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701A - 치과 인상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치과 인상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701A
KR20160053701A KR1020140153157A KR20140153157A KR20160053701A KR 20160053701 A KR20160053701 A KR 20160053701A KR 1020140153157 A KR1020140153157 A KR 1020140153157A KR 20140153157 A KR20140153157 A KR 20140153157A KR 20160053701 A KR20160053701 A KR 2016005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mpression material
protrusion
present
inn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달
Original Assignee
권오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달 filed Critical 권오달
Priority to KR102014015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3701A/ko
Priority to PCT/KR2015/005358 priority patent/WO2015183012A1/ko
Publication of KR2016005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질 판재로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를 가지는 외부 트레이와, 상기 외부 트레이 내부에 삽입되고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트레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 인상용 트레이{Dental impression tra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아나 잇몸의 형태를 본뜨기 위해 사용하는 트레이에 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트레이와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나가 흐르지 않으면서도, 상기 내부 트레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 대한 것이다.
치과 인상용 트레이(Dental Impression Tray)란 치아(齒牙)의 결손이나 손상이 있는 환자의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인상을 채득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를 말한다.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사람의 구강 조직과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인상재 수용부(11)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는 치아에 대응하는 바닥부(13)와 테두리(14)로 구성되고, U자형 단면을 갖는 형태이다.
이러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겔(gel) 상태의 인상재가 인상재 수용부(11)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치아 및/또는 잇몸에 가압함으로써 치아 및/또는 잇몸의 본을 뜨고, 이렇게 만들어진 트레이에 석고를 주입하여 치아의 형상을 만들게 된다. 이때 치아 및/또는 잇몸에 트레이를 가압하여 본 뜬 후에는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상재와 트레이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면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상재의 일부가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인상재가 트레이에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여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움직이거나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면 정밀한 인상 채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석고를 주입하는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상재와 트레이 간의 결합력을 치아와 인상재 사이의 결합력보다 강하게 하여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인상재가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를 치아 및/또는 잇몸에 가압하는 동안 잉여 인상재의 일부가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밀려나간 인상재는 관통홀의 말단에서 넓게 퍼지게 되므로,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할 때, 관통홀 자체의 마착력과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밀려나간 인상재가 트레이에 걸리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인상재가 트레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관통홀(22)을 가지는 트레이의 경우에는 상기 관통홀(22)을 통하여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흘러내리기 쉽고, 이렇게 흘러내린 인상재가 환자의 입안으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상재가 상기 관통홀 내부를 관통하여 굳어진 다음에는 상기 관통홀로부터 인상재를 떼어내기가 어렵고,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들게 인상재를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이와 함께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힘들게 트레이로부터 인상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외부 트레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트레이는 외부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손잡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안착홈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파지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측면 안쪽 상부에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통하여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이와 함께 경질 판재로 형성된 외부 트레이를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들게 트레이로부터 인상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판재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홀(hole)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측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돌기 및 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1 둔턱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1 시밍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상단에 형성된 차단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를 분리 및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 트레이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외부 트레이 바닥부에 형성된 돌출부관통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클립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체결구멍과 외부체결구멍 및 이를 관통하는 체결봉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돌출헤드와 돌출헤드관통부 및 돌출헤드결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볼록부와 오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이격부와 걸림턱을 가지는 돌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분리관통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상단굴곡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2 둔턱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2 시밍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의 바닥부에 임플란트핀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임플란트핀이 관통하는 임플란트핀관통부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개구부 및 임플란트핀관통부로 임플란트핀이 관통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일자형 돌기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일자형 돌기 중 일부 돌기가 돌기공백홈을 가지고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외측에 형성된 위치식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파지부와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안착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의 측면에 형성된 단턱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의 측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의 측면과 바닥면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치아(齒牙)의 결손이나 손상이 있는 환자의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인상을 채득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치아 및/또는 잇몸을 인상하기 위한 트레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측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크게는 외부 트레이(100) 및 내부 트레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110)을 가지고 경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20)를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구강 내부의 악궁 형태로 만곡되면서 인상재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110)에 인상재 또는 내부 트레이(200)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부(130)와 상기 바닥부(130)로부터 연장되어 U자형 단면으로 돌출되는 측부(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에 의해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110)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외부 트레이(100)는 종래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ole)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판재형 또는 평판형 트레이일 수 있고, 그것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회 이상 또는 영구적인 사용을 위하여 딱딱한 경질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홀이 없는 판재형 또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 외부 트레이(100)의 일측에 연결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외측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적합하다.