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078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078A
KR20170076078A KR1020150185882A KR20150185882A KR20170076078A KR 20170076078 A KR20170076078 A KR 20170076078A KR 1020150185882 A KR1020150185882 A KR 1020150185882A KR 20150185882 A KR20150185882 A KR 20150185882A KR 20170076078 A KR20170076078 A KR 2017007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light source
fragr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김영우
김자연
오주현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078A/ko
Publication of KR2017007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4F3/1603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기, 상기 공기정화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공기정화기를 지지하고, 바닥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키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영,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에게 빛과 향기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서 향초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향초는 화재의 위험이 존재하고, 다양한 동시에 향기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고 체취나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공기 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공기청정 용량을 키우면서도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형태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보통 실내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낙하시간이 좌우된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낙하시간이 증대된다. 더욱이, 이러한 미세먼지 중 그 크기가 작은 초미세먼지는 낙하시간이 며칠에서 한 달이 소요된다. 따라서, 초미세먼지는 실내 중에 부유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공기를 정화하며 사용자가에 쾌적한 조명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조명환경, 향기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기, 상기 공기정화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공기정화기를 지지하고, 바닥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키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공기 중에 부유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향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명장치에서 광과, 향이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기 배출유닛이 몸체에 내장되므로, 외관이 아름답고, 향초를 사용할 때 생기는 화재위험을 줄이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향을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B-B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필터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에 대한 일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은 도 10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방향제 홀더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기 및 공기정화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112)을 포함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공기정화기를 지지하고, 바닥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키는 스탠드(191)를 더 포함한다.
후술에서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은 도 1 에 표시된 바와 같다. 상하방향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중력방향이 하측방향이고 하측방향의 반대방향이 상측방향이다.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중심축(SA)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하며 상하방향과 평행하고, 수평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다.
공기정화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한 후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공기정화기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0b)와 타측에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0a)를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을 정의하는 본체(120)와, 본체(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흡입구(120b)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140)과, 본체(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흡입구(120b)로부터 토출구(120a)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180)을 포함한다.
본체(120)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내부에 정의한다. 본체(1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필터유닛(140)과, 송풍유닛(180)이 내장된다.
본체(120)는 일부가 바닥과 수직한 중심축(SA)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20)의 원통부분의 수평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체(120)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0b)가 형성되고, 본체(120)의 타측에는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0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20)의 하단에 토출구(120a)가 형성되고, 본체(120)의 상단에 흡입구(120b)가 형성된다. 토출구(120a)는 흡입구(120b) 보다 낮게 위치된다. 또한, 토출구(120a)와 흡입구(120b)는 바닥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출구(120a) 또는 흡입구(120b)의 높이는 70cm 내지 130cm 이다. 여기서, 토출구(120a) 또는 흡입구(120b)의 높이는 바닥에서 토출구(120a) 또는 흡입구(120b) 까지의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토출구(120a) 또는 흡입구(120b)는 후술하는 스탠드(191)에 의해 바닥에서 이격된다.
또한, 이러한 본체(120)는 결합의 편의성을 위해 반원통 형상의 2개의 패널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20)는 강성과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질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0)에는 본체(120)의 내부공간에서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 면적을 확대하는 다수의 방열핀(122)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방열핀(122)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2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서, 방열핀(122)들은 공기의 유동방향인 본체(120)의 축방향(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공기정화기에는 조명유닛을 지지하고, 조명유닛의 열을 공기정화기로 전달하는 지지방열판(121)을 더 포함한다.
지지방열판(121)은 조명유닛의 회로기판(113)이 지지되고, 공기정화기의 외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방열판(121)은 본체(120)의 외면에 연결된다. 지지방열판(121)은 본체(1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서, 상부 방향에서 보아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형태로 본체(120)를 감싸게 배치된다. 지지방열판(121)은 회로기판(113)의 열을 본체(120)로 전달한다. 본체(120)로 전달된 열을 본체(12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방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지지방열판(121)은 수평방향에서 보아 방열핀(122)들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수평방향은 상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120)의 흡입구(120b)는 흡입그릴(52)에 의해 차폐된다. 흡입그릴(52)은 흡입구(120b)의 둘레가 이루는 면 상에 그릴형태로 형성된다. 흡입그릴(52)은 본체(120)의 흡입구(120b)의 내부에 내삽되거나, 본체(120)의 상단에 흡입구(120b)를 가리며 설치될 수도 있다. 흡입그릴(52)은 메쉬형태로써 외부에서 큰 부피를 가지를 물질이 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120)의 토출구(120a)는 토출그릴(51)에 의해 차폐된다. 토출그릴(51)(132-1)은 토출구(120a)의 둘레가 이루는 면 상에 그릴형태로 형성된다. 토출그릴(51)은 본체(120)의 토출구(120a)의 내부에 내삽되거나, 본체(120)의 하단에 토출구(120a)를 가리며 설치될 수도 있다. 토출그릴(51)은 메쉬형태로써 외부에서 큰 부피를 가지를 물질이 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20b)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20b)로 흡입된 공기의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와 같은 오염물질을 집진하고 악취를 탈취한다.
