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598A -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598A
KR20240044598A KR1020220123613A KR20220123613A KR20240044598A KR 20240044598 A KR20240044598 A KR 20240044598A KR 1020220123613 A KR1020220123613 A KR 1020220123613A KR 20220123613 A KR20220123613 A KR 20220123613A KR 20240044598 A KR20240044598 A KR 2024004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flective
white
pearl
pearl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12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598A/ko
Publication of KR2024004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9D11/104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7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고유의 반사 효과로 증착없이 패턴층을 시인할 수 있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이용한 반사층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시 특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코팅함으로써, 증착층이 없이도 잉크 반사물질 및 펄 레진에 의해 패턴효과 및 반사색상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증착 공정 단계를 거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고 전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Black reflective-pearl ink, cellular phone decoration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cellular phone decoration film}
본 발명은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 잉크 고유의 반사 효과로 증착없이 패턴층을 시인할 수 있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이용한 반사층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및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휴대폰 및 스마트폰(이하 '휴대폰'으로 일괄하여 칭함)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휴대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으로 구성된다.
이중, 휴대폰의 하우징의 후면에는 보호용 및 마감용 패널이 백커버(back-cover)로 제공되고 있으며, 대체로 상기 백커버에는 특정 로고나 문자, 기호, 패턴 등을 포함한 다양한 데코레이션(decoration) 필름이 사용되는데, 휴대폰 제품의 보호뿐만 아니라, 심미성 향상을 위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다양한 개성을 가진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도록 필름의 색상, 광택, 그리고 문양(즉, 패턴) 등이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형성된 PC PMMA 복합시트층(11)의 일측에 UV 패턴층(12); 증착층(13); 및 실크인쇄 차폐층(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UV 패턴층(12) 후면에는 실크인쇄 차폐층(14)이 증착되기 전에 증착층(13)을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데, 만일 상기 증착층(13)이 없이 실크인쇄 차폐층(14)이 증착되면, 증착층에 의한 반사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UV 패턴층의 패턴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상기 증착공정은 UV 패턴 인쇄, 실크인쇄와는 다르게 별도의 증착 장치가 요구되는 바, 휴대폰 데코레이션 제조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증착층 없이도 UV 패턴층의 패턴이 발현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5243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증착층 없이도 UV 패턴층의 패턴이 발현될 수 있는 특수 반사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특수 반사 잉크를 이용한 반사층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UV 패턴층의 패턴이 발현될 수 있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제공한다.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는 고광택 및 고 반사율을 갖는 메인 수지; 화이트 안료; 펄(pearl) 레진; 분산 수지; 및 분산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수지는 수지 굴절률이 1.55~1.65인 변성 아크릴 타입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화이트 안료는 티타늄화이트(TiO2 : rutile & anatase), 징크화이트(ZnO) 및 백연(lead white, (PbCO3)2·Pb(OH)2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펄 레진은 투명 레진에 다이아몬드 펄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산 수지는 수지 굴절률이 1.55~1.65인 폴리에스테르 타입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분산 첨가제는 알칸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는 메인 수지 10~15 중량%, 화이트 안료 25~35 중량%, 펄 레진 0.1~1 중량%, 분산 수지 55~65 중량%, 및 분산 첨가제 5~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사용한 반사층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복합시트와; 상기 복합시트의 배면에 형성된 UV 광학 패턴층; 상기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형성된,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배면에 형성된 실크인쇄 차폐층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압축하여 형성된 복합시트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은 복합시트의 배면에 UV 광학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반사층의 배면에 실크인쇄 차폐층을 형성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을 컷팅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시 특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코팅함으로써, 증착층이 없이도 잉크 반사물질 및 펄 레진에 의해 패턴효과 및 반사색상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증착 공정 단계를 거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고 전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UV 패턴층의 패턴이 발현될 수 있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 반사-펄 잉크는 고광택 및 고 반사율을 갖는 메인 수지; 화이트 안료; 펄(pearl) 레진; 분산 수지; 및 분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수지는 수지 굴절률이 1.55~1.65로 높고 광택이 높아서 UV 패턴 시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아크릴수지에 굴절률을 높이는 작용기를 도입한, 변성 아크릴 타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이트 안료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화이트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티타늄화이트(TiO2 : rutile & anatase), 징크화이트(ZnO), 백연(lead white, (PbCO3)2·Pb(OH)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펄 레진은 당 업계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투명 PP 레진에 다이아몬드 펄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수지는 잉크 내에서 메인 수지와 호환성이 높으며, 블랙 안료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기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분산 수지는 메인 수지와 동등한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메인 수지의 굴절률을 지지하고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 수지의 일례로는 폴리에스테르 타입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 첨가제는 잉크 내에서 상기 블랙 안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잉크의 점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당 업계에서 공지된 분산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첨가제의 일례로는 알칸산 알킬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는 메인 수지 10~15 중량%, 화이트 안료 25~35 중량%, 펄 레진 0.1~1 중량%, 분산 수지 55~65 중량%, 및 분산 첨가제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잉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점도와 반사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사용한 반사층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복합시트(11);
상기 복합시트의 배면에 형성된 UV 광학 패턴층(12);
상기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형성된,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층(15); 및
상기 반사층 배면에 형성된 실크인쇄 차폐층(14)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복합시트(11)는 베이스필름으로서 사용되는데,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복합시트(11)는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형성한, PC 및 PMMA의 복합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0.5~0.8 mm가 바람직하다.
