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931A -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 Google Patents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931A
KR20240029931A KR1020220108324A KR20220108324A KR20240029931A KR 20240029931 A KR20240029931 A KR 20240029931A KR 1020220108324 A KR1020220108324 A KR 1020220108324A KR 20220108324 A KR20220108324 A KR 20220108324A KR 20240029931 A KR20240029931 A KR 2024002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cassette
jig
lever
driving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제
김광준
이희관
조원영
한상경
황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931A/ko
Publication of KR2024002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26Horizontal carrier comprising wall type elements whereby the substrates are vertically supported, e.g. comprising side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는 지그 몸체, 클램핑 기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몸체는 런 박스 내에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지그 몸체 내에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웨이퍼 카세트를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클램핑 기구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클램핑 기구가 웨이퍼 카세트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JIG FOR TRANSPORTING A WAFER CASSETTE}
본 발명은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웨이퍼들이 수납된 카세트를 운반하는ㄷ에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퍼 카세트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설비에 반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웨이퍼들이 수납된 카세트를 담은 런 박스의 커버를 오픈할 수 있다. 카세트를 플랫 얼라인에 넣고, 카세트 내 웨이퍼 얼라인을 맞춘 후 그대로 들어 설비 앞으로 이동하여 해당 설비의 로드락 위치에 맞춰 로딩을 진행할 수 있다. 설비 진행이 완료되면, 카세트를 로드락에서 언로딩하여 작업자가 이를 들고 해당 런 박스 뚜껑을 한 손으로 개방할 수 있다. 카세트를 런 박스에 로딩한 이후, 런 박스를 닫을 수 있다. 작업자가 런 박스를 들고 다음 공정으로 매뉴얼 반송을 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카세트를 한 손으로 로딩/언로딩 시 검지 손가락의 피로도가 가장 높으며, 장기간 반복적인 업무를 진행하게 되면, 전술한 방식과 같이 사람이 직접 손으로 들고 다니는 방식은 작업자는 손가락, 손목 등 신체의 피로도가 누적되어 쌓이게 된다.
본 발명은 웨이퍼 카세트를 취급하는 작업자의 피로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는 지그 몸체, 클램핑 기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몸체는 런 박스 내에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지그 몸체 내에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웨이퍼 카세트를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지그 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기구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클램핑 기구가 웨이퍼 카세트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구동 기구가 지그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웨이퍼에 치명적인 결함으로 작용하는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의 클램핑 기구와 구동 기구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핑 기구와 구동 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의 서포트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의 클램핑 기구와 구동 기구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들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핑 기구와 구동 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의 서포트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웨이퍼(wafer)(W)들은 웨이퍼 카세트(cassetter)(C)에 수납될 수 있다. 웨이퍼 카세트(C)는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져서, 웨이퍼(W)들이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서 웨이퍼 카세트(C)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웨이퍼 카세트(C)는 런 박스(run box)(B)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는 런 박스(B)에 수납된 웨이퍼 카세트(C)를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jig)는 지그 몸체(jig body)(100), 클램핑 기구(clamping mechanism)(200), 구동 기구(driving mechanism)(300) 및 서포트 가이드(support guide)(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몸체(100)는 웨이퍼 카세트(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그 몸체(100)는 제 1 몸체 블럭(block)(110), 제 2 몸체 블럭(120) 및 손잡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 블럭(110)은 제 1 수평 방향(H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몸체 블럭(110)이 웨이퍼 카세트(C)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 2 몸체 블럭(120)은 제 1 몸체 블럭(110)의 외측면 중앙부로부터 제 1 수평 방향(H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H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제 2 몸체 블럭(120)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V)을 따라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몸체 블럭(110)과 제 2 몸체 블럭(120)은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 1 몸체 블럭(110)은 개방된 양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몸체 블럭(110)과 연결되는 제 2 몸체 블럭(120)의 내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몸체 블럭(110)과 제 2 몸체 블럭(12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클램핑 기구(200)는 지그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웨이퍼 카세트(C)를 클램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핑 기구(200)는 제 1 몸체 블럭(110) 내에 제 1 수평 방향(H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웨이퍼 카세트(C)의 양측면들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클램핑 기구(200)는 한 쌍의 클램핑 블럭(clamping block)(210, 212)들 및 한 쌍의 컨택 블럭(contact block)(220, 2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핑 블럭(210, 212)들은 제 1 몸체 블럭(110)의 내부에 제 1 수평 방향(H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클램핑 블럭(210, 212)들은 구동 기구(300)에 의해서 제 1 수평 방향(H1)을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어져서 웨이퍼 카세트(C)의 양측면들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클램핑 블럭(210, 212)들 각각은 양단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H2)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들을 가질 수 있다.
