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915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915A
KR20240033915A KR1020220112795A KR20220112795A KR20240033915A KR 20240033915 A KR20240033915 A KR 20240033915A KR 1020220112795 A KR1020220112795 A KR 1020220112795A KR 20220112795 A KR20220112795 A KR 20220112795A KR 20240033915 A KR20240033915 A KR 2024003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mp
plate
print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현
윤주협
김태산
김동은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915A/ko
Publication of KR2024003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공기청정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관통홀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1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비인쇄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개시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일정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간의 청정도를 빠르게 높이도록,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토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사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상측에 별도의 풍향조절을 위한 팬을 배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1-0140930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된 환형의 토출구; 상기 환형의 토출구에 배치되는 환형의 토출 그릴; 및 상기 환형의 토출 그릴로 둘러싸인 평탄면에 배치되어, 광원을 통해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 공개특허는 바디의 상측면에 환형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측면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환형의 토출구의 중심부에는 출력부가 배치되어, 공기청정기의 협소한 상측면마저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측면에 배치된 광원은 어두운 실내에서 측면 방향으로 광이 퍼져 나가므로, 야간에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등 사용 편의성 내지 재실 쾌적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로 액체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0930 A호 (공개일자 2021.11.23.)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내지 재실 쾌적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상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관통홀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1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비인쇄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관통홀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인쇄층 사이에서, 제2 비인쇄영역을 구비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인쇄층과 상기 제2 인쇄층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인쇄되는 제3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은, 상기 복수의 램프의 상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2 비인쇄영역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어느 하나의 램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를 덮고 상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어퍼 커버와; 상기 어퍼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제2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원단 시트와, 상기 제2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4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비인쇄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배치된 제1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절개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원단 시트와, 상기 제2 원단 시트 상에 배치되는 제4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4 필름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절개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램프의 광이 상측으로만 투과되도록 제1 비인쇄영역을 구비한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사용 편의성 내지 재실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제1, 2 관통홀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사용 편의성 내지 재실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상측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2 관통홀을 커버하는 제1, 2 플레이트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어퍼 커버, 및 미들 커버에 의한 겹벽 구조로, 공기청정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구의 상측에 배치된 제2 바디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 마운드와 가이드 리브가 어퍼 커버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므로, 공기청정기의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입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1-A2선 절개 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A1-A2선 절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커버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흡입구(112)와 토출구(17)가 구비된 제1 바디(1)를 포함한다.
제1 바디(1)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디(1)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는 높이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바디(1)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는 둘레벽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실린더 형상의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는 원통형, 직육면체형, 피라미드형, 정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바디(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의 높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4개의 흡입구(112)가 둘레벽에 사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이격되고,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도가 큰 오염된 공기는 제1 바디(1)의 하측에 배치된 흡입구를 통해 쉽게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2)에는 루버(111)가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흡입구(1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 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루버(111)는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버(11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루버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복수 개의 루버(11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외부 공기가 제1 바디(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루버(111)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흡입구(1)는 제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와 흡입구(1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상측면과 둘레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의 일부는 제1 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 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일측으로 개구되고, 토출구(17)는 타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 바디(1)의 둘레벽에 개구되고,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상측면에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제1 바디(1)의 측면으로 흡입되어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횡단면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횡단면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상측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원통 형상의 제1 바디(1)의 상측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제1 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에는 루버(111)가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로어 하우징(11)에 형성된 흡입구(11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하우징(11)은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는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은 제1 바디(1)의 일부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하우징(16)은 제1 바디(1)의 상부를 형성하고,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제1 바디(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은 제1 바디(1)의 흡입구(112)로부터 토출구(17)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 장치(10)는 제1 바디(1) 및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장치(10)는 송풍팬을 가동시키는 송풍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모터는 제1 바디(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모터는 송풍팬에 연결될 수 있다.
송풍 장치(10)는 상기 흡입구(112)를 마주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 바디(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상측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는 평탄한 상측면을 구비한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바디(2)는 제1 바디(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2)의 일 방향의 폭은 제1 바디(1)의 일 방향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바디(2)의 엣지는 제1 바디(1)의 둘레벽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1 바디(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크고, 제2 바디(2)는 엣지가 제1 바디(1)의 둘레벽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테이블 형상일 수 있다.
