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122A -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122A
KR20240045122A KR1020230128460A KR20230128460A KR20240045122A KR 20240045122 A KR20240045122 A KR 20240045122A KR 1020230128460 A KR1020230128460 A KR 1020230128460A KR 20230128460 A KR20230128460 A KR 20230128460A KR 20240045122 A KR20240045122 A KR 20240045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main body
fitting
installation tool
fe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쓰야 카와히가시
케이스케 에비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31365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405043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4004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7/00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급전선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한다. 설치 공구는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급전선을 설치한다. 설치 공구는,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 및 본체부와 함께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급전선 홀더에,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보유부에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INSTALLATION TOOL AND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OHT(Over Head Hoist Transport), OHS(Over Head Shuttle) 등의 반송차는 천장에 설치된 궤도상을 주행하는 대차에 의해 피반송물을 소정의 장소로 반송하는 장치로서, 반도체 제조, 액정 제조 등의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있다. 대차로의 전력 공급은 궤도에 부설된 급전선을 통해 비접촉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은 급전선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궤도에 지지된 급전선 홀더의 급전선 보유부에 보유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337574호 공보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급전선의 부설은, 작업자가 고소 작업차를 타고 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선 홀더에 급전선을 설치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시간이 걸려 효율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급전선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상기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공구로서,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상기 급전선 홀더에,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보유부에 상기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설치 방법은,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상기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방법으로,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상기 급전선 홀더에, 이동에 따라 상기 보유부에 상기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상기 급전선 홀더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 및 상기 압입부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급전선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에 의해 급전선이 설치되는 반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가 상기 반송 시스템에서의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설치 공구에 장착되는 압입부가 상기 궤도에 부설되는 급전선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가 상기 반송 시스템에서의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설치 공구에서 기체(基體)부의 압입부 및 지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기체부의 상기 압입부 및 상기 지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압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압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낸 압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7의 설치 공구에 의해 상기 급전선 홀더에 급전선을 설치하는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가 상기 반송 시스템에서의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은 도 17의 설치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설치 공구에서의 기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설치 공구에 장착되는 압입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상기 압입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압입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압입 지지부에 끼워 넣어지는 압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압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압입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17의 설치 공구에 의해 상기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 및 감열선을 설치하는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반송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에 의해 급전선이 설치되는 반송 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에 의해 급전선이 설치되는 반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시스템은 천장(200)에 매달리도록 마련된다. 반송 시스템은 반송차(300), 궤도(301), 상측 궤도(302), 지지 프레임(303), 현수 기구(304), 급전선 홀더(305) 및 급전선(306)을 구비하고 있다.
궤도(301)는 반송차(300)가 주행하기 위해 마련되고, 반송차(300)의 이동 경로에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궤도(301)는 이동 경로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30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03)은 복수의 현수 기구(304)에 의해 천장(200)에 매달리도록 지지되어 있다.
궤도(301)는 상면(301a) 및 측면(301b)을 갖고 있다. 상면(301a)은 반송차(300)의 후술하는 차륜(330)이 전동(轉動)하는 수평면이다. 측면(301b)은 반송차(300)의 후술하는 종동(從動) 롤러(360)가 당접(當接)하는 연직면이다. 궤도(301)의 형상이나 내부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량화의 관점에서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궤도(302)는, 궤도(301)의 합류부 및 분기부에서, 궤도(301)의 일측이 존재하지 않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궤도(302)는 반송차(300)를 반송차(300)의 상부에서 지지함과 함께, 궤도(301)에 따른 반송차(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측 궤도(302)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303)의 상부에서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슬라이드 롤러(370)가 당접하도록 매달린 수하(垂下)부(302a)를 갖고 있다.
급전선 홀더(305)는, 반송차(300)에 비접촉으로 급전(給電)하는 급전선(306)을 보유하기 위해 궤도(301)에 부수적으로 마련된다. 급전선 홀더(305)는 궤도(301)의 측면(301b)에 궤도(301)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전선 홀더(305)는 궤도(301)의 측면(301b)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반송차(300)의 후술하는 지지축(340) 부근까지 달하는 폭을 갖고 있다.
급전선 홀더(305)는 지지축(340)에 근접한 가장자리부에 일부, 구체적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보유부(305a)를 갖고 있다. 보유부(305a)의 상부가 개방됨으로써, 상방에서부터 보유부(305a)로 급전선(306)을 밀어넣을 수 있다. 보유부(305a)는 밀어넣어진 급전선(306)을 보유한다.
반송차(300)는 궤도(301)상을 반송 방향으로 주행함으로써 용기(미도시)를 반송처로 반송한다. 용기 내에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에 이용되는 웨이퍼(wafer), 레티클(reticle) 등을 수용한다. 반송차(300)는 상자체(310), 구동부(320), 차륜(330), 지지축(340), 지지체(350), 종동 롤러(360), 슬라이드 롤러(370) 및 슬라이드 기구(380)를 갖고 있다.
상자체(310)는 용기를 수납하고, 또한 상부에 이송·적재 기구(미도시)가 배치된다. 상자체(310)는, 용기의 출납이 가능하도록, 상자체(310)의 일측면쪽이 개방되어 있다.
구동부(320)는 차륜(330)을 구동하는 동력의 발생원으로, 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320)는 반송 방향으로 적어도 2개 마련되고, 각각이 도시하지 않은 연결 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차륜(330)은 궤도(301)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면(301a)상을 전동할 수 있는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340)은 상자체(310)를 구동부(320)에 매달아 지지하는 축 부재이다. 지지축(340)은 구동부(320)의 하단면과 상자체(310)의 상단면을 접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축(340)의 내부에는 급전선 홀더(305)와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수전(受電)부가 마련되어 있다. 수전부는, 급전선 홀더(305)에 보유된 급전선(306)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받아, 반송차(300)의 각 부분에 공급한다.
지지체(350)는 지지축(340)에 마련되고, 수평면을 갖고 있다. 지지체(350)는 상기 수평면상에 종동 롤러(3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종동 롤러(360)는 지지축(340)의 양측에 두 쌍이 배치되어, 궤도(301)의 측면(301b)에 당접한다. 종동 롤러(360)는 측면(301b)상을 전동함으로써, 구동부(320)의 자세를 수평 방향의 규정 범위 내로 유지한다.
