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068A -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068A
KR20240042068A KR1020247007907A KR20247007907A KR20240042068A KR 20240042068 A KR20240042068 A KR 20240042068A KR 1020247007907 A KR1020247007907 A KR 1020247007907A KR 20247007907 A KR20247007907 A KR 20247007907A KR 20240042068 A KR20240042068 A KR 20240042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losing
force flux
transmission
rotar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크레이치
마르틴 뵈뢰스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4004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by movement of the strik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6Emergency opening means for persons trapp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폐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본 설계에 따르면, 상기 폐쇄 보조 장치는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1)와 폴(2)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1, 2)을 갖는다. 또한, 전기 모터(5)와 전기 모터(5) 하류의 트랜스미션(6, 7, 8, 9)이 구현된다. 트랜스미션(6, 7, 8, 9)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폐쇄 작동 동안 로터리 래치(1)에 대해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 작동을 기계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해 잠금장치 하우징(4)에 장착되는 핸들(10)이 제공되고, 상기 핸들은 트랜스미션(6, 7, 8, 9)의 구성요소로서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힘 플럭스 요소(8)에 충돌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와 폴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을 갖고, 전기 모터 및 전기 모터 후단의 트랜스미션을 더 가지며, 트랜스미션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폐쇄 과정 동안 로터리 래치에 대해 작동하는,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폐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및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폐쇄 보조 장치는 예를 들어 DE 198 28 040 A1에 따른 일반 선행기술에 의해 한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 경우, 모터 샤프트와 나사를 통해 제어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터리 래치는 폐쇄 과정 동안 제어 디스크와 상호 작용하는 정지 요소를 갖는다. 이 경우 트랜스미션은 모터 샤프트, 제어 디스크 및 그에 배치된 핀에 의해 정의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스미션"이라는 용어는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광범위하게 해석되며, 즉 트랜스미션은 일반적으로 최광의 개념에서 전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의 회전 운동의 트랜스미션(또는 감속 기어)을 보장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제어 디스크 및 핀과 함께 나사의 조합된 효과에 의해 실현되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의 다른 실시예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DE 10 2019 107 845 A1에 따른 추가적인 유사한 일반 선행기술은 견인 메커니즘의 전기 구동부의 도움으로 작동하며, 이는 폐쇄 폴을 통해 로터리 래치에 필요한 폐쇄 힘을 가한다. 이 지점에서 끼임 방지를 실현하고 구현하기 위해 폐쇄 과정에서 전압 및/또는 전류 펄스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는 전기 구동부를 끌(switch off)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구동부가 반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끼임 방지가 실현되고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설계가 복잡하다. 하지만 이러한 끼임 방지 장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폐쇄 장치에 실질적으로 필수 불가결하다. 이는 로터리 래치에서 폐쇄 과정 동안 로터리 래치에 걸린 잠금 볼트도 폐쇄 의미로 작용된다는 사실에 의해 실질적으로 설명된다. 잠금 볼트는 전형적으로 연관된 자동차 도어에 연결되므로, 해당 자동차 도어의 폐쇄 운동은 이에 직접적으로 대응된다. 이 과정 동안 예를 들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자동차 도어와 자동차 본체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면 끼임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폐쇄 장치는 폐쇄 구동 메커니즘의 중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상 잠금 해제가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비상 잠금 해제의 도움으로 사용자는 연관된 차량 잠금장치를 잠금 해제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는 폐쇄 보조 장치를 갖는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는 차량의 트렁크나 뒤 칸에 사람이 있는 경우 비상 잠금 해제 기능 없이 트렁크 리드를 개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동시에, 요구되는 효율성은 본연적으로 변함없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폐쇄 장치는 연관된 자동차 도어와 자동차 본체 사이에서 압축되는 도어 고무에 의해 폐쇄될 때 발생하는 반력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실시예가 비상 잠금 해제 및 이에 따른 비상 개방을 위해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폐쇄 장치를 추가로 개발하려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한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체적인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는 잠금장치 하우징에 장착된 핸들이 폐쇄 작동을 기계적으로 중단하여 비상 잠금 해제를 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사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징을 갖는데, 이 핸들은 트랜스미션의 구성요소로서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힘 플럭스 요소에 충돌한다.
