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093A -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093A
KR20240038093A KR1020247007222A KR20247007222A KR20240038093A KR 20240038093 A KR20240038093 A KR 20240038093A KR 1020247007222 A KR1020247007222 A KR 1020247007222A KR 20247007222 A KR20247007222 A KR 20247007222A KR 20240038093 A KR20240038093 A KR 2024003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machine
engine
stop control
display
de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마쓰모토
슌스케 스기무라
šœ스케 스기무라
다케히로 시바타
도모후미 호카리
유이치로 야스다
겐지 노자키
도모타카 고마쓰
요스케 야마고에
료헤이 기쿠자와
겐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3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09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은,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본 개시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9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21-16108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문헌 1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엔진 정지 명령에 대하여, 배기계 온도가 온도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 엔진의 정지를 늦추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엔진 정지를 늦추고 있는 동안에,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엔진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국특허출원 공개 제2015/075490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는, 엔진의 정지를 늦추고 있는 동안에, 엔진을 늦추어 정지시키는 제어를 중지하여, 통상의 엔진 동작에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본 개시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 것이며, 엔진의 정지를 늦추고 있는 제어 동안에 그 제어를 중지시킬 수 있는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態樣)은,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에 의하면, 엔진의 정지를 늦추고 있는 제어 동안에 그 제어를 중지시킬 수 있다.
[도 1]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운전실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터리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록 레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작업 기계(100)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작업 기계(100)는 시공 현장에서 가동(稼動)하고, 토사 등의 시공 대상을 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이다. 다만, 본 개시의 작업 기계는 예를 들면 덤프 트럭, 휠 로더, 모터 그레이더 등의 다른 작업 기계라도 된다. 작업 기계(100)는 주행체(110), 선회체(旋回體)(120), 작업기(130) 및 운전실(140)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기계(100)는,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통신을 행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인증을 행한다.
주행체(110)는 작업 기계(100)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다. 주행체(110)는, 좌우에 설치된 2개의 트랙슈(track shoes)(111)와, 각 트랙슈(111)를 구동시키기 위한 2개의 주행 모터(112)를 구비한다. 선회체(120)는 주행체(110)에 선회 중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업기(130)는 유압에 의해 구동한다. 작업기(130)는 선회체(120)의 전부(前部)에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운전실(140)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고, 작업 기계(100)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공간이다. 운전실(140)은 선회체(120)의 좌측 전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120)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을 정한다. 또한, 선회체(120) 중 작업기(13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전부라고 한다. 또한, 선회체(120)에 대하여 전부를 기준으로, 반대측의 부분을 후부, 좌측의 부분을 좌부, 우측의 부분을 우부라고 한다.
(선회체(120)의 구성)
선회체(120)는 엔진(121), 유압 펌프(122), 컨트롤 밸브(123), 선회 모터(124), 및 연료 분사 장치(125)를 구비한다. 엔진(121)은 유압 펌프(122)를 구동하는 원동기다. 엔진(121)은 동력원의 일례이다. 엔진(121)에는 셀 모터(1211)가 설치된다. 엔진(121)은 셀 모터(1211)의 회전에 의해 기동한다.
유압 펌프(122)는 엔진(121)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 펌프이다. 유압 펌프(122)는 컨트롤 밸브(123)를 통하여 각 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각 액추에이터는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버킷 실린더(133C), 주행 모터(112), 및 선회 모터(124)를 포함한다. 컨트롤 밸브(123)는 유압 펌프(12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선회 모터(124)는 컨트롤 밸브(123)를 통하여 유압 펌프(12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고, 선회체(120)를 선회시킨다. 연료 분사 장치(125)는 연료를 엔진(121)에 분사한다.
(작업기(130)의 구성)
작업기(130)는 붐(131), 암(132), 버킷(133),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및 버킷 실린더(133C)를 구비한다.
붐(131)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120)에 붐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암(132)은 붐(131)과 버킷(133)을 연결한다. 암(132)의 기단부는 붐(131)의 선단부에 암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버킷(133)은, 토사 등을 굴삭하기 위한 날과 굴삭한 토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다. 버킷(133)의 기단부는 암(132)의 선단부에 버킷 핀을 통하여 장착된다.
붐 실린더(131C)는 붐(13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다. 붐 실린더(131C)의 기단부는 선회체(120)에 장착된다. 붐 실린더(131C)의 선단부는 붐(131)에 장착된다. 암 실린더(132C)는 암(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다. 암 실린더(132C)의 기단부는 붐(131)에 장착된다. 암 실린더(132C)의 선단부는 암(132)에 장착된다. 버킷 실린더(133C)는 버킷(133)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다. 버킷 실린더(133C)의 기단부는 암(132)에 장착된다. 버킷 실린더(133C)의 선단부는 버킷(133)에 접속되는 링크 부재에 장착된다.