슬라이드 롤러(370)는 상측 궤도(302)의 수하부(302a)에 당접해 전동하는 롤러이다. 슬라이드 롤러(370)는,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한 쌍의 궤도(301)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수하부(302a)에 대한 위치를 변경해, 수하부(302a)의 양면에 당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롤러(370)는, 전술한 궤도(301)의 일측이 존재하지 않는 개소에서, 타측의 궤도(301)쪽에 있는 수하부(302a)의 면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타측의 궤도(301)와 함께 반송차(300)의 수평 방향의 자세를 유지한다.
슬라이드 기구(380)는 슬라이드 롤러(370)의 위치를 슬라이드 롤러(370)의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기구이며, 구동부(320)상에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380)는 구동부(320)상에 고정되는 고정부(380a), 및 고정부(380a)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부(380b)를 갖고 있다. 고정부(380a)는 이동부(380b)를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에 대해, 도 2∼도 6을 참조해 설명한다.
〈설치 공구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101)가 상기 반송 시스템에서의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설치 공구(101)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설치 공구(101)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설치 공구(101)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공구(101)는 본체부(1), 압입부(2), 지지부(3), 복수의 이동 전동부(4)(전동부) 및 복수의 규제 전동부(5)(전동부)를 갖고 있다. 설치 공구(10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로프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궤도(301)상을 이동한다. 따라서, 설치 공구(101)는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부(1)는 궤도(30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부(1)는 이동 지지부(11), 기체(基體)부(12) 및 전동 각(脚)부(13)를 갖고 있다.
이동 지지부(11)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판상의 부재이며, 2개가 마련된다. 이동 지지부(11)는 한 쌍의 궤도(301)의 폭 방향으로 이동 지지부(11)의 길이 방향이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이동 지지부(11)는 설치 공구(101)의 이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기체부(12)는 판상의 부재이며, 그 양단부의 상단면에서 한 쌍의 이동 지지부(11)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기체부(12)는 본체부(1)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기체부(12)는 이동 지지부(11)에 대해 매달리듯이 배치되어 있다.
기체부(12)는 그 양단부로부터 중앙쪽의 2개소에 구멍(12a)(걸이 구조)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구멍(12a)은, 급전선(306)을 급전선 홀더(305)에 설치할 때, 본체부(1)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프를 통과시켜 걸기 위해 마련된다. 구멍(12a)은, 기체부(12)에서, 본체부(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전단부에 마련된 이동 전동부(4)와 본체부(1)의 후단부에 마련된 이동 전동부(4)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멍(12a)은 기체부(12)에서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이동 전동부(4)와 지지부(3)의 사이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이동 전동부(4)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걸이 구조로는 구멍(12a)으로 한정되지 않고, 로프를 걸 수 있는 구조라면 후크와 같은 구조물이라도 무방하다.
전동 각부(13)는 규제 전동부(5)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전동 각부(13)는, 이동 지지부(11)의 하면에서 기체부(12)의 양면과 간격을 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각부(13)는 이동 지지부(11)의 하면으로부터 매달리듯이 배치된다.
압입부(2)는, 본체부(1)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해, 본체부(1)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에 급전선(306)을 밀어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입부(2)는 기체부(12)의 양면에서의 양단부의 하부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입부(2)는 급전선(306)과 강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급전선(306)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재료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Poly Ethylene)이 바람직하다.
급전선(306)의 설치 작업에 있어서, 압입부(2)는 기체부(12)의 양면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후단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설치 공구(101)의 이동 방향에 따라, 압입부(2)의 장착 위치를 2개소의 장착 위치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압입부(2)는 하부(2a), 상부(2b)(당접부) 및 장착부(2c)를 갖고 있다. 하부(2a)는, 설치 공구(101)가 궤도(301)상에 배치된 상태로 급전선 홀더(305)의 하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부(2b)는, 급전선 홀더(305)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간격을 두고 하부(2a)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부(2b)는 설치 공구(101)가 궤도(301)상에 배치된 상태로, 급전선 홀더(305)의 상방 근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2b)는 압입부(2)의 이동에 따라 압입부(2)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한다. 장착부(2c)는 기체부(12)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하부(2a)의 일단 가장자리와 상부(2b)의 일단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3)는 압입부(2)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을 지지한다. 지지부(3)는, 본체부(1)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부(12)에서 압입부(2)가 장착되는 면에 고정된다. 지지부(3)는, 본체부(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압입부(2)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기체부(12)의 중앙에 배치된다. 지지부(3)는 압입부(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3)는, 기체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통하고, 급전선(30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공(3a)을 갖고 있다.
이동 전동부(4)는 궤도(301)상에서 전동함으로써 본체부(1)를 이동시키는 전동 기구이다. 이동 전동부(4)는 이동 지지부(11)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동 전동부(4)는 홀더(41) 및 구체(球體)(42)를 갖고 있다. 홀더(41)는 이동 지지부(11) 양단의 하면에 고정되어, 구체(42)를 회전 가능하면서도 빠져나오지 않도록 보유한다. 구체(42)는 설치 공구(101)가 궤도(301)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궤도(301)의 상면(301a)상에 위치한다.
규제 전동부(5)는, 이동 전동부(4)와 마찬가지로, 궤도(301)상에서 전동함으로써 본체부(1)를 이동시키는 전동 기구이다. 또한, 규제 전동부(5)는, 본체부(1)가 궤도(301)상을 이동할 때, 한 쌍의 궤도(301)의 폭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전동 각부(13)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규제 전동부(5)는 홀더(51) 및 구체(52)를 갖고 있다. 홀더(51)는 전동 각부(13)의 궤도(301)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구체(52)를 회전 가능하면서도 빠져나오지 않도록 보유한다. 구체(52)는 설치 공구(101)가 궤도(301)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궤도(301)의 측면(301b)상을 전동한다.
〈설치 공구에 의한 급전선의 설치 방법〉
도 6은 설치 공구(101)에 장착되는 압입부(2)가 궤도(301)에 부설되는 급전선 홀더(305)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압입부(2)를 급전선 홀더(305)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고소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작업대에 올라, 급전선(306)이 인출되는 인출부(미도시)로부터 인출된 급전선(306)의 일부를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에 손으로 밀어넣어 끼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급전선 홀더(305)의 급전선(306)이 끼워 넣어진 끝 부위에, 압입부(2)를 급전선 홀더(305)에 꽂아 장착한다(장착 공정).