예를 들어 DE 10 2019 107 845 A1에 따른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 잠금 해제는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실현되며 복잡한 센서 기반 수단이 확실하게 생략된다. 여기서 핸들은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기 모터로부터 로터리 래치로의 힘의 흐름이 센서 확인 없이 매우 간단하고 순전히 기계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핸들이 힘 플럭스 요소가 트랜스미션의 구성요소로서 분리되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해당 핸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 또는 트렁크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비상 잠금 해제 핸들로 설계 및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장치의 결과적인 비상 잠금 해제를 통해, 차량 잠금장치는 순차적으로 또는 한 번의 동작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그와 함께 구비된 트렁크 리드에도 적용된다. 이는 자동차 잠금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장치가 일반적으로 유리하게는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이거나, 본 발명의 대상이 그러한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이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작동되지 않은 핸들의 않은 상태는 트랜스미션와 비교하여 힘 요소가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전기 모터로부터 트랜스미션을 통해 로터리 래치로 힘의 흐름을 허용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 작동을 먼저 활성화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힘 플럭스 요소의 분리 상태는 비상 잠금 해제의 과정에서 기계적 중단에 해당하므로 연관된 자동차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핸들은 차량 잠금장치에 속하는 차량 도어 또는 도어가 개방될 때 또는 차량 내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눌러서 비상 잠금 해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반적으로 핸들의 설계와 기계적 연결은 핸들이 잠금장치 하우징에 장착되기 때문에 특히 간단하고 유리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이 점에서, 관련 잠금장치 하우징에서 핸들의 회전 가능한 장착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잠금장치 하우징과 핸들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되고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한 마찰 조건, 저렴한 비용 및 무게 최소화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적이고 유리하게는 핸들은 트랜스미션의 구성요소로서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힘 플럭스 요소에 충돌할 뿐만 아니라 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충돌하도록 설정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폐쇄 과정의 기계적 중단을 위한 전기 모터로부터 트랜스미션을 통해 로터리 래치로의 힘 플럭스의 기계적 중단은 또한 폴이 기계적 중단 과정 중에 로터리 래치에서 들어 올려지는 경우에 관련 차량 도어의 방해받지 않는 개방에 해당한다는 착안에 기초한다.
달리 말하면, 폐쇄 과정의 기계적 중단 동안 폴에 대한 보충적이거나 추가적인 직접 또는 간접적인 작용은 폴이 의도치 않게 로터리 래치로 떨어짐으로써, 예를 들어 폐쇄 과정의 기계적 중단 이후에 연관된 차량 도어의 개방 과정을 방해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대신, 해당 차량 도어는 필요할 때 운전자에 의해 자유롭게 개방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전기 모터로부터 트랜스미션을 통해 로터리 래치로 또는 설명된 비상 잠금 해제의 경우 폐쇄 과정의 기계적 중단 동안 중단된 힘의 흐름이 초기에 로터리 래치의 방해받지 않는 운동을 허용한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로터리 래치에서 잠금 볼트와 맞물려 이 경우 저항 없이 이동될 수 있는 해당 차량 도어에도 적용된다. 여기서 잠금 볼트의 운동과 이에 따른 로터리 래치의 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핸들은 일반적으로 추가로 폴이 들어 올려지고 결과적으로 로터리 래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작업자에 의해 도입되는 개방 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보장한다.