제2 바디(2)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의 상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평탄면이 구비된 어퍼 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제2 바디(2)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커버(26)는 제2 바디(2)를 커버하도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충전 패드(24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연결 단자 없이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41)는 무선 충전 모듈일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제2 바디(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제2 바디(2)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제2 바디(2)에 형성된 패드홀(261)에 삽입될 수 있다. 패드홀(261)의 형상은 충전 패드(24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충전 패드(241)와 패드홀(281)이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충전 패드(241)의 형상과 패드홀(281)의 형상이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충전 패드(241)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홀(261)에 삽입되어, 제2 바디(2)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 바디(1)를 지지하는 베이스(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는 공기청정기(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6)는 송풍 장치(10)와 제2 바디(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6)는 제1 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는 제1 바디(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6)의 일 방향의 폭은 제1 바디(1)의 일 방향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6)의 가장자리는 제1 바디(1)의 둘레벽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는 상협하광의 형상이고, 베이스(6)의 직경은 제1 바디(1) 하단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와 제2 바디(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 바디(2)를 마주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 바디(2)의 하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상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제2 바디(2)의 하면을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 바디(2)를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 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 바디(2)와 제1 바디(1)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토출구(17)는 제2 바디(2)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 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 바디(2)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송풍팬(12)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바디(1)의 상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형성되고, 공기청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테이블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의 하면은 가이드 벽(222)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의 상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에 대해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의 외주단은 제1 바디(1)의 둘레벽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하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 측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의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가 배치된 하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의 수평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구(17)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커버(22)는 토출구(17)의 내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일단은 로어 커버(2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구(17)와 가이드 벽(222)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2)은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상단은 가이드 벽(22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2)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토출 그릴(18)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2)은 상기 일단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2)과 토출 그릴(18)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가이드 벽(222)의 외주단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그릴(18)은 제2 바디(2)와 연결되고, 토출 그릴(18)과 제2 바디(2)의 가이드 벽(222)은 상기 연결 지점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인(181)은 가이드 벽(222)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181)은 길게 연장되고,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의 수평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베인(181)의 길이 방향과 상기 가이드 벽(222)의 연장 방향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 바디(2)를 설명한다.
제2 바디(2)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의 상측면은 평탄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로어 커버(22)를 커버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로어 커버(22)에 탈착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의 상측면은 장축(L1)이 단축(L2)보다 긴 타원형일 수 있다. 어퍼 커버(26)의 상측면은 장축(L1)과 단축(L2)이 서로 대응되는 원형일 수 있다. 즉, 상기에서의 대응은 장축(L1)의 길이와 단축(L2)의 길이가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어퍼 커버(26)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32)는 어퍼 커버(26)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어퍼 커버(26)의 상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어퍼 커버(26)의 직경 방향을 기준으로, 충전 패드(241)가 배치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제1 플레이트(32)가 삽입되는 제1 단턱부(26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충전 패드(241)가 삽입되는 패드홀(261)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어퍼 커버(26)의 하측으로 접근하여 패드홀(261)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의 상측면은 제2 바디(2)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41)는 원형이고, 패드홀(261)은 충전 패드(241)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충전 패드(241)는 패드홀(261)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와 충전 패드(241)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2)는 장축(L1)의 일단에 인접하고, 충전 패드(241)는 장축(L1)의 타단에 인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바디(2)를 설명한다.
제2 바디(2)는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제2 바디(2)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제1 바디(1)에 결합되는 기둥(2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21)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어 커버(22)의 가이드 벽(222)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의 내부는 격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내측에 후크(28)가 결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충전 모듈 설치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충전 코일(272)과 충전 기판(274)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충전 코일(272)과 충전 기판(274)이 배치되는 충전 케이스(27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미들 커버(2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272)은 충전 패드(24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로어 커버(22)의 충전 모듈 설치부(228)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로어 커버(22)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로어 커버(22)를 커버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로어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가이드 마운드(246)와 충전 패드(24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충전 코일(27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미들 커버(24)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는 미들 커버(24)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와 충전 패드(241)는 미들 커버(24)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61)과 충전 패드(241) 사이에는 집수로(243)가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환형일 수 있다. 집수로(243)은 미들 커버(24)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커버(24)에 침투한 액체는 집수로(243)에 저장되고, 제2 바디(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램프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어퍼 커버와 미들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2 관통홀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미들 커버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미들 커버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은 미들 커버에 접촉하고, 타면은 어퍼 커버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은 제2 관통홀을 마주하고, 제2 플레이트의 타면은 제1 관통홀을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일면과 타면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어퍼 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미들 커버(2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어퍼 커버(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커버(24)은 로어 커버(22)와 어퍼 커버(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제1 플레이트(32)가 삽입되는 제1 단턱부(264)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충전 패드(241)가 삽입되는 패드홀(2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와 패드홀(261)은 어퍼 커버(26)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사이드 커버(26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268)는 어퍼 커버(26)의 가장자리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268)는 미들 커버(24)과 로어 커버(22)를 