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146A - 자동차 차체 및 대응하는 차량의 차체에 있는 개구를 차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 및 대응하는 차량의 차체에 있는 개구를 차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146A
KR20240039146A KR1020247005730A KR20247005730A KR20240039146A KR 20240039146 A KR20240039146 A KR 20240039146A KR 1020247005730 A KR1020247005730 A KR 1020247005730A KR 20247005730 A KR20247005730 A KR 20247005730A KR 20240039146 A KR20240039146 A KR 2024003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ynchronization
tensioner
shutter
movab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차지
아르노 보닌
세바스티앙 기요토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컴포트 시스템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에이씨에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컴포트 시스템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에이씨에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컴포트 시스템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에이씨에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4003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E05F11/53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장치는, 개구가 정의된 고정 부분 및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2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동 패널 - 각각의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일 내에서 병진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를 운반함 - ;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들의 병진 이동 및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위치로의 상기 가동 패널의 통과 및 그 반대의 경우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셔터들 중 하나에 작용하는 작동 수단; 상기 셔터들의 움직임의 동기화를 보장하는 2개의 동기화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각 셔터는 상기 셔터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 동기화 케이블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가동 슬라이더를 운반하여, 상기 동기화 케이블들의 상기 단부들의 움직임이 상기 셔터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동 패널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하여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상기 가동 패널의 통과를 보장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체 및 대응하는 차량의 차체에 있는 개구를 차단하는 장치
본 발명의 분야는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개구 설비의 분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조 요소, 예를 들어 차량의 차체 또는 차량의 도어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고,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가동부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볼 때 평평한 측면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캐러밴, 캠핑카, 코치 및 버스, 미니버스, 트럭, 밴, 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다.
본 출원 보유자에 의해 수년 동안 개발된 이러한 장치는 특히 "플러시 오프닝(flush openings)"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러한 장치는 외부에서 볼 때 차체, 더 일반적으로 벽이나 구조물, 장치의 고정된 패널 사이에 평평하거나 거의 같은 모양으로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이 기술의 일반적인 원칙은 특히 특허 문서 EP-0 778 168 및 EP-0 857 844에 설명되어 있다.
폐쇄용 장치(이하 "플러시 오프닝"이라고 함)는 고정된 부분과 이 고정된 부분, 즉 슬라이딩 패널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가동 부분은 필요한 이동성을 보장하는 기능적 요소로 고정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차량 내부를 향해 돌린 고정 부분의 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기능 요소 또는 레일은 가동 패널의 안내 및 유지 기능을 보장한다. 고정 부분의 가장자리 또는 주변부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차량 내부를 향하는 표면에 설치되므로 레일이 간섭하지 않고 주변부를 개구 가장자리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의 가장자리와 고정 부분 사이에 연결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고정 부분은 예를 들어 유리나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 하나 이상의 요소(동일한 평면에 나란히 배치)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러시 개구는 차량에 관계없이 완전히 장착될 수 있으며, 차체에 정의된 개구 또는 구획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 끝까지 정의된 구획 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보다 일반적으로 벽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부분의 모서리는 예를 들어 접착제 비드를 사용하여 다른 중간 연결 요소 없이 개구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외부에서 볼 때 플러시 개구는 매끈한 측면을 갖는다. 고정 어셈블리에 형성된 개구의 윤곽 위에 프레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투명 패널로 구성된 가동부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가동 패널에 의해 폐쇄된 개구의 양측에, 개구의 고정부(또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가동 패널은 하나(또는 그 이상)의 개구 위치와 개구를 닫는 닫힘 위치 사이의 슬라이딩 평면에서 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레일에 장착된다.
플러시 측면을 극대화하기 위해, 폐쇄 오프 위치에서는 가동 패널이 투명한 중간 위치에서 통과할 때 고정된 부분의 평면에 맞닿아 개구 반대편의 슬라이딩 평면에서 닫힘 위치로 들어가는 것제안되었다.
여기서 "평면"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개구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때때로 구조물의 형태에 적응하기 위해 한 방향 또는 가능하면 두 방향으로 휘어진다(이는 설명 및 주장에 사용된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를 정당화하는 경우도 있다).
가동 패널은 수동으로 또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작동 수단이 가동 패널에 작용하여 가동 패널을 폐쇄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특히, 구동 수단은 가동 패널을 당기거나 밀기 위해 전기 모터에 연결된 케이블(푸시-풀 케이블이라고 함)의 형태일 수 있다. 작동 수단은 또한 랙 또는 자전거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의 형태일 수 있다.
가동 패널의 개폐를 촉진하기 위한 알려진 기술은 예를 들어 특허 문서 WO2010/146185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레일에 레일 내에서 병진 가이드되는(guided in translation) 셔터를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각 셔터를 사용하면 가동 패널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한편으로는 고정 패널(Y축)에 형성된 개구에 고정하거나 고정된 패널(Y축)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할 수 있다(X축). 이러한 셔터는 가동 패널에 의해 운반되는 두 개의 고정 핀과 각각 협력할 수 있는 두 개의 가이드 트랙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가이드 트랙과 고정 핀의 협력은 이동 가능 패널의 이동(종래에는 흔들림)을 얻어 가동 패널의 측면 모서리를 고정부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구에서 셔터와 고정 부분 사이에는 두 방향, 즉 차량의 세로 축을 따라 연장되는 X 축과 차량 내부를 향해 가로로 연장되는 Y 축에 따라 셔터와 고정 부분 사이의 움직임이 있다.
고정부에 대한 가동 패널의 움직임은 두 가지 움직임으로 분해되어 열릴 수 있다.
