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3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31A
KR20240009731A KR1020220087009A KR20220087009A KR20240009731A KR 20240009731 A KR20240009731 A KR 20240009731A KR 1020220087009 A KR1020220087009 A KR 1020220087009A KR 20220087009 A KR20220087009 A KR 20220087009A KR 20240009731 A KR20240009731 A KR 2024000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sposed
weight plate
air clea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김보현
윤주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31A/ko
Publication of KR2024000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바디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적층되는 무게판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판은 상기 흡입구보다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상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일정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간의 청정도를 빠르게 높이도록,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토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사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상측에 별도의 풍향조절을 위한 팬을 배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1-0140930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원통형의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토출그릴; 및 상기 환형의 토출 그릴로 둘러싸인 평탄면에 배치된 작동부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는 일정 공간 내에서 공기 청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부피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큰 부피의 공기청정기가 공간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선행 공개특허는 바디의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환형의 토출구의 중심부에는 작동부가 배치되어, 공기청정기 상단의 협소한 평탄면마저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상측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상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토출 공기는 원거리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공기청정기의 성능의 저하로 직결된다.
따라서, 상측의 공간을 활용하면서, 공기 청정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필요성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0930 A호 (공개일자 2021.11.23.)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측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도가 방지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바디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적층되는 무게판을 포함한다.
상기 무게판은 상기 흡입구보다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바디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게판이 배치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사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벽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서포트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돌출된 베이스 컬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판은 상기 베이스 컬럼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컬럼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과 상기 무게판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게판은 외주단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파인 엣지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에 의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바디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하여, 공기청정기의 상측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무게판에 의해 무게 중심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공기청정기의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게판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하중이 증가되어, 공기청정기의 진동과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게판에 의해 공기청정기의 접지력이 증가하여, 공기청정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1-A2선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판, 베이스, 베이스 커버, 및 로어 하우징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판이 베이스에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지지대가 결합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지지대가 결합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흡입구(112)와 토출구(17)가 구비된 제1바디(1)를 포함한다.
제1바디(1)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높이가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벽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실린더 형상의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원통형, 직육면체형, 피라미드형, 정육면체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바디(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의 높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4개의 흡입구(112)가 둘레벽에 사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이격되고, 둘레벽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도가 큰 오염된 공기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된 흡입구를 통해 쉽게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2)에는 루버(111)가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흡입구(11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1)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루버(111)는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버(111)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루버는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복수 개의 루버(11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외부 공기가 제1바디(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루버(111)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흡입구(1)는 제1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흡입구(11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과 둘레벽이 개구된 것일 수 있다. 토출구(17)의 일부는 제1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일측으로 개구되고, 토출구(17)는 타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2)는 제1바디(1)의 둘레벽에 개구되고,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제1바디(1)의 측면으로 흡입되어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횡단면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원통 형상의 제1바디(1)의 상측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는 루버(111)가 배치될 수 있다. 루버(111)는 로어 하우징(11)의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11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하우징(11)은 흡입구(112)가 형성된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바디(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루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어퍼 하우징(1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일부일 수 있다.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하우징(16)은 제1바디(1)의 상부를 형성하고, 토출 그릴(18)은 어퍼 하우징(16)의 상측 엣지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2)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테이블의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제1바디(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바디(2)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디(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크고, 제2바디(2)는 상면의 엣지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테이블의 외형을 할 수 있다.