다음으로, 작업자는, 설치 공구(101)의 이동에 앞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를 궤도(301)상에 배치한다(배치 공정). 배치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는 급전선 홀더(305)에 장착된 압입부(2)를 본체부(1)에 설치한다(설치 공정). 또한, 배치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부(2)로부터의 급전선(306)을 들어 올려 지지부(3)의 관통공(3a)에 통과시킴과 함께, 로프를 기체부(12)의 구멍(12a)에 걸어 둔다.
이와 같이 설치 공구(101)의 배치가 완료되면,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작업자가 설치 공구(101)의 이동 방향 전방의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써, 설치 공구(101)를 궤도(301)를 따라 이동시킨다(이동 공정).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부(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2b)가 압입부(2)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한다. 이에 따라, 급전선(306)은 상부가 개방된 보유부(305a)에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설치 공구(101)의 이동시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가 압입부(2)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을 압입부(2)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하방으로 늘어진 급전선(306)이 압입부(2)에 직접 도입되는 구조와 비교해, 압입부(2)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급전선(306)을 압입부(2)에 도입하기 쉬워진다.
종래, 급전선(306)의 부설은, 작업자가 고소 작업차를 타고 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에 급전선(306)을 수작업으로 밀어넣어 끼워가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고소 작업차에 탄 채로 이동하면서 실시하는 것은 법령상 용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이 닿는 범위에서의 작업이 종료되면 고소 작업차에서 내리고, 다음 작업 개소로 이동하면 다시 고소 작업차에 올라 작업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 때문에 작업에 시간이 걸려 효율적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공구(101)를 이동시킴으로써 급전선 홀더(305)에 급전선(306)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설치 공구(101)를 궤도(301)상에 배치할 때나 설치 공구(101)를 궤도(301)로부터 철거할 때, 높은 곳에 오르고 내리면 되기 때문에, 오르고 내리는 횟수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급전선(306)을 급전선 홀더(305)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설치 공구(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로프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궤도(301)상을 이동한다. 그러나, 설치 공구(101)는 자체에 구동원을 구비함으로써, 자력으로 궤도(301)상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단, 설치 공구(101)를 자주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설치 공구(101)의 궤도(301)상으로의 배치나 철거가 비교적 빈번히 행해지는 개소에서는, 그 개소를 검지해 이동을 정지하는 등의 제어가 필요하다. 게다가, 설치 공구(101)가 중량화되어 설치 공구(101)의 취급이 어려워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설치 공구(101)는 작업자의 힘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이나 정지를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치 공구(101)는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므로, 급전선(306)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설치 공구(102)(도 7 참조) 및 제3 실시 형태의 설치 공구(103)(도 17 참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에 대해, 도 7∼도 16을 참조해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설치 공구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102)가 반송 시스템에서의 궤도(301)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설치 공구(102)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설치 공구(102)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설치 공구에서 기체부(14)의 압입부(7) 및 지지부(8)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기체부(14)의 압입부(7) 및 지지부(8)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설치 공구(102)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압입부(7)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압입부(7)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압입부(7)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공구(102)는 본체부(1A), 복수의 이동 전동부(4), 복수의 규제 전동부(5), 압입부(7), 지지부(8) 및 한 쌍의 변위 규제부(9)(유지부)를 갖고 있다. 설치 공구(1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로프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궤도(301)상을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설치 공구(101)와 마찬가지로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부(1A)는 궤도(30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부(1A)는 이동 지지부(11), 전동 각부(13) 및 기체부(14)를 갖고 있다.
기체부(14)는 그 양단부의 상단면에서, 한 쌍의 이동 지지부(11)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기체부(14)는 본체부(1A)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기체부(14)는 이동 지지부(11)에 대해 매달리듯이 배치되어 있다. 기체부(14)는, 후술하는 압입부(7)의 설치 개소가 1개소로 한정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설치 공구(101)의 기체부(12)보다 짧게 형성된다.
기체부(14)는 거의 중앙부에 구멍(14a)(걸이 구조)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구멍(14a)은, 급전선(306)을 급전선 홀더(305)에 설치할 때, 본체부(1A)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프를 통과시켜 걸기 위해 마련된다. 구멍(14a)은, 본체부(1A)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전단부에 마련된 이동 전동부(4)와 본체부(1A)의 후단부에 마련된 이동 전동부(4)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범위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멍(14a)은 기체부(14)에서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이동 전동부(4)의 사이의 중간 위치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또는, 구멍(14a)은 기체부(14)에서 지지부(8)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어도 된다.
한편, 걸이 구조로는 구멍(14a)으로 한정되지 않고, 로프를 걸 수 있는 구조라면 후크와 같은 구조물이라도 무방하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부(14)는 2개의 노치(14b)를 갖고 있다. 노치(14b)는 기체부(14)에서의 압입부(7)가 장착되는 단부,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A)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후단부의 하부에 마련된다. 노치(14b)는 기체부(14)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본체부(1A)의 이동 방향을 따라 후단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7)는, 본체부(1A)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해, 본체부(1A)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에 급전선(306)을 밀어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입부(7)는 기체부(14)의 양면에서의 일단부,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A)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기체부(14)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압입부(7)는 기체부(14)의 후단부에서의 하부에, 노치(14b)와의 결합 구조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입부(7)는, 제1 실시 형태의 설치 공구(102)에서의 압입부(2)와 마찬가지로,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부(7)는 하부(7a), 상부(7b)(당접부), 장착부(7c) 및 결합부(7d)를 갖고 있다. 하부(7a), 상부(7b) 및 장착부(7c)는, 전술한 설치 공구(101)에서의 압입부(2)의 하부(2a), 상부(2b) 및 장착부(2c)와 거의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결합부(7d)는 장착부(7c)에 2개 마련되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기체부(14)의 노치(14b)에 결합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7d)는 장착부(7c)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에서 도 13에서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있다.
지지부(8)는 압입부(7)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을 지지한다. 지지부(8)는, 본체부(1A)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부(14)에서 압입부(7)가 장착되는 면에 고정된다. 지지부(8)는, 본체부(1A)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압입부(7)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기체부(14)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 위치에 배치된다. 지지부(8)는 압입부(7)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8)는, 기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급전선(306)을 가이드하는 홈(8a)을 갖고 있다.
