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120A -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120A
KR20240031120A KR1020230113348A KR20230113348A KR20240031120A KR 20240031120 A KR20240031120 A KR 20240031120A KR 1020230113348 A KR1020230113348 A KR 1020230113348A KR 20230113348 A KR20230113348 A KR 20230113348A KR 20240031120 A KR20240031120 A KR 2024003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es
group
stitch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가에데 하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3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12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의 경계를 신장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에 계속되는 제2베이스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으로서, 상기 제1베이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종단부의 소정의 범위 내의 스티치를 3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공정A와, 공정B1과 공정B2를 선택 가능한 그룹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는 공정B를 구비한다. 상기 공정B1에서는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서 그룹X를 선택하고, 상기 공정B2에서는 상기 그룹X에 있어서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보강 스티치를 형성한다.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 있어서의 각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는, 다른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와 편성폭방향으로 중복한다.

Description

편성방법{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으로 인레이사(inlay yarn)를 배치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 기술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이 이루어져, 스플릿 편성의 대상이 되는 스티치와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새로운 스티치의 사이에 인레이사가 삽입된다. 베이스 편성포부가 너무 늘어나면, 베이스 편성포부의 형상이 신장 전의 상태로 돌아가기 어려워진다. 인레이사가 비탄성사이면,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의 신장이 억제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96398호 공보
편성포에 있어서, 역할이 서로 다른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편성포에 있어서,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의 경계를 신장되기 어렵게 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이러한 요청에 특허문헌1의 기술은 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서로 다른 조직을 구비하는 경우에, 특허문헌1의 기술로는 상기 경계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의 경계를 신장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에 계속되는 제2베이스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으로서,
상기 제1베이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종단부의 소정의 범위 내의 스티치를 3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공정A와,
공정B1과 공정B2를 선택 가능한 그룹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는 공정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B1에서는,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서 그룹X를 선택하고,
상기 공정B2에서는, 상기 그룹X에 있어서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보강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 있어서의 각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는, 다른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와 편성폭방향으로 중복한다.
여기에서 종단부의 소정의 범위는, 종단부의 일부여도 좋고, 전부여도 좋다. 또한 보강 스티치는, 그룹X의 모든 스티치의 각각에 포개져도 좋고, 그룹X의 일부의 스티치의 각각에 포개져도 좋다.
공정A에서는, 각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가, 다른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와 편성폭방향으로 중복하도록 그룹의 분류를 실시한다. 그 결과, 각 그룹의 적어도 일부는, 각 그룹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스티치의 사이에, 다른 그룹의 스티치가 삽입되는 장소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종단부가 제1그룹과 제2그룹과 제3그룹으로 나뉘는 경우에, 하기 예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그룹의 스티치와 제2그룹의 스티치와 제3그룹의 스티치가 차례대로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하기 예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그룹은 스티치 상호간이 이웃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하기 예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그룹의 스티치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하기 예1∼예3에 있어서의 『○』는 제1그룹의 스티치, 『×』는 제2그룹의 스티치, 『△』는 제3그룹의 스티치이다.
· 예1 … ○×△○×△○×△○×△
· 예2 … ○○××△△○○××△△
· 예3 … ○×△○○××△△○×△
상기 편성방법에 있어서, 그룹의 수와, 공정B1 및 공정B2의 반복수는 일치한다. 그룹의 수는, 예를 들면 3 이상 6 이하이다. 각 그룹의 스티치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2> 상기 형태<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의 수는 N이고,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 있어서의 각 그룹은, (N-1)개씩 거른 스티치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형태<2>의 구체적인 예로서, 12개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1스티치열의 종단부의 스티치를 3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각 그룹은 2개씩 거른 스티치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그룹은, 종단부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계산하여 1번째, 4번째, 7번째, 10번째의 스티치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2그룹은, 2번째, 5번째, 8번째, 11번째의 스티치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3그룹은, 3번째, 6번째, 9번째, 12번째의 스티치에 의하여 구성된다.
<3> 상기 형태<1> 또는 <2>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B2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상기 그룹X의 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X와,
상기 그룹X의 스티치와 상기 보강 스티치를 포개는 공정Y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스플릿 편성은 공지의 편성방법이다(특허문헌1 등을 참조). 스플릿 편성에서는, 니들베드(P)의 편침(P1)에 결합되는 스티치(Q)를 니들베드(R)의 편침(R1)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편침(P1)에 있어서 스티치(Q)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S)를 형성한다. 스티치(Q)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S)는, 스티치(Q)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강 스티치가 스티치(S)에 상당하고, 그룹X의 스티치가 스티치(Q)에 상당한다.
