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72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720A
KR20240034720A KR1020240029226A KR20240029226A KR20240034720A KR 20240034720 A KR20240034720 A KR 20240034720A KR 1020240029226 A KR1020240029226 A KR 1020240029226A KR 20240029226 A KR20240029226 A KR 20240029226A KR 20240034720 A KR20240034720 A KR 2024003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wiring
area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자
김양완
김병선
박현애
이수진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720A/ko
Publication of KR2024003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1 홀들을 갖는 제1 벤딩부를 포함하는,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1 배선부와 이격되어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벤딩부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제2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를 벤딩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상기 벤딩 영역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제1 홀들을 갖는 제1 벤딩부를 포함하는,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1 배선부와 이격되어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벤딩부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제2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배선부는 복수개의 제2 홀들을 갖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홀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과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홀들 각각의 개수와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 각각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에 동일한 전류를 인가할 시, 상기 제1 배선부는 제1 저항값을 갖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제1 저항값 보다 작은 제2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배선이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배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벤딩부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곡선으로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벤딩부는 쌍을 이루도록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최인접하게 배치된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브릿지(bridge)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벤딩부는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브릿지 배선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릿지 배선은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을 최 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과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최인접하게 배치된 제3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배선 또는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브릿지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간격과 상기 제2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벤딩부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일단이 서로 접하는 두 직선과, 상기 두 직선의 타단을 연결하는 곡선부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은 제1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1 곡선부를 갖는 제2-1 홀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 곡선부를 갖는 제2-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홀과 상기 제2-2 홀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층의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 홀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에 매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제1 패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은 n번째 행의 홀은 n-1번째 행의 홀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n-1번째 행의 홀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2 홀들 각각의 외곽선은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1 곡선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2 곡선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제1 방향(Y)을 따르는 제1 축 상에 놓인 임의의 기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 및 반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곡선부는,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제1 곡률을 가지도록 시계방향으로 라운드진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제2 곡률을 가지도록 반시계방향으로 라운드진 제2구간;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구간으로부터 제3 곡률을 가지도록 시계방향으로 라운드진 제3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하기 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배선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A-A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배선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B-B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C-C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하기 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인 기판(100)의 일부가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이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단면도들이나 평면도들 등에서도 도시의 편의 및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는 기판(100)은 일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 영역(BA)을 갖는다. 이 벤딩 영역(BA)은 일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기판(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 축(BAX)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A)은 디스플레이 영역(DA)을 포함한다. 물론 제1 영역(1A)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2 영역(2A) 역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1 영역(1A)의 디스플레이 영역(DA)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소자(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소자(250)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기판(100) 상에는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DA)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벤딩 영역(B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벤딩 영역(BA)과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는 각각 디스플레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배선부(300)는 데이터 라인 등 일 수 있다. 제2 배선부(400)는 제1 배선부(30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배선부(4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400a) 및 스캔 구동 회로(550)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배선(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구동 회로(55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일 수 있다. 예컨대 전원 배선(400a)은 ELVDD, ELVSS 등 일 수 있으며, 구동 회로 배선(400b)은 스캔 라인 또는 게이트 라인 등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타이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판(100)의 일 단부에는 패드부(5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패드부(500)는 제1 패드부(510) 및 제2 패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패드부(510) 및 제2 패드부(520)에는 별도로 구비된 칩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00)는 제1 패드부(510)와 연결되고, 제2 배선부(400)는 제2 패드부(520)와 연결되어, 칩을 통해 패드부(500)에 인가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제1 배선부 및 제2 배선부를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벤딩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 배선부 및 제2 배선부가 벤딩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에서 배선에 응력 및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배선에 크랙이 발생하고 나아가 단선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각각 제1 벤딩부(310) 및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벤딩부(310)와 이를 포함하는 제1 배선부(300), 제2 벤딩부(410)와 이를 포함하는 제2 배선부(400)의 형태, 형상이라고 함은, 상기 배선들의 평면(X-Y 평면)의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형태, 형상이라고 함은 상기 배선들 각각의 폭, 너비 또는 두께 등의 차이가 아닌 전체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형태, 형상을 의미한다.
