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060A -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060A
KR20090020060A KR1020070084473A KR20070084473A KR20090020060A KR 20090020060 A KR20090020060 A KR 20090020060A KR 1020070084473 A KR1020070084473 A KR 1020070084473A KR 20070084473 A KR20070084473 A KR 20070084473A KR 20090020060 A KR20090020060 A KR 20090020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treemap
branch
extract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295B1 (ko
Inventor
정영교
Original Assignee
정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교 filed Critical 정영교
Priority to KR102007008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2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인 가지, 메인 가지에서 발원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계 가지, 제 1 단계 가지에서 발원될 수 있는 제 2 단계 가지 등으로 트리구조가 형성되면서 각 가지 마다 주제어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구성되는 디지털 트리맵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디지털 트리맵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추출조건이 입력되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중 상기 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지들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가지와 상기 검색된 가지 아래로 이어지는 하위 단계 가지들과 상기 검색된 가지 위로 이어지는 상위 단계 가지들이 원래의 트리구조를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는 소 트리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소 트리들을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트리구조로 정리해나가면서 입력되는 자료의 연상, 결합효과를 자극하여 무순서의 다차원적인 생각을 쉽고 빠르게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트리맵의 장점에 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디지털 트리맵의 정보를 마음대로 가공할 수 있음에 따라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정보를 발견하여 유용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트리맵, 추출, 트리구조

Description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Method for creating digital tree map by extracting from other digital tree maps and recording media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구조로 정리된 디지털 트리맵에 담긴 정보를 새로운 분류기준으로 재구성하여 디지털 트리맵으로 표시하므로써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유용하고 가치있는 지식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의 트리맵이란 상표명 마인드맵(Mind map)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트리구조로 만들어진 맵을 의미한다.
1970년대 초 영국의 토니 부잔이 새로운 학습과 기억을 위한 방법으로 이를 제안하였으며, 종이와 필기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트리맵은 종이 한가운데에 메인 가지를 나타내고 메인 가지 상에 메인 주제어를 이미지와 함께 또는 텍스트로 만 표시한 후, 무순서, 다차원적으로 떠오르는 생각들을 가지를 쳐가면서 주제어, 선, 이미지, 컬러, 기호, 심볼 등을 사용하여 방사형으로 적어 나감으로써 만들어진다.
1970년대에 로저 스페리 교수팀이 밝힌 '인간의 좌뇌와 우뇌의 서로 다른 기능' 은 부잔의 트리맵 이론을 보다 상세히 뒷받침해주고 있다.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각각의 반구가 두뇌의 어떤 특정 영역과 활동을 지배하기는 하지만, 양 반구는 두뇌의 모든 영역을 관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마이클 블로치는 자신의 논문에서, "우리 스스로가 오른쪽 두뇌의 사람 혹은 왼쪽 두뇌의 사람으로 규정한다면, 그것은 새로운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라고 말했고 양쪽의 뇌를 모두 발전시키려면 좌뇌적 요소와 우뇌적 요소가 모두 반영된 형태의 사고와 필기방법인 트리맵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트리맵은 특유의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트리맵을 제작할 수 있도록 트리맵을 컴퓨터 화일로 제작하고 편집하는 디지털 트리맵 제작 프로그램도 시장에 선보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지털 트리맵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컴퓨터를 이용해서 쉽게 트리구조로 정리해나가면서 입력되는 자료의 연상, 결합효과를 자극하여 무순서의 다차원적인 생각을 쉽고 빠르게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는 있었으나, 일단 트리구조로 정리된 후에는 디지털 트리맵에 담긴 정보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새로운 기준에 따라 디지털 트리맵을 재구성하지도 못하여 디지털 트리맵에 담긴 정보를 유용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지털 트리맵에 담긴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에서는 쉽게 발견하기 어려웠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의 여러 가지(branch)에 일정(schedule) 정보가 산재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특별히 알고 싶은 일정에 관련된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하여 줌으로써 특히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하여 