<4> 상기 형태<3>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X 후 상기 공정Y 전에, 상기 그룹X의 스티치와 상기 보강 스티치의 사이에 인레이사를 배치하는 공정Z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인레이사는, 횡편기의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에 할당된 스티치 사이에 삽입되는 선재(線材)이다(특허문헌1 등을 참조). 상기 형태<4>에 있어서는, 보강 스티치와 그룹X의 스티치의 사이에 인레이사가 삽입된다.
<5> 상기 형태<1> 또는 <2>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B2에서는, 턱에 의하여 상기 그룹X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턱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여도 좋다.
<6> 상기 형태<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편성에 사용된 편사에 의하여 상기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포에 있어서의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의 경계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보강 스티치는 제1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있어서만 포개져 있기 때문에, 보강 스티치가 눈에 띄기 어렵다. 또한 보강 스티치에 의하여 경계가 두꺼워지기 어렵다.
상기 형태<2>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규칙적으로 배열된 보강 스티치가 종단부에 있어서 포개진다. 따라서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경계의 신축성이 불균일하게 되기 어렵다. 또한 경계의 외견이 향상된다.
상기 형태<3>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1베이스부의 종단부의 스티치로부터 인출된 보강 스티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스티치는 종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움직이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보강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에서는, 상기 경계가 신장되기 어렵다.
상기 형태<4>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상기 경계에 인레이사가 배치된 편성포를 얻을 수 있다. 인레이사는, 상기 경계의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신장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경계에 인레이사를 포함하는 편성포에서는, 상기 경계가 한층 더 신장되기 어렵다.
상기 형태<5>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적은 공정수에 의하여 신장이 어려운 경계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상기 형태<6>의 편성방법에서는,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한 급사구가 필요 없다. 또한 본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은 편성포에서는, 편사의 전환에 수반되는 편사의 커팅과 마감처리(Knotting)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편성포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인 스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제1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제1편성공정도에 계속되는 제2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레이사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3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이하에,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도1에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1)의 일례인 스웨터가 나타나 있다. 스웨터는, 소매를 구비하는 몸통(2)과, 몸통(2)에 무봉제로 접속되는 칼라(3)를 구비한다. 몸통(2)은, 통모양으로 이어지는 앞쪽 몸통(2F)과 뒤쪽 몸통(2B)을 구비한다. 몸통(2)은 옷단에서부터 칼라(3)를 향하여 편성된다. 칼라(3)는, 앞쪽 몸통(2F)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에 연속하는 앞쪽 칼라(3F)와, 뒤쪽 몸통(2B)의 웨일방향의 종단부에 연속하는 뒤쪽 칼라(3B)를 구비한다. 앞쪽 칼라(3F)와 뒤쪽 칼라(3B)는 통모양으로 이어진다. 본 예의 몸통(2)과 칼라(3)는 조직이 서로 다르다.
칼라(3)가 형성되는 스웨터의 넥홀(neck hole)은, 편사(編絲)의 소재에 따라서는 스웨터의 착용을 반복하면 서서히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몸통(2)과 칼라(3)의 경계(4)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스웨터를 편성함으로써, 뒤쪽 몸통(2B)과 뒤쪽 칼라(3B)의 경계(4)의 신장이 억제되어 있다. 뒤쪽 몸통(2B)과 뒤쪽 칼라(3B)는, 각각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있어서의 제1베이스부(5)와 제2베이스부(6)에 상당한다.
제1베이스부(5)와 제2베이스부(6)의 경계(4)의 편성순서의 일례를 도2 및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편성에 사용되는 횡편기는 4베드 횡편기이다. 4베드 횡편기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와 하부 뒤쪽 니들베드와 상부 앞쪽 니들베드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한다. 이하에, 하부 앞쪽 니들베드, 하부 뒤쪽 니들베드, 상부 앞쪽 니들베드 및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각각 FD, BD, FU 및 BU로 표기한다. FD와 BD는 서로 대향(對向)하고 있다. FD의 상부에 배치되는 FU와, BD의 상부에 배치되는 BU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FD, FU는 제1니들베드, BD, BU는 제2니들베드이다. 이 횡편기는 래킹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어, FD, FU와 BD, BU는 상대적으로 래킹(racking)이 가능하다. 본 예와는 다르게, 편성에 사용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여도 좋다.
