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34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345A
KR20240044345A KR1020230125619A KR20230125619A KR20240044345A KR 20240044345 A KR20240044345 A KR 20240044345A KR 1020230125619 A KR1020230125619 A KR 1020230125619A KR 20230125619 A KR20230125619 A KR 20230125619A KR 20240044345 A KR20240044345 A KR 20240044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image forming
brush
forming operat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코바야시
토시히코 타카야마
켄스케 우메다
아이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3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47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means; Details thereof, e.g. magnetic pole arrangement of 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1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 G03G2215/025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using contact charging means having lateral dimensions related to other apparatus means, e.g. photodrum, developing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 대전 부재, 현상 부재, 전사 부재, 브러쉬, 구동 유닛, 제어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전 부재는, 대전부에서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한다. 전사 부재는 감광 드럼과 접촉해서 전사부를 형성한다. 구동 유닛은 감광 드럼을 회전 구동한다. 제어 유닛은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한다. 메모리는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지고 화상 형성 동작 후에 화상 비형성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제어 유닛은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이 구동된 후 감광 드럼을 정지시키고, 감광 드럼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을 복수 회 행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는, 레이저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전자 사진 기록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을 균일하게 대전 처리한 후에, 화상 패턴에 따른 노광을 행함으로써, 감광 드럼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후, 감광 드럼 위의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화하고, 종이 등의 기록재에 전사한다. 감광 드럼 위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수단으로서는, 현상부에서 현상 장치로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클리너리스 방식(현상 동시 클리닝 방식)이 알려져 있다. 클리너리스 방식에 있어서, 감광 드럼에 부착된 종이 섬유나 필러(이하 「지분」이라고 칭한다)가, 후속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있어서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1-189358호 공보에는, 감광 드럼의 표면에 당접하는 브러쉬 부재에 의해 감광 드럼 위의 지분을 회수함으로써, 전사부보다 하류의 대전부나 현상부에 도달하는 지분의 양을 저감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2001-189358호 공보에 설명된 기술은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클리닝 브러쉬를 감광 드럼에 당접시킨 구성에서 기록재가 급송되었을 때에, 브러쉬 닙부에 지분이 퇴적된다. 그 후, 퇴적된 지분이 브러쉬 닙부에서 응집하여 지분 덩어리가 된다. 지분 덩어리가 커짐에 따라, 클리닝 브러쉬로 지분 덩어리를 보유할 수 없게 되고, 프린트 동작중에 지분 덩어리가 브러쉬를 빠져 나가 화상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개시는, 브러쉬에 퇴적된 지분에 의해 생기는 화상불량을 억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화상 불량의 억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가능한 감광 드럼과, 대전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하도록 구성된 대전 부재와, 상기 대전 부재에 의해 대전된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상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과 접촉해서 전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감광 드럼 위로 공급된 상기 토너를 상기 전사부에서 피전사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전사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의 하류 및 상기 대전부의 상류에서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브러쉬와,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되고,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이후에 화상 비형성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구동된 후 상기 감광 드럼을 정지시키고 상기 감광 드럼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이 복수회 행해지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쉬에 퇴적된 지분에 의해 생기는 화상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러쉬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에 대한 고정 브러쉬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브러쉬 당접부에 있어서의 지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후 회전 공정의 타이밍 차트의 설명도이다.
도 7a 및 7b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에 대한 고정 브러쉬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 기재된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및 상대 배치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다른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클리너리스(cleaner-less) 방식과 접촉 대전 방식을 채용한 흑백 레이저빔 프린터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회전가능한 상담지체로서의 드럼형(원통형)의 전자 사진 감광체인 감광 드럼(1)을 가진다. 화상 출력 동작이 개시되면, 감광 드럼(1)은, 구동 모터(110)(도 3)에 의해 도면 중의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의 외경은 24mm이며, 둘레 속도(표면 속도)는 140mm/sec이다.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은, 감광 드럼(1)과 대전 롤러(2)가 접촉하는 대전부(a) 근방에서, 대전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대전 부재인 대전 롤러(2)에 의해, 정규 극성(본 실시예에서는 부극성)의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다. 대전 롤러(2)는,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감광 드럼(1)과의 접촉부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형성되는 감광 드럼(1)과의 사이의 미소한 공극의 적어도 일방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대전시킨다. 단, 이하에서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대전 롤러(2)와 감광 드럼(1)과의 당접부가 대전부(a)라는 전제하에서 설명한다.
대전 롤러(2)는, 심금의 주위에 도전성 탄성층을 설치한 탄성 롤러이며, 감광 드럼(1)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구동 모터(110)(도 3)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R2)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전 롤러(2)는 구동에 의해 회전하지만, 감광 드럼(1)의 회전에 따라 종동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구동 모터(110)가 공통의 구동원이 되어, 감광 드럼(1)과 대전 롤러(2)를 회전 구동시키고 있지만, 구동 모터를 감광 드럼(1) 및 대전 롤러(2)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대전 롤러(2)에는, 대전 전압 인가 수단으로서의 대전 전원(E1)(도 3)으로부터, 부극성의 직류(DC) 전압인 소정의 대전 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 처리시에, 대전 롤러(2)에는, 대전 전압으로서 부극성의 DC 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전 전압은, 일 예로서, -1200V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은, -600V의 암부 전위(Vd)로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다.
대전 처리된 감광 드럼(1)의 표면은, 노광 수단(정전상 형성 수단)으로서의 노광 장치(레이저 노광 유닛)(4)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빔(L)에 의해 주사 노광된다. 노광 장치(4)는, 레이저 빔(L)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주사 방향(회전축 방향)으로 노광을 반복하고, 또한, 부주사 방향(표면 이동 방향)으로도 노광을 행함으로써, 감광 드럼(1)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 감광 드럼(1)의 표면상에 형성된 암부 전위(Vd)는, 노광 장치(4)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절대치가 저하되어, -100V의 명부 전위(Vl)가 된다.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감광 드럼(1) 상의 노광 장치(4)에 의한 노광 위치가 상노광부(b)이다. 노광 장치(4)는, 레이저 스캐너 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감광 드럼(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를 채용해도 된다.