컨택 블럭(220, 222)들은 클램핑 블럭(210, 212)들의 연장부들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 블럭(210, 212)들이 구동 기구(300)에 의해서 오므려지게 되면, 컨택 블럭(220, 222)들이 웨이퍼 카세트(C)의 양측면에 컨택될 수 있다.
구동 기구(300)는 클램핑 블럭(210, 212)들을 제 1 수평 방향(H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300)는 클램핑 블럭(210, 212)들을 제 1 수평 방향(H1)을 따라 오므리거나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동 기구(300)는 레버(lever)(310), 구동 블럭(driving block)(340), 힌지 브래킷(hinge bracket)(350), 스프링(spring)(330), 고정 기구(fixing mechanism)(360) 및 해제 버튼(release button)(37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310)는 지그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310)는 제 2 몸체 블럭(120)과 손잡이(130)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힌지핀(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10)는 제 1 수평 방향(H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손잡이(130)는 제 1 수평 방향(H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310)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웨이퍼 카세트(C)를 향하는 손잡이(13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은 제 2 몸체 블럭(120)의 내부에 제 2 수평 방향(H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은 레버(310)의 내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블럭(340)은 레버(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2 몸체 블럭(120)으로부터 제 1 몸체 블럭(110)의 내부로 전진하거나 또는 제 1 몸체 블럭(110)으로부터 제 2 몸체 블럭(120)의 내부로 후진할 수 있다.
힌지 브래킷(350)은 레버(310)와 구동 블럭(340)을 연결시킬 수 있다. 힌지핀(352)들이 힌지 브래킷(350)을 통해서 레버(310)와 구동 블럭(34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10)의 회전력은 힌지 브래킷(350)을 통해서 구동 블럭(340)으로 전달되어, 구동 블럭(340)이 제 2 수평 방향(H2)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은 클램핑 기구(2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guide groove)(214)들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214)들은 클램핑 기구(200)의 클램핑 블럭(210, 212)들의 상부면들에 구동 블럭(340)의 전진 방향, 즉 제 2 수평 방향(H2)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이 가이드 홈(214)들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가이드 롤러들(guide roller)이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에 설치되어, 이러한 가이드 롤러들이 가이드 홈(214)들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이 가이드 홈(214)들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구동 블럭(340)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서 클램핑 블럭(210, 212)들이 오므려지거나 또는 벌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블럭(340)이 전진하면,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이 가이드 홈(214)들을 따라 클램핑 블럭(210, 212)들의 내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의 폭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램핑 블럭(210, 212)들 사이의 폭은 좁아지게 되어, 클램핑 블럭(210, 212)들은 오므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므려진 클램핑 블럭(210, 212)들에 의해서 컨택 블럭(220, 222)들이 웨이퍼 카세트(C)의 양측면에 컨택될 수 있다. 반면에, 구동 블럭(340)이 후진하면,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이 가이드 홈(214)들을 따라 클램핑 블럭(210, 212)들의 외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의 폭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램핑 블럭(210, 212)들 사이의 폭은 넓어지게 되어, 클램핑 블럭(210, 212)들은 벌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벌어진 클램핑 블럭(210, 212)들에 의해서 컨택 블럭(220, 222)들이 웨이퍼 카세트(C)의 양측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스프링(330)은 힌지핀(32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330)은 구동 블럭(340)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레버(310)를 탄력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10)에 외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동 블럭(340)은 스프링(330)에 의해서 후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클램핑 블럭(210, 212)들과 컨택 블럭(220, 222)들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스프링(330)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을 레버(310)를 인가하여 구동 블럭(340)을 전진시키면, 고정 기구(360)가 회전된 레버(3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기구(360)는 고정판(fixing plate)(362) 및 고정핀(fixing pin)(36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362)은 