도2, 3의 좌측 칸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우측 칸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편성상태가 나타나 있다. 우측 칸의 검은색 점은, FD, BD, FU 및 BU의 편침(編針)을 나타낸다. 칸 밖의 알파벳 대문자는 편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우측 칸의 동그라미 마크 및 물방울 마크는 스티치를, 역삼각형 마크는 피더(feeder)(9)를 나타낸다. 각 편성공정의 편성동작에 관계하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도2의 스텝S0에는, 몸통(2)(도1 참조)의 편성이 종료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몸통(2)은, 피더(9)로부터 급사되는 편사(9Y)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다. 앞쪽 몸통(2F)의 스티치는 FD의 편침(A∼L)에 결합되어 있다. 뒤쪽 몸통(2B)의 종단부의 스티치, 즉 제1베이스부(5)의 종단부(50)의 스티치는 BD의 편침(A∼L)에 결합되어 있다.
스텝S0에서는, 종단부(50)의 스티치를 3개 이상의 그룹, 본 예에서는 제1그룹(51)과 제2그룹(52)과 제3그룹(53)과 제4그룹(54)으로 나눈다(공정A). 그룹수는 4이기 때문에, 각 그룹(51, 52, 53, 54)은 3개씩 거른 스티치로 이루어진다. 즉 각 그룹(51, 52, 53, 54)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은, 상기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다른 복수의 그룹의 3개의 스티치가 배치되는 간격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그룹(51)은 BD의 편침(D, H, L)의 스티치로 이루어진다. 제2그룹(52)은 BD의 편침(C, G, K)의 스티치로 이루어진다. 제3그룹(53)은 BD의 편침(B, F, J)의 스티치로 이루어진다. 제4그룹(54)은 BD의 편침(A, E, I)의 스티치로 이루어진다. 이 그룹의 분류는 개념적인 공정으로서, 횡편기의 컴퓨터 내에서 실행된다.
본 예에서는, 뒤쪽 몸통(2B)의 종단부(50) 전체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있다. 본 예와는 다르게, 종단부(50)의 일부, 예를 들면 뒤쪽 몸통(2B)의 편성폭방향의 중간부, 예를 들면 전체의 1/3에 상당하는 부분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도 좋다.
스텝S1에서는, 그룹(51, 52, 53, 54)에서 그룹X를 선택한다(1회차의 공정B1). 본 예에서는, 제1그룹(51)이 그룹X로서 선택된다. 이 선택도 개념적인 공정으로서, 횡편기의 컴퓨터 내에서 실행된다.
스텝S1에서는, 피더(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에 의하여 제1그룹(51)의 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보강 스티치(7)를 편성한다(1회차의 공정B2에 있어서의 공정X).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제1그룹(51)의 스티치는 FU의 편침(D, H, L)으로 이동하고, BD의 편침(D, H, L)에는 보강 스티치(7)가 형성된다. 제1베이스부(5)의 편성에 사용된 편사(9Y)에 의하여 보강 스티치(7)를 편성함으로써, 편사를 전환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예와는 다르게, 보강 스티치(7)는 피더(9)와는 다른 피더로부터 급사되는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어도 좋다.
본 예와는 다르게, 제1그룹(51)의 모든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제1그룹(51)의 스티치 중 70% 이상의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 점은, 후술하는 제2그룹(52), 제3그룹(53) 및 제4그룹(5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스텝S2에서는, 피더(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FU의 제1그룹(51)의 스티치와 BD의 보강 스티치(7)의 사이에 편사(9Y)를 배치한다(1회차의 공정B2에 있어서의 공정Z). 편사(9Y)는 인레이사(inlay yarn)(8)로서 기능한다. 인레이사(8)는, 피더(9)와는 다른 피더로부터 급사되어도 좋다.
또한 스텝S2에서는, 제1그룹(51)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를 포갠다(1회차의 공정B2에 있어서의 공정Y). 본 예에서는, FU에 결합되는 제1그룹(51)의 스티치를 BD에 결합되는 보강 스티치(7)에 포갠다.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는 제1그룹(51)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는, 스플릿 편성에 있어서 짝이 되는 스티치이다. 예를 들면 스텝S1에 있어서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BD의 편침(D)으로부터 FU의 편침(D)으로 이동한 스티치와, BD의 편침(D)에 형성된 보강 스티치(7)가 포개진다.