필터유닛(140)은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유닛(140)은 원통형의 본체(12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필터유닛(140)은 원형의 둘레에 대응하여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의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단면에 대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필터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한다. 물론, 필터유닛(140)의 필터면은 본체(12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임의의 선과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유닛(140)은 본체(120)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52)에 안착되어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52)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필터유닛(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풍유닛(180)은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흡입구(120b)에서 토출구(120a)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둘레가 원형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송풍유닛(180)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흡입그릴(52)과 토출그릴(51)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그릴(52) 측에서 토출그릴(51) 측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89)와, 모터(189)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182)과, 송풍팬(182)의 상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82)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구(120a) 측으로 안내하는 베인부(183)와, 베인부(183)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어 모터(189)를 덮는 모터커버(184)를 포함한다.
송풍유닛(180)에 대한 도 7a 내지 도 7c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명유닛은 광을 주변에 광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조명유닛은 광원(112)과, 회로기판(113)을 포함한다.
광원(112)은 광을 생성한다. 광원(112)은 복수 개의 점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점광원은 조명장치(100)에 균일한 광 공급을 위하여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점광원은 조명장치(100)의 광도를 고려하여 그 피치 및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점광원은 색은 모두 백색일 수도 있고, 인접한 점광원들의 색이 혼색되어 백색을 출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12)은 공기정화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점광원들은 공기정화기의 본체(120)의 외주를 감싸게 배치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광원들은 공기정화기 본체(120)의 외주를 감싸는 임의의 원 상에서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배치된다.
점광원은 발광 소자(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LD)와 같이 스스로 발광하는 소자를 포함한다.
점광원은 발광 다이오드가 1개의 단일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근접해서 배치된 집합체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 예를 들면 광의 삼원색인 적, 청, 녹의 발광 다이오드를 근접 배치한 경우도 포함한다.
회로기판(113)은 예를 들면,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전극패턴(미도시) 및 절연성을 가지며 전극패턴을 감싸고, 전극패턴의 일 영역이 노출되는 오프닝부(미도시)를 가지는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패턴에 복수개의 점광원이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113)의 바디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R-4로 형성되거나, 폴리이미드(polyimide),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LCP(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회로기판(113)은 장방형의 사각형 또는 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회로기판(113)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회로기판(113)은 일반 PCB 뿐 아니라, 메탈 코어 PCB(MCPCB, Metal Cor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13)은 점광원들의 배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회로기판(113)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20)의 외주를 감싸는 원형 또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로기판(113)은 본체(120)에서 돌출된 지지방열판(121)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광원(112)이 위치되는 회로기판(113)의 상부면이 상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지지방열판(121)에 위치된다. 이 때, 지지방열판(121)은 수평면과 수평하게 형성된다.
회로기판(113)에 위치된 광원(112)에서 생성된 빛은 상부방향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출된다.
광원(112)에서 생성되는 빛을 확산하기 위해 조명유닛은 광학커버(111)를 더 포함한다. 광학커버(111)는 광원(112)에서 생성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 반사, 산란 및 확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한다. 광학커버(111)는 광원(112)에서 생성된 빛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광학커버(111)는 광원(112)을 가리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학커버(111)는 본체(120)를 감싸게 배치되어서, 광학커버(111)와 본체(120)의 사이에 광원(112)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광학커버(111)는 수평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광원(112)을 가리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학커버(111)는 본체(120)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광학커버(111)와 본체(120)의 외면 사이에는 광원(112), 회로기판(113) 및 지지 방열판이 위치되는 공간의 정의된다.
예를 들면, 광학커버(111)는 수평판(111b)과 수직판(111a)을 포함한다. 수평판(111b)은 수평면 상에서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본체(120)의 외주를 감싸게 배치되고, 수직판(111a)은 수평판(111b)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부에서 보아 일정한 면적을 가지게 배치된다. 특히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판(111b)은 적어도 본체(120)의 외면과 수직판(111a) 사이의 공간을 가리게 배치된다.