힌지핀(320)이 설치된 지그 몸체(100) 부위, 즉 제 2 몸체 블럭(120)과 손잡이(130)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판(362)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공이 고정판(362)에 수직 방향(V)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364)은 고정판(362)에 인접한 레버(310)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핀(364)은 레버(310)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판(362)의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364)이 고정공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레버(310)에 외력을 더 이상 인가하지 않아도 구동 블럭(340)의 전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해제 버튼(370)은 제 2 몸체 블럭(12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제 버튼(370)은 손잡이(130)의 위에 위치한 제 2 몸체 블럭(120)의 상부면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해제 버튼(370)은 고정핀(364)을 고정공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서포트 가이드(400)는 런 박스(B)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런 박스(B)는 일반적으로 테이블(T)의 상부면에 안치될 수 있다. 지그가 웨이퍼 카세트(C)를 클램핑하는 동안, 서포트 가이드(400)는 런 박스(B)의 후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 가이드(400)는 하부 지지대(410), 상부 지지대(420), 지지 브래킷(430) 및 높이 조정 나사(4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대(410)는 런 박스(B)의 후면 하부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420)는 하부 지지대(4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높이 조정 나사(440)가 상부 지지대(420)와 하부 지지대(410) 사이에 체결되어, 하부 지지대(410)에 대한 상부 지지대(420)의 높이를 런 박스(B)의 높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지지 브래킷(430)은 하부 지지대(410)에 설치되어 테이블(T)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브래킷(430)의 하단에 지지단(432)이 형성되어, 테이블(T)의 하부면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정 나사(440)가 지지 브래킷(430)과 하부 지지대(410) 사이에 체결되어, 지지 브래킷(430)에 대한 하부 지지대(410)의 높이를 런 박스(B)의 높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지그로 웨이퍼 카세트를 클램핑하는 동작을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330)이 레버(310)를 시계방향을 따라 탄력 지지하고 있으므로, 구동 블럭(340)은 후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은 가이드 홈(214)들의 외측 단부들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클램핑 블럭(210, 212)들과 컨택 블럭(220, 222)들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손잡이(130)를 잡은 상태에서, 스프링(330)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을 레버(310)에 인가하여, 레버(31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310)의 회전력은 힌지 브래킷(350)을 통해서 구동 블럭(340)으로 전달되어, 구동 블럭(340)은 제 2 수평 방향(H2)을 따라 전진할 수 있다. 구동 블럭(340)의 양측 하단들도 가이드 홈(214)들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가이드 홈(214)들의 내측 단부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 블럭(210, 212)들이 오므려지게 되어, 컨택 블럭(220, 222)들이 웨이퍼 카세트(C)의 양측면들과 컨택되고, 이에 따라 웨이퍼 카세트(C)가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레버(310)의 회전에 의해서 고정핀(364)도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고정핀(364)이 고정판(362)의 고정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30) 내부에 수용된 레버(310)에 더 이상 외력을 인가하지 않아도 클램핑 블럭(210, 212)들과 컨택 블럭(220, 222)들이 웨이퍼 카세트(C)를 클램핑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130)를 잡고 웨이퍼 카세트(C)를 클램핑하고 있는 지그를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클램핑 동작과 구동 동작은 지그 몸체(10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구동 기구(300)와 클램핑 기구(200)의 동작으로 인한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기구(300)에 의해 구동되는 클램핑 기구(200)가 웨이퍼 카세트(C)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구동 기구(300)가 지그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웨이퍼에 치명적인 결함으로 작용하는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지그 몸체 110 ; 제 1 몸체 블럭
120 ; 제 2 몸체 블럭 130 ; 손잡이
200 ; 클램핑 기구 210, 212 ; 클램핑 블럭
214 ; 가이드 홈 220, 222 ; 컨택 블럭
300 ; 구동 기구 310 ; 레버
320 ; 힌지핀 330 ; 스프링
340 ; 구동 블럭 350 ; 힌지 브래킷
352 ; 힌지핀 360 ; 고정 기구
362 ; 고정판 364 ; 고정핀
370 ; 해제 버튼 400 ; 서포트 가이드
410 ; 하부 지지대 420 ; 상부 지지대
430 ; 지지 브래킷 440 ; 높이 조정 나사
B ; 런 박스 C ; 웨이퍼 카세트
T ; 테이블 H1 ; 제 1 수평 방향
H2 ; 제 2 수평 방향 V ; 수직 방향

Claims (10)