(운전실(140)의 구성)
운전실(140)의 좌면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기 위한 도어(141)가 설치된다. 도어(141)에는, 도어(141)를 잠금하기 위한 록 액추에이터(1411)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1412)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운전실(140)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터리 스위치(14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록 레버(143LL)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운전실(140) 내에는, 운전석(142), 조작 장치(143), 로터리 스위치(144) 및 터치패널(145D)이 설치된다. 로터리 스위치(14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1441)가 회전됨으로써 OFF 포지션(1442), ACC(악세서리) 포지션(1443), IG(이그니션) 포지션(1444), 및 ST(스타트) 포지션(1445)의 4개의 포지션을 취하는 스위치다. 그리고, 로터리 스위치(144)를 ST 포지션(1445)에서 손가락을 떼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기구(機構)에 의해, 자동적으로 IG 포지션(1444)으로 돌아간다. OFF 포지션(1442)에서는, 엔진(121)을 정지시키는 지시가 행해진다. ACC 포지션(1443)에서는, 엔진(121)을 정지시키는 지시가 이루어지고, 또한 소정의 장치는 동작 상태로 하는 지시가 이루어진다. IG 포지션(1444)에서는, 엔진(121)을 동작 상태로 하는 지시가 이루어진다. ST 포지션(1445)에서는, 엔진(121)을 기동시키는 지시가 이루어진다.
본 개시에 있어서 로터리 스위치(144)는 엔진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일례이다. 이그니션 스위치는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 대신에, 키 스위치로서 구성하거나, 푸쉬 스위치로서 구성하거나 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144)는 OFF 포지션(1442), ACC 포지션(1443), IG 포지션(1444), 또는, ST 포지션(1445)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조작 장치(143)는, 오퍼레이터의 수동 조작에 의해 주행체(110), 선회체(120) 및 작업기(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조작 장치(143)는 좌측 조작 레버(143LO), 우측 조작 레버(143RO), 좌측 풋 페달(143LF), 우측 풋 페달(143RF), 좌측 주행 레버(143LT), 우측 주행 레버(143RT), 및 록 레버(143LL)를 구비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는 운전석(142)의 좌측에 설치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는 운전석(142)의 우측에 설치된다.
좌측 조작 레버(143LO)는 선회체(120)의 선회 동작, 및 암(132)의 굴삭/덤프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전방으로 밀면, 암(132)이 덤프 동작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후방으로 밀면, 암(132)이 굴삭 동작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우방향으로 밀면, 선회체(120)가 우선회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좌방향으로 밀면, 선회체(120)가 좌선회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전후 방향으로 민 경우에 선회체(120)가 우선회 또는 좌선회하고, 좌측 조작 레버(143LO)를 좌우 방향으로 민 경우에 암(132)이 굴삭 동작 또는 덤프 동작해도 된다.
우측 조작 레버(143RO)는 버킷(133)의 굴삭/덤프 동작, 및 붐(131)의 인상/인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전방으로 밀면, 붐(131)의 인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후방으로 밀면, 붐(131)의 인상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우방향으로 밀면, 버킷(133)의 덤프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좌방향으로 밀면, 버킷(133)의 굴삭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전후 방향으로 민 경우에, 버킷(133)이 덤프 동작 또는 굴삭 동작하고, 우측 조작 레버(143RO)를 좌우 방향으로 민 경우에 붐(131)이 인상 동작 또는 인하 동작해도 된다.
