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928A -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928A
KR20170040928A KR1020150140199A KR20150140199A KR20170040928A KR 20170040928 A KR20170040928 A KR 20170040928A KR 1020150140199 A KR1020150140199 A KR 1020150140199A KR 20150140199 A KR20150140199 A KR 20150140199A KR 20170040928 A KR20170040928 A KR 2017004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nban
mind map
content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원
도경태
김윤영
권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928A/ko
Publication of KR2017004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09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INKING BETWEEN MINDMAP AND KANBA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인드맵(mindmap)과 칸반(Kanban) 간의 연계 및 양자 간의 유기적인 변환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마인드맵(mindmap)은 마치 지도를 그리듯이 정보를 정리해 나가는 방법으로서, 주로 아이디어 내지 생각을 정리, 확장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칸반(kanban)은 주로 특정 업무 내지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스케줄, 진행 상태 및 관련 정보들을 카드와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
마인드맵과 칸반은 서로 상이한 특성 및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업무 또는 프로젝트의 진행 시 마인드맵과 칸반을 모두 활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업무 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담당자는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해당 업무 또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아이디어들을 발전시키고, 도출된 아이디어의 진행 상황은 칸반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저작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작 도구들은 마인드맵 또는 칸반 각각의 본래 기능에만 집중할 뿐, 마인드맵 또는 칸반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마인드맵을 통하여 도출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할 경우 각각의 토픽 내지 카드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3622 호 (2014. 04. 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인드맵과 칸반 간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자 간의 전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상의 상위 노드 정보 및 하위 노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칸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칸반 상에서의 소속 리스트 정보 및 상기 소속 리스트 내의 시퀀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칸반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리스트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위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마인드맵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연결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상의 상위 노드 정보 및 하위 노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칸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칸반 상에서의 소속 리스트 정보 및 상기 소속 리스트 내의 시퀀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칸반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리스트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위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마인드맵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연결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단계들을 컴퓨터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인드맵과 칸반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콘텐트(토픽)를 중심으로 마인드맵과 칸반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전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에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에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과 칸반 사이의 동적 연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 시스템(100)은 입력부(102), 데이터 저장부(104) 및 변환부(10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02), 데이터 저장부(104) 및 변환부(1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와 연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내의 프로세서는 각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02)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구성하고, 콘텐트를 입력하기 위한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마인드맵은 하나 이상의 노드가 트리 구조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도시된 마인드맵에서 각 노드에 표시된 “생각”, “확장생각1”, “토픽1”, “토픽2” 등은 마인드맵을 구성하는 콘텐트를, 각 노드를 연결하는 선은 각 콘텐트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확장 생각1”은 “생각”을 상위 노드로, “토픽1”, “토픽2” 및 “토픽3”을 하위 노드로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칸반은 하나 이상의 리스트로 구성되며, 각 리스트마다 하나 이상의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칸반의 경우, “리스트1”, “리스트2”, “리스트3”의 3개의 리스트로 구성되며, 이중 “리스트1”은 “토픽1”, “토픽5”의 2개의 카드를 포함한다. 또한, “리스트2”는 “토픽2”, “토픽4”의 2개의 카드를, “리스트3”는 “토픽3”으로 표시된 1개의 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저장부(104)는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 정보는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는,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상의 상위 노드 정보 및 하위 노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칸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칸반 상에서의 소속 리스트(list) 정보 및 소속 리스트 내의 시퀀스(seque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104)의 데이터 저장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부(104)는 콘텐트 및 변환 정보를 복수 개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콘텐트 테이블(402), 마인드맵 연결 정보 테이블(404) 및 카드 테이블(406)을 포함하는 3개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 및 변환 정보를 저장한다.