광학커버(111)는 광원(112)에서 발생한 광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외부로 광을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확산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광학커버(111)(122)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프리즘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커버(111)(122)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형광체가 도포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원(112)에서 생성된 광은 광학커버(111)(122)를 통해 파장이 변환되거나, 확산될 수 있다.
한편, 광원(112)에서 발생한 광은 광학커버(111)(12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커버는 광 투과율이 존재하며, 광원(112)에서 발생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광학커버(111)(122)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커버(111)는 서포터(115)에 의해 본체(120)에 지지된다.
스탠드(191)는 공기정화기를 지지하고, 바닥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스탠드(191)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되는 지주(192)와, 지주(192)와 연결되고 본체(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아암(193)을 포함한다. 스탠드(191)는 내부에 전기 케이블이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유닛은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1)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서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명령은 광원(112)의 온/오프, 광원(112)의 색상, 광원(112)의 밝기 등이다.
입력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311)를 통해 명령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정보에 대응되도록 조명유닛 또는/및 공기정화기가 제어된다.
입력부(311)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입력부(311b)와 제2 입력부(311b)와 상이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 입력부(311a)를 포함하고, 제2 입력부(311b)는 조그 스위치로 구현된다. 사용자가 조그 스위치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광원(112)의 밝기가 제어된다. 제1 입력부(311a)는 터치패널로 구현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터치하고 슬라이딩 하는 동작에 광원(112)의 밝기 및 온/오프가 제어된다.
제2 입력부(311b)와 제1 입력부(311a)는 본체(12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입력부(311b)와 제1 입력부(311a)는 본체(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체(120)의 하부는 광학커버(111)의 하단 보다 아래로 돌출되어서 외부에 노출된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100)의 필터유닛(140)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필터유닛(140)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에 안착되어 본체(120)의 내부에 경사지게 또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의 둘레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52)에 안착되어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흡입구(120b)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2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필터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덜 경사지도록 필터유닛(140)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의 외형도 필터면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40)은,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141)와, 프리필터(141)의 상측에 적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파필터 바디(142)와,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안착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146)와, 헤파필터(146)의 상측에 적층되어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147, 148)와, 탈취필터(147, 148)의 상측에 적층되어 헤파필터 바디(142)와 결합되는 탈취필터 바디(143)를 포함한다.
프리필터(141)는 그릴이 형성되어 흡입구(120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른다. 프리필터(141)는 흡입그릴(52)에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가운데가 개구되고 가장자리는 헤파필터(146) 및 탈취필터(147, 148)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개구되는 부분이 흡입구(120b)와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프리필터(141)에 적층된다.
헤파필터(146)는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삽입되어 흡입구(120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집진한다. 탈취필터(147, 148)는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헤파필터(146)에 적층되도록 삽입된다. 탈취필터(147, 148)는 흡입구(120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한다.
헤파필터(146) 및 탈취필터(147, 148)는 흡입구(120b)와 대응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흡입구(120b)로 흡입되는 공기를 최대한 정화하도록 한다.
탈취필터(147, 148)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 1 탈취필터(147)와 제 1 탈취필터(147)에 적층되는 제 2 탈취필터(14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파필터(146)와 탈취필터(147, 148)는 상술한 필터면을 형성한다.
탈취필터 바디(143)는 탈취필터(147, 148)의 상측에 적층되어 헤파필터 바디(142)와 탈착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탈취필터 바디(143)는 가운데에 그릴이 형성되어 탈취필터(147, 148)가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180)에 대한 사시도,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180)에 대한 일부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풍팬(182)은 모터(189)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팬(182)은 흡입구(120b)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20a)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킨다.
송풍팬(182)의 상측에는 베인부(183)가 배치된다. 송풍팬(182)의 둘레 및 하측에는 송풍바디(181)가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182)은 흡입구(120b)측인 상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토출구(120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측면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물론, 송풍팬(182)은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힙하여 상측으로 토출할 수도 있다. 원심팬의 송풍량은 동일 회전속도와 크기에서 다른 종류의 팬에 비하여 풍량이 최대화되므로 송풍팬(182)은 원심팬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182)은, 공기가 유입되는 쉬라우드(182-1)와, 쉬라우드(182-1)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와, 복수의 블레이드(182-2)를 고정하며 모터(189)와 결합되는 허브(182-3)를 포함한다.