변위 규제부(9)는 상측 궤도(302)의 수하부(302a)에 당접함으로써, 본체부(1A)의 한 쌍의 궤도(301)의 폭 방향 변위를 규제하고, 본체부(1A)의 자세를 유지한다. 변위 규제부(9)는 지지 부재(91) 및 전동부(92)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91)는 이동 지지부(11) 상면의 거의 중앙부에서 기립하도록 마련된다. 지지 부재(91)는 바닥판, 바닥판상에서 기립하는 기립판,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립판의 양측에 마련된 보강판을 갖고 있다.
전동부(92)는 지지 부재(91)의 상단부에 마련된다. 전동부(92)는 홀더(92a) 및 구체(92b)를 갖고 있다. 홀더(92a)는 지지 부재(91)의 상단부에서 일측면에 고정되어, 구체(92b)를 회전 가능하면서도 빠져나오지 않도록 보유한다. 구체(92b)는 설치 공구(102)가 궤도(301)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 궤도(302)의 수하부(302a)상을 전동한다.
한편, 변위 규제부(9)는 1개의 전동부(92)를 갖고 있지만, 구체(92b)가 홀더(92a)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다른 2개의 전동부(92)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전동부(92)는, 구체(92b)가 홀더(92a)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도 7에 나타낸 전동부(92)와 반대이며, 지지 부재(91)와는 다른 지지 부재에 고정된다. 이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91)의 거의 중앙 위치로부터 지지 부재(91)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 부재(91)는 이동 지지부(11)의 상면에서 회동 가능한 회동 기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위 규제부(9)는, 지지 부재(91)가 회동함으로써, 전동부(92)가 상측 궤도(302)의 수하부(302a)의 일측면에 당접하는 위치와, 다른 전동부(92)가 수하부(302a)의 타측면에 당접하는 위치에서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각각의 전동부(92)가 수하부(302a)의 면에 당접한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91)는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전동부(92)를 전환하여 수하부(302a)의 2개의 면의 어느 한쪽에 당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궤도(301)의 합류부 및 분기부에서 궤도(301)의 어느 한쪽이 존재하지 않아도, 설치 공구(102)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배치하지 않고, 설치 공구(102)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설치 공구에 의한 급전선의 설치 방법〉
도 16은 설치 공구(102)에 의해 급전선 홀더(305)에 급전선(306)을 설치하는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작업자는 작업대상에서, 급전선(306)의 인출부(307)로부터 인출된 급전선(306)의 일부를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에 밀어넣어 끼운다(초기 부설 공정).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급전선 홀더(305)의 급전선(306)이 끼워 넣어진 끝 부위에, 압입부(7)를 급전선 홀더(305)에 꽂아 장착한다(장착 공정).
다음으로, 작업자는, 본체부(1A)를 궤도(301)상에 배치한다(배치 공정). 배치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는 급전선 홀더(305)에 장착된 압입부(7)를 본체부(1A)에 설치한다(설치 공정). 압입부(7)를 본체부(1A)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공구(102)가 완성된다. 또한, 배치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는, 압입부(7)로부터의 급전선(306)을 들어 올려 지지부(8)의 홈에 배치함과 함께, 로프(30)를 기체부(14)의 구멍(14a)에 걸어 둔다.
설치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는, 도 13에 나타낸 압입부(7)의 결합부(7d)의 돌출부를, 도 12에 나타낸 기체부(14)에서의 노치(14b)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끼워넣고, 도 12의 화살표 방향, 즉 설치 공구(102)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부(1A)가 궤도(301)상을 이동할 때, 압입부(7)가 급전선(306)과의 접촉에 의한 저항을 받음으로써, 결합부(7d)가 설치 공구(102)의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로 인해, 결합부(7d)가 노치(14b)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압입부(7)의 본체부(1A)(기체부(14))로의 접합을,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 공구(102)의 배치가 완료되면,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작업자가 설치 공구(102)의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로프(30)를 끌어당김으로써, 설치 공구(102)를 궤도(301)를 따라 이동시킨다(이동 공정). 이것에 의해, 압입부(7)가 이동함에 따라, 상부(7b)가 압입부(7)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한다. 이에 따라, 급전선(306)은 상부가 개방된 보유부(305a)에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본체부(1A)를 로프(30)로 끌어당길 때, 이동 전동부(4)가 궤도(301)로부터 받는 상방의 반력과, 구멍(14a)에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로프(30)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설치 공구(102) 전체의 모멘트의 균형을 잡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안정적으로 본체부(1A)를 끌어당길 수 있다.
설치 공구(102)의 이동시에는, 지지부(3)가 압입부(2)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을 압입부(2)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하방으로 늘어진 급전선(306)이 압입부(2)에 직접 도입되는 구조와 비교해, 압입부(2)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급전선(306)을 압입부(2)에 도입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설치 공구(102)를 이동시킴으로써 급전선 홀더(305)에 급전선(306)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급전선(306)을 급전선 홀더(305)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에 대해, 도 17∼도 27을 참조해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설치 공구의 구성〉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103)가 반송 시스템에서의 궤도(301)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설치 공구(103)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설치 공구(103)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설치 공구(103)에서의 기체부(15)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설치 공구(103)에 장착되는 압입 지지부(60)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압입 지지부(60)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3은 압입 지지부(6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4는 압입 지지부(60)에 끼워 넣어지는 부(副)압입부(6)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5는 부압입부(6)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6은 부압입부(6)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공구(103)는 본체부(1B), 복수의 이동 전동부(4), 복수의 규제 전동부(5), 부압입부(6), 한 쌍의 변위 규제부(9), 압입부(20), 압입 지지부(60) 및 지지부(80)를 갖고 있다. 설치 공구(10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로프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궤도(301)상을 이동한다. 따라서, 설치 공구(103)는, 설치 공구(101)와 마찬가지로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설치 공구(103)는, 급전선(306)을 급전선 홀더(305)에 설치할 뿐만 아니라, 감열선(308)(검지선)도 급전선 홀더(305)에 설치한다. 감열선(308)은 급전선(306)의 과열 상태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열선(308)은, 급전선(306)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하면, 급전선(306)의 열에 의해 용단(鎔斷)되도록 구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306)의 배선 오류 등에 의해, 급전선(306)이 과도하게 발열하는 경우, 감열선(308)이 단선됨으로써, 급전선(306)으로의 급전이 정지된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급전선(306)은, 감열선(308)과 같은 기능을 갖는 감열선을 피복내에 내장하고 있어도 된다.