설계 관점에서 볼 때, 핸들이 다중 암으로 설계되면 스스로 입증된다. 핸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소 암과 하나의 폴 암을 갖는다. 힘 플럭스 요소는 일반적으로 요소 암에 의해 충돌된다. 대조적으로, 이 맥락에서, 폴 암은 폴의 추가적인 충돌을 보장한다. 핸들은 일반적으로 충돌 암도 갖는다. 핸들은 충돌 암을 통해 해당 조작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베어링으로서 역할을 하는 잠금장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식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핸들이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경우 유용하다는 것이 추가로 입증되었다. 이는 핸들이 유리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이라는 점에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핸들을 다중 부품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충돌 암과 폴 암은 핸들을 설치하고 잠금장치 하우징에 장착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요소 암의 형태로 다른 제2 구성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핸들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대응되는 톱니 및 반대 톱니 형태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핸들은 일반적으로 힘 플럭스 요소에 선형 힘을 가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힘 플럭스 요소에 대한 선형 충돌은 힘 플럭스 요소가 트랜스미션 내에서 힘의 흐름을 방해하는 간단한 방법을 보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힘 플럭스 요소는 일반적으로 핸들에 부하가 걸리지 않을 때 트랜스미션의 일부로서 결합 위치를 취하는 기어 요소이며, 따라서 트랜스미션의 힘 플럭스에 통합된다. 반면, 힘 플럭스 요소 또는 기어 요소의 분리 위치는 해당 기어 요소가 인접한 기어에서 분리되어 트랜스미션 내부의 힘 흐름이 중단되는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힘 플럭스 요소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결합 요소일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 요소는 기어 요소와 마찬가지로 결합 상태에서 분리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요소는 일반적으로 핸들에 의해 선형으로 작용된다. 결합 요소의 결합 위치는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의 기어 사이의 연결이 결합 요소의 도움으로 설정된다는 사실에 해당한다. 반면에 결합 요소가 분리 위치를 취하면 관련 기계적 연결이 중단된다.
일반적으로, 힘 플럭스 요소 또는 기어 요소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결합 위치에서 예압된다. 즉, 스프링은 힘 플럭스 요소가 결합 위치를 취하도록 보장한다. 힘 플럭스 요소를 분리 위치로 이동시키려면 핸들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힘이 극복되어야 한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힘 플럭스 요소에 제공된 핀을 둘러싸는 스파이럴 스프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성요소는 리프 스프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이 힘 플럭스 요소와 핸들 모두에 충돌하는 경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경우 (단일) 스프링은 힘 플럭스 요소가 결합 위치 방향으로 예압되도록 한다. 동시에 (단일) 스프링은 핸들이 방해받지 않는 기본 위치를 취하도록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폐쇄 과정을 기계적으로 중단하거나 비상 잠금 해제를 위해 핸들이 작동되는 경우, 핸들은 한편으로는 잠금장치 하우징에 대해 핸들을 변위시키고 힘 플럭스 요소를 분리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전체적으로 로터리 래치에 대해 폴을 들어올리기 위해 (단일)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연관된 자동차 잠금장치의 비상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이론적으로 폐쇄 과정을 효과적으로 중단할 수 있는 폐쇄 장치가 제공되지만, 이 목적을 위해 두드러진 설계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기계적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힘 플럭스 요소가 트랜스미션의 구성요소로 제공된다. 잠금장치 하우징에 장착된 핸들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핸들은 다양한 설계의 잠금장치 하우징과 특정 요구 사항에 맞게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센서, 모터 등과 같은 추가 장치는 명시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대신 간단한 기계적 방안이 제공된다. 이것이 주요 장점이다.
다음에서,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칭 장치의 개요를 도시한다.
도 2 및 3은 2개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개방된 하우징을 갖는 도 1에 따른 폐쇄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변형된 실시예에서 개방된 하우징을 갖는 폐쇄 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자동차 잠금장치 또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를 위한 폐쇄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이다. 따라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폐쇄 보조 장치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다. 이를 위해 차량 도어 잠금장치의 기본 설계는 본질적으로 로터리 래치(1)와 폴(2)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1, 2)을 가지며 이는 도 1에서 기본적인 형태로만 볼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 2)은 금속 잠금장치 케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 하우징(4)은 도시된 자동차 잠금장치 또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의 하우징을 제공한다.
폐쇄 장치는 구체적으로 전기 모터(5)와 전기 모터(5) 후단의 트랜스미션(6, 7, 8, 9)을 갖는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션(6, 7, 8, 9)은 전기 모터(5)의 샤프트와 맞물리는 제1 트랜스미션 요소(6) 및 제2 트랜스미션 요소(7)로 구성된다. 2개의 트랜스미션 요소(6, 7)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된 기어일 수 있다. 여기서 힘 플럭스 요소(8)가 특히 중요한데 이는 도 1 내지 3에 따른 예시의 맥락에서 기어 요소이다. 반면 힘 플럭스 요소(8)는 도 4에 따른 변형에서 결합 요소로서 설계된다.
