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987B1 -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987B1
KR102007987B1 KR1020180032449A KR20180032449A KR102007987B1 KR 102007987 B1 KR102007987 B1 KR 102007987B1 KR 1020180032449 A KR1020180032449 A KR 1020180032449A KR 20180032449 A KR20180032449 A KR 20180032449A KR 102007987 B1 KR102007987 B1 KR 10200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button
mind map
image
blo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노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인드 맵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관련 BM(Business Model)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은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2 문서 정보, 제 1, 2 이미지 정보, 제 1, 2 동영상 정보 및 제 1,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거나,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함으로써, 챗봇을 통해 수집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마인드 맵을 이용한 노트 정리 및 과제수행시 협업작업에서 요구되는 정보공유에 따른 수행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동기 부여하고 4차산업 혁명 중 하나인 인공지능 기술의 일환인 챗봇을 마인드 맵에 적용시켜 마인드 맵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수집에 관한 편익을 증대시켜 산업발전 및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Mind Map ChamBot Support Service Platform for Organizing a Notes and Sharing Information and Drive of the Same}
본 발명은 마인드 맵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관련 BM(Business Model)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거나,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인드 맵(Mind Map)은 생각의 지도라는 뜻으로, 사람의 생각을 지도 그리듯 이미지화하여 사고력, 창의력, 기억력 등을 높이는 두뇌 개발 기법을 말한다. 이러한 마인드 맵은 사람의 손으로 작성할 수도 있지만, 마인드 맵을 작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마인드 맵을 확장 또는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마인드맵(mindmap)은 마치 지도를 그리듯이 정보를 정리해 나가는 방법으로서, 주로 아이디어 내지 생각을 정리, 확장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칸반(kanban)은 주로 특정 업무 내지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스케줄, 진행 상태 및 관련 정보들을 카드와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
마인드 맵과 칸반은 서로 상이한 특성 및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업무 또는 프로젝트의 진행 시 마인드 맵과 칸반을 모두 활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업무 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담당자는 마인드 맵을 이용하여 해당 업무 또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아이디어들을 발전시키고, 도출된 아이디어의 진행 상황은 칸반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마인드 맵 또는 칸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저작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작 도구들은 마인드 맵 또는 칸반 각각의 본래 기능에만 집중할 뿐, 마인드 맵 또는 칸반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마인드 맵을 통하여 도출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칸반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칸반을 마인드 맵으로 변환할 경우 각각의 토픽 내지 카드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마인드 맵 기술은 주로 개인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는 바,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마인드 맵을 공동으로 작업하는데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마인드 맵의 공동 작업 시 공동 마인드 맵에서 일부를 분리하여 개별 작업 하거나 각 저작자에 의해 작성된 개별 마인드 맵을 공동 마인드 맵에 합치는 등의 편집 작업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05-0000632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607887-0000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7-0040928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7-0042956
본 발명의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2 문서 정보, 제 1, 2 이미지 정보, 제 1, 2 동영상 정보 및 제 1,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거나,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함으로써, 챗봇을 통해 수집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마인드 맵을 이용한 노트 정리 및 과제수행시 협업작업에서 요구되는 정보공유에 따른 수행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통신 단말기의 엑세스에 따라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과 1:1 대화 뿐만 아니라, 마인드 맵 컨텐츠에 다중 접속한 다수의 통신 단말기와 챗봇 간의 다중 채팅 역시도 실시할 수 있어 노트 정리 및 과제수행시 협업작업을 위해 이루어져야 하는 정보수집 및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로 인한 최종 결과물의 미완성도를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4차산업 혁명 중 하나인 인공지능 기술의 일환인 챗봇을 마인드 맵에 적용시켜 마인드 맵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수집에 관한 편익을 증대시켜 산업발전 및 국가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은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은, 마인드 맵 컨텐츠에서 확인되는 제 1 블럭박스를 마인드 맵 창으로 불러와 대과제명을 기재 및 설정함에 따라 상기 대과제명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과제명과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며,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중과제명으로 표기된 제 2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제 1 컨넥션 활성부; 및 상기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며,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소과제명이 표기된 제 3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제 2 컨넥션 