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238A -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238A
KR20240048238A KR1020220127802A KR20220127802A KR20240048238A KR 20240048238 A KR20240048238 A KR 20240048238A KR 1020220127802 A KR1020220127802 A KR 1020220127802A KR 20220127802 A KR20220127802 A KR 20220127802A KR 20240048238 A KR20240048238 A KR 20240048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onnector
voltage box
fitt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12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238A/ko
Publication of KR2024004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커넥터본체가 연결시 접지안내부에 의해 커넥터본체에 삽입되는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됨으로써, 접지를 위한 부품의 수를 줄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볼트의 체결로 고정되어 상기 고접압박스와 연결되는 커넥터본체 및 상기 커넥터본체가 상기 고전압박스에 연결시 상기 커넥터본체에 구비된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되도록 안내하는 접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FOR HIGH VOLTAGE BOX}
본 발명은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커넥터본체가 연결시 접지안내부에 의해 커넥터본체에 삽입되는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됨으로써, 접지를 위한 부품의 수를 줄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와이어 하네스 또는/및 전장 부품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장 부품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저전압용과 고전압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 등이 개발되면서 고전압 커넥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 커넥터에는 고전류가 인가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이때 케이블의 주변에는 고전류로 인한 전자파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파 등의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전압 커넥터에는 쉴드쉘이 마련된다.
이때, 고전압 커넥터에는 전자파 차폐용 코어전선이 사용되고, 코어전선의 내부 절연층과 외부 절연층 사이에는 차폐망이 구비되며, 차폐망은 링 형상의 쉴드클립에 의해 쉴드쉘로부터 압착된다.
한편,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 박스에 연결시 고전압 박스의 재질이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쉴드쉘의 통전이 불가능하여 차체로 접지되지 못하므로, 고전압 박스에 쉴드쉘의 접지를 위한 별도의 매개체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의 증가로 인해 원가 및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5181호(2022.08.17. 공개, 명칭: 볼트 인터락 스위칭 방식 고전압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커넥터본체가 연결시 접지안내부에 의해 커넥터본체에 삽입되는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됨으로써, 접지를 위한 부품의 수를 줄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볼트의 체결로 고정되어 상기 고접압박스와 연결되는 커넥터본체 및 상기 커넥터본체가 상기 고전압박스에 연결시 상기 커넥터본체에 구비된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되도록 안내하는 접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텍터본체는 상기 코어전선이 삽입되는 이너하우징과, 상기 코어전선의 차폐망을 고정 가능하게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에 한 쌍이 구비되는 쉴드쉘 및 상기 쉴드쉘이 상기 차폐망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에 끼워지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둘레면에는 수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박스에는 수용홀부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안내부는 상기 끼움결합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지버스바와, 상기 접지버스바에 끼워지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에 형성되는 끼움홀부 및 상기 끼움홀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쉴드쉘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접지버스바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탄성끼움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끼움안내부재는 상기 쉴드쉘에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접지버스바에 끼워지는 끼움공간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복수개가 상호 마주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지버스바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커넥터본체가 연결시 접지안내부에 의해 커넥터본체에 삽입되는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접지를 위한 부품의 수를 줄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에서 접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에서 접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는 커넥터본체(10) 및 접지안내부(20)를 포함한다.
커넥터본체(10)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30)에 볼트(40)의 체결로 고정되어 고전압박스(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커텍터본체(10)는 코어전선이 삽입되는 이너하우징(11)과, 코어전선의 차폐망을 고정 가능하게 커버하도록 이너하우징(11)의 둘레면에 한 쌍이 구비되는 쉴드쉘(12) 및 쉴드쉘(12)이 차폐망을 커버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이너하우징(11)에 끼워지는 아우터하우징(13)을 포함한다.
이때, 이너하우징(11)은 절연 가능한 재질로 성형 제조되고, 코어전선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미널(미도시)을 구비한다.
그리고, 아우터하우징(13)의 둘레면에는 수용홀부(13a)가 형성되고, 고전압박스(30)에는 수용홀부(13a)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3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끼움결합부(31)에는 볼트(40)가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체결홀부(32)가 형성되고, 아우터하우징(13)의 둘레면에는 볼트(40)가 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홀부(13b)가 형성되며, 이너하우징(11)에는 삽입안내홀부(13b)와 체결홀부(32)에 연통되는 연통홀부(11a)가 형성된다.
즉, 커넥터본체(10)에 구비된 아우터하우징(13)의 수용홀부(13a)를 고전압박스(30)의 끼움결합부(31)에 끼우면 볼트(40)가 체결홀부(32)로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홀부(32), 연통홀부(11a) 및 삽입안내홀부(13b)가 상호 일치된다.
또한, 쉴드쉘(12)에는 이너하우징(13)에 걸림 가능하게 안착되고, 아우터하우징(13)에 커버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걸림안착커버부(12a)가 구비된다.
이로써, 걸림안착커버부(12a)는 아우터하우징(13)이 이너하우징(11)에 끼워짐시 이너하우징(11)과 아우터하우징(13)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쉴드쉘(12)을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지안내부는(20)는 커넥터본체(10)가 고전압박스(30)에 연결시 커넥터본체(10)에 삽입되는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접지안내부(20)는 끼움결합부(31)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지버스바(21)와, 접지버스바(21)에 끼워지도록 이너하우징(11)에 형성되는 끼움홀부(22) 및 끼움홀부(22)로 삽입되도록 쉴드쉘(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접지버스바(21)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탄성끼움안내부재(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끼움안내부재(23)는 쉴드쉘(12)의 걸림안착커버부(12a)에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끼움홀부(22)에 삽입되고, 접지버스바(21)에 끼워지는 끼움공간부(23b)를 형성하는 바디부(23a) 및 바디부(23a)에 복수개가 상호 마주도록 형성되어 접지버스바(21)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23c)를 포함한다.
즉, 탄성끼움안내부재(23)가 끼움홀부(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넥터본체(10)에 구비된 아우터하우징(13)의 수용홀부(13a)를 고전압박스(30)의 끼움결합부(31)에 끼우면 접지버스바(21)는 끼움공간부(23b)에 배치되도록 끼움홀부(22)로 삽입되고, 탄성가압부(23c)는 접지버스바(21)에 접촉되도록 접지버스바(21)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한다.
이에 따라, 커텍터본체(10)를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전압박스(30)에 연결시키기만 하면 쉴드쉘(12)은 탄성끼움안내부(23)를 통하여 접지버스바(21)에 자동으로 접지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전압박스(30)에 쉴드쉘(12)과의 접지를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커넥터본체 11: 이너하우징
12: 쉴드쉘 13: 아우터하우징
20: 접지안내부 21: 접지버스바
22: 끼움홀부 23: 탄성끼움안내부재
30: 고전압박스 31: 끼움결합부
32: 체결홀부 40: 볼트