힘 플럭스 요소(8)는 트랜스미션(6, 7, 8, 9)의 구성요소이고, 제1 및 제2 트랜스미션 요소(6, 7)를 출력 측 트랜스미션 요소(9)와 결합하는데,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래치(1)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하는 구동 폴이다. 즉, 출력 측 기어 요소 측 또는 구동 폴(9)의 회전 운동은 예를 들어 프리 래칭 위치에서 시작하여 로터리 래치(1)가 메인 래칭 위치로 회전되어 자동차 도어(미도시)가 폐쇄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기어 메커니즘(6, 7, 8, 9)은 적어도 이러한 폐쇄 과정 동안 로터리 래치(1)에 대해 작동한다. 또한 여기서 전기 모터(5)로부터 트랜스미션(6, 7, 8, 9)를 거쳐 로터리 래치(1)로 힘의 연속적인 흐름이 관찰된다. 다만 이론적으로 폐쇄 장치 또는 트랜스미션(6, 7, 8, 9)은 잠금 볼트(미도시)에 대해서도 작동할 수 있다.
실제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자동차 도어는 도어에 결합된 폐쇄 볼트가 구비되며, 이는 (프리 래칭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1)에 의해 걸리며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메인 래칭 위치로 로터리 래치(1)의 설명된 폐쇄 운동을 따른다. 이에 따라 해당 자동차 도어가 폐쇄되고 자동차 도어와 자동차 본체 사이의 간극이 폐쇄된다. 필요한 경우 그리고 관련 자동차 잠금장치, 특히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가 비상시 잠금 해제되어 연관된 트렁크 리드가 개방되는 경우,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된 비상 잠금 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장치 하우징(4)에 장착된 핸들(10)은 폐쇄 과정을 기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해 제공된다. 핸들(10)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트랜스미션(6, 7, 8, 9)의 구성요소로서 위에서 설명된 힘 플럭스 요소(8)에 작용한다. 실제로, 핸들(10)은 일반적으로 힘 플럭스 요소(8)에 대해 선형적으로 작동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분리 상태에서 한편으로는 힘 플럭스 요소(8) 또는 상류 트랜스미션 요소(6, 7)와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 폴(9)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핸들(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 하우징(4)에 대해 액슬(1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실제로 볼트 또는 핀이 잠금장치 하우징(4) 안 또는 위에 제공되며, 이 볼트 또는 핀은 잠금장치 하우징(4)에 대한 핸들(10)의 회전 가능한 장착을 위한 액슬(11)을 정의한다. 여기서 볼트 또는 핀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 설계된 잠금장치 하우징(4)의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힘 플럭스 요소(8)는 실선으로 도시된 전형적으로 취해진 결합 상태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분리 상태로 전환된다. 힘 플럭스 요소(8)의 분리 상태에서, 전기 모터(5)로부터 트랜스미션(6, 7, 8, 9)를 통해 로터리 래치(1)로의 힘의 흐름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 래치(1)와 이에 의해 로터리 래치(1)에 걸린 잠금 볼트, 그리고 결과적으로 차량 도어가 전후로 이동되어 비상시 잠금 해제 및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 동안 폴(2)이 로터리 래치(1)와 의도치 않게 결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10)은 설명된 바와 같이 힘 플럭스 요소(8)가 분리되는 것을 보장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핸들(10)은 폴(2)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충돌하도록 추가로 설정된다. 여기서 폴(2)은 로터리 래치(1)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이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핸들(10)은 다중 암, 적어도 하나의 요소 암(10a) 및 하나의 폴 암(10b)이 구비된다. 충돌 암(10c)도 볼 수 있다. 작업자의 손은 일반적으로 충돌 암(10c)을 잡고 핸들(10)이 잠금장치 하우징(4)에 대해 축(11)을 중심으로 도 2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한편으로 힘 플럭스 요소(8)는 이에 의해 분리되고, 다른 한편으로 폴(2)은 로터리 래치(1)로부터 들어올려진다. 결과적으로, 폐쇄 과정의 이 설명된 기계적 중단에서, 로터리 래치(1) 및 이에 의해 걸리는 잠금 볼트, 그리고 결과적으로 연관된 자동차 도어는 힘 없이 앞뒤로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개방될 수 있다.
