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614A -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 Google Patents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614A
KR20240033614A KR1020220136960A KR20220136960A KR20240033614A KR 20240033614 A KR20240033614 A KR 20240033614A KR 1020220136960 A KR1020220136960 A KR 1020220136960A KR 20220136960 A KR20220136960 A KR 20220136960A KR 20240033614 A KR20240033614 A KR 2024003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atient
impression
implan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ublication of KR2024003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5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trac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61C9/006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projecting one or more stripes or patterns on the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하여 제작되되, 피시술자의 구강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가 각인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기 결정된 상기 측정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는 인상재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측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실된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상악과 하악에 결착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조물이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 구조물의 인상재를 보정하여 교합기에 마운트(mount)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MEASURE METHOS OF DENTAL IMPRESSION ACQUISITION FOR IMPLANT USING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관계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한 절차가 생략된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 대체물을 식립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은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은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특히 결손이 크거나 무치아 환자의 경우에 구강 교합을 체득하기 위하여 환자의 잇몸 모형물에 림(rim, waxing up)을 작업하여 제작한 후에 교합관계를 체득하게 된다. 이때, 체득된 무치아 환자의 교합은 측정 과정에서 유격이 발생될 수 있고 채득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주로 치료자의 경험과 노하우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불가피하게 시행착오가 많이 발생되는 상황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3701호(2016년05월13일.공개) 한국 등록실용 제20-0369308호(2004년11월24일.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치아 환자의 구강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교합 관계 측정 과정에서 특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고 제작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은,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하여 제작되되, 피시술자의 구강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가 각인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기 결정된 상기 측정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는 인상재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측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실된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상악과 하악에 결착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조물이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 구조물의 교합관계를 보정하여 교합기에 마운트(mount)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구조 정보는,
상기 측정 구조물의 아치 모양과 크기, 치아 배열 라인, 교합 평면(입술라인), 중심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와 대비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하여 기성품 또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조물은 상부와 하부에 인상재가 적층되어 있고,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상악과 하악에 결착된 상태에서 촬영된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통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상기 측정 구조물의 인상재를 보정하여 교합기에 마운트(mount)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측정 구조물의 상면과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평평한 부위에는 복수의 요철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측정 구조물은,
피시술자의 상악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 또는 피시술자의 상악과 하악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과 제2 밀착면;
상기 제1 밀착면과 제2 밀착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는 인상재; 및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은, 무치아 환자의 구강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인상체득 과정에서 특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고 제작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상악 측정 구조물의 도면들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상악 및 하악 측정 구조물의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일부 단면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진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상재가 적층된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진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에 장착된 측정 구조물과 종래의 비교 사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진들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특히 무치아 환자의 경우에 구강 인상을 체득하기 위하여 환자의 잇몸 모형물에 림(rim, waxing up)을 작업하여 제작한 후에 인상을 체득하게 된다. 이때, 체득된 무치아 환자의 인상은 측정 과정에서 유격이 발생될 수 있고 채득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주로 치료자의 경험과 노하우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불가피하게 시행착오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 결정된 형상의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을 사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에 고정한 상태로 촬영된 안면 이미지만을 사용하여 바로 피시술자에 적합한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철물의 제작과정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인상 채득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상악 측정 구조물의 도면들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상악 및 하악 측정 구조물의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일부 단면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진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재가 적층된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은,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하여 3D 프린터 또는 금형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100, 200)를 제작하여 준비하고(S100), 기 결정된 상기 측정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는 인상재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측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실된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상악과 하악에 결착하는 단계(S200), 상기 측정 구조물이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00) 및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 구조물의 인상재를 보정하여 교합기에 마운트(mount) 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구조물(100, 200)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S100). 