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812A -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812A
KR20230140812A KR1020220039524A KR20220039524A KR20230140812A KR 20230140812 A KR20230140812 A KR 20230140812A KR 1020220039524 A KR1020220039524 A KR 1020220039524A KR 20220039524 A KR20220039524 A KR 20220039524A KR 20230140812 A KR20230140812 A KR 20230140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dule
webbing
spindle
ge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5416B1 (ko
Inventor
유병개
문찬기
김택춘
홍현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2003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5416B1/ko
Publication of KR2023014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5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tensioning force in relation to extern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스핀들에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합니다)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웨빙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클러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상기 웨빙을 감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클러치 온 기능과, 상기 웨빙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정상 주행시 시트벨트 웨빙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벨트 안전 장치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을 스풀에 권취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작동하는 리트랙터와 웨빙의 일단부에 고정된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트랙터는 차량의 사고 등으로 인한 급정차 또는 급가속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착용시 정상 상태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웨빙의 인출 가속도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검출되면 더 이상의 웨빙의 인출을 억제하는 장치 및 웨빙의 느슨함이나 처짐, 즉 슬랙(slack)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장치와 프리 텐셔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권출 및 권입 동작을 제어하는 리트랙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 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치 보다 큰 가속도가 작용하거나 차량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웨빙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가속도나 기울기를 검출하는 차량 센서가 적용된다.
상기 차량 센서에 사용되는 관성체로서 볼을 사용한 것이나 자립 관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센서는 웨빙의 정상적인 감속도보다 높은 감속도 또는 기울기가 차량에 적용되는 위험 상황에서 움직이는 관성체와, 관성체에 의해 이동되어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와 상호 작용하는 센서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체, 예컨대 차량의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마운팅 자세는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항상 수평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며, 수평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되는 경우, 등받이의 회전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자세가 일정 범위 이상 변경되면 적정하게 가속도와 기울기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차량 센서를 갖는 리트랙터가 수평 상태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기울어진 자세를 갖는 경우, 제어 디스크 및 차량 센서에 마련된 센서 레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져서 센서 레버가 민감하게 동작함에 따라, 적절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차량 센서를 갖는 리트랙터가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고, 시트의 등받이가 차량의 전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차량 센서의 센서 레버는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에 걸려 스풀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스풀의 회전이 구속됨에 따라 시트벨트 착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3에 차량 센서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면서 차량에 적용되는 시트 및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시트는 등받이의 두께를 얇게 설계해서 슬림화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의 회전축이 등받이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웨빙이 스핀들에 감긴 양에 따라 전체 부피가 증가하며, 등받이에 대응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후 방향 폭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적용되는 프리 텐셔너는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해서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특허번호 6,499,554호 (2002년 12월 31일 등록) 미국 특허번호 6,443,382호 (2002년 9월 3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66844호 (2017년 8월 9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탑승자를 고정해서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 이전에 웨빙을 감아 슬랙을 감소시키는 프리 텐셔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두께를 줄여서 슬림하게 제조되는 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은 스핀들에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합니다)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웨빙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클러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웨빙을 감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클러치 온 기능과, 상기 웨빙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상기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및 차량의 응급 상황 발생 직전에 상기 웨빙을 감아 슬랙을 감소시키는 프리 텐셔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시트의 등받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등받이의 두께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의하면,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과 동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부를 이용해서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 텐셔너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작아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치부재가 적용된 프릭션 모듈을 이용해서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클러치 기능을 온, 오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프리 텐셔닝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프리 텐셔닝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시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시트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트를 기준으로 스티어링 휠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약칭함)(21)이 감기는 스핀들 모듈(20), 차량의 기울기 및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30), 차량 충돌 발생시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모듈(40) 및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적용되는 각 부품을 기능 블록별로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각 부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스핀들 모듈(20)과 센서 모듈(30),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조립될 수 있다.