- 고정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기준으로 차량 내부를 향해 (Y축에 따라) 이동하여 가동 패널이 고정부 및 개구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폐쇄 및 잠금 위치에서 슬라이딩 평면에서 가동 패널이 개구 반대쪽 고정부에 대해 오프셋되고 후자로부터 제거된 명확한 중간 위치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동 패널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인 명확한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 고정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평행한 슬라이딩 평면(X축에 따라)에서의 움직인다.
명확한 중간 위치에서 닫는 위치로의 통과는 대칭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오프닝 동작이 시작될 때와 닫힘 동작이 끝날 때, 즉 흔들림 단계에서 두 셔터의 움직임은 반대 방향, 즉 X축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수행된다. 셔터도 흔들리는 동안 Y축에 따라 움직인다(단, 같은 방향으로).
우수한 개폐 효과를 보장하려면 셔터의 움직임을 동기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셔터를 서로 연결하는 동기화 케이블이 구현된다. 따라서 스웨이 단계에서 이러한 동기화 케이블 끝의 움직임도 셔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셔터 중 하나, 예를 들어 하부 셔터의 움직임은 동기화 케이블에 의해 다른 셔터, 예를 들어 상부 셔터로 전송된다. 따라서 오프닝 동작이 시작될 때 아래쪽 셔터가 전면 동기화 케이블(X 방향)을 당기고 상단 셔터를 하단 셔터와 반대 방향(-X 방향)으로 당깁니다. 클로징 오프 동작이 끝나면 하단 셔터가 후면 동기화 케이블(-X 방향)을 당겨 상단 셔터를 하단 셔터와 반대 방향(X 방향)으로 당깁니다.
고정부를 기준으로 가동 패널의 모서리가 연속적으로 움직이므로 셔터가 비대칭적으로 움직이면 방향이 많이 바뀌고 케이블에 상당한 부하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찰과 축방향 및 반경 방향 하중이 발생하여 해로울 수 있으며 케이블, 셔터, 가동 패널 및/또는 고정 부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신청자는 동기화 케이블 끝의 연결 지점과 동기화 케이블의 콘센트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제로 동기화 케이블의 끝이 Y 축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X 축에 따른 움직임은 셔터의 후킹 지점을 기준으로 케이블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운동학에 최대 5%까지 왜곡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함, 마찰, 걸림, 심지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구 폐쇄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 장치는 특히 잠금 및 잠금 해제, 보다 일반적으로 개방 및 폐쇄를 가능하게 하며, 용이하고 직관적이며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동기화 케이블과 셔터, 가동 패널 또는 고정 부분 사이에 유해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예: 마찰 또는 열화)을 유발하지 않거나 이러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폐쇄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동차 등과 같은 구조물을 폐쇄하기 위한 개구 내에서 가동 패널을 안내하여 고정 패널과 같은 평행인 폐쇄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위치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슬라이딩 위치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개구의 개폐 운동학에서 볼 때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이 개구의 적절한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동기화 케이블의 단부 중 하나 이상을(장력, 압축, 비틀림)스프링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 솔루션의 단점은 케이블에 스프링이 가하는 하중이 개구의 개폐 움직임에 저항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프링은 사용자 또는 모터가 개구를 열거나 닫는 데 필요한 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솔루션의 또 다른 단점은 스프링의 최적 장력을 얻으려고 할 때 동기화 케이블을 조립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동기화 케이블에 충분한/최적의 장력을 가할 수 있는 크기의 스프링이 너무 커서 차량 내 할당된 공간에 장착할 수 없을 때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해결책이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목적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선행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 내에 형성된 구멍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 개구가 정의된 고정 구조물, 및 상기 고정 패널에 의해 정의된 제1 평면, 즉 폐쇄 평면에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폐쇄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평면, 즉 슬라이딩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 패널의 한쪽 면에 장착된 2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동 패널,
상기 가이드 레일 각각은 상기 레일 내에서 병진하여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를 운반하며, 각 셔터는 2개의 가이드 트랙, 각각 2개의 고정 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패널에 의해 운반되는 프레임으로 운반되는 2개의 고정 핀과 각각 2개의 가이드 트랙과 협력할 수 있다.
- 상기 셔터 중 하나에 작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내에서 이들 셔터의 병진 이동을 보장하고, 가동 패널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하는 작동 수단
두 개의 동기화 케이블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 모서리 중 하나에서 각각 순환하며 상기 셔터의 움직임의 동기화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셔터는 셔터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각 동기화 케이블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더를 운반하므로, 셔터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동기화 케이블의 상기 단부의 이동이 상기 가동 패널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루어져 상기 가동 패널이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위치로 통과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가 셔터에 장착될 때, 가동 패널의 흔들림 단계 동안 슬라이더를 셔터에 대한 슬라이더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Y축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셔터의 횡방향 이동(Y축에 따라)이 진행되는 동안 슬라이더는 셔터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자유도를 통해 슬라이더는 슬라이딩 평면과 고정부에 의해 정의된 평면 사이에서 가동 패널이 이동하는 동안 Y 축에 따른 셔터의 움직임을 흡수/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의 Y축에 따른 이동이 슬라이더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슬라이더는 가동 패널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Y축에 따라)이동하지 않다. 따라서 슬라이더는 X축에 따라 움직이지 않다.
흔들리는 동안 슬라이더가 Y축에 따른 셔터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동기화 케이블이 각 축, 즉 X축에 따라 항상 이동, 즉 당기거나 작동할 수 있다.
본 기술의 특정 측면에 따르면, 각 슬라이더는 케이블의 이동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따라 해당 셔터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된다.