제2바디(2)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평탄면이 구비된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4)는 제2바디(2)를 커버하도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인디케이터(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는 공기청정기(3)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운전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24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6)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인디케이터(26)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241)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충전 패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연결 단자 없이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무선 충전 모듈일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공기청정기(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에 형성된 패드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패드(271)는 제2바디(2)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패드홀(242)에 삽입되어, 제2바디(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를 지지하는 베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공기청정기(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32)의 폭은 제1바디(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32)의 단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는 상협하광의 형상이고, 베이스(32)의 폭은 제1바디(1) 하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32)는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323)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와 제2바디(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의 하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제2바디(2)의 하면을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바디(2)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토출구(17)는 제2바디(2)와 제1바디(1)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토출구(17)는 제2바디(2)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바디(2)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토출 공기가 흡입구(11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7)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송풍팬(12)의 축을 중심으로 한 환형의 형상일 수 있다. 토출구(17)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의 단부에 토출 그릴(18)에 배치되고, 토출구(17)의 형상은 토출 그릴(18)에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인(181) 사이에 형성된 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형성되고, 공기청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토출구(17)는 토출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커버는 토출 그릴(1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그릴(18)은 복수 개의 베인(181)을 구비하고, 토출구(17)는 복수 개의 베인(18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바디(2)는 테이블의 외형을 형성하는 로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면은 가이드 벽(221)일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상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하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 벽은 제1바디(1) 측을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벽(221)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21)은 제1바디(1)의 외측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구(17)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일단은 로어 커버(2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22)는 토출 그릴(18)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토출구(17)와 가이드 벽(221)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의 상단은 가이드 벽(22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은 토출 그릴(18)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토출 그릴(18)과 가이드 벽(221)은 상기 일측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벽(221)과 토출 그릴(18)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가이드 벽(221)의 엣지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상측에 배치된 토출 그릴(18)은 제2바디(2)와 연결되고, 토출 그릴(18)과 제2바디(2)의 가이드 벽(221)은 연결 지점에서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인(181)은 가이드 벽(221)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를 지지하는 베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하부에 배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는 제1바디(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흡입구(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베이스(32)와 흡입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베이스(3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는 베이스(32)에 결합되어 공기청정기(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추는 무게판(31)일 수 있다. 무게판(31)은 복수 개가 적층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되는 바텀 하우징(34)과, 상기 바텀 하우징(34)을 커버하는 바텀 커버(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부는 바텀 하우징(3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부는 바텀 하우징(34)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 하우징(34)은 바텀 커버(35)가 덮을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필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13)는 로어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에 형성된 흡입구(112)를 마주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향하는 공기는 필터(113)를 통과하여 제1바디(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13)는 원통형의 제1바디(1)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의 내벽을 마주할 수 있다. 