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190B1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190B1 KR102673190B1 KR1020220088225A KR20220088225A KR102673190B1 KR 102673190 B1 KR102673190 B1 KR 102673190B1 KR 1020220088225 A KR1020220088225 A KR 1020220088225A KR 20220088225 A KR20220088225 A KR 20220088225A KR 102673190 B1 KR102673190 B1 KR 102673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vehicle
- sensor
- seat belt
- pilot le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6—Unlocking devices for retr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바디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기초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레버, 상기 센서 레버와 결합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 레버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해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일롯 레버 및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인입 및 인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해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벨트 장치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을 스풀에 권취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작동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와, 웨빙의 일단부에 고정된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량의 사고 등으로 인한 급정차 또는 급가속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착용시 정상 상태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차량의 기울기 또는 가속도 변화가 검출되면 더 이상의 웨빙의 인출을 억제하고, 웨빙의 느슨함이나 처짐, 즉 슬랙(slack)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장치와 프리 텐셔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제어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체, 예컨대 차량의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마운팅 자세는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항상 수평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며, 수평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최근,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는 등받이의 전후 방향 두께(이하 '두께'라 약칭함)를 얇게 설계해서 슬림하게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슬림형 시트에는 시트와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Belt In Seat, BIS) 장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시트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등받이를 후방으로 최대 180°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설치대상, 즉 시트의 등받이나 차체 등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웨빙의 인출 방향이 상시 고정된다.
즉,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에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의 등받이에 스핀들이 자동차의 좌우 방향, 즉 등받이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됨에 따라, 스핀들에 감긴 웨빙의 길이가 증가하면,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후 방향 폭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스핀들에 웨빙이 최대로 감기는 폭에 대응되는 장착공간을 필요로 함에 따라, 시트의 슬림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림형 시트와 같이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웨빙의 인입 및 인출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차량 센서는 내부에 중량을 갖는 짐볼을 적용해서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이러한 차량 센서는 시트에 마련된 등받이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설치된 시트, 예컨대 등받이의 회전 각도가 일정 각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짐볼과 연결된 센서레버가 파일롯 레버를 제어하지 못함에 따라,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받이의 회전 동작으로 인한 비정상 작동 범위를 최소화해서 정상 작동이 가능한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차량 센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피를 감소시켜 좁은 공간에도 장착 가능한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바디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기초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레버, 상기 센서 레버와 결합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 레버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해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일롯 레버 및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인입 및 인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레버는 상기 바디와 센서 하우징 사이에 수평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경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락캔슬링 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을 포함하고, 감지된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기초해서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디스크에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의하면, 차량 센서 장치가 설치되는 장착 대상물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 레버와 유동부재를 설치하고,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른 볼의 이동에 의해 센서 하우징에 결합된 센서 레버를 회전동작시켜 센서 레버와 연결된 파일롯 레버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롯 레버에 경사 구조를 적용해서 센서 하우징이 회전하더라도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함으로써, 스티어링 디스크와의 접촉 및 결합에 의한 락킹 성능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바디와 커버가 분리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각각 차량 센서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파일롯 레버와 락캔슬러 레버의 동작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바디와 커버가 분리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각각 차량 센서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파일롯 레버와 락캔슬러 레버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의 (a)에는 시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시트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의 시트를 기준으로 스티어링 휠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약칭함)(21)이 감기는 스핀들 모듈(20),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30) 및 차량의 충돌 발생시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적용되는 각 부품을 기능 블록별로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각 부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스핀들 모듈(20)과 센서 모듈(30),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추가 기능 모듈은 탑승자의 체격 조건이나 체중 등에 따라 웨빙(21)에 작용하는 부하를 조절하는 부하 조절 모듈(60)과, 각 모듈을 기계적으로 연결해서 각 모듈 구동시 발생하는 힘을 스핀들 모듈(20)로 전달하는 연결 모듈(70)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핀들 모듈(20)에는 해당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상대적으로 체중이 무거운 성인 남성인 경우, 상대적으로 큰 고부하를 스핀들(22)에 제공하는 고레벨 부하 리미터(high level load limiter)로서 제1 리미터(2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부하 조절 모듈(60)에는 해당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상대적으로 체중이 가벼운 여성이나 소아인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저부하를 스핀들(22)에 제공하는 저레벨 부하 리미터(low level load limiter)로서 제2 리미터(61)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모듈(70)은 각 모듈, 예컨대 비상 텐셔닝 모듈(4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에서 발생하는 힘을 스핀들 모듈(20)로 전달하도록, 각 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연결 모듈(70)은 각 장치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와 각 기어가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각 기어와 회전축의 외면을 차폐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 모듈(20)과 센서 모듈(30)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를 구성하는 기본 모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로 제조되어 조립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센서 모듈(30)은 차량의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센서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센서 모듈(30)을 이용해서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모두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스핀들 모듈(20)에는 외면에 웨빙(21)이 감기는 스핀들(22)이 마련된다.
