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32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32A
KR20240009732A KR1020220087010A KR20220087010A KR20240009732A KR 20240009732 A KR20240009732 A KR 20240009732A KR 1020220087010 A KR1020220087010 A KR 1020220087010A KR 20220087010 A KR20220087010 A KR 20220087010A KR 20240009732 A KR20240009732 A KR 2024000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mp
disposed
housing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김보현
김태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32A/ko
Priority to CN202310848100.9A priority patent/CN117404791A/zh
Priority to US18/221,152 priority patent/US20240019142A1/en
Priority to EP23185183.3A priority patent/EP4306862A1/en
Publication of KR2024000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me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배치되는 램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이 투과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상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일정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간의 청정도를 빠르게 높이도록,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토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사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상측에 별도의 풍향조절을 위한 팬을 배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1-0140930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토출그릴; 및 상기 환형의 토출 그릴로 둘러싸인 평탄면에 배치된 작동부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는 일정 공간 내에서 공기 청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피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큰 부피의 공기청정기가 공간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선행 공개특허는 바디의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환형의 토출구의 중심부에는 작동부가 배치되어, 공기청정기 상단의 협소한 평탄면마저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상측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상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토출 공기는 원거리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공기청정기의 성능의 저하로 직결된다.
따라서, 상측의 공간을 활용하면서, 공기 청정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0930 A호 (공개일자 2021.11.23.)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측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제어의 편의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배치되는 램프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이 투과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램프가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된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패드와 상기 램프 하우징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에 의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바디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하여, 공기청정기의 상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측면 커버와, 로어 커버의 측벽에 의한 겹벽 구조로,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판에 집수로가 형성되어,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관통홀이 없이 빛을 통과시키는 램프 하우징의 구조로,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토출 공기가 흐르는 가이드 벽에 버튼 모듈이 배치되어, 사용자는 버튼 모듈 조작시 토출 기류의 세기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디케이터와 충전 패드가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입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1에서 A1-A2선 절개 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점선 표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흡입구(112)와 토출구(17)가 구비된 제1바디(1)를 포함한다.
제1바디(1)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높이가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벽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실린더 형상의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원통형, 직육면체형, 피라미드형, 정육면체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바디(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의 높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4개의 흡입구(112)가 둘레벽에 사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이격되고,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도가 큰 오염된 공기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된 흡입구를 통해 쉽게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2)에는 루버(111)가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흡입구(11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루버(111)는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버(111)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루버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복수 개의 루버(11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외부 공기가 제1바디(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루버(111)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흡입구(1)는 제1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흡입구(11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과 둘레벽이 개구된 것일 수 있다. 토출구(17)의 일부는 제1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일측으로 개구되고, 토출구(17)는 타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개구되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제1바디(1)의 측면으로 흡입되어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원통 형상의 제1바디(1)의 상측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루버(111)가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11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하우징(11)은 흡입구(112)가 형성된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루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일부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상부를 형성하고,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상측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2)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바디(2)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크고, 제2바디(2)는 상면의 엣지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테이블의 외형을 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평탄면이 구비된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를 커버하도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인디케이터(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는 공기청정기(3)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24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241)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충전 패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연결 단자 없이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무선 충전 모듈일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에 형성된 패드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홀(242)에 삽입되어,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를 지지하는 베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공기청정기(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3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32)의 단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협하광의 형상이고, 베이스(32)의 폭은 제1바디(1) 하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32)는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323)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의 하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제2바디(2)의 하면을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바디(2)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와 제1바디(1)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토출구(17)는 제2바디(2)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바디(2)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송풍팬(12)의 축을 중심으로 한 환형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의 단부에 토출 그릴(18)에 배치되고, 토출구(17)의 형상은 토출 그릴(18)에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181) 사이에 형성된 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형성되고, 공기청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토출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복수 개의 베인(181)을 구비하고, 토출구(17)는 복수 개의 베인(18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테이블의 외형을 형성하는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면은 가이드 벽(221)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상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하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벽은 제1바디(1) 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벽(221)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구(17)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일단은 로어 커버(2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구(17)와 가이드 벽(221)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상단은 가이드 벽(22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토출 그릴(18)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상기 일측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토출 그릴(18)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가이드 벽(221)의 엣지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와 연결되고, 토출 그릴(18)과 제2바디(2)의 가이드 벽(221)은 연결 지점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인(181)은 가이드 벽(221)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바디(2)를 설명한다.
