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485A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485A
KR20240044485A KR1020247008054A KR20247008054A KR20240044485A KR 20240044485 A KR20240044485 A KR 20240044485A KR 1020247008054 A KR1020247008054 A KR 1020247008054A KR 20247008054 A KR20247008054 A KR 20247008054A KR 20240044485 A KR20240044485 A KR 2024004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cover plate
guide rail
overlapp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미아키 고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에 있어서, 제1 레일 부재는 제1 날면과 제1 배면을 가지고 있다. 제2 레일 부재는 제2 날면과 제2 배면을 가지고 있다. 제1 배면에는 제1 날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제1 겹침면과 제2 겹침면을 가지고 있다. 제1 겹침면은 제2 겹침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2 겹침면을 제2 배면에 겹쳤을 때, 제1 겹침면은, 제1 경사면에 대해서 평행이다. 복수의 고정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 본체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에서는,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과의 이음매에, 평판 모양의 커버 플레이트가 맞대어져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복수의 볼트와 복수의 너트에 의해서,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에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05-104673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에서는, 설치시에, 하부 레일의 날면에 대해서 상부 레일의 날면이 면일(面一)이 되도록,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위치가 조정된다. 각 날면은, 엘리베이터 칸에 대향하는 면이다.
이 때, 하부 레일에서의 커버 플레이트가 맞대어지는 면과, 상부 레일에서의 커버 플레이트가 맞대어지는 면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하부 레일 또는 상부 레일과, 커버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심(shim)을 끼워 넣을 필요가 생기고, 심의 두께 또는 갯수를 단차에 따라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의 센터링(심내기) 작업에 시간이 든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이드 레일 본체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는, 제1 레일 부재와, 제1 레일 부재에 이어 붙여지는 제2 레일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본체, 제1 레일 부재와 제2 레일 부재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제1 레일 부재 및 제2 레일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를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하고, 제1 레일 부재는,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1 날면과, 제1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1 배면을 가지고 있고, 제2 레일 부재는,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2 날면과, 제2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2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배면에는, 제1 날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 플레이트는, 제1 경사면에 겹쳐지는 제1 겹침면과, 제2 배면에 겹쳐지는 제2 겹침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 겹침면은, 제2 겹침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제2 겹침면을 제2 배면에 겹쳤을 때, 제1 겹침면은, 제1 경사면에 대해서 평행이고, 복수의 고정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 본체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는, 제1 레일 부재와, 제1 레일 부재에 이어 붙여지는 제2 레일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본체, 제1 레일 부재와 제2 레일 부재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제1 레일 부재 및 제2 레일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를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 및 제1 레일 부재와 커버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심을 구비하고, 제1 레일 부재는,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1 날면과, 제1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1 배면을 가지고 있고, 제2 레일 부재는,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2 날면과, 제2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2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는, 심에 겹쳐지는 제1 겹침면과, 제2 배면에 겹쳐지는 제2 겹침면을 가지고 있고, 심은, 제1 배면에 겹쳐지는 심 전면(前面)과, 제1 겹침면이 겹쳐지는 심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심 배면은, 심 전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고, 제1 겹침면은, 제2 겹침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며, 제2 겹침면을 제2 배면에 겹쳤을 때, 제1 겹침면은, 심 배면에 대해서 평행이고, 고정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 본체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는, 제1 레일 부재와, 제1 레일 부재에 이어 붙여지는 제2 레일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본체, 제1 레일 부재와 제2 레일 부재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제1 레일 부재 및 제2 레일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를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하고, 제1 레일 부재는,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1 날면과, 제1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1 배면을 가지고 있고, 제2 레일 부재는,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2 날면과, 제2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2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배면에서의 제2 배면에 이웃하는 부분에는, 제2 레일 부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에 향하여 제1 날면과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커지는 복수의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 플레이트는, 복수의 장착면 중 어느 하나와 제2 배면에 겹쳐져 있다.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 본체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레일 본체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가이드 레일 장치의 설치 도중 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승강로(1) 위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3) 및 디플렉터 휠(6)이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3)는 권상기 본체(4)와 구동 쉬브(5)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4)는 도시하지 않는 권상기 모터와, 도시하지 않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모터는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킨다.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쉬브(5)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또,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한다.
구동 쉬브(5) 및 디플렉터 휠(6)에는 현가체(7)가 감겨 걸쳐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어 있다. 현가체(7)에서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에서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에는 한쌍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와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편측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 및 편측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장치(11)만이 도시되어 있다.
한쌍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한다.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장치(11)는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한다.