감광 드럼(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3)에 의해,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사용해서 토너상으로서 현상(가시화)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제로서의 토너(T)는, 평균 입경 6.4μm, 평균 원형도 0.98의 구형 비자성 토너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비자성 토너는 높은 평균 원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96 이상의 평균 원형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균 원형도는, 입자의 형상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간편한 방법으로서 사용된 것이다. 입자 형상은 토아 메디컬 전자사에 의해 제조된 플로우식 입자상 분석 장치(FPIA-2100)를 사용해서 측정하고, 원형도는 하기 식 1에 의해 구한다.
(식 1)
원형도(Ci)=(입자수와 동일 투영 면적을 가지는 원의 둘레 길이)/(입자의 투영상의 둘레 길이)
하기 식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된 전입자의 원형도의 총합을 전입자수로 나눈 값을 평균 원형도로 정의한다.
(식 2)
현상 장치(3)는, 현상제 담지체 및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31), 현상제공급 수단으로서의 토너 공급 롤러(32), 토너(T)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실(33), 현상 블레이드(34)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실(33)에 수용된 토너(T)는, 교반 부재(35)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토너 공급 롤러(32)에 의해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공급된 토너(T)는,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4)와의 접촉부를 통과함으로써 균일하게 박층화되며, 마모 대전에 의해 부극성으로 대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성분 비자성 접촉 현상법을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성분 비자성 접촉법, 비접촉 현상법 또는 자성 현상법을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의 정규 극성을 부극성으로 했지만, 부극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규 극성을 정극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전압은 적절히, 역극성으로 하면 된다. 현상 롤러(31)는,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31)가 접촉하는 현상부(c)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과 현상 롤러(31)의 표면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구동 모터(110)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R3) 방향으로,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현상 롤러(31)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구동 모터(110)는, 감광 드럼(1)의 구동 수단(110)과 공통인 메인 모터이어도 된다. 또는, 각각의 다른 구동 모터가 감광 드럼(1), 현상 롤러(31)를 별개로 회전시켜도 된다. 현상시에, 현상 롤러(31)에는, 현상 전압 인가 수단으로서의 현상 전원(E2)(도 3)에 의해, 소정의 현상 전압(현상 바이어스)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러(31)에는 현상 전압으로서 부극성의 DC 전압이 인가되며, 현상시의 현상 전압을 -300V로 설정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 후에 노광됨으로써 전위의 절대치가 저하된 감광 드럼(1)상의 화상 형성부인 노광면에, 감광 드럼(1)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인 부극성으로 대전된 토너가 부착된다. 이 현상 방식을 반전 현상 방식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31)는 현상부(c)에서 항상 감광 드럼(1)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현상 롤러(31)와 감광 드럼(1)은 당접 상태와 이격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현상 당접 이격 기구를 별도 설치해도 된다. 전회전(pre-rotation) 공정(후술함)에 해당하는 회전 동작시에, 현상 롤러(31)를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감광 드럼(1)을 회전시켜도 된다.
감광 드럼(1)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감광 드럼(1)과, 전사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전사 부재인 전사 롤러(5)와의 접촉부인 전사부(d)에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사 롤러(5)는, 도전성의 NBR(니트릴 부타디엔 고무)·히드린계의 스폰지 고무로 이루어진 외경 12mm, 경도 30°(Asker-C, 500gf 하중)의 롤러로 되어 있다. 전사 롤러(5)는 감광 드럼(1)에 대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압되어 있다. 한편, 감광 드럼(1)상의 토너상과 동기하여, 수용부(6)로부터 반송 롤러(8) 등에 의해, 피전사체인 기록재(P)가, 전사부(d)로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감광 드럼(1)상의 토너상은, 전사부(d)에서, 전사 롤러(5)의 작용에 의해, 감광 드럼(1)과 전사 롤러(5) 사이에 협지되어서 반송되어 온 기록재(P)위로 전사된다. 이 때, 전사 롤러(5)에는, 전사 전원(E3)(도 3)으로부터, 토너의 정규 극성과는 역극성(본 실시예에서는 정극성)의 DC 전압인 소정의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전사 롤러(5)와 감광 드럼(1)과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재(P)로 토너상이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전사시의 전사 전압은, 일 예로서, +1000V이다. 그리고, 전사 롤러(5)와 감광 드럼(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의 작용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기록재(P)에 토너상이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P)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9)에 보내진다. 정착 장치(9)에서, 기록재(P)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지고, 토너상이 기록재(P)에 정착된다.
한편, 기록재(P)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 위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는, 전사 롤러(5)보다도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된 브러쉬 부재(10)과의 당접부인 브러쉬부(e)를 통과하고, 대전부(a)에서의 방전에 의해 다시 부극성으로 대전된다. 부극성으로 대전된 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 드럼(1)의 회전에 따라 현상부(c)에 도달하고, 현상 장치(3)에 의해 회수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브러쉬 부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2. 브러쉬 부재의 구성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러쉬 부재(1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러쉬 부재(10)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사부(d)의 하류측임과 동시에 대전부(a)의 상류측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쉬 부재(10)는, 전사부(d)에서 기록재(P)로부터 감광 드럼(1) 위로 전사된 지분을 포집하고, 브러쉬 부재(10)의 하류측의 대전부(a)나 현상부(c)로 이동하는 지분의 양을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복수 매의 기록재가 연속해서 급송될 경우, 브러쉬 부재(10)에 퇴적된 지분끼리가 응집해서 덩어리가 된다. 그 후에 기록재(P)가 급송되면, 지분 덩어리가 브러쉬 부재(10)로부터 빠져 나가서 대전 불량이 야기되는 경우가 있다. 이 폐해는 예를 들면 솔리드 백화상(전면 백화상) 위에 「흑색 스폿」화상으로서 나타난다.
도 2b는, 감광 드럼(1)의 회전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인 브러쉬 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부재(10)만을 본 모식도이다. 또한, 도 2c는, 감광 드럼(1)에 당접시킨 상태의 브러쉬 부재(10)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 본 모식도이다.