본 기술의 또 다른 특정 측면에 따르면, 각 슬라이더는 각각의 셔터에 각각 대응하는 셔터, 즉 대응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운반되는 핀과 연동되는 포크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또 다른 특정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기화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장력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예의 특정 측면에 따르면,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슬라이더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단부의 후킹 지점의 위치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특정 측면에 따르면,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동기화 케이블 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수용 구획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를 포함하며, 상기 텐셔너는 상기 수용 구획에서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위치를 취하여 대응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특정 측면에 따르면, 상기 텐셔너는 상기 구획과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러그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특정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 구획은 상기 텐셔너의 블로킹 러그(들)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블로킹 톱니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 설정은 슬라이더의 상기 구획에 텐셔너가 삽입되는 깊이에 의존한다.
본 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슬라이더 내부의 상기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길이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2 실시예의 특정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 수단은 위치에 따라 상기 케이블 상에 가변 오프셋을 부여하는 캠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특정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캠은 슬라이더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블로킹 러그와 협력하고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장력 설정에 대응하여 기어 휠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기법 및 그 상이한 장점들은 그 두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쇄 장치 또는 플러시 오프닝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폐쇄 장치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제안된 기법에 따른 폐쇄 장치 또는 플러시 개구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조립 전에 제안된 기술에 따라 셔터에 동기화 케이블을 고정하는 수단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조립 후 도 4의 고정 수단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안된 기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예를 도시하는 도 3의 폐쇄 장치의 인장 수단의 분해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조립 후 도 6의 인장 수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또 다른 분해된 바닥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6의 인장 수단의 평면도를 보여 주며, 제1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텐셔너가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조립 후 도 9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6의 폐쇄 장치의 인장 수단의 분해된 하부를 도시하며, 제안된 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조립 후 도 11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 수단의 텐셔너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조립 후 도 11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동기화 케이블이 어떻게 장력을 받는지 보여주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상단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기화 케이블이 어떻게 장력을 받는지 보여주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또 다른 상단면도이다.
도 17은 또한 동기화 케이블이 어떻게 장력을 받는지 보여주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또 다른 상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부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평면 B-B에 따라 장착 위치에서 도 16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평면 C-C에 따라 장착 위치에서 도 15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평면 B-B에 따라 인장 위치에서 도 16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평면 D-D에 따른 인장 위치에서 도 16의 슬라이더와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22를 참조하여 제안된 기법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단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 취급된다.
 
개구의 일반적인 작동
도 1은 차량 내부에서 본 슬라이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패널이 있는 플러시 개구를 도시한다.
이러한 플러시 개구(1)는 조립체 또는 폐쇄 장치의 형태로, 본체(10)(예를 들어 측면 벽) 또는 도어에 형성된 개구(즉, 개구 또는 "구멍")에 배치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더 일반적으로는 차량(또는 여행용 트레일러 또는 캠핑카, 예를 들어)의 구조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도어 리프가 제공되는 폐쇄 장치를 수용해야 하는 벽의 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장치는 고정 부분(11), 즉 이를 수용하는 구조물(10)에 대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부분(11)과, 고정 부분(11)에 대해 가동 슬라이딩 가능한(slidably) 가동 패널(movable panel) 또는 슬라이딩 패널(12)을 포함한다.
특히, 고정 패널이라고도 하는 고정 부분(11)은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하나 이상의 요소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부분(11)은 도 1의 위치에서 가동 패널(12)에 의해 폐쇄되고 고정 부분(11)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된 상태로 천공된다.
특히, 이 가동 패널(12)은 글레이즈드 부분(122)및 프레임(121)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 즉 상부 레일(114)및 하부 레일(115)은 차량 내부를 향하는 고정 부분(11)의 표면에 접착하여 부착된다.
이들 레일은 고정부(11)의 윤곽으로부터 떨어져 나갔으며, 고정부(11)를 개구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키는 데 기여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예에서 실질적으로 평행인 레일(114, 115)은 레일(114, 115)에 고정된 프레임(121)을 갖는 가동 패널(12)을 유지하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한다.
가동 패널(12)은 고정부(11)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슬라이딩 평면에서 레일(114, 11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동 패널(12)은 고정 부분(11)의 개구를 완전히 닫거나(도 1)이 개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패널(12)은 레일(114, 115)에 대한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방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패널(12)은 이 고정 부분(11)과 같은 평면인 폐쇄 위치(도 1)에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고정 부분(11)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수직으로 이동하여 플러시 어셈블리(본체 10, 고정 부분 11 및 가동 부분 12)를 제안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고정 부분(11)의 표면에는 개구의 윤곽 위에 접착된 밀봉 개스킷(도시되지 않음)이 있으며, 가동 패널(12)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가동 패널(12)의 립의 단부는 가동 패널(12)에 닿는다.
한 가지 변형에서, 밀봉 개스킷은 고정 부분(11)과 접촉하도록 가동 패널(12)의 프레임(12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레일(114)은 상부 셔터(2)를 지지하고, 하부 레일(115)은 하부 셔터(3)를 수용하며, 각 셔터는 가동 패널(12)의 각 측면 모서리 부근에 각각 위치하며 가동 패널(12)의 가장자리에 고정된 전방 및 후방 핀(미도시)과 연동하는 하부 셔터(3)를 운반한다.
따라서, 각 셔터(2, 3)는 X축에 평행한 축, 즉 차량의 길이에 대응하는 축에 따라 레일(114, 115)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부(114)및 하부(115)레일은 바닥 벽과 바닥 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면 벽을 포함하는 종래의 레일이다. 측면 벽의 반대쪽 끝은 짧은 리턴이 있어 상단 2개 및 하단 3개의 셔터를 수신하고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은 셔터를 받을 수 있어 셔터가 X축에 따라 레일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은 단일 축에 따른 안내를 보장하고 셔터는 Y 축에 따른 움직임을 보장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저렴한다.