엘리베이터 칸(8)은 칸 프레임(12) 및 칸 실(13)을 가지고 있다. 칸 프레임(12)에는 현가체(7)가 접속되어 있다. 칸 실(13)은 칸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는 가이드 레일 본체(21), 커버 플레이트(22) 및 복수의 고정구(23)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레일 본체(21)는 승강체로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한다. 또, 가이드 레일 본체(21)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레일 브래킷을 매개로 하여 승강로 벽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가이드 레일 본체(21)는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제1 레일 부재(31)는 제2 레일 부재(32)의 상단에 이어 붙여져 있다.
커버 플레이트(22)는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제1 레일 부재(31) 및 제2 레일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커버 플레이트(22)는 복수의 고정구(23)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고정구(23)는 생략되어 있다.
각 고정구(23)로서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이 이용되어 있다. 제1 레일 부재(31) 및 제2 레일 부재(32)에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장착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고정구(23)는 대응하는 장착공에 통과되어 있다.
제1 레일 부재(31)는 제1 날면(31a)과 제1 배면(31b)을 가지고 있다. 제1 날면(31a)은 엘리베이터 칸(8)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1 배면(31b)은 제1 날면(31a)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승강로 벽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2 레일 부재(32)는 제2 날면(32a)과 제2 배면(32b)을 가지고 있다. 제2 날면(32a)은 엘리베이터 칸(8)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2 배면(32b)은, 제2 날면(32a)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승강로 벽에 대향하는 면이다.
제1 배면(31b)에는 제1 경사면(3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31c)은 제1 날면(31a)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다. 또, 제1 경사면(31c)은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31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의 제1 배면(31b)과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은, 제2 날면(32a)과 제2 배면(32b)과의 간격 보다도 크다.
커버 플레이트(22)는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을 가지고 있다. 제1 겹침면(22a)은 제1 경사면(31c)에 겹쳐져 있다. 제2 겹침면(22b)은 제2 배면(32b)에 겹쳐져 있다.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은 제1 겹침면(22a) 및 제2 겹침면(22b)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제1 겹침면(22a)은 제2 겹침면(22b)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2 겹침면(22b)을 제2 배면(32b)에 겹쳤을 때, 제1 겹침면(22a)은 제1 경사면(31c)에 대해서 평행이다.
제2 겹침면(22b)은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에 대해서 평행이다. 또, 커버 플레이트(22)가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고정되었을 때,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은 제1 날면(31a) 및 제2 날면(32a)에 대해서 평행이다. 제1 겹침면(22a)은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1의 제1 겹침면(22a)은 상방으로 향하여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레일 본체(21)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가이드 레일 본체(21)는 브래킷 고정부(21a)와 안내부(21b)를 가지고 있다. 브래킷 고정부(21a)는 레일 브래킷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안내부(21b)는 브래킷 고정부(21a)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8)측으로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은 안내부(21b)에 의해서 안내된다.
제1 날면(31a) 및 제2 날면(32a)은 안내부(21b)의 단면(端面)으로서, 브래킷 고정부(21a)와는 반대측의 단면에 상당한다. 제1 배면(31b) 및 제2 배면(32b)은 브래킷 고정부(21a)의 단면으로서, 안내부(21b)와는 반대측의 단면에 상당한다.
도 5는 도 3의 커버 플레이트(2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커버 플레이트(22)에는 복수의 장공(長孔)(22d)이 마련되어 있다. 각 장공(22d)에는 대응하는 고정구(23)가 통과된다.
각 장공(22d)의 상하 방향 치수는 각 장공(22d)의 좌우 방향 치수 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모든 고정구(2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로(1) 내에 제2 레일 부재(32)가 설치된 후, 제2 레일 부재(32) 위에 제1 레일 부재(31)이 가설치된다. 이 때,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과의 사이에는 단차가 생기기 쉽다.
이 상태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치구(24)가 이용되어,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이 면일로 정렬된다. 치구(24)는 위치 결정 평면(24a)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치구(24)와 커버 플레이트(22)와의 사이에 제1 레일 부재(31) 및 제2 레일 부재(32)가 끼워 넣어지고, 치구(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커버 플레이트(22)에 가해지고, 위치 결정 평면(24a)에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이 맞대어진다.
이 때, 제1 경사면(31c)에 제1 겹침면(22a)이 밀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의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 후, 복수의 고정구(23)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22)가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은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가지고 있다. 제1 공정은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을 위치 결정 평면(24a)에 맞대고,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을 면일로 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의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를 조정하는 공정이다. 제2 공정은 복수의 고정구(23)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22)를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고정하는 공정이다.