브러쉬 부재(10)의 브러쉬부는, 고정 배치되는 도전성의 고정 브러쉬(11)로 이루어진다. 고정 브러쉬(11)는, 도전제로서 카본을 함유한 합성 섬유로 된 기재천(11b)과, 기재천(11b)에 심어진 도전성 나일론 6로 된 도전사(11a)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러쉬(11)는, 그 길이방향이 감광 드럼(1)의 회전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감광 드럼(1)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 브러쉬(11)는, 그 횡방향이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감광 드럼(1)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 브러쉬(11)에는, 브러쉬 전압 인가 수단으로서의 브러쉬 전원(E4)(도 3)이 접속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브러쉬(11)의 단독의 상태, 즉, 도전사(11a)를 구부러뜨리려는 힘이 외부로부터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기재천(11b)에서부터 그로부터 노출된 도전사(11a)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L1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1은 6.5mm이다. 고정 브러쉬(11)는, 양면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 부재(미도시)에 고정되며, 도전사(11a)의 선단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침입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감광 드럼(1)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고정되어 있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부재에 고정된 고정 브러쉬(11)의 기재천(11b)으로부터 감광 드럼(1)까지의 최단 거리를 L2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2과 L1과의 차분을 고정 브러쉬(11)의 감광 드럼(1)에 대한 침입량으로 정의하는데, 이 침입량은 1mm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브러쉬(11)의 감광 드럼(1)의 둘레 방향(이하, 「횡방향」이라고 말한다)의 길이 L3은 5mm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러쉬(11)의 길이방향 길이는 216mm이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회전 축선 방향에 있어서, 감광 드럼(1)상의 화상 형성 영역(토너상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의 전역에 고정 브러쉬(11)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사(11a)의 굵기는 2 데니어, 밀도는 240kF/inch2(kF/inch2는 브러쉬 밀도의 단위로서, 제곱인치당의 필라멘트의 개수를 나타낸다)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브러쉬(11)의 감광 드럼(1)의 둘레 방향(이하, 횡방향)의 길이 L3는 5mm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동작 수명에 따라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고정 브러쉬(11)의 횡방향 길이가 길수록, 보다 장기간 지분을 포집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단, L3의 길이를 길게 할수록 감광 드럼(1)의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외경 24mm의 감광 드럼(1)에 당접시키는 고정 브러쉬(11)의 길이 L3는 6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사(11a)의 밀도는 150kF/inch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브러쉬(11)의 길이방향 길이는 216mm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정 브러쉬(11)의 길이방향 길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최대 통지폭(paper passing width)에 따라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3. 화상 출력 동작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미도시)로부터 하나의 개시 지시에 응답하여 단일 또는 복수의 기록재(P)에 화상을 형성하는 일련의 동작인, 화상 출력 동작(잡)을 실행한다. 잡은,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공정(인쇄 공정), 전 회전 공정, 복수의 기록재(P)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의 종이간 공정, 및 후 회전(post-rotation) 공정을 가진다. 화상 형성 공정은, 감광 드럼(1)상에의 정전상의 형성, 정전상의 현상(토너상의 형성), 토너상의 전사, 토너상의 정착 등을 행하는 기간이다. 이 기간은 화상 형성 기간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정전상의 형성, 토너상의 형성, 토너상의 전사, 토너상의 정착 등을 행하는 위치 및 타이밍은 화상 형성 기간내에서 다르다. 따라서, 화상 형성 동작은, 토너상의 전사까지 또는 토너상의 정착까지로 정의해도 된다. 감광 드럼(1) 위에서 행하여진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되고, 감광 드럼(1)의 동작이 화상 형성 동작으로부터 화상 비형성 동작으로 전환되어도, 이러한 전환은 이미 기록재(P)에 전사된 화상에 대하여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화상 형성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어도 된다. 전 회전 공정은, 화상 형성 공정 전에 준비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종이간 공정은, 복수의 기록재(P)에 대하여 화상 형성 공정을 연속해서 행할 때(연속 화상 형성시)의 기록재(P)와 기록재(P)와의 사이에 대응하는 기간이다. 후 회전 공정은, 화상 형성 공정의 후의 정리 동작(준비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비화상 형성 기간은, 화상 형성 기간 이외의 기간이며, 상기 전 회전 공정, 종이간 공정, 및 후 회전 공정을 포함하고,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투입시 또는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시에 행해지는 준비 동작인 예비 회전 공정이 포함된다.
4. 제어 모드
도 3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요부의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제어 유닛(150)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유닛(150)은, 연산 처리를 행하는 중심적 소자인 연산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151)나, 기억부로서의 비휘발성 메모리(152), 및 제어 유닛(150)에 접속된 각종 부품과의 사이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제어하는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52)는, 제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유하는데 사용되거나, 제어에 따른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거나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비휘발성 메모리(152)는 복수 매의 기록재가 연속해서 급송되는 경우 연속적으로 급송된 매수에 대한 정보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급송된 전체 매수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제어 유닛(150)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제어 유닛(150)은, 각종의 전기적 정보 신호의 주고받음이나, 구동의 타이밍 등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화상 형성 시퀀스를 실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부는 제어 유닛(150)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50)은, 대전 전원(E1), 현상 전원(E2), 전사 전원(E3), 브러쉬 전원(E4), 구동 모터(110), 및 노광 유닛(4) 등에 접속되어 있다.
5. 지분응집의 억제를 위한 제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후 회전 공정에서,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150ms 후에 감광 드럼(1)을 재구동하는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는, 도전사(11a)의 감광 드럼(1)에 대한 자세를 변화시키어, 고정 브러쉬(11)에 퇴적된 지분을 풀(loosen) 수 있고, 지분끼리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감광 드럼(1)에 대한 고정 브러쉬(11)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제로는 감광 드럼(1)과 고정 브러쉬(11)는, 고정 브러쉬(11)가 감광 드럼(1)의 곡면과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실제로는 곡면인, 감광 드럼(1)의 고정 브러쉬(11)와의 당접면이 편평한 면이라는 가정하에, 감광 드럼(1)의 고정 브러쉬(11)와의 당접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감광 드럼(1)의 구동 상태의 고정 브러쉬(11)의 자세를 나타내고, 도 4b는, 감광 드럼(1)의 구동이 정지한 직후의 고정 브러쉬(11)의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4b로부터, 감광 드럼(1)의 구동 상태와 정지 상태에서 고정 브러쉬(11)의 자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동 상태에서는 고정 브러쉬(11)가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으로 마찰력을 받아, 도전사(11a)의 선단이 하류측으로 휘어진 자세가 된다. 정지 상태에서는 마찰력이 없어져서, 도전사(11a)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사(11a)가 감광 드럼(1)과 접촉한 접촉 영역의 상류 단부(Nj)로부터 하류 단부(Nk)까지의 길이를 당접 닙 폭으로 정의한다. 그 경우, 정지 상태(도 4b)에 있어서의 상류 단부(Nj)의 위치는, 구동 상태(도 4a)에 있어서의 상류 단부(Nj)보다 감광 드럼(1)의 상류측으로 더 이동한다. 정지 상태(도 4b)의 당접 닙 폭(L-T1)이 구동 상태(도 4a)에 있어서의 당접 닙 폭(L-K1)보다 넓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류 단부(Nj)는 약 1800μm만큼 이동하고, 하류 단부(Nk)는 약 1000μm만큼 이동하며, 따라서, 당접 닙 폭은 약 800μm만큼 넓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브러쉬(11)는, 그 횡방향이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감광 드럼(1)의 구동 상태와 정지 상태에서 당접 닙 폭의 변화가 보다 커지도록, 고정 브러쉬(11)의 횡방향을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기울여도 된다.