여기서, 측정 구조물(100, 200)은 피사용자의 상악에 결착하여 측정하는 상악 측정 구조물(100)과 상악과 하악에 동시에 결착하여 사용하는 측정하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악 측정 구조물(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치아 피시술자의 상악 잇몸부위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110)과 상기 제1 밀착면(110)의 전면, 즉 중심라인(Central line) 부위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중심라인은 기 결정된 크기로 형성되는 상악 측정 구조물(100)의 치아 중심점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중심라인은 상악 측정 구조물(100)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되는 경우에 피수술자의 치아 배열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악 측정 구조물(100)의 제1 밀착면(110)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밀착면(110)의 상면에는 인상재(S)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밀착면(110)의 평평한 부위에는 마름모 형상의 요홈(101) 및 요철(102)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상재(S)가 상기 요홈(101) 또는 요철(102)에 의하여 유격없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상재(S)는 외부 열에 의하여 형상 변형이 가능한 소재이므로 상기 제1 밀착면(110)의 상기 요홈(101)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상기 요철(102)의 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덮은 상태로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악 측정 구조물(100)를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하여 측정하는 경우에 유동이나 유격없이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하악 구조물(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치아 피시술자의 상악 잇몸부위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210), 피시술자의 하악 잇몸부위에 밀착되는 제2 밀착면(22), 상기 제1 밀착면(210)과 제2 밀착면(220)의 전면, 즉 중심라인(Central line) 부위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심라인은 기 결정된 크기로 형성되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의 치아 중심점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중심라인은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되는 경우에 피수술자의 치아 배열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밀착면(210) 및 제2 밀착면(220)과 인상재(S)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에 결착하는 과정 또는 제3의 장소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상재(S)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시술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상기 인상재(S)가 도포 또는 적층된 기 결정된 크기의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을 사용하여 피시술자의 상부와 하부에 결착하는 단계(S200)가 진행될 수 있다. 즉, 피시술자의 치아가 하악에 일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악 측정 구조물(100)을 사용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치아가 전부 유실된 경우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을 사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구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시술자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에 상기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을 결착한 상태로 안면 부위를 촬영하여 인상을 채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실시간으로 작업자에서 전달될 수 있다(S300). 이를 통하여, 상기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개략적인 구강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시술자는 채득된 피시술자의 개략적인 인상 정보를 확인한 후에 상기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의 인상재(S)를 보완 및 보정이 즉시 진행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하여 기 결정된 상기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의 아치 모양과 크기, 치아 배열 라인, 교합 평면(입술라인) 및 중심선 등을 기준으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와 대비하여 오차 없이 보다 용이하게 인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은 기 결정된 크기로 제작되고, 평균적인 성인 치아의 구강 구조와 일치하는 아치 형상(R)과 크기 정보 및 치아 크기와 형상을 확인할 수 있는 라인(P)이 각인되어 있고, 치아의 배열 라인(L)과 교합 평면인 입술라인(미도시)과 중심선(C)이 표시되어 있다. 즉, 피시술자가 상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을 결착하는 경우에 시술자로부터 작업자에게 전달된 촬영 이미지나 영상을 통하여 기 결정된 정보로 제작된 악 측정 구조물(100) 또는 상하악 측정 구조물(200)를 통하여 즉시 피시술자의 정확한 인상정보를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하기 전에 무치아 피시술자의 인상정보를 채득하는 과정이 시술자의 경험이니 노하우에 의존하여 여러 번 반복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제거됨으로써, 채득된 인상정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시술을 위한 진행과정이 크게 감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형체에 림(rim)을 개략적으로 만들어 결착시켜 무치아 피시술자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므로, 결착 과정에서 상기 림이 이동되거나 유격이 발생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구강구조나 치아 배열 등의 인상정보에 따라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100, 200)이 결착되는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전에 피시술자의 구강구조를 대비하여 판단이 가능하므로 피시술자의 인장 채득에 필요한 과정이 일회에 완성되어 시술과정이 크게 감축되게 된다. 특히, 임플란트용 픽스쳐(fixture)가 장착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100, 200)을 피시술자에 결착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진들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측정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300)은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하여 3D 프린터 또는 금형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30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구조물(300)은 무치아 환자의 상악에 결착되는 상악 측정부(310)과 하악에 결착되는 하악 측정부(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무치아 환자의 상악과 하악에 각각 결착이 가능하고 한 쌍이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무치아 환자의 치아에 결착되는 상악 측정부(310)와 하악 측정부(320)가 상호 안정적으로 밀착 및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치아에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치아 환자의 치아에 안정적으로 결착된 상태에서 안면 이미지만을 사용하여 바로 피시술자에 적합한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300)은 환자의 상악에 밀착되고 상기 인상재가 수용되어 피시술자의 잇몸이 삽입 가능하도록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상악 파지부(311)가 형성되는 상악 측정부(310) 및 환자의 하악에 밀착되고 상기 인상재가 수용되어 피시술자의 잇몸이 삽입 가능하도록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하악 파지부(321)가 형성되는 하악 측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악 측정부(310)의 상악 파지부(311)과 하악 측정부(320)의 하악 파지부(321)에는 상호 밀착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양각 또는 음각 형상의 유동 방지부(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상악 측정부(310)와 하악 측정부(320)를 포함하는 인상 측정 구조물(300)을 환자의 구강에 결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상악 측정부(310)와 하악 측정부(320)의 유동 방지부(G)가 상호 유격없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환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인상 측정 구조물(300)의 상악 측정부(310)와 하악 측정부(320)에는 공기나 환자의 체액이 유동 가능하도록 유동홀(H)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상 측정 구조물(300)이 무치아 환자에 결착되는 경우에 내부 공기에 의한 유격이나 환자의 체액에 의한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동홀(H)은 상악 측정부(310)와 하악 측정부(320)의 함몰부에 인상재를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유동홀(H)로 유입되도록 하여 경화시에 상기 인상재와 상기 상악 측정부(310)와 하악 측정부(320)가 유동하지 않고 상호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상악 측정 구조물
101: 요홈
102: 요철
110: 제1 밀착면
120: 상악 접촉면
130: 파지부
200: 상하악 측정 구조물
210: 제1 밀착면
220: 제2 밀착면
230: 파지부
300: 인상 측정 구조물
310: 상악 측정부
320: 하악 측정부
G: 유동 방지부
H: 유동홀
S: 인상재