스핀들 모듈(20)과 센서모듈(30)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를 구성하는 기본 모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로 제조되어 조립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센서 모듈(30)은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 모듈(20)에는 외면에 웨빙(21)이 감기는 스핀들(22)이 마련된다.
스핀들 모듈(20)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발생하면, 웨빙(21)을 감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스핀들 모듈(20)은 유아용 시트(child seat)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 구간에서 웨빙을 인입만 시키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웨빙(21)이 인출되는 방향을 상방(U)으로 설정하고, 스핀들(22)이 장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F,B)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림화된 시트에 장착하기 위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두께, 즉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한다.
스핀들 모듈(20)의 상부에는 비상 텐셔닝 모듈(4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이 결합된다.
각 모듈은 스핀들 모듈(20)을 중심으로 스핀들 모듈(20)의 측면, 즉 좌측이나 우측, 또는 스핀들 모듈(20)의 상부나 하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모듈(20)의 상부에 센서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합된 각 모듈은 각 모듈에 마련된 축이 스핀들(22)이 설치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고, 기어 등의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의해 화약이 내장된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웨빙(21)을 스핀들(22)에 감아준다. 따라서 비상 텐셔닝 유닛(40)은 차량 충돌시 웨빙(21)을 감아서 웨빙(21)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차량에 적용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예측되는 경우,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동해서 웨빙(21)을 스핀들(22)에 감아준다. 즉,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정상적인 주행 상황일 때, 사고의 발생 없이도 차량의 더 강한 가속 또는 감속이 발생할 때까지, 착용된 웨빙(21)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웨빙(21)이 느슨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직전에 웨빙(21)을 감아서 웨빙(21)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스핀들 모듈(20)의 전후 측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23)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브래킷(27)은 스핀들 모듈(20)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2 브래킷(28)은 스핀들 모듈(20)의 후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브래킷(27)과 제2 브래킷(28)의 양측에는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의 하단에는 등받이(12)에 설치되는 설치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의 일측,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 하단에는 웨빙(21)이 인출되는 인출공간(25)이 마련될 수 있다. 인출공간(25)에는 스핀들(22)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을 따라 가이드 부재(29)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9)는 웨빙(21)을 상방으로 인출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29)는 웨빙(21)이 스핀들(22)에 원활하게 감기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이 각각 제1 및 제2 브래킷(27,28)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롤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 전체의 전후 방향 폭은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의 전후 방향 폭으로 한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시트(11)의 등받이(12)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스핀들 모듈(20)에서 등받이(12)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웨빙을 가이드하는 웨빙 가이드(14)가 설치될 수 있다.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후측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상단부 중앙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12)의 상단에서 일정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거나, 등방이(12)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웨빙(21)이 웨빙 가이드(14)를 향해 배치되는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웨빙 가이드(14)는 등받이(12)의 알측 상단, 예컨대 운전석 시트(11)에 적용되는 경우, 등받이(12)의 좌측면 상부와 상면 우측부의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웨빙(21)은 양단이 스핀들(22)에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감긴 상태에서 장착공간(13)과 배치공간(15)을 통해 등받이(12) 외부로 인출되고, 웨빙 가이드(14)에 의해 양단이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인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웨빙(21)은 스핀들(22)과 웨빙 가이드(14) 사이, 즉 배치공간(15) 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양단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인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함께, 웨빙(21)은 웨빙 가이드(14)의 위치에 따라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빙(21)은 운전석 시트(11)에 탑승한 탑승자가 성인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2)의 일측, 도 2에서 보았을 때 좌측 상단이나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웨빙(21)의 일단부는 스핀들(22)의 외면에 감기고, 웨빙(21)의 타단부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 외부로 인출된 후, 등받이(12)에 설치된 웨빙 가이드(14)를 향해 상방으로 인출된다.