스핀들 모듈(20)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차량의 기울기 또는 가속도 변화가 발생하면, 웨빙(21)을 감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스핀들 모듈(20)은 센서 모듈(30)과 조합되어 유아용 시트(child seat)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 구간에서 웨빙을 인입만 시키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웨빙(21)이 인출되는 방향을 상방(U)으로 설정하고, 스핀들(22)이 장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F,B)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림화된 시트에 장착하기 위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두께, 즉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각 모듈은 스핀들 모듈(20)의 두께, 즉 전후 방향 폭을 기준으로 스핀들 모듈(2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모듈은 스핀들 모듈(20)을 중심으로 스핀들 모듈(20)의 측면, 즉 우측이나 좌측, 또는 스핀들 모듈(20)의 상부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모듈(20)의 좌측에는 프리 텐셔닝 모듈(50)이 배치되고, 스핀들 모듈(20)의 우측에는 센서 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스핀들 모듈(20)의 우측에 배치되고,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스핀들 모듈(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스핀들 모듈(20)의 좌측이나 우측에 배치되고, 센서 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스핀들 모듈(2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스핀들 모듈(20)을 제외한 나머지 모듈들, 즉 센서 모듈(30),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60,70)은 스핀들(22)을 축으로 하는 스핀들 모듈(20)을 기준으로 스핀들(22)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나머지 모듈들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연결 모듈(7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스핀들(22) 측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나머지 모듈들의 구동축은 스핀들(22)을 기준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직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사양,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사양 등 필요에 따라 상기한 모듈 중에서 일부, 예컨대 프린 텐셔닝 모듈(50)을 제외하거나, 추가적인 기능 모듈을 더 조합해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스핀들 모듈(20)을 제외한 나머지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의 등받이(12)에 장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전후 방향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스핀들 모듈(20)과 동일한 두께 또는 스핀들 모듈(2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핀들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듈들을 스핀들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함에 따라, 스핀들에 감기는 시트벨트 웨빙의 감김량(또는 적재량) 및 두께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서 스핀들이 설치되는 전후 방향의 폭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각 모듈의 두께를 최소한의 두께로 제조하고, 스핀들 모듈(20)을 기준으로 나머지 모듈을 스핀들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해서 슬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해서 좁은 공간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조합된 각 모듈은 각 모듈에 마련된 축이 모두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또는 직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래서 각 모듈은 상기한 연결 모듈(70)과 같이, 기어나 체인, 벨트 등의 동력전달유닛을 이용해서 동력을 연속적으로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의해 화약이 내장된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웨빙(21)을 스핀들(22)에 감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차량 충돌시 웨빙(21)을 감아서 웨빙(21)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차량에 적용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예측되는 경우,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동해서 웨빙(21)을 스핀들(22)에 감는 기능을 한다. 즉,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정상적인 주행 상황일 때, 사고의 발생 없이도 차량의 더 강한 가속 또는 감속이 발생할 때까지, 착용된 웨빙(21)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웨빙(21)이 느슨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직전에 웨빙(21)을 감아서 웨빙(21)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모듈(20)의 전후 측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23)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브래킷(23,24)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및 제2 브래킷(23,24)의 일측, 즉 좌측 하단에는 웨빙(21)이 인출되는 인출공간(2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래킷(23)은 스핀들 모듈(20)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2 브래킷(24)은 스핀들 모듈(24)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래킷(23)은 스핀들 모듈(2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판 형상이나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래킷(24)은 스핀들 모듈(24)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이나 다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브래킷(24)의 중앙에는 스핀들(22)의 후측에 배치되는 스핀들 기어가 설치되는 설치공(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래킷(24)의 후측에는 스핀들(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27)이 결합될 수 있다.
인출공간(26)에는 스핀들(22)에 인입되거나 또는 스핀들(22)에서 인출되는 웨빙을 가이드하는 웨빙 가이드(28)가 마련되고, 인출공간(26)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9)가 마련되며, 각 가이드 프레임(29)의 후단에는 제2 브래킷(24)과 결합되는 브래킷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웨빙 가이드(28)는 웨빙(21)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시 회전 동작에 의해 웨빙(21)이 원활하게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가이드하고, 웨빙(21)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출공간(26)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웨빙 가이드(28)는 스핀들(22)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1 및 제2 브래킷(23,24)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281)와 양단이 회전부재(281)의 양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28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재(281)와 회전핀(282)을 일체로 마련해서 웨빙(21)의 인출 각도 및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브래킷 결합부는 제2 브래킷(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 또는 다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래킷 결합부의 중앙에는 상기 스핀들 기어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 결합부는 제2 브래킷(24)과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체결돌부를 이용해서 볼트 방식이나 용접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2 브래킷(24)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9)은 웨빙 가이드(28)가 상방과 하방으로 최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 전체(10)의 전후 방향 폭은 스핀들 모듈(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브래킷(23,24) 사이의 거리 또는 제1 브래킷(23)과 제2 브래킷(24)에 장착되는 탄성모듈(27)의 외측판 사이의 거리로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 전체의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해서 장착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켜 좁은 공간에도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운전석 측뿐만 아니라, 구성의 변경없이 조수석 측에도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작업자는 웨빙(21)의 일단을 스핀들(22) 내부에 형성된 내부 벽체에 1회 감을 수 있도록, 대략 원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서로 겹쳐진 부분과 재봉한다. 이어서, 상기 원 형상 부분은 상기 내부 벽체에 결합되어 스핀들(22) 내부에 고정되고, 웨빙(21)의 타단은 스핀들(22)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스핀들 모듈(20)은 기준 플레이트(80)의 전면에 결합되고, 스핀들 모듈(20)을 기준으로 센서 모듈(30),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 예컨대 부하 제한 모듈(60)과 연결 모듈(70)을 기준 플레이트(80)에서 미리 선정된 위치에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시트(11)의 등받이(12)나 차체 패널 등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고, 자동차의 주행 과정에서 충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웨빙(21)의 인출 동작을 억제해서 탑승자를 구속하여 안전하게 보호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0)가 적용된 시트벨트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를 고정하는 띠 형상의 웨빙(21), 시트(11)의 등받이(12)에 장착되어 필요시 웨빙(21)을 권취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 웨빙(21)의 인출된 단부에 설치되는 벨트텅(110) 및 벨트텅(11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120)을 포함한다.
