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658A -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658A
KR20240029658A KR1020220107509A KR20220107509A KR20240029658A KR 20240029658 A KR20240029658 A KR 20240029658A KR 1020220107509 A KR1020220107509 A KR 1020220107509A KR 20220107509 A KR20220107509 A KR 20220107509A KR 20240029658 A KR20240029658 A KR 2024002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rame
truck
post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송창환
신상형
윤성우
강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차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차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차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658A/ko
Publication of KR2024002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바닥편부가 연접하여 이루어진 바닥판; 바닥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고정되고 바닥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가드; 바닥판의 좌측 및 우측이 개폐되도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게이트 및 우측 게이트; 및 바닥판의 후방이 개폐되도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게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CARGO BOX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좀더 많은 설비 또는 화물이 탑재되고 화물차의 연비가 개선되도록 무게를 최소화한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화물을 안전하게 운송하고 상하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적재함을 구비한다. 근래에는 좀더 많은 설비 또는 화물이 안전하게 탑재되면서도 화물차의 연비와 성능도 저하되지 않도록, 화물차의 적재함으로 경량 적재함이 도입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크레인(crane)과 적재함이 함께 설치된 크레인 카고(crane cargo)의 경우에, 크레인의 무게가 무거워서 보다 가볍고 견고한 경량 적재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1420호(1998.10.07. 공개, 고안의 명칭: 상용 적재함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예컨대, 크레인 카고와 같은 화물차에 설치되는, 가볍고 견고한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바닥편부가 연접(連接)하여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가드(guard); 상기 바닥판의 좌측 및 우측이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게이트(gate) 및 우측 게이트; 및 상기 바닥판의 후방이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게이트;를 포함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바닥편부 중에서 가장 좌측에 배치된 바닥편부 및 가장 우측에 배치된 바닥편부를 제외한 바닥편부는 각각, 상기 바닥판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수형 결합구; 및 상기 수형 결합구가 끼워지고 상기 바닥판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암형 결합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닥판부는 각각, 위아래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판부 및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격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닥편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게이트 및 상기 우측 게이트는 각각, 서로 이격된 복수의 측벽부; 및 상기 복수의 측벽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복수의 래치(latch)를 구비한 사이드 포스트(side post);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래치가 설치된 포스트 보디(body);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 보디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홈(groove)이 형성된 프레임 결합 브라켓; 및 상기 포스트 보디의 상기 하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지 않은 때 상기 포스트 보디가 상기 프레임 결합 브라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보디 및 상기 프레임 결합 브라켓에 결합된 포스트 힌지(hinge);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은, 상기 좌측 게이트와 상기 후방 게이트 사이, 및 상기 우측 게이트와 상기 후방 게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좌측 게이트 및 상기 우측 게이트 중 하나의 게이트 및 상기 후방 게이트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복수의 래치를 구비한 한 쌍의 리어 포스트(rear po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어 포스트는 상기 후방 게이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크로스바(cross bar);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 결합 매개 블록(block); 및 상기 크로스바를 지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바 지지 레일(rail);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매개 블록을 매개로 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 지지 레일이 볼트(bolt)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가드는, 서로 교차하는 가로 창살 및 세로 창살; 및 상기 가로 창살에 접촉되며 상기 가로 창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 및 상기 세로 창살에 접촉되며 상기 세로로 창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 연장부를 구비하여 알파벳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L자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L자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가로 창살 및 상기 세로 창살이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창살 및 상기 세로 창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가드는, 상기 가로 창살 및 상기 세로 창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L자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 매개 블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은 크레인(crane)이 설치된 크레인 카고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은, 가볍고 견고하며,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게 조립되는 바닥판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물차용 적재함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크레인 카고에 설치되는 경우에 크레인의 무게에 불구하고 많은 화물을 적재하고 적절한 속도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좌측 게이트 및 우측 게이트가 사이드 포스트를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게이트 또는 우측 게이트를 전부 개폐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개폐한 상태로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상하차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좌측 게이트 또는 우측 게이트를 전부 개폐할 때에는 사이드 포스트를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접거나 세울 수 있어서 사이드 포스트의 분실이 예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바닥판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을 V-V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를 VI-V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사이드 포스트의 몸체부를 상승시킨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7은 경량 적재함의 밖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경량 적재함의 안에서 본 도면이며, 도 9는 상승된 포스트 보디가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바닥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바닥판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을 V-V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를 VI-V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1)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화물차에 탑재되는 것으로, 바닥판(10), 프레임(frame)(100), 전방 가드(guard)(150), 좌측 및 우측 게이트(gate)(101A, 101B), 후방 게이트(270), 및 한 쌍의 리어 포스트(rear post)(300)를 포함한다.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1)이 설치되는 화물차(미도시)는 예컨대, 크레인(crane)이 설치된 크레인 카고(crane cargo)일 수 있다.