좌측 풋 페달(143LF)은 운전석(142)의 전방의 바닥면의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 풋 페달(143RF)은 운전석(142)의 전방의 바닥면의 우측에 배치된다. 좌측 주행 레버(143LT)는 좌측 풋 페달(143LF)에 축지지되고, 좌측 주행 레버(143LT)의 경사와 좌측 풋 페달(143LF)의 압하(押下)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우측 주행 레버(143RT)는 우측 풋 페달(143RF)에 축지지되고, 우측 주행 레버(143RT)의 경사와 우측 풋 페달(143RF)의 압하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좌측 풋 페달(143LF) 및 좌측 주행 레버(143LT)는, 주행체(110)의 좌측 트랙슈의 회전 구동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풋 페달(143LF) 또는 좌측 주행 레버(143LT)를 전방으로 밀면, 좌측 트랙슈는 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좌측 풋 페달(143LF) 또는 좌측 주행 레버(143LT)를 후방으로 밀면, 좌측 트랙슈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우측 풋 페달(143RF) 및 우측 주행 레버(143RT)는 주행체(110)의 우측 트랙슈의 회전 구동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풋 페달(143RF) 또는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전방으로 밀면, 우측 트랙슈는 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가 우측 풋 페달(143RF) 또는 우측 주행 레버(143RT)를 후방으로 밀면, 우측 트랙슈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록 레버(143LL)는, 비운전 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뜻하지 않게 작업기(130) 등의 액추에이터가 작동하여 버리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기구다. 록 레버(143LL)는, 운전석(142)의 좌측에 세워 설치된 좌측 콘솔 박스(142LC)의 측면을 따라, 잠금 위치와 비잠금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의 상태, 쇄선으로 나타내는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의 상태이다. 록 레버(143LL)를 잠금 위치로 함으로써, 컨트롤 밸브(123)에 의한 작동유의 제어가 정지한다. 또한, 록 레버(143LL)를 잠금 위치로 함으로써, 록 레버(143LL)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인 상태는, 작업기(130)가 잠금 상태의 일례이다. 또한,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인 상태는, 작업기(130)가 비잠금 상태의 일례이다.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록 레버(143LL)는, 운전석(142)의 좌측 콘솔 박스의 측면 측에 가려지는 위치, 즉 도어(141)와 운전석(142) 사이의 통로로부터 퇴피한 위치까지 회동(回動)하여 잠긴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도어(141)와 운전석(142) 사이를 왕래할 수 있다. 한편,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록 레버(143LL)는, 운전석(142)과 도어(141) 사이의 통로 부분을 막도록, 전방으로 경도(傾倒)한 위치까지 회동하여 잠긴다. 이로써,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운전석(142)으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면, 록 레버(143LL)가 방해가 되어 승강할 수 없으므로, 작업기(130) 등의 액추에이터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운전실(140)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록 레버(143LL)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어 컨트롤러(205)에 의해 감시된다.
(카메라의 구성예)
선회체(120)에는, 작업 기계(100)의 주위를 촬상(撮像)하는 복수의 카메라(1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회체(120)에는, 선회체(120)의 주위 중 전방 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 좌측방 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 후방 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 및 우측방 영역을 촬상하는 카메라의 4대의 카메라(126)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145)의 구성)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선은 전력선을 표시하고, 파선은 신호선을 표시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1점쇄선은 무선통신을 나타낸다.
제어 시스템(145)은 전원부(201),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를 구비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는, 서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나 이더넷(등록상표) 등의 차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다. 전원부(201)는 제어 시스템(145)을 구성하는 각 기기(機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도어 스위치(1412), 로터리 스위치(144), 오퍼레이터 단말기(300) 및 모니터 컨트롤러(204)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받는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록 액추에이터(1411) 또는 셀 모터(1211)에 기동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기동 신호가 입력된 컨트롤러는, 전원부(201)가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기동하고, 동작한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제어 컨트롤러(205)를 기동하는 기동부의 일례이다. 그리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다른 컨트롤러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도, 항상 전원부(201)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고 있다. 한편,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작업 기계(100)가 기동하고 있지 않을 때는, 오퍼레이터 단말기(300)와의 통신부만이 기동 상태로 되고, 다른 구성이 휴지 상태에 있어도 되고, 간헐적으로 기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통하여,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에 대하여, EDS 신호, ACCON 신호 및 IGON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EDS(엔진 딜레이드 셧다운(engine delayed shutdown)) 신호는 지연 정지 제어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연 정지 제어란, 작업 기계(100)의 엔진(121)의 정지를 지시하는 정지 지시가 있었을 경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엔진(121)의 정지를 늦추고 나서 엔진(121)을 정지시키는 제어이다. 또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예를 들면 지연 정지 제어를 개시할지의 여부의 판단,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할지의 여부의 판단, 지연 정지 제어를 종료할지의 여부의 판단 등을 행한다. EDS 신호가 온인 경우, 지연 정지 제어가 실행 중인 것을 나타내고, 오프인 경우, 지연 정지 제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소정의 조건은 엔진(121)을 정지할지의 여부의 판단 조건이고,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엔진(121)이 정지되고,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121)이 지연 정지 제어 하에서 운전이 계속된다.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면, 요소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에서의 요소수용 인젝터의 온도 등의 배기계의 온도나 엔진 관련의 온도 등이, 소정의 온도 임계값 이하인 것, 엔진(121)을 예를 들면 저속의 아이들링 상태에서 운전한 상태에서의 계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 임계값 이상인 것 등이다. ACCON(액세서리 온) 신호는, 로터리 스위치(144)가 OFF 포지션(1442) 이외의 포지션인 경우에 온하고, OFF 포지션(1442)인 경우에 오프로 된다. IGON(이그니션 온) 신호는 IG 포지션(1444) 또는 ST 포지션(1445)에서 온하고, 예를 들면 OFF 포지션(1442) 또는 ACC 포지션(1443)에서 오프로 된다.