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 : 220)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과 동일하거 유사한 형상을 가져서, 상기 내부공간(11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 역시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210)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210)에 인상재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면(230)과 상기 바닥면(230)으로부터 연장되어 U자형 단면으로 돌출되는 측면(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상재가 바닥면(230)에 형성된 홀(220)으로만 빠져 나가도록 하여 상기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홀(220)이 없는 판재형 또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내부공간(210)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내부공간(110) 보다 작은 크기 또는 용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 트레이(200)는 종래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220)을 가지는 홀(hole) 형 트레이일 수 있으며, 그것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회(또는 2~3회의 소수) 사용으로 족하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한 연질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에서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올레핀계 수지(PE, PP), 아크릴 수지(PMMA), 실리콘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인상재가 통과할 수 있는 홀(220)을 가지고 있어서, 인상재와의 접촉 면적이 보다 확장되고, 인상재가 상기 홀(220) 사이에 끼어져서 마찰력이나 구속력을 부여함으로서, 인상재를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220)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200)를 통하여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이와 함께 평판형 경질 판재로 이루어진 외부 트레이(100)를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수용되는 인상재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에 형성된 홀(220)에 유입되어, 상기 홀(220)의 내부면과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130) 및/또는 측부(140) 표면에 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로 유출되지도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내부공간(210)에 대응되는 바닥면(230)과 측면(240)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은 0.5mm~5.0mmm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인상재가 접촉하는 홀(220)의 내부면적이 작아져서 결합력이 약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결합력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밀착되는 외 측면(24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외측 표면이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내면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제2 내부공간(210)을 보다 더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측부(140)에 의해 인상재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더욱 정확한 치아 인상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200)를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및/또는 그것의 내부공간(11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들게 트레이로부터 인상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인상재가 부착되지 않는 표면층을 가지고,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인상재가 부착되는 표면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상재가 부착되지 않거나 부착된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인상재와의 결합력이 낮거나 높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외부 트레이(100)는 내부 트레이(200)보다 인상재와의 결합력이 낮은 표면층을 갖는 것(또는 내부 트레이(200)는 외부 트레이(100)보다 인상재와의 결합력이 높은 표면층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층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및/또는 내부 트레이(200) 자체의 성질일 수도 있고, 이를 위한 별도의 표면개질이나 추가적인 코팅층 형성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표면층은 거칠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표면층은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인상재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더욱 높은 결합력을 가지면서,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돌기(221) 및 홈(222)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 중 하나 이상에 인상재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기(221) 또는 홈(222)을 갖는 것이다.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은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구조물로서, 그 크기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은 표면개질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구조물을 부착시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히,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은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돌기(221)는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위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커지는 것이고, 상기 홈(222)은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아래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의 상단은 인상재에 걸림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내부 트레이(200)에서 인상재가 쉽게 빠져 나갈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에 형성된 제1 둔턱(150)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제1 시밍부(25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그것의 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상기 측부(140)는 그것의 상단에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상단을 위에서 지지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된 제1 둔턱(150)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둔턱(150) 아래로 내부 트레이(200) 또는 그것의 측면(240)을 밀어 넣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트레이(200) 또는 그것의 측면(240)을 가압 지지하여 내부 트레이(200)가 외부 트레이(100)로부터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그것의 내부공간(210)에 대응되는 바닥면(230)과 측면(240)을 가지고, 상기 측면(240)은 그것의 상단이 상기 제1 둔턱(150)에 걸리도록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시밍부(seaming portion, 25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가 내측 및 아래측으로 굽어져서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둔턱(150) 아래로 내부 트레이(200) 또는 그것의 측면(140)을 더욱 용이하게 