제1 배선부(300)는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벤딩부(310)는 벤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벤딩부(310)는 평면의 형상이 단순한 직선 형태가 아닌 일정한 패턴이 반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배선부(400)는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2 벤딩부(410)는 벤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벤딩부(410)는 제1 벤딩부(310)와 마찬가지로 평면의 형상이 일정한 패턴이 반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벤딩부(310)와 제2 벤딩부(410)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배선부(400)의 제2 벤딩부(410)는 일정한 패턴이 반복되는 형상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배선은 벤딩 영역(B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단순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배선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제2 벤딩부(410)에서도 일정한 폭과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상에 위치한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벤딩부(310)가 직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벤딩부(410)와 서로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선부(300)는 제1 저항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배선부(400)는 제2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배선부(400)의 제2 저항값은 제1 배선부(300)의 제1 저항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1 배선부(300)가 구비하는 제1 벤딩부(310)와, 제2 배선부(400)가 구비하는 제2 벤딩부(410)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에서 기인한다. 즉, 제1 벤딩부(310)를 제외한 제1 배선부(300)의 두께 및 폭과, 제2 벤딩부(410)를 제외한 제2 배선부(400)의 두께 및 폭을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한 제2 배선부(400)의 제2 저항값이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한 제1 배선부(300)의 제1 저항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2 벤딩부(410)의 저항이 제1 벤딩부(310)의 저항에 비해 작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10)와 제2 벤딩부(410)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패턴을 가짐에 따라, 제1 벤딩부(310)와 제2 벤딩부(410)에 동일한 전류를 인가할 경우에 제1 벤딩부(310)에 걸리는 저항과 제2 벤딩부(410)의 걸리는 저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벤딩부(410)에 걸리는 저항이 제1 벤딩부(310)에 걸리는 저항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배선부(300)와 제2 배선부(400)이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제1 배선부(300)는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하고, 제2 배선부(400)는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1 벤딩부(310) 및 제2 벤딩부(410)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이 증가한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배선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인 반면, 제2 배선부(4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400a) 또는 스캔 구동 회로(550)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배선(400b) 인 바,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질 특성은 제2 배선부(400)의 저항에 더 민감한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하는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이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하는 제1 배선부(300)의 저항 보다 작게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서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의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가 향상되고 스트레스 및 응력 집중 현상을 완화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을 제1 배선부(300)의 저항보다 작게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질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소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소자(250)로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액정소자 또는 ILED와 같은 무기발광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에는 디스플레이소자(250)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소자(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소자(250)로서 유기발광소자가 디스플레이부(200)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가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화소전극(220)이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도 박막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FT)는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00)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일 수 있다.
먼저 기판(100) 상에는 기판(100)의 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202)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201)이 배치되고, 이 버퍼층(201) 상에 반도체층(202)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도체층(202)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204)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204)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206a) 및 드레인전극(206b)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전극(204)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202)과 게이트전극(204)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203)이 반도체층(202)과 게이트전극(20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204)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205)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205)의 상부에는 소스전극(206a) 및 드레인전극(206b)이 배치된다. 소스전극(206a) 및 드레인전극(206b)은 층간절연막(205)과 게이트절연막(203)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2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206a) 및 드레인전극(206b)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보호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은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100)의 상에 평탄화막(207)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탄화막(207)은 보호막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평탄화막(207)은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TFT) 의 상면을 대체로 평탄화하게 하고,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탄화막(207) 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BCB(Benzocyclobut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퍼층(201), 게이트절연막(203), 층간절연막(205) 및 평탄화막(207)은 기판(10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는 화소정의막(208)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08)은 상술한 평탄화막(207)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08)은 기판(100) 상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08)은 예컨대 유기 절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유기 절연막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스티렌(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평탄화막(207) 상부에는 디스플레이소자(25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소자(250)는 화소전극(220),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는 중간층(230) 및 대향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2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예컨대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화소정의막(208)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는 중간층(23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23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며, 발광층(EML)을 이외에도 발광층(EML)과 화소전극(220) 사이에 배치되는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및 발광층(EML)과 대향전극(24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중간층(23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중간층(230)을 덮으며 화소전극(220)에 대향하는 대향전극(240)이 기판(100) 전면(全面)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40)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40)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40)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40)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선택적 실시예로 대향전극(240) 상부에 봉지층, 편광층, 컬러필터 등의 기능층들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서는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가 복수개 구비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팬아웃 영역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2 및 도 4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배선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일 수 있다. 