측면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토출 그릴(18)은 제2 바디(2)를 향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2 바디(2)를 마주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2 바디(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제2 바디(2)의 로어 커버(2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로어 커버(22)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m)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m)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와 토출 커버 사이의 이격된 거리(m)는 제1 바디(1)의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의 수평 방향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로어 커버(22)는 제1 바디(1)의 수평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그릴(18)과 로어 커버(22) 사이의 이격된 거리(m)은 제1 바디(1)의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은 제1 바디(1)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가장자리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2)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제2 바디(2)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곡률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로어 커버(22)의 가장자리까지 가이드 벽(222)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과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0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 벽(222)과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2)과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가이드 벽(222)의 외주단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제1 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는 0보다 클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제1 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는, 가이드 벽(222)과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보다 클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제1 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와 가이드 벽(222)과 제2 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의 차이는, 가이드 벽(222)의 외주단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복수 개의 베인(18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단면 형상은 제1 바디(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토출 그릴(18)과 제1 바디(1)가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토출 그릴(18)의 단면 형상과 제1 바디(1)의 단면 형상이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에 대응되는 환형의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와 제2 바디(2)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의 어퍼 하우징(16)의 상단과 로어 커버(222)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가이드 벽(22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어퍼 하우징(16)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어퍼 하우징(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어퍼 하우징(16)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바디(15)의 상단은 어퍼 하우징(16)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내벽인 이너 커버(152)와, 외벽인 이너 하우징(15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바디(15)는 원통형의 이너 커버(152)와, 상기 이너 커버(1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이너 하우징(151)을 포함하고,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토출 유로(153)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 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유로(153)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와 제2 바디(2)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바디(1)는 제2 바디(2)를 지지하는 홀더(19)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9)는 제1 바디(1)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 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 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 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19)의 가상의 중심축과 제1 바디(1)의 가상의 중심축은 같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제1 바디(1)의 상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홀더 베이스(192)와 홀더 벽(19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벽(191)의 형상은 기둥(2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대응된다는 것은 홀더 벽(191)이 기둥(21)과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기둥(21)이 홀더 벽(191)에 삽입되어 유격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벽(191)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 엣지(194)는 홀더(19)의 상단일 수 있다. 홀더 벽(191)의 상단의 위치는 제1 바디(1)의 상단의 위치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홀더 엣지(194)의 위치는 하우징 엣지(161)의 위치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엣지(194)의 위치는 하우징 엣지(161)의 위치보다 높이 위치하고,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홀더 엣지(194)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2)은 홀더 엣지(194)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2)은 홀더 엣지(194)에서 예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출 그릴(18)과, 제1 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벽(222)은 홀더 엣지(194)에서 연결되고,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제1 바디(1)의 홀더(19)에 삽입되는 기둥(2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21)의 형상은 홀더(19)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대응된다는 것은 홀더 벽(191)이 기둥(21)과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기둥(21)이 홀더 벽(191)에 삽입되어 유격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둥(21)의 크기는 홀더(19)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바디(2)는 기둥(21)이 홀더(19)에 삽입되어 제1 바디(1)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기둥(21)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21)은 원통형의 홀더(19)에 고정되도록 보다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기둥(21)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컬럼(19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제1 바디(1)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는 후크(28)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8)는 기둥(21)에 인접하는 로어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28)는 기둥(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갈고리부는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부(미부호)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바디(2)는 가이드 벽(222)에 배치되고, 후크(28)의 갈고리부를 작동시키는 후크버튼(28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버튼(281)은 제1 바디(1)를 마주할 수 있다. 후크 버튼(281)은 토출 그릴(18)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바디(2)는 평탄면이 형성된 어퍼 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는 로어 커버(22)와 어퍼 커버(26)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24)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어퍼 커버(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어퍼 커버(26)에 형성된 제1 단턱부(264)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미들 커버(24)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미들 커버(24)으로부터 어퍼 커버(26)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는 어퍼 커버(26)에 형성된 패드홀(261)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 패드(241)의 하측에는 충전 코일(272)이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272)은 로어 커버(22)와 미들 커버(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기판(273)은 충전 코일(272)에 인접하고, 미들 커버(2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어퍼 커버(26)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바디(2)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광을 발산하는 램프(40)를 포함한다. 램프(40)는 제2 바디(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40)는 제2 바디(2)의 내부에서 외부로 발산하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램프(40)의 광은 제2 바디(2)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램프(40)는 송풍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램프(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판(46)에 실장될 수 있다. 램프(40)는 기판(4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기판(46)에 실장되고, 램프(40)는 기판(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램프(40)는 송풍 장치(10)의 작동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40)는 송풍 장치(10)가 운전 상태일 때 발광하도록, 운전 정지 상태일 때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램프(40)는 공기청정기(3)의 운전 여부,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 송풍 세기, 무선 연결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제어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램프(4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램프(40)는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램프는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를, 제2 램프는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를. 