도 8은, 도 3의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제1 날면(31a)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제1 레일 부재(31)의 하단면의 치수를 제1 치수라고 한다. 제2 날면(32a)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제2 레일 부재(32)의 상단면의 치수를 제2 치수라고 한다.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치수와 제2 치수가 동일한 경우,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의 경계는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에 위치한다.
이것에 대해서, 도 8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치수가 제2 치수 보다도 작은 경우, 커버 플레이트(22)는 실선의 위치 보다도 상방으로 어긋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겹침면(22b)을 제2 배면(32b)에 밀착시킨 채로, 제1 겹침면(22a)을 제1 경사면(31c)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의 경계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1 경사면(31c) 상에 위치한다.
복수의 고정구(2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커버 플레이트(22)는 각 고정구(23)와 그 고정구(23)가 통과되어 있는 장공(22d)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에서는, 제1 배면(31b)에 제1 경사면(31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플레이트(22)는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겹침면(22a)은 제2 겹침면(22b)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 제2 겹침면(22b)을 제2 배면(32b)에 겹쳤을 때, 제1 겹침면(22a)은 제1 경사면(31c)에 대해서 평행이다.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2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을 면일로 정렬시켰을 때에, 제1 경사면(31c)과 제2 배면(32b)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겨도, 커버 플레이트(22)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커버 플레이트(22)를 제1 경사면(31c)과 제2 배면(32b)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 및 그 설치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심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2에서, 제1 경사면(31c)은 제1 날면(31a)에 대해서 실시 형태 1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2의 제1 경사면(31c)은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제1 겹침면(22a)은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에 대해서 실시 형태 1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2의 제1 겹침면(22a)은 상방으로 향하여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2에서 제1 레일 부재(31), 제2 레일 부재(32), 및 커버 플레이트(22)는 도 3 및 도 9와는 상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 제1 경사면(31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의 제1 배면(31b)과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은 제2 날면(32a)과 제2 배면(32b)과의 간격과 동일하여도 괜찮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 배면(32b)에는 제2 경사면(32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32c)은 제2 날면(32a)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다. 또, 제2 경사면(32c)은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제2 날면(32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31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의 제1 배면(31b)과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은 제2 경사면(32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의 제2 배면(32b)과 제2 날면(32a)과의 간격과 동일하다.
제2 겹침면(22b)은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3의 제2 겹침면(22b)은 하방으로 향하여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겹침면(22a)을 제1 경사면(31c)에 겹쳤을 때, 제2 겹침면(22b)은 제2 경사면(32c)에 대해서 평행이다.
제2 겹침면(22b)은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의 경계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겹침면(22a)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대칭이다.
실시 형태 3에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치수와 제2 치수가 동일한 경우,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의 경계는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에 위치한다.
이것에 대해서, 도 1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치수가 제2 치수 보다도 작은 경우, 커버 플레이트(22)는 실선의 위치 보다도 기울어진 상방으로 어긋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겹침면(22b)을 제2 경사면(32c)에 밀착시킨 채로, 제1 겹침면(22a)을 제1 경사면(31c)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의 경계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1 경사면(31c) 상에 위치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치수가 제1 치수 보다도 작은 경우, 커버 플레이트(22)는 실선의 위치 보다도 기울어진 하방으로 어긋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겹침면(22a)을 제1 경사면(31c)에 밀착시킨 채로, 제2 겹침면(22b)을 제2 경사면(32c)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겹침면(22a)과 제2 겹침면(22b)과의 경계는, 제2 경사면(32c)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 치수와 제2 치수 중 어느 것이 작은 경우에도, 커버 플레이트(22)를 제1 레일 부재(31) 및 제2 레일 부재(32)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4에서, 제1 경사면(31c)은 제1 날면(31a)에 대해서, 실시 형태 3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4의 제1 경사면(31c)은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제1 겹침면(22a)은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에 대해서 실시 형태 3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4의 제1 겹침면(22a)은 상방으로 향하여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32c)은 제2 날면(32a)에 대해서 실시 형태 3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4의 제2 경사면(32c)은 제1 레일 부재(31)와 제2 레일 부재(32)와의 이음매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제2 날면(32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제2 겹침면(22b)은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에 대해서 실시 형태 3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실시 형태 4의 제2 겹침면(22b)은 하방으로 향하여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4에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도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13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 배면(31b)은, 제1 레일 부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제1 날면(31a)에 평행이다. 제2 배면(32b)은 제2 레일 부재(3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제2 날면(32a)에 평행이다. 제1 날면(31a)과 제1 배면(31b)과의 간격은 제2 날면(32a)과 제2 배면(32b)과의 간격 보다도 작다.
