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582A -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 Google Patents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582A
KR20240030582A KR1020220109808A KR20220109808A KR20240030582A KR 20240030582 A KR20240030582 A KR 20240030582A KR 1020220109808 A KR1020220109808 A KR 1020220109808A KR 20220109808 A KR20220109808 A KR 20220109808A KR 20240030582 A KR20240030582 A KR 2024003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uppermost
spaced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오
임성진
Original Assignee
(주)태진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태진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2010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582A/ko
Publication of KR2024003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5Devices providing a back support to a person on the ladder, e.g. c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이 복수 개의 등받이 링과, 링 연결 부재와, 최상단 고정 부재와, 이격 고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여서 전선, 케이블 등이 어지럽게 연결된 상태일 수 있는 강관주에도 상기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증설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 사이 및 상기 이격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을 외력에 의해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사다리에 대해서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Addition type safety hoops for steel tubular pole}
본 발명은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에 관한 것이다.
강관주는 가로등 기둥, 전선 기둥, CCTV 설치 기둥, 5G 등의 통신 케이블 설치 기둥 등에 이용되는 강관제 기둥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고 소정 높이로 높게 세워지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강관주를 따라 오르내리기 위해서 상기 강관주에는 수직 사다리가 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수직 사다리를 통해 상기 강관주를 따라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수직 사다리를 오르내릴 때 작업자의 낙하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사다리에 설치되는 것이 강관주용 등받이울이다.
이러한 강관주용 등받이울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강관주용 등받이울에 의하면, 강관주를 지상 등 설치면 상에 설치할 때 함께 설치하여야 하고,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의 강관주에는 전선, 케이블 등이 어지럽게 연결된 상태여서, 강관주용 등받이울의 증설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강관주용 등받이울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사다리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적용되기가 힘든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972305호, 등록일자: 2019.04.19., 발명의 명칭: 등받이울 조립체
본 발명은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의 강관주에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증설이 가능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사다리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은 강관주에 설치된 사다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를 타고 오르내리는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등받이 링; 상기 사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 등받이 링을 연결시켜주는 링 연결 부재;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과 연결되어,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을 상기 사다리에 고정시켜주는 최상단 고정 부재; 및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상기 사다리에 고정시켜주는 이격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에 의하면, 상기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이 복수 개의 등받이 링과, 링 연결 부재와, 최상단 고정 부재와, 이격 고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여서 전선, 케이블 등이 어지럽게 연결된 상태일 수 있는 강관주에도 상기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증설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 사이 및 상기 이격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을 외력에 의해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사다리에 대해서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이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측면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측면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D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이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측면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분을 다른 측면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100)은 강관주에 설치된 사다리(1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등받이 링(110)과, 링 연결 부재(120)와, 최상단 고정 부재(130)와, 이격 고정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사다리(10)는 상기 강관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설치되되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20, 30)과, 상기 각 사다리 프레임(20, 30) 사이를 서로 다른 높이 상에서 연결시켜주고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밟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각 사다리 프레임(20, 30)은 상기 각 사다리 연결 프레임(4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대면 프레임(21)과, 상기 대면 프레임(21)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절곡 프레임(2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각 사다리 프레임(20, 30)은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은 상기 각 사다리 프레임(20, 30) 중 서로 마주보게 되는 상기 각 대면 프레임(21)을 연결한 형태가 된다.
상기 각 등받이 링(11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10)를 타고 오르내리는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사다리(10)를 타고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작업자가 실족 등으로 인해 임의 낙하할 위험에 처하여도 작업자의 등쪽 부분을 상기 각 등받이 링(110)이 받쳐주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낙상 사고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등받이 링(110)의 일부는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각 등받이 링(110)의 절개된 부분이 상기 사다리(10)와 연결된다.
상기 각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의 절개된 부분의 양 말단부 각각에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가 하나씩 대칭되는 형태로 적용되고, 상기 각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 것의 절개된 부분의 양 말단부 각각에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가 하나씩 대칭되는 형태로 적용된다.