또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를 통하여,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등으로부터,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인지 비잠금 위치인지를 나타내는 신호, 지연 정지 제어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을 판단할 때 사용하는 온도 등을 나타내는 신호, 혹은 그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 등을 입력한다.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등의 컨트롤러끼리의 통신을 중계한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제어 시스템(145)이 구비하는 터치패널(145D)에 의한 표시를 제어하고, 터치패널(145D)의 터치 조작의 발생을 통지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이 아니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지 않는 모니터 및 물리 버튼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모니터에 의한 표시를 제어하고, 물리 버튼의 압하를 통지한다.
제어 컨트롤러(205)는, 작업기(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기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취득하고, 조작 장치(143)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 컨트롤러(205)는 붐 실린더(131C), 암 실린더(132C), 버킷 실린더(133C), 주행 모터(112), 선회 모터(124)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 컨트롤러(205)는, 동력원이 공급하는 동력에 의해 작업 기계(100)의 차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차체 제어부의 일례이다.
엔진 컨트롤러(206)는, 엔진(121)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취득하고, 연료 분사 장치(125)에 연료 분사량을 지시함으로써, 엔진(121)을 제어한다.
그리고,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 등은, 스타터 신호 유닛(202)으로부터 EDS 신호, ACCON 신호 및 IGON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EDS 신호, ACCON 신호, IGON 신호 등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처리를 실행한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예를 들면 IGON 신호가 온 또는 ACCON 신호가 온인 경우, 터치패널(145D)의 화면 표시를 행한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예를 들면 IGON 신호가 오프이고 또한 ACCON 신호가 오프인 경우, 터치패널(145D)의 화면 표시를 소등한다. 제어 컨트롤러(205)는, 예를 들면 EDS 신호가 온인 경우, 작업기(130)의 구동을 정지한다. 엔진 컨트롤러(206)는, 예를 들면 EDS 신호가 온인 경우, 엔진(121)을 저속의 아이들링 상태에서 운전한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206)는, IGON 신호가 오프인 경우, 엔진(121)을 정지시킨다.
제어 시스템(145)은 터치패널(145D)의 조작에 의해, 운전실(14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의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145)은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가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시스템(145)은, 모니터 컨트롤러(204)를 통하여 터치패널(145D)에 오퍼레이터 ID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 ID의 선택을 접수한다. 제어 시스템(145)은, 선택된 오퍼레이터 ID가 작업 기계(100)에 근접하고 있는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운전실(14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조작 권한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라고 인증한다. 모니터 컨트롤러(204)는 작업 기계(100)의 오퍼레이터를 인증하는 인증부의 일례이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미리 인스톨된 작업 기계(100)의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퍼리퍼럴(peripheral)로서 기능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작업 기계(100)의 일람을 표시시키고, 오퍼레이터로부터 기동 대상의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한다. 오퍼레이터 단말기(300)는 작업 기계(100)의 선택을 접수하면,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 ID와 선택된 작업 기계(100)의 기계 ID를 포함하는 광고 패킷의 송신을 개시한다.
