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70A -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7070A KR20240037070A KR1020220115879A KR20220115879A KR20240037070A KR 20240037070 A KR20240037070 A KR 20240037070A KR 1020220115879 A KR1020220115879 A KR 1020220115879A KR 20220115879 A KR20220115879 A KR 20220115879A KR 20240037070 A KR20240037070 A KR 202400370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manufacturing
- cookware
- thermal conductivity
- aluminum allo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385 Diospyros ebe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792913 Ebe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63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3 anodi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8 film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01 film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하부용기, 상부용기 및 중심부용기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하부용기, 중심부용기 및 상부용기, 즉 3중 구조의 조리기구를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한번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 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기구는 손잡이와 조리기구몸체를 리벳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한번에 결합시킬 수 있어 외관이 깔끔하고 튼튼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기구는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된 중심부용기로 인해 조리기구 상부에 열을 빨리 전달함에 따라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재료 전체가 골고루 조리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 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기구는 손잡이와 조리기구몸체를 리벳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한번에 결합시킬 수 있어 외관이 깔끔하고 튼튼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기구는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된 중심부용기로 인해 조리기구 상부에 열을 빨리 전달함에 따라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재료 전체가 골고루 조리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내부공간에 구성되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과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에 구비되는 중심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용기, 상부용기 및 중심부용기를 압착공정 만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하부용기, 상부용기 및 중심부용기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구는 음식을 끓이고 튀기고 삶고 볶을 때 쓰는 기구로 찌개, 국, 찜, 튀김, 볶음 등의 조리를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조리기구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윗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비한 조리기구 본체 및 조리기구 본체의 수납공간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기구 뚜껑으로 구성되는데, 사용법에 따라 끓이기 위한 것, 밥을 짓기 위한 것, 찜을 위한 것, 볶음을 위한 것 등이 있고, 재질은 알루미늄, 철, 구리, 스테인리스 및 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것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는 각종 음식재료나 물을 조리기구 본체에 담고 조리기구 뚜껑을 덮은 상태로 조리용 가열장치(일예로 가스렌지 및 인덕션 등)에 얹어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음식재료를 조리하는데, 이때 조리기구의 바닥에 집중적으로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바닥 부근에 있는 음식재료는 타는데도 불구하고 상부쪽의 음식재료는 익지도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등록특허 10-2136334호는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요리를 할 수 있는 요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조합하여 요리를 하는 요리기구에 있어서, 복합 소재로 구성되며, 요리재료 및 요리 방법에 따라 열원의 열전달율이 다르게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요리 재료가 투입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등록특허 10-2136334호는 조리기구의 바닥면만 다중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면의 음식재료는 골고루 익힐 수 있더라도 조리기구의 상부쪽에 담겨있는 음식재료는 열이 골고루 전달되지 않아 덜 익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 조리기구몸체를 상부용기, 중심부용기 및 하부용기의 3중 구조로 구성하되, 상부용기, 중심부용기 및 하부용기를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을 이용하여 한번에 결합시켜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된 중심부용기를 통해 조리기구 전체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기구에 담겨있는 음식재료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내부공간에 구성되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과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에 구비되는 중심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하부용기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외측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의 내측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은, 알루미늄 용융 합금을 주입하여 하부용기, 상부용기 및 중심부용기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부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와 한 쌍이 상기 파지부의 연장부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파지부와 하부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용기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용기의 내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중심부용기는 0.01 내지 1mm의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중심부용기는 측면 및 