이렇게, 감광 드럼(1)이 구동 상태(도 4a)로부터 정지 상태(도 4b)로 바뀌는 것에 의해, 도전사(11a)의 감광 드럼(1)에 대한 자세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당접 닙의 상류 단부(Nj)가 감광 드럼(1)의 상류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도전사(11a)와 감광 드럼(1)과의 당접 닙 폭이 넓어진다. 그리고 이 작용에 의해, 고정 브러쉬(11)에 퇴적한 지분이 흩뜨려져서 풀어진다.
도 5a 및 도 5b는, 상술한 고정 브러쉬(1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지분(S)이 흩뜨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 5a는, 감광 드럼(1)의 구동시에 고정 브러쉬(11)에 지분(S)이 퇴적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분(S)은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당접 닙의 상류측에 퇴적하기 쉽다. 도 5b는, 감광 드럼(1)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퇴적한 지분(S)이 흩뜨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의 정지에 의해 당접 닙의 상류 단부(Nj)가 감광 드럼(1)의 상류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당접 닙 폭이 넓어진 것에 기인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 매의 기록재(P)가 급송되어 고정 브러쉬(11)에 많은 지분(S)이 퇴적했을 경우에도, 상기 퇴적한 지분(S)을 흩뜨러트려 풀어지게 함으로써, 지분(S)끼리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6. 화상 평가 비교 시험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지-재구동」제어의 효과에 대해서, 비교예와 함께 상술한다.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를 사용하여, 후 회전 공정 시에 상기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했을 경우(실시예 1)와,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하지 않았을 경우(비교예 1)에서, 기록재(P)를 1000장 급송했을 때의 화상 평가의 비교 시험을 행했다. 화상평가에 사용한 기록재(P)로서, 평량이 75g/m2인 레터 크기의 Xerox Vitality Multipurpose지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할 때의 현상 전압은 +150V로 한다. 이는, 감광 드럼(1)을 정지하여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가 암감쇄(dark decay)에 의해 저하된 상태에서 재구동될 때에, 현상부(c)에서, 현상 롤러(31)상의 토너가 감광 드럼(1)으로 전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할 때의 현상 전압을 +150V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상 전압은, 현상 롤러(31)상의 부극성 토너가 감광 드럼(1)에 전이하지 않는 전위 관계를 만족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현상 전압은 감광 드럼(1)의 정지 시간이나 감광 드럼(1)의 암감쇄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표 1은, 1매 급송의 잡을 반복해 실행하는 1매 간헐 급송과, 5매를 하나의 잡으로서 급송하는 5매 간헐 급송과, 10매를 하나의 잡으로서 급송하는 10매 간헐 급송을 각각 행하여, 「흑색 스폿」의 발생 상황을 평가한 결과이다.
0은 화상 결함이 없음을 나타낸다. △는 1~2mm 정도의 작은 흑색 스폿의 발생을 나타낸다. ×는 2mm 이상의 큰 흑색 스폿의 발생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0, △는 화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에 해당한다.
표 1의 비교예 1에 의하면, 1매 간헐 급송으로부터 5매 간헐 급송으로, 나아가 5매 간헐 급송으로부터 10매 간헐 급송으로, 하나의 잡의 급송 매수를 늘릴 수록 흑색 스폿으로 인한 화상 열화의 정도가 커진다. 이는, 하나의 잡의 급송 매수가 많을 수록, 구동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의 지분 퇴적량이 많아지고, 지분끼리 응집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실시예 1의 경우, 1매 간헐 급송과 5매 간헐 급송에서는 흑색 스폿이 발생하지 않았다. 10매 간헐 급송에서 801장째 이후에 △레벨의 흑색 스폿이 발생하였다. 후 회전 공정에 있어서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함으로써, 흑색 스폿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7.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후 회전 공정에 있어서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브러쉬 부재에 퇴적한 지분을 흩뜨러트려서 풀고, 지분끼리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브러쉬 닙에서 큰 지분 덩어리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흑색 스폿과 같은 화상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흩뜨러트려진 지분 가운데, 미세한 지분(100μm이하 정도)을 브러쉬 부재(10)로부터 빠져 나가게 해, 이를 현상 롤러(31) 등에 의해 회수시키는 것에 의해, 브러쉬 부재(10)에 퇴적한 지분의 총량을 줄일 수 있다. 고정 브러쉬(11) 내에서 지분을 흩뜨러트리는 것에 의해, 국소적으로 많은 지분을 퇴적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회전가능한 감광 드럼(1)과, 대전부(a)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롤러(2)와, 대전 롤러(2)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상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31)를 가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해서 전사부(d)를 형성하고, 감광 드럼(1)위로 공급된 토너를 전사부(d)에서 피전사체인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전사 롤러(5)를 더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사부(d)의 하류 및 대전부(a)의 상류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과 접촉하는 브러쉬 부재(10)(이하 「브러쉬(10)」라고도 함)를 더 가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 드럼(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유닛(110)과, 구동 유닛(110)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가능하게 하는 제어 유닛(150)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150)은,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제어 유닛(150)은, 화상 형성 동작 후에 실행되는 화상 비형성 동작시에, 감광 드럼(1)이 구동된 후, 감광 드럼(1)을 정지시키고, 감광 드럼(1)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을 복수 회 행하도록 구동 유닛(110)을 제어한다. 제1 화상 형성 동작과, 상기 제1 화상 형성 동작 후에 행하여지는 제2 화상 형성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경우는, 제어 유닛(150)은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제어 유닛(150)은, 제1 화상 형성 동작과 제2 화상 형성 동작과의 사이에 실행되는 화상 비형성 동작시에, 감광 드럼(1)이 구동된 후, 감광 드럼(1)을 정지시키고, 감광 드럼(1)을 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을 복수 회 행하도록 구동 유닛(110)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150)은, 절환 동작이 실행될 경우, 브러쉬(10)를, 감광 드럼(1)이 구동되고 있을 때의 제1 자세와, 감광 드럼(1)이 정지되어 있을 때의 제2 자세로 그 자세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브러쉬(10)는, 감광 드럼(1)의 지지 부재인 프레임에 고정된 브러쉬, 혹은 가압 스프링 등에 의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압식의 브러쉬다.