  1. 런 박스(B) 내에 수용된 웨이퍼 카세트(C)의 전면에 배치된 지그 몸체(100);
    상기 지그 몸체(100) 내에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웨이퍼 카세트(C)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기구(200); 및
    상기 지그 몸체(1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기구(200)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300)를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몸체(100)에 설치된 손잡이(130)를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200)는
    상기 지그 몸체(100) 내에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 기구(300)에 연결된 한 쌍의 클램핑 블럭(210, 212)들; 및
    상기 클램핑 블럭(210, 212)들의 마주보는 내측면들에 배치되어 상기 웨이퍼 카세트(C)의 측면들과 접촉하는 한 쌍의 컨택 블럭(220, 222)들을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300)는
    상기 지그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310); 및
    상기 레버(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클램핑 기구(200)로/로부터 전진/후진하여 상기 클램핑 기구(200)를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블럭(34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블럭(340)은 상기 구동 블럭(340)의 전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기 클램핑 기구(2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214)들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300)는 상기 구동 블럭(340)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310)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30)을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300)는 상기 구동 블럭(340)을 상기 레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브래킷(350)을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300)는 상기 구동 블럭(340)을 전진시킨 상기 레버(310)를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360)를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360)는
    상기 레버(3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지그 몸체(100) 부위에 설치되고, 고정공을 갖는 고정판(362); 및
    상기 레버(31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364)을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360)는 상기 고정핀(364)을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해제 버튼(370)을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런 박스(B)의 후면을 지지하는 서포트 가이드(400)를 더 포함하는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KR1020220108324A 2022-08-29 2022-08-29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KR20240029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324A KR20240029931A (ko) 2022-08-29 2022-08-29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324A KR20240029931A (ko) 2022-08-29 2022-08-29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931A true KR20240029931A (ko) 2024-03-07

Family

ID=9027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324A KR20240029931A (ko) 2022-08-29 2022-08-29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1623B2 (ja) 半導体加工装置のためのローディング及びアンローディング用ステーション
US7299831B2 (en) Substrate carrier having door latching and substrate clamping mechanisms
JP5020994B2 (ja) 半導体加工装置のためのローディング及びアンローディング用ステーション
US10568250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component
CN108349649B (zh) 取出装置及保管装置
WO2003105218A1 (ja) 被処理体の収納容器体
JP4610188B2 (ja) 薄板支持容器用蓋体及び薄板支持容器並びに簡易着脱機構
JP2002026108A (ja) 被処理体の移載機構、処理システム及び移載機構の使用方法
JP2012064827A (ja) カセットアダプタ、及びアダプタ本体ロック装置
KR20240029931A (ko) 웨이퍼 카세트 운반용 지그
WO2001004027A1 (en) Low profile automated pod door removal system
US9401295B2 (en) Load port apparatus and clamping device to be used for the same
JP4105883B2 (ja) Foupクランプ機構
JP3917138B2 (ja) ポッドオープナのポッドクランプユニット、当該ポッドクランプユニットを用いたポッドクランプ機構及びクランプ方法
JP2947576B2 (ja) 収納治具の挟持構造および挟持方法
JP2945837B2 (ja) 板状体の搬送機構および搬送方法
JPH08181192A (ja) ウェハ移載機
KR100238947B1 (ko) 반도체 웨이퍼 탑재장치
JP4508463B2 (ja) 容器の蓋体用手動開閉治具
JP2657185B2 (ja) ピッチ変換機及びそれを用いたピッチ変換方法
JP2849890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0110464Y1 (ko) 웨이퍼 이동구
JPH09199447A (ja) ウェーハを垂直に載置したダイシング装置
JP2782408B2 (ja) 基板処理装置
JP2005060033A (ja) 薄板ワークの移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