제3 램프는 무선 연결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램프(40)는 기판(46)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램프(40)는 기판(46)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램프(40)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램프(40)의 광이 통과되는 제1 관통홀(42)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42)의 위치는 램프(4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램프(40)는 제1 관통홀(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의 크기는 램프(40)의 크기에 대응되거나 상기 램프(4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제2 바디(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제2 바디(2)의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바디(2)의 내부에 배치된 램프(40)는 제1 관통홀(42)을 통해 일측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홀(42)은 제2 바디(2)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램프(40)는 제2 바디(2)의 상측을 향하여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제2 바디(2)의 어퍼 커버(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의 일측에 관통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홀(42)은 제2 바디(2)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의 일측에 나란하게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램프(40)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관통홀(42)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의 외측면에서 제1 관통홀(42)을 커버하고, 제2 바디(2)의 내부에 배치된 램프(40)가 발산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2 바디(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관통홀(42)을 통해 제2 바디(2)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액체가 침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제1 플레이트(32)가 안착되는 제1 단턱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는 제2 바디(2)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는 어퍼 커버(26)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턱부(264)는 어퍼 커버(26)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는 제2 바디(2)에 리세스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는 제2 바디(2)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턱부(264)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는 제1 플레이트(32)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은, 제1 단턱부(284)와 제1 플레이트(32)가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크기, 형상, 면적, 개수, 위치 등 물리적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턱부(264)의 형상은 제1 플레이트(32)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턱부(264)의 단면적은 제1 플레이트(32)의 단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의 가장자리는 제1 단턱부(264)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2)는 접착제에 의해 제1 단턱부(264)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배치되어 제2 바디(2)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2)는 제1 단턱부(264)에 삽입되고, 제2 바디(2)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32)의 하측면의 가장자리는 제1 단턱부(264)에 안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32)의 상측면은 어퍼 커버(26)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 관통홀(42)에 대응되는 제2 관통홀(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은, 소정의 구성과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크기, 형상, 면적, 개수, 위치 등 물리적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통홀(44)의 위치는 제1 관통홀(42)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의 개수는 제1 관통홀(4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관통홀의 크기는 제1 관통홀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통홀의 상측 단면적의 크기는 제1 관통홀의 하측 단면적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제1 관통홀(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제1 관통홀(42)과 램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를 관통하고,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제1 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램프(40)의 광이 투과되는 제2 플레이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관통홀(44)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관통홀(4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바디(2)의 내측면에서 제2 관통홀(44)을 커버하고, 제2 바디(2)의 내부에 배치된 램프(40)가 발산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제2 바디(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바디(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는 제2 플레이트(34)가 안착되는 제2 단턱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미들 커버(24)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턱부(244)는 미들 커버(24)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미들 커버(24)에 리세스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미들 커버(24)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턱부(244)는 제2 바디(2)의 상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제2 플레이트(34)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은, 제2 단턱부(244)와 제2 플레이트(34)가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크기, 형상, 면적, 개수, 위치 등 물리적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같거나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턱부(244)의 형상은 제2 플레이트(34)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의 단면적은 제2 플레이트(34)의 단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의 가장자리는 제2 단턱부(244)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34)는 접착제에 의해 제2 단턱부(24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어퍼 커버(26)와 미들 커버(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1 관통홀(42)과 제2 관통홀(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어퍼 커버(26)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34)의 상측면은 어퍼 커버(26)의 하측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어퍼 커버(26)의 제2 단턱부(2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어퍼 커버(26)와 제2 단턱부(244)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배치되어 미들 커버(24)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34)는 제2 단턱부(244)에 삽입되고, 미들 커버(24)의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34)의 하측면의 가장자리는 제2 단턱부(244)에 안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34)의 상측면은 미들 커버(24)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어퍼 커버(26)에 맞물릴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가이드 마운드(24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는 미들 커버(24)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는 미들 커버(24)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는 제2 관통홀(44)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마운드(246)는 미들 커버(24)의 상측면에 위치하고, 제2 관통홀(44)의 주변부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가이드 마운드(24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가이드 마운드(246)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마운드(246)는 미들 커버(24)로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승되고, 제2 단턱부(244)는 상기 가이드 마운드(246)의 상측면의 일부로부터 하측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가이드 마운드(246)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26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응된다는 것은 가이드 마운드(246)과 가이드 리브(266)이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의 대응은 가이드 마운드(246)가 가이드 리브(266)에 삽입되어 유격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어퍼 커버(26)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266)는 어퍼 커버(26)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는 가이드 리브(266)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 및 가이드 리브(266)는 어퍼 커버(26)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마운드(246) 및 가이드 리브(266)는 결합된 어퍼 커버(26)가 회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은 제1 플레이트(32)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의 직경은 제1 플레이트(32)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벽(43)은 제1 관통홀(4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둘레벽(43)은 어퍼 커버(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벽(43)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둘레벽(43)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의 단면적은 제2 플레이트(34)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다. 제2 관통홀(44)의 직경은 제2 플레이트(34)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벽(45)은 제2 관통홀(44)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둘레벽(45)은 미들 커버(24)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둘레벽(45)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둘레벽(45)은 제2 관통홀(44)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재실 쾌적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의 상측 단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하측 단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2 관통홀(44)의 상측 단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하측 단면적과 같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통홀(44)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고, 제1 관통홀(42)은 하측 단면적이 제2 관통홀(44)의 상측 단면적에 대응되고, 이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둘레벽(45)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제1 둘레벽(43)이 상하 방향에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 변화율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단면적 변화율보다 클 수 있다.