또한 제2 배선부(40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배선부(400)의 선폭은 제1 배선부(300)의 선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선의 레이아웃 상 제1 배선부(300)가 제2 배선부(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좁은 영역에 더 많은 수의 배선들이 배치될 뿐 아니라, 전술한 것과 같이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이 낮을수록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질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제1 배선부(300)는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벤딩 영역(BA)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310)는 일정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벤딩부(310)가 지그재그 패턴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벤딩부(310)의 구조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벤딩부(310)의 형상은 일정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 족하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벤딩부(310)는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로 형성된 "S"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배선부(300)는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상에도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배선부(300) 중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에 중첩되는 부분, 즉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제1 벤딩부(310)를 제외한 부분은 패턴을 갖지 않는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제1 배선부(30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배선부(300) 중 제1 벤딩부(310)는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벤딩부(410)는 홀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벤딩부(410)와 제2 벤딩부(410)를 제외한 제2 배선부(400)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배선부(300)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A-A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절연막(110)이 배치되고, 제1 절연막(110) 상에 제1 배선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연막(110)은 유기 절연막 및/또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절연막(110)은 유기 절연막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무기 절연막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유기 절연막과 무기 절연막이 함께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제1 절연막(110)의 상면이 평탄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절연막(110)의 상면이 물결 무늬와 같은 요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한편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배선부(300)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에 위치하는 경우, 기판(100)과 제1 배선부(300) 사이에는 버퍼층(201) 및/또는 게이트 절연막(203)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배선부(300)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층에 위치하는 경우, 기판(100)과 제1 배선부(300) 사이에는 버퍼층(201), 게이트 절연막(203) 및/또는 층간절연막(205)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밖에 또 다른 절연막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배선부(300) 중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제1 벤딩부(310)는 평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벤딩부(310)는 제1 벤딩부(31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홀(310h)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벤딩부(310)는 복수개의 제1 홀(310h)들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2 배선부(400) 중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제2 벤딩부(41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제2 벤딩부(410)는 평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벤딩부(410)는 제2 벤딩부(41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벤딩부(410)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벤딩부(310)와 제2 벤딩부(410)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고 함은, 후술할 제1 벤딩부(310)의 복수개의 제1 홀(310h)과 제2 벤딩부(410)의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벤딩부(310)의 복수개의 제1 홀(310h)과 제2 벤딩부(410)의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개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벤딩부(410)는 홀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홀(310h)들과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1 벤딩부(310)와 제2 벤딩부(410)의 평면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차이로부터 제1 배선부(300)와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의 차이가 발생하고, 제2 배선부(400)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벤딩부(310)는 제1 "???(D1) 및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지그재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1)은 벤딩 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즉 벤딩 축 방향을 X축 방향 이라고 할 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X축 방향을 따르지 않는 사선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과 동시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및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bridge)배선(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은 쌍을 이루도록 제1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상호가 최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브릿지 배선(313)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제1 부분(s1)과 제2 부분(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s1)은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이 제1 방향(D1)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부분(s2)은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이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릿지 배선(313)은 이러한 제1 부분(s1) 및 제2 부분(s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브릿지 배선(313)이 제1 부분(s1) 및 제2 부분(s2)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브릿지 배선(313)은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연결하기만 하면 족하며,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브릿지 배선(313)은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 브릿지 배선(313)은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배선의 저항은 배선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배선의 길이를 짧게 할수록 배선의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브릿지 배선(313)의 길이는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이 이격된 제1 간격(d1)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홀(310h)들 