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906A - 거푸집용 유로폼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유로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906A
KR20240036906A KR1020220115521A KR20220115521A KR20240036906A KR 20240036906 A KR20240036906 A KR 20240036906A KR 1020220115521 A KR1020220115521 A KR 1020220115521A KR 20220115521 A KR20220115521 A KR 20220115521A KR 20240036906 A KR20240036906 A KR 2024003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uroform
face plat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설
Original Assignee
형제레이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레이저(주) filed Critical 형제레이저(주)
Priority to KR102022011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906A/ko
Publication of KR2024003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용 유로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도,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면판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유로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유로폼{euro-form for mold}
본 발명은 거푸집용 유로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도,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면판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유로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할 때, 반죽된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양생시간 동안 원하는 형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거푸집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내에는 필요한 경우 철근 등을 얽어서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 반죽을 타설하고, 일정 기간동안 양생을 하여 소정의 강도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다음에 거푸집을 제거하며,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도록 양생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반죽을 타설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와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와 재질의 거푸집이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아파트 등과 같은 빌딩형의 건축물 등의 경우에 최근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규격화된 유로폼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고 있다.
한편,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은 일반적으로 합판을 사용한다. 하지만, 합판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부족하여 외부 충격에 손상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 2012-0003084호(공개일 : 2012.0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면판을 포함하는 거푸집용 유로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거푸집용 유로폼은 면판과, 상기 면판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면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측면 보강대와, 상기 면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면판을 지지하는 중심 보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면판은 일면에 강화수지층이 형성된 탄소섬유 복합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섬유 복합재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강화수지층은 1 : 0.03 ~ 0.05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CH2-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0 ~ 90 중량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 4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파우더 5 ~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용 유로폼은 경량이면서도,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유로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유로폼은 면판(10)과, 면판(1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면판(10)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측면 보강대(20)와, 면판(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면판(10)을 지지하는 중심 보강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측면 보강대(20)와 중심 보강대(30)는 각각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금속(철재,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면판(10)은 일면 또는 양면에 강화수지층이 형성된 탄소섬유 복합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섬유 복합재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탄소섬유 복합재는 5 ~ 20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0 ~ 1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지 않는다.
또한, 탄소섬유 복합재 및 강화수지층은 1 : 0.03 ~ 0.05의 두께비, 바람직하게는 1 : 0.0375 ~ 0.046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두께비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면판이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0 ~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5 ~ 8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면판이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면판이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 파우더 5 ~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면판이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파우더는 평균직경이 30 ~ 50nm, 바람직하게는 35 ~ 45nm, 평균길이가 5 ~ 13㎛, 바람직하게는 6 ~ 10㎛일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평균길이 및/또는 평균직경 범위를 벗어나는 탄소나노튜브 파우더를 사용하게 된다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면판이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강화코팅층은 경화제, 경화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86 ~ 1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 ~ 100 중량부, 경화촉진제 0.1 ~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경화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재라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화촉진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재라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방법은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탄소섬유 복합재를 준비할 수 있으며, 탄소섬유 복합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준비한 탄소섬유 복합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강화코팅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가열하여 탄소섬유 복합재 일면 또는 양면에 강화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열은 150 ~ 300℃, 바람직하게는 200 ~ 250℃의 온도에서 5 ~ 60분, 바람직하게는 5 ~ 30분동안 수행할 수 있다.
강화코팅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탄소나노튜브 파우더, 경화제, 경화촉진제 및 물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에폭시 수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강화코팅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0 ~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5 ~ 85 중량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 3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5 ~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 경화제 86 ~ 1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 ~ 100 중량부, 경화촉진제 0.1 ~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 1.0 중량부 및 물 50 ~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 ~ 65 중량부가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중량부,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15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1]
상기 화학식 1-1에 있어서, R1, R2, R3, R4, R5 및 R6은 메틸기이다.
[화학식 2-1]
상기 화학식 2-1에 있어서, B1 및 B2는 -CH2CH2CH2CH2-이다.
준비예 2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중량부,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3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중량부,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30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4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65 중량부,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15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5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95 중량부,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15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6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중량부,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15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7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중량부,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45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15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8 : 강화코팅 조성물의 제조
(1)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8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파우더(carbon nanotube powder, 평균직경 : 40nm, 평균길이 : 8㎛) 15 중량부, 경화제 96 중량부, 경화촉진제 0.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화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YD-128)를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아이소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촉진제로는 디메틸벤질아민(N, N-Dimethylbenzylamine)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두께가 12mm인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준비하고, 준비한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일면에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각각을 스프레이 도포한 후, 23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면판 일면에 0.5mm의 두께로 강화코팅층을 형성하여,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강화코팅층은 0.2mm의 두께로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강화코팅층은 1.0mm의 두께로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2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3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4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5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6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7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이 아닌 준비예 8에서 제조한 강화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굽힘강도 측정
ASTM D790 시험 방법에 의해, 25℃에서 실시예 1 ~ 10에서 제조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 각각의 굽힘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인장강도 측정
ASTM D638 시험 방법에 의해, 25℃에서 실시예 1 ~ 10에서 제조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 각각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충격강도 측정
ASTM D256 시험 방법에 의해, 25℃에서 실시예 1 ~ 10에서 제조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 각각의 충격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굽힘강도(MPa) 894 853 895 864 872
인장강도(MPa) 586 548 587 551 560
충격강도(kJ/m2) 88 83 88 83 85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굽힘강도(MPa) 843 855 862 868 855
인장강도(MPa) 540 549 551 555 544
충격강도(kJ/m2) 80 84 83 85 81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은 굽힘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거푸집용 유로폼에 사용되는 면판은 실시예 1보다 강화코팅층의 두께가 두껍지만, 실시예 1에 비해 기계적 강도의 향상폭이 미미하여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 면판
20 : 측면 보강대
30 : 중심 보강대