상부(2)및 하부(3)셔터 각각은 가이드 레일(114, 115) 내에서 슬라이딩하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 바(bar)형태이고, 가동 패널(12)에 의해 운반되는 핀과 연동할 수 있는 전방 및 후방 트랙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셔터(2, 3)는 가동 패널(12)의 원위 부분(차량의 전방에 가장 가까운 패널 부분)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방 트랙이라고 하는 트랙과, 원위 부분과 반대되는 동일한 가동 패널(12)의 근위 부분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후방 트랙이라고 하는 트랙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단 2 셔터와 하단 3 셔터의 트랙은 거의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셔터(2, 3)에 대한 가동 패널(12)의 프레임(121)의 원하는 안내에 따라 많은 트랙 형태 변형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형상은 가동 패널(12)을 개방하는 동안 가동 패널(12)의 어느 모서리가 처음에 흔들려야 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셔터가 이동하는 동안, 이들 트랙은 가동 패널을 구동하고 X 및 Y 축에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 패널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분(11)에 대한 가동 패널(12)의 이동은 두 개의 독립적인 움직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고정부(11)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차량 내부를 향해 2단계(스웨이라고 함)로 수직 이동(Y축에 따라)하여, 가동 패널(12)이 고정부(11) 및 개구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폐쇄 및 잠금 위치에서, 가동 패널(12)이 개구 반대쪽의 고정부(11)에 대해 오프셋되고 슬라이딩 평면에서 후자로부터 제거된 명확한 중간 위치로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여, 이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가동 패널(12)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인 명확한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 고정부(11)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평행하게 슬라이딩 평면에서의 움직임(X 축에 따름).
명확한 중간 위치에서 닫는 위치로의 통과는 대칭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두 셔터의 움직임은 오프닝 동작의 시작과 닫힘 동작의 끝, 즉 스윙 단계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나머지 동작 중에는 셔터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가동 패널(12)의 상이한 움직임은 가이드 레일(114, 115) 내부의 셔터(2, 3)를 이동시키는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하부 가이드 레일(115)을 따른 하부 셔터(3)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구동 수단에 의해 그 자체가 구동되는 "푸시풀" 유형의 제어 케이블 또는 구동 케이블(13)에 의해 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케이블(13)은 하부 셔터(3)를 (X 축의 방향, 즉 차량의 후방으로) 밀어서 가동 패널(12)을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 중 하나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하부 셔터(3)를 (X 축의 반대 방향, 즉 차량의 전방으로) 당겨서 가동 패널(12)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 드라이브 케이블(113)은 모터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진다(미도시).
상부 가이드 레일(114)을 따른 상부 셔터(2)의 이동은 동기화 수단(이 예에서는,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음)의 동기화 수단에 의해 하부 셔터(3)의 이동과 동기화된다. 즉, 하단 셔터의 움직임은 동기화 케이블을 통해 상단 셔터로 전송된다.
도 2 및 도 3은 가동 패널(12)의 프레임을 통해 상부 셔터(2)까지의 동기화 케이블(41, 42)의 경로를 보여주는 폐쇄 장치(1)의 가동 패널(12)의 일부 도면을 도시한다.
따라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은 구동 케이블(13)이 작동될 때 셔터, 따라서 가동 패널(12)의 최적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상부(2)및 하부(3)셔터를 서로 연결한다.
선행 기술을 보여주는 도 2에서, 앞서 언급한 동기화 케이블(41, 42)은 셔터(2, 3)에 직접 연결되거나, 예를 들어 텐션 스프링을 통해 연결된다.
도 3은 제안된 기술에 따른 폐쇄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상부 2 및 하부 3 셔터에는 앞서 언급한 동기화 케이블(41, 42)을 고정(5)및 장력 조정(6)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안된 기법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셔터에 동기화 케이블을 고정하는 수단의 예에 대한 설명
도 4 및 도 5는 제안된 기술의 실시예에 따라 셔터(2, 3)상에 동기화 케이블(41, 42)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5)을 도시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5)은 각 셔터(2, 3)에 장착된 슬라이더(5)의 형태이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셔터(2, 3)상의 전방(41)및 후방(42)케이블의 한쪽 끝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5)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포크 또는 그루브(51)를 구비한다. 포크(51)는 셔터(2, 3)에 의해 운반되는 고정핀 또는 핑거(23, 33)와 협력할 수 있다.
슬라이더(5)가 셔터(2, 3)에 장착될 때, 포크(51)는 슬라이더(5)를 셔터(2, 3)에 대해 실질적으로 Y축에 따라 병진시킬 수 있다. 즉, 포크(51)는 셔터(2, 3)의 횡방향 이동(Y축에 따라)하는 동안 셔터(2, 3)에 대한 슬라이더(5)의 슬라이딩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더(5)는 셔터(2, 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더(5)는 셔터(2, 3)의 이동 축(X축)에 수직인 축(Y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자유도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평면과 고정부(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사이에서 가동 패널(12)이 이동하는 동안 Y 축에 따른 셔터(2, 3)의 움직임을 흡수/보상할 수 있게 한다. 즉, 셔터(2, 3)의 Y축에 따른 이동은 포크(51)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슬라이더(5)는 가동 패널(12)의 프레임(121)에 대해 횡방향으로(Y축에 따라)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X축에 따라 움직이지 않다.
흔들리는 동안 포크(51)가 Y축에 따른 셔터(2, 3)의 움직임을 흡수함으로써 동기화 케이블(41, 42)은 각각의 축, 즉 X축에서 항상 이동, 즉 당기거나 작용할 수 있다.