본 실시예에서는, D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전 전압으로서 DC 전압과 AC 전압(DC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을 사용하는 A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전압로서 DC 성분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현상 전압은 DC 전압과 AC 전압(DC 및 AC 성분)이 중첩된 진동 전압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1성분 현상제인 토너를 사용했지만, 자성 1성분 현상제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본을 함유한 합성 섬유로 된 기재천(11b)과, 기재천(11b)에 심어진 도전성 나일론 6으로 된 도전사(11a)로 형성된 브러쉬(11)를 사용하였다. 혹은, 도전성을 가지지 않은 브러쉬를 사용해도 된다. 「정지-재구동」제어에 의해 충분히 자세 변화를 할 수 있는 한, 브러쉬(11)는 어떠한 구조를 가져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러쉬(11)는, 2 데니어의 두께, 240kF/inch2의 밀도, 6.5mm의 도전사 길이(L1), 1mm의 침입량을 가진다. 또한, 브러쉬 구성은, 상기 자세 변화뿐만 아니라, 지분의 포집 효율과 토너 통과성도 고려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사(11a)의 굵기가 너무 얇으면(미세하면), 브러쉬(11)가 지분을 막는 성능이 낮아진다. 이 경우, 지분이 브러쉬(11)를 빠져 나가서 대전 롤러(2)에 의한 감광 드럼(1)의 대전을 저해하고, 이는 화상 불량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전사(11a)의 굵기가 너무 굵으면 토너의 통과성이 악화되어서 토너가 브러쉬(11)에 부착된다. 부착된 토너가 비산하면, 장치 내부에 오염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전사(11a)의 굵기는 1~10 데니어가 바람직하고, 저온 환경하에서 도전사(11a)가 감광 드럼(1)의 표면을 추종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고려할때 1~6 데니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브러쉬 구성에 의해, 당접 닙의 상류 단부(Nj)의 이동 폭은 500μm 이상, 하류 단부(Nk)의 이동 폭은 300μm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접 닙 폭은 200μm 이상만큼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상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브러쉬(11)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압압식 브러쉬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감광 드럼(1), 현상 장치(3), 대전 롤러(2), 및 브러쉬(10)를 포함하지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착탈가능하며, 감광 드럼(1), 현상 장치(3), 대전 롤러(2), 및 브러쉬(10)를 가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 및 브러쉬(10)를 가지는 드럼 카트리지와 현상 장치(3)를 가지는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구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 모두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착탈가능하여도 되고, 어느 일방만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착탈가능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1)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 회전 공정에서 실행하는 「정지-재구동」제어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브러쉬 전원(E4)이 브러쉬 부재(10)에 브러쉬 전압을 인가한다.
이하,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브러쉬 전압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브러쉬 전압 제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러쉬 부재(10)에는, 부극성의 DC 전압인 소정의 브러쉬 전압이 인가된다. 브러쉬 전원(E4)은, 예를 들면 DC 성분과 AC 성분이 중첩된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공정중의 브러쉬 전압은 -300V다. 한편, 전사부(d)를 통과한 후의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는 약 -50V다. 따라서, 전사부(d)로부터 보내져 온 전사 잔류 토너 중 정극성으로 대전된 토너는, 브러쉬부(e)에서 브러쉬 전압과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와의 전위차에 의해, 브러쉬 부재(10)에 일차 회수된다. 한편, 부극성으로 대전된 토너는, 브러쉬부(e)에서 감광 드럼(1) 측으로 끌어 당겨져 브러쉬부(e)를 통과한다. 브러쉬부(e)를 통과한 토너는, 대전부(a)에서 균일한 방전에 의해, 원하는 부극성 전하를 가지고, 현상부(c)로 보내진다. 현상부(c)로 보내진 비화상 영역(비노광 영역) 내의 토너는, 감광 드럼(1)의 표면상의 암부 전위(Vd)와 현상 전압(Vdc)과의 전위차에 의해 현상 롤러(31)로 전이하고, 현상 장치(3)에 의해 회수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암부 전위(Vd)는 약 -600V, 현상 전압(Vdc)은 -300V이다. 한편, 화상 영역(노광 영역)내의 토너는, 감광 드럼(1)의 표면상의 명부 전위(Vl)와 현상 전압(Vdc)과의 전위차에 의해 현상 롤러(31)에는 전이되지 않고, 그대로 화상부로서 감광 드럼(1)의 회전에 따라 전사부(d)로 보내져, 기록재(P)에 전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명부 전위(Vl)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약 -100V이다.
이하, 후 회전 공정에 있어서 브러쉬 전압에 의해 지분응집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2. 지분응집의 억제를 위한 제어
도 6은, 본 실시예의 후 회전 공정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타이밍 A는 후 회전 공정의 개시 시점을 나타내고 있고, 이 때의 대전 전압은 화상 형성 공정중의 대전 전압과 동일한 -1200V이다. 브러쉬 전압은 화상 형성 공정중의 브러쉬 전압과 동일한 -300V이다.
타이밍 B에 있어서, 대전 전압을 턴 오프 한다. 이는,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에, 대전부(a)에 있어서의 방전에 의한 감광 드럼(1)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타이밍 C에 있어서, 브러쉬 전압을 -300V로부터 +150V로 전환한다. 이는,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약 -600V)에 대한 전위차를 크게 함으로써, 고정 브러쉬(11)의 도전사(11a)를 감광 드럼(1)측으로 정전적으로 끌어 당기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전압을 +150V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브러쉬 전압은,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에 대하여 전위차를 가지는 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방전의 영향을 받기 쉬운 환경에 있어서는, 방전과 정전적인 흡착력의 밸런스를 감안해서, 전위차를 방전 임계값 이하로 하여도 된다.