바닥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중심부용기는 측면의 상부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90도 꺾이도록 구성되되, 측면의 상부 끝단이 뚜껑의 하부 내면에 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용기(10)를 제조하는 하부용기제조단계(S10);상기 하부용기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하부용기(10)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는 손잡이부(60)를 스팟 용접으로 부착하여 제1용기(70)를 제조하는 손잡이부착단계(S20);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상부용기(20)를 제조하는 상부용기제조단계(S30);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중심부용기(40)를 제조하는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 손잡이부착단계(S20)에서 제조된 제1용기(70)의 내부에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중심부용기(40)를 부착하여 제2용기(80)를 제조하는 제1부착단계(S50); 상기 제1부착단계(S50) 이후, 상기 제1부착단계(S50)에서 제조된 제2용기(80)는 하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용기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상부용기(20)는 상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는 프레스안착단계(S60);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 이후, 상기 제2용기(80) 내부에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주입단계(S70); 상기 주입단계(S70) 이후,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된 제2용기(80)의 상부에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의 상부용기(20)를 압착 프레스지그를 이용하여 조리기구몸체(100)를 제조하는 결합단계(S80); 상기 결합단계(S80) 이후, 결합된 조리기구몸체(100)의 상부 끝단을 용접하는 용접단계(S90); 상기 용접단계(S90) 이후, 거친부분을 다듬는 사상작업단계(S100); 및 상기 사상작업단계(S100) 이후,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뚜껑(50)을 제조하는 뚜껑제조단계(S1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단계(S80)는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두께(H1) 및 측면두께(H2)가 서로 다른 두께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내부공간에 구성되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과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에 구비되는 중심부용기와 상기 상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하부용기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외측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의 내측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하부용기, 상부용기 및 중심부용기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하부용기, 중심부용기 및 상부용기, 즉 3중 구조의 조리기구몸체를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한번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 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기구는 손잡이와 조리기구몸체를 리벳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한번에 결합시킬 수 있어 외관이 깔끔하고 튼튼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기구는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된 중심부용기로 인해 조리기구 상부에 열을 빨리 전달함에 따라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재료 전체가 골고루 조리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측면도(a) 및 A-A' 단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부용기를 나타낸 측면도(a) 및 B-B' 단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부용기를 나타낸 측면도(a) 및 C-C'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중심부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부착단계(S50)를 나타낸 공정도(a) 및 제1부착단계(S50) 공정으로 제조된 제2용기(80)를 나타낸 측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안착단계(S60) 및 주입단계(S70)를 나타낸 부분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조리기구몸체(100)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측면도(a) 및 A-A' 단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부용기를 나타낸 측면도(a) 및 B-B' 단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부용기를 나타낸 측면도(a) 및 C-C'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중심부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부착단계(S50)를 나타낸 공정도(a) 및 제1부착단계(S50) 공정으로 제조된 제2용기(80)를 나타낸 측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안착단계(S60) 및 주입단계(S70)를 나타낸 부분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조리기구몸체(100)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부용기(10); 상기 하부용기(10)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20); 상기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내부공간(1)에 구성되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에 구비되는 중심부용기(40); 상기 상부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뚜껑(50); 및 상기 하부용기(10)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외측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10)의 내측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중심부용기(4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도면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하부용기(10)는,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일예로, SUS 430)으로 구성되어 방수, 강도, 내열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값이 저렴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용기(10)는 0.05 내지 1 mm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5 mm 미만의 두께로 구성될 경우, 강도가 저하되어 장시간 사용하기 어렵고, 1 mm를 초과하는 두께로 구성될 경우, 내용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열해야 되는 시간, 