한편, 시트(11)에 탑승한 탑승자가 성인에 비해 체격이 작은 여성이나 청소년, 또는 유아인 경우, 등받이(12)의 좌측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인출되도록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웨빙이 탑승자의 목이나 어깨 부위에 걸려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체격 조건, 즉 성인, 청소년, 유아가 탑승하는 경우, 또는 유아용 시트를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탑승자의 체형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웨빙(21)의 인출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웨빙 가이드(14)에는 등받이(12)의 상면에서 좌측면 상부까지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조절부재(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웨빙(21)은 상기 조절부재의 위치에 따라 가이드 부재(29)를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하여 인출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브래킷의 일측을 통해 스핀들에 감긴 웨빙을 인출하고, 등받이의 장착공간 내부에서 웨빙의 인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 조건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웨빙의 인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웨빙(21)은 스핀들 모듈(20)의 외부로 인출시에는 양단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배치공간(15) 및 웨빙 가이드(14)를 통해 인출시에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해서 양단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의 배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시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핀들 모듈의 두께와 함께 웨빙의 폭을 감소시켜 최소화함으로써, 스핀들 모듈 및 그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렉터가 시트에 장착되는 폭을 최소화해서 슬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핀들 모듈에서 인출되는 웨빙의 인출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프리 텐셔닝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21)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51) 및 웨빙(21)의 권취 여부에 따라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스핀들(22)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52)을 포함한다.
구동모터(51)는 차량에 마련된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시키기 위해 구동모터(5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차량의 충돌 등 응급상황 발생 직전에는 스핀들(22)에 웨빙(21)을 감기 위해, 구동모터(5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구동모터(51)는 스핀들(22)의 상부에 스핀들(22)이 배치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스핀들(22)과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스핀들과 직교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함에 따라, 구동모터의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직경이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후 방향 폭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구동모터(51)의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511)는 구동모터(51)의 좌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51)와 동력전달유닛(52)은 각각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51)의 일측부, 즉 출력축과 구동기어(511)가 배치되는 구동모터(51)의 좌측부와 아래에서 설명할 동력전달유닛(52)의 클러치부(55) 전측부는 제1 하우징(53) 내부에 수용되고, 클러치부(55)의 중앙부 및 후측부는 제1 하우징(53)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54)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54)의 후측에는 제2 연결기어(58) 및 전달기어(56)의 외면을 차폐하는 후면 커버(541)가 결합될 수 있다.
동력전달유닛(52)은 웨빙(21)을 감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22)에 전달하며, 프리 텐셔닝 모듈(50)의 미작동시에는 웨빙(21)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51)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유닛(52)은 스핀들(22)의 상부에 스핀들(22)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구동모터(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55) 및 클러치부(55)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스핀들(22)로 전달하는 전달기어(56)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동력전달유닛(52)은 구동기어(511)와 맞물리고 회전력을 클러치부에 전달하는 제1 연결기어(57) 및 클러치부(55)의 회전력을 전달기어(56)로 전달하는 제2 연결기어(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기어(57)는 구동기어(511)와 맞물리는 제1 기어(571) 및 제1 기어(571)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클러치부(55)의 제1 기어부재(61)와 맞물리는 제2 기어(5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어(511)와 제1 기어(571)는 회전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웜과 웜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기어(58)는 클러치부(55)의 제3 기어부재(64)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齒)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581) 및 외주면에 전달기어(56)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2 기어부(5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기어(56)는 제2 연결기어(58)의 제2 기어부(582) 및 스핀들(2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도면 미도시)와 각각 맞물려서 클러치부(55)를 통해 전달받는 회전력을 스핀들(22)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기어(56)는 하나 또는 서로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부(55)는 구동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부재(61), 제1 기어부재(6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62), 제1 기어부재(61)를 관통해서 샤프트(6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재(63), 제2 기어부재(63)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3 기어부재(64) 및 샤프트(62)의 전측에 연결되고 제2 기어부재(63)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프릭션 모듈(70)을 포함한다.