밀어 넣어서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둔턱(150) 및/또는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시밍부(250)에 의하면, 인상재가 상기 내부공간(210)의 상단 밖으로 넘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트레이의 탄성을 이용하여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홈이나 언더컷(undercut)에 걸리게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상단에 형성된 차단부(251)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에 안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 차단부(25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차단부(251)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차단부(251)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인상재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 및 결합시키는 체결수단(4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상기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별도의 체결수단(400)을 갖는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400)은 외부 트레이(100) 및/또는 내부 트레이(200)에 각각 결합되어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 및/또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체결수단(40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수단(400)은 슬라이드 방식, 고리 체결 방식, 또는 클립 체결 방식을 이용하는 결합 구조물이거나, 키 앤 키웨이 형태 또는 똑딱이 단추와 같은 형태를 갖는 구조물인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하여 외부 트레이(10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400)에 의하면 그것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더욱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체결수단(400)이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 상단에 걸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내부 트레이(200)를 눌러서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내부공간(210)의 위쪽 방향으로 내부 트레이(200)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앞쪽 방향으로 내부 트레이(200)를 밀어내어서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과 내부 트레이(200)의 외면에 접촉하는 1개 이상의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를 이격시켜서, 그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 및/또는 측벽의 내면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내부 트레이(200)의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가 상기 갭에 유입되어 부착됨으로서,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갭의 크기 또는 용적이 너무 크거나, 인상재가 접촉하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 면적이 너무 큰 경우에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에 부착된 인상재를 힘들게 떼어내야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부(300)가 접촉되는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 면적은 그렇지 않은(상기 간격유지부(300)가 접촉되지 않는)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 트레이(200) 바닥면(230)에 형성된 돌출부(280)와 외부 트레이(100) 바닥부(130)에 형성된 돌출부관통부(18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돌출부(280)에 결합되는 체결클립(4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240)과 바닥면(2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80)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돌출부(280)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180)를 가지며,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돌출관통부(180)를 관통한 돌출부(280)에 결합되는 체결클립(41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28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및/또는 바닥면(23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원통형 또는 막대형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의 결합을 위해서는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는 외부 트레이(100)의 일면에 형성된 구멍이나 홀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280)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돌출부(280)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하여, 그것의 일부가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된 돌출부(280)에 체결클립(410)이 결합되면,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외부 트레이(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클립(410)은 상기 돌출부(280)에 결합되거나 그것을 지지하여 다시 돌출부관통부(180)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클립(410)의 종류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벌어진 것은 상기 돌출부(280) 둘레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꺾어진 상단부를 갖는 것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280)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형상 둘레에는 상기 체결클립(410)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돌출부(280) 중간이나 하단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넥(neck)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체결클립(410)을 돌출부(280)에 결합시키기 용이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체결구멍(290)과 외부체결구멍(190) 및 이를 관통하는 체결봉(4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가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내부체결구멍(290)을 하나 이상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체결구멍(290)에 대응하는 외부체결구멍(190)을 가지며,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내부체결구멍(290)과 외부체결구멍(190)을 관통하는 체결봉(42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체결구멍(290)과 외부체결구멍(190)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것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게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봉(420)은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는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의 두께 합보다 작거나, 그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긴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체결봉(420)의 일단에는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체결봉(420)을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도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돌출헤드(282)와 돌출헤드관통부(181) 및 돌출헤드결합부(182)의 일례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80)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돌출부(280)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180)를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돌출부(280)가 끝단에 돌출헤드(282)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는 상기 돌출헤드(282)가 관통하는 돌출헤드관통부(181)와, 상기 돌출헤드관통부(181)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돌출헤드관통부(18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헤드결합부(182)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돌출부(280)는 몸체(또는 바디)와 그것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보다 큰 부피 또는 직경을 갖는 돌출헤드(28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는 상기 돌출헤드(282)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헤드관통부(181) 및 상기 돌출헤드(282)의 부피 또는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돌출부(280)의 몸체보다는 큰 개구부로 이루어진 돌출헤드결합부(182)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돌출헤드(282)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1)를 