Claims (4)

  1. 면판과, 상기 면판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면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측면 보강대와, 상기 면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면판을 지지하는 중심 보강대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유로폼에 있어서,
    상기 면판은 일면에 강화수지층이 형성된 탄소섬유 복합재이고,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유로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 및 강화수지층은 1 : 0.03 ~ 0.05의 두께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유로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탄소나노튜브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유로폼.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CH2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CH2-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0 ~ 90 중량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 40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파우더 5 ~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유로폼.
KR1020220115521A 2022-09-14 2022-09-14 거푸집용 유로폼 KR20240036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21A KR20240036906A (ko) 2022-09-14 2022-09-14 거푸집용 유로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21A KR20240036906A (ko) 2022-09-14 2022-09-14 거푸집용 유로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906A true KR20240036906A (ko) 2024-03-21

Family

ID=9047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521A KR20240036906A (ko) 2022-09-14 2022-09-14 거푸집용 유로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9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084A (ko) 2010-07-02 2012-01-10 노영태 엘이디 광확산렌즈, 이를 이용한 확산렌즈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084A (ko) 2010-07-02 2012-01-10 노영태 엘이디 광확산렌즈, 이를 이용한 확산렌즈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737B1 (ko) 복합재료 함유 시멘트, 시멘트 제품,성형재 콘크리트 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3922413A (en) Lightweight,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s
Jin et al. Effects of curing temperature and hardener typ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isphenol F-type epoxy resin concrete
KR101461670B1 (ko) 나노입자 실리카 충전된 벤족사진 조성물
KR101134459B1 (ko) 마이크로 섬유와 매크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체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체 및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KR10060389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와 동등한 탄성거동을 하는 기중 및 수중구조물 보수보강용 고분자 조성물
JPWO2013065516A1 (ja) 繊維強化複合材料用2液型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繊維強化複合材料
KR102361346B1 (ko) 섬유 강화 복합 재료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섬유 강화 복합 재료
KR101027451B1 (ko) 초경량 단면보수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친환경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면보수방법
KR101146905B1 (ko) 무기물을 보강한 에폭시 코팅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CN105236827A (zh) 一种快速修复用环氧树脂胶砂及其微波固化工艺
KR20240036906A (ko) 거푸집용 유로폼
KR102285113B1 (ko) 난연성 비닐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2018104542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2232222A (ja) 耐熱性エポキシ樹脂成形型組成物
KR101138828B1 (ko) 경량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09864B1 (ko) 유리섬유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 3중 원심력관 및 이의 제조방법
JP4349775B2 (ja) 熱可塑性水硬性組成物の成形体及び該成形体の製造方法
JP6952464B2 (ja) 亀裂進展抑制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CN105330765A (zh) 咪唑化合物及制备方法、含有该化合物的热固性组合物
JP3661358B2 (ja)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方法
KR2019003624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5087688A (zh) 由块状模塑料制备模塑复合材料的方法
KR102004913B1 (ko) 수중 환경에서 경화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섬유 함침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101316649B1 (ko) 나노 세라믹 코팅 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