콘텐트 테이블(402)은 콘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콘텐트는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구성하는 내용물을 의미한다. 즉, 콘텐트 테이블(402)에 포함된 콘텐트는 마인드맵 상에서의 노드 내지 토픽, 칸반 상에서의 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콘텐트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또는 영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트 테이블(402)은 콘텐트 아이디, 카드 아이디 및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콘텐트 아이디는 콘텐트 테이블(402)에 저장되는 각 콘텐트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값으로서, 콘텐트 테이블(402)의 기본키(Primary Key; PK)가 된다. 또한 카드 아이디는 후술할 카드 테이블(406)을 참조하기 위한 외래키(Foreign Key; FK)로 이용된다.
마인드맵 연결 정보 테이블(404)은 콘텐트 테이블(402)에 저장된 각 콘텐트의 마인드맵 상에서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마인드맵 연결 정보 테이블(404)은 콘텐트 아이디를 외래키(FK)로 하여 콘텐트 테이블을 참조하며, 각 콘텐트 별 부모 노드 아이디 및 자식 노드 아이디를 저장한다.
카드 테이블(406)은 콘텐트 테이블(402)에 저장된 각 콘텐트의 칸반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카드 테이블(406)은 카드 아이디, 리스트 아이디 및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카드 아이디는 카드 테이블(406)의 기본키(PK)이며, 리스트 아이디는 각 콘텐트의 칸반 상에서의 리스트 정보를, 시퀀스는 해당 리스트 내에서의 정렬 순서를 각각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칸반에서 “토픽 4” 는 리스트 2의 2번째 항목에 해당하므로, “토픽 4”의 리스트 정보 및 시퀀스는 각각 “리스트 2”, “2”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트 테이블(402)에 저장된 레코드와 카드 테이블(406)에 저장된 레코드는 서로 1:1 대응 관계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104)의 데이터 저장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콘텐트 테이블(502) 및 마인드맵 연결 정보 테이블(504)을 포함하는 2개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트 및 변환 정보를 저장한다.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 모델의 경우 카드 테이블(406)을 별도로 두지 않고 리스트 아이디 및 시퀀스를 콘텐트 테이블에 통합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콘텐트 테이블(502)은 콘텐트 아이디, 콘텐트, 리스트 아이디 및 시퀀스를 포함하며, 별도로 카드 테이블(406)을 참조하지 않으므로 카드 아이디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를 제외하고는, 도 5의 실시예는 도 4에서 설명한 각 항목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이에 대해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변환부(106)는 데이터 저장부(104)에 저장된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콘텐트의 출력 형태를 마인드맵 또는 칸반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최초에 마인드맵 또는 칸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콘텐트를 구성하며, 이후 변환부(106)를 통해 마인드맵 또는 칸반 간의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부(106)는 마인드맵에 포함된 노드들 중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콘텐트들만을 대상으로 칸반으로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변환부(106)는 마인드맵에 포함된 전체 노드를 대상으로 칸반과의 상호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마인드맵에 포함된 노드들 중 리프 노드(leaf node)에 해당하는 콘텐트들만을 대상으로 칸반으로의 상호 변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06)에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도 6과 같은 형태의 마인드맵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하자. 변환부(106)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게 된다.
한편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생성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할 경우, 해당 마인드맵에 포함된 콘텐트들은 마인드맵 연결 정보만을 가질 뿐 칸반 위치 정보(리스트 정보 및 시퀀스)는 비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마인드맵과 칸반 간에 변환 과정이 수행된 이후 마인드맵에 새로 추가된 콘텐트의 경우에도 마인드맵 연결 정보만을 가질 뿐 칸반 위치 정보는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변환부(106)는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마인드맵의 리프 노드들 중 “토픽6”, “토픽7” 및 “토픽8”에 해당하는 노드가 칸반 미등록 콘텐트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 경우, 변환부(10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ITEM BOX)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 리스트업된 콘텐트들을 칸반 리스트 중 적절한 리스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를 칸반 리스트 중 하나로 드래그 앤 드롭 함으로써 해당 콘텐트를 칸반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변환부(106)는 이동된 콘텐트의 칸반 위치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변환부(106)는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별도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반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리스트에 배치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리스트1”이 디폴트 리스트가 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디폴트 리스트에 리스트업된 콘텐트들을 다른 리스트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변환부(106)는 이동된 콘텐트의 칸반 위치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마인드맵 화면 상에서 직접 각 노드들을 칸반 상의 리스트와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인드맵 상의 특정 노드를 선택할 경우, 연계 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노드의 주변에 선택 가능한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 (1002)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출력된 메뉴(1002)에 나열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마인드맵상의 각 노드를 칸반과 연계시킬 수 있으며, 변환부(10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칸반 위치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06)에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도 11과 같은 형태의 칸반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하자. 변환부(106)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게 된다.