시트(11)의 등받이(12)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스핀들 모듈(20)에서 등받이(12)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웨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후측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 상단부의 대략 중앙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12)의 상단에서 일정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거나, 등받이(12)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공간(13)은 차체, 즉 필러나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천정이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서 인출된 웨빙(21)이 가이드 부재(14)를 향해 배치되는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는 등받이(12)의 일측 상단, 예컨대 운전석 시트(11)에 적용되는 경우, 등받이(12)의 좌측면 상부와 상면 우측부의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웨빙(21)은 양단이 스핀들(22)에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감긴 상태에서 장착공간(13)과 인출된 웨빙(21)이 다양한 각도로 변경되어 배치되는 배치공간(15)을 통해 등받이(12) 외부로 인출되고,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양단이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인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빙(21)은 등받이(12)에 마련된 장착공간(12)과 등받이(1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4) 사이에서 인출 방향 및 인출 각도가 조절되는 자율웨빙 조절부(211)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즉, 자율웨빙 조절부(211)는 스핀들(22)과 가이드 부재(14) 사이, 즉 배치공간(15) 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양단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서 인출되는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함께, 자율웨빙 조절부(211)는 가이드 부재(14)의 위치에 따라 스핀들(22)에서 가이드 부재(14)를 향해 인출되는 각도 및 방향이 조절되고, 웨빙(21)은 시트(11)의 등받이(12)에서 벨트텅(110)을 향해 인출되는 각도 및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시트의 등받이에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뿐만 아니라, 차체, 예컨대 차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필러,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루프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겸용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스핀들(22)은 장착 대상에 마련된 장착 공간(12)에 따라 장착 방향이 설정되어 배치되고,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스핀들(22)에 감기는 웨빙(21)의 감김량과 무관하게 상기 장착 방향을 따르는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 대상에 따라 설치 방향과 각도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트벨트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과 각도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바디와 커버가 분리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 센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 즉 센서 모듈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31), 바디(31)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32), 바디(31)의 내부에 바디(31)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의해 바디(31)의 폭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삽입공(331)이 관통 형성된 센서 하우징(33),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 하우징(33)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동부재(34), 유동부재(34)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센서 하우징(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레버(35), 센서 레버(35)와 결합되며 센서 하우징(33)의 내부에서 센서 레버(35)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 왕복 이동하는 파일롯 레버(36)를 포함한다.
센서 하우징(33)은 바디(31)의 폭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센서 레버(35)가 센서 하우징(33)과 함께 회전되더라도 센서 레버(35)와 파일롯 레버(36)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유지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는 일면이 개구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이나 삼각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디(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볼트 등을 체결해서 바디(31)를 스핀들 모듈(20)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돌부(3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디(31)의 내부에는 센서 하우징(3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디(31)의 일측, 즉 좌측에는 결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12)는 바디(31)와 연결되는 우측면에 파일롯 레버(36)가 돌출되는 통로부(313)가 형성되어 파일롯 레버(36)의 몸체부(361)가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바디(31)의 일측에는 파일롯 레버(36)와의 접촉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운동이 구속되는 스티어링 디스크(81)가 설치되고, 스티어링 디스크(81)의 일측에는 유동부재(3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31)의 일측 단부에는 클러치 레버(83)가 설치될 수 있다.
클러치 레버(83)는 유동부재(34)의 판면과 판면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평판부(831)와, 평판부(831)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센서 하우징(33)의 하부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센서 하우징(33)이 바디(31)가 기울어지기 전의 연직 방향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연장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스티어링 디스크(81)와 유동부재(34) 및 클러치 레버(83)의 중심에는 스프링 카세트 축(84)이 체결되어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커버(32)의 일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리브(321)가 바디(31)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바디(31)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결합리브(321)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31)와 커버(32)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스핀들(22)이 설치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시트(11)의 등받이(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33)은 바디(31)와 커버(32)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하는 바디(3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센서 하우징(33)의 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부재(34)의 돌출부재(344)가 삽입되는 삽입공(3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31)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센서 하우징(33)의 우측단에는 파일롯 레버(36)가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관통공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83)의 연장부(317)와 접촉되는 센서 하우징(33)의 하부에는 톱니(333)가 대략 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33)은 바디(3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나 시트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센서 하우징(33)이 회전하는 각도는 바디(31)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의 기울기를 0°라고 했을때, + 90°내지 - 90°의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 하우징(33)이 바디(3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이 경사로에서 기울어지거나 또는 탑승자의 기호에 따라 등받이(12)를 원하는 만큼 후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바디(31)의 내부공간에서 센서 하우징(33)은 항상 연직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유동부재(34)의 유동에 따라 파일롯 레버(36)가 연동해서 직선 왕복 운동하여 웨빙(21)의 락킹 동작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센서 하우징(33)이 회전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바디(31)와 커버(32)가 등받이(12)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 동작하고, 센서 하우징(33)은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부재(34)에 마련되는 볼(345)의 중량에 의해 항상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유동부재(34)는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 하우징(33) 내부에서 유동하여 파일롯 레버(36)가 정확하게 직선 왕복 운동해서 센서 하우징(33)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락킹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동부재(34)는 센서 하우징(33)의 저면에 안착되는 평탄부재(342), 평탄부재(34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346)을 형성하는 고리 형상의 고리부재(343), 평탄부재(342)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331)에 삽입되는 돌출부재(344)로 구성되는 지지부(341) 및 고리부재(34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유동돌기(351)(345)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재(342)는 센서 하우징(33)의 저면 상부에 안착되어 유동돌기(351)(345)을 일정한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자유 회전시에 센서 하우징(33)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재(343)는 평탄부재(342)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탄부재(342)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평탄부재(342)의 상면과 고리부재(343)의 하면 사이에 이격공간(3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346)을 통해 센서 레버(35)가 설치되고, 센서 레버(35)의 상면과 하면에는 이격공간(346)에 배치되는 유동돌기(3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유동부재(34)의 유동에 따라 센서 레버(35)의 단부가 승하강 이동할 수 있다.