각각은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및 두 개의 제1 브릿지 배선(31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1 브릿지 배선(313)은 제1 브릿지 배선(313)이 복수개 구비될 시, 최인접한 두 개의 제1 브릿지 배선(313)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홀(3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브릿지 배선(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릿지 배선(315)은 제1 브릿지 배선(313)과는 달리, 벤딩축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 배선(313)이 벤딩축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었다면, 제2 브릿지 배선(315)은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벤딩축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브릿지 배선이 연장되는 경우, 기판(100)이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벤딩 또는 폴딩될 시 브릿지 배선에 걸리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브릿지 배선에 크랙이나 단선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브릿지 배선(315)을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함에 따라 기판(100)이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도 제2 브릿지 배선(315)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브릿지 배선(3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316)은 제1 브릿지 배선(313) 및 제2 브릿지 배선(315)과는 달리, 벤딩축(x방향)에 수직인 방향(y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316)의 선폭(a3)은 제1 배선(312)의 선폭(a4) 및/또는 제2 배선(314)의 선폭(a5)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316)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인장응력이 강하게 부가되어 단선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데, 제3 브릿지 배선(316)의 선폭(a3)을 두껍게 하여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브릿지 배선(313) 배선의 선폭(a1), 제2 브릿지 배선(315)의 선폭(a2), 제3 브릿지 배선(316)의 선폭(a3)은 제1 배선(312)의 선폭(a4) 및/또는 제2 배선(314)의 선폭(a5)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는 제1 브릿지 배선(313), 제2 브릿지 배선(315), 및 제3 브릿지 배선(316)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제1 브릿지 배선(313)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2 브릿지 배선(315)만 구비되거나 제3 브릿지 배선(316)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제1 브릿지 배선(313)와 제2 브릿지 배선(315)이 구비되거나, 제1 브릿지 배선(313)와 제3 브릿지 배선(313)이 구비되거나, 제2 브릿지 배선(315)와 제3 브릿지 배선(31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배선부(300)가 배치되고, 제1 배선부(300)를 덮도록 제1 배선부(300) 상에 제2 절연막(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절연막(210)은 도 3을 참조하였을 때, 층간절연막(205)일 수도 있고, 평탄화막(207)일 수도 있다. 제2 절연막(210)이 층간절연막(205)인 경우에는 제1 배선부(300)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204)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고,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절연막(210)이 평탄화막(207)인 경우에는 제1 배선부(300)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고,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연막(210)의 일부는 제1 배선부(30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홀(310h)들에 매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벤딩부(310')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에 도시된 제1 벤딩부(310')는 도 5에 도시된 제1 벤딩부(310')에서 제3 배선(316')과 제2 브릿지 배선(315')이 추가된 형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벤딩부(310)는 제1 "???(D1) 및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지그재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벤딩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즉 벤딩 축 방향을 X축 방향 이라고 할 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X축 방향을 따르지 않는 사선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과 동시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및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bridge)배선(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은 쌍을 이루도록 제1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상호가 최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브릿지 배선(313')이 위치할 수 있다.또한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 또는 제2 배선(314')과 제2 간격(d2')으로 이격되어 최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배선(3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312') 또는 제2 배선(314')과 제3 배선(31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브릿지 배선(315')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배선(316')이 제1 배선(312')과 제2 간격(d2')으로 이격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2 브릿지 배선(315')은 제1 배선(312')과 제3 배선(316')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배선(316')이 제2 배선(314')과 제2 간격(d2')으로 이격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2 브릿지 배선(315')은 제2 배선(314')과 제3 배선(316')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의 제1 간격(d1')과 제1 배선(312') 또는 제2 배선(314')과 제3 배선(316') 사이의 제2 간격(d2')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은 서로 상이해도 무방하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브릿지 배선(3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317')은 제1 브릿지 배선(313')과는 달리, 벤딩축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 배선(313')이 벤딩축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었다면, 제3 브릿지 배선(317')은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벤딩축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브릿지 배선이 연장되는 경우, 기판(100)이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벤딩 또는 폴딩될 시 브릿지 배선에 걸리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브릿지 배선에 크랙이나 단선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브릿지 배선(317')을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함에 따라 기판(100)이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도 제3 브릿지 배선(317')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3 브릿지 배선(317')과 마찬가지로, 제2 배선(314')과 제3 배선(316') 사이를 연결하는 제4 브릿지 배선(319')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벤딩축(x방향)에 수직인 방향(y 방향)을 따라 도 5의 제3 브릿지 배선(도 5 참조, 316)과 같은 브릿지 배선(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314')과 제3 배선(316') 사이에 벤딩축(x방향)에 수직인 방향(y 방향)을 따라 도 5의 제3 브릿지 배선(도 5 참조, 316)과 같은 브릿지 배선(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브릿지 배선들의 선폭은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및 제3 배선(316')의 선폭 보다 두꺼울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브릿지 배선(313') 배선의 선폭, 제2 브릿지 배선(315')의 선폭, 브릿지 배선(미도시)의 선폭은 제1 배선(312')의 선폭 제2 배선의 선폭(314')의 선폭 및/또는 제3 배선(316')의 선폭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및 제3 배선(316') 사이에는 제1 브릿지 배선(313'), 제2 브릿지 배선(315'), 및 브릿지 배선(미도시)가 함께 구비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벤딩부(310'')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 및 제2 배선(314'')이 곡선인 형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벤딩부(310'')는 제1 "???