타이밍 D에 있어서,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전압을 타이밍 C에서 전환하였으나, 브러쉬 전압을 전환하는 타이밍은 브러쉬 전압이 감광 드럼(1)의 구동이 정지하고 있는 사이에 전환되는 한 임의의 타이밍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러쉬 전압은,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하는 타이밍 D와 동일한 타이밍이나 그 이후의 타이밍에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에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하고 나서 150ms 경과한 타이밍 E에 있어서, 감광 드럼(1)의 구동을 다시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하고 나서 다시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b)을 150ms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밍 F에 있어서, 대전 전압을 다시 턴온 한다. 이 때의 대전 전압은 -1200V이다.
타이밍 G에 있어서, 브러쉬 전압은 +150V로부터 -300V로 전환된다. 이는, 감광 드럼(1)상의 대전 전압이 인가된 영역(약 -600V)이 브러쉬부(e)에 도달했을 때에, 브러쉬부(e)에 있어서의 방전에 의해 감광 드럼(1)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타이밍 H에 있어서, 대전 전압을 턴오프 한다. 이는,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에, 대전부(a)에 있어서의 방전에 의한 감광 드럼(1)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타이밍 I에 있어서,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하고, 브러쉬 전압을 턴오프하여 후 회전 공정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전압의 턴 오프 타이밍을 감광 드럼(1)의 구동의 정지 타이밍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는, 감광 드럼(1)에 대한 고정 브러쉬(11)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감광 드럼(1)의 구동 상태에서의 고정 브러쉬(11)의 자세를 나타낸다. 도 7b는, 감광 드럼(1)의 구동이 정지한 직후(도 6의 타이밍 D와 E의 사이)의 고정 브러쉬(11)의 자세를 나타낸다. 도 7a, 도 7b로부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감광 드럼(1)의 구동 상태와 정지 상태에서 고정 브러쉬(11)의 자세가 다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상태인 도 7b에 있어서의 상류 단부(Nj)의 위치는, 실시예 1의 상류 단부(Nj)의 위치보다 더 감광 드럼(1)의 상류측으로 이동한다. 구동 상태인 도 7a의 당접 닙 폭(L-K2)은, 실시예 1의 경우보다 더 크게, 정지 상태(도 7b)의 당접 닙 폭(L-T2)으로 넓어진다. 이는,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할 때에,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에 대하여 전위차를 가지는 브러쉬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류 단부(Nj)의 이동 폭은 약 3000μm, 하류 단부(Nk)의 이동 폭은 약 1200μm이며, 당접 닙 폭은 약 1800μm만큼 넓어진다.
이렇게, 감광 드럼(1)의 구동을 정지할 때에,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에 대하여 전위차를 가지는 브러쉬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함으로써, 브러쉬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때보다도 상류 단부(Nj)의 이동 거리가 커진다. 그리고 상기 작용에 의해, 고정 브러쉬(11)상에 퇴적된 지분이 더 광범위하게 흩뜨려지기 때문에, 지분끼리 응집하여 덩어리지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커진다.
3. 화상 평가 비교 시험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지-재구동」제어의 효과에 대해서, 비교예와 함께 상술한다.
후 회전 공정 시에 브러쉬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해서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했을 경우(실시예 2)와, 브러쉬 부재(10)에 브러쉬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정지-재구동」제어를 행했을 경우(비교예 2)에서, 기록재(P)를 10,000장 급송했을 때의 화상 평가의 비교 시험을 행했다. 화상평가에 사용한 기록재(P)로서는 Letter사이즈, 평량 75g/m2의 Xerox Vitality Multipurpose지가 사용되었다.
표 2는, 1장 급송의 잡이 반복해 실행되는 1매 간헐 급송과, 5매 급송의 잡이 실행되는 5매 간헐 급송과, 10매 급송의 잡이 실행되는 10매 간헐 급송을 각각 행하여, 「흑색 스폿」의 발생 상황을 평가한 결과이다. 0은 화상 결함 없음, △는 1~2mm 정도의 작은 흑색 스폿의 발생, ×은 2mm 이상의 큰 흑색 스폿의 발생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0, △로 나타낸 결과는 화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에 해당한다.
표 2의 비교예 2로부터, 브러쉬 부재(10)에 브러쉬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는, 5매 간헐 급송에서는 5001매째 이후에 △레벨의 흑색 스폿이 발생하고, 10매 간헐 급송에서는 6001매째 이후에 ×레벨의 흑색 스폿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실시예 2의 경우, 1매 간헐 급송과 5매 간헐 급송에서는 흑색 스폿의 발생은 없었고, 10매 간헐 급송에서 7001매째 이후에 △레벨의 흑색 스폿이 발생할 뿐이다. 이렇듯, 후 회전 공정에서 「정지-재구동」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에 대하여 전위차를 가지는 브러쉬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함으로써, 흑색 스폿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후 회전 공정에서 「정지-재구동」제어를 실행할 때에, 감광 드럼의 표면 전위에 대하여 전위차를 가지는 브러쉬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함으로써, 브러쉬 부재(10)에 퇴적된 지분을 흩뜨러트릴 수 있다. 그에 의해, 지분끼리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고, 브러쉬 닙에서 큰 지분 덩어리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흑색 스폿과 같은 화상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흩뜨러트려진 지분 중, 미세한 지분(100μm이하 정도)을 브러쉬 부재(10)로부터 빠져 나가게 해, 이를 현상 롤러(31) 등에 의해 회수함으로써, 브러쉬 부재(10)에 퇴적되는 지분의 총량을 줄일 수 있다. 지분을 흩뜨러트리는 것에 의해, 국소적으로 많은 지분이 퇴적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도전성을 가지는 브러쉬(10)와, 도전성 브러쉬(10)에 전압을 인가하는 브러쉬 전원(E4)(이하, 「브러쉬 전압 전원(E4)」이라고도 칭함)과, 브러쉬 전압 전원(E4)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50)을 구비한다. 브러쉬(10)의 자세가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에 전환할 때에, 전압이 도전성 브러쉬(10)에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대전 전압으로서 DC 전압과 AC 전압(DC 성분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을 사용하는 A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전압에 대해서는 DC 성분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현상 전압은 DC 전압과 AC 전압(DC 성분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1성분 현상제인 토너를 사용했지만, 자성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러쉬(11)는, 카본을 함유한 합성 섬유로 된 기재천(11b)과, 기재천(11b)에 심어진 도전성 나일론 6로 된 도전사(11a)로 형성되지만, 브러쉬(11)가 도전성을 가지는 한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전사(11a)의 굵기는 1~10 데니어가 바람직하고, 저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도전사(11a)의 감광 드럼(1)의 표면에의 추종성을 고려하면, 1~6 데니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에 대하여 고정 배치되는 고정 브러쉬(11)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압식의 브러쉬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브러쉬 전압을 브러쉬 부재(10)에 인가하는 브러쉬 전압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의 브러쉬 전압 제어에 더하여, 단일 잡에서 급송되는 매수(이하, 연속 급송 매수라고 칭한다)에 따라, 후 회전 공정에서 실행하는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가변으로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분 응집의 억제를 위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지분 응집의 억제를 위한 제어
표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속 급송 매수에 대한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나타내고 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급송 매수가 많을수록, 후 회전 공정 시에 실행하는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늘린다. 이는, 단일 잡에 있어서의 연속 급송 매수가 많을수록, 고정 브러쉬(11)에 퇴적되는 지분량이 많아지고, 지분끼리가 응집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2회로 했을 경우의 구동, 대전 전압, 브러쉬 전압의 제어 타이밍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 타이밍 G 이후에, 타이밍 B 및 후속 타이밍에서의 제어가 다시 실행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화상 평가 비교 시험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지-재구동」제어의 효과에 대해서, 비교예와 함께 상술한다.