이후에, 선택 가능한 그룹이 없어질 때까지 공정B1과 공정B2를 반복한다(공정B). 구체적으로는, 스텝S3에서는, 제2그룹(52)이 그룹X로서 선택되고(2회차의 공정B1), 피더(9)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스플릿 편성이 실시된다(2회차의 공정B2에 있어서의 공정X). 스텝S4에서는, 피더(9)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인레이사(8)가 배치되고(2회차의 공정B2에 있어서의 공정Z), 그룹X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가 포개진다(2회차의 공정B2에 있어서의 공정Y).
도3의 스텝S5 및 스텝S6에서는, 제3그룹(53)이 선택되고, 3회차의 공정B1과 공정B2가 실시된다. 또한 스텝S7 및 스텝S8에서는, 제4그룹(54)이 선택되고, 4회차의 공정B1과 공정B2가 실시된다.
스텝S8 다음에, 뒤쪽 몸통(2B)의 종단부(5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뒤쪽 칼라(3B)(도1)가 편성됨과 아울러, 앞쪽 몸통(2F)의 종단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앞쪽 칼라(3F)(도1)가 편성된다. 뒤쪽 칼라(3B), 즉 제2베이스부(6)가 편성됨으로써, 종단부(50)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로 구성되는 더블 스티치가 고정된다. 종단부(50)의 스티치에 대하여 보강 스티치(7)가 움직이기 어려워져, 종단부(50)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에 끼워져 있는 인레이사(8)도 움직이기 어려워진다.
도4는, 제1베이스부(5)의 종단부(50)에 있어서의 인레이사(8)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하측이 스웨터의 내측, 도면의 상측이 스웨터의 외측이다. 도4에 있어서의 대략 직사각형 마크는, 제1베이스부(5)의 종단부(50)의 스티치(즉, 그룹(51, 52, 53, 54) 중의 어느 하나의 스티치) 또는 보강 스티치(7)를 나타낸다.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평행선은,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종단부(50)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4에 있어서 종단부(50)의 스티치와 보강 스티치(7)는 떨어져 있지만, 실제로는 포개져 있다. 굵은 선은 인레이사(8)를 나타낸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부(50)의 각 스티치에 보강 스티치(7)가 포개져 있다. 그 때문에, 종단부(50)의 편성폭방향의 신장, 즉 도1에 나타내는 편성포(1)의 경계(4)의 신장이 억제된다. 특히 본 예의 경우에, 모든 보강 스티치(7)가 편사(9Y)에 의하여 구성되는 교차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사로 연결되는 일방(一方)의 보강 스티치(7)와 타방(他方)의 보강 스티치(7)가 상호간의 움직임을 서로 구속한다. 이것도 경계(4)의 신장이 억제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또한 4개의 인레이사(8)가 종단부(50)에 배치됨으로써, 종단부(50)의 신장, 즉 경계(4)의 신장이 한층 더 억제된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편성방법에서는 종단부(50)에만 보강 스티치(7)가 배치되어 있어, 보강 스티치(7)가 눈에 띄지 않고, 종단부(50)가 편성포(1)의 두께방향으로 지나치게 두꺼워지지 않는다. 또한 인레이사(8)는 스웨터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웨터의 외측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예의 편성포(1)는, 외견이 좋고, 또 착용감이 우수하다.
도4에 나타내는 종단부(50)를 구비하는 편성포(1)에서는, 경계(4)가 편성폭방향으로 신장되더라도 제1베이스부(5)에 있어서의 경계(4) 근방의 부분에 거의 주름이 생기지 않았다. 상기 부분에 주름이 생기는 이유는, 종단부(50)에 배치되는 각 인레이사(8)를 삽입한 상태에 있는 제1베이스부(5)가 당초의 위치에서 벗어나고, 벗어난 제1베이스부(5)가 당초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당초의 위치는, 편성 시에 있어서의 인레이사(8)에 대한 제1베이스부(5)의 위치를 말한다. 본 예에 있어서, 인레이사(8)에 대하여 제1베이스부(5)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운 이유는, 스웨터의 내측에서 인레이사(8)와 제1베이스부(5)가 소정의 길이에 걸쳐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스웨터의 내측에 있어서의 각 인레이사(8)의 길이는, 각 그룹(51, 52, 53, 54)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하, 이 간격을 간격(W)이라고 한다)에 의존한다. 따라서 간격(W)은, 인레이사(8)에 대한 제1베이스부(5)의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한 중요한 팩터라고 생각된다.