버튼(50)은 제2 바디(2)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하측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기판(26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로어 커버(22)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가이드 벽(222)을 형성할 수 있다. 버튼(50)은 가이드 벽(25)의 경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2)은 제1 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버튼(50)도 상기 가이드 벽(222)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기판(264)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50)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50)은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르면, 공기청정기(3)의 운전이 시작되거나,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버튼(50)과 기판(46) 사이에는 액츄에이터(48)가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8)의 일단은 기판(46)에 연결되고, 타단은 버튼(5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일단과 타단은 대향될 수 있다. 기판(46)은 액츄에이터(4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츄에이터(48)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액츄에이터(48)는 기판(46)으로부터 버튼(50)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50)이 후방 즉, 제2 바디(2)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버튼(50)은 액츄에이터(48)를 상방으로 푸쉬하고, 기판(46)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8)는 버튼(50)을 전방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버튼(50)은 제2 바디(2)의 둘레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제2 바디(2)의 기둥(21)보다 둘레 말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50)은 제1 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50)은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로어 커버(22)의 둘레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가장자리가 하측으로 벤딩된 사이드 커버(26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268)는 제2 바디(2)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벤딩된 사이드 벽(2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벽(224)은 사이드 커버(268)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268)는 사이드 벽(224)을 커버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268)는 내측면에 돌출된 사이드 리브(26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리브(269)는 사이드 커버(268)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벽(224)은 외측면에 함몰된 사이드 그루브(22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그루브(226)는 사이드 벽(22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리브(269)는 사이드 그루브(226)에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리브(269)는 사이드 그루브(226)에 맞물려 어퍼 커버(26)가 로어 커버(22)에 결합되거나, 사이드 리브(269)는 사이드 그루브(226)로부터 분리되어 어퍼 커버(26)가 로어 커버(22)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가장자리가 하측으로 벤딩된 후킹 리브(248)를 포함할 수 있다. 후킹 리브(248)는 로어 커버(22)에 결합될 수 있다. 후킹 리브(248)는 단부가 경사질 수 있다. 후킹 리브(248)의 경사진 단부는 로어 커버(22)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하측으로 돌출된 파티션 리브(245)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미들 커버(24)를 지지할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램프(4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기판(46)에 접촉될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복수일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제2 관통홀(44)에 인접할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제2 관통홀(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 리브(245)는 제2 관통홀(44)과 기판(46)을 이격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 바디(2)를 설명한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원단 시트(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는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는 방수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는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단 시트(320)는 광이 투과되는 사출물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복수의 인쇄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인쇄층은 제1 원단 시트(320)에 인쇄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층은 제1 인쇄층(32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인쇄층(326)은 제1 원단 시트(320)에 인쇄될 수 있다. 제1 인쇄층(326)은 복수의 램프(40)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쇄층(326)은 6개의 램프(40)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원단 시트(320)에 인쇄될 수 있다.
제1 인쇄층(326)은 램프(40)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비인쇄영역(327)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비인쇄영역(327)은 제1 인쇄층(326)에서 인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의 제1 비인쇄영역(327)을 통해 램프(4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제1 비인쇄영역(327)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비인쇄영역(327)은 복수의 램프(40)의 상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비인쇄영역(327)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횡단면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1 비인쇄영역(327)을 통과하여 제2 바디(2)의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1 인쇄층(326)은 제1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제1 색상은 가시광선의 흡수도가 높은 색상일 수 있다. 제1 색상은 명도가 낮은 색일 수 있다. 제1 색상의 명도는 후술할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1 색상의 명도는 후술할 제3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상은 검정색(black)일 수 있다.
복수의 인쇄층은 제2 인쇄층(3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인쇄층(322)은 제1 원단 시트(320)에 인쇄될 수 있다. 제2 인쇄층(322)은 복수의 램프(40) 중 하나의 램프(4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층(322)은 6개의 램프(40) 중 하나의 램프(4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원단 시트(320)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외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하나의 램프(4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외된 부분을 통과하여 제2 바디(2)의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나머지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2 인쇄층(322)을 투과하여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2 인쇄층(322)은 램프(40)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2 비인쇄영역(3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비인쇄영역(323)은 제2 인쇄층(322)에서 인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의 제2 비인쇄영역(323)을 통해 램프(4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제2 비인쇄영역(323)은 제1 비인쇄영역(327)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인쇄영역(323)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인쇄영역(323)은 복수의 램프(40) 중 어느 하나의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인쇄영역(327)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횡단면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제2 인쇄층(322)은 제2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제2 색상은 어퍼 커버(26)의 색상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층은 제3 인쇄층(324)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인쇄층(324)은 제2 인쇄층(322)이 인쇄된 제1 원단 시트(320)에 인쇄될 수 있다. 제3 인쇄층(324)은 제2 인쇄층(322)이 인쇄된 제1 원단 시트(320)의 일면에 인쇄될 있다. 제3 인쇄층(324)은 제2 인쇄층(322)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제3 인쇄층(324)은 제2 인쇄층(322)과 제1 인쇄층(326) 사이에 인쇄될 수 있다.
제3 인쇄층(324)은 전체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복수의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3 인쇄층(324)을 투과하여 제2 바디(2)의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3 인쇄층(324)은 제3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제3 색상은 가시광선의 흡수도가 낮은 색상일 수 있다. 제3 색상은 명도가 높은 색일 수 있다. 제3 색상의 명도는 제1 색상의 명도보다 높을 수 있다. 제3 색상의 명도는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색상은 흰색(white)이고, 제1 색상은 검정색(black)일 수 있다.