상기 링 연결 부재(120)는 상기 사다리(10)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각 등받이 링(110)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는 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과 연결되어, 상기 강관주가 지면 등의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을 상기 사다리(10)에 고정시켜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는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와,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와,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과,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과,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과,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과,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과,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는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42)과,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43)과,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는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플레이트(144)와,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과,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관통 고정 수단(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는 상기 절곡 프레임(22)과 대면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의 절개된 말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는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의 외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는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의 내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상대적으로 근접되면서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의 양 측단을 따라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가 각각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 및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 단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중 상기 등받이 링(110) 쪽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의 내부로 소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이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의 내부에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소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을 통해 인입된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이 인입되어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의 중앙부 중 상기 등받이 링(110) 쪽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함몰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은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에 대해 수직으로 상방을 향해 굽혀진 형태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은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은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일 면을 가압해주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의 내면에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34)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이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타 면을 가압해주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타 면을 가압해주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의 내면에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36)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이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이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을 통해 인입된 다음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이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일 면을 가압함과 함께,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이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타 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이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양 면을 함께 가압해주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후적으로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가 상기 사다리(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42)은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4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43)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41)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42)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는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42)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43)에 함께 관통 고정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43)의 내면에 상기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43)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39)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43)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가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 및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과 평행하면서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 및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적용됨에 따라,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가 임의로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플레이트(144)는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중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 및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의 하측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에 걸린 상태인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플레이트(144)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관통 고정 수단(146)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에 걸린 상태인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을 하부에서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로부터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의 임의 이탈을 방지시켜주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의 내면에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관통 고정 수단(146)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47)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관통 고정 수단(146)이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관통 고정 수단(146)이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145)을 관통하여 고정되면서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을 하부에서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의 내부에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이 요동 방지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로부터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이 임의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는 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이 아닌 것)에 연결되어,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상기 사다리(10)에 고정시켜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는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161)와,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와,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과,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과,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과,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과,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72)과,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73)과,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161)는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131)와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절곡 프레임(22)과 대면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 링(110) 중 최상단의 것이 아닌 것의 절개된 말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는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161)의 외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는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161)의 내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상대적으로 근접되면서 대면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161)의 양 측단을 따라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가 각각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161) 및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 단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은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은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일 면을 가압해주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의 내면에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64)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이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타 면을 가압해주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의 내면에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66)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이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72)은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73)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 중 상기 대면 프레임(21)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72)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는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172)과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73)에 함께 관통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73)의 내면에 상기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73)의 외곽에 별도의 너트(169)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173)에 관통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가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 및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과 평행하면서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 및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적용됨에 따라,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가 임의로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이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170)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일 면을 가압함과 함께,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이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171)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21)의 