《시험예》
시험예에서는, 상기 간격(W)이 주름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하의 편성포(α)와 편성포(β)를 제작하였다.
편성포(α)의 제작에서는, 도2의 스텝S0에 있어서 종단부(50)를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대하여 스텝S1 및 스텝S2의 편성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에 있어서의 간격(W)은, 스티치 2개 분량의 간격이다. 예를 들면 제1그룹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스티치(A1)와 스티치(A2)의 사이에는, 제2그룹의 스티치(B1)와 제3그룹의 스티치(C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편성포(α)의 종단부(50)에 배치되는 인레이사(8)의 수는 3개이다. 편성포(α)에서는, 제1베이스부(5)와 제2베이스부(6)의 경계(4)가 실시형태1의 편성포(1)만큼 신장되기 어려웠다. 또한 편성포(α)에서는, 경계(4)가 신장되더라도 제1베이스부(5)에 있어서의 경계(4) 근방의 부분에 거의 주름이 생기지 않았다.
편성포(β)의 제작에서는, 도2의 스텝S0에 있어서 종단부(50)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경우에, 각 그룹에 있어서의 간격(W)은 스티치 1개 분량의 간격이다. 각 그룹에 대하여 스텝S1 및 스텝S2의 편성을 실시하였다. 편성포(β)에서는, 제1베이스부(5)와 제2베이스부(6)의 경계(4)가 신장되기 어려웠다. 그러나 편성포(β)에서는, 경계(4)가 신장되면 제1베이스부(5)에 있어서의 경계(4) 근방의 부분에 주름이 형성되고, 게다가 그 주름이 유지되었다. 주름은, 편성포(β)의 외견을 손상시킨다.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주름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는 제1베이스부(5)의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종단부(50)의 각 그룹에 있어서의 간격(W)이 스티치 2개 분량 이상의 간격(이하, 이 간격을 소정의 간격이라고 한다)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 그룹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 미만의 장소가 있더라도, 그 장소의 수가 적으면 제1베이스부(5)의 위치의 어긋남은 억제될 수 있다. 각 그룹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삽입되는 장소(이하, 제1장소)의 개수(Na)와, 상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장소(이하, 제2장소)의 개수(Nb)의 비율(Nb/Na)이, 0.5 이상이면 좋다. 즉 제1장소의 반수(半數) 이상이 제2장소이면, 제1베이스부(5)의 위치의 어긋남이 억제될 수 있다. 제2장소의 개수(Nb)가 제1장소의 개수(Na)보다도 적은 경우에, (Nb)개의 제2장소는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율(Nb/Na)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비율(Nb/Na)은, 예를 들면 0.8 이상 또는 0.9 이상이어도 좋다. 실시형태1의 편성포(1) 및 시험예의 편성포(α)와 같이, 비율(Nb/Na)이 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보강 스티치(7)를 편성하지만 인레이사(8)를 배치하지 않는 편성예를 설명한다. 그 설명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의 도2, 3을 이용한다.
본 예에서는, 도2의 스텝S1 다음에, 스텝S2에 있어서 피더(9)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1그룹(51)의 스티치를 보강 스티치(7)에 포갠다. 스텝S3에서는 피더(9)를 좌측방향(도면에 나타내는 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고, 스텝S4에서는 피더(9)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2그룹(52)의 스티치를 보강 스티치(7)에 포갠다. 도3의 스텝S5 다음에, 스텝S6에 있어서 피더(9)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3그룹(53)의 스티치를 보강 스티치(7)에 포갠다. 스텝S7에서는 피더(9)를 좌측방향(도면에 나타내는 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고, 스텝S8에서는 피더(9)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4그룹(54)의 스티치를 보강 스티치(7)에 포갠다.
본 예의 구성에서는, 종단부(50)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 보강 스티치(7)가 배치된다. 따라서 종단부(50)의 신장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3에서는, 턱(tuck)에 의하여 보강 스티치를 형성하는 예를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5를 보는 방법은 도2, 3과 같다. 도5에 있어서의 V자 마크는, 턱스티치(tuck stitch)를 나타낸다.