PC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일반 판유리의 보완재로 많이 쓰인다.
PMMA는 특수 수지(樹脂)의 일종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폴리머(중합체) 성분이며, 뛰어난 광학 특성, 내후성, 표면강도, 경도, 성형성 등이 특징이다.
상기 PC 및 PMMA의 복합시트는 백 레이어(back layer) 필름을 더 합지할 수 있는데, 상기 백 레이어 필름으로서 PC층 또는 PMMA층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0.07~0.125 mm가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과 백 레이어 필름을 점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층의 소재로는 투명한 액체 타입의 광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또는 액상 광학 접착제(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 LOCA))를 사용할 수 있다.
광접착 레진은 투명한 양면 테이프 타입의 광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이 가진 기재 적용시의 기포 생성 가능성이라든가 커버 윈도우의 인쇄로 인한 단차 메꿈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은 복합시트의 배면에 형성되며, 입체적인 디자인 패턴을 나타내는 역할과 다채로운 굴절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도록 UV 몰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패턴 형상에는 초정밀기계가공(super precision machine) 패턴, 홀로그램 패턴을 포함한 다양한 패턴 형상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UV 패턴 형상이라면 적용될 수 있다.
UV 패턴 성형용 도료는 바인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인더 물질을 포함하는 패턴층 형성 조성물을 표면에 음각홈이 형성된 그라비아 롤에 충진시켜 그라비아 인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별도의 경화 공정 없이 바로 패턴층을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은 제1 반투명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은 소정의 수용 홈이 구비되어, 제1 반투명 컬러와 다른 색상의 틴트 컬러인 제2 반투명 컬러를 갖는 잉크가 메워지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은 UV 몰딩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한 후, 표면에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색상 및 패턴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투톤 색상, 멀티 색상, 깊이감이 다양한 색상 등 다양한 색상 및 패턴 표현이 가능하여, 심미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의 배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층(15)이 형성된다.
종래의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은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에 의한 입체 효과가 선명하게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의 배면에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증착층(13)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증착공정은 UV 광학 패턴층 및 후술하는 실크인쇄 차폐층의 인쇄 공정과 달리 별도의 증착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착층을 대신하여 반사에 의해 UV 광학 패턴층(12)에 의한 입체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의 배면에 인쇄 코팅함으로써 반사층(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과 관련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쇄 코팅 방법은 당 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사층(15) 배면에는 실크인쇄 차폐층(14)이 형성된다.