급전선 홀더(305)는 보유부(305a)와 함께 부(副)보유부(305b)를 갖고 있다. 부보유부(305b)는 급전선 홀더(305)에서 급전선(306)에 접하는 위치에 감열선(308)을 보유하고, 또한 보유부(305a)와 연속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1B)는 궤도(30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지지부(11), 전동 각부(13) 및 기체부(15)를 갖고 있다.
기체부(15)는 그 양단부의 상단면에서 한 쌍의 이동 지지부(11)의 하면에 고정됨으로써, 본체부(1B)의 기본 구조를 구성한다. 기체부(15)는 이동 지지부(11)에 대해 매달리듯이 배치되어 있다. 기체부(15)는, 후술하는 압입부(20)의 설치 개소가 1개소로 한정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설치 공구(101)의 기체부(12)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부(15)는 수하부(15a) 및 구멍(15b)(걸이 구조)을 갖고 있다. 수하부(15a)는, 기체부(15)의 거의 중앙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매달리듯이 형성된 직사각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구멍(15b)은 수하부(15a)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15b)은 급전선(306) 및 감열선(308)의 급전선 홀더(305)로의 설치시에 본체부(1B)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프를 통과시켜 걸기 위해 마련된다. 구멍(15b)은, 본체부(1B)의 이동 방향(도 18의 오른쪽 방향, 이후, 단순히 '이동 방향'이라고 한다)에 있어서 전단부에 마련된 이동 전동부(4)와 본체부(1B)의 후단부에 마련된 이동 전동부(4)의 사이에 규정되는 범위에 마련된다. 또한, 구멍(15b)은 부압입부(6)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로프를 걸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걸이 구조로는 구멍(15b)으로 한정되지 않고, 로프를 걸 수 있는 구조라면, 후크와 같은 구조물이라도 무방하다.
기체부(15)는 지지봉(15c, 15d, 15e)을 갖고 있다. 지지봉(15c, 15d, 15e)은, 압입부(20), 압입 지지부(60) 및 지지부(80)를 각각 기체부(15)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다.
지지봉(15c)은 기체부(15)에서의 압입부(20)가 장착되는 단부, 구체적으로는 이동 방향에 있어서 후단의 하부에 마련된다. 지지봉(15c)은 상기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이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이동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봉(15d)은 수하부(15a)에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전단의, 구멍(15b)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지지봉(15d)은 지지봉(15c)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지지봉(15e)은 기체부(15)에 형성된 장공(15f) 내에 마련되어 있다. 장공(15f)은, 이동 방향에 있어서, 수하부(15a)의 상기 전단보다 앞쪽에, 지지봉(15c)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지지봉(15e)은, 장공(15f)에서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후단으로부터, 지지봉(15c)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봉(15e)은, 장공(15f)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 예를 들면 장공(15f)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있다.
압입부(20)는, 본체부(1B)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해, 본체부(1B)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에 급전선(306)을 밀어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입부(20)는 기체부(15)의 양면에서의 일단부, 구체적으로는 이동 방향에 있어서 기체부(15)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입부(20)는 지지봉(15c)에 삽입됨으로써 본체부(1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입부(20)는, 제1 실시 형태의 설치 공구(102)에서의 압입부(2)와 마찬가지로,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압입부(20)는 하부(20a), 상부(20b)(당접부), 장착부(20c) 및 삽입공(20d)을 갖고 있다. 하부(20a), 상부(20b) 및 장착부(20c)는, 각각, 전술한 설치 공구(101)에서의 압입부(2)의 하부(2a), 상부(2b) 및 장착부(2c)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삽입공(20d)은 지지봉(15c)이 삽입되기 위해 마련된다. 삽입공(20d)은 장착부(20c)의 후단면에 개구됨과 함께, 이동 방향으로 장착부(20c)의 거의 중앙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장착부(20c)의 후단면은, 환언하면, 압입부(20)가 이동할 때 하부(20a)와 상부(20b)의 사이를 지나는 급전선(306)이 압입부(20)로부터 빠져나가는 쪽의 면이다.
지지부(80)는 압입부(20)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을 지지한다. 지지부(80)는, 본체부(1B)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하도록, 기체부(15)에 장착된다. 지지부(80)는, 이동 방향에 있어서 압입부(2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기체부(15)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압입부(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80)는 기체부(1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급전선(306)을 가이드하는 홈(80a)을 갖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80)는 장착부(80b)를 갖고 있다. 장착부(80b)는, 홈(80a)에 따른, 기체부(15)에 면하는 지지부(80)의 측면에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착부(80b)는 홈(80a)이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공을 갖고 있다. 장착부(80b)는 장공(15f)에 관통하도록 삽입됨과 동시에, 장착부(80b)의 삽입공에 지지봉(15e)이 삽입됨으로써 기체부(15)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80)는 지지봉(15e)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1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체부(15)는 장공(15g)을 갖고 있다. 장공(15g)은 장공(15f)보다 높은 위치의, 기체부(15)의 상단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공(15g)은, 기체부(15)의 중앙으로부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으로 거의 같은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공(15g)은, 기체부(15)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또한, 작업자가 본체부(1B)를 잡기 쉽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
부압입부(6)는 본체부(1B)와 함께 궤도(301)를 따라 이동하고, 이동 방향에 있어서 압입부(20)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부압입부(6)는 본체부(1B)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감열선(308)을 부보유부(305b)로 밀어넣는다. 또한, 도 17에 확대해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입부(6)는 보유부(305a) 내를 이동해, 감열선(308)을 부보유부(305b)에 도입하는 선단부(63)를 갖고 있다. 부압입부(6)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압입 지지부(60)는, 선단부(63)가 보유부(305a) 내를 이동하도록, 부압입부(6)를 본체부(1B)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1∼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 지지부(60)는 하부(601)(돌출부), 상부(602)(돌출부) 및 장착부(603)를 갖고 있다.
하부(601)는, 설치 공구(103)가 궤도(301)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급전선 홀더(305)의 하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부(602)는, 급전선 홀더(305)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간격을 두고 하부(601)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하부(601) 및 상부(602)는, 각각, 감열선(308)을 도입하는 측에 도입 단부(601a) 및 도입 단부(602a)를 갖고 있다.