제2바디(2)는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상단에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기둥(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로어 커버(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장축(L1)이 단축(L2)보다 긴 타원형일 수 있다. 플레이트(24)의 상면은 장축(L1)은 단축(L2)과 동일한 원형일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인디케이터(26)가 삽입되는 슬롯(241)을 구비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하측으로 접근하여 슬롯(241)에 삽입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4)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인디케이터(26)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슬롯(241)을 구비하고, 인디케이터(26)는 플레이트(24)의 하측으로 접근하여 슬롯(241)에 삽입되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충전 패드(271)가 삽입되는 패드홀(242)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플레이트(24)의 하측으로 접근하여 패드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원형이고, 패드홀(242)은 충전 패드(271)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충전 패드(271)는 패드홀(24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와 충전 패드(271)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길게 연장된 형상이고, 충전 패드(271)는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인디케이터와 충전 패드를 통하여, 플레이트의 결합 방향을 알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와 충전 패드(271)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장축(L1)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충전 패드(271)는 장축(L1)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24)의 결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바디(2)를 설명한다.
제2바디(2)는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테이블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제1바디(1)에 결합되는 기둥(2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21)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어 커버(22)의 가이드 벽(221)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의 내부는 격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내측에 후크(28)가 결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충전 모듈 설치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 설치부(228)는 인디케이터(26)가 설치되는 부분과 반경 방향으로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충전 코일(272)과 충전 기판(271)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충전 코일(272)과 충전 기판(271)이 배치되는 충전 케이스(27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상판(2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272)은 충전 패드(27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로어 커버(22)의 충전 모듈 설치부(228)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모듈(27)은 로어 커버(22)와 상판(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3)은 로어 커버(2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면은 로어 커버(22)를 커버할 수 있다. 상판(23)은 로어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23)은 램프 하우징(261)과 충전 패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충전 코일(27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상판(23)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과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과 충전 패드(271) 사이에는 메인 집수로(231)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집수로(231)는 램프 하우징(26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슬롯 집수로(23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집수로(231)는 충전 패드(2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패드 집수로(23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상판(2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23)은 로어 커버(22)와 플레이트(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램프 하우징(261)이 삽입되는 슬롯(241)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충전 패드(271)이 삽입되는 패드홀(242)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과 패드홀(242)은 플레이트(24)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측면 커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243)는 플레이트(24)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243)는 상판(23)과 로어 커버(22)를 측면 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토출 커버는 제2바디(2)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제2바디2()를 마주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제1바디(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제2바디(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제2바디(2)의 로어 커버(22)와 이격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로어 커버(22)와 소정 간격(m)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m)만큼 이격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와 토출 커버 간 이격 거리(m)는 제1바디(1)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토출 커버는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로어 커버(22)는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그릴(18)과 로어 커버(22) 사이의 이격 거리(m)은 제1바디(1)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엣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2바디(2)의 엣지로 갈수록 곡률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로어 커버(22)의 엣지까지 가이드 벽(22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0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가변적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는 가이드벽(221)의 엣지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는 0보다 클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는 가이드 벽(221)과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보다 클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제1바디(1)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a)와 가이드 벽(221)과 제2바디(2)의 반경 방향이 이루는 각도(θ3b)의 차이는, 가이드벽(221)의 엣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토출 커버는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복수 개의 베인(18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단면 형상은 제1바디(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에 대응되는 환형의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와 제2바디(2)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어퍼 하우징(16)과 제2바디(2)의 로어 커버(22)를 연결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로어 커버(2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어퍼 하우징(16)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어퍼 하우징(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어퍼 하우징(16)의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바디(15)의 상측 엣지는 어퍼 하우징(16)의 상측 엣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15)는 