커버 플레이트(22)의 형상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커버 플레이트(22)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제1 레일 부재(31)와 커버 플레이트(22)와의 사이에는 심(25)이 개재되어 있다. 심(25)은 심 전면(25a)과 심 배면(25b)을 가지고 있다. 심 전면(25a)은 제1 배면(31b)에 겹쳐져 있다. 심 배면(25b)에는 제1 겹침면(22a)이 겹쳐져 있다.
심 배면(25b)은 심 전면(25a)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다. 즉, 심 배면(25b)은 하방으로 향하여 심 전면(25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겹침면(22b)을 제2 배면(32b)에 겹쳤을 때, 제1 겹침면(22a)은 심 배면(25b)에 대해서 평행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모든 고정구(2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22)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도 14는, 도 13의 심(25)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심(25)에는 복수의 환공(丸孔)(25c)이 마련되어 있다. 각 환공(25c)에는 대응하는 고정구(23)가 통과된다.
실시 형태 5에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 제1 레일 부재(31)와 커버 플레이트(22)와의 사이에 심(25)이 끼워 넣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에서는,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을 면일로 정렬시켰을 때에, 심 배면(25b)과 제2 배면(32b)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겨도, 커버 플레이트(22)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커버 플레이트(22)를 심 배면(25b)과 제2 배면(32b)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 및 그 설치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레일 부재(31)에 제1 경사면(31c)을 가공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커버 플레이트(22)의 형상은 실시 형태 2에서의 커버 플레이트(22)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심 배면(25b)은 하방으로 향하여 심 전면(25a)과의 간격이 연속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6에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다. 또,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도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5, 6에서, 제1 날면(31a)과 제1 배면(31b)과의 간격은 제2 날면(32a)과 제2 배면(32b)과의 간격과 동일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의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 배면(31b)에서의 제2 배면(32b)에 이웃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7에서는 제1 배면(31b)에 제1 장착면(31d), 제2 장착면(31e) 및 제3 장착면(31f)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면(31d), 제2 장착면(31e) 및 제3 장착면(31f)은 제2 레일 부재(32)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으로 향하여, 제1 날면(31a)과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커지고 있다.
실시 형태 7의 커버 플레이트(22)는 평판이다. 즉, 제2 겹침면(22b)은 제1 겹침면(22a)에 대해서 면일이다. 또, 제1 겹침면(22a) 및 제2 겹침면(22b)과, 커버 플레이트 배면(22c)과의 간격은 커버 플레이트(22)의 전체에서 균등이다.
커버 플레이트(22)는 복수의 장착면 중 어느 하나와 제2 배면(32b)에 겹쳐져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복수의 장착면 중 제3 장착면(31f)에 제1 겹침면(22a)이 겹쳐져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커버 플레이트(22)는 복수의 고정구(23)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 본체(21)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장착면(31d), 제2 장착면(31e) 및 제3 장착면(31f)에는 각각 복수의 장착공이 개구 되어 있다.
실시 형태 7에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다. 또,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의 설치 방법도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에서는, 제1 날면(31a)과 제2 날면(32a)을 면일로 정렬시켰을 때에, 커버 플레이트(22)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제1 장착면(31d), 제2 장착면(31e) 및 제3 장착면(31f) 중 어느 것과 제2 배면(32b)에 커버 플레이트(22)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칸 가이드 레일 장치(10) 및 그 설치 방법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의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심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7에서 제1 레일 부재(31), 제2 레일 부재(32) 및 커버 플레이트(22)는 도 16과는 상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7에서 복수의 장착면은 2개 또는 4개 이상이라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7에서 가이드 레일 본체(21)는 3개 이상의 레일 부재가 상하로 이어 붙여져 구성되어도 괜찮다.
또, 승강체는 균형추(9)라도 괜찮다. 즉, 가이드 레일 장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 장치(11)라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7에서, 엘리베이터 전체의 레이아웃은 도 1의 레이아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로핑 방식은 2:1 로핑 방식이라도 괜찮다.
또, 엘리베이터는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원샤프트 멀티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등이라도 괜찮다. 원샤프트 멀티카 방식은 상 엘리베이터 칸과, 상 엘리베이터 칸의 직하에 배치된 하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독립하여 공통의 승강로를 승강하는 방식이다.