한 가지 변형(도에 나와 있지 않음)에서는 슬라이더(5)에 고정 핀(23, 33)을 배치하고 셔터(2, 3)에 포크(51)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은 가동 패널(12)의 개폐 시 작동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동 패널의 셔터 및 프레임과 동기화 케이블의 마찰을 제한하고 가능하다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폐쇄 장치(1)의 고정 부분(11)에 대한 가동 패널(12)의 흔들림과 관련된 개폐 운동학의 왜곡을 감소시키고 가능한 경우 억제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슬라이더(5)는 포크(51)의 각 측면에 전방(41)및 후방(42)동기화 케이블의 헤드(411, 421)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500)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은 장착 중에 미세하게 제어되지 않는다.
장력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현하는 본 발명의 두 가지 변형이 아래에 설명된다.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 제어 수단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
도 6 내지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쇄 장치(1)의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 제어 수단(6)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수단(5)은 셔터(2, 3)에 장착된 슬라이더(5)의 형태로 본 명세서에 있다. 특히,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5)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포크 또는 그루브(51)를 구비한다. 포크(51)는 셔터(2, 3)에 의해 운반되는 고정핀 또는 핑거(23, 33)와 협력할 수 있다. 슬라이더(5)가 셔터(2, 3)에 장착될 때, 포크(51)는 Y축에 따라 셔터(2, 3)에 대한 슬라이더(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자유도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평면과 고정부(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사이에서 가동 패널(12)이 이동하는 동안 Y 축에 따른 셔터(2, 3)의 움직임을 흡수/보상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X축에 따라서만 이동하므로 동기화 케이블(41, 42)은 항상 그 축, 즉 X축에서 당겨지거나 작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가동 패널(12)을 열고 닫는 동안 작동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셔터 및 가동 패널의 프레임과 동기화 케이블의 마찰을 제한한다.
슬라이더(5)는 또한 폐쇄 장치(1)의 고정부(11)에 대한 가동 패널(12)의 흔들림과 관련된 개폐 운동학의 왜곡을 감소시키고 억제할 수 있게 해준다.
슬라이더(5)는 포크(51)의 각 측면에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제어 수단(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제어 수단(6)은 슬라이더(5) 내의 동기화 케이블의 일 단부의 후킹 포인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의 형태이다.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5) 내부의 후킹 포인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구획(501)을 구비한다. 슬라이더(5) 내부의 후킹 포인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텐셔너(600)의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텐셔너(600)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501)을 구비한다. 슬라이더(5)는 포크(51)의 각 측면에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이 예에서 슬라이더(5)는 두 개의 텐셔너(600)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수용 구획(501)을 포함한다. 각 텐셔너(600)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일 단부에 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수용 구획(501)은 적어도 두 개의 대향 내부 측면 위에 일렬/복수의 블로킹 톱니 또는 돌출부(502)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이들 측면 각각은 구획(50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4개의 블로킹 톱니(502)를 가진다. 즉, 이러한 블로킹 톱니(502)는 슬라이더(5)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된다.
플렉시블 블레이드(503)는 수용 구획(501) 내에 슬라이더(5)를 끼우는 방향으로 텐셔너(600)의 안내 및 센터링을 보장한다.
슬라이더(5)는 텐셔너(600)와 협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텐셔너(600)는 길이에 관계없이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설정하여 두 셔터(2, 3)의 움직임 사이의 이동을 피할 수 있다. 텐셔너(600)는 셔터(2, 3)의 동기화된 움직임을 최적화하기 위해 두 동기화 케이블(41, 42)사이의 장력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동기화 케이블(41, 42)의 각 단부는 텐셔너(600)에 고정되며, 텐셔너(600)는 슬라이더(5)와 협력하여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을 설정/조정할 수 있다.
텐셔너(600)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실질적으로 T와 같은 형상의 부분의 형태이고, T의 수직 막대(601)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통과를 위한 내부 채널(602a)을 갖는다. T의 수직 바(601)의 자유단에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헤드(411, 421)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602b)이 있다.
이 예에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헤드(411, 421)는 홀딩 구획(602b)에 클립되거나 스냅 장착된다(특히 도 5 및 6에서 볼 수 있음).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헤드(411, 421)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솔루션이 고려될 수 있다.
텐셔너(600)의 T의 크로스바(605)는 텐셔너(600)의 슬라이더(5) 내로의 삽입/장착을 중단/제한할 수 있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이 스톱(605)은 채널(602a)에 맞춰 연장되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통과를 위한 노치(606)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단부를 텐셔너(600)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헤드(411, 421)를 홀딩 구획(602b)에 삽입하고 텐셔너의 채널(602a)및 노치(606)를 관통/내로 동기화 케이블(41, 42)을 배치/안내하는 것뿐이다.
그러면 동기화 케이블이 텐셔너 600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러한 텐셔너(600)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텐셔너(600)는 수직 바(T)의 대향 측면 2개 위에 걸쳐 슬라이더(5)의 수용 구획(501)에 형성된 블로킹 톱니(502)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직렬/복수의 블로킹 러그 또는 리세스(604)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텐셔너(600)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용 구획(501)에서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슬라이더(05)의 블로킹 톱니(502)와 텐셔너(600)의 블로킹 러그(604)의 협력은 텐셔너(600)의 수용 구획(501) 내의 위치를 로킹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텐셔너(600)의 제거는 블로킹 치아(502)와 오목부(604)의 협력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이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 예에서, 텐셔너(600)의 각 면은 각각 구획(501) 내의 텐셔너(600)의 고유 위치에 대응하는 8개의 블로킹 러그(604)를 포함하며, 텐셔너(600)의 이들 위치 각각은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의 설정 위치에 대응한다. 물론 다른 수의 러그를 고려할 수 있다.