핸들(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일 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도 1 내지 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응되는 다중 부품 설계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의 한 부분은 폴 암(10b) 및 충돌 암(10c)에 의해 함께 형성되는 반면, 2 부품 핸들(10)인 경우에 다중 부품의 다른 부분은 요소 암(10a)에 의해 정의된다. 다중 부품 또는 2 부품 핸들(10)의 양 부분은 여기서 잠금장치 하우징(4)에 대한 조립 동안 서로 회전적으로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핸들(10)의 한 구성요소에 연결된 핀은 핸들(10)의 다른 구성요소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적인 방식으로 맞물린다. 동시에, 잠금장치 하우징(4)의 개구가 관통되어 샤프트(11)를 정의한다.
도 1 내지 3 및 4로부터, 힘 플럭스 요소(8)가 스프링(12, 13)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된 결합 위치에서 예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12, 13)은 힘 플럭스 요소(8)의 가이드 핀(8a)을 둘러싸는 스파이럴 스프링(12)이다. 실제로, 힘 플럭스 요소(8)가 가이드 핀(8a)을 통해 선형 방향으로 안내되고, 결과적으로, 분리 상태에서 잠금장치 케이싱(3)에 제공된 대응 개구(3a)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반면 도 3의 변형에 따른 스프링(13)은 리프 스프링(13)이다. 두 경우 모두, 스프링(12, 13)은 각각의 경우에 힘 플럭스 요소(8)가 실선으로 표시된 결합 상태의 방향으로 예압되는 것을 보장한다. 즉, 힘 플럭스 요소(8)를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분리하려면 관련 스프링(12, 13)의 힘이 핸들(10)의 도움으로 극복되어야 한다.
도 4에 따른 변형예에서 스파이럴 스프링(12) 형태의 단일 스프링(12)만 구현되어 있다. 이 경우, 단일 스프링 또는 스파이럴 스프링(12)은 한편으로는 힘 플럭스 요소(8)가 결합 위치 방향으로 예비압되는 것을, 다른 한편으로는 핸들(10)이 편향되지 않은 기본 위치의 방향으로 예압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특히 콤팩트하고 비용 효율적인 설계를 제공하고 실현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10)은 폐쇄 과정을 기계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도록 여기서 결합 요소로서 설계된 힘 플럭스 요소(8)에 선형 힘을 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에서 결합 상태는 다시 실선으로, 분리 상태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결합 요소 또는 힘 플럭스 요소(8)는 제2 트랜스미션 요소(7)와 구동 폴(9)이 결합 상태에서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실선으로 표시된 결합 상태가 이에 속한다. 그 결과, 전기 모터(5)는 처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6, 7, 8, 9)을 통해 로터리 래치(1)에 대해 작동할 수 있고 폐쇄 의미에서 로터리 래치에 충돌할 수 있다.
예시된 폐쇄 보조 장치의 기계적인 중단 및 비상 잠금 해제를 위해 충돌 암(10c)에서 핸들(10)이 작업자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어 힘 플럭스 요소(8) 또는 결합 요소가 결과적으로 분리된다. 이로 인해 전기 모터(5)로부터 트랜스미션(6, 7, 8, 9)를 통해 로터리 래치(1)로의 힘의 흐름이 차단되고 로터리 래치(1)는 그에 걸린 잠금 볼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핸들(10)의 폴 암(10b)은 이 과정에서 폴(2)이 로터리 래치(1)와 래칭될 수 없고 오히려 로터리 래치(1)에서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장한다.
