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833A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833A
KR20240047833A KR1020220127375A KR20220127375A KR20240047833A KR 20240047833 A KR20240047833 A KR 20240047833A KR 1020220127375 A KR1020220127375 A KR 1020220127375A KR 20220127375 A KR20220127375 A KR 20220127375A KR 20240047833 A KR20240047833 A KR 2024004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ehicle
seat belt
contact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2472B1 (ko
Inventor
강현규
홍현기
윤호범
문찬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2012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2472B1/ko
Priority to PCT/KR2023/013721 priority patent/WO2024076026A1/ko
Publication of KR2024004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6Unlocking devices for re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60R2021/01265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0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스핀들의 일측에 배치되고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스티어링 디스크,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가 수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기초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볼, 상기 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유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해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일롯 레버 및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인입 및 인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제조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VEHICLE SENSOR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해서 시트벨트의 인출을 방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벨트 안전 장치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을 스풀에 권취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작동하는 리트랙터와 웨빙의 일단부에 고정된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트랙터는 차량의 사고 등으로 인한 급정차 또는 급가속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착용시 정상 상태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웨빙의 인출 가속도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검출되면 더 이상의 웨빙의 인출을 억제하는 장치 및 웨빙의 느슨함이나 처짐, 즉 슬랙(slack)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장치와 프리 텐셔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권출 및 권입 동작을 제어하는 리트랙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3에 차량 센서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
리트랙터에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 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치 보다 큰 가속도가 작용하거나 차량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시트벨트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가속도나 기울기를 검출하는 차량 센서가 적용된다.
상기 차량 센서에 사용되는 관성체로서 볼을 사용한 것이나 자립 관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센서는 웨빙의 정상적인 감속도보다 높은 감속도 또는 기울기가 차량에 적용되는 위험 상황에서 움직이는 관성체와, 관성체에 의해 이동되어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와 상호 작용하는 센서 레버를 포함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차량 센서는 내부에 중량을 갖는 짐볼을 적용해서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이러한 차량 센서는 시트에 마련된 등받이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면서 차량에 적용되는 시트 및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시트의 등받이가 회전하는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시트에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Belt In Seat, BIS)가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설치된 시트, 예컨대 등받이의 회전 각도가 일정 각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부품 간섭으로 인한 메카니즘의 한계가 발생함에 따라,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받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 측정이 가능한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차량 센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특허번호 6,499,554호 (2002년 12월 31일 등록) 미국 특허번호 6,443,332호 (2002년 9월 3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66844호 (2017년 8월 9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 변화의 측정이 가능한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제조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는 스핀들의 일측에 배치되고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스티어링 디스크,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가 수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기초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볼, 상기 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유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해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일롯 레버 및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인입 및 인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량의 기울기 및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고, 감지된 차량의 기울기 및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에 기초해서 파일롯 레버를 스티어링 디스크에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의하면, 차량 센서 장치에 적용되는 워블 기어와 락캔슬러 레버 및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대상물, 예컨대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제조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유닛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에서 상부 커버와 파일롯 레버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유닛의 예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렉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약칭함)(2)이 감기는 스핀들(3),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유닛(4), 차량 충돌 발생시 웨빙(2)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유닛(5) 및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2)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4)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웨빙(2)의 인출 가속도 변화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한다.
비상 텐셔닝 유닛(5)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의해 화약이 내장된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웨빙(2)을 스핀들(3)에 감아준다. 따라서 비상 텐셔닝 유닛(5)은 차량 충돌시 웨빙(2)을 감아서 웨빙(2)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리 텐셔닝 유닛(6)은 차량에 적용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예측되는 경우,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동해서 웨빙(2)을 스핀들에 감아준다. 즉, 프리 텐셔닝 유닛(6)은 정상적인 주행 상황일 때, 사고의 발생 없이도 차량의 더 강한 가속 또는 감속이 발생할 때까지, 착용된 웨빙(2)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웨빙(2)이 느슨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직전에 웨빙(2)을 감아서 웨빙(2)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핀들(3)은 고정프레임(7)의 내부에 설치되고, 센서유닛(4)과 비상 텐셔닝 유닛(5) 및 프리 텐셔닝 유닛(6)은 고정프레임(7)의 양측에 배치되며, 각 유닛의 외측에는 좌측과 우측 하우징이 결합된다.