동기화 케이블(41, 42)의 단부를 텐셔너(600)로 고정한 후,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셔너(600)를 슬라이더(5)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은 텐셔너(600)가 슬라이더(5)의 구획(501)에 삽입되는 깊이에 의존한다. 따라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설정은 매우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블로킹 러그(604)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의 비교적 미세한 설정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셔터(2, 3)중 하나에 장착된 슬라이더(5)는 각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한쪽 끝을 셔터에 고정시킬 수 있다. 셔터(2, 3)에 체결한 후, 슬라이더(5)와 텐셔너(610)는 2개의 동기화 케이블(41, 42)을 서로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여, 가동 패널(12)의 개방/폐쇄 동안 이들의 최적 이동을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셔터, 동기화 케이블 및 가동 패널(12)의 프레임(121)의 열화(마모, 소음 등)가 방지된다.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 제어 수단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안된 기법의 제2 실시예는 도 11 내지 22를 참조한다.
특히, 도 11, 12 및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쇄 장치(1)의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 제어 수단(6)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수단(5)은 셔터(2, 3)에 장착된 슬라이더(5)의 형태로 본 명세서에 있다. 특히, 슬라이더(8)는 슬라이더(5)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포크 또는 그루브(51)를 구비한다. 포크(51)는 셔터(2, 3)에 의해 운반되는 고정핀 또는 핑거(23, 33)와 협력할 수 있다. 포크(51)는 슬라이더(5)가 셔터(2, 3)에 장착될 때 슬라이더(5)가 셔터(2, 3)에 대해 Y축에 따라 병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자유도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평면과 고정부(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사이에서 가동 패널(12)이 이동하는 동안 Y 축에 따른 셔터(2, 3)의 움직임을 흡수/보상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X축을 따라 움직이지 않으므로 동기화 케이블(41, 42)은 항상 그 축, 즉 X축에서 당겨지거나 작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는 가동 패널(12)을 열고 닫는 동안 작동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셔터 및 가동 패널의 프레임과 동기화 케이블의 마찰을 제한한다.
슬라이더(5)는 또한 폐쇄 장치(1)의 고정부(11)에 대한 가동 패널(12)의 흔들림과 관련된 개폐 운동학의 왜곡을 감소시키고 억제할 수 있게 해준다.
슬라이더(5)는 포크(51)의 각 측면에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제어 수단(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제어 수단(6)은 슬라이더(5) 내부의 동기화 케이블 부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의 형태이다.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5) 내부의 동기화 케이블 부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구획(511)을 구비한다. 슬라이더(5) 내부의 동기화 케이블 부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텐셔너(610)의 형태로 제공된다.
슬라이더(5)는 포크(51)의 각 측면에 텐셔너(610)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511)을 구비한다. 슬라이더(5)는 형태(51)의 각 측면에서 거의 대칭이다(포크의 길이방향 축에 따른 대칭).
수용 구획(511)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슬라이더(5)의 하부면에 의해 텐셔너(61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구획(511)은 이들 가장자리 위에 일렬/복수의 블로킹 러그 또는 돌출부(512)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3개의 블로킹 러그(512)는 각 수용 구획(511)의 가장자리/둘레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블로킹 러그(512)는 구획(511)의 내부를 향해 뻗어 있다. 즉, 이러한 블로킹 러그(512)는 수용 구획(511)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5)는 포크(51)와 텐셔너(610)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511)사이에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헤드(411, 421)를 고정하기 위한 구획(513)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헤드(411, 421)는 홀딩 구획(513)에 클립되거나 스냅 장착된다(특히 도 11에서 볼 수 있음). 헤드(411, 421)를 동기화 케이블(41, 42)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솔루션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에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통과를 위한 노치(514)가 있다(도 8 및 9에서 볼 수 있음). 이들 노치(514)는 수용 구획(511)의 양쪽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노치(514)는 텐셔너(610)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511)과 텐셔너(5)의 단부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반면, 제2 노치(514)는 텐셔너(610)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111)과 동기화 케이블의 헤드(411, 421)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513)사이에 위치한다.
슬라이더(5)는 수용 구획(511)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516)를 구비한다. 이 개구(516)는 도 8, 16 및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 중앙 부분뿐만 아니라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두 개의 직선 부분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5)는 이 예에서 텐셔너(610)의 형태인 인장 수단(6)과 협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이더(5)는 2개의 텐셔너(610)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수용 구획(511)을 포함한다. 각 텐셔너(610)는 동기화 케이블(41, 42)에 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텐셔너(610)는 두 셔터(2, 3)의 이동 사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에 관계없이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텐셔너(610)는 셔터(2, 3)의 동기화된 움직임을 최적화하기 위해 두 동기화 케이블(41, 42)사이의 장력 균형을 맞출 수 있다.
각각의 동기화 케이블(41, 42)은 텐셔너(610)와 협력하며, 텐셔너(610)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을 설정/조정하기 위해 이들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텐셔너(610)는 슬라이더(5) 내부에 수신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일부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텐셔너(61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0에서 다양한 각도로 도시된 원통형 손잡이 형태이다.
텐셔너(610)는 텐셔너의 상부에 위치한 제1 부분 또는 기어 휠(611)을 구비한다. 이 원통형 기어 휠은 그 주변부에 걸쳐 노브(610)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블로킹 톱니(615)를 포함한다.
텐셔너(610)의 상면에 위치한 리세스(616)는 도구(이 예에서는 앨런 키 타입의)를 수용할 수 있어 텐셔너(610)가 회전하여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한다.