필터(113)는 로어 하우징(11)의 내벽을 마주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필터(11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흡입구(112)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향하는 공기는 필터(113)를 통과하여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제1바디(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는 로어 하우징(1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통하여 흡입 유로(1120)로 들어온 공기는 송풍팬(12)에 의하여 제1바디(1)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 내부에 배치되는 오리피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송풍팬(12)을 마주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흡입 유로(1120)를 마주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의 일면은 송풍팬(12)을 마주하고, 타면은 흡입 유로(1120)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114)의 일면은 송풍팬(12)을 마주하고,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은 흡입 유로(1120)를 마주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유입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된 공기는 오리피스(114)의 유입구(115)를 통과하여 송풍팬(12)을 향할 수 있다. 유입구(11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114)는 유입구(115)를 형성하는 엣지가 상측을 향하여 벤딩된 유입 가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드(116)는 송풍팬(12)측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흡입 유로(1120)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 가이드(116)를 통하여 손실 없이 송풍팬(1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가이드(116)는 유입구(115)를 형성하는 오리피스(114)의 내측 엣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유입구(115)를 마주할 수 있다. 송풍팬(12)은 유입구(11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송풍 유로(134)와 흡입 유로(1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은 송풍 유로(134)와 흡입 유로(1120)를 구획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송풍팬(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축(141)은 송풍 모터(14)와 송풍팬(1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은 상측에 위치한 송풍 모터(14)와 축(141)에 의해 연결되고, 송풍팬(12)의 회전에 의해 기류는 제1바디(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송풍팬(12)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모터(14)는 송풍팬(1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흡입 유로(1120)에서 유입구(115)를 거쳐 불어온 공기는 송풍팬(12)에 의해 상측의 송풍 유로(134)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송풍 모터(14)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베이스(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베이스(32)와 흡입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모터(14)는 제1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모터(14)는 베이스(32)와 무게판(31)의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모터(14)는 바텀 하우징(3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게 중심은 하측으로 더욱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전도 방지를 위해 필요한 무게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송풍 모터(14)와 송풍팬(12)을 연결하는 축(141)은 흡입 유로를 관통하여 송풍팬(12)에 연결될 수 있다. 축(141)은 제1바디(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중공부(1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13)는 중공부(1131)에서 외측을 향해 절개된 절개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13)는 중심부에서 측면 방향의 외측을 향해 절개된 절개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축(141)은 필터(113)의 절개부(1132)를 통해 중공부(1131)로 삽입될 수 있다. 축(141)은 필터(113)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제1바디(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필터(113)는 적어도 양 방향에서 조립될 수 있다. 필터(113)는 축(141)을 중심으로 적어도 양 방향에서 접근하여, 축(141)을 감싸는 형태로 제1바디(1) 내부에 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13)는 제1파츠(113a)와 제2파츠(11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2파츠(113a,b)는 양 방향에서 접근하여 조립될 수 있다.
제1파츠(113a)는 결합홈(1132)과 결합돌기(1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파츠(113b)는 제1파츠(113a)의 결합홈(1132a) 및/또는 결합돌기(1133a)에 대응되는 결합돌기(1133b) 및/또는 결합홈(1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파츠(113a,b)는 각각 결합홈(1132)과 결합돌기(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파츠(113a)는 결합홈(1132a)과 결합돌기(1133a)를 포함하고, 제2파츠(113b)는 상기 제1파츠(113a)의 결합홈(1132a)과 결합돌기(1133a)에 대응되는 결합돌기(1133b)와 결합홈(11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제1바디(1)는 로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1)은 적어도 두 파츠 이상으로 분리 가능한 어셈블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하우징(11)은 두 파츠의 둘레벽으로 형성되고, 양 둘레벽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접근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베이스(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디(1)의 둘레벽 하단은 베이스(32)의 둘레벽에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32)의 둘레벽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바디(1)는 상협하광의 형상이고, 제1바디(1)의 둘레벽 하단은 베이스(32)의 둘레벽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1)의 둘레벽 하단은 원형이고, 베이스(32)의 둘레벽은 제1바디(1)의 둘레벽 하단보다 작은 원형일 수 있다.
베이스(32)에는 복수 개의 무게판(31)이 적층될 수 있다. 무게판(31)은 베이스(3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판(31)은 베이스(32)의 바닥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2)의 바닥면은 원형이고, 무게판(31)은 상기 바닥면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9개가 적층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33)는 무게판(31)을 커버할 수 있다. 무게판(31)은 베이스(32)와 베이스 커버(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33)는 베이스(32)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33)는 베이스(32)의 둘레벽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33)는 이물질과 수분으로부터 무게판(3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무게판(31)을 설명한다.
무게판(31)은 플레이트일 수 있다. 무게판(31)은 원판 형상일 수 있다.
무게판(31)은 베이스(32)에 결합되도록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홀(311)은 무게판(31)에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311)은 무게판(3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311)은 무게판(31)을 관통할 수 있다.
홀(311)은 베이스(32)의 베이스 컬럼(도 7 참조, 325)에 결합될 수 있다.