프로젝트 참여자 각자의 일정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인 가지, 메인 가지에서 발원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계 가지, 제 1 단계 가지에서 발원될 수 있는 제 2 단계 가지 등으로 트리구조가 형성되면서 각 가지 마다 주제어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구성되는 디지털 트리맵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디지털 트리맵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추출조건이 입력되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중 상기 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지들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가지와 상기 검색된 가지 아래로 이어지는 하위 단계 가지들과 상기 검색된 가지 위로 이어지는 상위 단계 가지들이 원래의 트리구조를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는 소 트리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소 트리들을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위의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a2) 상기 추출메뉴가 선택되면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a3) 상기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위의 (d)단계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기존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위의 (d)단계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신규 디지털 트리맵의 메인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위의 (d)단계는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를 메인 가지에 연결한 후 추출된 소 트리들을 상기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상기 추출조건은 가지 상에 입력된 주제어의 텍스트, 주제어에 연결된 노트의 텍스트, 텍스트의 글자색, 텍스트의 배경색,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일정,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레전드,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달성도,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소요자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상기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은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은,
(e)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작된 디지털 트리맵의 가지에 입력된 정보 중의 일정에 관한 정보를 표 형태로 보고 편집할 수 있는 일정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일정창은, 일축 상에 소 트리별로 상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부터 하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까지 순서에 맞게 표시되고 타축 상에는 각 주제어에 관련된 일정이 그래프로 표시되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일정창 상에서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를 변경하여 디지털 트리맵 상의 해당 가지의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위의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각각의 방법을 실행시키 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는 디지털 트리맵에 담긴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에서는 쉽게 발견하기 어려웠던 유용하고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는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의 여러 가지에 일정 정보가 산재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특별히 알고 싶은 일정에 관련된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하여 줌으로써 특히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하여 프로젝트 참여자 각자의 일정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는 각각 디지털 트리맵을 작성한 후 그를 인쇄한 트리맵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의 트리맵은 '하와이 여행'을 메인 가지의 주제어로 하여 '준비', '일정'을 각각 주제어로 하는 두 개의 제 1 단계 가지가 있다. '준비' 가지 아래로는 '예약', '상품정보', '준비물', '환전'을 각각 주제어로 하는 네 개의 제 2 단계 가지가 있으며, '일정' 아래로는 '6월25일', '6월26일', '6월27일', '6월28일', '6월30일'을 각각 주제어로 하는 다섯 개의 제 2 단계 가지가 있다.
제 3 단계 가지 이상의 가지도 있는데, 예를 들어, '6월25일'을 주제어로 하는 제 2 단계 가지에는 '인천', '호놀룰루'를 각각 주제어로 하는 두 개의 제 3 단계 가지가 아래로 연결되고, '호놀룰루'를 주제어로 하는 제 3 단계 가지에는 '조식', '공항도착', '시내관광', '중식', '자유시간', '석식', '호텔 투숙'을 각각 주제어로 하는 일곱 개의 제 4 단계 가지가 아래로 연결되며, '자유시간'을 주제어로 하는 제 4 단계 가지에는 '선택관광'을 주제어로 하는 하나의 제 5 단계 가지가 연결되고, '선택관광'을 주제어로 하는 제 5 단계 가지에는 '매직쇼'를 주제어로 하는 하나의 제 6 단계 가지가 연결되며, '매직쇼'를 주제어로 하는 제 6 단계 가지에는 '$80'를 주제어로 하는 하나의 제 7 단계 가지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리맵은 메인 가지, 메인 가지에서 발원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계 가지, 제 1 단계 가지에서 발원될 수 있는 제 2 단계 가지 등으로 트리구조가 형성되고, 각 가지에는 통상적으로 그 가지에 해당하는 주제어 및/또는 기타의 정보가 기재된다.