쉬라우드(182-1)는 유로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혀지는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182-1)의 하단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쉬라우드(182-1)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 각각의 하단과 연결된다.
블레이드(182-2)는 회전시 쉬라우드(182-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측면으로 이송한다. 블레이드(182-2)는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토출되는 측인 트레일링 엣지(trailing edge)가 대각선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된다.
블레이드(182-2)는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측인 리딩 엣지(leading edge)가 트레일링 엣지보다 상당히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82-2)의 상단은 허브(182-3)와 연결되고 하단은 쉬라우드(182-1)와 연결된다.
허브(182-3)는 쉬라우드(182-1)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허브(182-3)는 모터(189)와 연결된다. 허브(182-3)는 블레이드(182-2)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외경에 비교적 급격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허브(182-3)는 모터(189)측에서 쉬라우드(182-1)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182-3)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 각각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술한 허브(182-3)의 외경 형상과, 블레이드(182-2)의 형상과, 본체(120)의 막힌 측면에 의하여 원심팬인 송풍팬(18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
베인부(183)는 송풍팬(182)에 의하여 유동되어 송풍바디(181)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베인부(183)는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83-1)을 포함한다. 베인(183-1)은 상하방향으로 기립되어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베인(183-1)은 각각 길이방향이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베인(183-1)에 의하여 송풍바디(181)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다른 조명장치(100)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지지방열판(121)이 생략되고, 조명유닛의 배치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의 조명유닛은 회로기판(113)이 본체(120)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13)의 하부면은 본체(120)의 외면에 면접촉된다. 따라서, 광원(112)에서 생성된 빛은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방출된다.
회로기판(113)이 본체(120)와 직접 접촉되면 광원(112)에서 발생된 열이 본체(120)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서 방열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조명장치(100)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본체(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로어 링(126)을 더 포함한다.
로어 링(126)은 본체(120)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로어 링(126)은 링 형상으로, 본체(120)의 하부와 연결된다.
로어 링(126)은 본체(120)와 연결된 제1부재와 제1부재(126a)의 일단에서 경사지게 배치된 제2부재(126b)를 포함한다. 제1부재(126a)는 본체(12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부재(126b)는 제1부재(126a)의 하단에서 본체(120)의 중앙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다.
이 때, 제1입력부(311)인 터치패널은 제2부재에 배치된다. 제1입력부(311)는 제2부재의 하부면에 위치되어서, 사용자가 쉽게 터치가능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명장치(100)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방향제 홀더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향기 배출유닛(50)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향기 배출유닛(50)은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방향제(59)를 열에 의해 기화시켜서 향기를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은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510)와 방향제 홀더(510)를 가열하는 가열원(520)을 포함한다.
방향제 홀더(510)는 방향제가 안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가열원(520)에서 생성된 열을 방향제에 전달한다. 여기서, 방향제 홀더(510)에 안착되는 방향제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체입자의 방향제는 가열원(520)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됨으로써, 조명장치(100)의 외부로 발산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열전도성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과 측벽(512)을 포함한다. 지지판(511)은 방향제는 지지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지지판(511)은 원형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벽(512)은 지지판(511)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과 측벽(51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가 정의된다.
가열원(520)은 방향제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가열원(520)은 방향제 홀더(510)를 가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열원(520)은 방향제 홀더(510)의 지지판(511)을 가열한다. 가열원(520) 지지판(511)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가열원(520)은 전기적인 에너지로 열을 생성하는 히터(521)를 포함한다. 히터(521)는 온도상승에 따라 저항 값이 증가하는 정온도특성을 갖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인 전기발열체 또는 열선일 수 있다.
가열원(520)은 히터(521)가 배치되는 발열 지지체(522)를 더 포함한다. 특히, 발열 지지체(522)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된다. 발열 지지체(522)의 내부에는 히터(521)가 매몰된다. 물론, 발열 지지체(522)는 방향제 홀더(510)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 지지체(522)는 지지판(511)과 면 접촉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향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명장치(100)에서 광과, 향이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기 배출유닛(50)이 몸체에 내장되므로, 외관이 아름답고, 향초를 사용할 때 생기는 화재위험을 줄일 수 있다.