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S"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벤딩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즉 벤딩축 방향을 행방향 이라고 할 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행방향을 따르지 않는 사선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및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bridge)배선(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은 쌍을 이루도록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가 최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브릿지 배선(313'')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312'') 및 제2 배선(314'')의 평면의 형상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배선(312'') 및 제2 배선(314'')의 평면의 형상은 곡선과 직선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브릿지 배선(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릿지 배선(315'')은 제1 브릿지 배선(313'')과는 달리, 벤딩축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브릿지 배선(313'')이 벤딩축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었다면, 제2 브릿지 배선(315'')은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벤딩축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브릿지 배선이 연장되는 경우, 기판(100)이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벤딩 또는 폴딩될 시 브릿지 배선에 걸리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브릿지 배선에 크랙이나 단선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브릿지 배선(315'')을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함에 따라 기판(100)이 벤딩축 방향(X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에도 제2 브릿지 배선(315'')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은 제1 브릿지 배선(313'') 및 제2 브릿지 배선(315'')과는 달리, 벤딩축(x방향)에 수직인 방향(y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의 선폭은 제1 배선(312'')의 선폭 및/또는 제2 배선(314'')의 선폭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인장응력이 강하게 부가되어 단선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데,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의 선폭을 두껍게 하여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 브릿지 배선(313'') 배선의 선폭, 제2 브릿지 배선(315'')의 선폭,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의 선폭은 제1 배선(312'')의 선폭 및/또는 제2 배선(314'')의 선폭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는 제1 브릿지 배선(313''), 제2 브릿지 배선(315''), 및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제1 브릿지 배선(313'')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2 브릿지 배선(315'')만 구비되거나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배선(312'')과 제2 배선(314'') 사이에 제1 브릿지 배선(313'')와 제2 브릿지 배선(315'')이 구비되거나, 제1 브릿지 배선(313'')와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이 구비되거나, 제2 브릿지 배선(315'')와 제3 브릿지 배선(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벤딩부(310''')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1 벤딩부(310''')는 제1 배선(312''), 제2 배선(314''), 제1 브릿지 배선(313''') 및 제2 브릿지 배선(3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비교하여 제1 배선(312'') 및 제2 배선(314'')이 절곡되는 첨점 부분인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점이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도 5의 구조와 동일한 바 도 5의 설명을 원용한다.도 1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2 배선부(400)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부(40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선부(40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2 배선부(400)는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벤딩 영역(BA)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벤딩부(410)는 일정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벤딩부(410)의 형상은 일정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 족하며,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배선부(400)는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상에도 위치할 수 있는데, 제2 배선부(400) 중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에 중첩되는 부분, 즉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제2 벤딩부(410)를 제외한 부분은 패턴을 갖지 않는 직선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선부(40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한 제2 배선부(400)는 제1 폭(w1)을 갖고, 벤딩 영역(BA)에 위치한 제2 배선부(400), 즉 제2 벤딩부(410)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폭(w2) 은 제1 폭(w1)보다 넓을 수 있다. 즉 제2 벤딩부(410)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갖는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턴을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넓은 폭이 요구된다. 따라서 벤딩 영역(BA)에 위치한 제2 배선부(400)의 폭(w2)은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한 제2 배선부(400)의 폭(w1) 보다 넓을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에 위치하는 제2 배선부(400)의 간격(pitch)(w3)이 벤딩 영역(BA)에 중첩된 제2 벤딩부(410)의 간격(pitch)(w4)보다 넓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제2 배선부(400)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B-B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절연막(110)이 배치되고, 제1 절연막(110) 상에 제1 배선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연막(110)은 유기 절연막 및/또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절연막(110)은 유기 절연막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무기 절연막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유기 절연막과 무기 절연막이 함께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제1 절연막(110)의 상면이 평탄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절연막(110)의 상면이 물결 무늬와 같은 요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배선부(400)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204)과 동일층에 위치하는 경우, 기판(100)과 제2 배선부(400) 사이에는 버퍼층(201) 및/또는 게이트 절연막(203)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배선부(400)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층에 위치하는 경우, 기판(100)과 제2 배선부(400) 사이에는 버퍼층(201), 게이트 절연막(203) 및/또는 층간절연막(205)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 밖에 또 다른 절연막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제2 배선부(400)는 벤딩 영역(BA)과 중첩된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벤딩부(41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일단이 서로 접하는 두 직선과 두 직선의 타단을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진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이 부채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은 곡선 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의 그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은 제2-1 홀(410h1) 및 제2-2 홀(410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홀(410h1)은 제1 축(ax1)을 따라 배치되고, 제2-2 홀(410h2)은 제1 축(ax1)과 소정 간격을 갖는 제2 축(ax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1 홀(410h1)은 제1 방향(+x)을 향해 돌출된 제1 곡선부(r1)를 갖고, 제2-2 홀(410h2)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x)을 향해 돌출된 제2 곡선부(r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1 홀(410h1) 및 제2-2 홀(410h2)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y)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2 배선부(400)가 배치되고, 제2 배선부(400)를 덮도록 제2 배선부(400) 상에 제2 절연막(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절연막(210)은 도 3을 참조하였을 때, 층간절연막(205)일 수도 있고, 평탄화막(207)일 수도 있다. 