제1 기어부재(6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기어부재(61)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6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61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기어부재(61)의 외주면에는 제1 연결기어(57)의 제2 기어(572)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62)는 단면이 대략 원 형상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62)는 제1 내지 제3 기어부재(61,63,64)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고, 샤프트(62)의 전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프릭션 모듈(70)에 마련된 고정부재(71)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돌기(711)가 결합되며, 샤프트(62)의 후단은 제2 하우징(54)의 후벽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부재(63)는 내부에 샤프트(62)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대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는 프릭션 모듈(70)에 마련되는 래치부재(73)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이가 돌출 형성된 기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어부재(63)의 후측부(632)는 제3 기어부재(64)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단면이 대략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기어부재(64)의 중앙부에는 제2 기어부재(63)의 후측부(632)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단면은 제2 기어부재(63)의 후측부(63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3 기어부재(64)는 제2 기어부재(63)의 후측부(6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기어부재(6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부재(63)의 중앙부(633)는 단면이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기어부재(61)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부재(61)의 결합공은 제2 기어부재(63)의 중앙부(633)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기어부재(63)는 제1 기어부재(61)에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프릭션 모듈(70)의 동작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거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회전할 수 있다.
프릭션 모듈(70)은 제1 하우징(5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1), 고정부재(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릭션 부재(72), 양단이 제1 기어부재(61)와 프릭션 부재(72)에 각각 연결되고 제1 기어부재(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제2 기어부재(63)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래치부재(73) 및 프릭션 부재(7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71)의 전단부는 제1 하우징(53)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고정부재(71)의 후단부는 샤프트(6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71)의 후면 중앙부에는 샤프트(62)의 전단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는 고정부재(71)가 기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정부재(71)를 제1 하우징(53)에 결합해서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부재(71)의 단면을 다각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고정부재(71)의 단면을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고정부재(71)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71)의 일면, 후단부 외주면에는 프릭션 부재(72)가 결합되는 결합홈(71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릭션 부재(72)는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74)에 의해 고정부재(71)에 형성된 결합홈(7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릭션 부재(72)는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 재질이나 금속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프릭션 부재(72)의 외주면에는 전단과 후단에 각각 복수의 돌기(721)가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탄성부재(74)는 프릭션 부재(72)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프릭션 부재(7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74)는 일측이 개구된 대략 'C' 형상의 링으로 마련되고, 프릭션 부재(74)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721)에 지지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74)의 양단은 프릭션 부재(7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721) 중에서 어느 한 쌍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74)는 프릭션 부재(7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프릭션 부재(72)가 본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랙션 부재(72)의 후면에는 래치부재(73)의 일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7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래치부재(73)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대략 직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래치부재(73)의 양단은 각각 제1 기어부재(61)와 프릭션 부재(7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부재(73)의 우측단에는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12)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731)이 형성되고, 래치부재(73)의 좌측단에는 프릭션 부재(72)의 삽입돌기(722)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7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에는 제1 삽입공(73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612)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돌기(612)의 일측에는 고정돌기(612)에 결합된 래치부재(73)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고정돌기(61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이부재(61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걸이부재(613)의 전단에는 고정돌기(612)에 결합된 래치부재(73)의 우측단 일부 영역이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공(732)은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진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래치부재(73)의 좌측단은 제1 기어부재(61)와 프릭션 부재(7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샤프트(62)를 향하는 하방 또는 그 반대 방향, 즉 상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치부재(73)의 일면, 즉 하면에는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에 형성된 복수의 이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이(7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에 형성된 복수의 이와 래치부재(73)에 형성된 이는 각각 제2 기어부재(63)가 일측 방향, 예컨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부재(73)는 제1 기어부재(63)와 프릭션 부재(7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우측단에 형성된 제1 삽입공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동작한다. 이로 인해, 래치부재(73)는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에 형성된 복수의 이와 분리 또는 맞물려서 제2 기어부재(63)가 회전 가능한 상태 또는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핀들과 동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부를 이용해서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 텐셔닝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작아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클러치부(55)의 샤프트(62) 상에 제2 기어부재(63)를 결합하고, 제2 기어부재(63)의 중앙부(632)와 후측부(633)에 각각 제1 기어부재(61)와 제3 기어부재(64)를 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 하우징(53)에 고정부재(71)의 전단부를 결합하고, 고정부재(71)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712)에 프릭션 부재(72)를 결합한 후, 프릭션 부재(72)의 외주면에 탄성부재(74)를 결합한다. 그러면, 프릭션 부재(72)는 고정부재(71)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클러치부(55) 및 프릭션 모듈(70)이 각각 조립되면,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에 래치부재(73)를 설치한다.