즉,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10)는 0.05 내지 1 mm의 두께로 구성됨에 따라 하부용기(10)의 외면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로고, 글씨 및 문양 등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각인할 수 있어 사용 중에 로고, 글씨 및 문양(일예로, 다이아몬드, 원형, 사각 및 삼각 등)이 지워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심미감을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부용기(20)는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기(10)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일예로, SUS 316)으로 구성되어 부식에 강하고, 내식성, 내산성이 양호하고 고온 강도가 좋고, 조리기구몸체(100)가 제조된 이후, 개방된 상부면에 내용물(음식재료)이 수용되어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용기(20)는 0.05 내지 1 mm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5 mm 미만의 두께로 구성될 경우, 내식성, 내산성 및 강도 등이 저하될 수 있고, 1 mm를 초과하는 두께로 구성될 경우, 내용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열되는 시간, 즉,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20)는 0.05 내지 1mm의 두께로 구성됨에 따라 상부용기(20)의 내면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로고, 글씨 및 문양 등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각인할 수 있어 사용 중에 로고, 글씨 및 로고, 글씨 및 문양(일예로, 다이아몬드, 원형, 사각 및 삼각 등)이 지워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심미감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20)는 하부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하부용기(10)의 상부 끝단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걸림턱(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용기(20)가 하부용기(10)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용기(20)와 하부용기(10) 사이에 내부공간(11)이 생기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11)은 하기에 설명될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되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내부공간(11)에 채워지는 것으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를 융착 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은 상기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내부공간(11)에 열전도율이 좋고 주조성이 우수한 A1000 계열의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충전시켜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이후에 설명될 중심부용기(40)를 일체로 융착시켜 외부충격 등에 의해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중심부용기(40)가 서로 분리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뚜껑(50)은,
도면 1 내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용기(20)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후 조리할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조리기구(1000) 내부에서 대류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여 내용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뚜껑(5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열전도가 빠르게 될 수 있고, 표면에 은색 경질아노다이징(hard anodizing), 즉, 뚜껑 표면에 경질 피막코팅을 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뚜껑(50)은 30 내지 100 um의 두께로 피막코팅하는 것 이 바람직한데, 30 um 미만의 두께로 코팅할 경우, 열전도율이 저하될 수 있고, 100 um를 초과하는 두께로 코팅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50)은 상부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뚜껑손잡이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손잡이부(51)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뚜껑파지부(51b)와 한 쌍이 상기 뚜껑파지부(51b)의 연장부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뚜껑파지부(51b)와 뚜껑(50) 사이를 연결하는 뚜껑연결부(5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파지부(51b)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일예로, 흑단)로 구성됨에 따라 조리 중 또는 조리 후, 뚜껑(50)을 옮길 경우, 별도의 도구없이 잡을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연결부(51a)와 뚜껑파지부(51b)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중심부용기(40)는,
도면 2 내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은(Ag) 또는 구리(Cu)로 구성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살균, 향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고 있고, 열전도율이 높아 상기 하부용기(10) 및 상부용기(20)의 상부 내측으로 열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심부용기(40)는 0.005 내지 2mm의 두께를 가지는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5mm 미만의 두께로 구성될 경우,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도중에 중심부용기(40)의 모양이 변화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2mm를 초과하는 두께로 구성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mm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제조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열전도율은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좋다.