Claims (5)

  1.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전압박스에 볼트의 체결로 고정되어 상기 고접압박스와 연결되는 커넥터본체; 및
    상기 커넥터본체가 상기 고전압박스에 연결시 상기 커넥터본체에 구비된 코어전선의 차폐망이 차체에 접지되도록 안내하는 접지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텍터본체는,
    상기 코어전선이 삽입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코어전선의 차폐망을 고정 가능하게 커버하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에 한 쌍이 구비되는 쉴드쉘; 및
    상기 쉴드쉘이 상기 차폐망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에 끼워지는 아우터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둘레면에는 수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박스에는 수용홀부에 끼워지는 끼움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안내부는,
    상기 끼움결합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지버스바;
    상기 접지버스바에 끼워지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에 형성되는 끼움홀부; 및
    상기 끼움홀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쉴드쉘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접지버스바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탄성끼움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끼움안내부재는,
    상기 쉴드쉘의 연장커버부에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접지버스바에 끼워지는 끼움공간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복수개가 상호 마주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지버스바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박스용 고전압커넥터.
KR1020220127802A 2022-10-06 2022-10-06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KR20240048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802A KR20240048238A (ko) 2022-10-06 2022-10-06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802A KR20240048238A (ko) 2022-10-06 2022-10-06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238A true KR20240048238A (ko) 2024-04-15

Family

ID=9071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802A KR20240048238A (ko) 2022-10-06 2022-10-06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2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2147U (ja) 高電圧コネクタ配置用フィルタアセンブリおよび高電圧コネクタ配置
KR101938932B1 (ko) 전기 커넥터
JP63644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US6991493B2 (en) Shielded wire-connecting structure
KR20200071948A (ko) 통합형 다극 커넥터
US10490931B2 (en) Seal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CN109089389B (zh) 电缆衬套和在机动车辆中的控制装置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H1018914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3222876A (ja) ワイヤハーネス
JP4976185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240048238A (ko) 고전압박스용 고전압 커넥터
KR102251423B1 (ko) 차량용 경량화 고전압 정션블록의 차폐구조
CN111435777B (zh) 电连接器
JP6838711B2 (ja) 2つの回路体への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020155306A (ja) ワイヤハーネス
US11955751B2 (en) Connector
KR20140107773A (ko)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20070035192A (ko) 실드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JP200330893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781289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101872838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2658824B1 (ko) 차폐 커넥터
KR102655225B1 (ko) 차폐전선용 조인트 커넥터
JP7307125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