내벽인 이너 커버(152)와, 외벽인 이너 하우징(15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로(153)는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바디(15)는 원통형의 이너 커버(152)와, 상기 이너 커버(15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이너 하우징(151)을 포함하고, 이너 커버(152)와 이너 하우징(151)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토출 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토출 유로(15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유로(15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와 제2바디(2)는 분리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제2바디(2)를 고정시키는 홀더(19)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제1바디(1)의 상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9)는 홀더 베이스(192)와 홀더 벽(19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제1바디(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제1바디(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9)는 원통형의 제1바디(1)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제1바디(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벽(191)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제1바디(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엣지(194)는 하우징 엣지(161)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181)은 홀더 엣지(194)와 하우징 엣지(1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엣지(194)는 하우징 엣지(161)보다 높게 형성되고, 베인(181)은 상측의 홀더 엣지(194)로부터 하측의 하우징 엣지(161)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홀더 엣지(194)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홀더 엣지(19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홀더 엣지(194)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홀더 엣지(194)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토출 그릴(18)과,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벽(221)은 홀더 엣지(194)에서 연결되고,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의 홀더(19)에 삽입되는 기둥(21)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21)은 홀더(19)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홀더(19)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바디(2)의 기둥(21)은 홀더(19)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홀더 벽(191)은 기둥(21)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21)은 원통형의 홀더(19)에 고정되도록 보다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는 기둥(21)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컬럼(19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컬럼(193)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컬럼(193)은 홀더(19)의 내벽에 접촉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는 후크(28)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8)는 기둥(21)에 인접하는 로어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28)는 기둥(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갈고리부는 홀더(19)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부(미부호)에 끼워질 수 있다. 제2바디(2)는 가이드 벽(221)에 배치되고, 후크(28)의 갈고리부를 작동시키는 후크버튼(24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버튼(281)은 제1바디(1)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크 버튼(281)은 토출 그릴(18)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평탄면이 구비된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로어 커버(22)와 플레이트(24)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판(23)에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판(23)으로부터 플레이트(24)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슬롯(241)에 삽입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는 기판(264)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64)은 인디케이터(26)를 작동시킬 수 있다. 기판(264)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버튼 모듈(2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와 버튼 모듈(25)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버튼 모듈(25)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2바디(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하측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로어 커버(22)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가이드 벽(221)을 형성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가이드 벽(25)의 경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버튼 모듈(25)도 상기 가이드 벽(221)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벽(221)을 따라 흐르는 토출 기류가 버튼 모듈(25)까지 도달하므로, 사용자는 토출 공기의 세기를 손으로 느끼면서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인디케이터(26)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 모듈(25)을 누르면, 공기청정기(3)의 운전이 시작되거나,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2바디(2)의 둘레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2바디(2)의 기둥(21)보다 둘레 말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 모듈(25)은 사용자가 쉽게 닿을 수 있게 로어 커버(22)의 둘레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에 보이지 않는 버튼 모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과 인디케이터(26) 사이에는 기판(264)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과, 기판(264)과, 인디케이터(26)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는 기판(264)이 배치되고, 기판(264)의 하측에는 버튼 모듈(25)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야에 보이지 않는 버튼 모듈(25)을, 상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26)에 의해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26)를 작동시키기 위해 버튼 모듈(25)과, 기판(264)을 연결하는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으로부터 플레이트(24)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패드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의 하측에는 충전 코일(272)이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272)은 로어 커버(22)와 상판(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기판(273)은 충전 코일(272)에 인접하고, 상판(2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23)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플레이트(24)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플레이트(24)와 상판(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23)으로부터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메인 집수로(23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집수로(231)는 상판(23)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는 슬롯 집수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인디케이터(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슬롯(24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슬롯(241)의 엣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의 슬롯과 인디케이터 사이의 틈으로 침투한 액체는 슬롯 집수로에 모일 수 있다.