1: 로터리 래치(Rotary latch)
2: 폴(Pawl)
1, 2: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3: 잠금장치 케이스(Lock case)
4: 잠금장치 하우징(Lock housing)
5: 전기 모터(Electric motor)
6, 7, 8, 9: 트랜스미션(Transmission)
6, 7: 트랜스미션 요소(Transmission element)
8: 힘 플럭스 요소(Force flux element)
8a: 가이드 핀(Guide pin)
9: 출력 측 트랜스미션 요소(Output-side transmission element)
10: 핸들(Handle)
11: 액슬(Axle)
10a: 요소 암(Element arm)
10b: 폴 암(Pawl arm)
10c: 충돌 암(Impinging arm)
12, 13: 스프링(Spring)
12: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13: 리프 스프링(Leaf spring)

Claims (11)

  1.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폐쇄 보조 장치로서, 로터리 래치(1)와 폴(2)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1, 2)을 포함하고, 전기 모터(5)를 더 가지며, 전기 모터(5) 후단의 트랜스미션(6, 7, 8, 9)을 갖고, 트랜스미션(6, 7, 8, 9)은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래치(1)에 대해 적어도 폐쇄 작동 동안 작동하되,
    폐쇄 작동을 기계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해 잠금장치 하우징(4)에 장착되는 핸들(10)이 제공되고, 상기 핸들은 트랜스미션(6, 7, 8, 9)의 구성요소로서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힘 플럭스 요소(8)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10)은 폴(2)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충돌하도록 추가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핸들(10)은 다중 암으로 설계되어, 적어도 요소 암(10a)과 폴 암(10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핸들(10)에 충돌 암(10c)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10)은 단일 부품 또는 다중 부품 설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10)은 힘 플럭스 요소(8)에 선형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힘 플럭스 요소(8)는 스프링(12, 13)에 의해 결합 위치에서 예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12, 13)은 힘 플럭스 요소(8)와 핸들(10)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스프링(12, 13)은 스파이럴 스프링(12) 또는 리프 스프링(13)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힘 플럭스 요소(8)는 톱니 바퀴 요소 및/또는 결합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폐쇄 장치를 특징으로 갖는,
    자동차 잠금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
KR1020247007907A 2021-08-11 2022-07-20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KR20240042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0893.9A DE102021120893A1 (de) 2021-08-11 2021-08-11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20893.9 2021-08-11
PCT/DE2022/100529 WO2023016600A1 (de) 2021-08-11 2022-07-20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068A true KR20240042068A (ko) 2024-04-01

Family

ID=8274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907A KR20240042068A (ko) 2021-08-11 2022-07-20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42068A (ko)
CN (1) CN117836498A (ko)
DE (1) DE102021120893A1 (ko)
WO (1) WO20230166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8040B4 (de) 1998-06-24 2005-05-19 Siemens Ag Kraftunterstützte Schließeinrichtung
DE19933371A1 (de) 1998-08-11 2000-02-17 Mannesmann Vdo Ag Schließeinrichtung mit Zuziehhilfe
DE502005000934D1 (de) 2004-07-06 2007-08-09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ss für Klappen oder Türen an Fahrzeugen
US10472869B2 (en) * 2015-03-12 2019-11-12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Powered latch mechanism with manual release
KR101860841B1 (ko) * 2015-12-28 2018-05-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11072949B2 (en) * 2016-09-23 2021-07-27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Powered latch mechanism with manual release
DE102018124841A1 (de) * 2018-10-09 2020-04-0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19110253A1 (de) 2019-04-18 2020-10-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Tür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07845A1 (de) 2019-05-03 2020-11-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36498A (zh) 2024-04-05
WO2023016600A1 (de) 2023-02-16
DE102021120893A1 (de)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745B2 (en)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KR101664676B1 (ko) 자동차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CN111356817A (zh) 用于机动车门的开启设备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JP3525105B2 (ja) 動力クローズ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の安全装置
US9016734B2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RU2633237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40103937A (ko)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US1087101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lock
US11236533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trunk lid
JP495371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200067185A (ko) 자동차 도어 로크
EP1323884B1 (en) Vehicle
EP1176273B1 (en) Latch arrangement
US20220364396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40096188A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20240042068A (ko) 자동차 잠금장치용 폐쇄 장치
US11619078B2 (en) Motor vehicle lock
JP48754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1149967B1 (en) A lock mechanism
CN114466964B (zh) 闭合闩锁组件
KR920009936B1 (ko) 폐쇄부재의 최종 폐쇄장치
KR100872689B1 (ko) 자동차용 도어 록킹장치의 스트라이커 조립체
CN116547433A (zh) 用于机动车锁的关紧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