램프(40)의 광은 순차적으로 제1 비인쇄영역(327), 제3 인쇄층(324), 제2 비인쇄영역(323), 및 제1 원단 시트(320)를 통과하여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40)의 광은 제1 비인쇄영역(327)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한 광은 제3 색상의 제3 인쇄층(324)을 투과하고, 상기 투과된 광은 제2 비인쇄영역(323)과, 제1 원단 시트(320)를 통과하여 발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접착 부재에 의해 어퍼 커버(26)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 접착층(328)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플레이트(32)의 제1 인쇄층(326)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복수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포될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외된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1 접착층(328)는 제1 플레이트(32)를 제1 단턱부(26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328)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1 비도포영역(339)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의 면적은 제1 비인쇄영역(327)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의 면적은 제2 비인쇄영역(323)보다 클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원단 시트(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원단 시트(340)는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원단 시트(340)는 방수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원단 시트(340)는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원단 시트(340)는 광이 투과되는 사출물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4 인쇄층(3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인쇄층(342)은 제2 원단 시트(340)에 인쇄될 수 있다. 제4 인쇄층(342)은 복수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인쇄층(342)은 6개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2 원단 시트(340)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외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램프(4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외된 부분을 통과하여 제1 관통홀(42)로 발산될 수 있다.
제4 인쇄층(342)은 램프(40)에서 발상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비인쇄영역(343)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은 제4 인쇄층(342)에서 인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제2 원단 시트(340)의 제4 비인쇄영역(343)을 통해 램프(4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은 복수의 램프(40)의 상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의 면적은 제2 관통홀(44)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횡단면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1, 2 관통홀(42,44)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의 면적은 제1 비인쇄영역(327)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4 비인쇄영역(343)의 면적은 제2 비인쇄영역(323)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4 비인쇄영역(343)을 통과하여 제1 관통홀(42)로 발산될 수 있다.
제4 인쇄층(342)은 제4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제4 색상은 제1 플레이트(32)의 제1 인쇄층(326)의 제1 색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4 색상은 가시광선의 흡수도가 높은 색상일 수 있다. 제4 색상은 명도가 낮은 색일 수 있다. 제4 색상의 명도는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4 색상의 명도는 제3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검정색(black)일 수 있다.
램프(40)의 광은 순차적으로 제4 비인쇄영역(343), 및 제2 원단 시트(340)를 통과하여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40)의 광은 제4 색상의 제4 비인쇄영역(343)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한 광은 제2 원단 시트(340)를 통과하여 발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접착 부재에 의해 미들 커버(24)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접착제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 접착층(344)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2 플레이트(34)의 제4 인쇄층(342)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복수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포될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외된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2 접착층(344)는 제2 플레이트(34)를 제2 단턱부(2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344)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 비도포영역(345)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비도포영역(345)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도포영역(345)의 면적은 제2 관통홀(44)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비도포영역(345)의 면적은 제4 비인쇄영역(327)에 대응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바디(2)를 설명한다.
제1 플레이트(32)는 제1 원단 시트(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복수의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필름은 제1 원단 시트(320)에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필름은 제1 필름(33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필름(336)은 제1 원단 시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름(336)은 복수의 램프(40)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336)은 6개의 램프(40)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되어 제1 원단 시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름(336)은 램프(40)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절개영역(337)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의 제1 절개영역(337)을 통해 램프(4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제1 절개영역(337)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개영역(337)은 복수의 램프(40)의 상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개영역(337)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횡단면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1 절개영역(337)을 통과하여 제2 바디(2)의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1 필름(336)은 제1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색상은 가시광선의 흡수도가 높은 색상일 수 있다. 제1 색상은 명도가 낮은 색일 수 있다. 제1 색상의 명도는 후술할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1 색상의 명도는 후술할 제3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상은 검정색(black)일 수 있다.
복수의 필름층은 제2 필름(3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필름(332)은 제1 원단 시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름(332)은 복수의 램프(40) 중 하나의 램프(40)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름(332)은 6개의 램프(40) 중 하나의 램프(4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절개되어 제1 원단 시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하나의 램프(4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과하여 제2 바디(2)의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나머지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2 필름(332)을 투과하여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2 필름(332)은 램프(40)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2 절개영역(33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원단 시트(320)의 제2 절개영역(333)을 통해 램프(4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제2 절개영역(333)은 제1 절개영역(337)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개영역(333)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개영역(333)은 복수의 램프(40) 중 어느 하나의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개영역(333)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횡단면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제2 필름(332)은 제2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색상은 어퍼 커버(26)의 색상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필름층은 제3 필름(3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필름(334)은 제2 필름(332)이 배치된 제1 원단 시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필름(334)은 제2 필름(332)이 배치된 제1 원단 시트(320)의 일면에 배치될 있다. 제3 필름(334)은 제2 필름(3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필름(334)은 제2 필름(332)과 제1 필름(3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3 필름(334)을 투과하여 제2 바디(2)의 상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제3 필름(334)은 제3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색상은 가시광선의 흡수도가 낮은 색상일 수 있다. 제3 색상은 명도가 높은 색일 수 있다. 제3 색상의 명도는 제1 색상의 명도보다 높을 수 있다. 제3 색상의 명도는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색상은 흰색(white)이고, 제1 색상은 검정색(black)일 수 있다.