텐셔너(610)는 기어 휠(611)아래에(Z축에 따라)동기화 케이블의 통과/수신을 위한 그루브(618)를 갖는 캠(612)을 구비한다. 따라서, 텐셔너(610)가 슬라이더(5)의 구획(511)에 수용될 때, 동기화 케이블(41, 42)은 제1 노치(514)를 통과하여 텐셔너(610)의 그루브(618)를 통과한 후 제2 노치(514)에서 헤드(411, 412)를 고정하는 구획(513)까지 통과한다.
캠(612)은 동기화 케이블(41, 42)의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는 돌기(614)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돌출부(614)는 동기화 케이블의 경로/경로를 길게하여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즉, 돌기(614)는 슬라이더(5) 내부에 수신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일부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캠(612)은 홈(618)아래에 텐셔너(610)를 수용하기 위해 구획(511)에 형성된 개구(516)의 대응하는 원형 부분과 협력하도록 설계된 원통형 부분(617)을 구비한다.
제2 부분(617)은 슬라이더(5)에 형성된 수용 구획(513)에 텐셔너(610)를 잠금하기 위해 슬라이더(5)의 개구(516)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잠금 핑거(613)를 구비한다.
도 18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핑거(613)는 슬라이더(5)의 개구(516)를 통과한다. 슬라이더(5)에 의한 텐셔너(610)의 로킹은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텐셔닝 시, 즉 텐셔너(610)의 회전 시에 수행되는 1/4 회전식 회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예에서 슬라이더(5)를 사용하여 텐셔너(610)를 잠그는 것은 로킹 핑거의 구현과 1/4 회전식 회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슬라이더(5)로 텐셔너(610)를 잠그는 다른 해결책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잠금은 클립 또는 나사 유형의 차단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변형에서, 텐셔너(610)는 구획(511)의 Z축에 따라 병진 방향으로 자유롭게 장착된다. 이 경우, 장력이 가해질 때 텐셔너(610)가 슬라이더(5)의 구획(511)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동기화 케이블(41, 42)이다.
제2 실시예에서, 동기화 케이블의 설치는 케이블의 헤드(411, 421)를 슬라이더의 유지 구획(513)에 끼운 다음 슬라이더(5)의 노치(514)와 텐셔너(610)의 홈(618)에 동기화 케이블을 안내한 다음 텐셔너(610)를 그 수용 구획(511)에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동기화 케이블(41, 42)은 슬라이더(5)에 단단히 고정되고 텐셔너(610)와도 협력한다. 이러한 구현은 셔터(2, 3)상의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용이하고 신뢰성 있는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텐셔너(610)및 슬라이더(5)로 동기화 케이블(41, 42)을 조립한 후,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도 14~17의 화살표 F1~F3에 따라 텐셔너(610)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뿐이다.
텐셔너(610)의 이러한 회전은 동기화 케이블(41, 42)의 경로를 우회/연장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케이블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는 것은 돌출부(614)이다. 즉, 돌기(614)는 슬라이더(5) 내부에 수신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일부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예에 따르면, 텐셔너(610)의 회전은 또한 슬라이더(5)와의 로킹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은 로킹 핑거(613)가 도 18 내지 22에 따라 텐셔너(610)를 로킹할 수 있게 한다.
텐셔너(610)의 블로킹 톱니(615)는 슬라이더(5)의 블로킹 톱니(512)와 협력하여 슬라이더(5)에 대한 텐셔너(6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텐셔너(6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블로킹 톱니(512, 615)의 협력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은 텐셔너(610)의 회전에 의존한다. 따라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설정은 매우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케이블의 별개의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이한 블로킹 러그(615)는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의 비교적 미세한 설정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셔터(2, 3)중 하나에 장착된 슬라이더(5)는 각 동기화 케이블(41, 42)의 한쪽 끝을 셔터에 고정시킬 수 있다. 셔터(2, 3)에 체결한 후, 슬라이더(5)와 텐셔너(610)는 2개의 동기화 케이블(41, 42)을 서로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여, 가동 패널(12)의 개방/폐쇄 동안 이들의 최적 이동을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셔터, 동기화 케이블 및 가동 패널(12)의 프레임(121)의 열화(마모, 노이즈, 색상 변화)가 방지된다.
 
기타 측면 및 변형
전술한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제어하는 수단의 두 가지 실시예는 각각 슬라이더에 동기화 케이블의 후킹 포인트의 위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슬라이더 내부의 동기화 케이블 부분의 길이를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변형(예시되지 않음)에서,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제어 수단(6)은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리턴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동기화 케이블의 끝은 슬라이더(5)에 연결된 리턴 스프링에 연결된다.
따라서 두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슬라이더는 하나의 텐셔너 또는 스프링과만 협력할 수 있고 텐셔너 또는 스프링이 없어도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을 통해 제안된 기술을 원하는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 동기화 케이블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케이블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동기화 케이블의 장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치에는 최대 4개의 텐셔너/리턴 스프링이 있어 케이블의 모든 끝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안된 기법을 사용하면 장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 단일 동기화 케이블의 단부;
- 단일 동기화 케이블의 양 단부;
- 두 동기화 케이블의 양 단부;
- 한 케이블의 상단부와 다른 케이블의 하단부;
- 기타
전술한 실시예는 자동차의 측벽에 적용된다.