또한, 상기 중심부용기(40)는 측면(41) 및 바닥면(4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통공(43)을 구비하되, 상기 통공(43)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하부용기(10)와 중심부용기(40) 사이의 공간 및 중심부용기(4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공간, 즉, 내부공간(11)이 채워질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통공(43)은 0.5 내지 1 cm의 지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5 cm 미만의 지름으로 구성될 경우,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골고루 퍼지지 않아 사용도중에 하부용기(10), 중심부용기(40) 및 상부용기(20)가 분리될 수 있고, 1 cm를 초과하는 지름으로 구성될 경우, 중심부용기(4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중심부용기(40-2)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41)의 상부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90도 꺾여, 측면(41)의 상부 끝단이 뚜껑(60)의 상부 내면에 닿도록 함으로써, 뚜껑(50)에 맞닿는 면적이 넓도록 구성되어 내용물의 조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심부용기(40)는 중심부용기(40)의 측면(41)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90도 구부러져 상부용기(10)의 측면(11)과 맞닿는 동시에 뚜껑(50)의 상부 내면에 닿도록 구성되어 하부용기(1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뚜껑(50)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조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손잡이(60)는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기(10)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외측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10)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연결부(62)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하부용기(10)와 부분(스팟) 용접 및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튼튼하고, 리벳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게 제조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60)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61)와 한 쌍이 상기 파지부(61)의 연장부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파지부(61)와 하부용기(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61)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일예로, 흑단)로 구성됨에 따라 조리 중 또는 조리 후 조리기구(1000)를 옮길 경우, 별도의 도구없이 잡을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하부용기(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용기(10)의 내면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이 용융 알루미늄 합금으로 채워지는 동시에 제2유로(62a)도 채워지게 되어 하부용기(10)와 연결부(62)를 일체로 융착시켜 외부충격 등에 의해 하부용기(10)와 손잡이(6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손잡이부(60-2)는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유로(61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지부(61)와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유로(61a)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60-2)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이 채워질 때, 상기 제2유로(62a)를 통해 제1유로(61a)로 이동하여 채워지게 되므로 하부용기(10)와 연결부(62) 및 파지부(61)가 일체로 융착 되게 되어 외부충격 등에 하부용기(10)와 손잡이(60-2)가 분리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60-2)부는 주입된 용융 알루미늄 합금 중 넘치는 양이 오버플로우홀(62b)을 통해 자연스럽게 흘러나가게 되고,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식은 이후, 칼을 이용하여 흘러나온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칼, 그라인더 등과 같은 도구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면 7 내지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하부용기제조단계(S1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용기(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용기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되는 하부용기(10)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일예로, SUS 430)으로 구성되어 방수, 강도, 내열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비용이 저렴하여 가정용 식기, 식기세척기, 세탁기 드럼, 싱크대 선반 또는 실내용 판넬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연결부부착단계(S20)는,
상기 하부용기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하부용기(10)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는 한 쌍의 연결부(62)를 스팟 용접으로 부착하여 제1용기(7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착단계(S20)에서 손잡이부(60)는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10)의 내측면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후,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면, 상기 제2유로(62a)를 통해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됨에 따라 하부용기(10)와의 결합력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착단계(S20)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주조방식으로 인해 하부용기(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튼튼하고, 리벳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하부용기(10)와 연결되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용기제조단계(S3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상부용기(2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용기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상부용기(20)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일예로, SUS 316)으로 구성되어 부식에 강하고, 내식성, 내산성이 양호하고 고온 강도가 좋아 수도배관, 화학설비 및 해안지역의 시설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중심부용기(4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은(Ag)박판 또는 구리(Cu)박판으로 구성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살균, 향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고 있고, 열전도율이 높아 상기 하부용기(10) 및 상부용기(20)에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되는 중심부용기(40)는 0.1 내지 0.5mm의 두께를 가지는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mm 미만의 두께로 구성될 경우, 이후, 주입단계(S70)에서 중심부용기(40)의 모양이 변화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0.5mm를 초과하는 두께로 구성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는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측면(41) 