즉, 각 유닛(4,5,6)은 스핀들(2)의 양측에 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함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는 차량의 시트에 웨빙(2)을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고정하는 에이엘알 기능과,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록킹 기능을 해제하는 락캔슬링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는 센서 유닛(4)을 이용한 감지 기능을 온, 오프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8)가 센서 유닛(4)에 마련된 볼 하우징(9)의 회전 움직임을 제어하지 않는 경우, 센서 유닛(4)의 중량체와 볼 하우징(9)의 설치 각도는 미리 설정된 각도, 예를 들어 약 0°에서 약 45°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는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중량체와 볼 하우징(9)의 설치 각도가 조절 가능한 각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센서 유닛(4)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는 상기한 에이엘알 기능 및 락캔슬링 기능을 제공하는 유닛들이 다수의 기어를 적용하여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작업시 작업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서 유닛(4)과 에이엘알 및 락캔슬링 기능을 제공하는 유닛들의 연결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고,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시트를 중심으로 스티어링 휠이 설치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시트에 일체로 장착되는 일체형 시트벨트(BIS)에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 시트벨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차량이나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시트벨트 리트랙터로 마련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약칭함)(21)이 감기는 스핀들(20) 및 차량의 기울기 변화 및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이하 '센서 유닛'이라 함)(30)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차량의 충돌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유닛(도면 미도시)과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비상 상황 발생 직전에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유닛(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30)은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센서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센서 유닛(30)을 이용해서 차량의 기울기 변화 및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모두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스핀들(20)은 고정 프레임(22)의 양측벽(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핀들(2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핀들(20)의 외면에는 일측 끝단이 고정된 웨빙(21)이 복수 회 감긴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고정 프레임(22)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핀들(20)은 고정 프레임(22)의 양측벽(23)을 관통해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22)의 일측, 도 3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에는 스핀들(2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22)의 타측, 도 3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에는 센서 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22)의 양단에는 탄성부재(24)와 센서 유닛(30)의 외면을 차폐하는 한 쌍의 커버(2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센서 유닛(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20)의 좌측단에 결합되는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워블 기어(32) 및 센터 기어(33), 센터 기어(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 레버(34), 기울기 변화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센서 하우징(35), 센서 하우징(35)에 중량을 인가하는 중량체(36)와 어댑터(37) 그리고 어댑터(37)의 일단에 연결되는 파일롯 레버(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 유닛(30)은 락캔슬러 레버(50)와 에이엘알 레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핀들(20)의 양측단에는 각각 한 쌍의 결합축(2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스핀들(20)의 우측단에 형성된 결합축(26)에는 탄성부재(24)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핀들(20)의 좌측단에 형성된 결합축(26)은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워블 기어(32)를 관통해서 센터 기어(33)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센터 기어(33)는 결합축(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핀들(20)의 회전에 의해 회전 동작한다. 반면,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워블 기어(32)는 스핀들(20)의 회전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스티어링 디스크(31)는 고정 프레임(2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웨빙(21)이 인출시 또는 인입시에 웨빙(21)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디스크(31)의 외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걸림돌기(311)에서 웨빙(21)의 인입시 파일롯 레버(40)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이엘알 레버(60)의 연장부재(63)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웨빙(21)의 인출시에 파일롯 레버(40) 또는 연장부재(63)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디스크(31)는 파일롯 레버(40) 또는 연장부재(63)가 스티어링 디스크(31)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웨빙(21)의 인입은 가능하고 웨빙(21)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311)는 스티어링 디스크(3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어 파일롯 레버(40)에 의해 신속하게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티어링 디스크(31)는 파일롯 레버(40)와의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스티어링 디스크(31)는 대략 원판 형상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 디스크(31)는 고정 프레임(22)의 좌측에 배치되는 측벽(23)에 결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38)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워블 기어(32)는 베어링 플레이트(38)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락캔슬러 레버(50)와 에이엘알 레버(60)를 회전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워블 기어(32)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워블 기어(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이(齒)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플레이트(38)의 내면, 즉 우측면 중앙부에는 결합축(26)을 지지하는 