연속 급송 매수에 따라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가변으로 했을 경우(실시예 3)와, 연속 급송 매수에 상관 없이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1회만으로 했을 경우(비교예 3)에서, 기록재(P)를 10,000매 급송했을 때의 화상평가의 비교 시험을 행했다. 화상평가에 사용한 기록재(P)는 마찬가지로, 평량 75g/m2를 가지는 Letter사이즈의 Xerox Vitality Multipurpose지이다.
표 4는, 10매 급송의 잡을 반복해 실행하는 10매 간헐 급송과, 50매 급송을 하나의 잡으로서 행하는 50매 간헐 급송과, 100매 급송을 하나의 잡으로서 행하는 100매 간헐 급송을 각각 행한 후에, 「흑색 스폿」의 발생 상황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0은 화상 결함 없음을 나타낸다. △는 1~2mm 정도의 작은 흑색 스폿의 발생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0, △로 나타내진 결과는 화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에 해당한다. 도 3에서, 본 평가에 있어서의 연속 급송 매수는 모두 10매 이상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 3의 후 회전 공정에서 실행하는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는 모두 2회이다.
표 4의 비교예 3으로부터,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1회만으로 했을 경우에는, 10매 간헐 급송에서 7001매째 이후, 50매 간헐 급송에서는 6001매째 이후, 100매 간헐 급송에서는 4001매째 이후에 각각 △레벨의 흑색 스폿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실시예 3의 경우, 100매 간헐 급송에 있어서도 흑색 스폿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듯, 상기 결과는, 연속 급송 매수가 증가할수록, 후 회전 공정에서 실행하는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흑색 스폿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최대 2회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분이 많은 종이나 지분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 등을 고려해서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급송 매수로 동일한 간헐 동작이 실행될 경우에 있어서, 저온 저습 환경에서는 고온 고습 환경에서보다도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더 많게 설정할 수 있다.
3.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 급송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후 회전 공정에서 실행하는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브러쉬 부재(10)에 퇴적된 지분을 더욱 흩뜨러트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지분끼리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고, 브러쉬 닙에서 큰 지분 덩어리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흑색 스폿과 같은 화상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흩뜨러트려진 지분 중, 미세한 지분(100μm이하 정도)을 브러쉬 부재(10)로부터 빠져 나가게 해, 이를 현상 롤러(31) 등에 의해 회수함으로써, 브러쉬 부재(10)에 퇴적되는 지분의 총량을 줄일 수 있다. 고정 브러쉬(11) 내에서 지분을 흩뜨러트리는 것에 의해, 국소적으로 많은 지분이 퇴적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회전가능한 감광 드럼(1)과, 대전부(a)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롤러(2)와, 대전 롤러(2)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상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31)를 가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해서 전사부(d)를 형성하고, 감광 드럼(1)위로 공급된 토너를 전사부(d)에서 피전사체인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전사 롤러(5)를 더 가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사부(d)의 하류 및 대전부(a)의 상류에서 감광 드럼(1)의 표면과 접촉하는 브러쉬(10)를 더 가진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 드럼(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유닛(110)과, 구동 유닛(110)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가능하게 하는 제어 유닛(150)과,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152)를 더 구비한다. 제어 유닛(150)은, 화상 형성 동작의 실행시에,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제어 유닛(150)은, 화상 형성 동작 후에 실행되는 화상 비형성 동작시에,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이 구동된 후에 감광 드럼(1)을 정지시키고, 그리고 나서, 감광 드럼(1)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을 복수 회 행하도록 제어한다. 제1 화상 형성 동작과 상기 제1 화상 형성 동작 이후에 행하여지는 제2 화상 형성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할 경우, 제어 유닛(150)은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제1 화상 형성 동작과 제2 화상 형성 동작과의 사이에 실행되는 화상 비형성 동작시에, 제어 유닛(150)은, 구동 유닛(110)으로 하여금, 감광 드럼(1)이 구동된 후 감광 드럼(1)을 정지시키고, 그리고 나서, 감광 드럼(1)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을 복수 회 행하도록 제어한다. 절환 동작이 행해질 때에, 제어 유닛(150)은, 브러쉬(10)를, 감광 드럼(1)이 구동하고 있을 때의 제1 자세와, 감광 드럼(1)이 정지하고 있을 때의 제2 자세로 그 자세를 바꾸도록 제어한다. 브러쉬(10)는, 감광 드럼(1)의 지지 부재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러쉬, 혹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압압식의 브러쉬이다. 화상 형성 동작의 정보는, 복수 매의 기록재(P)가 연속해서 급송되는 경우에는 연속 급송 매수를 가리키며, 연속 급송 매수가 많을수록 절환 동작의 회수가 많아지게 제어된다. 또한, 화상 형성 동작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급송된 전체 매수를 가리킬 수도 있으며, 전체 급송 매수가 많을수록 절환 동작의 회수가 많아지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대전 전압으로서 DC 전압과 AC 전압(DC 성분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을 사용하는 A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전압에 대해서는 DC 성분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현상 전압은 DC 전압과 AC 전압(DC 성분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1성분 현상제인 토너를 사용했지만, 자성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러쉬(11)는, 카본을 함유한 합성 섬유로 된 기재천(11b)과, 기재천(11b)에 심어진 도전성 나일론 6로 된 도전사(11a)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지만, 브러쉬(11)가 도전성을 가지는 한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전사(11a)의 굵기는 1~10 데니어가 바람직하고, 저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도전사(11a)의 감광 드럼(1)의 표면에의 추종성을 고려하면, 1~6 데니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브러쉬(11)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압압식의 브러쉬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예 3에서 연속 급송 매수에 따라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가변으로 하는 제어에 더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 급송된 전체 매수에 따라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가변으로 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분응집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지분 응집의 억제를 위한 제어
표 5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전체 급송 매수와 연속 급송 매수에 대한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나타낸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급송 매수가 4000장 이하의 경우는, 연속 급송 매수에 상관없이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0회로 설정한다. 이는, 고정 브러쉬(11)에 퇴적된 지분의 전체량이 적기 때문에 지분끼리가 응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지-재구동」제어가 필요할 때만 실행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는 실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후 회전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감광 드럼(1)이나 기타 중요 부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전체 급송 매수가 4000장 이하인 경우의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가 0회로 설정되지만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수명에 따라, 전체 급송 매수와 연속 급송 매수에 적합한 회수로 「정지-재구동」제어를 실행하면 된다.