활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방법은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마인드 맵 컨텐츠에서 확인되는 제 1 블럭박스를 마인드 맵 창으로 불러와 대과제명을 기재 및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대과제명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과제명과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중과제명으로 표기된 제 2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2 컨넥션 활성부 상기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는 단계; 및 제 2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소과제명이 표기된 제 3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은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2 문서 정보, 제 1, 2 이미지 정보, 제 1, 2 동영상 정보 및 제 1,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거나,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함으로써, 챗봇을 통해 수집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마인드 맵을 이용한 노트 정리 및 과제수행시 협업작업에서 요구되는 정보공유에 따른 수행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동기 부여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통신 단말기의 엑세스에 따라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과 1:1 대화 뿐만 아니라, 마인드 맵 컨텐츠에 다중 접속한 다수의 통신 단말기와 챗봇 간의 다중 채팅 역시도 실시할 수 있어 노트 정리 및 과제수행시 협업작업을 위해 이루어져야 하는 정보수집 및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로 인한 최종 결과물의 미완성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4차산업 혁명 중 하나인 인공지능 기술의 일환인 챗봇을 마인드 맵에 적용시켜 마인드 맵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수집에 관한 편익을 증대시켜 산업발전 및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제 3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마인드 맵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시킨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마인드 맵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시킨 다른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마인드 맵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시킨 또 다른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마인드 맵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시킨 또 다른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마인드 맵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시킨 또 다른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1000)은 마인드 맵 컨텐츠(500)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거나,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제 1 컨넥션 활성부(100), 제 2 컨넥션 활성부(200), 마인드 맵 운영부(300), 튜터 에이전트 실행부(400), 마인드 맵 컨텐츠(500)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컨넥션 활성부(100)는 마인드 맵 컨텐츠(500)에서 확인되는 제 1 블럭박스를 마인드 맵 창으로 불러와 대과제명을 기재 및 설정함에 따라 대과제명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과제명과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를 제시한다.
제 1 컨넥션 활성부(100)는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한다.
제 1 컨넥션 활성부(100)는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중과제명으로 표기된 제 2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한다.
제 1 컨넥션 활성부(100)는 마인드 맵 컨텐츠(500)가 설치된 통신 단말기 내에서 생성시킨 학습 및 과제수행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해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블럭박스로 형성시킨 다음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한다.
제 2 컨넥션 활성부(200)는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제시한다.
제 2 컨넥션 활성부(200)는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한다.
제 2 컨넥션 활성부(200)는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소과제명이 표기된 제 3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한다.
제 2 컨넥션 활성부(200)는 마인드 맵 컨텐츠(500)가 설치된 통신 단말기 내에서 생성시킨 학습 및 과제수행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해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3' 블럭박스로 형성시킨 다음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한다.
여기서, 마인드 맵 컨텐츠(500)의 메인 페이지 상에 표출된 메뉴 블럭은 새마인드 맵 이미지버튼, 열기 이미지버튼, 새이름저장 이미지버튼, 타임라인 이미지버튼, 새맵분리 이미지버튼, 맵삭제 이미지버튼, 맵이름변경 이미지버튼, 설정 이미지버튼 및 기타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파일 메뉴버튼(510); 자식마디추가 이미지버튼, 형제마디추가 이미지버튼, 이미지 이미지버튼, 비디오 이미지버튼, 하이퍼링크 이미지버튼, 아이프레임 이미지버튼, 웹페이지 이미지버튼, LTI연결 이미지버튼, 글자색상 이미지버튼, 배경색상 이미지버튼, 접기/펴기 이미지버튼, 줄바꿈 이미지버튼, 마디정렬 이미지버튼, 마디수정 이미지버튼, 잘라내기 이미지버튼, 복사 이미지버튼, 붙여넣기 이미지버튼, 마디삭제 이미지버튼, 색상변경 이미지버튼 및 맵배경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편집 메뉴버튼(520); 그룹관리 이미지버튼, 공유설정 이미지버튼, 임베트 이미지버튼, 내보내기 이미지버튼, 가져오기 이미지버튼, 페이스북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공유 메뉴버튼(530); 쇼보기 이미지버튼, 편집 이미지버튼, 모두 접기/펴기 이미지버튼, 확대 이미지버튼, 축소 이미지버튼, 실제크기 이미지버튼, 마인드 맵 이미지버튼, 트리맵 이미지버튼, 피쉬본이미지버튼, 햇살맵 이미지버튼, 사각맵 이미지버튼, 채팅 이미지버튼, 구글검색 이미지버튼 및 활동기록보기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보기 메뉴버튼(540);과, 공지사항 이미지버튼, Q&A 이미지버튼, 사용법 이미지버튼, 회사소개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고객센 터 메뉴버튼(550)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메뉴 블럭에 구비된 파일 메뉴버튼(510)이 클릭될 시, 새마인드 맵 이미지버튼, 열기 이미지버튼, 새이름저장 이미지버튼, 타임라인 이미지버튼, 새맵분리 이미지버튼, 맵삭제 이미지버튼, 맵이름변경 이미지버튼, 설정 이미지버튼 및 기타 이미지버튼이 오픈되며, 각각의 이미지버튼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기능을 수행한다.<도 2 참조>
즉, 새마인드 맵 이미지버튼은 새로운 마인드 맵을 생성시키고, 이때 새로운 마이드 맵 모양을 결정(마인드 맵/트리 맵/피쉬본)하여 생성시킨다.