8 : 엘리베이터 칸(승강체) 9 : 균형추(승강체)
10 : 칸 가이드 레일 장치 11 : 균형추 가이드 레일 장치
21 : 가이드 레일 본체 22 : 커버 플레이트
22a : 제1 겹침면 22b : 제2 겹침면
22d : 장공 23 : 고정구
24 : 치구 24a : 위치 결정 평면
25 : 심 25a : 심 전면
25b : 심 배면 31 : 제1 레일 부재
31a : 제1 날면 31b : 제1 배면
31c : 제1 경사면 31d : 제1 장착면
31e : 제2 장착면 31f : 제3 장착면
32 : 제2 레일 부재 32a : 제2 날면
32b : 제2 배면 32c : 제2 경사면

Claims (6)

  1.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이어 붙여지는 제2 레일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본체,
    상기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제2 레일 부재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상기 제1 레일 부재 및 상기 제2 레일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일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1 날면과, 상기 제1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1 배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레일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2 날면과, 상기 제2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2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배면에는, 상기 제1 날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경사면에 겹쳐지는 제1 겹침면과, 상기 제2 배면에 겹쳐지는 제2 겹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겹침면은, 상기 제2 겹침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제2 겹침면을 상기 제2 배면에 겹쳤을 때, 상기 제1 겹침면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해서 평행이고,
    상기 복수의 고정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면에는, 상기 제2 날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겹침면은, 상기 제2 경사면에 겹쳐지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3.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이어 붙여지는 제2 레일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본체,
    상기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제2 레일 부재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상기 제1 레일 부재 및 상기 제2 레일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 및 상기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레일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1 날면과, 상기 제1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1 배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레일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2 날면과, 상기 제2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2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심에 겹쳐지는 제1 겹침면과, 상기 제2 배면에 겹쳐지는 제2 겹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심은, 상기 제1 배면에 겹쳐지는 심 전면과, 상기 제1 겹침면이 겹쳐지는 심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심 배면은, 상기 심 전면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겹침면은, 상기 제2 겹침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2 겹침면을 상기 제2 배면에 겹쳤을 때, 상기 제1 겹침면은 상기 심 배면에 대해서 평행이고,
    상기 고정구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어 있고,
    각 상기 장공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구 중, 대응하는 고정구가 통과되고,
    각 상기 장공의 상하 방향 치수는, 각 상기 장공의 좌우 방향 치수 보다도 큰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5.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이어 붙여지는 제2 레일 부재를 가지고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본체,
    상기 제1 레일 부재와 상기 제2 레일 부재와의 이음매에 걸쳐져 상기 제1 레일 부재 및 상기 제2 레일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일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1 날면과, 상기 제1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1 배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레일 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대향하는 제2 날면과, 상기 제2 날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제2 배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배면에서의 상기 제2 배면에 이웃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레일 부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으로 향하여 상기 제1 날면과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커지는 복수의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장착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배면에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날면과 상기 제2 날면을 치구의 위치 결정 평면에 맞대고, 상기 제1 날면과 상기 제2 날면을 면일로 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공정, 및
    상기 복수의 고정구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레일 본체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의 설치 방법.
KR1020247008054A 2021-09-30 2021-09-30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240044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36187 WO2023053361A1 (ja) 2021-09-30 2021-09-30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装置及びその据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485A true KR20240044485A (ko) 2024-04-04

Family

ID=8578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054A KR20240044485A (ko) 2021-09-30 2021-09-30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53361A1 (ko)
KR (1) KR20240044485A (ko)
CN (1) CN117999236A (ko)
WO (1) WO20230533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673A (ja) 2003-09-30 2005-04-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341A (ja) * 1997-04-22 1998-11-2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を構成するレール片
JP2011201695A (ja) * 2010-03-26 2011-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WO2014170964A1 (ja) * 2013-04-16 2014-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7203699A1 (ja) * 2016-05-27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支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673A (ja) 2003-09-30 2005-04-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3361A1 (ja) 2023-04-06
CN117999236A (zh) 2024-05-07
JPWO2023053361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7119B2 (en) Elevator apparatus
US7918319B2 (en) Elevator apparatus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EP2844600B1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CN109153539B (zh) 电梯的曳引机安装方法
US20080164103A1 (en) Elevator Car Having An Angled Underslung Roping Arrangement
EP2465805B1 (en) Elevator device
EP2019072A1 (en) Elevator device
EA018002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уравновешивающих канатов лифта
KR101487117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20240044485A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EP1396457A1 (en) Elevator device
JPWO2004041702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057769B1 (en) Elevator
JPWO2005105652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546098A (zh) 电梯装置
WO2021070362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調整装置及び巻上機据付方法
WO2014174576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EP1717184B1 (en) Elevator
JP20022410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5087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4341041B (zh) 调整式托架
CN117068906A (zh) 电梯装置
US20180079625A1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