제2 절연막(210)이 층간절연막(205)인 경우에는 제2 배선부(400)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204)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고,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절연막이 평탄화막(207)인 경우에는 제2 배선부(400)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206a) 또는 드레인 전극(206b)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고,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연막(210)의 일부는 제2 배선부(40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에 매립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벤딩부(410')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2 벤딩부(410')는 도 11에 도시된 제2 벤딩부(410')에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평면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2 배선부(400')는 벤딩 영역(BA')과 중첩된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벤딩부(410')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곡선 만으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형성되는 벤딩 영역(BA)에서 제2 배선부(400)의 좌측과 우측 외곽선은 모두 제2 홀(410h')들의 형태를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배선부(400)의 외곽선이 제2 홀(410h')들의 형태를 따라 형성되는 경우 제2 홀(410h') 자체가 곡선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2 배선부(400) 자체의 외곽선도 제2 홀(410h')들의 형태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제2 배선부(400)의 유연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은 제2-1 홀(410h1') 및 제2-2 홀(410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홀(410h1')은 제1 축(ax1')을 따라 배치되고, 제2-2 홀(410h2')은 제1 축(ax1')과 소정 간격을 갖는 제2 축(ax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1 홀(410h1') 및 제2-2 홀(410h2')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C-C 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벤딩부(410'')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벤딩부(410'')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은 복수의 행(row)들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개수나 행(row)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2개 이상의 복수의 행(row)들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평면의 형상이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n번째 행의 제2 홀들은 n-1 번째 행의 제2 홀들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제1 거리(d)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연속된 행에서 제2 홀들은 제1 방향(Y)의 제2 홀들의 중심축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2 홀들의 제1 방향(Y)의 중심축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n번째 행의 제2 홀들은 n-1 번째 행의 제2 홀들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n-1 번째 행의 제2 홀들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임의의 제1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거리(d)는 n-1 번째 행의 제2 홀들의 폭(w)보다 작을 수 있다. 즉, n번째 행의 제2 홀들을 제1 방향(Y)을 따라 n-1번째 행으로 이동시켰을 때, n-1번째 행에 위치한 제2 홀들과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1번째 행, 3번째 행, 5번째 행에 위치한 제2 홀들의 제1 방향(Y)을 따르는 중심축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2번째 행, 4번째 행에 위치한 제2 홀들의 제1 방향(Y)을 따르는 중심축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2 홀들 각각의 평면 형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는 도 1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에서는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중 하나의 제2 홀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평면 형상의 외곽선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선이란 두 점 사이를 가장 짧게 연결한 선을 의미하고, 곡선이란 점이 평면 위나 공간 안을 연속적으로 움직일 때 생기는 선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2 홀(410h'')의 외곽선은 직선을 포함하지 않고, 곡선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에서 제2 배선부(400)가 벤딩되거나 폴딩되는 경우 제2 배선부(400)가 받는 스트레스가 분산될수록, 제2 배선부(400)가 단선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 제2 배선부(400)가 손상될 염려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제2 홀(410h'')의 외곽선이 곡선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2 홀(410h'')의 외곽선이 직선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스트레스가 분산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제2 배선부(400)가 벤딩되거나 폴딩될 때, 제2 홀(410h'')의 외곽선이 직선인 부분에서 제2 홀(410h'')의 외곽선이 곡선인 부분에서보다 제2 배선부(400)가 받는 응력이 크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홀(410h'')의 외곽선이 곡선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2 배선부(400)의 변형시 스트레스 밀집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2 배선부(400)의 제2 벤딩부(410'')에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2 벤딩부(410'')의 외곽선 또한 제2 홀(410h'')들의 형상을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제2 배선부(400)는 벤딩 영역(BA)에서 벤딩(bending)되거나 폴딩(folding)될 수 있고,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형성되는 벤딩 영역(BA)에서는 제2 배선부(400)의 외곽선 또한 제2 홀(410h'')들의 형상을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형성되는 벤딩 영역(BA)에서 제2 배선부(400)의 좌측과 우측 외곽선은 모두 제2 홀(410h'')들의 형태를 따라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배선부(400)의 외곽선이 제2 홀(410h'')들의 형태를 따라 형성되는 경우 제2 홀(410h'') 자체가 곡선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2 배선부(400) 자체의 외곽선도 제2 홀(410h'')들의 형태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제2 배선부(400)의 유연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제2 배선부(400) 자체의 외곽선은 복수개의 제2 홀(410h'')들이 형성되는 부분이라 하더라도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개의 제2 홀(410h'')들 각각의 외곽선은 제1 곡선부(h1) 및 제2 곡선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홀(410h'')은 제1 방향(Y)을 따르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축의 왼쪽에 형성되는 홀(H)의 외곽선인 제1 곡선부(h1), 제1축의 오른쪽에 형성되는 홀(H)의 외곽선인 제2 곡선부(h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곡선부(h1) 및 제2 곡선부(h2)는 단절되는 부분 없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곡선부(h1) 및 제2 곡선부(h2) 각각은 임의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 및 반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곡선부(h1) 및 제2 곡선부(h2) 각각은 임의의 점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곡선부(h1)는 제1 구간(ha), 제2 구간(hb), 제3 구간(h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구간(ha)은 제1 방향(Y)을 따르는 제1축 상에 위치하는 제1 곡선부(h1)의 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간(ha)은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률이란 곡선의 휨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율 값으로서, 곡선 위의 점 p가 곡선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 때, 그 진행 방향은 이동한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 때의 변화율을 곡선의 곡률이라 한다. 곡률 반경(r)과 곡률은 역수 관계에 있다. 즉, 곡률의 값은 곡률 반경(r)의 역수 값(1/r)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간(ha)은 제1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곡률은 곡률 반경(의 역수 값인 1/일 수 있다.
제1 곡선부(h1)는 제1 구간(ha)과 연결되는 제2 구간(hb)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구간(hb)은 제1 구간(ha)과 연결되는 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간(hb)은 제2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곡률은 곡률 반경()의 역수 값인 1/ 일 수 있다.
제1 곡선부(h1)는 제2 구간(hb)과 연결되는 제3 구간(h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구간(hc)은 제2 구간(hb)과 연결되는 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라운드진 구간일 수 있다. 제3 구간(hc)은 제3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곡률은 곡률 반경()의 역수 값인 1/일 수 있다.