및 바닥면(42)에 복수 개의 통공(43)을 제조하는 통공제조단계(S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제조단계(S41)에서는 0.5 내지 1 cm의 지름을 가지는 통공(43)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5cm 미만의 크기로 통공(43)이 제조될 경우, 이후 주입단계(S70)에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할 때,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내부공간(1) 및 하부용기(10)의 내면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손잡이부(60)의 제2유로(62a)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골고루 퍼지지 않아 하부용기(10), 중심부용기(40) 및 상부용기(20)의 결합력이 저하되거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cm를 초과하는 크기로 통공(43)이 제조될 경우, 은(Ag)으로 구성된 중심부용기(4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부착단계(S50)는,
도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 이후, 상기 손잡이부착단계(S20)에서 제조된 제1용기(70)의 내부에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중심부용기(40)를 부착하여 제2용기(8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부착단계(S50)는 제1용기(70)의 상부에 중심부용기(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중심부용기(40)의 외측면 및 바닥면 일부분에 부분(스팟)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로, 주입단계(S70)에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될 경우, 중심부용기(4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프레스안착단계(S60)는,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착단계(S50) 이후, 상기 제1부착단계(S50)에서 제조된 제2용기(80)는 하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용기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상부용기(20)는 상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는 제1부착단계(S50)에서 제조된 제2용기(80)를 250 내지 350℃로 가열된 하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켜 제2용기(80)에 열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용기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상부용기(20)를 250 내지 350℃로 가열된 상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켜 상부용기(20)에 열이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이후, 결합단계(S80)에서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중심부용기(40)가 서로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결합력이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에서는 상부용기(20)와 제2용기(80)를 각각 250 내지 350℃로 가열된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250℃ 미만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35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된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킬 경우, 이후 결합단계(S80)에서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중심부용기(4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주입단계(S70)는,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 이후, 상기 제2용기(80) 내부에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입단계(S70)는 상기 제2용기(80) 내부에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함에 따라, 중심부용기(40)의 통공(43)을 통해 하부용기(10)와 중심부용기(40) 사이의 공간 및 중심부용기(4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공간, 즉 내부공간(11)과 손잡이부(60)의 제2유로(62a)가 용융 알루미늄 합금으로 인해 채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중심부용기(40) 및 손잡이부(6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주입단계(S70)에서는 내부공간(11) 및 제2유로(62a)의 부피 보다 많은 양으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부공간(11) 및 상기 제2유로(62a)가 용융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채워지게 되고, 채워지고 남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은 오버플로우홀(62b)을 통해 흘러넘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주입단계(S70)에서는 700 내지 780℃로 가열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700℃ 미만으로 가열된 용융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상기 상부용기(20), 중심부용기(40) 및 하부용기(10)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78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된 용융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상기 상부용기(20), 중심부용기(40) 및 하부용기(1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가열된 용융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주입단계(S70)는,
내부공간(11), 제2유로(62a) 및 제1유로(61a)의 부피 보다 많은 양의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부공간(1), 제1유로(61a) 및 상기 제2유로(62a)가 용융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채워지게 되고, 채워지고 남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은 오버플로우홀(62b)을 통해 흘러넘치게 되며, 이때 오버플로우홀(62b)을 통해 흘러넘친 용융 알루미늄 합금은 식은 이후에 칼 또는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단계(S80)는,