홀(311)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베이스 컬럼(325)이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311)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311)은 무게판(3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311)은 무게판(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311)은 무게판(31)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311)은 무게판(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311)은 무게판(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판(31)은 6개의 홀(311)을 포함하고, 6개의 홀(311)은 무게판(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무게판(31)는 둘레에 형성된 엣지 그루브(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 그루브(312)는 무게판(31)의 엣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엣지 그루브(312)는 무게판(31)의 엣지에서 무게판(31)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엣지 그루브(312)는 무게판(31)의 둘레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엣지 그루브(312)는 무게판(31)에 형성된 홀(3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홀(311)이 무게판(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엣지 그루브(312)는 인접하는 2개의 홀(3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베이스(32)를 설명한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제1바디(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32)는 무게판(31)이 배치될 수 있는 리세스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부(321)는 베이스(32)의 바닥면일 수 있다. 리세스부(321)는 무게판(31)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판(31)은 리세스부(321)에 접촉할 수 있다. 무게판(31)은 리세스부(3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벽(322)은 리세스부(321)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벽(322)은 리세스부(3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사이드벽(322)의 내측에는 무게판(31)이 배치되고, 사이드벽(322)의 외측으로는 제1바디(1)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제1바디(1)가 안착되는 둘레단(3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는 사이드벽(322)에 접촉하고, 둘레단(322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단(32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는 둘레단(3221)에 접촉할 수 있다.
둘레단(3221)의 높이는 사이드벽(322)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둘레단(3221)은 사이드벽(322)에 연결될 수 있다. 둘레단(3221)은 사이드벽(32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둘레단(3221)의 폭은 로어 하우징(1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둘레단(3221)은 경사벽(323)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둘레단(3221)은 리세스부(3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되고, 사이드벽(322)은 둘레단(3221)의 내측 엣지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둘레단(3221)과 사이드벽(322)에 연결된 고정 리브(32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리브(3222)는 제1바디(1)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리브(3222)는 제1바디(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리브(3222)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리브(3222)는 둘레단(322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리브(3222)는 사이드벽(322)의 둘레를 따라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리브(3222)는 둘레단(3221)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무게판(31)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베이스 컬럼(32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컬럼(325)은 리세스부(321)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베이스 컬럼(325)의 높이는 사이드벽(32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컬럼(325)의 높이는 사이드벽(322)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베이스 컬럼(325)은 리세스부(321)에 연결된 로어 컬럼(325a)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컬럼(325a)의 반경은 무게판(31)의 홀(311)의 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로어 컬럼의(325a) 단면 형상은 무게판(31)의 홀(3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판(31)의 홀(311)은 원형이고, 로어 컬럼(325a)은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컬럼(325)은 로어 컬럼(325a)에 연결된 어퍼 컬럼(325b)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컬럼(325b)은 로어 컬럼(325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컬럼(325b)은 로어 컬럼(325a)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어퍼 컬럼(325b)의 폭은 로어 컬럼(325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어퍼 컬럼(325b)의 단면 형상은 로어 컬럼(325a)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컬럼(325a)은 원기둥 형상이고, 어퍼 컬럼(325b)은 로어 컬럼(325a)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컬럼(325)은 어퍼 컬럼(325b)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컬럼 리브(325c)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럼 리브(325c)는 로어 컬럼(325a)에 연결될 수 있다. 컬럼 리브(325c)는 로어 컬럼(325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럼 리브(325c)의 높이는 어퍼 컬럼(325b)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컬럼 리브(325c)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컬럼 리브(325c)는 복수 개가 어퍼 컬럼(325b)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컬럼 리브(325c)는 무게판(31)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무게판(31)의 홀(311)은 작은 원기둥 형상인 어퍼 컬럼(325b)에 삽입되고, 삽입된 홀(311)은 컬럼 리브(325c)를 따라 하측의 로어 컬럼(325a)으로 안내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외벽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벽(323)은 사이드벽(322)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벽(323)은 둘레단(3221)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벽(323)의 높이는 둘레단(322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둘레단(3221)의 높이는 사이드벽(322)의 높이보다 작고, 경사벽(323)의 높이는 둘레단(322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경사벽(323)은 베이스(31)의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벽(323)의 반경은 제1바디(1)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경사벽(323)의 엣지는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31)는 경사벽(323)의 엣지에 형성된 서포트벽(3231)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벽(3231)은 경사벽(323)의 엣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벽(3231)은 바닥에 접촉할 수 있다. 서포트벽(3231)은 공기청정기(3)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벽(3231)의 둘레는 제1바디(1)의 둘레보다 클 수 있다. 서포트벽(3231)은 제1바디(1)의 둘레벽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트벽(3231)은 제1바디(1)의 둘레벽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제1바디(1)의 둘레벽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31)는 사이드벽(322)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턱(32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턱(327)은 무게판(31)의 결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턱(327)은 무게판(31)의 엣지 그루브(312)의 깊이보다 작게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턱(327)의 폭은 엣지 그루브(312)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턱(327)의 높이는 사이드벽(322)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베이스(31)는 사이드벽(322)을 관통하는 배선홀(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은 배선홀(326)에 배치되어 공기청정기(3)에 전력을 공급하고, 내부의 전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배선홀(326)은 사이드벽(322)과 경사벽(323)을 관통할 수 있다. 배선홀(326)은 가이드 턱(327)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선홀(326)은 가이드 턱(327)을 관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무게판(31)과 베이스(32)를 설명한다.