열기 이미지버튼은 이미 저장해 놓은 마인드 맵을 불러오며, 내가 만들어 놓은 마인드 맵 또는 공개된 마인드 맵을 오픈시키나, 그룹 공유 마인드 맵은 작업자인 본인이 속한 그룹이 아닌 경우에는 열 수 없다.
새이름저장 이미지버튼은 현재 마인드 맵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어 저장한다.
타임라인 이미지버튼은 제 1, 2 컨넥션 활성부에 의해 생성된 연결라인을 지울 때나 저장할 각 시점에 저장된 마인드 맵을 복원시킨다. 마인드 맵은 실시간 자동 저장되기 때문에 이전에 저장된 마인드 맵으로 쉽게 돌아갈 수 있다 할 것이다.
새맵분리 이미지버튼은 선택된 연결라인를 새로운 마인드 맵으로 분리하여 저장한다. 즉, 새로운 이미지 맵은 이전 이미지 맵과 상호간에 웹 링크로 연결된다.
맵삭제 이미지버튼은 현재 작업중인 마인드 맵을 삭제한다.
맵이름변경 이미지버튼은 작업중인 마인드 맵을 새로운 이름으로 바꿀 수 있으며, 이때, 이전 이름의 마인드 맵은 없어지고 새로운 이미지 맵 이름으로 존재하게 된다.
설정 이미지버튼은 대용량의 마인드 맵의 작업상황, 마이드 맵의 작업 모니터링 기능 활성화, 이미지 비디오 기본 크기 설정, 투명 메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기타 이미지버튼은 작업자인 본인 외 제3자가 작업 중이거나 작업하려 하는 연결라인을 지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인의 연결라인만 편집하거나 지울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뉴 블럭에 구비된 편집 메뉴버튼(520)이 클릭될 시, 자식마디추가 이미지버튼, 형제마디추가 이미지버튼, 이미지 이미지버튼, 비디오 이미지버튼, 하이퍼링크 이미지버튼, 아이프레임 이미지버튼, 웹페이지 이미지버튼, LTI연결 이미지버튼, 글자색상 이미지버튼, 배경색상 이미지버튼, 접기/펴기 이미지버튼, 줄바꿈 이미지버튼, 마디정렬 이미지버튼, 마디수정 이미지버튼, 잘라내기 이미지버튼, 복사 이미지버튼, 붙여넣기 이미지버튼, 마디삭제 이미지버튼, 색상변경 이미지버튼 및 맵배경 이미지버튼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기능을 수행한다.<도 3 참조>
즉, 자식마디추가 이미지버튼은 현재 선택된 연결라인의 자식 연결라인을 만듭니다(다시말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2' 블럭박스, 제 2 블럭박스와 제 3, 3' 블럭박스를 각각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버튼임). 자동으로 새로운 연결라인의 텍스트 입력 모드 상태가 되며 키보드 입력 후 "Enter" 키를 누르면 텍스트 입력 상태를 빠져 나오게 된다. 새로운 줄을 만들고 싶으면 "Shift-Enter" 키를 누른다.
형제마디추가 이미지버튼은 현재 선택된 연결라인의 형제 연결라인을 만든다(제 2 블럭박스와 다른 제 2 블럭박스 혹은 제 2' 블럭박스를 각각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버튼임)(제 3 블럭박스와 다른 제 3 블럭박스 혹은 제 3' 블럭박스를 각각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버튼임).
또한, 형제마디추가 이미지버튼은 자동으로 새 연결라인의 텍스트 입력 모드 상태가 되며 키보드 입력후 "Enter" 키를 누르면 텍스트 입력 상태를 빠져 나올 수 있다.
이미지 이미지버튼은 챗봇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포탈 검색 사이트에 접속해 다운로드받은 제 1, 2 이미지 정보를 선택된 연결라인에 넣을 수 있으며, 물론, 챗봇을 구동시켜 확보한 제 1, 2 이미지 정보도 선택된 연결라인에 넣을 수 있다 할 것이다.