집수로는 패드 집수로(2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충전 패드(2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패드홀(2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패드홀(242)의 엣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충천 패드(271)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버튼 모듈(25)과, 기판(264)과, 인디케이터(26)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과, 기판(264)과, 인디케이터(26)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플레이트(24)의 슬롯(241)에 삽입되어 플레이트(24)의 상면을 형성하고, 기판(264)은 인디케이터(26)의 하측에 배치되고,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24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243)는 플레이트로(24)의 단부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커버(243)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로(24)부터 하측을 향하여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커버(243)는 로어 커버(22)의 측면부를 커버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단이 벤딩된 측벽(226)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의 측면 커버(243)는 로어 커버(22)의 측벽(226)을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24)의 측면 커버(243)는 측벽(226)에 접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의 측벽(226)은 플레이트(24)의 측면 커버(243)가 벤딩된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4)의 측면 커버(243)는 하측을 향하여 벤딩되고, 로어 커버(22)의 측벽(226)은 상측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플레이트(24)와 로어 커버(22) 사이에는 상판(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판(23)은 측단이 벤딩되어 로어 커버(22)에 결합되는 후킹 리브(235)를 포함할 수 있다. 후킹 리브(235)는 플레이트(24)의 측면 커버(243)가 벤딩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후킹 리브(235)는 로어 커버(22)의 측벽(226)에 벤딩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커버(243)와 후킹 리브(235)는 하측을 향하여 벤딩되고, 측벽(226)은 상측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측면 방향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후킹 리브(235), 측벽(226), 및 측면 커버(243)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커버(22)에 내측면에 후킹 리브(235)가 접촉하고, 로어 커버(22)의 외측면에는 측면 커버(243)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판(23)은 후킹 리브(235)에 의해 로어 커버(22)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로어 커버(22)의 상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측면 커버(243)가 로어 커버(22)의 측벽(226)을 커버하도록, 로어 커버(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와 슬롯(241) 사이에는 갭(244)이 생길 수 있다. 인디케이터(26)와 슬롯(241) 사이의 갭(244)으로 액체가 침투할 수 있다. 상판(23)은 인디케이터(26)와 슬롯(241) 사이의 갭(244)을 통하여 들어온 액체를 저장하는 집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로는 슬롯(241)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23)에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로는 인디케이터(26)의 둘레를 따라 슬롯(241)의 하측에 배치된 슬롯 집수로(232)와, 상판(23)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메인 집수로(도 10 참조, 231), 및 상기 슬롯 집수로(232)와 메인 집수로(231)를 연결하는 연결 집수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램프 하우징(261)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내부에 램프(265)가 배치되는 중공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262)는 하우징 격벽(267)에 의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램프(265)가 램프 하우징(26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하우징(261)은 4개의 하우징 격벽(267)에 의해 5개의 중공부(262)로 구획되고, 5개의 램프(265)는 각각의 중공부(262)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중공부(262)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개구된 일측에는 램프(265)가 배치될 수 있다. 램프(265)는 기판(264)에 연결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의 개구된 일측에는 램프(265)가 연결된 기판(264)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64)은 램프 하우징(261)의 개구부측에 접촉하여, 중공부(262)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하우징(261)은 중공부(262)로부터 하측을 향해 개구되고, 램프 하우징(261)의 하측에는 램프(265)가 연결된 기판(264)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64)과 램프 하우징(261) 사이에는 램프(265)가 배치될 수 있다. 