램프(40)의 광은 순차적으로 제1 절개영역(337), 제3 필름(334), 제2 절개영역(333), 및 제1 원단 시트(320)를 통과하여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40)의 광은 제1 절개영역(337)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한 광은 제3 색상의 제3 필름(334)을 투과하고, 상기 투과된 광은 제2 절개영역(333) 과, 제1 원단 시트(320)를 통과하여 발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접착 부재에 의해 어퍼 커버(26)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 접착층(328)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1 플레이트(32)의 제1 필름(336)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제1 접착층(328)은 제1 플레이트(32)의 제1 필름(33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는 복수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포될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외된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1 접착층(328)는 제1 플레이트(32)를 제1 단턱부(26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328)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1 비도포영역(339)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의 면적은 제1 절개영역(337)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 비도포영역(339)의 면적은 제2 절개영역(333)보다 클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2 원단 시트(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제4 필름(352)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필름(352)은 제2 원단 시트(3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필름(352)은 복수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필름(352)은 6개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절개되어 제2 원단 시트(3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램프(4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과하여 제1 관통홀(42)로 발산될 수 있다.
제4 필름(352)은 램프(40)에서 발상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절개영역(35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원단 시트(340)의 제4 절개영역(353)을 통해 램프(4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제4 절개영역(353)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절개영역(353)은 복수의 램프(40)의 상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4 절개영역(353)의 면적은 제2 관통홀(44)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절개영역(353)의 면적은 제1 관통홀(4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횡단면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1, 2 관통홀(42,44)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제4 절개영역(353)의 면적은 제1 절개영역(337)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4 절개영역(353)의 면적은 제2 절개영역(333)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제4 절개영역(353)을 통과하여 제1 관통홀(42)로 발산될 수 있다.
제4 필름(352)은 제4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색상은 제1 플레이트(32)의 제1 필름(336)의 제1 색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제4 색상은 가시광선의 흡수도가 높은 색상일 수 있다. 제4 색상은 명도가 낮은 색일 수 있다. 제4 색상의 명도는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4 색상의 명도는 제3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검정색(black)일 수 있다.
램프(40)의 광은 순차적으로 제4 절개영역(353), 및 제2 원단 시트(340)를 통과하여 제1 관통홀(42)로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40)의 광은 제2 색상의 제4 절개영역(353)을 통과하고, 상기 통과한 광은 제2 원단 시트(340)를 통과하여 제1 관통홀(42)로 발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접착 부재에 의해 미들 커버(24)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접착제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4)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 접착층(344)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2 플레이트(34)의 제4 필름(352)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복수의 램프(40)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포될 수 있다. 램프(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외된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2 접착층(344)는 제2 플레이트(34)를 제2 단턱부(2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344)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2 비도포영역(345)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비도포영역(345)은 램프(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도포영역(345)의 면적은 제2 관통홀(44)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비도포영역(345)의 면적은 제4 절개영역(353)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어퍼 커버(26)를 설명한다.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에 관통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의 가장자리에 인접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에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제1 관통홀(42)은 어퍼 커버(26)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반경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어퍼 커버(26)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어퍼 커버(26)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제1 관통홀(42)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제1 관통홀(42)을 서라운딩(surrounding)할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서포트 리브(26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트 리브(267a)는 복수일 수 있다. 제1 서포트 리브(267a)는 육각 형태로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리브(267a)는 어퍼 커버(26)의 하측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리브(267a)는 어퍼 커버(26)에 실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서포트 리브(267a)는 어퍼 커버(26)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어퍼 커버(26)는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2 서포트 리브(26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포트 리브(267b)는 복수일 수 있다. 제2 서포트 리브(267b)는 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포트 리브(267b)는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어퍼 커버(26)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미들 커버(24)를 설명한다.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에 관통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어퍼 커버(26)의 가장자리에 인접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에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제2 관통홀(44)은 미들 커버(24)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반경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44)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캡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중앙부에 배치된 캡슐 형상의 제2 관통홀(44c)과, 상기 캡슐 형상의 제2 관통홀(44c)로부터 미들 커버(24)의 중심부를 향하여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작은 원형의 제2 관통홀(44d)과, 상기 캡슐 형상의 제2 관통홀(44c)로부터 미들 커버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제2 관통홀(44b), 상기 사각 형상의 제2 관통홀(44b)로부터 미들 커버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큰 원형의 제2 관통홀(44a)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상측면으로부터 상승된 가이드 마운드(24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가이드 마운드(24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가이드 마운드(24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부(244)는 가이드 마운드(246)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홀(44)은 제2 단턱부(244)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가이드 마운드(246)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제2 단턱부(244)를 서라운딩(surrounding)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복수의 제2 관통홀(44)을 서라운딩(surrounding)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66)는 미들 커버(24)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미들 커버(24)는 어퍼 커버(26)를 침투한 액체가 저장되는 집수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원형의 미들 커버(24)의 중심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환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C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243)는 미들 커버(24)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관통홀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1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비인쇄영역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은, 상기 램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관통홀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인쇄층 사이에서, 제2 비인쇄영역을 구비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인쇄층과 상기 제2 인쇄층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인쇄되는 제3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램프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은, 상기 복수의 램프의 상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2 비인쇄영역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어느 하나의 램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쇄층은 제1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제2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1 색상의 명도는 상기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쇄층은 