고리부재(343)는 내부에 볼(345)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대략 원 형상의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재(344)는 평탄부재(342)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센서 하우징(33)에 형성된 삽입공(33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래서 유동부재(34)는 센서 하우징(33)의 내부에 직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재(34)가 센서 하우징(33)의 내부에서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재(344)의 직경은 삽입공(3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345)은 센서 하우징(33) 내부의 설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 공간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볼(345)은 지지부(341)의 고리부재(343)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 하우징(33)의 내부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지지부(341)의 돌출부재(344)가 돌출부재(344)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센서 하우징(33)의 삽입공(33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래서 볼(345)은 센서 하우징(33)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해서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레버(35)의 중앙 부분은 센서 하우징(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센서 레버(35)의 일단은 파일롯 레버(36)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레버(35)의 타단에는 이격공간(346)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이격공간(346)의 상면 및 하면과 접촉되어 센서 레버(35)를 회전시키는 유동돌기(35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유동돌기(351)의 상면과 하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센서 레버(35)와 점접촉될 수 있다. 그래서 센서 레버(35)는 원활하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레버(35)는 유동부재(34)와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유동부재(34)를 구성하는 볼(345)의 전후좌우 방향 이동에 의하여 센서 하우징(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영역을 중심으로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 동작할 수 있다.
파일롯 레버(36)는 바디(31)의 통로부(313)와 센서 하우징(33)에 형성된 관통공부(33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일롯 레버(36)는 바디(3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파일롯 레버(36)의 걸림턱(362)이 스핀들 모듈(20)과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스티어링 디스크(8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와 걸림에 따라, 스핀들 모듈(20)은 웨빙(21)이 인출되지 않도록 락킹 동작한다.
반면, 파일롯 레버(36)가 바디(31)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파일롯 레버(36)와 스티어링 디스크(81)와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웨빙(21)이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다.
파일롯 레버(36)는 바디(31)에 형성된 통로부(313)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로부(313)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파일롯 레버(36)의 단부에는 걸림턱(362)이 돌출 형성되고, 파일롯 레버(36)는 통로부(313)를 통해 바디(31)의 내부로 돌출시에 걸림턱(362)이 스티어링 디스크(81)의 일측과 접촉되어 스티어링 디스크(81)의 회전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결합유지부(37)는 센서 하우징(33)이 바디(31)의 폭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센서 레버(35)가 센서 하우징(33)과 함께 회전되더라도 센서 레버(35)와 파일롯 레버(36)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결합유지부(37)는 센서 레버(35)가 바디(31)의 폭방향을 따라 회전한 상태에서 센서 레버(35)가 센서 하우징(33)의 내부에서 회전하면, 센서 레버(35)와 결합된 파일롯 레버(36)의 결합 위치가 승강 이동하면서 파일롯 레버(36)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공간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공간부(371)에 의해 센서 레버(35)와 파일롯 레버(36)는 센서 레버(35)가 센서 하우징(33)의 회전 의해 함께 회전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결합을 유지해서 파일롯 레버(36)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결합유지부(37)는 센서 레버(35)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이동공간부(371)가 형성되는 관상부재(372), 파일롯 레버(36)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이동공간부(371)에 수용되는 걸림부재(373) 및 걸림부재(373)와 파일롯 레버(36)를 연결하는 연결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상부재(372)의 일측면에는 슬릿(375)이 절개 형성되고, 연결부(374)는 슬릿(375)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관상부재(372)는 센서 레버(35)의 일단에 구비되어 걸림부재(373)가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구되고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연결부(374)가 삽입되는 슬릿(375)이 설정된 길이만큼 하측을 향해 절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373)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374)에 의하여 파일롯 레버(36)와 연결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관상부재(372)에 형성된 이동공간부(37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래서 걸림부재(373)는 파일롯 레버(36)와 센서 레버(35)를 해서 센서 레버(35)와 파일롯 레버(36)를 상호 연동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걸림부재(373)의 형상은 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상부재(37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파일롯 레버(36)가 직선 운동하는 방향을 따라 걸림부재(373)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연결부(374)는 일단이 파일롯 레버(36)에 고정되고 타단이 걸림부재(373)에 고정되어 파일롯 레버(36)와 걸림부재(37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연결부(374)는 걸림부재(373)에 형성된 슬릿(375)에 삽입되어 관상부재(372)의 외부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파일롯 레버(36)와 센서 레버(35)는 걸림부재(373)가 센서 레버(35)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관상부재(372)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차량의 기울기 변화 등에 의해 센서 하우징(33)이 회전하더라도 센서 레버(35)와 파일롯 레버(36)의 결합이 유지됨에 따라, 센서 레버(35)에 의한 파일롯 레버(36)의 직선 왕복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재(373)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관상부재(372)에 삽입됨에 따라, 센서 하우징(33)이 차량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회전시에 회전 운동의 구속을 받지 않기 때문에, 센서 하우징(33)이 회전하는 각도는 바디(31)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의 기울기를 0°라고 했을때, + 90°내지 - 90°의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 기울기 변화에 연동해서 바디에 결합된 센서 하우징이 회전하여도 결합유지부에 의하여 파일롯 레버와 센서 레버 사이의 연결을 유지해서 등받이의 모든 각도 범위에서 정상 작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스티어링 디스크(81)는 바디(3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웨빙(21)이 인출시 또는 인입시에 웨빙(21)의 인입 및 인출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디스크(81)의 외면에는 걸림돌기(8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걸림돌기(811)에서 웨빙(21)의 인입시 파일롯 레버(36)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이엘알 레버(90)의 연장부재(93)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웨빙(21)의 인출시에 파일롯 레버(36) 또는 연장부재(93)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디스크(81)는 파일롯 레버(36) 또는 연장부재(93)가 스티어링 