지지돌부(381)가 돌출 형성되고, 베어링 플레이트(38)의 외면, 즉 좌측면에는 워블 기어(32)의 이가 외접하는 외부 기어부(38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기어부(382)는 워블 기어(32)에 형성된 이의 개수보다 1개 많은 이가 형성되어 제로터(gerotor)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워블 기어(32)는 중심이 외부 기어부(382)의 중심, 즉 결합축(26)과 편심되게 배치되면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워블 기어(32)는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가 외부 기어부(382)의 이와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스핀들(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워블 기어(32)의 판면 일측에는 워블 기어((3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1 연동돌기(321)가 돌출 형성되고, 워블 기어(32)의 판면 타측에는 워블 기어(3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2 연동돌기(3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센터 기어(33)는 워블 기어(32)의 중앙에 삽입되어 결합축(26)에 결합되고, 워블 기어(32)와의 접촉면에서 마찰을 발생시킨다. 즉, 센터 기어(33)의 우측면에는 워블 기어(32)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323)에 결합되는 결합축부(3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축부(331)는 워블 기어(32)에 형성된 삽입공(323)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결합축(26)의 회전에 따른 센터 기어(33)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워블 기어(32)는 베어링 플레이트(38)의 외부 기어부(382) 내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약간씩 유동하면서 외부 기어부(382)의 이와 워블 기어(32)의 이가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 레버(34)는 센터 기어(33)에 결합되는 결합부(341)와 결합부(341)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센서 하우징(35)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연장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41)는 일측이 개구된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일측을 통해 센터 기어(33)의 외주면에 결합된 후, 고정부재(343)에 의해 센터 기어(33)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343)는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342)의 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센서 하우징(35)의 치형부(352)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 플레이트(38)의 일측에는 연장부(342)의 이가 치형부(352)와 해제된 상태에서 클러치 레버(34)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8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35)은 차량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유동하는 볼(351)이 수용되고, 볼(351)의 유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이해, 센서 하우징(35)은 내부에 볼(351)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호 형상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35)의 일측, 도 4에서 보았을 때 좌측부에는 클러치 레버(34)의 연장부(342)에 형성된 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치형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하우징(35)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중량체(36)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부(353)가 좌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센서 하우징(35)의 중앙부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38)와 어댑터(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35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볼(351)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351)의 상부에는 볼(351)의 유동을 지지하는 상부 커버(39)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39)는 볼(351)의 상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부 커버(39)의 일측에는 센서 하우징(35)의 전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39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하우징(35)의 전측부에는 상부 커버(39)의 축부(391)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판(355)이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커버(39)의 축부(391)는 한 쌍의 지지판(355) 사이에 일측, 예컨대 좌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부 커버(39)는 볼(351)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351)의 유동에 의해 축부(391)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중량체(3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하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량체(36)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센서 하우징(35)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부(353)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361)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37)는 베어링 플레이트(38)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공간 형성부(384)에 결합되어 중량체(36)와 센서 하우징(35)의 하부를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공간 형성부(384)는 센서 하우징(35)이 회전 동작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베어링 플레이트(38)의 하부에서 대략 'U'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형성부(384)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고정공(385)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어댑터(37)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하방으로 볼록한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댑터(37)의 상단에는 센서 하우징(35)의 좌측단에 형성된 회전축(354)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37)의 상부에는 파일롯 레버(4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파일롯 레버(40)가 회전 동작하는 회전축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어댑터(37)의 우측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공간 형성부(384)의 각 고정공(385)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돌부(37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파일롯 레버(4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롯 레버(40)의 후단에는 어댑터(37)의 회전축부(371)가 결합되는 통공(41)이 형성되고, 파일롯 레버(4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부 커버(39)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접촉돌부(42)가 하방으로 향해 약간 돌출 형성되며, 제1 접촉돌부(42)의 전측에는 락캔슬러 레버(50)의 경사부재(53)와 