통과할 수는 있지만 상기 돌출헤드결합부(182)를 통과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돌출부(280)의 몸체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1) 뿐만 아니라 돌출헤드결합부(182)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돌출헤드(282)를 상기 돌출부관통부(181)를 통과시킨 후 상기 돌출헤드결합부(18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280)는 그것의 몸체가 상기 돌출헤드결합부(182)와 결합되게 되고, 상기 돌출헤드(282)에 의해 상기 돌출부(280)는 돌출부관통부(180)에 고정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볼록부(283)와 오목부(183)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가 연질 판재의 측면(240)과 바닥면(2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반구형 형상의 볼록부(283)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볼록부(283)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183)를 내면에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및/또는 바닥면(230)에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283)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및/또는 바닥부(130)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 방향으로 오목부(18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볼록부(283)와 오목부(183)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를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밀어 넣으면, 상기 볼록부(283)가 오목부(183)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는 서로 결합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이격부(284)와 걸림턱(285)을 가지는 돌출부(280)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80)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돌출부(280)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180)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80)는 끝단에 형성된 돌출헤드(282)와, 상기 돌출헤드(282)로부터 상기 돌출부(280) 내부에 형성된 이격부(284)와, 상기 돌출헤드(282)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 외면에 지지되는 걸림부(285)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헤드(282)는 돌출부(280) 몸체의 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삼각형이나 반구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할 수 없는 부피나 크기 또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28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돌출부(280)의 몸체는 2개 이상으로 나누어지거나 서로 떨어진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격부(284)는 상기 돌출부(280)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거나 상기 2개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284)는 상기 돌출헤드(282)의 외측이나 바깥쪽 끝단으로부터 돌출부(280) 하단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돌출부(280) 또는 그것의 몸체는 외부로부터 가압된 힘에 의해 상기 이격부(284)가 움츠러들거나 축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돌출헤드(282)는 비로소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이격부(284)가 커지거나 늘어나면서 상기 돌출헤드(282)는 걸림부(285)를 통하여 상기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외면(또는 바닥부(130))에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에 형성된 분리관통구(16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상기 측부(140) 상단에는 상기 삽입된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를 밀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분리관통구(160)가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에는 구멍 또는 홀로 이루어진 분리관통구(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고, 사용자는 상기 분리관통구(160)에 송곳과 같은 가압수단을 넣어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을 밀어서 들어올림으로서, 상기 외부 트레이(100)로부터 내부 트레이(2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관통구(16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서 인상재가 관통하는 홀(2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평한 부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관통구(160)는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을 더욱 많이 휘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리관통구(160)가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하단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에 의한 지지력 때문에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을 밀어내는 정도가 약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상단굴곡부(26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트레이(100)의 측부(140)와 상단을 감싸는 상단굴곡부(26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단굴곡부(26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그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 또는 상면을 덮는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상단굴곡부(26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단굴곡부(260)는 외부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 또는 상면에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단굴곡부(260)에 의하면, 내부 트레이(200)를 외부 트레이(100) 내부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또는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재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인상재가 상기 상단굴곡부(260)를 타고 넘어가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상단굴곡부(260)가 없으면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넘치는 경우 방사형으로 퍼지기 때문에 트레이 밖으로 인상재가 너덜너덜하게 굳어버리는 단점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상단굴곡부(260)에 의하면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넘치더라도 인상재가 상기 상단굴곡부(260) 표면에 밀착되어 둥글게 퍼지기 때문에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뻗어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공간(110)에 대응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가 만나는 내측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가 교차하는 부분이 내측이나 외측으로 또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곡면 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구조물이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가 교차하는 부분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닥부(130)와 측벽(140)가 교차하는 부분에 골(valley)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110)에 삽입된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시키기가 더욱 용이하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에 형성된 제2 둔턱(170)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제2 시밍부(27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둔턱(170)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 둔턱(170)의 위 및/또는 아래로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이나 상단굴곡부(26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상단굴곡부(260)는 상기 제2 둔턱(170)에 걸리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시밍부(27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가 외측 및 아래측으로 굽어져서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이나 상단굴곡부(260)를 상기 제2 둔턱(17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인상재가 상기 제2 시밍부(270)를 타고 넘어가게 할 수도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130)에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하는 