 연관된 간반카드(530)에 업로드될 수 있다.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업무 보완 지시와 업무 보완내용이 모두 입력된 후, 업무 처리자가 업무 보완내용을 확인하거나 승인하면, 동일한 내용이 해당 간반카드(530)에 반영되고, 해당 간반카드(530)는 보완 완료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b에서, 업무처리장치(130)는 제1 업무대화방(730)을 통해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업무대화방(730)을 통해 공유된 업무메시지는 해당 간반카드(530)에 실시간으로 자동 업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업무노트는 간반카드(530)의 DO 탭을 통해 리스트 형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제1 업무대화방(730)은 업무노트(740)마다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업무노트(740) 별로 제1 업무대화방(730)이 고유하게 연결된 결과 해당 업무노트(740)에 관한 기록은 업무메시지로 생성되어 제1 업무대화방(730)을 통해 업무 참여자에게 공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메시지의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기본적으로 간반카드(530)마다 하나의 제2 업무대화방(710)을 제공할 수 있고, 업무노트(740)마다 하나의 제1 업무대화방(730)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노트(740)가 다수 생성되는 경우 다수의 제1 업무대화방(730)들이 생성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제1 업무대화방(730) 및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해당 업무 프로젝트 및 해당 업무노트(740)와 연관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객체(또는 태스크)가 생성된 경우 해당 동작과 연관된 업무메시지(810)가 생성되어 제1 업무대화방(730)을 통해 표시될 수 있고, 업무노트(740)가 생성된 경우 해당 동작과 연관된 업무메시지(830)가 생성되어 제2 업무대화방(71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업무노트(740) 및 업무객체는 간반카드(530)의 제1 및 제3 전용 컨테이너에 각각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고, DO 탭 및 ACT 탭에서 각각 조회될 수 있다.
한편, 업무객체 또는 업무노트(740)의 생성은 제1 업무대화방(730) 또는 제2 업무대화방(710)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간반카드(530)의 DO 탭 또는 ACT 탭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관련 동작에 관한 업무메시지(810, 830)가 해당 업무대화방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 내의 업무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업무 프로젝트 또는 각 업무의 흐름을 시계열 순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전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이전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간반보드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간반보드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반보드나 간반카드를 통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UI로서, 해당 UI에는 업무대화방 생성, 대화방 참여자 지정, 간반보드의 단순 공유, 간반보드와 연관된 업무 자료 입력, 업무대화방의 조회나 자료 열람 및 자료 첨부 등의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명령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지시자 단말(110a)은 업무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 지시자 단말(110a)은 업무처리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간반보드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에 대응하는 제2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업무대화방은 업무노트에 대응하는 제1 업무대화방과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제2 업무대화방은 간반카드마다 고유하게 생성되어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 프로젝트의 업무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업무대화방의 생성 시기는 간반카드가 생성되는 시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가 생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별도의 요청 신호가 있을 때까지 제2 업무대화방의 생성을 대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업무대화방의 생성 전에 간반보드나 간반카드에는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처리내용이 이미 업로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업무대화방 생성 이후 업무 지시자 단말(110a), 업무 처리자 단말1(110b) 및 업무 처리자 단말2(110c) 등 업무 참여자들이 제2 업무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이후, 업무 지시자 단말(110a)은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지시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지시내용의 입력을 업무노트의 생성에 관한 요청 신호로 수신하여 업무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노트가 생성된 경우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이에 관한 업무메시지 1을 공유할 수 있다(S910).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노트의 생성에 따라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업무대화방에는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업무 참여자들만 참여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업무대화방에는 업무 지시자 단말(110a)과 업무 처리자 단말2(110c)의 업무 참여자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업무 처리자 단말1(110b)의 업무 참여자는 대화방 참여가 제한될 수 있다.
업무 지시자에 의해 입력된 업무 지시내용은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처리자 단말2(110C)의 업무 참여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해당 업무 참여자는 해당 업무 수행을 위해 업무객체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해당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업무객체는 간반카드에 업로드되어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의 생성에 따른 업무메시지 2가 생성되어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S930).
또한, 이후 업무의 진행에 따라 업무 처리내용은 업무 처리자 단말2(110c)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업무객체에 반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업무메시지가 생성되어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이후, 업무 지시자는 업무 처리자로부터 업로드된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업무 보완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업무 보완요청은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업무 지시자가 업무 보완요청을 입력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보완요청을 간반카드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무 보완요청을 업무 처리자 단말2(110c)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 보완요청에 기한이 정해져 있는 경우, 즉 업무 보완요청에 업무보완기한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보완 리마인더(또는 제1 리마인더)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보완기한이 임박하면 업무 보완 리마인더를 생성하여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처리자 단말2(110c)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업무 보완요청과 업무 보완 리마인더를 업무 처리자 단말2(110c)을 통해 제공받은 업무 처리자는, 업무 보완요청에 따라 업무 지시내용을 수정, 편집, 변경하거나 재작성하여 업무 보완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업무 보완내용은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처리자 단말2(110c)로부터 업무 보완내용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업무 보완내용을 해당 간반카드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업무 지시내용에 업무수행기한이 정해져 있는 경우, 즉 업무노트와 연관된 업무수행기한이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기한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업무노트의 갱신(예를 들어, 업무노트 기록)이 없는 경우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수행 리마인더(또는 제2 리마인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업무노트는 업무수행기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업무노트별 업무수행기한은 간반카드(plan)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수행기한이 임박하거나 또는 업무수행기한을 경과한 경우 업무 수행 리마인더를 생성하여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메시지로서 공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업무 참여자들에게 업무노트와 연관된 업무 처리의 긴급성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 및 간반카드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및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tool)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 및 간반카드 각각에 대한 대쉬보드(dash board)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간반보드의 대쉬보드를 통해서는 간반보드에 속한 간반카드(PLAN), D(DO), C(CHECK) 및 A(ACT)에 대한 통계분석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반카드의 대쉬보드를 통해서는 해당 간반카드(P)에 대한 분석정보와 해당 간반카드에 속한 D, C 및 A에 대한 통계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업무처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업무처리장치
500: 간반보드 510: 업무 진행 상태
520: 간반카드 영역 530: 간반카드
600: 플랜 영역 610: DO 탭
620: CHECK 탭 630: ACT 탭
640: 리스트 650: 인터페이스
710: 제2 업무대화방 720: 인터페이스
730: 제1 업무대화방 740: 업무노트
810, 830: 업무메시지