비디오 이미지버튼은 챗봇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포탈 검색 사이트에 접속해 다운로드받은 제 1, 2 동영상 정보를 선택된 연결라인에 넣을 수 있으며, 물론, 챗봇을 구동시켜 확보한 제 1, 2 동영상 정보도 선택된 연결라인에 넣을 수 있다 할 것이다.
하이퍼링크 이미지버튼은 선택된 연결라인에 웹 링크(혹은 앱 링크)를 넣을 수 있다. 웹링크(혹은 앱링크)를 넣은 후에는 빨간색 링크가 생겨서 이를 누르면 웹링크(혹은 앱링크)의 내용이 브라우저에 나타나게 된다.
아이프레임 이미지버튼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웹(앱)페이지의 내용을 연결라인으로 넣을 수 있다. 웹(앱)페이지의 원하는 부분만 보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웹(앱)브라우저 상에서 작동하는 것과 동일하게 연결라인 안에서 반응한다.
웹페이지 이미지버튼은 챗봇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포탈 검색 사이트에 접속해 다운로드받은 제 1, 2 웹 정보(모바일을 통해 획득한 제 1, 2 앱 정보는 제 1, 2 웹 정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스임으로 제 1, 2 앱 정보도 당연히 포함시킬 수 있음)를 선택된 연결라인에 넣을 수 있으며, 물론, 챗봇을 구동시켜 확보한 제 1, 2 웹 정보(제 1, 2 앱 정보 포함)도 선택된 연결라인에 넣을 수 있다 할 것이다.
LTI연결 이미지버튼은 LTI 서비스를 지원하는 외부 LTI 서비스 공급 서비스와 연결시킬 수 있다(미도시).
글자색상 이미지버튼은 제 1, 2, 2' 3, 3' 블럭박스 내에 기재된 글자의 색상을 변경한다.
- 사전 정의된 색상 선택
- 색상 선택기를 통한 색상 선택
- RGB 색상코드 입력을 통한 색상 선택
배경색상 이미지버튼은 제 1, 2, 2' 3, 3' 블럭박스의 배경 색상을 변경한다.
- 사전 정의된 색상 선택
- 색상 선택기를 통한 색상 선택
- RGB 색상코드 입력을 통한 색상 선택
접기/펴기 이미지버튼은 현재 선택된 연결라인을 접고 펼 수 있다.
줄바꿈 이미지버튼은 제 1, 2, 2' 3, 3' 블럭박스 내 기재된 텍스트를 여러줄로 입력할 수 있다.
마디정렬 이미지버튼은 헝클어진 연결라인들을 초기 위치로 정렬한다.
마디수정 이미지버튼은 연결라인 편집 상태로 들어간다. 내용 수정후 "Enter"를 누르면 편집상태에서 나올 수 있다. 새로운 줄을 만들고 싶으면 "Shift-Enter" 키를 누릅니다.
잘라내기 이미지버튼은 연결라인을 잘라낸다. 동일한 마인드 맵에서 복사를 하여 선택한 연결라인에 잘라낸 연결라인을 붙일 수 있다.
복사 이미지버튼은 연결라인를 복사한다. 동일한 마인드 맵에서 선택한 연결라인를 복사할 수 있다.
붙여넣기 이미지버튼은 연결라인을 붙여 넣을 수 있고, 이전에 잘라내기나 복사했던 연결라인을 붙여 넣을 수 있습니다
마디삭제 이미지버튼은 현재 선택된 연결라인을 지운다.
색상변경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 연결라인의 색상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 현재 색상은 색상표로부터 결정되어 아래단계의 연결라인으로 갈 때 색상이 옅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맵배경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 뒤의 배경 색상을 변경합니다.
- 사전 정의된 색상 선택
- 색상 선택기를 통한 색상 선택
- RGB 색상코드 입력을 통한 색상 선택
메뉴 블럭에 구비된 공유 메뉴버튼(530)이 클릭될 시, 그룹관리 이미지버튼, 공유설정 이미지버튼, 임베트 이미지버튼, 내보내기 이미지버튼, 가져오기 이미지버튼, 페이스북 이미지버튼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기능을 수행한다.<도 4 참조>
그룹관리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의 공유를 목적으로 그룹 공유 설정을 위한 그룹을 생성시킬 수 있다.
공유설정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에 대한 읽기 쓰기 권한을 관리한다. 개인, 그룹, 패스워드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마인드 맵의 접근을 허락한다.
임베트 이미지버튼은 작업하고 있는 마인드 맵을 여러 가지 기능 조건으로 다른 웹 페이지에 임베드시킬 수 있다.