제1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제2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3 인쇄층은 제3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 색상의 명도는 상기 제3 색상의 명도보다 낮고, 상기 제1 색상의 명도는 상기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를 덮고 상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어퍼 커버와; 상기 어퍼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미들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제2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원단 시트와, 상기 제2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4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비인쇄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통홀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관통홀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둘레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관통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둘레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관통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상기 제1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관통홀의 상측 단면적은, 상기 제1 관통홀의 하측 단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 커버의 상측면에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제1 단턱부가 하측 방향으로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 커버는, 평탄한 상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단턱부에 안착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면은 상기 어퍼 커버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들 커버의 상측면은 상기 제2 관통홀의 주변부에 하측으로 들어간 제2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단턱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들 커버는, 상측면으로부터 상승되고, 상기 제2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 마운드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 커버는,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마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를 덮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어퍼 커버를 구비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관통홀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배치된 제1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절개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어퍼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미들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원단 시트와, 상기 제2 원단 시트 상에 배치되는 제4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4 필름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절개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제1 바디
2: 제2 바디
3: 공기청정기
6: 베이스
10: 송풍 장치
17: 토출구
18: 토출 그릴
22: 로어 커버
24: 미들 커버
26: 어퍼 커버
32: 제1 플레이트
34: 제2 플레이트
40: 램프
42: 제1 관통홀
43: 제1 둘레벽
44: 제2 관통홀
45: 제2 둘레벽
46: 기판
112: 흡입구
244: 제2 단턱부
246: 가이드 마운드
264: 제1 단턱부
266: 가이드 리브
320: 제1 원단 시트
322: 제2 인쇄층
323: 제2 비인쇄영역
324: 제3 인쇄층
326: 제1 인쇄층
327: 제1 비인쇄영역
328: 제1 접착층
340: 제2 원단 시트
342: 제4 인쇄층
343: 제4 비인쇄영역
344: 제2 접착층

Claims (22)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관통홀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1 인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비인쇄영역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은, 상기 램프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관통홀의 단면적보다 작은 공기청정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인쇄층 사이에서, 제2 비인쇄영역을 구비하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인쇄층과 상기 제2 인쇄층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인쇄되는 제3 인쇄층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인쇄영역은, 상기 복수의 램프의 상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2 비인쇄영역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어느 하나의 램프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은 제1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제2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1 색상의 명도는 상기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은 공기청정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은 제1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제2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3 인쇄층은 제3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 색상의 명도는 상기 제3 색상의 명도보다 낮고, 상기 제1 색상의 명도는 상기 제2 색상의 명도보다 낮은 공기청정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를 덮고 상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어퍼 커버와; 상기 어퍼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미들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발산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제2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발산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원단 시트와, 상기 제2 원단 시트 상에 인쇄된 제4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인쇄층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비인쇄영역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공기청정기.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공기청정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둘레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관통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 둘레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관통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상기 제1 둘레벽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보다 큰 공기청정기.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의 상측 단면적은, 상기 제1 관통홀의 하측 단면적에 대응되는 공기청정기.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커버의 상측면에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제1 단턱부가 하측 방향으로 들어가게 형성된 공기청정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커버는, 평탄한 상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단턱부에 안착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면은 상기 어퍼 커버의 상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공기청정기.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의 상측면은 상기 제2 관통홀의 주변부에 하측으로 들어간 제2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단턱부에 안착되는 공기청정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는, 상측면으로부터 상승되고, 상기 제2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 마운드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 커버는,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마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2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를 덮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어퍼 커버를 구비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관통홀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원단 시트와, 상기 제1 원단 시트 상에 배치된 제1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1 절개영역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어퍼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미들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홀을 커버하고, 상기 램프의 광이 투과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원단 시트와, 상기 제2 원단 시트 상에 배치되는 제4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4 필름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제4 절개영역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112795A 2022-09-06 2022-09-06 공기청정기 KR20240033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795A KR20240033915A (ko) 2022-09-06 2022-09-06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795A KR20240033915A (ko) 2022-09-06 2022-09-06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915A true KR20240033915A (ko) 2024-03-13

Family

ID=9029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795A KR20240033915A (ko) 2022-09-06 2022-09-06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9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874B2 (en) Air washer
CA2882880C (en) Illumination grille assembly and method
ES2776188T3 (es) Unidad in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KR20150075489A (ko) 가습기
KR102078274B1 (ko) 공기조화기
KR102327971B1 (ko)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KR20140092953A (ko) 공기조화기
JP2017109158A (ja) 空気清浄機
KR20170076078A (ko) 조명장치
KR20180060080A (ko) 스마트형 실내조명장치
KR20130129062A (ko) 공기조화기
KR20240033915A (ko) 공기청정기
KR20210071375A (ko) 가습청정장치
KR102139076B1 (ko) 가습기
CN211501040U (zh) 具有照明功能的无叶风扇
US20240017199A1 (en) Air cleaner
JP5132465B2 (ja) 照明装置
JP5159500B2 (ja)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20240009733A (ko) 공기청정기
JP5426471B2 (ja) 空気調和機
KR20240009732A (ko) 공기청정기
KR20130082196A (ko) 램프
CN107842760B (zh) 灯组件以及音箱
CN107366974B (zh) 空调柜机
CN106705400B (zh) 面板组件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