Claims (15)

  1.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간반보드 처리부;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됨 -를 포함하는 간반카드 처리부;
    상기 제1 전용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업무노트 처리부;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해당 업무노트에 관한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업무대화방 처리부; 및
    상기 제3 전용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고,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객체의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업무객체 처리부;를 포함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반보드는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노트를 관리하기 위한 제1 통합 컨테이너,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대화방을 관리하기 위한 제2 통합 컨테이너,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제3 통합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합 컨테이너, 상기 제2 통합 컨테이너 및 상기 제3 통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반보드 처리부는
    상기 업무노트, 상기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에 대해 외부 공유가 설정되면 고유 접근 가능한 퍼머넌트 링크(permanent link)를 생성하여 해당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에 삽입하고 상기 업무노트, 상기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 각각을 상기 제1 내지 제3 통합 컨테이너를 통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반카드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각각을 통해 해당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의 조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노트 처리부는
    상기 제1 전용 컨테이너를 통해 상기 업무노트의 생성 기능을 제공하고,
    해당 생성 기능을 통해 특정 파일이 업로드 된 경우 해당 특정 파일에 연관된 업무노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간반카드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된 제2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에 관한 대화 및 상기 업무노트에 관한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메시지는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상기 업무객체에 관한 제1 리마인더와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상기 업무노트에 관한 제2 리마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메시지의 생성 과정에서 상기 업무객체에 접근 가능한 업무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메시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특정 업무객체에 관해 특정 업무 참여자와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전용 컨테이너에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제2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 참여자가 대화메시지를 공유하는 경우 해당 업무 참여자에게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를 상기 대화메시지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대화메시지를 상기 업무메시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메시지로의 변경 과정에서 상기 해당 업무객체에 접근 가능한 업무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메시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업무플로우에 따라 다른 업무들과의 선후관계가 설정되는 업무객체로서 상기 업무 지시자 및 상기 업무 처리자가 각각 지정되어 포함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는 업무마감기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상기 업무플로우의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상기 업무객체의 업무상태를 갱신하여 상기 업무객체의 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14. 업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업무처리방법에 있어서,
    간반보드 처리부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단계;
    간반카드 처리부를 통해,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는 단계;
    업무노트 처리부를 통해, 업무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단계;
    업무대화방 처리부를 통해,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단계; 및
    업무객체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상기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됨 -를 포함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방법.
  15.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간반보드에 특정 업무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삽입하는 기능;
    업무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특정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 또는 정보 전달 목적의 메모를 공유하는 기능;
    상기 업무노트가 생성되면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제1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상기 해당 업무노트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대화 및 업무메시지를 공유하는 기능; 및
    상기 제1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간반카드에 등록하여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상기 업무 참여자들 간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및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를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간반카드는 상기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상기 업무객체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 상기 제1 내지 제3 전용 컨테이너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관리를 위해 상기 간반카드의 DO, CHECK 및 ACT 탭들에 각각 대응됨 -를 포함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0240044366A 2021-03-17 2024-04-01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40049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4366A KR20240049524A (ko) 2021-03-17 2024-04-01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839A KR20220129917A (ko) 2021-03-17 2021-03-17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0240044366A KR20240049524A (ko) 2021-03-17 2024-04-01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839A Division KR20220129917A (ko) 2021-03-17 2021-03-17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524A true KR20240049524A (ko) 2024-04-16

Family

ID=834525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839A KR20220129917A (ko) 2021-03-17 2021-03-17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0240044366A KR20240049524A (ko) 2021-03-17 2024-04-01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839A KR20220129917A (ko) 2021-03-17 2021-03-17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299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7-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7-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17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05452A (zh) 工作流程管理裝置及工作流程管理方法
US11900326B2 (en)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US9928482B2 (en) Integrating private metadata into a collaborative environment
JP7178060B2 (ja) 看板基盤の業務処理装置及び業務処理方法
JP6927537B2 (ja) チャットルームベースのメッセージ客体処理装置
US2022009251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work chat room
KR102560784B1 (ko) 태스크 트래킹 방법 및 시스템
EP32824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ractive action log in a collaborative workspace
US20210374678A1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US11750549B2 (en) File-related task management device
US11880794B2 (en) Smart-tag 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KR20240049524A (ko)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567094B1 (ko)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KR102541285B1 (ko)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20156362A (ko)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128763A (ko) 간반 기반의 보드대화방을 이용한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20155057A (ko)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102624933B1 (ko) 업무일정 리마인더 장치
US20230306335A1 (en) Approval object-based work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20210147585A (ko)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67983A (ko)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102660571B1 (ko) 업무 대화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40035241A (ko) 카드대화방 기반의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40155A (ko) 업무 일정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30141222A (ko) 대화방 묶음 기능을 이용한 대화방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