내보내기 이미지버튼은 다양한 형태의 파일이나 정보를 내보낼 수 있다. (XML 형식, 텍스트(클립보드), 프리마인드 파일, HTML 형식, PPT 형식, SVG 형식, PNG 형식, 텍스트 형식)
가져오기 이미지버튼은 다양한 형태의 외부 파일이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북마크, 프리마인드 형식, 텍스트(클립보드), XML 형식)
페이스북 이미지버튼은 페이스북의 포스트를 마인드 맵 연결라인으로 가지고 올 수 있다.
메뉴 블럭에 구비된 보기 메뉴버튼(540)이 클릭될 시, 쇼보기 이미지버튼, 편집 이미지버튼, 모두 접기/펴기 이미지버튼, 확대 이미지버튼, 축소 이미지버튼, 실제크기 이미지버튼, 마인드 맵 이미지버튼, 트리맵 이미지버튼, 피쉬본이미지버튼, 햇살맵 이미지버튼, 사각맵 이미지버튼, 채팅 이미지버튼, 구글검색 이미지버튼, 활동기록보기 이미지버튼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기능을 수행한다.<도 5 참조>
즉, 쇼보기 이미지버튼은 박스 타입으로 웹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
편집 이미지버튼은 다이나믹, 박스, 에어로, 리니어, 마인드 맵 줌업(Zoom-up)등의 다양한 프레젠테이션 타입과 배경 화면 스타일을 선택하고 이를 편집하여 웹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모두 접기/펴기 이미지버튼은 모든 연결라인을 접거나 펼 수 있게 한다.
확대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을 확대시킨다.
축소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을 축소시킨다.
실제크기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의 보기 비율을 100% 크기로 조정한다.
마인드 맵 이미지버튼은 마인드 맵 형태를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트리맵 이미지버튼은 조직도 구조도 등을 표현하기 편리한 트리맵 형태로 마인드 맵을 볼 수 있다.
피쉬본 이미지버튼은 물고기의 가시 구조와 같은 형태로 마인드 맵을 볼 수 있다.
햇살맵 이미지버튼은 햇살맵 형태로 마인드 맵을 볼 수 있다.
사각맵 이미지버튼은 사각맵 형태로 마인드 맵을 볼 수 있다.
채팅 이미지버튼 채팅창을 열어 채팅을 하면서 마인드 맵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채팅시, 챗봇과도 1: 1 채팅 혹은 마인드 맵 컨텐츠에 접속한 다수의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과제 참여자, 협업권한을 부여받은 자혹은 피학습자)와도 다중채팅도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할 것이다.
구글검색 이미지버튼은 구글 검색창을 활성화하여 마인드 맵의 오른쪽에 보여지며. 구글 검색결과를 선택하면 곧바로 웹 페이지가 자식 연결라인으로 생성되게 한다.
활동기록보기 이미지버튼은 활동기록이 활성화된 마인드 맵에서 다수의 서용자의 마인드 맵에 관한 활동 기록을 볼 수 있게 한다.
메뉴 블럭에 구비된 고객센터 메뉴버튼(550)이 클릭될 시, 공지사항 이미지버튼, Q&A 이미지버튼, 사용법 이미지버튼, 회사소개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고객센터 메뉴버튼(550)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기능을 수행한다.<도 6 참조>
공지사항 이미지버튼은 (주)지노테크에서 개발한 마이드맵 컨텐츠(OKMindmap)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공지사항 페이지를 연결시킨다.
Q&A 이미지버튼은 Q&A 형태로 진행되며, OKMindmap에 관한 질문과 답변 페이지로 연결시킨다.
사용법 이미지버튼은 OKMindmap 사용법에 관한 웹페이지를 연결시킨다
회사소개 이미지버튼은 제작사인(주)지노테크 홈페이지를 연결한다.
계속해서, 마인드 맵 운영부(300)는 클라우드 서버(600)에 자동으로 원격 접속한 후, 클라우드 서버(600)로부터 조회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와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마인드 맵 창에 디스플레이시키며, 클라우드 서버(600)의 원격 접속을 통해 호출된 챗봇을 가동시켜 클라우드 서버(600)에서 운영되는 포탈 검색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제 1 빅데이터 또는 제 2 빅데이터가 채팅창에 보이도록 액티브시키고,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컨넥션 활성부(100)의 컨넥션 동작과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 간을 연결하는 제 2 컨넥션 활성부(200)의 컨넥션 동작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로,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1000)에서 운영되는 마인드 맵 컨텐츠(500)는 피교육자와 다른 피교육자 간의 학습활동을 실시간으로 실시하는 학습활동창을 노출케 한 후, 학습활동 실시로 인지되는 참여 횟수, 쓰기 횟수, 읽기 횟수, 접속 시간을 데이터화하여 학습로그 항목에 기재될 학습로그 점수로 설정하는 제 1 연산 동작을 구현한다.