2.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급송 매수에 따라 「정지-재구동」제어의 회수를 가변으로 하여 필요 최소한으로 실행한다. 이는, 흑색 스폿과 같은 화상불량을 억제하면서, 후 회전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감광 드럼이나 기타 중요 부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대전 전압으로서 DC 전압과 AC 전압(DC 성분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을 사용하는 AC 대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전압에 대해서는 DC 성분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현상 전압은 DC 전압과 AC 전압(DC 성분 및 AC 성분)을 중첩한 진동 전압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1성분 현상제인 토너를 사용했지만, 자성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러쉬(11)는, 카본을 함유한 합성 섬유로 된 기재천(11b)과, 기재천(11b)에 심어진 도전성 나일론 6로 된 도전사(11a)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지만, 브러쉬(11)가 도전성을 가지는 한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전사(11a)의 굵기는 1~10 데니어가 바람직하고, 저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도전사(11a)의 감광 드럼(1)의 표면에의 추종성을 고려하면, 1~6 데니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1)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브러쉬(11)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압압식의 브러쉬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쉬에 퇴적된 지분에 의해 생기는 화상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의 청구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등가의 구성 및 기능을 포괄하도록 하는 가장 넓은 해석에 부합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회전가능한 감광 드럼;
    대전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하도록 구성된 대전 부재;
    상기 대전 부재에 의해 대전된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표면상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현상 부재;
    상기 감광 드럼과 접촉해서 전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감광 드럼상에 공급된 상기 토너를 상기 전사부에서 피전사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전사 부재;
    상기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의 하류 및 상기 대전부의 상류에서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브러쉬;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및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되고 상기 화상 형성 동작 이후에 화상 비형성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구동된 후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정지시키고 상기 감광 드럼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이 복수 회 행하여지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동작으로서, 제1 화상 형성 동작과, 상기 제1 화상 형성 동작 이후에 행하여지는 제2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되고, 상기 화상 비형성 동작이 상기 제1 화상 형성 동작과 상기 제2 화상 형성 동작과의 사이에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구동된 후 상기 감광 드럼을 정지시키고, 상기 감광 드럼을 재구동시키는 절환 동작이 복수 회 행하여지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감광 드럼의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브러쉬, 또는 가압 스프링에 의해 감광 드럼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압압식의 브러쉬인,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한 상기 정보는, 복수 매의 기록재가 연속하여 급송되는 경우에 연속 급송 매수이며, 상기 연속 급송 매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절환 동작의 회수가 증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급송된 전체 급송 매수이며, 상기 전체 급송 매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절환 동작의 회수가 증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브러쉬가, 상기 감광 드럼이 구동될 때의 제1 자세와, 상기 감광 드럼이 정지되어 있을 때의 제2 자세로 그 자세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브러쉬 전압 전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는 도전성 브러쉬이며,
    상기 절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도전성을 가지는 상기 브러쉬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브러쉬 전압 전원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1성분 현상제인,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과 접촉해서 상기 대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밀도는 150kF/inch2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230125619A 2022-09-28 2023-09-20 화상 형성 장치 KR20240044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54909 2022-09-28
JP2022154909A JP2024048801A (ja) 2022-09-28 2022-09-28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345A true KR20240044345A (ko) 2024-04-04

Family

ID=9038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619A KR20240044345A (ko) 2022-09-28 2023-09-2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1236A1 (ko)
JP (1) JP2024048801A (ko)
KR (1) KR20240044345A (ko)
CN (1) CN11778454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1236A1 (en) 2024-04-04
JP2024048801A (ja) 2024-04-09
CN117784547A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8049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3519044B2 (ja) 現像装置
US118416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rush portion comprising threads and with control to perform rotation of and stop of image bearing member to change posture of brush portion
JP4133281B2 (ja) 異物除去機構,印刷装置および異物除去方法
US2022026920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1019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40044345A (ko) 화상 형성 장치
US117037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an improper charge resulting from toner being moved from a transfer member to a photosensitive member
CN115524945A (zh) 图像形成装置
CN114967394A (zh) 成像设备
JP7225361B1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90266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28881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40044339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221293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29272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305422A1 (en) Image-forming apparatus
JP2023004387A (ja) 画像形成装置
JP4696676B2 (ja) コロナ放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915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898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269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9282A (ja) 画像形成装置
CN117784543A (zh) 图像形成装置
CN116794948A (zh) 图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