상기 주입단계(S70) 이후,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된 제2용기(80)의 내부에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의 상부용기(20)를 압착 프레스지그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조리기구몸체(10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단계(S80)는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된 제2용기(80)의 상부에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의 상부용기(20)를 압착함에 따라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사이, 중심부용기(40)와 상부용기(20) 사이 및 손잡이부(60)의 제2유로(62a)에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채워짐과 동시에 채워지고 남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손잡이부(60)의 오버플로우홀(62b)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결합단계(S80)는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두께(H1) 및 측면두께(H2)가 조리기구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단계(S80)는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두께(H1) 및 측면두께(H2)가 서로 다른 두께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닥두께(H1) 및 측면두께(H2)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될 경우, 바닥면의 내용물이 빨리 타거나 또는 내용물이 골고루 조리되도록 가열해야 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바닥두께(H1) 및 측면두께(H2)가 서로 다른 두께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두께(H1)가 측면두께(H2) 보다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닥두께(H1)가 측면두께(H2) 보다 얇게 구성될 경우,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면이 타거나 또는 바닥면의 내용물이 빨리 탈 수 있어 바닥두께(H1)가 측면두께(H2) 보다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단계(S80)에서 제조된 조리기구몸체(100)는 바닥두께(H1) 4 내지 8mm 및 측면두께(H2) 2 내지 4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닥두께(H1) 4 mm 미만 및 측면두께(H2) 2 mm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조리를 위해 가열할 경우, 조리기구몸체(100)가 타거나 내용물이 빨리 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바닥두께(H1) 8mm 초과 및 측면두께(H2) 4 mm를 초과하는 경우, 조리를 위해 가열해야 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합단계(S80)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결합단계(S80)와 동일하나,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내부공간(11), 연결부(62)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제2유로(62a) 및 파지부(6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제1유로(61a)에 채워지게 되면서 하부용기(10), 중심부용기(40), 상부용기(20) 및 손잡이부(6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용접단계(S90)는,
상기 결합단계(S80) 이후, 결합된 조리기구몸체(100)의 상부 끝단을 용접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용접단계(S90)는 상기 결합단계(S80) 이후, 결합된 조리기구몸체(100)의 상부 끝단을 용접하여 조리기구몸체(100), 즉,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중심부용기(40)의 결합력이 높아지도록 용접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사상작업단계(S100)는,
상기 용접단계(S90) 이후, 거친부분을 다듬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사상작업단계(S100)는 상기 용접단계(S90) 이후, 거친 모서리, 매끈하지 못한 돌출부분 및 연결부(62)의 오버플로우홀(62b)을 통해 흘러나온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다듬는 공정을 거침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기구(1000)를 사용하는 도중에 다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지부부착단계(S110)는,
상기 사상작업단계(S100) 이후, 상기 손잡이부착단계(S20)에서 부착된 한 쌍의 연결부(62)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61)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부착단계(S110)에서는 상기 사상작업단계(S100) 이후, 연결부(62) 사이에 파지부(61)를 부착하기 위하여 용융 알루미늄 합금으로 채워진 오버플로우홀(62b)을 드릴로 다시 만든 후에 파지부(61)를 연결부(62)와 나사결합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제조단계(S120)는,
상기 파지부부착단계(S110) 이후,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뚜껑(5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뚜껑제조단계(S110)에서 제조된 뚜껑(50)은 3중 구조로 구성된 조리기구몸체(100), 즉, 상부용기(20)의 상부끝단과 뚜껑(50)의 내면이 맞닿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면을 가열할 경우, 뚜껑(50)까지 열이 전달되어 조리기구몸체(100)의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까지 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내부공간
10 : 하부용기
20 : 상부용기 21 : 걸림턱
30 :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 40 : 중심부용기
41 : 측면 42 : 바닥면
43 : 통공 50 : 뚜껑
51 : 뚜껑손잡이부 51a : 뚜껑연결부
51b : 뚜껑파지부 60 : 손잡이부
61 : 파지부 61a : 제1유로
62 : 연결부 62a : 제2유로
62b : 오버플로우홀
100 : 조리기구몸체 1000 : 조리기구
20 : 상부용기 21 : 걸림턱
30 :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 40 : 중심부용기
41 : 측면 42 : 바닥면
43 : 통공 50 : 뚜껑
51 : 뚜껑손잡이부 51a : 뚜껑연결부
51b : 뚜껑파지부 60 : 손잡이부
61 : 파지부 61a : 제1유로
62 : 연결부 62a : 제2유로
62b : 오버플로우홀
100 : 조리기구몸체 1000 : 조리기구
Claims (8)
-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부용기(10);
상기 하부용기(10)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부면이 개방된 상부용기(20);
상기 하부용기(10)와 상부용기(20) 사이의 내부공간(11)에 구성되는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에 구비되는 중심부용기(40);
상기 상부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뚜껑(50); 및
상기 하부용기(10)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외측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10)의 내측면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층(30)은,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여 하부용기(10), 상부용기(20) 및 중심부용기(4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60)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61);
한 쌍이 상기 파지부(61)의 연장부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파지부(61)와 하부용기(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2);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하부용기(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2)는,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용기(10)의 내면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용기(40)는,