타 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가 상기 사다리(10)에 사후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 상기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 및 상기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가 제거된 상태에서,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의 상기 강관주의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40)이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148)을 통해 인입된 다음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149)에 걸리고,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132)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133) 사이 및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162)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163) 사이에 상기 사다리 프레임(20, 30) 중 하나의 각 부분이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35),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37), 상기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138),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165),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167) 및 상기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168)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 및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에 의해 상기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100)이 상기 사다리(10)에 사후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100)이 복수 개의 상기 등받이 링(110)과, 상기 링 연결 부재(120)와,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와,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를 포함함에 따라,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여서 전선, 케이블 등이 어지럽게 연결된 상태일 수 있는 상기 강관주에도 상기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100)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증설될 수 있게 되고, 한 쌍의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130) 사이 및 한 쌍의 상기 이격 고정 부재(160) 사이의 간격을 외력에 의해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사다리(10)에 대해서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에 의하면, 이미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세워진 상태의 강관주에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증설이 가능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사다리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110 : 등받이 링
120 : 링 연결 부재
130 : 최상단 고정 부재
160 : 이격 고정 부재

Claims (5)

  1. 강관주에 설치된 사다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를 타고 오르내리는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등받이 링;
    상기 사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 등받이 링을 연결시켜주는 링 연결 부재;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과 연결되어,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을 상기 사다리에 고정시켜주는 최상단 고정 부재; 및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링 중 최상단의 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상기 사다리에 고정시켜주는 이격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상기 강관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설치되되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과,
    상기 각 사다리 프레임 사이를 서로 다른 높이 상에서 연결시켜주고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밟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사다리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각 사다리 프레임은
    상기 각 사다리 연결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대면 프레임과,
    상기 대면 프레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는
    상기 절곡 프레임과 대면되는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의 외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와,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의 내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와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면 프레임과 대면되는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 중 상기 등받이 링 쪽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의 내부로 소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이 인입될 수 있는 연결 프레임 인입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의 내부에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소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이 인입되어 걸릴 수 있는 연결 프레임 걸림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일 면을 가압해주는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타 면을 가압해주는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이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다음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이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일 면을 가압함과 함께,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이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타 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가 상기 사다리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는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에 함께 관통 고정됨으로써 상기 최상단 고정 외곽 플레이트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최상단 고정 이격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고정 부재는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플레이트 중 상기 연결 프레임 인입홀 및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의 하측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에 걸린 상태인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플레이트와,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과,
    상기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연장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에 걸린 상태인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을 하부에서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 걸림홀로부터 상기 사다리 연결 프레임의 임의 이탈을 방지시켜주는 최상단 고정 내곽 수직 관통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고정 부재는
    상기 최상단 고정 본체 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절곡 프레임과 대면되는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의 외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와,
    상기 이격 고정 본체 플레이트의 내곽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와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면 프레임과 대면되는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와,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과,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일 면을 가압해주는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과,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마주보게 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과,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타 면을 가압해주는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과,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과,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 중 상기 대면 프레임과 비대면되는 부분에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과,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2 관통홀과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2 관통홀에 함께 관통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격 고정 외곽 플레이트와 상기 이격 고정 내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 고정 이격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이 상기 이격 고정 외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이격 고정 외곽 관통 고정 수단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일 면을 가압함과 함께,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이 상기 이격 고정 내곽 제 1 관통홀에 관통 고정되면서 상기 이격 고정 내곽 관통 고정 수단의 말단부가 상기 대면 프레임의 타 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강관주가 강관주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이격 고정 부재가 상기 사다리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KR1020220109808A 2022-08-31 2022-08-31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KR20240030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808A KR20240030582A (ko) 2022-08-31 2022-08-31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808A KR20240030582A (ko) 2022-08-31 2022-08-31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582A true KR20240030582A (ko) 2024-03-07

Family

ID=9027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808A KR20240030582A (ko) 2022-08-31 2022-08-31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5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05B1 (ko) 2016-12-22 2019-04-26 동일산업(주) 등받이울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05B1 (ko) 2016-12-22 2019-04-26 동일산업(주) 등받이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773B2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US6240697B1 (en) Threaded anchor for poured concrete metal deck floors and wood frame floors
US10526805B2 (en) Fall arrest anchor
KR101749907B1 (ko) 로프 난간대
US7963367B2 (en) Toeboard clamp system
KR20240030582A (ko) 강관주용 증설식 등받이울
ITMI20080163U1 (it) Profilati e intelaiature metalliche per pannellature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DE4412072B4 (de) Einrichtung zur Befestigung von Geländern an Rändern von begehbaren Lauf- und Arbeitsflächen-Elementen
KR100877495B1 (ko) 확장형 발코니 안전난간대
KR20080033208A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240033390A (ko) 강관주용 증설식 중간 안전쉼터
KR101143676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2156973B1 (ko)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KR20180075807A (ko) 앵커용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틀 시공방법
KR200190085Y1 (ko) 건축용 안전망
IT201900003643A1 (it) Riparo antintrusione con mezzi di assemblaggio perfezionati.
JP7347452B2 (ja) 支柱の固定構造及び支柱の固定方法
JP7349402B2 (ja) 支柱装置
KR102641483B1 (ko)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KR102060885B1 (ko) 조립식 핸드레일
KR102339689B1 (ko) 창호 시공용 안전보호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KR200313899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의 지주대
JP4156991B2 (ja) 防護ネットの設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