한편, 하부(601) 및 상부(602)는, 압입 지지부(60)가 기체부(15)에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위치가 바뀐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공구(103)의 진행 방향의 전방에서 보아, 압입 지지부(60)가 기체부(15)의 우측에 장착되는 상태와 압입 지지부(60)가 기체부(15)의 좌측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하부(601) 및 상부(602)가 바뀐다. 이는 후술하는 삽입공(603a)의 방향을 바꾸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착부(603)는 기체부(15)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하부(601)의 일단 가장자리와 상부(602)의 일단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장착부(603)는 삽입공(603a)을 갖고 있다. 삽입공(603a)은 지지봉(15d)이 삽입되기 위해 마련된다. 삽입공(603a)은 장착부(603)의 후단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이동 방향(도 21에서는 우측)으로 장착부(603)의 거의 중앙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603)의 후단면은, 환언하면, 압입 지지부(60)가 이동할 때에 하부(601) 및 상부(602)의 사이를 지나는 감열선(308)이 압입 지지부(60)로부터 빠져나가는 측의 면이다.
한 쌍의 돌출부를 구성하는 하부(601) 및 상부(602)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장착부(603)와 함께 보유부(305a)를 덮고, 또한 장착부(603)로부터 급전선 홀더(305)의 상하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부(601) 및 상부(602)는, 각각, 경사부(601b) 및 경사부(602b)를 갖고 있다. 경사부(601b) 및 경사부(602b)는, 하부(601)와 상부(602)의 간격이 이동 방향에 있어서, 도입 단부(601a) 및 도입 단부(602a)로부터 하부(601) 및 상부(602)의 중앙 부근까지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런데, 급전선 홀더(30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고, 그 부품을 궤도(301)에 설치할 때 상기 부품을 궤도(301)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된다. 궤도(301)로의 일부 부품의 설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급전선 홀더(305)에서 부품끼리의 이음매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압입 지지부(60)의 하부(601) 및 상부(602)가 해당 단차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에 비해, 하부(601) 및 상부(602)가 각각 경사부(601b) 및 경사부(602b)를 가짐으로써, 하부(601) 및 상부(602) 각각의 도입 단부(601a) 및 도입 단부(602a)에서의 간격이 넓게 확보된다. 이에 따라, 급전선 홀더(305)에서 상기 단차가 생겨도, 하부(601) 및 상부(602)가 단차에 쉽게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의 영향을 줄여, 감열선(308)의 도입 및 압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압입부(20)의 하부(20a) 및 상부(20b)도, 각각, 경사부(601b) 및 경사부(602b)와 같은 구조의 경사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압입부(2) 및 압입부(7)도, 각각, 경사부(601b) 및 경사부(602b)와 같은 구조의 경사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하부(601) 및 상부(602)는, 각각, 슬릿(601c) 및 슬릿(602c)을 갖고 있다. 슬릿(601c) 및 슬릿(602c)은 부압입부(6)를 압입 지지부(60)에 끼워넣기 위해 마련된다. 슬릿(601c)은, 도입 단부(601a)로부터 이동 방향(도 22에서는 오른쪽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릿(601c)의 후단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602c)은, 도입 단부(602a)로부터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릿(602c)의 후단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601c) 및 슬릿(602c)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4∼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입부(6)는 정상부(61), 중간부(62) 및 선단부(63)를 갖고 있다.
정상부(61)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62)는, 정상부(61)의 하단면에서 정상부(61)의 폭 방향 중앙에, 정상부(6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정상부(61)의 하단면으로부터 매달리듯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62)는 광폭부(62a)를 갖고 있다. 광폭부(62a)는, 중간부(62)의 거의 중간 부위에서, 다른 부위보다 넓은 폭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슬릿(601c) 및 슬릿(602c)은 중간부(62)가 감합(嵌合)하도록, 중간부(62)의 외형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63)는, 정상부(6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중간부(62)의 하단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63)는 선단 분할부(63a)를 갖고 있다. 선단 분할부(63a)는 정상부(61)의 폭 방향의 일측에 마련된다. 선단 분할부(63a)는 선단이 2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압입부(6)는, 정상부(61)가 상단에서 압입 지지부(60)의 상부(602)의 상단면 위에 올라타고, 중간부(62)가 슬릿(602c)에 삽입된다. 또한, 부압입부(6)는, 압입 지지부(60)가 이동할 때, 슬릿(602c)의 후단에서 보유됨과 동시에, 중간부(62)의 광폭부(62a)가 슬릿(602c)에 감합(嵌合)되어 보유된다. 이에 따라, 부압입부(6)는, 설치 공구(103)의 이동시에 슬릿(602c)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입부(6)는 선단 분할부(63a)가 부보유부(305b)를 막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부압입부(6)는, 압입 지지부(60)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선단 분할부(63a)로 감열선(308)을 누르면서 부보유부(305b)로 밀어넣을 수 있다.
〈설치 공구에 의한 급전선의 설치 방법〉
도 27은 설치 공구(103)에 의해 급전선 홀더에 급전선(306) 및 감열선(308)을 설치하는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작업자는 작업대상에서, 급전선(306)의 인출부(307)로부터 인출된 급전선(306) 및 감열선(308)의 일부를,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 및 부보유부(305b)에 각각 밀어넣어 끼운다(초기 부설 공정). 다음으로, 작업자는 본체부(1B)를 궤도(301)상에 배치한다(배치 공정).
계속해서, 작업자는, 급전선 홀더(305)의 급전선(306)이 끼워 넣어진 끝 부위에, 압입부(20)를 급전선 홀더(305)에 꽂아 장착한다(제1 장착 공정). 제1 장착 공정에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압입부(20)를 급전선 홀더(305)에 일단 꽂아넣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켜 기체부(15)의 지지봉(15c)에 찔러넣어 본체부(1B)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B)가 궤도(301)상을 이동할 때, 압입부(20)가 급전선(306)과의 접촉에 의한 저항을 받음으로써, 설치 공구(103)의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지지봉(15c)가 압입부(20)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로 인해, 압입부(20)가 기체부(15)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압입부(20)의 본체부(1B)(기체부(15))로의 장착을,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압입부(20)로부터의 급전선(306)을 들어 올려 지지부(80)의 홈에 배치한다(제1 부설 준비 공정). 제1 부설 준비 공정에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지지부(80)를 기체부(15)의 지지봉(15e)에 찔러넣음으로써 본체부(1B)에 장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부압입부(6)가 본체부(1B)에 장착되는 위치까지, 감열선(308)을 부보유부(305b)에 밀어넣고, 감열선(308)을 밀어넣은 위치에서, 압입 지지부(60)를 급전선 홀더(305)에 끼워 넣어 장착한다(제2 장착 공정). 제2 장착 공정에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압입 지지부(60)를 급전선 홀더(305)에 일단 꽂아넣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켜 기체부(15)의 지지봉(15d)에 찔러넣음으로써 본체부(1B)에 장착한다.