접촉되는 제2 접촉돌부(43)가 좌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촉돌부(4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방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경사부재(53)는 제2 접촉돌부(43)의 경사진 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접촉돌부(43)의 경사면 형상은 경사부재(53)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롯 레버(40)의 전단부에는 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44)는 파일롯 레버(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스티어링 디스크(3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311) 중에서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걸려서 스티어링 디스크(31)가 회전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락캔슬러 레버(50)는 워블 기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워블 기어(32)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디스크(31)와 파일롯 레버(40)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스티어링 디스크(3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락캔슬러 레버(50)는 베어링 플레이트(38)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51), 체결부재(51)의 일측에서 워블 기어(3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연동홈(521)이 형성된 제1 연동부재(52) 및 체결부재(51)의 일단부에서 파일롯 레버(40)를 향하도록 전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일롯 레버(40)의 제2 접촉돌부(43)와 접촉되는 경사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51)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워블 기어(32)와 근접한 위치의 베어링 플레이트(38) 판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동부재(52)는 체결부재(51)의 일측에서 워블 기어(32)를 향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워블 기어(32)에 형성된 제2 연동돌기(322)의 이동에 연동해서 락캔슬러 레버(5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연동돌기(322)가 원활하게 제1 연동부재(52)와 접촉 및 분리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제1 연동부재(52)의 단부에는 제2 연동돌기(322)가 삽입 및 분리되는 연동홈(52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재(53)는 체결부재(51)의 일단부에서 파일롯 레버(40)를 향하여 전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재(53)는 락캔슬러 레버(50)의 회전에 의해 파일롯 레버(40)의 제2 접촉돌부(43)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면, 스티어링 디스크(3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1)와 접촉된 파일롯 레버(4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파일롯 레버(40)와 걸림돌기(31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웨빙(21)의 인출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에이엘알 레버(60)는 락캔슬러 레버(50)와 연동되거나 워블 기어(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일측이 스티어링 디스크(31)의 일측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스티어링 디스크(31)의 회전 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에이엘알 레버(60)는 차량의 시트에 웨빙(21)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설치 시, 웨빙(21)을 끝까지 인출시키면 회전 동작하여, 웨빙(21)의 인입은 가능하고, 웨빙(21)의 인출은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에이엘알 레버(60)는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상시 접촉되어 사용자가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차량의 시트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견고하게 시트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엘알 레버(60)는 베어링 플레이트(38)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체결링(61), 체결링(61)의 일측에서 워블 기어(3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연동돌부(62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락캔슬러 레버(50)의 후단과 접촉되는 접촉돌부(622)가 돌출 형성된 제2 연동부재(62) 및 체결링(61)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접촉 및 분리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31)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연장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링(61)은 워블 기어(32) 및 락캔슬러 레버(50)와 근접한 위치의 바디(31)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대략 링 형상의 부재로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체결링(61)은 에이엘알 레버(60)가 제2 연동돌기(323) 또는 락캔슬러 레버(50)와 연동하여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제2 연동부재(62)는 실질적으로 제2 연동돌기(323)와 락캔슬러 레버(50)와 접촉되어 연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연동부재(62)의 일단에는 제2 연동돌기(323)와 접촉되는 연동돌부(6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 연동부재(62)의 타측에는 락캔슬러 레버(50)와 접촉되는 접촉부재(6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재(63)는 체결링(61)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접촉 및 분리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31)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연장부재(63)는 단부가 워블 기어(32)의 외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63)의 단부는 워블 기어(32)의 외면에 형성된 제1 연동돌기(321)와 접촉시에 워블 기어(32)의 회전 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워블 기어(32)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제2 연동돌기(323)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견고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에 적용되는 워블 기어와 락캔슬러 레버 및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대상물, 예컨대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제조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에서 상부 커버와 파일롯 레버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의 (a) 내지 (c)에는 각각 상부 커버의 각도가 0°, 45°, 60°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차량 센서 장치(30), 즉 센서유닛(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등받이의 전후 방향 회전 동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센서 하우징(35)은 항상 연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센서 하우징(35)이 등받이가 기울어지기 전 연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 레버(34)가 회전하여 센서 하우징(35)의 치형부(352)와 접촉되어 센서 하우징(35)을 지지한다.