제1 곡률(1/), 제2 곡률(1/), 제3 곡률(1/)의 값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이 상이하거나 2개의 곡률이 동일할 수 있고, 모든 곡률 값이 동일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Y)을 따르는 제1 축(Y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곡선부(h2)는 제1 곡선부(h1)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곡선부(h2)는 제1 곡선부(h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축(Y축)을 중심으로 제2 홀(410h'')은 좌우가 대칭되는 외곽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곡률(1/)은 제3 곡률(1/)과 같을 수 있다. 즉, 제1 곡선부(h1)는 제1 방향(X)을 따르고 제1 곡선부(h1)를 지나는 제2 축(X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Y)을 따르는 제1 축(Y축)을 중심으로 제1 곡선부(h1)와 제2 곡선부(h2)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2 곡선부(h2) 또한 제2 축(Y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홀(410h'')의 외곽선은 제1 방향(Y)을 따르며 제2 홀(410h'')의 한가운데로 지나는 제1 축(X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X)을 따르며 제2 홀(410h'')의 한가운데로 지나는 제2 축(Y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제1 배선부 및 제2 배선부를 단순한 직선 형태의 배선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벤딩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 배선부 및 제2 배선부가 벤딩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에서 배선에 응력 및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배선에 크랙이 발생하고 나아가 단선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제1 배선부(300)와 제2 배선부(400)이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배선부(300)는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하고, 제2 배선부(400)는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1 벤딩부(310) 및 제2 벤딩부(410)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이 증가한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배선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인 반면, 제2 배선부(400)는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400a) 또는 스캔 구동 회로(550)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배선(400b) 인 바,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질 특성은 제2 배선부(400)의 저항에 더 민감한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2 벤딩부(410)를 포함하는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이 제1 벤딩부(310)를 포함하는 제1 배선부(300)의 저항 보다 작게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서 제1 배선부(300) 및 제2 배선부(400)의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가 향상되고 스트레스 및 응력 집중 현상을 완화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배선부(400)의 저항을 제1 배선부(300)의 저항보다 작게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화질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A: 제1 영역 2A: 제2 영역
100: 기판 BA: 벤딩 영역
200: 디스플레이부 250: 디스플레이소자
210: 절연막 300: 제1 배선부
310, 310', 310'': 제1 벤딩부 310h, 310h', 310h'': 복수개의 제1 홀
312, 312', 312'': 제1 배선 314, 314', 314'': 제2 배선
313, 313', 313'': 브릿지 배선 400: 제2 배선부
410, 410', 410'': 제2 벤딩부 410h, 410h', 410h'': 복수개의 제2 홀
500: 패드부 510: 제1 패드부
520: 제2 패드부

Claims (34)

  1.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가로지르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열의 홀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열의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의 홀들과 상기 제2 열의 홀들은 서로 인접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열의 홀들 및 상기 제2 열의 홀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는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는 제1 라운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는 제2 라운드 부분, 제3 라운드 부분, 및 상기 제2 라운드 부분과 상기 제3 라운드 부분의 교차점에 변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변곡점과 상기 제1 라운딩 부분은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홀들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홀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2 홀과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3 홀 각각의 일 측에서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3 홀 사이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의 중심, 상기 제1 홀의 중심, 및 상기 제3 홀의 중심은 각각 가상의 예각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3 홀은 각각 평면상 원형, 타원형, 라운드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라운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라운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3 홀은 상기 제3 라운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변곡점과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영역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영역의 제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벤딩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 하부에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 상부에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벤딩 영역을 가로지르는 벤딩 부분;
    상기 제1 영역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열의 홀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열의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의 홀들과 제2 열의 홀들은 서로 인접하며,
    상기 벤딩부는 제1 열의 홀들 및 제2 열의 홀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는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는 제1 라운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는 제2 라운드 부분, 제3 라운드 부분, 및 상기 제2 라운드 부분과 상기 제3 라운드 부분 사이의 오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 부분과 제1 열의 홀들로부터 선택된 제1 홀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홀들은 상기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열의 홀들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2 홀과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라운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라운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3 홀은 상기 제3 라운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3 홀 각각의 일 측에서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3 홀 사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의 중심, 상기 제1 홀의 중심, 및 상기 제3 홀의 중심은 각각 가상의 예각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평면상 원형, 타원형, 둥근형 또는 다각형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부분은 상기 제2 라운드 부분과 상기 제3 라운드 부분의 교차점에 변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변곡점과 상기 제1 라운드 부분의 최대 곡률 반경을 갖는 점이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 하부에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 상부에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표시부;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벤딩부를 포함하는 제1 배선부;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배선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제2 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벤딩부는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제2 배선부의 전체 폭은 상기 제1 배선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열의 홀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열의 홀을 갖고, 상기 제1 열의 홀과 상기 제2 열의 홀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부는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패턴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벤딩 영역에 패턴 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표시부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배선부의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 배선부 부분 사이의 피치는 상기 벤딩 영역에 위치하는 인접한 두 제2 벤딩 부분 사이의 피치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는 각각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 각각은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인,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벤딩부는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에 동일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배선부는 제1 저항값을 갖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제1 저항값 보다 작은 제2 저항값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부를 향해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단에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제1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제2 패드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29226A 2016-03-02 2024-02-28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34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9226A KR20240034720A (ko) 2016-03-02 2024-02-2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80A KR102643637B1 (ko) 2016-03-02 2016-03-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29226A KR20240034720A (ko) 2016-03-02 2024-02-28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80A Division KR102643637B1 (ko) 2016-03-02 2016-03-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720A true KR20240034720A (ko) 2024-03-14