도 3은 '프로그램 개발 프로젝트'를 메인 가지의 주제어로 한 도 2보다 약간 복잡한 트리맵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오른쪽 트리 형태로 표현된 트리맵이고, 도 3은 제 1 단계 가지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표현된 트리맵으로서, 트리구조를 표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을 뿐 메인 가지와, 제 1 단계 가지, 제 2 단계 가지 등이 있 고, 각각의 가지에는 주제어가 필수적으로 기재되는 트리맵이라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도 2의 트리맵은 하와이 여행을 위한 준비에서 일정까지 하와이 여행에 관해 필요한 정보를 빠짐없이 담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하와이 여행 중에 선택관광으로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할 예정인지 또 그에 소요되는 비용이 얼마인지를 일목요연하게 알고 싶은 경우에는 도 2의 트리맵을 구석구석 보면서 선택관광을 주제어로 하는 가지를 찾아야 하고, 찾아낸 정보를 취합하여 정리하는 수고를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도 3의 트리맵과 같이 프로젝트 진행에 필요한 업무항목을 시각화하고 일정계획을 수립한 경우 매우 중요한 항목을 붉은색 글자로 표시하였다면, 이들 항목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항목의 상하관계와 일정을 트리맵의 형태로 확인하고자 한다면 별도로 다시 트리맵을 제작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할 것이다.
도 2나 도 3의 트리맵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트리맵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방대한 정보가 담긴 트리맵의 경우에는 특정한 주제어를 갖는 가지를 빠짐없이 찾아 관련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편리하게 트리맵을 제작할 수 있도록 트리맵을 컴퓨터 화일로 제작하고 편집하는 디지털 트리맵 제작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나 그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불편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도 5는 트리맵을 컴퓨터 화일로 제작하고 편집하는 본 발명자가 제작한 컴퓨터 프래그램(해외수출용 등록상표: MindMapper, 내수용 등록상표: ThinkWise)의 화 면을 캡춰한 것으로 도 2의 트리맵이 작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프로그램 화면은 아래쪽의 트리맵창과 위쪽의 일정창으로 구성된다. 트리맵창에는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인 가지, 메인 가지에서 발원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계 가지, 제 1 단계 가지에서 발원될 수 있는 제 2 단계 가지 등으로 트리구조가 형성되며, 각 가지에는 주제어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
가지에 입력되는 정보 중 주제어 외의 정보로는 주제어에 관련한 상세한 설명을 기입할 수 있는 노트,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일정,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레전드(legend),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달성도,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소요자원 등이 있다.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되는 레전드에는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도 3의 오른쪽 가장자리에 있는 레전드들)이 있으며, 그 외에도 노트, 일정, 달성도, 소요 자원 등의 정보가 가지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레전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선택하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해당 레전드가 자동적으로 가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새로운 트리맵을 얻는 과정, 예를 들어, 하와이 여행 중에 선택관광으로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할 예정인지 또 그에 소요되는 비용이 얼마인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트리맵 제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먼저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게 된다(S100).
사용자 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등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임의의 입력수단을 말한다.
예의 경우에는 추출조건으로는 '선택관광'이라는 주제어의 텍스트를 입력하고,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트리맵을 선택한다.
추출조건과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을 입력받는 방법은 프로그램 분야의 기술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할 것이나,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메뉴가 선택되고(S110), 상기 추출메뉴가 선택되면 도 6과 같은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S120), 상기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도록(S130)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조건을 입력하는 상단부와,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을 입력하는 중간부, 옵션을 입력하는 하단부로 이루어진다.
추출조건을 입력하는 상단부에는 기본적인 조건으로 텍스트(Text)가 있고, 보다 상세한 조건으로 텍스트의 글자색(Foreground color), 텍스트의 배경색(Background color),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일정(Schedule),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레전드(Legend),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달성도(Achievement),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소요자원(Resource)이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게 된다. 추출조건 각각이 의미 하는 바는 트리맵 작성 프로그램에 익숙한 당업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텍스트는 주제어의 텍스트만 검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중단부의 'Look in notes' 항목을 첵크하여 주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된 노트를 포함시켜 텍스트가 검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을 입력하는 중간부에는 '0_하와이 여행 최종맵.twd'라는 화일명의 디지털 트리맵이 입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어떤 디지털 트리맵을 화면에 띄운 상태로 추출메뉴를 선택하여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띄우는 경우에는 별도로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현재 편집 중인 디지털 트리맵이 디폴트값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dd...' 버튼을 눌러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Add...' 버튼을 누른 후 폴더를 추출대상으로 추가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그 폴더에 있는 모든 디지털 트리맵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에 추가된다.