디스크(81)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웨빙(21)의 인입은 가능하고 웨빙(21)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811)는 스티어링 디스크(8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어 파일롯 레버(36)에 의해 신속하게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블 기어(82)는 바디(31)의 판면을 기준으로 스티어링 디스크(81)와 대향되는 위치의 바디(31)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락캔슬러 레버(85)와 에이엘알 레버(90)를 회전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와블 기어(82)의 외면에는 복수의 외접기어니(821)가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와블 기어(82)는 바디(31)에 형성된 수용홈(314)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수용홈(314)의 내면에 형성된 내접기어니(315)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와블 기어(82)의 판면 일측에는 와블 기어(8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1 연동돌기(822)가 돌출 형성되고, 와블 기어(82)의 판면 타측에는 와블 기어(8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2 연동돌기(8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카세트 축(84)은 스티어링 디스크(81)와 와블 기어(82)의 중심에 삽입되어 바디(31)의 판면에 체결되고, 와블 기어(82)와의 접촉면에서 마찰을 발생시켜 스티어링 디스크(81)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 카세트 축(8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와블 기어(82)가 수용홈(314)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내접기어니(315)와 외접기어니(821)가 맞물려서 회전한다.
한편, 락캔슬러 레버(8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블 기어(82)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디스크(81)와 파일롯 레버(36)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스티어링 디스크(8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락캔슬러 레버(85)는 바디(31)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86), 체결부재(86)의 일측에서 와블 기어(8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연동홈(871)이 형성된 제1 연동부재(87) 및 체결부재(86)의 일단부에서 파일롯 레버(36)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일롯 레버(36)와 접촉되는 경사부재(8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재(86)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와블 기어(82)와 근접한 위치의 바디(31) 판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동부재(87)는 체결부재(86)의 일측에서 와블 기어(82)를 향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와블 기어(82)에 형성된 제1 연동돌기(210)의 이동에 연동해서 락캔슬러 레버(85)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연동돌기(822)가 원활하게 제1 연동부재(87)와 접촉 및 분리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제1 연동부재(87)의 단부에는 제1 연동돌기(822)가 삽입 및 분리되는 연동홈(87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재(88)는 체결부재(86)의 일단부에서 파일롯 레버(36)를 향하여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재(88)는 락캔슬러 레버(85)의 회전에 의해 파일롯 레버(36)와 접촉되어 스티어링 디스크(8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11)와 접촉된 파일롯 레버(3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 파일롯 레버(36)와 걸림돌기(811) 사이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웨빙(21)의 인출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바디(31)에는 락캔슬러 레버(85)의 상부에 에이엘알 레버(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에이엘알 레버(90)는 락캔슬러 레버(85)와 연동되거나 와블 기어(8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일측이 스티어링 디스크(81)의 일측과 접촉 및 분리되어 스티어링 디스크(81)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에이엘알 레버(90)는 차량의 시트에 웨빙(21)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설치시, 웨빙(21)을 끝까지 인출시키면 회전 동작하여, 웨빙(21)의 인입은 가능하고, 웨비(21)의 인출은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에이엘알 레버(90)는 스티어링 디스크(81)와 상시 접촉되어 사용자가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차량의 시트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견고하게 시트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엘알 레버(90)는 바디(31)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체결링(91), 체결링(91)의 일측에서 와블 기어(8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연동돌부(92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락캔슬러 레버(85)의 일측과 접촉되는 접촉부재(922)가 돌출 형성된 제2 연동부재(92) 및 체결링(91)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디스크(81)와 접촉 및 분리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81)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연장부재(9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링(91)은 와블 기어(82) 및 락캔슬러 레버(85)와 근접한 위치의 바디(31)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대략 링 형상의 부재로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체결링(91)은 에이엘알 레버(90)가 제2 연동돌기(823) 또는 락캔슬러 레버(85)와 연동하여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제2 연동부재(92)는 실질적으로 제2 연동돌기(823)와 락캔슬러 레버(85)와 접촉되어 연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연동부재(92)의 일단에는 제2 연동돌기(823)와 접촉되는 연동돌부(9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 연동부재(92)의 타측에는 락캔슬러 레버(85)와 접촉되는 접촉부재(9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재(93)는 체결링(91)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디스크(81)와 접촉 및 분리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81)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연장부재(93)는 단부가 와블 기어(82)의 외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93)의 단부는 와블 기어(82)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811)와 접촉시에 와블 기어(82)의 회전 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와블 기어(82)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제2 연동돌기(823)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견고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차량 센서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의 (a) 및 (b)에는 센서 하우징이 파일롯 레버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고, 도 9의 (a) 및 (b)에는 유동부재가 유동하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차량 센서 장치(30), 즉 센서 모듈(30)을 구성하는 바디(31)와 커버(32)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등받이(12)의 전후 방향 회전 동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바디(31)와 커버(32)로 이루어지는 바디(31)의 내부 공간에 회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센서 하우징(33)은 항상 연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센서 하우징(33)이 등받이(12)가 기울어지기 전 연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 레버(83)가 회전하여 센서 하우징(33)의 톱니(333)와 접촉되어 센서 하우징(33)을 지지한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21)이 인출되기 전의 상태로서 클러치 레버(83)의 연장부(832) 단부가 센서 하우징(33)의 톱니(333)와 분리된 상태에서, 웨빙(21)이 인출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81)와 스프링 카세트 축(84)이 회전되고, 스프링 카세트 축(84)에 의해 와블 기어(82)가 회전한다.