Family

ID=58231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80A KR102643637B1 (ko) 2016-03-02 2016-03-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29226A KR20240034720A (ko) 2016-03-02 2024-02-28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80A KR102643637B1 (ko) 2016-03-02 2016-03-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10056446B2 (ko)
EP (2) EP3214652B1 (ko)
KR (2) KR102643637B1 (ko)
CN (3) CN107154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89B1 (ko) * 2015-12-28 202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75685B1 (ko) * 2016-02-02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05394B (zh) * 2016-09-05 2020-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US10312228B2 (en) * 2017-01-25 2019-06-04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06952937A (zh) * 2017-04-28 2017-07-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走线结构、显示基板及显示装置
US20180323239A1 (en) * 2017-05-03 2018-11-0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381286B1 (ko) * 2017-05-18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10733B1 (ko) * 2017-05-19 2021-10-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싱 전극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US10608069B2 (en) * 2017-06-23 2020-03-31 Apple Inc. Displays with redundant bent signal lines and neutral plane adjustment layers
US10021762B1 (en) 2017-06-30 2018-07-10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449218B1 (ko) * 2017-09-19 2022-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22990B (zh) * 2017-10-13 2021-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75093B1 (ko) * 2017-10-31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터치 표시 장치
KR102452529B1 (ko) * 2017-12-12 2022-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376685B (zh) * 2018-02-11 2021-02-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524340B1 (ko) * 2018-02-22 2023-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43298B2 (ja) * 2018-03-13 2022-03-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493217B (zh) * 2018-03-22 2021-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9187047A1 (ja) * 2018-03-30 2019-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US10720589B2 (en) 2018-04-03 2020-07-2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447403B (zh) * 2018-04-03 2020-07-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208077535U (zh) * 2018-04-28 2018-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KR102652997B1 (ko) * 2018-05-02 2024-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003960B (zh) * 2018-07-31 2020-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基板
CN109004011B (zh) * 2018-08-01 2021-03-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67675B (zh) * 2018-08-06 2022-06-1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KR102628360B1 (ko) * 2018-09-28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15116B1 (ko) * 2018-10-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94314B (zh) * 2018-10-16 2020-1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5909911A (zh) 2018-11-19 2023-04-0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拼接装置和电子装置
EP3654320A1 (en) * 2018-11-19 2020-05-20 InnoLux Corporation Til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9638043A (zh) * 2018-12-03 2019-04-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有机发光二极管(oled)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
CN109585515A (zh) * 2018-12-12 2019-04-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走线结构
CN109410765A (zh) * 2018-12-13 2019-03-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边框基板
CN109686253B (zh) * 2019-01-08 2021-04-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布线结构以及可拉伸显示装置
CN110600509A (zh) * 2019-08-22 2019-12-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oled显示面板
KR20210045566A (ko) * 2019-10-16 2021-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89813B (zh) * 2019-11-20 2021-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显示装置
CN111261686A (zh) * 2020-01-23 2020-06-09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77957A (ko) * 2020-12-02 2022-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CN115128875A (zh) * 2022-06-30 2022-09-30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阵列基板制备方法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48860B (en) * 2001-06-20 2003-08-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216100A (ja) * 2002-01-21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表示パネルと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検査方法とel表示装置のドライバ回路
JP3931780B2 (ja) 2002-09-27 2007-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多層プリント基板
KR101018756B1 (ko) * 2003-05-19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453542B2 (en) * 2003-09-09 2008-11-18 Citizen Holding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offsetting transfer-connections connected between driving electrodes and wiring lines and bent respectively in different directions to adjust wiring line resistances
KR20060043889A (ko) * 2004-11-10 2006-05-1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
JP4739155B2 (ja) * 2006-09-12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表示媒体
KR20080053781A (ko) * 2006-12-11 2008-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팬아웃 배선 구조와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패널 및평판표시장치
KR101965257B1 (ko) * 2012-10-08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1736930B1 (ko) 2012-11-19 2017-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0052B1 (ko) 2012-12-31 2019-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222680B1 (ko) 2013-02-01 2021-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97150B1 (ko) 2013-02-01 2020-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TWI790673B (zh) * 2013-03-07 2023-01-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081287B1 (ko) * 2013-06-07 2020-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85961B1 (ko) * 2013-12-24 2020-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86644B1 (ko) * 2013-12-31 2020-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4317B1 (ko) * 2014-06-10 2021-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 영역을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US9450038B2 (en) * 2014-07-31 2016-09-2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US9276055B1 (en) * 2014-08-31 2016-03-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425418B2 (en) * 2014-09-30 2016-08-2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204440839U (zh) * 2014-12-16 2015-07-0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741772B2 (en) * 2014-12-26 2017-08-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ending sensor
TWI561137B (en) * 2015-07-08 2016-12-01 Au Optronics Corp Curved display
KR20160019885A (ko) 2015-12-14 2016-02-22 안범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8972A1 (en) 2020-08-13
US20190013379A1 (en) 2019-01-10
US11276744B2 (en) 2022-03-15
US20170256599A1 (en) 2017-09-07
CN116887636A (zh) 2023-10-13
CN116887637A (zh) 2023-10-13
EP4258847A2 (en) 2023-10-11
CN107154416A (zh) 2017-09-12
US20240040873A1 (en) 2024-02-01
US10056446B2 (en) 2018-08-21
US10636861B2 (en) 2020-04-28
CN107154416B (zh) 2023-09-08
US20220199754A1 (en) 2022-06-23
EP4258847A3 (en) 2023-11-22
EP3214652B1 (en) 2023-08-23
KR102643637B1 (ko) 2024-03-06
US11785816B2 (en) 2023-10-10
EP3214652A1 (en) 2017-09-06
KR20170103048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6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9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6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59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68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