(제어 시스템(145)의 동작)
다음으로, 도 6∼도 11을 참조하여, 제어 시스템(145)이 행하는 지연 정지 제어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터치패널(145D)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처리는, 엔진(121)의 기동 후에 개시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처리의 개시 시에는, IGON 신호는 온이며, 로터리 스위치(144)는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145D)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지연 정지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표시인 통상 표시 화면(145D1)을 표시하고 있다. 통상 표시 화면(145D1)은, 4대의 카메라(126)의 촬영화상과 작업 기계(100)의 컴퓨터 그래픽스 화상 등에 기초하는 부감(俯瞰) 화상(145DA11), 4대의 카메라(126) 중 1대의 카메라(126)의 촬영 화상(145DA12), 작업 기계(100)에서의 소정의 센서 정보, 조작 버튼을 표시하는 아이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제어 시스템(145) 중 스타터 신호 유닛(202)이, 각 스텝의 처리를 주체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각 스텝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 대신에,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및 엔진 컨트롤러(206) 등이 주체적으로 실행해도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로터리 스위치(144)를 「R-SW」로 약기하고 있다. 또한, 지연 정지 제어를 「EDS」로 약기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처리가 개시되면,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먼저,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1443) 또는 OFF 포지션(144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 ACC 포지션(1443)이 아니고, 또한, OFF 포지션(1442)이 아닌 경우(스텝 S11: NO),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소정의 주기로 반복 스텝 S11의 판단을 실행한다.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1443), 또는, OFF 포지션(1442)인 경우(스텝 S11: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EDS 작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란, 지연 정지 제어를 개시할지의 여부의 판단 조건이다.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지연 정지 제어를 개시하고, 지연 정지 제어 하에서 엔진(121)을 정지시킨다.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지연 정지 제어를 행하지 않고 엔진(121)을 정지시킨다.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은, 예를 들면 배기계 등에서의 소정의 하나 또는 복수 개소의 온도가 소정의 각 온도 임계값 이상인 것이다. 소정의 온도 임계값은, 예를 들면 그 온도 임계값 이상의 상태에서 엔진(121)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다는 온도의 값이다.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스텝 S12: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EDS 신호를 온으로 설정하고(스텝 S13),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취지의 표시인, 지연 정지 제어 작동 중 표시를 터치패널(145D)로 한다(스텝 S14). 도 8은, 지연 정지 제어 작동 중 표시에서의 표시 화면(145D2)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화면(145D2)은 부감 화상(145DA11)과,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취지의 표시의 표시 영역(145DA2)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145DA2)은, 「엔진 딜레이드 셧다운 작동 중」이라는 문자열에 의해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취지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EDS 종료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란, 엔진(121)을 정지하여 지연 정지 제어를 종료할지의 여부의 판단 조건이다.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엔진(121)을 정지시켜 지연 정지 제어를 종료한다.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은, 예를 들면 배기계 등에서의 소정의 하나 또는 복수 개소의 온도가 소정의 각 온도 임계값 미만인 것이다. 소정의 온도 임계값은, 예를 들면 그 온도 임계값 미만의 상태에서는 엔진(121)을 적절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는 온도의 값이다. 혹은,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은, 예를 들면 지연 정지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한 것이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온도가 저하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이다.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스텝 S15: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EDS 신호를 오프로 설정하고(스텝 S16), 지연 정지 제어가 종료된 취지의 표시인,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를 터치패널(145D)로 한다(스텝 S17). 도 9는,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에서의 표시 화면(145D3)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화면(145D3)은 부감 화상(145DA11)과, 지연 정지 제어가 종료된 취지의 표시의 표시 영역(145DA3)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145DA3)은, 「엔진 딜레이드 셧다운이 종료되었습니다.」 라는 문자열에 의해 지연 정지 제어가 종료된 취지를 표시하고 있다.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한 경우(스텝 S17), 또는,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았을 경우(스텝 S12: NO), IGON 신호를 오프로 설정한다(스텝 S18). IGON 신호가 오프로 된 경우, 엔진 컨트롤러(206)는 엔진(121)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1443)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9).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1443)인 경우(스텝 S19: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스텝 S17에서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를 행한 경우, 스텝 S17에서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를 행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로부터, 터치패널(145D)에서 통상 표시 화면(145D1)을 표시한다(스텝 S20).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1443)인 경우(스텝 S19: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계속해서, 터치패널(145D)에서 통상 표시 화면(145D1)을 표시한다(스텝 S20).