옵션을 입력하는 하단부에는 대소문자를 구별하라는 'Match case', 주제어가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를 요구하는 'Match whole word', 검색시 메인 가지를 포함하라는 'Include root node', 폴더를 추출대상에 추가하는 경우에 하위 폴더까지 추가하라는 'Include sub folder', 추출 후 트리맵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가지가 원래 속해 있던 원본 맵으로 클릭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원본 맵을 하이퍼링크하라는 'Hyperlink original map' 등의 항목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추출조건과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이 입력되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중 상기 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지들을 검색한다(S200). 추출조건을 '선택관광',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을 '0_하와이 여행 최종맵.twd'으로 입력한 상태에서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 하단의 'OK'버튼을 누르면 '선택관광'이라는 주제어를 갖는 두 개의 가지가 검색된다.
그 다음에는 검색된 가지와 상기 검색된 가지 아래로 이어지는 하위 단계 가지들과 상기 검색된 가지 위로 이어지는 상위 단계 가지들이 원래의 트리구조를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는 소 트리(mini tree)들을 추출한다(S300). '선택관광'으로 추출된 두 개의 소 트리 중 하나는 '일정(제 1 단계 가지)-6월25일(제 2 단계 가지)-호놀룰루(제 3 단계 가지)-자유시간(제 4 단계 가지)-선택관광(제 5 단계 가지)-매직쇼(제 6 단계 가지)-$80(제 7 단계 가지)'로 되는 소 트리이고, 또 하나는 '일정(제 1 단계 가지)-6월26일(제 2 단계 가지)-호놀룰루(제 3 단계 가지)-자유시간(제 4 단계 가지)-선택관광(제 5 단계 가지)-선셋크루즈(제 6 단계 가지)-$75(제 7 단계 가지)'로 되는 소 트리이다.
다음으로, 추출된 소 트리들을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게 되는데(S400), 이때 추출된 소 트리들을 기존의 디지털 트리맵-예에서는 0_하와이 여행 최종맵.twd- 상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된 소 트리들을 신규 디지털 트리맵의 메인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추출된 소 트리들을 트리맵에 표시하는 경우에 어떤 추출조건에 의해서 추출된 소 트리들인지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를 메인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고, 추출된 소 트리들을 상기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에서는 신규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 하되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를 표시하고 그 아래에 그 추출조건에 의해 추출된 소 트리들을 표시한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7에서는 '선택관광'이라는 주제어 외에도, '호텔', '공항', '관광'이라는 주제어를 추출조건으로 하여 추출된 소 트리들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디지털 트리맵을 통해 하와이 여행에 어떤 선택관광이 있는지, 언제 어떤 호텔을 이용하게 되는지, 언제 어디서 어떤 공항을 이용하게 되는지, 관광 프로그램은 언제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하게 되는지 등,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에서는 일목요연하게 알 수 없었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띄우고 관심 있는 주제어를 입력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관심있는 주제어의 개수만큼의 제 1 단계 가지를 갖는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과는 정보가치가 다른 유용한 디지털 트리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하와이 여행을 관심있는 레전드를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고, 추출조건으로 사용된 레전드는 각각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1
,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2
,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3
이다. 추출조건인 각 레전드에 공통적으로 부기되어 있는 시계 모양의 레전드는 해당 가지(하위 가지 포함)에 일정 정보가 있다는 의미이다.
도 9는 하와이 여행을 식사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며, 추출조건은 각각, '한식', '현지식', '기내식'이라는 주제어이다. 추출조건에 공통적으로 부기된 시계 모양의 레전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해당 가지(하위 가지 포함)에 일정 정보가 있다는 의미이다.
추출조건 간에 차별은 없으므로, 동일한 디지털 트리맵 상에 주제어, 레전드 등 추출조건의 범주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소 트리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것에 더하여, 디지털 트리맵의 가지에 입력된 정보 중의 일정에 관한 정보를 표 형태로 보고 편집할 수 있는 일정창을 생성하고(S500),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S600)이 가능하다.