0.005 내지 2 mm의 두께로 구성되되, 은박판 또는 구리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용기(40)는,
측면(41) 및 바닥면(4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통공(4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용기(40)는,
측면(41)의 상부 끝단이 내측방향으로 90도 꺾이도록 구성되되, 측면(41)의 상부 끝단이 뚜껑(50)의 상부 내면에 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하부용기(10)를 제조하는 하부용기제조단계(S10);
상기 하부용기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하부용기(10)의 외측 둘레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62a)를 포함하는 한 쌍의 연결부(62)를 스팟 용접으로 부착하여 제1용기(70)를 제조하는 연결부부착단계(S20);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상부용기(20)를 제조하는 상부용기제조단계(S30);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도록 구성되는 중심부용기(40)를 제조하는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 이후, 상기 손잡이부착단계(S20)에서 제조된 제1용기(70)의 내부에 상기 중심부용기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중심부용기(40)를 부착하여 제2용기(80)를 제조하는 제1부착단계(S50);
상기 제1부착단계(S50) 이후, 상기 제1부착단계(S50)에서 제조된 제2용기(80)는 하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용기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상부용기(20)는 상부 가열 프레스에 안착시키는 프레스안착단계(S60);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 이후, 상기 제2용기(80) 내부에 용융 알루미늄 합금을 주입하는 주입단계(S70);
상기 주입단계(S70) 이후, 상기 용융 알루미늄 합금이 주입된 제2용기(80)의 상부에 상기 프레스안착단계(S60)의 상부용기(20)를 압착 프레스지그를 이용하여 조리기구몸체(100)를 제조하는 결합단계(S80);
상기 결합단계(S80) 이후, 결합된 조리기구몸체(100)의 상부 끝단을 용접하는 용접단계(S90);
상기 용접단계(S90) 이후, 거친부분을 다듬는 사상작업단계(S100);
상기 사상작업단계(S100) 이후, 상기 연결부부착단계(S20)에서 부착된 한 쌍의 연결부(62)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61)를 부착하는 파지부부착단계(S110); 및
상기 사상작업단계(S100) 이후,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뚜껑(50)을 제조하는 뚜껑제조단계(S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S80)는
상기 조리기구몸체(100)의 바닥두께(H1) 및 측면두께(H2)가 서로 다른 두께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5879A KR20240037070A (ko) | 2022-09-14 | 2022-09-14 |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PCT/KR2023/095042 WO2024058647A1 (ko) | 2022-09-14 | 2023-08-10 |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5879A KR20240037070A (ko) | 2022-09-14 | 2022-09-14 |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7070A true KR20240037070A (ko) | 2024-03-21 |
Family
ID=9027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5879A KR20240037070A (ko) | 2022-09-14 | 2022-09-14 |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7070A (ko) |
WO (1) | WO2024058647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6334B1 (ko) | 2019-01-23 | 2020-07-21 | 한상혁 |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구비하는 요리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700B1 (ko) * | 2005-06-02 | 2006-02-07 | 신명호 | 취사용기 및 이 취사용기의 제조방법 |
KR20070020873A (ko) * | 2005-08-17 | 2007-02-22 | 한영희 | 전자유도가열식 삼중 취사용기 |
US20090065497A1 (en) * | 2007-09-07 | 2009-03-12 | Bose Corporation | Induction cookware |
KR101147783B1 (ko) * | 2009-10-22 | 2012-05-21 | 김영승 | 이중 바닥을 갖는 조리용기 |
KR101597766B1 (ko) * | 2014-07-14 | 2016-02-25 | 주식회사 서전테크 |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
2022
- 2022-09-14 KR KR1020220115879A patent/KR202400370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8-10 WO PCT/KR2023/095042 patent/WO2024058647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6334B1 (ko) | 2019-01-23 | 2020-07-21 | 한상혁 |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구비하는 요리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58647A1 (ko) | 202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31519A (en) |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 |
KR20240037070A (ko) |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및 알루미늄 주조를 이용한 열전도율이 좋은 조리기구 제조방법 | |
KR20080005447U (ko) | 다용도 솥 | |
KR101230419B1 (ko) | 중탕조리기 | |
KR102136334B1 (ko) |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구비하는 요리기구 | |
KR100659733B1 (ko) |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 |
KR20050053550A (ko) | 주방용기 | |
KR100447781B1 (ko) | 기밀성 향상을 위한 찜용기 구조 | |
KR200215679Y1 (ko) | 남비의 본체 손잡이 장치 | |
CN217959852U (zh) | 盖压防烫不锈钢锥形锅 | |
CN209915777U (zh) | 烤盘、烤盘组件以及煎烤机 | |
KR200352161Y1 (ko) | 넘침 방지용 냄비 | |
KR101118782B1 (ko) | 조리기구용 손잡이 | |
CN219479903U (zh) | 一种锅盖夹持支撑装置 | |
CN218683728U (zh) | 一种燕窝厨具组件 | |
CN213820985U (zh) | 一种多功能料理锅 | |
CN214906030U (zh) | 一种把手可折叠的倒水锅 | |
KR200199934Y1 (ko) | 남비 | |
CN208144895U (zh) | 一种纯陶瓷不沾平底锅 | |
KR200245643Y1 (ko) | 금속피막돌솥 | |
CN208524604U (zh) | 锅具 | |
KR200361833Y1 (ko) | 조리면을 이중으로 구비한 냄비. | |
ITVR990109A1 (it) | Impugnatura multifunzione applicabile su pentole, padelle o simili | |
KR100811302B1 (ko) | 조리용 가열용기 | |
CN2373024Y (zh) | 磨光炒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