한편, 로터리 스위치(144)가 ACC 포지션(1443)이 아닌 경우(스텝 S19: NO),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가 OFF 포지션(144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 로터리 스위치(144)가 OFF 포지션(1442)이었을 경우(스텝 S21: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스텝 S17)에서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를 행한 경우,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를 행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터치패널(145D)의 표시를 소등하고(스텝 S22), 도 6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스 텝 S12에서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터치패널(145D)의 표시를 소등하고(스텝 S22), 도 6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144)가 OFF 포지션(1442)이 아닌 경우(스텝 S21: NO),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의 포지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시스템(145)이 로터리 스위치(144)의 포지션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 S15에 있어서,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았을 경우(스텝 S15: NO),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로터리 스위치(144)가 IG 포지션(1444)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로터리 스위치(144)가 IG 포지션(1444)이 아닌 경우(스텝 S23: NO),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소정의 시간 후에 다시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EDS 종료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
로터리 스위치(144)가 IG 포지션(1444)이었을 경우(스텝 S23: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4).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인 경우(스텝 S24: YES),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EDS 신호를 오프로 설정하고(스텝 S25),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을 접수한 취지의 표시인, 캔슬 접수 표시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한다(스텝 S26). 도 10은, 캔슬 접수 표시에서의 표시 화면(145D4)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화면(145D4)은 부감 화상(145DA11)과, 지연 정지 제어를 캔슬한 취지의 표시의 표시 영역(145DA4)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145DA4)은, 「엔진 딜레이드 셧다운은 캔슬되었습니다.」 라는 문자열에 의해 지연 정지 제어가 캔슬된 취지를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스텝 S26에서 캔슬 접수 표시를 행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부터, 터치패널(145D)에서 통상 표시 화면(145D1)을 표시한다(스텝 S27). 다음으로,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다시 스텝 S11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가 아니었을 경우(스텝 S24: NO),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을 거부하는 취지의 표시인, 캔슬 거부 표시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한다(스텝 S28). 도 11은, 캔슬 접수 표시에서의 표시 화면(145D5)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화면(145D5)은, 부감 화상(145DA11)과,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을 거부한 취지의 표시의 표시 영역(145DA5)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145DA5)은, 「엔진 딜레이드 셧다운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록 레버를 잠금의 위치로 하고 나서 키 포지션을 IG-ON으로 하여 주십시오.」 라는 문자열에 의해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이 거부된 취지와, 록 레버(143LL)를 잠금 위치로 하도록 촉진하는 취지를 표시하고, 또한 로터리 스위치(144)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
캔슬 거부 표시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한 후(스텝 S28), 스타터 신호 유닛(202)은, 소정의 시간 후에 다시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EDS 종료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
이상의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엔진(121)이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OFF 포지션(1442)으로 조작한 경우, 제어 시스템(145)은,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스텝 S12: NO), 엔진(121)을 정지하고(스텝 S18), 터치패널(145D)을 소등한다(스텝 S22).
또한, 예를 들면, 엔진(121)이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OFF 포지션(1442)으로 조작한 경우, 제어 시스템(145)은, 지연 정지 제어의 작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스텝 S12: YES), 지연 정지 제어 작동 중 표시(도 8)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하고(스텝 S14),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한 곳에서(스텝 S15: YES), 지연 정지 제어 종료 통지 표시(도 9)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하고(스텝 S17), 엔진(121)을 정지하고(스텝 S18), 터치패널(145D)을 소등한다(스텝 S22).
그리고,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하기 전에(스텝 S15: NO),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한 경우(스텝 S23: YES), 제어 시스템(145)은,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YES),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고(스텝 S25), 캔슬 접수 표시(도 10)를 터치패널(145D)에서 행하고(스텝 S26), 또한 통상 표시(도 7)를 행한다(스텝 S27).
한편, 지연 정지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하기 전에(스텝 S15: NO), 오퍼레이터가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한 경우(스텝 S23: YES), 제어 시스템(145)은,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가 아닌 경우(스텝 S24: NO), 캔슬 거부 표시(도 11)를 행하고(스텝 S28), 지연 정지 제어를 계속한다(스텝 S15 이후).
(작용·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121)의 정지를 늦추고 있는 지연 정지 제어 동안에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함으로써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한 경우에,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시키는 조건으로서,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인 것을 추가의 조건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는 경우에는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로 되므로,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 시에 조작 장치(143)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작업 기계(100)가 동작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처리의 순서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일부의 처리가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터치패널(145D)에 의한 정보의 표시 대신에 혹은 정보의 표시와 함께, 음성이나 통지 신호에 의해 정보를 출력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시키는 지시를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함으로써 행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1444)으로 조작하는 것에 부가하여, 예를 들면, 터치패널(145D)이나 소정의 스위치 등의 소정의 입력 장치에 대한, 터치패널(145D) 상의 소정의 버튼으로의 터치나 소정의 스위치의 압하 조작 등의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시스템(145)은, 제어 시스템(145)을 구성하는 일부의 구성이 작업 기계(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다른 구성이 작업 기계(100)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컴퓨터 구성)
전술한 제어 시스템(145)이 구비하는 각 기기인, 스타터 신호 유닛(202),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203), 모니터 컨트롤러(204), 제어 컨트롤러(205), 엔진 컨트롤러(206) 등은 마이크로 컴퓨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컴퓨터와, 컴퓨터의 주변 회로나 주변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PLD(Progra㎜able Logic Device) 등의 커스텀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PLD의 예로서는, PAL(Progra㎜able Array Logic), GAL(Generic Array Logic), CPLD(Complex Progra㎜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able Gate Array)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기본적 구성예)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본적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정지 시스템(400)은, 도 5에 나타낸 제어 시스템(145)에 대응하는 구성이며, 엔진 정지 제어부(401)와,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402)와, 표시부(403)를 구비한다. 다만, 표시부(403)는 생략해도 된다.