도 5, 도 7, 도 8, 도 9에는 모두 생성된 일정창이 표시되어 있다.
위의 도면들과 도 9의 트리맵에 해당되는 일정창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보인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창은 일축(도면의 예에서는 상하축) 상에 소 트리별로 상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부터 하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까지 순서에 맞게 표시되고 타축(도면의 예에서는 좌우축) 상에는 각 주제어에 관련된 일정이 그래프로 표시된다.
트리맵과 일정창은 상호 연동되어 있어 디지털 트리맵 상의 가지에 입력된 일정 정보를 변경하면 일정창 상의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가 그에 맞게 변하고, 일정창 상에서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를 변경하면 디지털 트리맵 상의 해당 가지의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추진하는 것과 관련하여 큰 효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3의 트리맵을 본 발명자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는 것을 캡춰한 것이다.
본 트리맵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총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설계', '개발', '테스트' 등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작업을 총괄하는 몇 가지 범주를 제 1 단계 가지로 잡고, 그 아래에 각 제 1 단계 가지에 속하는 여러 작업을 제 2 단계 가지로 잡고, 해당 작업을 담당할 작업자를 제 3 단계 가지로 잡아 트리구조로 표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트리맵으로부터, 예를 들어, 금액이 소요되는 작업(트리맵 작성시 해당 가지에는 레전드로서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4
을 부기 입력하여 두었음), 우선 순위가 1순위인 작업(트리맵 작성시 해당 가지에는 레전드로서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5
을 부기 입력하여 두었음), 전달(post)이 필요한 작업(트리맵 작성시 해당 가지에는 레전드로서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6
을 부기 입력하여 두었음)을 각각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 경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메뉴가 선택되고(S110), 상기 추출메뉴가 선택되면 도 12와 같은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S120), 상기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다(S130).
도 12의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의 상단부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부분에는 레전드가 추출조건으로 첵크되어 있어 레전드로서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7
가 있는 가지를 검색하도록 되어 있고,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을 입력하는 중간부에는 '0_프로젝트개발_원본 맵.twd'라는 화일명의 디지털 트리맵이 입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OK' 버튼을 클릭하면 앞의 하와이 여행 디지털 트리맵에서와 마찬가지의 단계를 거쳐 도 13의 제일 위쪽 제 1 단계 가지 이하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띄운 후 추출조건으로 레전드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8
를 입력하면 도 13의 중간의 제 1 단계 가지 이하가 생성되며,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띄운 후 추출조건으로 레전드
Figure 112007060773116-PAT00009
를 입력하면 도 13의 마지막 제 1 단계 가지 이하가 생성된다.
추출조건인 각 레전드에 공통적으로 부기되어 있는 시계 모양의 레전드는 해당 가지(하위 가지 포함)에 일정 정보가 있다는 의미이다.
도 14는 도 11의 디지털 트리맵을 소요자원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며, 어느 작업과 관련하여 어떤 소요자원이 필요한지가 일목요연하게 표시되는 장점이 있다. 소요자원으로 표시된 'Server PC', '회의실', '작업장', 'Note PC'는 원래의 디지털 트리맵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정의되고 소요자원으로 기재된 것이며, 그에 대해서는 공지이므로 상술하지 않는다.
도 15는 도 11의 디지털 트리맵을 작업자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며, 각각의 작업자가 처리하여야 할 작업을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텍스트의 색이 붉은 색인 것과, 텍스트의 배경색이 노란색인 것으로 분류한 것이며, 텍스트의 색이나 텍스트의 배경색에 대해 정한 약속이 있다면 유용한 분류가 될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사용된 추출조건 간에 차별은 없으므로, 동일한 디지털 트리맵 상에 주제어, 레전드 등 추출조건의 범주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소 트리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앞에서 밝힌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트리맵의 가지에 입력된 정보 중의 일정에 관한 정보를 표 형태로 보고 편집할 수 있는 일정창을 생성하고(S500),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600)는 점은 앞서 말한 바와 같다.