또한, 작업자는, 부압입부(6)를 선단부(63)의 선단 분할부(63a)가 부보유부(305b) 내의 감열선(308)을 누르도록 배치한 상태로, 압입 지지부(60)의 슬릿(602c)에 끼워넣어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압입 지지부(60)에 조립한다(제2 부설 준비 공정(후장착 공정)). 제2 부설 준비 공정에서, 작업자는, 압입 지지부(60)보다 전방의 부위에서 감열선(308)을 후크(70)에 걸어 둔다.
이와 같이 하여, 압입부(20), 지지부(80), 압입 지지부(60) 및 부압입부(6)가 본체부(1B)에 장착되면, 설치 공구(103)가 완성된다. 작업자가 이 상태로 로프(30)를 기체부(15)의 구멍(15b)에 걸면,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작업자가 설치 공구(103)의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로프(30)를 끌어당김으로써, 설치 공구(103)를 궤도(301)를 따라 이동시킨다(이동 공정).
이것에 의해, 압입부(20)가 이동함에 따라, 상부(20b)가 압입부(20)에 도입되는 급전선(306)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한다. 이에 따라, 급전선(306)은 상부가 개방된 보유부(305a)에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또한, 압입 지지부(60)가 이동함에 따라, 부압입부(6)의 선단 분할부(63a)는, 급전선 홀더(305)의 보유부(305a) 내에 있는 감열선(308)을 눌러 부보유부(305b)에 도입한다. 이에 따라, 감열선(308)은 보유부(305a)에 연속되는 부보유부(305b)에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설치 공구(103)의 이동시에는, 후크(70)가 압입 지지부(60)에 도입되는 감열선(308)을 압입 지지부(60)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하방으로 늘어진 감열선(308)이 압입 지지부(60)에 직접 도입되는 구조와 비교해, 압입 지지부(6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열선(308)을 압입 지지부(60)에 도입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설치 공구(103)를 이동시킴으로써 급전선 홀더(305)에 급전선(306) 및 감열선(308)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급전선(306) 및 감열선(308)을 급전선 홀더(305)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할 수 있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상기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공구로서,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상기 급전선 홀더에,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보유부에 상기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급전선이 압입부에 의해 급전선 홀더에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급전선을 급전선 홀더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의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압입부가 상기 급전선 홀더의 상방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입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압입부에 도입되는 상기 급전선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당접부가 급전선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함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보유부에 급전선을 하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압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압입부에 도입되는 상기 급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압입부에 도입되는 급전선을 압입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므로, 하방으로 늘어진 급전선이 압입부에 직접 도입되는 구조와 비교해, 압입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전선을 압입부에 도입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3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가 상기 급전선을 가이드하는 홈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급전선을 지지부의 홈에 올려놓음으로써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에 급전선을 지지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부압입부로서, 상기 급전선의 과열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선을 상기 급전선 홀더에서 상기 급전선에 접하는 위치에 보유하고, 또한 상기 보유부와 연속하도록 마련된 부보유부에,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검지선을 밀어넣는 부압입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급전선이 보유부에 밀어넣어지는 것에 선행해, 부압입부에 의해 검지선이 부보유부에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검지선을 급전선 홀더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압입부가, 상기 보유부 내를 이동하고, 상기 검지선을 상기 부보유부에 도입하는 선단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설치 공구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보유부 내를 이동하도록, 상기 부압입부를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압입 지지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일반적으로 급전선보다 가늘게 형성되는 검지선을, 보유부 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보유부 내를 이동하는 선단부에 의해 부보유부로 도입함으로써, 검지선이 부보유부로 밀어넣어진다. 또한, 부압입부가 압입 지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검지선을 부보유부에 밀어넣는 초기 작업을 하고 나서, 선단부가 밀어넣어진 검지선을 누르도록, 부압입부를 본체부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6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기체부를 갖고, 상기 압입 지지부가, 상기 기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와 함께 상기 보유부를 덮고, 또한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급전선 홀더의 상하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간격이,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지선을 도입하는 측의 도입단부보다 후방측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가 경사부를 가짐으로써, 한 쌍의 돌출부의 도입단부에서의 간격이 넓게 확보된다. 이에 따라, 급전선 홀더에 있어서, 급전선 홀더를 구성하는 부품이 접합되는 부분에 단차가 생겨도, 한 쌍의 돌출부가 단차에 쉽게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의 영향을 줄여, 검지선의 도입 및 압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5 또는 제6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부압입부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로프를 거는 걸이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압입부에 로프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써 원활히 본체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제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가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의 이동 방향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노치를 갖고, 압입부가 상기 노치에 결합하는 갈고리 형상의 결합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압입부의 본체부로의 접합을,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구를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부가 노치에 의해 깊게 결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압입부를 나사 등으로 본체부에 고정하지 않아도, 압입부가 본체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제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일부의 상기 궤도의 상방에 마련된, 상기 반송차를 가이드하기 위한 상측 궤도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자세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궤도상에서 전동함으로써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가 궤도상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따른 설치 공구는, 상기 제1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가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가 로프를 거는 걸이 구조를 갖고, 상기 걸이 구조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의 상기 전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의 상기 전동부의 사이에 규정되는 범위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로프에 의해 본체부의 하방에서 이동 방향으로 본체부를 끌어당김으로써, 본체부를 궤도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부가 궤도로부터 받는 상방의 반력과, 걸이 구조에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로프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설치 공구 전체의 모멘트의 균형을 잡기 쉬워져, 안정적으로 본체부를 끌어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따른 설치 방법은,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상기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방법으로,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상기 급전선 홀더에, 이동에 따라 상기 보유부에 상기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상기 급전선 홀더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 및 상기 압입부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압입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급전선이 압입부에 의해 급전선 홀더에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급전선을 급전선 홀더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 따른 설치 방법은, 상기 제14 형태의 상기 이동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에 앞서,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를 상기 궤도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급전선 홀더에 장착된 상기 압입부를 상기 본체부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압입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압입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소 