엔진 정지 제어부(401)는, 작업 기계(100)의 엔진(121)의 정지를 지시하는 정지 지시가 있었을 경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엔진(121)의 정지를 늦추고 나서 엔진(121)을 정지시키는 지연 정지 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정지 지시는,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144)를 OFF 포지션(1442) 또는 ACC 포지션(1443)으로 설정하는 입력 조작에 대응한다. 소정의 조건은, 스텝 S15에서 판단되는 지연 정지 제어 종료 조건에 대응한다. 엔진 정지 제어부(401)는 스텝 S11의 판단 처리, 스텝 S15의 판단 처리, 스텝 S18의 처리 등을 행하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에 대응한다.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402)는, 정지 지시를 취소하는 취소 지시가 있었을 경우(스텝 S23: YES), 작업 기계(100)의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YES),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고(스텝 S25),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NO), 지연 정지 제어를 계속한다. 여기에서, 취소 지시는,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144)를 OFF 포지션(1442) 또는 ACC 포지션(1443)으로부터, IG 포지션(1444)으로 전환하는 입력 조작에 대응한다.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402)는 스텝 S23의 판단 처리, 스텝 S24의 판단 처리, 스텝 S25의 처리 등을 행하는 스타터 신호 유닛(202)에 대응한다.
그리고,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402)는, 취소 지시가 있었을 경우(스텝 S23: YES),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였을 때(스텝 S24: NO), 그 후, 다시 취소 지시가 있었을 때(스텝 S23: YES),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로 된 경우(스텝 S24: YES),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403)는, 취소 지시가 있었을 경우(스텝 S23: YES),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YES)와 비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NO)에 표시 내용을, 캔슬 접수 표시(스텝 S26) 또는 캔슬 거부 표시(스텝 S28)로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403)는, 취소 지시가 있었을 경우(스텝 S23: YES),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NO), 록 레버(143LL)를 잠금 위치로 하도록 촉진하는 표시(도 11)를 행하도록(스텝 S28) 해도 된다.
또한, 표시부(403)는, 취소 지시가 있었을 경우(스텝 S23: YES),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일 때(스텝 S24: YES),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는 취지의 표시(도 10)를 행하도록(스텝 S26) 해도 된다.
그리고, 취소 지시는, 예를 들면 엔진(121)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켜는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스위치를 켜는 조작은 로터리 스위치(144)를 IG 포지션(1444)으로 하는 조작에 대응한다.
혹은, 취소 지시는, 엔진(121)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켜는 조작 또한 소정의 입력 장치에 대한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에서, 소정의 입력 장치에 대한 소정의 입력 조작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나타낸, 터치패널(145D)나 소정의 스위치 등의 소정의 입력 장치에 대한, 터치패널(145D) 상의 소정의 버튼으로의 터치나 소정의 스위치의 압하 조작 등의 소정의 입력 조작에 대응한다.
도 12에 나타낸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시스템(400)에 의하면, 엔진의 정지를 늦추고 있는 제어 동안에 그 제어를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지 시스템(400)은, 작업 기계(100)를 위한 「표시 시스템」으로서도 기능한다.
즉, 작업 기계(100)를 위한 표시 시스템은,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40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화상이란, 예를 들면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업 기계(100)의 주위를 상면에서 본 부감 화상(145DA11)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화상은, 오퍼레이터가 작업 기계(100)의 주위에 존재하는 작업자나 장애물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태양의 것이라도 된다.
또한,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란, 예를 들면 도 8∼도 11의 각각에 나타내는 표시 영역(145DA2∼145DA5)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안전 상황을 확인하면서,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3)는,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8의 표시 영역(145DA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상황과 함께,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시스템은,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전술한 취소 지시)의 접수에 기초하여,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을 행하는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402)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표시부(403)는,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11의 표시 영역(145DA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를 위한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상황과 함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를 캔슬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3)는,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10의 표시 영역(145DA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를 캔슬한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상황과 함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가 취소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란, 록 레버를 잠금의 위치로 한 후 키 포지션을 IG-ON에 넣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작업 기계(100)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모니터(터치패널(145D))로의 조작에 기초하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가 모니터에 표시된 전용의 버튼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함으로써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를 접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모니터에 표시된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오퍼레이터는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조작을 행할 때까지 주위의 화상으로부터 눈을 떼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지 시스템(400)의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402)는, 엔진의 정지 지시를 취소하는 취소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작업 기계(100)의 록 레버(143LL)가 잠금 위치일 때,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고, 록 레버(143LL)가 비잠금 위치일 때, 지연 정지 제어를 계속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지 시스템(400)은, 취소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 록 레버(143LL)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지연 정지 제어를 중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정지 시스템(400)(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기계(100)의 주위의 안전 상황을 화상으로부터 확인하면서,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변형예에 관한 표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즉, 표시 시스템은, 작업 기계(100)의 주변의 화상에 대한 화상 해석으로부터 장애물 등의 존재를 검지하고, 장애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를 접수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화상 해석에는, 예를 들면 뉴럴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기지(旣知)의 학습완료 모델 등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태양에 의하면, 엔진의 정지를 늦추고 있는 제어 동안에 그 제어를 중지시킬 수 있다.