램프(265)는 중공부(262)를 향하여 기판(264)에 배치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하우징(261)의 하측에 배치된 램프(265)는 상측을 향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플레이트(24)의 슬롯(241)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측벽(26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상측벽(266)은 플레이트(24)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의 상측벽(266)은 플레이트(24)의 슬롯(24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의 하우징 상측벽(266)에는 그루브(26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63)는 하우징 상측벽(266)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63)는 중공부(262)로부터 개구부측과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262)는 그루브(263)와 개구부 사이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하우징(261)은 하측으로 개구되고, 그루브(263)는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63)의 두께(d1)는 하우징 상측벽(266)의 두께(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63)의 두께(d1)은 0보다 클 수 있다. 램프(265)에서 발산된 빛은 그루브(263)를 통과하여 외부로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운전 상태의 시각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램프 하우징 내부로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램프(265)는 기판(264)에 연결될 수 있다. 램프(265)는 기판(264)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265)는 램프 하우징(26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기판(264)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265)는 5개가 기판(264)에 일렬로 배치되어, 램프 하우징(265)에 형성된 5개의 중공부(26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265)는 램프 하우징(261)의 그루브(26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265)는 그루브(263)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램프(265)에서 발산된 빛은 상측에 배치된 그루브(263)를 통과하여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상판(23)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상판(23)과 일체화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상판(23)으로부터 상승되고, 슬롯(241)에 삽입되어 플레이트(24)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에 접촉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램프(265)가 배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으로 기판(264)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265)는 기판(264)의 상면에 배치되고,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기판(264)은 버튼 모듈(25)에 접촉되는 버튼 센서(26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센서(268)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251)을 누르면, 버튼 센서(268)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기판(264)에 접촉하는 버튼 리브(25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리브(252)는 버튼 센서(268)에 접촉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버튼 모듈(25)이 배치되는 버튼 룸(22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격벽(222)과 제2격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222)과 제2격벽(223)은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 룸(224)을 구획할 수 있다. 제1격벽(222)과 제2격벽(223)은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격벽(222)은 버튼 룸(224)을 구획하고, 기판(264)을 지지할 수 있다. 제1격벽(222)은 버튼 모듈(25)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격벽(223)은 버튼 모듈(25)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격벽(223)은 버튼 룸(224)을 구획하고, 상판(23)을 지지할 수 있다. 제2격벽(223)과 로어 커버(22)의 가이드벽(221)은 내부에 집수부(225)를 형성할 수 있다. 집수부(225)는 상판(23)으로 커버될 수 있다. 슬롯(241)과 인디케이터(26) 사이의 갭(244)을 통해 들어온 액체는 상판의 슬롯 집수로(232)에 1차 저장되고, 슬롯 집수로(232)를 넘쳐 측벽(226)과 후킹 리브(235) 사이로 침투한 액체는 집수부(225)에 2차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방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버튼 룸(224)의 하측에 버튼 모듈(25)이 결합되는 오프닝(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오프닝에 삽입되어, 버튼(25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모듈(25)은 오프닝 주변부의 가이드 벽(221)에 걸치는 플랜지(25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53)는 버튼 모듈(25)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253)는 버튼 룸(224)에 배치되고, 버튼(251)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모듈(251)은 버튼 룸(224)의 상측으로 접근하고, 플랜지(253)는 오프닝 주변부의 가이드 벽(221)에 걸쳐지고, 버튼(251)은 하측을 향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판(23)을 설명한다.
상판(23)은 제2바디(2)의 상면의 형상일 수 있다. 상판(23)은 원형일 수 있다. 상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판(23)은 램프 하우징(2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3)은 충전 패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261)은 상판(23)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상판(23)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판(23)은 집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에 하측으로 파일 수 있다. 집수로는 상판(23)의 중심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메인 집수로(2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집수로(231)는 원형의 상판(23)의 중심부에서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파일 수 있다.