그리고 클러치 레버(83)의 축과 스프링 카세트 축(84)이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클러치 레버(83)의 연장부(832)가 센서 하우징(33)의 톱니(333)와 접촉된 상태에서, 웨빙(21)이 인출되는 동안 센서 하우징(33)을 지지하면, 클러치 레버(83)는 더 돌아가지 않고 헛돌게 되어, 센서 레버(35)의 회전에 의한 파일롯 레버(36)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정차중이거나 혹은 정상적으로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 경우에는 유동부재(34)를 구성하는 지지부(341)와 볼(345)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파일롯 레버(36)가 센서 하우징(33)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자유롭게 웨빙(21)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갑작스런 외력이 가해지거나 혹은 차량이 급커브 구간을 통과하면서 차량이 폭방향을 따라 기울어지는 경우, 센서 하우징(33) 내부에 배치된 지지부(341)와 볼(345)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지지부(341)와 연결된 센서 레버(35)의 일측을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지지부(341)와 연결된 센서 레버(35)의 일측이 하방으로 회전되면 파일롯 레버(36)와 연결된 센서 레버(35)의 타측은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파일롯 레버(36)를 센서 하우징(33)의 외부로 인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일롯 레버(36)가 센서 하우징(33)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파일롯 레버(36) 단부의 걸림턱(362)이 스티어링 디스크(81)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와 걸림에 따라, 웨빙(21)이 인출되지 않도록 락킹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동부재를 구성하는 지지부와 볼 및 센서 하우징을 이용해서 차량의 기울기와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 및 차량의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고, 센서 레버를 회전 동작시켜 파일롯 레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를 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 동작시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해제함으로써,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시트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등받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등받이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락킹 동작을 해제해서 등받이를 정상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 미착용시 파일롯 레버를 스티어링 디스크와 분리한 상태로 구속해서 파일롯 레버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센서 레버와 파일롯 레버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관상부재와 구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재로 구성되는 결합유지부를 통해 결합함에 따라, 관상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결합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가 직선 운동하는 방향을 따라 관상부재로부터 걸림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관상부재가 회전하더라도 걸림부재와의 결합을 유지함으로써,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의해 차량 센서 장치가 회전해서 배치되는 각도와 무관하게 파일롯 레버를 정상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가 시트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의해 변경되는 배치각도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전방 90°내지 후방 90° 범위에서 파일롯 레버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해서 파일롯 레버(36)와 락캔슬러 레버(85)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파일롯 레버와 락캔슬러 레버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0의 (a)에는 파일롯 레버와 락캔슬러 레버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의 (b)에는 락캔슬러 레버가 파일롯 레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의 (c)에는 락캔슬러 레버에 파일롯 레버이 이동이 제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파일롯 레버(36)의 일단부, 즉 우측단부에는 우측 하방으로 향해 경사진 경사면(36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363)의 경사진 정도는 경사부재(88)가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정도와 동일한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롯 레버(36)와 경사부재(88)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여 파일롯 레버(3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면(36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레버(36)의 몸체부(361) 상단에서 걸림턱(362) 선단까지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몸체부(361) 상단에서 걸림턱(362) 상단까지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경사면(363)은 걸림턱(362)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경사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파일롯 레버(36)의 우측단에는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 걸림턱(362)과 경사면(363)에 의한 단일 경사 구조가 적용되거나,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갖는 걸림턱(362)과 경사면(363)에 의한 이중 경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312)에 형성되는 통로부(313)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통로부(313)의 상단에는 중앙 부분에 비해 좁은 폭을 갖는 회전방지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일롯 레버(36)의 몸체부(361) 상단에는 통로부(313)의 회전방지홈(3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하는 회전방지돌부(3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롯 레버(36)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로부(313)를 통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이 방지되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디(31)의 결합부(312)에 결합되는 센서 하우징(33)의 일단, 즉 우측단에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관통공부(332)가 형성된다.
즉, 관통공부(332)는 결합부(312)를 향하도록, 우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312)와 통로부(313) 사이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부(3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각도제한돌부(334)가 형성되고, 결합부(312)의 내주면에는 각도제한돌부(334)와 걸리는 걸림돌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제한돌부(334)는 관통공부(332)의 외주면에 양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걸림돌부(317)는 결합부(312)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제한돌부(334)는 관통공부(332)의 외주면에서 대략 반 구 형상이나 반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33)은 전후면과 상부가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이Te
이러한 센서 하우징(33)은 각도제한돌부(334)와 걸림돌부(317)의 접촉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센서 하우징(33)은 바디(31)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의 기울기를 0°라고 했을때, + 90°내지 - 90°의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각도제한돌부(334)는 각각 바디(31)의 결합부(312)와 통로부(313) 사이 공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 하우징(33)의 회전 동작시 회전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각도제한돌부(334)는 결합부(312)의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센서 하우징(33)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 베어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하우징(33)의 좌측단에는 바디(31)의 좌측벽에 결합되어 베어링 기능을 제공하는 축부(335)가 마련될 수 있다.