Claims (9)

  1.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교합관계 채득을 위하여 제작되되, 피시술자의 구강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가 각인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기 결정된 상기 측정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는 인상재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측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유실된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상악과 하악에 결착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조물이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에 결착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 구조물의 인상재를 보정하여 교합기에 마운트(mount)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구조 정보는,
    상기 측정 구조물의 아치 모양과 크기, 치아 배열 라인, 교합 평면(입술라인), 정중선, 중심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와 대비하여 획득되는,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획득되는,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4. 임플란트용 무치아 환자의 인상 채득을 위하여 제작된 기 결정된 측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조물은 상부와 하부에 인상재가 적층되어 있고,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상악과 하악에 결착된 상태에서 촬영된 피시술자의 안면 이미지(image) 또는 영상을 통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상기 측정 구조물의 인상재를 보정하여 교합기에 마운트(mount)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조물의 상면과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평평한 부위에는 복수의 요철 또는 홈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조물은,
    피시술자의 상악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 또는 피시술자의 상악과 하악에 밀착되는 제1 밀착면과 제2 밀착면;
    상기 제1 밀착면과 제2 밀착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는 인상재; 및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조물은,
    피시술자의 상악에 밀착되고 상기 인상재가 수용되어 피시술자의 잇몸이 삽입 가능하도록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상악 파지부가 형성되는 상악 측정부; 및
    피시술자의 하악에 밀착되고 상기 인상재가 수용되어 피시술자의 잇몸이 삽입 가능하도록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하악 파지부가 형성되는 하악 측정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측정부와 하악 측정부가 상호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상악 파지부와 하악 파지부는 상호 밀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파지부와 하악 파지부에는 단면상 양각 또는 음각이 각인되어 상호 밀착력이 확보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측정 구조물.



KR1020220136960A 2022-09-05 2022-10-23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KR20240033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1792 2022-09-05
KR1020220111792 2022-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614A true KR20240033614A (ko) 2024-03-12

Family

ID=9029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60A KR20240033614A (ko) 2022-09-05 2022-10-23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6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308Y1 (ko) 2004-09-01 2004-12-03 이준희 치과 인상용 트레이
KR20160053701A (ko) 2014-11-05 2016-05-13 권오달 치과 인상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308Y1 (ko) 2004-09-01 2004-12-03 이준희 치과 인상용 트레이
KR20160053701A (ko) 2014-11-05 2016-05-13 권오달 치과 인상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017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방법
AU2013276501B2 (en) Method for preparing a partial or full dental prosthesis
KR101857951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TW201620460A (zh) 在口腔中製造用於植牙的手術引導件和牙冠、基牙的方法
US8998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CN106473822B (zh) 术前设计、制作临时义齿的无牙颌种植方法
CN113412098B (zh)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US20090117514A1 (en) Method and components for producing edentulous dentures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CA3198570A1 (en)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workflow for surgical and restorative dentistry
US20170319313A1 (en) Bite registration tool, bite registration tool set, and suitable bite registration method
CN211534911U (zh) 扫描用蜡咬模
KR102070682B1 (ko) 무치악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하악 운동기록 변환방법
US4445856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pper jaw and lower jaw for the production of dentures
Liaropoulou et al. Reverse impression technique: A fully digital protocol for the fabrication of the definitive fixed prosthesis for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US20140154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KR101452718B1 (ko) 영상매칭 바이트 트레이
ES228617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protesis dental.
US9198744B2 (en)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240033614A (ko)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US20200038160A1 (en) Retaining arc for anchoring motion sens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16398B1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CN114948300A (zh) 一种基于3d打印的口腔颌面手术导板制造方法及使用方法
US2010011252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pros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