제안된 기술은 예를 들어 여행용 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와 같이 구멍이 정의된 벽을 갖는 다른 구조물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구멍은 차량의 측면 벽(예: 다용도 차량, 미니밴, 일반 차량 등),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벽(예: "픽업" 차량의 경우)또는 도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분리 베이(separation bay)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3)

  1.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개구가 정의된 고정 부분(11) 및 폐쇄 평면이라 불리는 고정 패널(11)에 의해 정의된 제1 평면에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폐쇄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슬라이딩 평면이라 불리는 제2 평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 패널(11)의 일면에 장착된 2개의 가이드 레일(114, 115)을 따라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동 패널(12) - 각각의 상기 가이드 레일(114, 115)은 상기 레일(114, 115) 내에서 병진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2, 3)를 운반하고, 각각의 셔터(2, 3)는 2개의 가이드 트랙, 각각 2개의 고정 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패널(12)에 의해 운반되는 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2개의 고정 핀, 각각 2개의 가이드 트랙과 각각 협력함 - ;
    상기 가이드 레일(114, 115)에서 이들의 병진 이동 및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위치로의 상기 가동 패널(12)의 통과 및 그 반대의 경우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셔터들(3) 중 하나에 작용하는 작동 수단(13);
    각각 상기 프레임의 측면 에지들 중 하나에서 순환하고 상기 셔터들(2, 3)의 움직임의 동기화를 보장하는 2개의 동기화 케이블들(41, 42)을 포함하고,
    각 셔터(2, 3)는 상기 셔터(2, 3)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더(5)를 운반하여, 상기 동기화 케이블(41, 42)들의 상기 단부들의 움직임이 상기 셔터(2, 3)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동 패널(12)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하여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상기 가동 패널(12)의 통과를 보장하는,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더(5)는 상기 케이블의 이동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대응하는 셔터(2, 3)에 대해 슬라이드식으로 가이드되는, 폐쇄 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더(5), 각각 각각의 셔터가, 각각 상기 대응하는 셔터(2, 3), 각각 상기 대응하는 슬라이더(5)에 의해 운반되는 핀(23, 33)과 협력하는 포크(51)를 포함하는, 폐쇄 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기화 케이블(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장력을 제어하는 수단(6)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 수단(6)은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 수단(6)은 상기 슬라이더(5)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단부(41, 42)의 후크 지점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 수단(6)은, 상기 동기화 케이블(41, 42) 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슬라이더(5)에 형성된 수용 구획(501)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600)를 포함하고, 상기 텐셔너(600)는 상기 대응하는 케이블(41, 42)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구획(501)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는, 폐쇄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600)는 상기 구획(501)과 협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러그(604)를 갖는, 폐쇄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획(501)은 상기 텐셔너(600)의 상기 차단 러그(들)(604)와 협력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차단 치형부(502)를 구비하여, 상기 동기화 케이블(41, 42)의 장력 설정은 상기 슬라이더(5)의 상기 구획(501) 내에서의 상기 텐셔너(600)의 삽입 깊이에 의존하는, 폐쇄 장치(1).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 수단이 상기 슬라이더(5) 내부의 상기 케이블(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길이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이,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케이블(41, 42)에 가변 오프셋을 부여하는 캠(612)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612)이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차단 러그(502)와 협력하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장력 설정에 대응하는 기어 휠(611)에 고정되는, 폐쇄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폐쇄 장치(1)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47005730A 2021-07-30 2022-07-27 자동차 차체 및 대응하는 차량의 차체에 있는 개구를 차단하는 장치 KR20240039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8946.4A EP4124484A1 (fr) 2021-07-30 2021-07-30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énagée dans la carrosserie d'un véhicule, et véhicule correspondant
EP21188946.4 2021-07-30
PCT/EP2022/071122 WO2023006838A1 (fr) 2021-07-30 2022-07-27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énagée dans la carrosserie d'un véhicule, et véhicule correspond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146A true KR20240039146A (ko) 2024-03-26

Family

ID=7716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730A KR20240039146A (ko) 2021-07-30 2022-07-27 자동차 차체 및 대응하는 차량의 차체에 있는 개구를 차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24484A1 (ko)
KR (1) KR20240039146A (ko)
CN (1) CN117881557A (ko)
WO (1) WO20230068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099B1 (fr) 1995-12-08 1998-01-02 Farnier & Penin Dispositif de fermeture affleurant d'une baie de vehicule automobile
FR2759408B1 (fr) 1997-02-10 1999-08-27 Farnier Et Penin Snc Dispositif de guidage pour un panneau coulissant et louvoyant d'obturation d'une baie
EP2277729B1 (fr) 2009-06-19 2014-11-19 Advanced Comfort Systems France SAS - ACS France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énagée dans la carrosserie d'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équilibrage, et vé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FR2970498B1 (fr) * 2011-01-19 2014-01-10 Acs France Sas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6838A1 (fr) 2023-02-02
EP4124484A1 (fr) 2023-02-01
CN117881557A (zh)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574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having a removable sliding panel
US7980614B2 (en) Interior vehicle body structure
CN108349355B (zh) 车窗升降器组件和其装配方法
KR20240039146A (ko) 자동차 차체 및 대응하는 차량의 차체에 있는 개구를 차단하는 장치
US7213730B2 (en) Vehicle roof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cross rail
EP2113420B1 (en) Tonneau cover apparatus for an automobile
US6428088B1 (en) Locking sunshade system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427494B1 (ko)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
EP4180253A1 (en) Blind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29132B1 (ko)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KR100399129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100600190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KR200379744Y1 (ko) 승합차량용 사이드 윈도우의 개폐장치
KR100405947B1 (ko)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
JP2002274182A (ja) サンルーフ装置
KR20040067073A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101135526B1 (ko) 자동차용 랙 고정장치
KR0133578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아암 구조
KR200155014Y1 (ko) 자동차의 커버링 셀프 고정장치
KR20210137626A (ko)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CN117755211A (zh) 一种与天窗集成式的显示屏机构装置
KR20040084039A (ko)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
KR20020091514A (ko)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