집수로는 램프 하우징(26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슬롯 집수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는 메인 집수로(231)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 집수로(232)의 폭은 메인 집수로(23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집수로는 충전 패드(2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패드 집수로(2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메인 집수로(231)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의 폭은 메인 집수로(23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패드 집수로(233)는 충전 패드(271)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고, 메인 집수로(23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집수로(233)는 충전 패드(271)의 둘레 중 절반를 따라 'C자'로 형성되고, 메인 집수로(23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배치되는 램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이 투과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를 커버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우징 상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상측벽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루브는 상기 램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램프가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하우징 상측벽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램프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램프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디케이터를 조작하는 버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인디케이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바디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바디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제2바디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바디는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로어 커버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된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충전 패드가 삽입되는 패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판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파인 슬롯 집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판은 상기 상판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파인 메인 집수로와, 상기 메인 집수로와 상기 슬롯 집수로를 연결하는 연결 집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 패드와 상기 램프 하우징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로어 커버를 측면 방향으로 커버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벤딩된 측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측면 커버의 내측에 접촉하도록, 상기 로어 커버의 측단이 벤딩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램프 하우징이 상승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측벽의 내측으로 접촉하여 상기 로어 커버에 결합되도록, 측단이 벤딩되어 형성된 후킹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제1바디
2: 제2바디
3: 공기청정기
17: 토출구
18: 토출 그릴
22: 로어 커버
23: 상판
24: 플레이트
25: 버튼 모듈
26: 인디케이터
181: 베인
221: 가이드 벽

Claims (17)

  1.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배치되는 램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이 투과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램프 하우징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노출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를 커버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우징 상측벽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상측벽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램프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램프가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램프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하우징 상측벽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램프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를 조작하는 버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인디케이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바디의 하면을 형성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제2바디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측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로어 커버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된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충전 패드가 삽입되는 패드홀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파인 슬롯 집수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상판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파인 메인 집수로와,
    상기 메인 집수로와 상기 슬롯 집수로를 연결하는 연결 집수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패드와 상기 램프 하우징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로어 커버를 측면 방향으로 커버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벤딩된 측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측면 커버의 내측에 접촉하도록, 상기 로어 커버의 측단이 벤딩된 측벽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이 상승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측벽의 내측으로 접촉하여 상기 로어 커버에 결합되도록, 측단이 벤딩되어 형성된 후킹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87010A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KR20240009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10A KR20240009732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N202310848100.9A CN117404791A (zh) 2022-07-14 2023-07-11 空气净化器
US18/221,152 US20240019142A1 (en) 2022-07-14 2023-07-12 Air cleaner
EP23185183.3A EP4306862A1 (en) 2022-07-14 2023-07-13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10A KR20240009732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32A true KR20240009732A (ko) 2024-01-23

Family

ID=8728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10A KR20240009732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9142A1 (ko)
EP (1) EP4306862A1 (ko)
KR (1) KR20240009732A (ko)
CN (1) CN1174047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55663U (zh) * 2012-05-24 2014-06-18 夏普株式会社 带电粒子输出装置和送风装置
KR20180065164A (ko)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복합형 공기청정기
DE202019100290U1 (de) * 2018-01-19 2019-06-24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CN111714973B (zh) * 2019-03-19 2022-04-19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系统
US20220154953A1 (en) * 2020-11-19 2022-05-19 Icon Integrated Concepts Llc Air purifier systems and methods
CN114623543A (zh) * 2020-12-14 2022-06-14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净化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04791A (zh) 2024-01-16
US20240019142A1 (en) 2024-01-18
EP4306862A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1390B1 (en) Air conditioner
KR10162369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EP2312202B1 (en) Lamp
CN106091106B (zh) 顶棚埋入型空气调节器
JP6106843B2 (ja) 送風装置
EP383221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299394B2 (en) Electrical function cassette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ventilating fan employing the same
EP4306859A1 (en) Air cleaner
KR20240009732A (ko) 공기청정기
CN104236049A (zh) 空气调节器
CN101737869B (zh) 空调的室内机
KR20240009733A (ko) 공기청정기
KR102139076B1 (ko) 가습기
CN104740946B (zh) 一种空气过滤器
KR10264339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09001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40033915A (ko) 공기청정기
KR20240009735A (ko) 공기청정기
KR1025805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009731A (ko) 공기청정기
CN202648088U (zh) 具快速排水结构的空调内机
KR102046066B1 (ko) 배수펌프의 물통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덕트
JP2011237155A (ja) 空気調和機
CN208012044U (zh) 一种空调控制面板
CN215295133U (zh) 一种盘管支撑装置、盘管装置及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