100: 작업 기계, 110: 주행체, 120: 선회체, 130: 작업기, 140: 운전실, 141: 도어, 1411: 록 액추에이터, 1412: 도어 스위치, 144: 로터리 스위치, 145: 제어 시스템, 145D: 터치패널, 201: 전원부, 202: 스타터 신호 유닛, 203: 게이트웨이 기능 컨트롤러, 204: 모니터 컨트롤러, 205: 제어 컨트롤러, 206: 엔진 컨트롤러, 300: 오퍼레이터 단말기, 143LL: 록 레버, 400: 정지 시스템, 401: 엔진 정지 제어부, 402: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 403: 표시부

Claims (14)

  1.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취지의 표시를 행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을 행하는 엔진 정지 제어 중지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를 위한 표시를 행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를 캔슬한 취지의 표시를 행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는, 모니터로의 조작에 기초하는 것인,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은, 작업 기계의 주위를 상면에서 본 부감(俯瞰) 화상인,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8.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에 관한 기능의 표시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가 작동 중인 취지의 표시를 행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캔슬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를 위한 표시를 행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를 캔슬한 취지의 표시를 행하는,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엔진의 지연 정지 제어의 중지의 접수는, 모니터로의 조작에 기초하는 것인,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의 주위의 화상은, 작업 기계의 주위를 상면에서 본 부감 화상인,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KR1020247007222A 2021-09-30 2022-09-26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KR20240038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1088 2021-09-30
JP2021161088A JP2023050799A (ja) 2021-09-30 2021-09-30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方法
PCT/JP2022/035649 WO2023054245A1 (ja) 2021-09-30 2022-09-26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093A true KR20240038093A (ko) 2024-03-22

Family

ID=8578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222A KR20240038093A (ko) 2021-09-30 2022-09-26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50799A (ko)
KR (1) KR20240038093A (ko)
WO (1) WO20230542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490A (ko) 2013-12-26 2015-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1172A (ja) * 1997-09-26 1999-04-13 Yamaha Motor Co Ltd 船舶の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2014206053A (ja) * 2013-04-10 2014-10-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6505356B2 (ja) * 2013-07-17 2019-04-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9404464B2 (en) * 2013-09-18 2016-08-02 Deere & Company Controlled engine shutdown method and engine shutdown prediction for exhaust system durability
CN104040133B (zh) * 2014-01-14 2015-12-3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WO2019172424A1 (ja) * 2018-03-08 2019-09-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作業機械、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3779072B1 (en) * 2018-03-30 2023-08-0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WO2020204007A1 (ja) * 2019-03-30 2020-10-08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及び施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490A (ko) 2013-12-26 2015-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245A1 (ja) 2023-04-06
JP2023050799A (ja)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673B1 (ko) 작업 차량
EP3581715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944232B1 (ko) 작업 기계
CN109644250A (zh)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系统
KR20240038093A (ko)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시스템 및 작업 기계를 위한 표시 방법
KR20240038801A (ko)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방법
CN118019891A (en) Display system for work machine and display method for work machine
US20240125090A1 (en) Work machine start-up system and work machine start-up method
US11952750B2 (en) Work machine
WO2022209873A1 (ja)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起動方法
KR20240040814A (ko) 작업 기계의 기동 시스템, 작업 기계의 기동 방법 및 작업 기계
JP7441699B2 (ja) 作業機械
WO2023054432A1 (ja) 作業機械の起動システム、作業機械の起動方法および作業機械
WO2022209897A1 (ja)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US20240133160A1 (en) Activation system of work machine and activation method of work machine
CN118020287A (en) Work machine starting system, work machine starting method, and work machine
CN118020286A (en) Work machine starting system, work machine starting method, and work machine
JP2001182091A (ja) 自動運転ショベルおよびショベルの自動運転方法
CN117916430A (zh) 作业机械的起动系统以及作业机械的起动方法
CN117098898A (zh) 挖土机
KR20220014632A (ko) 건설 기계의 구동 방법
JP2019143442A (ja) 作業機及び作業機の表示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