마인드 맵 컨텐츠(500)는 학습활동 실시로 진행 가능한 채팅, 위키, 게시판에 참여한 전체 인원이 올린 다수의 게시글 수 대비 피교육자가 올린 게시글 수가 차지하는 제 1 빈도값, 학습활동을 실시로 개방된 다른 동영상의 전체 플레이 시간 대비 피교육자가 시청한 시청 시간이 차지하는 제 2 빈도값, 및 학습활동 실시시 연결된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 제시된 파일열람 총 횟수 대비 피교육자가 선택된 파일열람 횟수가 차지하는 제 3 빈도값을 책정해 진도 항목에 기재될 진도 점수로 설정하는 제 2 연산 동작을 구현한다.
마인드 맵 컨텐츠(500)는 피교육자의 학습활동에 포함되는 교수자와 피교육자 혹은 피교육자와 다른 피교육자 간의 상호평가 설문지 작성, 퀴즈, 시험, 숙제를 이행함을 통해 성과 항목에 기재될 성과 점수를 설정하는 제 3 연산 동작을 구현한다.
따라서,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1000)의 추가 구성요소인 튜터 에이전트 실행부(400)는 학습로그 점수, 성과 점수, 진도 점수를 논리 조합함으로부터 연산된 결과치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하고 결과치와 룩업테이블 상에 기재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1:1 매칭되는 학습평가지표를 피교육자(다른 피교육자 포함)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에 전달한다.<도 2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방법은 마인드 맵 컨텐츠의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2 빅데이터 정보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거나,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플랫폼의 구동방법이다.
먼저, 제 1 컨넥션 활성부는 마인드 맵 컨텐츠에서 확인되는 제 1 블럭박스를 마인드 맵 창으로 불러와 대과제명을 기재 및 설정한다(S100).
제 1 컨넥션 활성부는 대과제명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과제명과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를 제시한다(S200).
제 1 컨넥션 활성부는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한다(S300).
제 1 컨넥션 활성부는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중과제명으로 표기된 제 2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한다(S400).
제 2 컨넥션 활성부는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제시한다((S500).
제 2 컨넥션 활성부는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챗봇으로 하여금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한다(S600).
제 2 컨넥션 활성부는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소과제명이 표기된 제 3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한다(S7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방법에 대한 좀 더 추가적인 동작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 용이하다.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추가구성인 마인드 맵 운영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원격 접속한 후,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조회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와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마인드 맵 창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마인드 맵 운영부는 클라우드 서버의 원격 접속을 통해 호출된 챗봇을 가동시켜 클라우드 서버에서 운영되는 포탈 검색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제 1 빅데이터 또는 제 2 빅데이터가 채팅창에 보이도록 액티브시킨다.
이어서, 마인드 맵 운영부는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컨넥션 활성부의 컨넥션 동작과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 간을 연결하는 제 2 컨넥션 활성부의 컨넥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100 : 제 1 컨넥션 활성부 200 : 제 2 컨넥션 활성부
300 : 마인드 맵 운영부 400 : 튜터 에이전트 실행부
500 : 마인드 맵 컨텐츠 6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8)

  1. 마인드 맵 컨텐츠에서 확인되는 제 1 블럭박스를 마인드 맵 창으로 불러와 대과제명을 기재 및 설정함에 따라 상기 대과제명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과제명과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며,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중과제명으로 표기된 제 2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제 1 컨넥션 활성부;
    상기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며,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고,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소과제명이 표기된 제 3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제 2 컨넥션 활성부; 및
    클라우드 서버의 원격 접속을 통해 호출된 상기 챗봇을 가동시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운영되는 포탈 검색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상기 제 1 빅데이터 또는 제 2 빅데이터가 상기 채팅창에 보이도록 액티브시키고,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의 컨넥션 동작과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 간을 연결하는 상기 제 2 컨넥션 활성부의 컨넥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인드 맵 운영부를 포함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인드 맵 운영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으로 원격 접속한 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조회된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와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상기 마인드 맵 창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는,