작업을 큰 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 따른 설치 방법은, 상기 제14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의 과열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선을 상기 급전선 홀더에서 상기 급전선에 접하는 위치에 보유하고, 또한 상기 보유부와 연속하도록 마련된 부보유부에, 이동에 따라 상기 검지선을 밀어넣는 부압입부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에 상기 부압입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압집 지지부에 장착하는 후장착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공정에서 상기 부압입부를 상기 압입부와 함께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본체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급전선이 보유부에 밀어넣어지는 것에 선행해, 부압입부에 의해 검지선이 부보유부에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검지선을 급전선 홀더에 밀어넣는 작업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 따른 설치 방법은, 상기 제14∼제16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이동 공정에 있어서,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압입부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압입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압입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소 작업을 큰 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해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1A, 1B: 본체부
2, 7: 압입부
6: 부압입부
2b, 7b, 20b: 상부(당접부)
7d: 결합부
3, 8, 80: 지지부
4: 이동 전동부(전동부)
5: 규제 전동부(전동부)
8a, 80a: 홈
9: 변위 규제부(유지부)
12a, 14a, 15b: 구멍(걸이 구조)
14b: 노치
60: 압입 지지부
101, 102, 103: 설치 공구
301: 궤도
305: 급전선 홀더
305a: 보유부
305b: 부보유부
306: 급전선
308: 감열선(검지선)
601: 하부(돌출부)
601a, 602a: 도입단부
601b, 602b: 경사부
602: 상부(돌출부)
603: 장착부

Claims (17)

  1.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상기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공구로서,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상기 급전선 홀더에,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보유부에 상기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구비하는, 설치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급전선 홀더의 상방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입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압입부에 도입되는 상기 급전선에 상방으로부터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는, 설치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보다 전방이면서 상기 압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압입부에 도입되는 상기 급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설치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급전선을 가이드하는 홈을 갖고 있는, 설치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부압입부로서, 상기 급전선의 과열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선을 상기 급전선 홀더에서 상기 급전선에 접하는 위치에 보유하면서 상기 지지부와 연속하도록 마련된 부보유부에, 상기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검지선을 밀어넣는 부압입부를 더 구비하는, 설치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입부는, 상기 보유부 내를 이동하고, 상기 검지선을 상기 부보유부에 도입하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설치 공구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보유부 내를 이동하도록, 상기 부압입부를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압입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설치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기체부를 갖고,
    상기 압입 지지부는,
    상기 기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함께 상기 보유부를 덮으면서,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급전선 홀더의 상하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간격이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검지선을 도입하는 측의 도입단부보다 후방측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설치 공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부압입부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로프를 거는 걸이 구조를 갖는, 설치 공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설치 공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노치를 갖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노치에 결합하는 갈고리 형상의 결합부를 갖는, 설치 공구.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부의 상기 궤도의 상방에 마련된, 상기 반송차를 가이드하기 위한 상측 궤도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자세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설치 공구.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상에서 전동함으로써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더 구비하는, 설치 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는, 로프를 거는 걸이 구조를 갖고,
    상기 걸이 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의 상기 전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의 상기 전동부의 사이에 규정되는 범위에 마련되는, 설치 공구.
  14. 반송차가 주행하기 위한 궤도에 부설되어, 상기 반송차에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급전선을 보유하는 급전선 홀더에 상기 급전선을 설치하는 설치 방법으로서,
    일부가 개방된 보유부를 갖는 상기 급전선 홀더에, 이동에 따라 상기 보유부에 상기 급전선을 밀어넣는 압입부를 상기 급전선 홀더에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압입부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포함하는, 설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에 앞서,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를 상기 궤도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급전선 홀더에 장착된 상기 압입부를 상기 본체부에 부착하는 설치 공정을 더 포함하는, 설치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의 과열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선을 상기 급전선 홀더에서 상기 급전선에 접하는 위치에 보유하면서 상기 지지부와 연속하도록 마련된 부보유부에, 이동에 따라 상기 검지선을 밀어넣는 부압입부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에 상기 부압입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압집 지지부에 장착하는 후장착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공정에서 상기 부압입부를 상기 압입부와 함께 이동시키는, 설치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정에서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압입부를 이동시키는, 설치 방법.
KR1020230128460A 2022-09-29 2023-09-25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 KR20240045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56698 2022-09-29
JP2022156698 2022-09-29
JP2023136580A JP2024050430A (ja) 2022-09-29 2023-08-24 取付工具および取付方法
JPJP-P-2023-136580 2023-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122A true KR20240045122A (ko) 2024-04-05

Family

ID=9047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8460A KR20240045122A (ko) 2022-09-29 2023-09-25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09746A1 (ko)
KR (1) KR202400451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574A (ja) 2001-05-22 2002-11-27 Murata Mach Ltd 非接触給電の給電線敷設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574A (ja) 2001-05-22 2002-11-27 Murata Mach Ltd 非接触給電の給電線敷設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9746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3913B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KR101874320B1 (ko) 호이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반송시스템
JP4378655B2 (ja) 物品処理設備
US6036427A (en) Guided vehicle system for transporting loads
JP4483055B2 (ja) 搬送設備
US20020029719A1 (en) Conveyance system
US10988359B2 (en) Overhead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system
JP2001080715A (ja) フリクション駆動式トロリーコンベヤ
JP2010214577A (ja) ドア搬送装置
KR20240045122A (ko) 설치 공구 및 설치 방법
JP2011109859A (ja) 物品搬送装置
KR100599825B1 (ko) 반송장치
JP2024050430A (ja) 取付工具および取付方法
CN210139197U (zh) 切换夹具库
CN117791400A (zh) 安装工具及安装方法
JP2001278575A (ja) 天井搬送車の着脱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分断レールの連結装置、及びレールの接続構造
TW202421464A (zh) 安裝工具及安裝方法
JPH0692430A (ja) 自走台車使用の搬送設備
CN111532696A (zh) 室内水平传输机构及医院物流系统
JP2000229727A (ja) 台車移送装置
CN212402498U (zh) 室内水平传输机构及医院物流系统
JP2848735B2 (ja) 自動車用シート搬送装置
JPH05193498A (ja) 自動車ドアの搬送装置
CN215624717U (zh) 一种具有新型张紧装置的运输线
CN218023643U (zh) 引出释放组件、升降机构及吊挂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