축부(335)는 센서 하우징(33)의 좌측벽에서 좌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바디(31)의 좌측벽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 하우징(33)의 회전 동작시 회전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축부(335)는 상기 홈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켜 센서 하우징(33)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 베어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하우징(33)의 양단, 즉 우측단과 좌측단에 각각 마련되는 관통공부(332)와 축부(335)는 파일롯 레버(36)가 직선 왕복 이동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센서 하우징(33)이 회전하는 회전축 기능을 한다.
즉, 관통공부(332)와 축부(335) 및 파일롯 레버(36)는 동일 축선 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가 직선 왕복 이동하는 축 선 상에 센서 하우징 양단에 마련되는 관통공부와 축부를 배치해서 센서 하우징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를 센서 하우징의 회전축 선 상에 배치해서 센서 하우징이 회전하더라도, 수평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에 경사 구조를 적용해서 센서 하우징이 회전하더라도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함으로써, 스티어링 디스크와의 접촉 및 결합에 의한 락킹 성능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경사부재(88)의 좌측단에는 락캔슬러 레버(85)의 회전 동작시 파일롯 레버(36)의 경사면(363)을 따라 이동하면서 파일롯 레버(36)를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89)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89)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부재(88)의 좌측단에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캔슬러 레버(85)와 파일롯 레버(36)가 분리된 상태에서, 파일롯 레버(36)는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른 유동부재(34)의 유동, 즉 좌우 방향 유동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해서 스티어링 디스크(81)의 걸림돌기(811)와 결합 가능한 락킹 가능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락킹 가능 상태에서 웨빙(21)은 탑승자의 조작력에 의해 자유롭게 인출 또는 입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 가능 상태에서 웨빙(21)은 파일롯 레버(36)의 걸림턱(362)이 스티어링 디스크(81)의 걸림돌기(811)에 결합되면, 스티어링 디스크(81)의 회전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웨빙(21)의 인입은 가능하고, 웨빙(21)의 인출은 불가능한 락킹 동작 상태가 된다.
한편, 와블 기어(8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락캔슬러 레버(85)가 체결부재(86)를 중심으로 일측, 도 10의 (b)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경사부재(88)에 수평으로 설치된 가압부(89)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레버(36)의 우측단에 형성된 경사(363)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파일롯 레버(36)를 좌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파일롯 레버(36)는 유동부재(34)의 유동과 무관하게 스티어링 디스크(81)의 걸림돌기(811)와 분리된 락캔슬링 상태가 된다.
상기 락캔슬링 상태는 탑승자가 웨빙(21)을 착용하기 전, 즉 웨빙(21)에 설치된 벨트텅(110)을 버클(120)에 결합하기 이전에 탑승자의 조작력에 따라 웨빙(21)을 자유롭게 인출 및 인입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의 경사면을 이용해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 락캔슬러 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파일롯 레버를 일측으로 가압해서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시트벨트 웨빙을 인출 및 인입하는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가 설치되는 장착 대상물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 레버와 유동부재를 설치하고,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른 볼의 이동에 의해 센서 하우징에 결합된 센서 레버를 회전동작시켜 센서 레버와 연결된 파일롯 레버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에 경사 구조를 적용해서 센서 하우징이 회전하더라도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함으로써, 스티어링 디스크와의 접촉 및 결합에 의한 락킹 성능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시트의 등받이에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뿐만 아니라, 차체, 예컨대 차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필러,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루프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겸용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차량 센서 장치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해서 파일롯 레버를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해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에 적용된다.
10: 시트벨트 리트랙터
11: 시트 12: 등받이
13: 장착공간 14: 가이드 부재
15: 배치공간
20: 스핀들 모듈
21: 웨빙 211: 자율웨빙 조절부
22: 스핀들 23,24: 제1, 제2 브래킷
25: 제1 리미터 26: 인출공간
27: 탄성모듈 28: 웨빙 가이드
281: 회전부재 282: 회전핀
29: 가이드 프레임
30: 차량 센서 장치(센서 모듈)
31: 바디 311: 고정돌부
312: 결합부 313: 통로부
314: 수용홈 315: 내접기어니
316: 회전방지홈 317: 걸림돌부
32: 커버 321: 결합리브
33: 센서 하우징 331: 삽입공
332: 관통공부 333: 톱니
334: 각도제한돌부 335: 축부
34: 유동부재 341: 지지부
342: 평탄부재 343: 고리부재
344: 돌출부재 345: 볼
346: 이격공간
35: 센서 레버 351: 유동돌기
36: 파일롯 레버 361: 몸체부
362: 걸림턱 363: 경사면
364: 회전방지돌부
37: 결합유지부 371: 이동공간부
372: 관상부재 373: 걸림부재
374: 연결부 375: 슬릿
40: 비상 텐셔닝 모듈
50: 프리 텐셔닝 모듈
60: 부하 조절 모듈 61: 제2 리미터
70: 연결 모듈
81: 스티어링 디스크 811: 걸림돌기
82: 와블 기어 821: 외접기어니
822: 제1 연동돌기 823: 제2 연동돌기
83: 클러치 레버 831: 평판부
832: 연장부 84: 스프링 카세트 축
85: 락캔슬러 레버 86: 체결부재
87: 제1 연동부재 871: 연동홈
88: 경사부재 89: 가압부
90: 에이엘알 레버 91: 체결링
92: 제2 연동부재 921: 연동돌부
922: 접촉부재 93: 연장부재
100: 시트벨트 장치
110: 벨트텅 120: 버클
11: 시트 12: 등받이
13: 장착공간 14: 가이드 부재
15: 배치공간
20: 스핀들 모듈
21: 웨빙 211: 자율웨빙 조절부
22: 스핀들 23,24: 제1, 제2 브래킷
25: 제1 리미터 26: 인출공간
27: 탄성모듈 28: 웨빙 가이드
281: 회전부재 282: 회전핀
29: 가이드 프레임
30: 차량 센서 장치(센서 모듈)
31: 바디 311: 고정돌부
312: 결합부 313: 통로부
314: 수용홈 315: 내접기어니
316: 회전방지홈 317: 걸림돌부
32: 커버 321: 결합리브
33: 센서 하우징 331: 삽입공
332: 관통공부 333: 톱니
334: 각도제한돌부 335: 축부
34: 유동부재 341: 지지부
342: 평탄부재 343: 고리부재
344: 돌출부재 345: 볼
346: 이격공간
35: 센서 레버 351: 유동돌기
36: 파일롯 레버 361: 몸체부
362: 걸림턱 363: 경사면
364: 회전방지돌부
37: 결합유지부 371: 이동공간부
372: 관상부재 373: 걸림부재
374: 연결부 375: 슬릿
40: 비상 텐셔닝 모듈
50: 프리 텐셔닝 모듈
60: 부하 조절 모듈 61: 제2 리미터
70: 연결 모듈
81: 스티어링 디스크 811: 걸림돌기
82: 와블 기어 821: 외접기어니
822: 제1 연동돌기 823: 제2 연동돌기
83: 클러치 레버 831: 평판부
832: 연장부 84: 스프링 카세트 축
85: 락캔슬러 레버 86: 체결부재