한편,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생성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할 경우, 해당 칸반에 포함된 콘텐트들은 칸반 위치 정보만을 가질 뿐 마인드맵 연결 정보(상위 노드 정보 및 하위 노드 정보)는 비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마인드맵과 칸반 간에 변환 과정이 수행된 이후 칸반에 새로 추가된 콘텐트의 경우에도 칸반 위치 정보만을 가질 뿐 마인드맵 연결 정보는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변환부(106)는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칸반 카드들 중 “토픽6”, “토픽7” 및 “토픽8”에 해당하는 카드가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 경우, 변환부(10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ITEM BOX)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 리스트업된 콘텐트들을 마인드맵 상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를 마인드맵의 특정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 함으로써 해당 콘텐트를 마인드맵 상의 노드 중 하나와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변환부(106)는 이동된 콘텐트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2의 경우 “토픽6”이 “확장생각2”의 하위 노드로 지정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변환부(106)는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별도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인드맵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의 경우 “토픽6”, “토픽7”, “토픽8”로 표시된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들이 다른 노드와 연결되지 않은 노드로 마인드맵상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 13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노드들을 드래그 앤 드롭 등의 방법을 통해 마인드맵상의 적절한 다른 노드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변환부(106)는 이동된 콘텐트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4)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인드맵과 칸반 사이의 동적 연계 방법(15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마인드맵과 칸반 사이의 동적 연계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1502 단계에서,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다.
1504 단계에서, 데이터 저장부(104)는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506 단계에서, 변환부(106)는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마인드맵과 칸반 사이의 동적 연계 장치
102: 입력부
104: 데이터 저장부
106: 변환부
402, 502: 콘텐트 테이블
404, 504: 마인드맵 연결 정보 테이블
406: 카드 테이블
1002: 팝업 메뉴

Claims (17)

  1.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상의 상위 노드 정보 및 하위 노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칸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칸반 상에서의 소속 리스트 정보 및 상기 소속 리스트 내의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칸반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리스트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위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마인드맵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연결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9.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상의 상위 노드 정보 및 하위 노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칸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칸반 상에서의 소속 리스트 정보 및 상기 소속 리스트 내의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마인드맵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칸반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칸반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를 칸반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리스트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칸반 위치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칸반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칸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와 연계된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기 설정된 화면 상의 미등록 콘텐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등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 중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콘텐트인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를 마인드맵 상의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에 대한 마인드맵 연결 변경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마인드맵 미등록 콘텐트의 상기 마인드맵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방법.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마인드맵 또는 칸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마인드맵 또는 칸반에 포함된 복수 개의 콘텐트(content) 및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과 연계되는 변환 정보-상기 변환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콘텐트 각각의 마인드맵 연결 정보 및 칸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마인드맵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칸반을 마인드맵으로 변환하는 단계들을 컴퓨터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40199A 2015-10-06 2015-10-06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0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99A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5-10-06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99A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5-10-06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928A true KR20170040928A (ko) 2017-04-14

Family