    상기 마인드 맵 컨텐츠가 설치된 통신 단말기 내에서 생성시킨 학습 및 과제수행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해 상기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블럭박스로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상기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넥션 활성부는,
    상기 마인드 맵 컨텐츠가 설치된 통신 단말기 내에서 생성시킨 학습 및 과제수행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를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해 상기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3' 블럭박스로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상기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 맵 컨텐츠의 메인 페이지 상에 표출된 메뉴 블럭은,
    새마인드 맵 이미지버튼, 열기 이미지버튼, 새이름저장 이미지버튼, 타임라인 이미지버튼, 새맵분리 이미지버튼, 맵삭제 이미지버튼, 맵이름변경 이미지버튼, 설정 이미지버튼, 기타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파일 메뉴버튼;
    자식마디추가 이미지버튼, 형제마디추가 이미지버튼, 이미지 이미지버튼, 비디오 이미지버튼, 하이퍼링크 이미지버튼, 아이프레임 이미지버튼, 웹페이지 이미지버튼, LTI연결 이미지버튼, 글자색상 이미지버튼, 배경색상 이미지버튼, 접기/펴기 이미지버튼, 줄바꿈 이미지버튼, 마디정렬 이미지버튼, 마디수정 이미지버튼, 잘라내기 이미지버튼, 복사 이미지버튼, 붙여넣기 이미지버튼, 마디삭제 이미지버튼, 색상변경 이미지버튼, 맵배경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편집 메뉴버튼;
    그룹관리 이미지버튼, 공유설정 이미지버튼, 임베트 이미지버튼, 내보내기 이미지버튼, 가져오기 이미지버튼, 페이스북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공유 메뉴버튼;
    쇼보기 이미지버튼, 편집 이미지버튼, 모두 접기/펴기 이미지버튼, 확대 이미지버튼, 축소 이미지버튼, 실제크기 이미지버튼, 마인드 맵 이미지버튼, 트리맵 이미지버튼, 피쉬본 이미지버튼, 햇살맵 이미지버튼, 사각맵 이미지버튼, 채팅 이미지버튼, 구글검색 이미지버튼, 활동기록보기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보기 메뉴버튼; 및
    공지사항 이미지버튼, Q&A 이미지버튼, 사용법 이미지버튼, 회사소개 이미지버튼을 제공하는 고객센터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 맵 컨텐츠는,
    피교육자와 다른 피교육자 간의 학습활동을 실시간으로 실시하는 학습활동창을 노출케 한 후, 상기 학습활동 실시로 인지되는 참여 횟수, 쓰기 횟수, 읽기 횟수, 접속 시간을 데이터화하여 학습로그 항목에 기재될 학습로그 점수로 설정하며,
    상기 학습활동 실시로 진행 가능한 채팅, 위키, 게시판에 참여한 전체 인원이 올린 다수의 게시글 수 대비 상기 피교육자가 올린 게시글 수가 차지하는 제 1 빈도값, 상기 학습활동을 실시로 개방된 다른 동영상의 전체 플레이 시간 대비 상기 피교육자가 시청한 시청 시간이 차지하는 제 2 빈도값, 및 상기 학습활동 실시시 연결된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 제시된 파일열람 총 횟수 대비 상기 피교육자가 선택된 파일열람 횟수가 차지하는 제 3 빈도값을 책정해 진도 항목에 기재될 진도 점수로 설정하고,
    상기 피교육자의 학습활동에 포함되는 교수자와 피교육자 혹은 상기 피교육자와 다른 피교육자 간의 상호평가 설문지 작성, 퀴즈, 시험, 숙제를 이행함을 통해 성과 항목에 기재될 성과 점수를 설정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로그 점수, 성과 점수, 진도 점수를 논리 조합함으로부터 연산된 결과치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하고 상기 결과치와 상기 룩업테이블 상에 기재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1:1 매칭되는 학습평가지표를 상기 피교육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튜터 에이전트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8.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마인드 맵 컨텐츠에서 확인되는 제 1 블럭박스를 마인드 맵 창으로 불러와 대과제명을 기재 및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대과제명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과제명과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채팅창에 나타난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1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1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중과제명으로 표기된 제 2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단계;
    제 2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제 1 문서 정보, 제 1 이미지 정보, 제 1 동영상 정보 및 제 1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혹은 유사한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팅창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챗봇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제 2 연관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검색을 실시케 하는 단계; 및
    제 2 컨넥션 활성부가 상기 검색에 의해 조회된 제 2 빅데이터 정보에 속한 제 2 문서 정보, 제 2 이미지 정보, 제 2 동영상 정보 및 제 2 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인드 맵 창으로 드래그해 소과제명이 표기된 제 3 블럭박스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인드 맵 운영부는 클라우드 서버의 원격 접속을 통해 호출된 상기 챗봇을 가동시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운영되는 포탈 검색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상기 제 1 빅데이터 또는 제 2 빅데이터가 상기 채팅창에 보이도록 액티브시키고, 상기 제 1 블럭박스와 제 2 블럭박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컨넥션 활성부의 컨넥션 동작과 상기 제 2 블럭박스와 제 3 블럭박스 간을 연결하는 상기 제 2 컨넥션 활성부의 컨넥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방법.