87: 제1 연동부재 871: 연동홈
88: 경사부재 89: 가압부
90: 에이엘알 레버 91: 체결링
92: 제2 연동부재 921: 연동돌부
922: 접촉부재 93: 연장부재
100: 시트벨트 장치
110: 벨트텅 120: 버클
Claims (8)
-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바디의 설치 각도 및 장착 대상물의 기울기 변화에 기초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레버,
상기 센서 레버와 결합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 레버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해서 스티어링 디스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일롯 레버 및
시트벨트 웨빙이 인입 및 인출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제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레버는 상기 바디와 센서 하우징 사이에 수평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경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락캔슬러 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분리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관통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일롯 레버는 상기 관통공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레버에는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 중에서 어느 하나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기 파일롯 레버의 일측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파일롯 레버의 상단에서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파일롯 레버의 상단에서 상기 걸림턱 상단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캔슬러 레버는 상기 바디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와블 기어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연동홈이 형성된 제1 연동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파일롯 레버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일롯 레버와 접촉되는 경사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파일롯 레버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레버는 상기 락캔슬러 레버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분리되면, 상기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의 락킹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 장치 및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을 포함하고,
감지된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기초해서 파일롯 레버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디스크에 결합 또는 해제하도록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225A KR102673190B1 (ko) | 2022-07-18 | 2022-07-18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225A KR102673190B1 (ko) | 2022-07-18 | 2022-07-18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0900A KR20240010900A (ko) | 2024-01-25 |
KR102673190B1 true KR102673190B1 (ko) | 2024-06-10 |
Family
ID=8972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225A KR102673190B1 (ko) | 2022-07-18 | 2022-07-18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319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591B1 (ko) | 1998-06-09 | 2005-03-10 |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 가속도 센서 |
JP2012153268A (ja) | 2011-01-26 | 2012-08-16 | Autoliv Development Ab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JP2014234108A (ja) * | 2013-06-04 | 2014-12-15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KR101766844B1 (ko) | 2016-06-10 | 2017-08-09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
-
2022
- 2022-07-18 KR KR1020220088225A patent/KR1026731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591B1 (ko) | 1998-06-09 | 2005-03-10 |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 가속도 센서 |
JP2012153268A (ja) | 2011-01-26 | 2012-08-16 | Autoliv Development Ab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JP2014234108A (ja) * | 2013-06-04 | 2014-12-15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
KR101766844B1 (ko) | 2016-06-10 | 2017-08-09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0900A (ko) | 2024-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73778C (en) | Child safety seat | |
US4610480A (en) | Built-in type safety seat belt system for reclining vehicle seat | |
US20050073187A1 (en) | Four-point seat belt system with buckle-lowering belts | |
US20050082815A1 (en) | Four-point seat belt system with buckle-lowering belts | |
JP3454790B2 (ja) | 多点プレテンショナ・システム | |
KR102439218B1 (ko)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673190B1 (ko)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664601B1 (ko)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496242B1 (ko) |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551626B1 (ko)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702472B1 (ko)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CN117396373A (zh) | 车辆传感器装置和使用该车辆传感器装置的安全带卷收器 | |
KR102664598B1 (ko) |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20220122195A (ko) |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664593B1 (ko) |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715416B1 (ko) |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708039B1 (ko) |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551632B1 (ko) | 차량 센서 장치 | |
KR102673182B1 (ko) | 웨빙 가이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656771B1 (ko) |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617421B1 (ko) |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680566B1 (ko) |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20230081611A (ko) |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102715422B1 (ko) | 시트벨트 리트랙터 | |
KR20240010898A (ko) | 시트벨트 리트랙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