무게판(31)은 베이스(32)의 리세스부(321)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판(31)은 리세스부(321)에 접촉할 수 있다. 무게판(31)은 리세스부(321)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무게판(31)은 사이드벽322()에 접촉할 수 있다. 사이드벽(322)은 무게판(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31)의 베이스 컬럼(325)은 무게판(31)의 홀(311)에 삽입될 수 있다. 무게판(31)의 홀(311)은 베이스 컬럼(325)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무게판(31)의 홀(311)은 베이스 컬럼(325)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1)의 가이드 턱(327)은 무게판(31)의 엣지 그루브(3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1)의 가이드 턱(327)은 엣지 그루브(31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턱(327)은 엣지 그루브(312)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적층된 무게판(31)의 엣지 그루브(312)와 가이드 턱(327)은 전선이 통과하는 배선 공간(328)을 형성할 수 있다. 배선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전선은 상기 배선 공간(327)을 통하여 전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배선 공간(328)은 무게판(31)이 적층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판(31)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고, 배선 공간(32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베이스(31)를 설명한다.
베이스(31)는 돌기(328)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28)는 베이스(3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328)는 베이스(31)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328)는 베이스 컬럼(325)이 돌출된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328)는 공기청정기(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돌기(328)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328)는 베이스(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돌기(328)는 제1돌기(328a)와 제2돌기(32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328a)는 복수 개가 베이스(3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돌기(328a)는 베이스(31)의 반경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돌기(328a)는 베이스 컬럼(325)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베이스 컬럼(325)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컬럼(325) 사이에 6개의 제1돌기(328a)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328b)는 복수 개가 베이스(31)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328b)는 제1돌기(328a)보다 베이스(3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기(328b)는 베이스(3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328b)는 베이스(3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베이스 컬럼(325)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제2돌기(328b)는 6개의 베이스 컬럼(325)의 위치로부터 방사형상으로 각각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31)는 경사벽(323)의 하측에 배치된 서포트 리브(32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경사벽(323)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사이드벽(3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경사벽(323)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공기청정기(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경사벽(323)을 보강하여, 공기청정기(3)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경사벽(323)의 둘레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리브(324a)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 리브(324a)는 복수 개가 베이스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라운드 리브(324a)가 베이스(3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경사면(323)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리브(324)는 라운드 리브(324a)를 교차하는 보조 리브(324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리브(324b)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리브(324b)는 라운드 리브(324a)에 교차할 수 있다. 보조 리브(324b)는 경사벽(323)을 보강할 수 있다. 보조 리브(324b)는 베이스(31)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리브(324b)는 라운드 리브(324a)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베이스 지지대(329)를 설명한다.