개구부(121)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에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하는 임플란트핀관통부(231)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개구부(121) 및 임플란트핀관통부(231)로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임플란트를 가진 환자용으로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핀'은 일반적인 임플란트이거나 임플란트를 설치, 유지, 보수 또는 제거시에 사용되는 가이드 핀(guide pin)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트레이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에 임플란트나 임플란트핀이 관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특별히 상기 바닥부(130)는 임플란트핀(500)이 관통되는 개구부(12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121)는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130) 일부에 형성된 비교적 큰 구멍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121)가 상기 외부 트레이(100)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임플란트핀(500)는 상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외부 트레이(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이용할 때 비로소 상기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임플란트관통부(231)를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임의적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도 상기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임플란트관통부(231)가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 외부에는 위치인식부(2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25 참조). 상기 위치인식부(225)는 특정한 모양, 기호, 문자, 숫자 등과 같은 표식자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트레이(200)를 뒤집어서 치아에 올려놓더라도,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위치인식부(225)를 통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 상에서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있는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존재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어서 제거함으로서, 상기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를 더욱 정확하고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일자형 돌기(221)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경질 또는 연질 판재로 이루어진 종래의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판재 표면에 인상재를 더욱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한 돌기(221)나 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또는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트레이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트레이는 종래와 같은 단일형 트레이일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복합형인 것도 가능하다. 단일형 트레이인 경우에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일회용 트레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으로서 바닥면(230)이나 측면(240) 또는 바닥부(130)나 측부(14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돌기(221)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221) 또는 홈은 상기 일면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221) 또는 홈은 기다란 막대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면(230)과 측면(240)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인상재를 넣고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본을 채득할 때, 상기 돌기(221)는 상기 인상재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상재는 상기 트레이 내부에서 한쪽으로 몰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치아의 인상을 더욱 고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특별히,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221)는 기본적으로 상기 측면(240)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안쪽 타단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돌기(221)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수개의 돌기(221) 중 일부는 측면(240)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안쪽 타단까지(예를 들어, 측면(240)과 바닥면(230)이 만나는 부분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돌기(221) 중 일부는 측면(240)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상기 측면(240)의 중간부위까지만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측면(240)에는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빈 공간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돌기공백부(223)이거나 또는 구멍이나 홀로 이루어진 돌기공백홈(224)인 것도 가능하며, 상기 돌기공백부(223) 및 돌기공백홈(224)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공백홈(224)은 측면(240)이나 바닥면(230) 또는 측면(240)과 바닥면(230)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상재는 상기 돌기공백부(223)에 지지되거나 상기 돌기공백홈(224)을 통하여 밖으로 유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트레이 일면에 더욱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제작하는 사출 과정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인상재 중 상기 돌기공백부(223) 및/또는 돌기공백홈(224)에 존재하는 인상재는 상기 짧게 형성된 돌기(221)의 끝단에 걸리기 때문에, 치아의 본을 채득 후 트레이를 구강 내에서 제거할 때에도, 인상재는 트레이 내부에서 변형 없이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공백부(223) 및/또는 돌기공백홈(224)은 인위적인 언더컷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 등에는 위치인식부(2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25 참조). 상기 위치인식부(225)는 특정한 모양, 기호, 문자, 숫자 등과 같은 표식자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를 뒤집어서 치아에 올려놓더라도,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위치인식부(225)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 상에서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있는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존재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어서 제거함으로서 상기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를 더욱 정확하고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파지부(241)와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안착홈(141)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형성된 단턱부(242)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과 바닥면(230)에 형성된 홀(2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240)에 외부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241)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241)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내부에 인상을 채득한 후에 석고 주입시 사용자의 안정적인 파지를 위한 파지 수단으로서,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중에 곡률을 갖는 측면(240) 중앙에서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241)는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하단부에 돌출하여 횡방향으로 위치된 파지면(241a)과, 상기 파지면(241a)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종방향으로 위치된 지지면(241b)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파지면(241a)은 사각 형상으로 그 폭은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면(241b)은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파지면(241a)이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재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엄지와 집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파지면(241a)을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형성된 상기 파지부(241)를 수용하여 손잡이(12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측벽(140)에 개방 형성된 안착홈(141)을 가진다.