상기 실크인쇄 차폐층(14)은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어두운 색상을 인쇄하여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데코레이션 필름의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실크인쇄 차폐층(14) 하측이 투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실크인쇄 차폐층(14)은 일례로서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된 실크인쇄 층의 불투명한 층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은
복합시트의 배면에 UV 광학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반사층의 배면에 실크인쇄 차폐층을 형성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을 컷팅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S100 단계 내지 S300 단계에서, 복합시트(11)의 배면에 UV 광학 패턴층(1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UV 광학 패턴층(12)의 배면에 반사층(15)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층(15)의 배면에 실크인쇄 차폐층(14)을 형성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인쇄 방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S400 단계는 백커버를 컷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는 S300 단계가 완료된 다음, 피착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레이저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데코레이션 필름을 컷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시 특정한 성분을 포함하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코팅함으로써, 증착층이 없이도 잉크 반사물질 및 펄 레진에 의해 패턴효과 및 반사색상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증착 공정 단계를 거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고 전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조예(example)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화이트 반사-펄 잉크의 제조]
메인 수지로서 수지 굴절률이 1.60인 변성 아크릴 타입 수지 10~15 중량%, 화이트 안료로서 티타늄화이트 25~35 중량%, 펄 레진으로서 투명 PP 레진에 다이아몬트 펄이 분산된 레진 0.1~1 중량%, 분산 수지로서 수지굴절률이 1.56인 폴리에스테르 타입 수지 55~65 중량% 및 알칸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분산 첨가제 5~15 중량%를 용매로서 이소포론에 넣고 교반하여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포함하는 반사층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베이스 필름으로서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한 0.5 mm의 PC PMMA 복합시트의 배면에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하여 패턴 형상을 갖도록 UV 몰딩을 형성하여 UV 광학 패턴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상기 UV 광학 패턴층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반사층 배면에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실크인쇄 차폐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크 인쇄 차폐층은 3번 반복하여 형성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화이트 반사-펄 잉크의 신뢰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블랙 반사 잉크가 데코레이션 필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랙 반사 잉크로 형성된 필름의 신뢰성 분석을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 개발된 필름의 신뢰성 평가 방법에 의해 잉크젯 프린팅 된 필름의 선폭의 초기 성능, 내열탕성 시험, 항온항습 시험, 열충격 시험, 자외선 투과 시험, 고온 시험, 저온 시험, 염수 분무 시험, 내오염성 시험 및 내화장품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12에 나타내었다.
(1) 초기 성능
구분 제조예 1의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제조예 1의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제조예 1의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X-Cut(1mm) 58 58 58
Dyne(Min.32) 40 40 40
절연저항(≥1000MΩ) 4000 4000 4000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4958 2867 2618
최소 4728 2731 2428
평균 4861 2812 2533
알코올 러빙 양호 양호 양호
(2) 내열탕성 시험
구분 80℃, 30분 1000℃, 1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3757 3269 4743 1577 5847 1781
최소 3532 3042 4621 1440 5603 1690
평균 3653 3185 4692 1515 5755 1743
외관 양호 양호 양호 비침 비침 비침
X-Cut(2mm) 58 58 58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3) 항온항습 시험(65℃, 93%)
구분 48시간 96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4821 5333 6297 5361 5972 5808
최소 4622 3737 5748 4857 4977 5512
평균 4735 5200 5917 5005 5377 5650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4) 항온항습 시험(85℃, 85%)
구분 48시간 96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6685 6958 6788 6078 6399 7045
최소 5892 6042 6241 5644 5551 6558
평균 6320 6497 6509 5839 6143 6821
외관 양호 양호 양호 비침 비침 비침
X-Cut(2mm) 58 58 58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5) 고온 시험(85℃)
구분 48시간 96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5158 5146 5414 6221 6372 5605
최소 4577 4523 5201 5665 6239 5294
평균 4768 4818 5311 5933 6304 5518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6) 열충격 시험(-40℃/1h, 80℃/1h, 20 Cycle)
구분 40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4751 5503 5644
최소 4651 5247 5358
평균 4701 5399 5487
외관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7) 자외선 시험
구분 48시간 96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4782 4988 4189 5964 4244 4306
최소 4219 4475 3971 5668 3596 4020
평균 4523 4775 4073 5825 3940 4109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마스터
샘플
L*(D65) 85.99 85.77 85.77 85.88 85.55 85.33
a*(D65) -1.71 -1.69 -1.68 -1.68 -1.71 -1.69
b*(D65) 0.20 0.24 0.17 0.46 0.31 0.23
자외선
샘플
L*(D65) 86.14 86.06 86.20 86.32 86.04 86.16
a*(D65) -1.75 -1.74 -1.76 -1.71 -1.78 -1.77
b*(D65) 0.53 0.56 0.55 1.01 0.64 0.72
색차값
ΔE
0 0 1 1 1 1
(8) 저온 시험(-40℃)