ID=5857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199A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5-10-06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928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87B1 (ko) 2018-02-23 2019-08-06 주식회사 지노테크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CN111191930A (zh) * 2019-12-30 2020-05-22 广东三扬网络科技有限公司 多个思维导图之间的结合展示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16948A (ko) 2021-02-16 2022-08-23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KR20220129917A (ko) 2021-03-17 2022-09-26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20140334A (ko) 2021-04-09 2022-10-18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20155057A (ko) 2021-05-14 2022-11-22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20156362A (ko) 2021-05-18 2022-11-25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048786A (ko) 2021-10-05 2023-04-12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스마트태그 기반의 사용자 페이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30067983A (ko) 2021-11-10 2023-05-17 최재호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116420A (ko) 2022-01-28 2023-08-04 최현규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128763A (ko) 2022-02-28 2023-09-05 최재호 간반 기반의 보드대화방을 이용한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146845A (ko) 2022-04-13 2023-10-20 최재호 계층적 스마트태그 기반의 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622A (ko) 2012-10-02 2014-04-10 (주)이스트소프트 마인드맵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마인드맵 작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622A (ko) 2012-10-02 2014-04-10 (주)이스트소프트 마인드맵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마인드맵 작성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87B1 (ko) 2018-02-23 2019-08-06 주식회사 지노테크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CN111191930A (zh) * 2019-12-30 2020-05-22 广东三扬网络科技有限公司 多个思维导图之间的结合展示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191930B (zh) * 2019-12-30 2024-05-14 广东三扬网络科技有限公司 多个思维导图之间的结合展示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16948A (ko) 2021-02-16 2022-08-23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KR20240049524A (ko) 2021-03-17 2024-04-16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20129917A (ko) 2021-03-17 2022-09-26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20140334A (ko) 2021-04-09 2022-10-18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20155057A (ko) 2021-05-14 2022-11-22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20156362A (ko) 2021-05-18 2022-11-25 최재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048786A (ko) 2021-10-05 2023-04-12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스마트태그 기반의 사용자 페이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30067983A (ko) 2021-11-10 2023-05-17 최재호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116420A (ko) 2022-01-28 2023-08-04 최현규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US11880794B2 (en) 2022-01-28 2024-01-23 Delta Pds Co., Ltd. Smart-tag 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KR20230128763A (ko) 2022-02-28 2023-09-05 최재호 간반 기반의 보드대화방을 이용한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20230146845A (ko) 2022-04-13 2023-10-20 최재호 계층적 스마트태그 기반의 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0928A (ko)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US11314801B2 (en) Multiple partial-image compositional searching
US81561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models and data-model instances
JP6018045B2 (ja) 選択したデータの一時的な書式設定とグラフ化
US11010032B2 (en) Navigating a hierarchical data set
US7783983B1 (en) User interface for controls
US20050251757A1 (en) Display of enlarged visual containe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components during GUI layout or design
US8316323B2 (en) Breadcrumb navigation through heirarchical structures
Paternò et al. A unified method for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adaptable to mobile and stationary platforms
CN105247470B (zh) 用于显示多工作区的多个显示器
CN103649947B (zh) 用于支持所创建图像中包括的对象的收集的方法、终端以及装置
CA2768536A1 (en) Page designer with customization constraints
US8427502B2 (en) Context-aware non-linear graphic editing
KR101635383B1 (ko) 전자 다이어리의 일정정보와 마인드 맵의 연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ardoso et al. The Multimodal Annotation Software Tool (MAST)
KR20120026344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7840574B2 (e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mapping source and target objects
Botterweck et al. Towards Supporting Feature Configuration by Interactive Visualisation.
CN107621951A (zh) 一种视图层级优化的方法及装置
US202103347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Materials Relating to a Project
US20130132425A1 (en) Query defi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tenant
JP6490258B1 (ja) 相続関係説明図の作成装置と作成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Gallik et al. DyVProMo-A Lightweight Web-Based Tool for the Dynamic Visualiza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Business Process Models
Munro et al. Forming Relationships
Brel et al. Ontocompo: An ontology-based interactive system to compos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