이때, 래치부재(73)는 하면에 형성된 이가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에 형성된 복수의 이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래치부재(73)의 우측단에 형성된 제1 삽입공(731)에는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돌기(612)가 결합되고, 래치부재(73)의 우측단은 고정돌기(6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돌기(612)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재(913)에 걸려 고정된다.
또, 래치부재(73)의 좌측단에 형성된 제2 삽입공(732)에는 프릭션 부재(72)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돌기(72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클러치부(55)의 제1 기어부재(61)에는 제1 연결기어(55)가 맞물리고, 제3 기어부재(64)에는 제2 연결기어(56)가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구동모터(51)와 전달기어(54)를 각각 제1 연결기어(55)와 제2 연결기어(56)에 맞물리도록 조립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구동모터(51)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22)로 전달하는 클러치 온(on) 기능 및 회전력이 스핀들(22)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off)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은 프리 텐셔닝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의 (a)와 (b)에는 래치부재를 동작시켜 프리 텐셔닝 모듈의 클러치 온 작동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a)와 (b)에는 래치부재를 동작시켜 프리 텐셔닝 모듈의 클러치 오프 작동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구동모터(51)가 정방향, 예컨대 좌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기어(5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부재(6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돌기(612)가 우측단의 제1 삽입공(731)에 삽입된 래치부재(73)도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래치부재(73)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래치부재(73)의 좌측단은 프릭션 부재(72)의 삽입돌기(722)가 삽입된 제2 삽입공(732)이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진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이에 따라, 래치부재(73)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형성된 이가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에 형성된 복수의 이와 서로 맞물린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러치부(55)는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22)로 전달하는 클러치 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클러치 온 상태에서 스핀들(22)을 회전시켜 웨빙을 감을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51)가 역방향, 즉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기어(5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부재(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 기어부재(61)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돌기(612)가 우측단의 제1 삽입공(731)에 삽입된 래치부재(73)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래치부재(73)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래치부재(73)의 좌측단은 좌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이에 따라, 래치부재(73)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형성된 이가 제2 기어부재(63)의 전측부(631)에 형성된 복수의 이와 분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러치부(53)는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스핀들(22)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 텐셔닝 모듈(50)의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스핀들(22)에 감긴 웨빙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핀들과 동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부를 이용해서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 텐셔닝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작아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치부재가 적용된 프릭션 모듈을 이용해서 클러치 기능을 온, 오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스핀들 모듈과 센서 모듈, 비상 텐셔닝 모듈과 프리 텐셔닝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듈들 이외에도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 모듈을 더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스핀들의 배치 방향과 웨빙의 인출 방향이 직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핀들이 설치되는 주변 조건 등에 따라 스핀들의 배치 방향과 웨빙의 인출방향이 직각이 아닌 방향, 예컨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였으나,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구현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에 적용된다.