이러한 일정창은 프로젝트 관련 트리맵에서 특히 유용하다.
도 11, 도 13, 도 14, 도 15, 도 16에는 모두 생성된 일정창이 표시되어 있다.
위의 도면들과 도 15의 트리맵(작업자 기준 정리)에 해당되는 일정창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보인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창은 일축(도면의 예에서는 상하축) 상에 소 트리별로 상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부터 하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까지 순서에 맞게 표시되고 타축(도면의 예에서는 좌우축) 상에는 각 주제어에 관련된 일정이 그래프로 표시된다.
트리맵과 일정창은 상호 연동되어 있어 디지털 트리맵 상의 가지에 입력된 일정 정보를 변경하면 일정창 상의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가 그에 맞게 변하고, 일정창 상에서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를 변경하면 디지털 트리맵 상의 해당 가지의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창의 상하축에는 메인 가지를 제외한 최상위 단계 가지(제 1 단계 가지)의 주제어인 '정기찬', '박해동', '최진우'가 구별될 수 있게 표시되고, 예를 들어 '정기찬' 아래로는 '현황 조사 및 분석', '설계', '개발', '수정' 등의 주된 작업인 제 2 단계 가지의 주제어들이 표시되며, 각 제 2 단계 가지 주제어의 아래에는 또 다른 하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가 표시된다.
한편 좌우축에는 예를 들어 '정기찬'이라는 작업자가 관련된 작업들의 일정이 그래프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일정창을 통해 각 작업자는 자신의 전체 일정과 각 작업에 할당된 일정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는 일정이 중복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서는 자신의 작업 일정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작업을 총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예를 들어 그래프의 형태, 각 그래프들간의 관계를 보고 현황조사 또는 제안 및 팀구성에 있어서의 일정이나 자원등을 개발의 목적에 맞게 재조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재조정을 통해 부차적인 목표를 다시 창출해 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큰 효용가치는 학습이나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점에 있다.
도 4는 BC 799년에서 AD 499년까지 대략 1300년에 걸친 로마시대의 연대표를 트리맵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로마시대의 연대표를 트리맵으로 정리하면, 예를 들어, 로마시대에 있었던 주요한 전쟁, 싸움, 원정, 난, 침입등 전쟁 관련 사건과 그 연대를 일목요연하게 트리맵의 형태로 정리하여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다시 입력하여 새로운 트리맵을 제작할 필요없이, 전쟁, 싸움, 원정, 난, 침입이라는 주제어의 텍 스트를 각각 추출조건으로 하고 도 4에 표시된 트리맵이 저장된 디지털 트리맵을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하는 트리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로마시대의 종교에 관련된 사건과 그 연대를 일목요연하게 트리맵의 형태로 정리하여 보고자 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그리스도, 전도, 순교, 바울과 같은 주제어의 텍스트를 각각 추출조건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하는 트리맵을 얻을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도 20의 로마시대의 주요사건에 대한 트리맵을, 도 21의 로마시대의 주요황제에 대한 트리맵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는 자료로부터 전혀 새로운 기준에 따른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특정한 주제를 정하여 논문이나 리포트를 작성하거나 심화학습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램,롬,플로피 디스크,하드디스크,광자기디스크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 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트리맵 제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2는 트리맵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3은 트리맵의 다른 일례를 보인 도면.
도 4는 트리맵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도면.
도 5은 도 2의 트리맵을 작성하는 디지털 트리맵 프로그램의 화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의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5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새로운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5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레전드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새로운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5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또 다른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새로운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의 프로그램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정창의 내용 일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3의 트리맵을 작성하는 디지털 트리맵 프로그램의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2는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의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 면.
도 13은 도 11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레전드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새로운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1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소요자원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새로운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5는 도 11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6은 도 11에 보여진 디지털 트리맵을 색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디지털 트리맵이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7은 도 15의 프로그램 화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정창의 내용 일부를 보인 도면.
도 18은 도 4의 트리맵을 전쟁과 관련된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트리맵을 보인 도면.
도 19은 도 4의 트리맵을 종교와 관련된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트리맵을 보인 도면.