웨빙(21)이 인출되기 전 클러치 레버(34)의 연장부(342) 단부가 센서 하우징(35)의 치형부(352)와 분리된 상태에서, 웨빙(21)이 인출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센터 기어(33)가 회전하고, 센터 기어(33)에 의해 워블 기어(32)가 회전한다. 그래서 클러치 레버(34)는 센터 기어(33)와 연결되고,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고정부재(343)의 장력에 의해 센터 기어(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워블 기어(32)에 형성되는 제1 연동돌기(321)에 의해 센서 하우징(35)의 치형부(352)와 접촉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정차 중이거나 혹은 정상적으로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 경우에는 볼(351)과 상부 커버(39)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파일롯 레버(40)는 상부 커버(39)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웨빙(21)은 자유롭게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갑작스런 외력이 가해지거나 혹은 차량이 급커브 구간을 통과하면서 차량이 폭방향을 따라 기울어지는 경우, 센서 하우징(33) 내부에 배치된 볼(351)이 유동하면서 상부 커버(39)가 축부(39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부 커버(39)의 상면에 접촉된 파일롯 레버(40)는 후단의 통공(41)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파일롯 레버(40)가 회전하면서 파일롯 레버(40) 전단의 경사부(44)가 스티어링 디스크(31)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311) 중에서 어느 하나와 걸림에 따라, 웨빙(21)이 인출되지 않도록 락킹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볼 및 센서 하우징을 이용해서 차량의 기울기와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 및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고, 파일롯 레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 파일롯 레버(40)의 제1 접촉돌부(42)는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9)의 각도가 0°, 45°, 60°인 경우 모두에서 상부 커버(39)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파일롯 레버(40)의 경사부(44) 끝단은 스티어링 디스크(31)의 걸림돌기(311)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의해 차량 센서 장치가 회전해서 배치되는 각도와 무관하게 파일롯 레버를 정상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30)가 시트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의해 변경되는 배치각도가 대략 0°내지 60° 범위에서 모두 파일롯 레버(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하도록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센서 하우징(35)을 고정해서 락캔슬러 기능을 활성화(on)하는 경우, 워블 기어(32)는 도 6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락캔슬러 레버(50)의 제1 연동부재(52)는 제2 연동돌기(322)에 의해 후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락캔슬러 레버(50)는 체결부재(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경사부재(53)의 선단은 파일롯 레버(40)의 제2 접촉돌부(43)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파일롯 레버(40)의 전단에 마련된 경사부(44)는 파일롯 레버(40) 후단의 통공(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31)의 걸림돌기(311)와 분리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웨빙(21)은 탑승자의 조작력에 의해 자유롭게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 락캔슬러 기능을 해제(off)하는 경우, 워블 기어(32)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락캔슬러 레버(50)의 제1 연동부재(52)는 제2 연동돌기(322)에 의해 전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락캔슬러 레버(50)는 체결부재(5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경사부재(53)의 선단은 파일롯 레버(40)의 제2 접촉돌부(43)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파일롯 레버(40)는 볼(351)의 유동에 따른 상부 커버(39)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디스크(31)의 걸림돌기(311)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에이엘알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워블 기어(32)는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에이엘알 레버(60)에서 제2 연동부재(62)의 연동돌부(621)는 제1 연동돌기(321)에 의해 후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에이엘알 레버(60)는 체결링(6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장부재(63)는 스티어링 디스크(31)의 걸림돌기(311)와 접촉되어 스티어링 디스크(31)의 회전 운동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에이엘알 레버(60)는 차량의 시트에 웨빙(21)을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 설치 시, 웨빙(21)을 끝까지 인출시킨 상태에서 웨빙(21)의 인입은 가능하고, 웨빙(21)의 인출은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에이엘알 레버(60)는 스티어링 디스크(31)와 상시 접촉되어 사용자가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차량의 시트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견고하게 시트에 고정할 수 있다.
반면, 에이엘알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 워블 기어(32)는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락캔슬러 레버(50)의 제1 연동부재(52)는 제2 연동돌기(322)에 의해 후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락캔슬러 레버(50)는 체결부재(5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에이엘알 레버(60)에서 제2 연동부재(62)의 접촉돌부(622)는 락캔슬러 레버(5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때, 에이엘알 레버(60)는 체결링(6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장부재(63)는 스티어링 디스크(31)의 걸림돌기(311)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에이엘알 기능이 해제되면, 스티어링 디스크(31)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에 적용되는 워블 기어와 락캔슬러 레버 및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대상물, 예컨대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제조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시트의 등받이에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뿐만 아니라, 차체, 예컨대 차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필러,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루프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겸용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차량 센서 장치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센서 유닛(4)과 에이엘알 및 락캔슬링 기능을 제공하는 유닛들의 연결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고,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확장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에 적용된다.