구분 48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3558 4461 4206
최소 3211 3953 3863
평균 3351 4376 3998
외관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9) 염수 분무 시험
구분 48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3526 4667 3983
최소 3325 4473 3697
평균 3455 4576 3812
외관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10) 내오염성 시험(인공피지, 55℃, 93%)
구분 48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3423 3640 4693
최소 3201 3461 4075
평균 3308 3539 4347
외관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11) 내화장품 시험(55℃, 93%)
구분 핸드크림, 24시간 썬크림, 24시간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1)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2)
화이트 반사-펄 잉크 필름
(샘플 3)
Glass (최소 1600g - 최소값 기준) 최대 3476 3332 2880 3382 3085 3549
최소 3238 3132 2722 3126 2768 3136
평균 3348 3245 2808 3244 2904 3429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X-Cut(2mm) 58 58 58 58 58 58
가장자리 테이프 탈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표 1 내지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 반사-펄 잉크로 형성된 필름은 초기 성능, 내열탕성 시험, 항온항습 시험, 열충격 시험, 자외선 투과 시험, 고온 시험, 저온 시험, 염수 분무 시험, 내오염성 시험 및 내화장품 시험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서 신뢰도 기준을 만족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으로써 신뢰성을 가지므로,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복합시트 12 : UV 광학 패턴층
13 : 증착층 14 : 실크인쇄 차폐층
15 : 반사층

Claims (6)

  1. 고광택 및 고 반사율을 갖는 메인 수지; 화이트 안료; 펄(pearl) 레진; 분산 수지; 및 분산 첨가제를 포함하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지는 수지 굴절률이 1.55~1.65인 변성 아크릴 타입 수지이고,
    상기 화이트 안료는 티타늄화이트(TiO2 : rutile & anatase), 징크화이트(ZnO) 및 백연(lead white, (PbCO3)2·Pb(OH)2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펄 레진은 상기 펄 레진은 투명 레진에 다이아몬드 펄이 혼합된 레진이고,
    상기 분산 수지는 수지 굴절률이 1.55~1.65인 폴리에스테르 타입 수지이고,
    상기 분산 첨가제는 알칸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 반사-펄 잉크는 메인 수지 10~15 중량%, 화이트 안료 25~35 중량%, 펄 레진 0.1~1 중량%, 분산 수지 55~65 중량%, 및 분산 첨가제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반사-펄 잉크.
  4. 복합시트;
    상기 복합시트의 배면에 형성된 UV 광학 패턴층;
    상기 UV 광학 패턴층 배면에 형성된, 제1항의 화이트 반사-펄 잉크로 이루어진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배면에 형성된 실크인쇄 차폐층;을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압축하여 형성된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6. 복합시트의 배면에 UV 광학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UV 광학 패턴층에 제1항의 화이트 반사-펄 잉크를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반사층의 배면에 실크인쇄 차폐층을 형성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을 컷팅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20123613A 2022-09-28 2022-09-28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4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13A KR20240044598A (ko) 2022-09-28 2022-09-28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13A KR20240044598A (ko) 2022-09-28 2022-09-28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598A true KR20240044598A (ko) 2024-04-05

Family

ID=9071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613A KR20240044598A (ko) 2022-09-28 2022-09-28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5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30A (ko) 2011-11-11 2013-05-22 윤원근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30A (ko) 2011-11-11 2013-05-22 윤원근 휴대폰용 에폭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7618B2 (en) Decorative molded body, key top for a pushbutton switch, and key sheet for the pushbutton switch
DE102019001193A1 (de) Transparentes Substrat mit lichtabschirmender Schicht
KR20140140961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098560A (zh) 一种光致变色渐变膜及其制备方法
CN106163145A (zh) 透光外壳的制造方法、设备、透光外壳及电子产品
CN111587000B (zh) 仿陶瓷电子设备壳体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KR1021844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커버
DE112019001677T5 (de) Anzeigetaf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14763417B (zh) 变色装饰片及其制造方法
US6517930B2 (en) Decorative light-transmittance sheet type key top
KR20240044598A (ko) 화이트 반사-펄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4166A (ko) 블랙 반사 잉크,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139662B2 (ja) 光透過性電磁波遮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29827A (ja) 印刷層付き板および表示装置
CN113747720B (zh) 壳体、壳体的制备方法以及电子设备
CN212022183U (zh) 膜片结构、壳体和电子设备
CN113498281B (zh) 壳体组件、壳体组件的制备方法及电子设备
US8501311B2 (en) Rear-illuminable aircraft interior component
JPH10233137A (ja) メタリック調表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697430A (zh) 壳体组件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KR100509588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필름 및 그것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소자
CN113119615B (zh) 一种半透明材料的无沙眼印刷方法
KR102174326B1 (ko)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2578783B1 (ko) 펄 질감을 갖는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3196B1 (ko) 네임플레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