도 20는 도 4의 트리맵을 주요사건과 관련된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트리맵을 보인 도면.
도 21은 도 4의 트리맵을 주요황제와 관련된 주제어를 기준으로 추출하여 제작된 트리맵을 보인 도면.

Claims (18)

  1.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인 가지, 메인 가지에서 발원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계 가지, 제 1 단계 가지에서 발원될 수 있는 제 2 단계 가지 등으로 트리구조가 형성되면서 각 가지 마다 주제어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구성되는 디지털 트리맵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디지털 트리맵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추출조건이 입력되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중 상기 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지들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가지와 상기 검색된 가지 아래로 이어지는 하위 단계 가지들과 상기 검색된 가지 위로 이어지는 상위 단계 가지들이 원래의 트리구조를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는 소 트리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소 트리들을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a2) 상기 추출메뉴가 선택되면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a3) 상기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기존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신규 디지털 트리맵의 메인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를 메인 가지에 연결한 후 추출된 소 트리들을 상기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건은,
    가지 상에 입력된 주제어의 텍스트, 주제어에 연결된 노트의 텍스트, 텍스트의 글자색, 텍스트의 배경색,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일정,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레전드,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달성도,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소요자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은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e)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작된 디지털 트리맵의 가지에 입력된 정보 중의 일정에 관한 정보를 표 형태로 보고 편집할 수 있는 일정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창은,
    일축 상에 소 트리별로 상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부터 하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까지 순서에 맞게 표시되고 타축 상에는 각 주제어에 관련된 일정이 그래프로 표시되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일정창 상에서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를 변경하여 디지털 트리맵 상의 해당 가지의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
  10.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인 가지, 메인 가지에서 발원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계 가지, 제 1 단계 가지에서 발원될 수 있는 제 2 단계 가지 등으로 트리구조가 형성되면서 각 가지 마다 주제어 등의 정보가 입력되어 구성되는 디지털 트리맵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디지털 트리맵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추출조건이 입력되면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중 상기 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지들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가지와 상기 검색된 가지 아래로 이어지는 하위 단계 가지들과 상기 검색된 가지 위로 이어지는 상위 단계 가지들이 원래의 트리구조를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는 소 트리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소 트리들을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출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a2) 상기 추출메뉴가 선택되면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a3) 상기 추출조건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 및 추출조건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기존 디지털 트리맵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추출된 소 트리들을 신규 디지털 트리맵의 메인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를 메인 가지에 연결한 후 추출된 소 트리들을 상 기 추출조건을 나타내는 가지에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조건은,
    가지 상에 입력된 주제어의 텍스트, 주제어에 연결된 노트의 텍스트, 텍스트의 글자색, 텍스트의 배경색,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일정,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레전드,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달성도, 주제어와 관련하여 가지 상에 입력된 업무 소요자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대상 디지털 트리맵은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제 10항에 있어서,
    (e)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작된 디지털 트리맵의 가지에 입력된 정보 중의 일정에 관한 정보를 표 형태로 보고 편집할 수 있는 일정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f)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정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창은,
    일축 상에 소 트리별로 상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부터 하위 단계 가지의 주제어까지 순서에 맞게 표시되고 타축 상에는 각 주제어에 관련된 일정이 그래프로 표시되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일정창 상에서 그래프의 위치와 길이를 변경하여 디지털 트리맵 상의 해당 가지의 일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84473A 2007-08-22 2007-08-22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90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473A KR100908295B1 (ko) 2007-08-22 2007-08-22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473A KR100908295B1 (ko) 2007-08-22 2007-08-22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60A true KR20090020060A (ko) 2009-02-26
KR100908295B1 KR100908295B1 (ko) 2009-07-17