상기 안착홈(141)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가 형성된 측부(140)에서 상기 파지부(241)가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방된 공간에는 상기 파지부(2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241)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파지부(241)는 상기 안착홈(141)을 통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에 안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241)의 안착면에는 돌출부(2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120) 상에는 상기 돌출부(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관통부(1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80)와 돌출부관통부(180)는 그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16에서 도시된 돌출부(28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명세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렇게 안착된 파지부(241)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에 결합되면,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외부 트레이(1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벽(140)에 상기 안착홈(141)이 형성됨에 따라 제작 공정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외측 하단에 위치시켜 상기 손잡이(120)를 일체로 성형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 제작시 상기 손잡이(120)를 따로 붙이는 공정 없이 한번의 공정으로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손잡이(120)를 일체로 형성시킴에 따라 제작 비용과 제작 공정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파지부(241)가 위치된 안쪽 측면(240)에는 단턱부(242)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턱부(242)는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안쪽 측면(240)에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트레이(200) 내부에 충진된 인상재가 걸리도록 하단에 평평한 면의 지지턱(242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턱부(242)는 상기 내부 트레이(100) 내부에 충진된 인상재가 지지턱(242a)에 걸리게 하여 치아의 본을 채득한 후에 내부 트레이(200)를 구강 내에서 제거하여도 인상재는 내부 트레이(200) 내부에서 변형 없이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242)는 인위적인 언더컷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과 바닥면(230)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홀(2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22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10)에 형성된 홀(220)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홀(220)은 양단이 반원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홀(2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홀(220)이 그물망 형태로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의 면적보다 보다 넓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의 면적보다 보다 넓게 형성된 홀(220)은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홀(220)은 면적이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가 마찰력이나 구속력을 더욱 부여하고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정확한 치아 인상 획득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 외부 트레이
110 : 제1 내부공간
120 : 손잡이
121 : 개구부
130 : 바닥부
140 : 측부
141 : 안착홈
150 : 제1 둔턱
160 : 분리관통구
170 : 제2 둔턱
180 : 돌출부관통부
181 : 돌출헤드관통부
182 : 돌출헤드결합부
183 : 오목부
190 : 외부체결구멍
200 : 내부 트레이
210 : 제2 내부공간
220 : 홀(hole)
221 : 돌기
222 : 홈
223 : 돌기공백부
224 : 돌기공백홈
225 : 위치인식부
230 : 바닥면
231 : 임플란트관통부
240 : 측면
241 : 파지부
241a : 파지면
241b : 지지면
242 : 단턱부
242a : 지지턱
250 : 제1 시밍부
251 : 차단부
260 : 상단굴곡부
270 : 제2 시밍부
280 : 돌출부
281 : 돌출부넥(neck)
282 : 돌출헤드
283 : 볼록부
284 : 이격부
285 : 걸림턱
290 : 내부체결구멍
300 : 간격유지부
400 : 체결수단
410 : 체결클립
420 : 체결봉
500 : 임플란트핀

Claims (5)

  1.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외부 트레이; 및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트레이는 외부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손잡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안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파지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산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측면 안쪽 상부에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
KR1020140153157A 2014-05-28 2014-11-05 치과 인상용 트레이 KR20160053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57A KR20160053701A (ko) 2014-11-05 2014-11-05 치과 인상용 트레이
PCT/KR2015/005358 WO2015183012A1 (ko) 2014-05-28 2015-05-28 치과 인상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57A KR20160053701A (ko) 2014-11-05 2014-11-05 치과 인상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01A true KR20160053701A (ko) 2016-05-13

Family

ID=5602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57A KR20160053701A (ko) 2014-05-28 2014-11-05 치과 인상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370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68B1 (ko) 2016-10-19 2016-12-27 김홍대 1회용 패드를 갖는 치과 인상용 바이트 트레이
KR20190076121A (ko) 2017-12-22 2019-07-02 김홍대 치과 인상용 패드 및 바이트 트레이
KR20200008432A (ko)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성보텍 치과용 컴파운드 바이트
KR20230018186A (ko) 2021-07-29 2023-02-07 김종화 인상용 트레이
KR20240033614A (ko) 2022-09-05 2024-03-12 김기수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68B1 (ko) 2016-10-19 2016-12-27 김홍대 1회용 패드를 갖는 치과 인상용 바이트 트레이
KR20190076121A (ko) 2017-12-22 2019-07-02 김홍대 치과 인상용 패드 및 바이트 트레이
KR20200008432A (ko)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성보텍 치과용 컴파운드 바이트
KR20230018186A (ko) 2021-07-29 2023-02-07 김종화 인상용 트레이
KR20240033614A (ko) 2022-09-05 2024-03-12 김기수 측정 구조물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방법 및 이의 측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3701A (ko) 치과 인상용 트레이
JP6876821B2 (ja) 交換可能な先端部を備えたクリップアプライヤ
KR101200238B1 (ko) 위루술 튜브 연장 장치
JP4707016B2 (ja) 眼内レンズ挿入装置及びそのカートリッジ
US20130226194A1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JP2015534857A (ja) 使い捨て嚢切開鉗子
JP4623548B2 (ja) 胃瘻形成管用伸展具
US20090281567A1 (en) Occlusion element for unwanted openings in the heart
US5890900A (en) Dental wedge with non-slip head
JP2010508920A (ja) 歯科印象用トレー
KR20160004128A (ko) 치과 인상용 트레이
JP6760839B2 (ja) 改善された歯科用ウェッジ
JP5556243B2 (ja) 歯ブラシ
JP5246394B2 (ja) クリップ、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装置
EP1976435A1 (en) Lancet
EP2196158B1 (en) Multiple clip package
TWI829936B (zh) 採血管保持器及採血套件
JP6956178B2 (ja) 痔瘻の治療のための装置
JP2009022776A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JP7188077B2 (ja) 歯間清掃具
KR20150136770A (ko)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
JP2013070885A (ja) カテーテル固定具
JP4755234B2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US11484393B2 (en)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JP2009011852A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