1: 시트벨트 리트랙터
2: 시트벨트 웨빙 3: 스핀들
4: 센서 유닛 5: 비상 텐셔닝 유닛
6: 프리 텐셔닝 유닛 7: 고정프레임
8: 클러치 레버 9: 볼 하우징
10: 시트벨트 리트랙터
20: 스핀들 21: 시트벨트 웨빙
22: 고정 프레임 23: 측벽
24: 탄성부재 25: 커버
26: 결합축
30: 센서 유닛
31: 스티어링 디스크 311: 걸림돌기
32: 워블 기어 321,322: 제1, 제2 연동돌기
323: 삽입공
33: 센터 기어 331: 결합축부
34: 클러치 레버 341: 결합부
342: 연장부 343: 고정부재
35: 센서 하우징 351: 볼
352: 치형부 353: 결합돌부
354: 회전축 355: 지지판
36: 중량체 361: 결합공
37: 어댑터 371: 회전축부
372: 고정돌부
38: 베어링 플레이트 381: 지지돌부
382: 외부 기어부 383: 스토퍼
384: 공간 형성부 385: 고정공
39: 상부 커버 391: 축부
40: 파일롯 레버 41: 통공
42,43: 제1,제2 접촉돌부 44: 경사부
50: 락캔슬러 레버 51: 체결부재
52: 제1 연동부재 521: 연동홈
53: 경사부재
60: 에이엘알 레버 61: 체결링
62: 제2 연동부재 621: 연동돌부
622: 접촉돌부 63: 연장부재

Claims (6)

  1. 스핀들의 일측에 배치되고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스티어링 디스크,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가 수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기초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볼,
    상기 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유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해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일롯 레버 및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인입 및 인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의 회전 방향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워블 기어,
    상기 워블 기어를 관통해서 상기 스핀들의 결합축에 결합되는 센터 기어 및
    상기 센서 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워블 기어에 의해 회전해서 상기 센서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 클러치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블 기어에는 상기 클러치 레버를 회전 동작시키는 제1 연동돌기와,
    상기 락캔슬러 레버를 회전 동작시키는 제2 연동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레버는 상기 상부 커버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접촉돌부와
    상기 락캔슬러 레버와 접촉되는 제2 접촉돌부 및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가 회전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제어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캔슬러 레버는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워블 기어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연동홈이 형성된 제1 연동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파일롯 레버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일롯 레버의 제2 접촉돌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의 일측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의 회전 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에이엘알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이엘알 레버는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링,
    상기 체결링의 일측에서 상기 워블 기어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연동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락캔슬러 레버와 접촉되는 접촉돌부가 돌출 형성된 제2 연동부재 및
    상기 체결링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의 회전 운동을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기울기 및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고,
    감지된 차량의 기울기 및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에 기초해서 파일롯 레버를 스티어링 디스크에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0220127375A 2022-10-05 2022-10-05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0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375A KR102702472B1 (ko) 2022-10-05 2022-10-05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PCT/KR2023/013721 WO2024076026A1 (ko) 2022-10-05 2023-09-13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375A KR102702472B1 (ko) 2022-10-05 2022-10-05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833A true KR20240047833A (ko) 2024-04-12
KR102702472B1 KR102702472B1 (ko) 2024-09-05

Family

ID=9060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375A KR102702472B1 (ko) 2022-10-05 2022-10-05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02472B1 (ko)
WO (1) WO20240760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845A (ja) * 2009-01-21 2010-08-05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4234108A (ja) * 2013-06-04 2014-12-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1766844B1 (ko) 2016-06-10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2439218B1 (ko) * 2021-11-30 2022-09-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111B2 (ja) * 1998-07-15 2007-08-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加速度センサ
KR100468923B1 (ko) * 2001-09-27 2005-02-0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JP6584181B2 (ja) * 2015-07-16 2019-10-02 芦森工業株式会社 加速度センサー及び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845A (ja) * 2009-01-21 2010-08-05 Autoliv Development Ab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14234108A (ja) * 2013-06-04 2014-12-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1766844B1 (ko) 2016-06-10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2439218B1 (ko) * 2021-11-30 2022-09-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2472B1 (ko) 2024-09-05
WO2024076026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8658A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inertial device activated by two stimuli
KR10243921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H0237644Y2 (ko)
CN110139783B (zh) 儿童座椅检测装置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KR102551626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49624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47833A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57380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EP4357205A1 (en) Vehicle sensor device and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same
JP2003048508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0817138B1 (ko) 비클 센싱부를 이용한 록 캔슬러를 구비한 차량용시트벨트의 리트랙터
KR102673190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551632B1 (ko) 차량 센서 장치
KR10266460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US3999722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dual sensitive, commonly mounted, actuating mechanism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08039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30140813A (ko) 에이엘엔 커버 회전구속장치
KR102656771B1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4598B1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S6335464B2 (ko)
KR20230140812A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550132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24506471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