공기청정기(3)는 제1바디(1)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지지대(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의 상측에는 제1바디(1)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경사벽(3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경사벽(323)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제1바디(1)와 베이스(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경사벽(323)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지지대(329)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환형의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상협하광의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의 외벽은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의 내벽은 베이스(31)의 경사벽(323)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지지대(329)는 길게 연장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경사벽(32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경사벽(323)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둘레단(3221)의 외측에 접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경사벽(323)과, 둘레단(3221)과, 제1바디(1)의 하단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경사벽(323)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중심을 기준으로 경사벽(323)에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31)에는 베이스 지지대(329)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는 경사벽(32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리브는 관통구에 삽입되고,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대(329)는 베이스(31)의 반경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바디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적층되는 무게판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판은 상기 흡입구보다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바디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게판이 배치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사이드벽과, 상기 사이드벽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는 하단부의 외둘레가 상단부의 외둘레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는 하단부의 외둘레가 상단부의 외둘레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베이스보다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둘레는 상기 제1바디의 하단부의 외둘레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서포트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리브는 상기 경사벽의 둘레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라운드 리브에 교차하는 보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돌출된 베이스 컬럼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판은 상기 베이스 컬럼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컬럼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과 상기 무게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게판은 외주단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파인 엣지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벽이 관통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배선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사이드벽과 상기 적층된 무게판의 엣지 그루브는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배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엣지 그루브에 맞물려 상기 무게판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이스 컬럼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 컬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기 베이스 컬럼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풍 모터는 상기 무게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보다는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벽에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제1바디
2: 제2바디
11: 로어 하우징
16: 어퍼 하우징
17: 토출구
18: 토출 그릴
22: 로어 커버
23: 상판
24: 플레이트
31: 무게판
32: 베이스
33: 베이스 커버
34: 바텀 하우징
35: 바텀 커버

Claims (17)

  1. 둘레벽에 형성된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마주하는 필터;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제1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 모터;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면이 상기 제1바디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적층되는 무게판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판은,
    상기 흡입구보다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바디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게판이 배치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사이드벽과,
    상기 사이드벽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벽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하단부의 외둘레가 상단부의 외둘레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하단부의 외둘레가 상단부의 외둘레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베이스보다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둘레는,
    상기 제1바디의 하단부의 외둘레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서포트 리브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리브는,
    상기 경사벽의 둘레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리브는,
    상기 베이스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라운드 리브에 교차하는 보조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돌출된 베이스 컬럼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판은,
    상기 베이스 컬럼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컬럼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과 상기 무게판이 결합되는,
    공기청정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판은 외주단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파인 엣지 그루브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벽이 관통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배선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사이드벽과 상기 적층된 무게판의 엣지 그루브는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배선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엣지 그루브에 맞물려 상기 무게판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턱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베이스 컬럼이 구비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 컬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베이스 컬럼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터는,
    상기 무게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보다는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벽에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87009A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KR20240009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09A KR20240009731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09A KR20240009731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31A true KR20240009731A (ko) 2024-01-23

Family

ID=8971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09A KR20240009731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7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30A (ko) 2020-05-14 2021-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4725C (zh) 鼓风装置和空调装置
US20160195106A1 (en) Centrifugal fan, and fan equipped with sound-muffling box and using centrifugal fan
US10299394B2 (en) Electrical function cassette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ventilating fan employing the same
EP4306859A1 (en) Air cleaner
KR20240009731A (ko) 공기청정기
CN114061005B (zh) 空气净化器
KR102476795B1 (ko) 공기조화기
CN114616426A (zh) 扩散器、扩散器组件和具有该扩散器的空调
KR10070946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240009735A (ko) 공기청정기
JPH1126456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18009001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0343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94910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팬모듈
JP5426471B2 (ja) 空気調和機
US20240019142A1 (en) Air cleaner
KR20240009733A (ko) 공기청정기
KR20210099381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480008B1 (ko) 공기청정기
KR102448992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572845B1 (ko) 블로워
CN219976565U (zh) 供暖设备
KR102533664B1 (ko) 공기청정기 서큘레이터
KR2018008978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17685753U (zh) 集成有空调的电视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