방향제 홀더(510)는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S1~S4)으로 구획된다. 즉, 방향제 홀더(510)는 서로 이격되어나, 열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분할영역으로 구획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구회벽에 의해 다수 분할영역(S1~S4)으로 분할된다. 분할영역(S1~S4)은 복수개가 형성된다. 실시예는 방향제 홀더(510)는 4개의 분할영역(S1~S4)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벽(513)은 방향제 홀더(510)의 방향제가 지지되는 공간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벽(513)은 지지판(511)을 다수 개의 독립된 영역으로 구획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획벽(513)은 다수의 분할영역(S1~S4) 간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지지판(511)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단열재는 공지의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구획벽(513)은 다수의 분할영역(S1~S4) 내에 위치된 지지판(511) 사이를 이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측벽(512)에 의해 방향제가 위치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방향제가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벽(513)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벽(513)은 측벽(512), 지지판(511)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정의한다. 구획벽(513)은 원 형상의 지지판(511)을 4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각각의 분할영역(S1~S4)은 1/4 원 형태가 된다. 구획벽(513)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512)에서 연장되어 지지판(511)의 중심에서 만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구획벽(513)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S1~S4)에는 서로 다른 향기를 배출하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위치된다. 따라서, 구획벽(513)에 의해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이 가열되어서 일 분할영역(S1~S4)에 위치된 방향제가 기화되더라도, 다른 일 분할영역(S1~S4)에 위치된 방향제가 기화되는 것이 제한된다.
향기 배출유닛(50)은 향기 배출유닛(50)은 가열원(520)을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서, 기화시키고자 하는 방향제를 선택할 수 있다.
히터(521)는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하나가 배치된다. 하나의 히터(521)는 분할영역(S1~S4)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
향기 배출유닛(50)은 무빙수단에 의해 가열원(520) 및 방향제 홀더(51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무빙수단은 방향제 홀더(510)를 회전시켜서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가 히터(521)와 중첩되게(열전달 되게) 한다.
예를 들면, 무빙수단은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541)와, 모터(541)와 방향제 홀더(510)를 연결하는 회전축(542)을 포함한다.
향기 배출유닛(50)은 공기정화기의 공기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서, 정화된 공기에 의해 향기가 실내에 효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향기배출유닛은 토출구(120a) 또는 흡입구(120b)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되는 것처럼, 향기배출유닛은 흡입구(120b)를 커버하는 흡입그릴(52) 상에 안착된다. 이때, 흡입그릴(52)은 중앙에는 향기 배출유닛(50)이 안착되는 안착부(52A-1)가 배치되고, 흡입그릴(52)의 둘레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인 흡입채널(52A-2)이 배치된다. 흡입채널(52A-2) 내에는 그릴(52A-3)이 배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는 조명 제어모듈(31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공기질 감지센서(60), 인식센서(319)를 더 포함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입력되는 명령정도 또는/및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조명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장치(100)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단말기(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장치(10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단말기와 통신하여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조명 메모리(316)는 조명장치(100)에 설치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광원(112)(110)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및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음향 출력모듈(318)과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의 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조명장치(100)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및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이때,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된 동작정보를 기초로 조명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들은 조명장치(100)의 주변의 정보를 센싱하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장치(100)는 조명 조도감지 센서(314)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식센서(319)를 더 포함한다.
조명 조도감지 센서(314)는 조명장치(100) 주변의 밝기, 온/오프 여부, 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서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인식센서(319)는 조명장치(10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서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인식센서(319)는 접근하는 사용자 또는/및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의 통신모듈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의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230)로부터 수신하여 조명 제어모듈(312)로 출력할 수 있고, 조명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의 단말기의 통신모듈(23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사용된다.
조명 메모리(316)는 조명장치(100)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조명장치(100)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면, 단말기가 조명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 경우, 조명장치(100)가 작동을 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장치(100)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서, 단말기가 조명장치(100)에서 통신 가능한 거리 외에 존재하더라도, 설정된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장치(100)의 밝기, 온/오프 여부, 색상 및 온/오프 시간에 대한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메모리(316)에는 보안모듈(317)의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조명 제어모듈(312)이 조명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들이 조명장치(100)의 제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311)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311)를 통해 명령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정보에 대응되도록 조명장치(100)가 제어된다.
입력부(311)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311)에 명령정보를 입력하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장치(100)의 온/오프, 조명장치(100)의 밝기, 조명장치(100)의 색상, 향기 배출유닛(50) 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온/오프 등이 제어된다.