10: 시트벨트 리트랙터
11: 시트 12: 등받이
13: 장착공간 14: 웨빙 가이드
15: 배치공간
20: 스핀들 모듈
21: 웨빙 22: 스핀들
23: 하우징 24: 가이드부
25: 인출공간 26: 연결부재
27,28: 제1, 제2 브래킷 29: 가이드 부재
30: 센서 모듈
40: 비상 텐셔닝 모듈
50: 프리 텐셔닝 모듈
51: 구동 모터 511: 구동기어
52: 동력전달유닛 53: 제1 하우징
54: 제2 하우징 541: 후면 커버
55: 클러치부 56: 전달기어
57: 제1 연결기어 571,572: 제1, 제2 기어
58: 제2 연결기어 581,582: 제1, 제2 기어부
61: 제1 기어부재 611: 플랜지부
612: 고정돌기 613: 걸이부재
62: 샤프트
63: 제2 기어부재 631: 전측부
632: 후측부 633: 중앙부
64: 제3 기어부재
70: 프릭션 모듈
71: 고정부재 711: 결합돌기
712: 결합홈
72: 프릭션 부재 721: 돌기
722: 삽입돌기
73: 래치부재 731,732: 제1, 제2 삽입공
733: 래치부재의 이
74: 탄성부재

Claims (8)

  1. 스핀들에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합니다)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웨빙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클러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웨빙을 감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클러치 온 기능과, 상기 웨빙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부재,
    상기 제1 기어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제1 기어부재를 관통해서 상기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재,
    상기 제2 기어부재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3 기어부재 및
    상기 샤프트의 전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프릭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프릭션 모듈에 의해 제1 기어부재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재의 전측부는 복수의 이가 돌출 형성된 기어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기어부재의 후측부에는 상기 제3 기어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2 기어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제1 기어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 모듈은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릭션 부재,
    양단이 상기 제1 기어부재와 프릭션 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상기 제2 기어부재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래치부재 및
    상기 프릭션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는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치부재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제1 기어부재와 프릭션 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기어부재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과, 상기 프릭션 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공은 상기 래치부재의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 상방을 향해 경사진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부의 제1 기어부재로 전달하는 제1 연결기어 및
    상기 제3 기어부재와 상기 전달기어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연결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기어는 상기 클러치부의 제3 기어부재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 및
    외주면에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및
    차량의 응급 상황 발생 직전에 상기 웨빙을 감아 슬랙을 감소시키는 프리 텐셔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시트의 등받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등받이의 두께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8. 제7항에 있어서,
    차량의 기울기 및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차량 충돌 발생시 상기 웨빙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모듈,
    상기 스핀들 모듈 및 프리 텐셔닝 모듈을 각각 기능 블록별로 모듈화해서 제조하고,
    각 모듈은 상기 스핀들 모듈에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0220039524A 2022-03-30 2022-03-30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1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24A KR102715416B1 (ko) 2022-03-30 2022-03-30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24A KR102715416B1 (ko) 2022-03-30 2022-03-30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812A true KR20230140812A (ko) 2023-10-10
KR102715416B1 KR102715416B1 (ko) 2024-10-11

Family

ID=8829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524A KR102715416B1 (ko) 2022-03-30 2022-03-30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54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44B1 (ko) 2016-06-10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0181B2 (ja) * 2005-09-07 2011-02-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モータリトラクタ
JP7182099B2 (ja) * 2018-07-19 2022-12-02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02018213282A1 (de) 2018-08-08 2020-02-13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44B1 (ko) 2016-06-10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5416B1 (ko) 202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0970B1 (en)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ultrasonic motor
KR20070043685A (ko) 모터구동식 전인장 동안 시트밸트 리트랙터의 잠금을감소/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9624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30140812A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56771B1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1361339B1 (ko) 차량 시트벨트 록킹장치
KR102664598B1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0904032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617421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08039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73190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02472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2369B1 (ko) 시트벨트 장치
KR102524018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460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24506471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73182B1 (ko) 웨빙 가이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80566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070089306A (ko) 비클 센싱부를 이용한 록 캔슬러를 구비한 차량용시트벨트의 리트랙터
KR10271542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15421B1 (ko) 웨빙 가이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73187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1012060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664593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