KR1020180032449A 2018-02-23 2018-03-21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KR102007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66 2018-02-23
KR20180022266 2018-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987B1 true KR102007987B1 (ko) 2019-08-06

Family

ID=6761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49A KR102007987B1 (ko) 2018-02-23 2018-03-21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9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4306A (zh) * 2020-03-23 2020-07-24 长沙禾子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微环境家庭教育系统
CN114339285A (zh) * 2021-12-28 2022-04-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知识点的处理方法、视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30082111A (ko) 2021-12-01 2023-06-08 김민수 에세이 작성 학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632A (ko) 2003-06-24 2005-01-06 울림정보기술(주) 마인드매핑을 통한 지식기반의 발명 지원 방법 및 그기록매체
KR20090020060A (ko) * 2007-08-22 2009-02-26 정영교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00014017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대교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실행방법
KR20120132716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크레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협력 학습 시스템
KR101607887B1 (ko) 2013-10-31 2016-04-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 맵 형태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7-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2956A (ko) 2015-10-12 2017-04-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 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마인드 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632A (ko) 2003-06-24 2005-01-06 울림정보기술(주) 마인드매핑을 통한 지식기반의 발명 지원 방법 및 그기록매체
KR20090020060A (ko) * 2007-08-22 2009-02-26 정영교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00014017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대교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실행방법
KR20120132716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크레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협력 학습 시스템
KR101607887B1 (ko) 2013-10-31 2016-04-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 맵 형태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70040928A (ko) 2015-10-06 2017-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맵과 칸반 간의 동적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2956A (ko) 2015-10-12 2017-04-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마인드 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마인드 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마인드 맵 활용 글쓰기 활동 지도- OK Mindmap, 2015.01.20* *
박동아,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공공 행정 챗봇 서비스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0(8), 2017.8, 1347-1356(10 pages)*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4306A (zh) * 2020-03-23 2020-07-24 长沙禾子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微环境家庭教育系统
CN111444306B (zh) * 2020-03-23 2023-11-14 长沙禾子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微环境家庭教育系统
KR20230082111A (ko) 2021-12-01 2023-06-08 김민수 에세이 작성 학습방법
CN114339285A (zh) * 2021-12-28 2022-04-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知识点的处理方法、视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339285B (zh) * 2021-12-28 2024-04-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知识点的处理方法、视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ss et al. Evolution of a participatory GIS
Kuby Why a paradigm shift of ‘more than human ontologies’ is needed: Putting to work poststructural and posthuman theories in writers’ studio
Soloway et al. Technological support for teachers transitioning to project-based science practices
Ackermann et al. Issues in computer and non-computer supported GDSSs
KR101619748B1 (ko) 온톨로지 기반의 스마트 학습 또는 수업 공유 시스템
Brandes et al. Eportfolios: From description to analysis
US200701111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aining learning strategies
US200701111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learning strategies
KR102007987B1 (ko)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10898A (ko) 미술 교육 방법 및 미술 교육을 통하여 생성된 창작물의 활용 방법
Alves et al. The knowledge and importance of Lean Education based on academics’ perspectives: an exploratory study
US2006006969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di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Monjelat et al. Teachers’ narrative of learning to program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 and the relation to the rhetoric of computational thinking
Milam Jr et al. Concept Maps for Web-Based Applications. ERIC Technical Report.
WO2023248822A1 (ja) 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ernbach et al. Digital knowledge mapping
Muñoz-Alcántara et al. Peepdeck: a dashboard for the distributed design studio
JPH10214022A (ja) グループ学習教材編成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126401A (ja) 履歴情報活用型教育方法及び履歴情報活用型教育システム
Tsınakos et al. A comparative survey on mind mapping tools
Kurhila et al. The role of the learning platform in student-centred e-learning
MacDowell et al. Quilted together: Material culture pedagogy and the Quilt Index, a digital repository of thematic collections
Hardy et al. Driving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remotely
JP2002108193A (ja) 情報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教育システム
Jaspers et al. COSAR: Collaborative writing of argumentative tex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