공기질 감지센서(60)는 광원(112) 주변에 공기의 질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공기질 감지센서(60)는 복수개의 센서군이 조합되어 각 기능부 주위의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단 1회의 동작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는 복합 센서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군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입력부(311)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명령정보를 바탕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사용자의 명령정보에 의해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사용자의 명령정보에 의해 무빙수단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를 배출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한 향기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조명 제어모듈(312)은 입력부(311)에서 입력된 명령정보를 바탕으로 향기 배출유닛(50)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종류를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공기질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된 감지 값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향기 배출유닛(5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기;
    상기 공기정화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공기정화기를 지지하고, 바닥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키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에서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높이는 70cm 내지 130cm 인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에서 여과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는 상기 공기정화기에서 외부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보다 낮게 위치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타측에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을 정의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이 지지되고, 상기 공기정화기의 외면에 설치되는 지지방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방열판은 상기 회로기판의 열을 상기 공기정화기로 전달하는 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의 일부를 차단, 반사, 산란 및 확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광학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의 공기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향기를 배출하는 향기 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
    상기 방향제 홀더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홀더는,
    상기 방향제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상기 방향제 홀더를 이동시키는 무빙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널인 조명장치.
  13.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기; 및
    상기 공기정화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기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타측에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을 정의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이 지지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연결되는 지지방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방열판은 상기 회로기판의 열을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조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광원은 상기 본체의 외주를 감싸게 원형으로 배치되는 조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본체를 감싸게 배치되는 광학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커버와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광원, 회로기판 및 지지 방열판이 위치되는 조명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터치패널인 조명장치.





KR1020150185882A 2015-12-24 2015-12-24 조명장치 KR20170076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82A KR20170076078A (ko) 2015-12-24 2015-12-24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82A KR20170076078A (ko) 2015-12-24 2015-12-24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78A true KR20170076078A (ko) 2017-07-04

Family

ID=5935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82A KR20170076078A (ko) 2015-12-24 2015-12-24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07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051A (zh) * 2018-04-20 2018-11-30 王妃 基于现有市政设施的空气净化系统
KR101998623B1 (ko) * 2019-04-11 2019-07-10 주식회사 테크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led 가로등
WO2020105929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팬던트형 공기조화기
KR20210014930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젬 미세먼지 정화 기능을 갖는 지주형 조명장치
WO2021045316A1 (ko) * 2019-09-02 2021-03-11 주식회사 테크엔 필터 자동 클리닝 공기정화 시스템을 구비한 led 가로등
KR102243983B1 (ko) * 2020-12-22 2021-04-22 주식회사 닷밀 열주등
WO2022030678A1 (ko) * 2020-08-05 2022-02-10 다담마이크로 주식회사 램프형 공기청정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051A (zh) * 2018-04-20 2018-11-30 王妃 基于现有市政设施的空气净化系统
WO2020105929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팬던트형 공기조화기
KR20200060061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팬던트형 공기조화기
KR101998623B1 (ko) * 2019-04-11 2019-07-10 주식회사 테크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led 가로등
KR20210014930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젬 미세먼지 정화 기능을 갖는 지주형 조명장치
WO2021045316A1 (ko) * 2019-09-02 2021-03-11 주식회사 테크엔 필터 자동 클리닝 공기정화 시스템을 구비한 led 가로등
WO2022030678A1 (ko) * 2020-08-05 2022-02-10 다담마이크로 주식회사 램프형 공기청정기
KR102243983B1 (ko) * 2020-12-22 2021-04-22 주식회사 닷밀 열주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6078A (ko) 조명장치
KR101632418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CN106999845B (zh) 空气净化器
CA2882880C (en) Illumination grille assembly and method
KR10120577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 기구
CN101144483A (zh) 通风扇和灯
CN107120773A (zh) 照明和通风系统及方法
US8597389B2 (en) Filtration lighting system
JP598521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CN101255982A (zh) 具有加热器的灯
US7431642B2 (en) Exhaust fan having a unitary molded housing
JP2017109158A (ja) 空気清浄機
TW202222403A (zh) 可攜式空氣淨化器
KR20210105739A (ko) 공기청정기
JP6960152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JP5796186B2 (ja) 照明器具
KR20170038956A (ko) Tv에 설치되는 공기 정화장치
KR102416909B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CN105042423A (zh) 具有空气净化器的和充放电插口的多功能照明灯
KR102536072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JP2011163170A (ja) 天井扇
CN112050102A (zh) 一种多功能装饰灯具
KR102205273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캔들워머
KR20150121031A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20130000530U (ko) 조명기능을 겸한 스탠드형 공기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