도5의 스텝S0는, 도2의 스텝S0와 같다. 스텝S1에서는, 피더(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그룹(51)의 스티치에 턱을 실시한다. 이 턱에 의하여, 턱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보강 스티치(70)가 제1그룹(51)의 스티치에 포개진다. 스텝S2에서는, 피더(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그룹(52)의 스티치에 턱을 실시한다. 스텝S3에서는, 피더(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3그룹(53)의 스티치에 턱을 실시한다. 스텝S4에서는, 피더(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그룹(54)의 스티치에 턱을 실시한다.
도5에 나타내는 편성에 의하여, 종단부(50)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 보강 스티치(70)가 배치된다. 그 결과, 복수의 턱 사이를 연결하는 교차사 상호간의 접촉기회가 많아져, 종단부(50)의 신장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종단부(50)의 각 스티치에는, 편사(9Y)가 감기지 않고 보강 스티치(70)가 포개져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종단부(50)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일도 없다.
도5의 공정수는 종단부(50)의 그룹의 수와 같고, 실시형태1의 공정수보다도 적다. 따라서 턱을 사용한 본 예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경계(4)가 신장되기 어려운 편성포(1)를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 편성포
2 : 몸통 2B : 뒤쪽 몸통 2F : 앞쪽 몸통
3 : 칼라 3B : 뒤쪽 칼라 3F : 앞쪽 칼라
4 : 경계
5 : 제1베이스부
50 : 종단부
51 : 제1그룹 52 : 제2그룹
53 : 제3그룹 54 : 제4그룹
6 : 제2베이스부
7, 70 : 보강 스티치
8 : 인레이사
9 : 피더 9Y : 편사

Claims (6)

  1.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에 계속되는 제2베이스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종단부의 소정의 범위 내의 스티치를 3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공정A와,
    공정B1과 공정B2를 선택 가능한 그룹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는 공정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B1에서는,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서 그룹X를 선택하고,
    상기 공정B2에서는, 상기 그룹X에 있어서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보강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 있어서의 각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는, 다른 그룹의 스티치의 배치범위와 편성폭방향으로 중복하는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의 수는 N이고,
    상기 3개 이상의 그룹에 있어서의 각 그룹은, (N-1)개씩 거른 스티치로 이루어지고,
    N은 3 이상의 자연수인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2는,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에 의하여 상기 그룹X의 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X와,
    상기 그룹X의 스티치와 상기 보강 스티치를 포개는 공정Y를
    포함하는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X 후 상기 공정Y 전에, 상기 그룹X의 스티치와 상기 보강 스티치의 사이에 인레이사(inlay yarn)를 배치하는 공정Z를 구비하는 편성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2에서는, 턱(tuck)에 의하여 상기 그룹X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턱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편성에 사용된 편사(編絲)에 의하여 상기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방법.
KR1020230113348A 2022-08-31 2023-08-29 편성방법 KR20240031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38161 2022-08-31
JP2022138161A JP2024034121A (ja) 2022-08-31 2022-08-31 編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120A true KR20240031120A (ko) 2024-03-07

Family

ID=8984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348A KR20240031120A (ko) 2022-08-31 2023-08-29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034121A (ko)
KR (1) KR20240031120A (ko)
CN (1) CN117626511A (ko)
DE (1) DE1020232082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398A (ja) 1998-09-25 2000-04-04 Shima Seiki Mfg Ltd インレイ編地編成方法およびインレイ編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398A (ja) 1998-09-25 2000-04-04 Shima Seiki Mfg Ltd インレイ編地編成方法およびインレイ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34121A (ja) 2024-03-13
DE102023208283A1 (de) 2024-02-29
CN117626511A (zh)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3923C (zh) 通过添纱制造阔罗纹组织的编织方法
CN101910485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277966C (zh) 筒状针织物的条纹编织方法及其针织物
CN101395313B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和筒状针织物
WO2007023690A1 (ja) リブ編地とその編成方法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KR100872362B1 (ko) 새로운 초기 편성 구조를 구비하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20170138060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2013249565A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1813857B1 (ko) 편사의 고정방법
JP2016211088A (ja) 編地の編成方法
US6079232A (en) Widening method
KR20240031120A (ko) 편성방법
KR1018447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CN107142601B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
EP2333139A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JPH08113853A (ja) 筒状編地の編み幅側縁部に縄柄を編成する方法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291022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및 접합된 편성포
JP7509660B2 (ja) 編成方法、及び編地
CN104831459A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KR10267913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40052674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247706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2003003352A (ja) リブ編地の増目方法及び当該方法で増目されたリブ編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