Family

ID=406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473A KR100908295B1 (ko) 2007-08-22 2007-08-22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2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60A1 (ko) * 2011-07-19 2013-01-24 (주)마인드메이플코리아 좌표인식기반 마인드맵 사용자 편집 시스템
WO2014061909A1 (ko) * 2012-10-15 2014-04-24 Lee Ju Hwan 학습 정보 제공방법,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학습용 장치
KR101476768B1 (ko) * 2011-11-23 2015-01-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업 필터링을 이용한 온라인 마인드맵 주제어 자동 추천 방법
KR20150086951A (ko) * 2014-01-21 2015-07-29 정영교 전자 다이어리의 일정정보와 마인드 맵의 연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18021621A1 (ko) * 2016-07-29 2018-02-01 (주)피터앤데이브 이슈 관리 장치
KR102007987B1 (ko) * 2018-02-23 2019-08-06 주식회사 지노테크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2540A1 (en) 2019-08-28 2022-07-06 Gish, Peter, Antony Methods and systems for depiction of project data via transmogrification using fractal-based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53A (ja) * 2003-10-09 2005-04-28 Sharp Corp 検索結果処理装置、検索結果処理方法、検索結果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検索結果処理システム
JP2007164402A (ja) 2005-12-13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検索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KR20070071907A (ko) * 2005-12-30 2007-07-04 (주)광개토연구소 트리 구조를 이용한 특허정보 검색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60A1 (ko) * 2011-07-19 2013-01-24 (주)마인드메이플코리아 좌표인식기반 마인드맵 사용자 편집 시스템
KR101476768B1 (ko) * 2011-11-23 2015-01-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업 필터링을 이용한 온라인 마인드맵 주제어 자동 추천 방법
WO2014061909A1 (ko) * 2012-10-15 2014-04-24 Lee Ju Hwan 학습 정보 제공방법,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학습용 장치
CN104471607A (zh) * 2012-10-15 2015-03-25 天才工厂 提供学习信息的方法,提供学习方法的系统和学习用装置
GB2521800A (en) * 2012-10-15 2015-07-01 Genius Factory Inc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apparatus
KR20150086951A (ko) * 2014-01-21 2015-07-29 정영교 전자 다이어리의 일정정보와 마인드 맵의 연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18021621A1 (ko) * 2016-07-29 2018-02-01 (주)피터앤데이브 이슈 관리 장치
KR102007987B1 (ko) * 2018-02-23 2019-08-06 주식회사 지노테크 노트정리 및 정보공유용 마인드 맵 챗봇지원 서비스 플랫폼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295B1 (ko) 200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295B1 (ko) 디지털 트리맵으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트리맵을 제작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Singh People of India
Fotaki et al. Spirituality, Symbolism and Storytelling in Twentyfirst-Century Organizations: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crisis of imagination
US9026936B2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project management with user interface
US20090177301A1 (en) Scalable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digital media catalog, management and reproduction system
GB2440171A (en) Improvements in data visualisation systems
Dulock et al. Digital collections are a sprint, not a marathon: Adapting Scrum project management techniques to library digital initiatives
Szabo Technique and practice: Shell-working in the western Pacific and Island Southeast Asia
US200501169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family tree
Alexander et al. Contestation in aesthetic fields: Legitimation and legitimacy struggles in outsider art
AU2013224625B2 (en) Data display and data display method
JP2006338099A (ja) 階層構造表示装置、階層構造表示方法、階層構造表示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階層構造表示サーバ、並びに、階層構造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hen Exploratory browsing: enhancing the browsing experience with media collections
Battad et al. Facilitating information exploration of archival library materials through multi-modal storytelling
Huell Toward critical nostalgia: performing African-American genealogical memory
US8010549B2 (en) Method for automatic sequential imaging of selected computer produced dialog boxes with fields for optional entry of data to aid visual retrieval
Marr et al. Making Material Knowledge: Process-led textile research as an active source for design innovation
Kelly et al. Gendered labor in specialized economies: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female and male work
Newman et al. Entrepreneurship in India
Hussain Compelling image-worlds: a pictorial perspective on the epistemology of stone artefact analysis in Palaeolithic archaeology
Savio et al. Visualizing requirements in distributed system development
Connelly et al. Survey stories in the history of British polar exploration: museums, objects and people
US20140205973A1 (en) Interactive genealogical charts
Terry Set-based user interaction
JP4617608B2 (ja) 代替キーワードのフリー設定による検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