바닥판(10)에는 화물이 올려진다. 바닥판(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바닥편부(11, 31, 51)가 좌우 방향으로 연접(連接)하여 이루어진다. 복수의 바닥편부(11, 31, 51)는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접한 복수의 바닥편부(11, 31, 51) 중에서 가장 우측에 배치된 것은 우측 바닥편부(31)라고 칭하고, 가장 좌측에 배치된 것은 좌측 바닥편부(51)라고 칭하며, 우측 바닥편부(31)와 좌측 바닥편부(5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바닥편부는 중간 바닥편부(11)라고 칭한다.
각각의 중간 바닥편부(11)는 위아래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판부(12) 및 하판부(15), 상판부(12) 및 하판부(15) 사이에 분리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판부(12) 및 하판부(15)를 연결하는 복수의 격벽부(17)를 구비한다. 상판부(12)에는 상향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 리브(rib)(13)가 형성된다.
중간 바닥편부(11)는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수형 결합구(20) 및 암형 결합구(25)를 구비한다. 수형 결합구(20) 및 암형 결합구(25)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형 결합구(20)의 단면 형상은 볼록한 곡선 형상이고, 수형 결합구(20)가 면접촉되며 끼워지도록 암형 결합구(25)의 단면 형상은 오목한 곡선 형상이다. 중간 바닥편부(11)는 수형 결합구(20)의 상측에 좌측으로 수평 돌출된 좌측 상단 리브(22)를 구비하고, 암형 결합구(25)의 상측에 우측으로 수평 돌출된 우측 상단 리브(27)를 구비한다. 또한, 중간 바닥편부(11)는 수형 결합구(20)의 하부에서 우측으로 수평 돌출된 하부 수평 리브(24)를 구비하고, 암형 결합구(25)의 우측 단부에서 상향 돌출된 지지 리브(29)를 구비한다.
하나의 중간 바닥편부(11)의 수형 결합구(20)가 그 중간 바닥편부(11)의 좌측에 이웃한 다른 중간 바닥편부(11)의 암형 결합구(25)에 끼워져서, 이웃한 한 쌍의 중간 바닥편부(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연하면, 하나의 중간 바닥편부(11)의 수형 결합구(20)와 이웃한 다른 중간 바닥편부(11)의 암형 결합구(25)를 전후 방향으로 정렬하고 수형 결합구(20)를 암형 결합구(25)에 끼워지도록 밀어 넣으면 이웃한 한 쌍의 중간 바닥편부(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웃한 한 쌍의 중간 바닥편부(11) 중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한 중간 바닥편부(11)의 좌측 상단 리브(27) 및 하부 수평 리브(24)는,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한 중간 바닥편부(11)의 우측 상단 리브(27) 및 지지 리브(29)에 지지된다. 따라서, 결합된 한 쌍의 중간 바닥편부(11)가 수형 결합구(20) 및 암형 결합구(25)를 중심으로 접혀지지 않고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우측 바닥편부(31) 및 좌측 바닥편부(51)는 중간 바닥편부(11)와 마찬가지로 위아래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판부(32, 52) 및 하판부(35, 55), 상판부(32, 52) 및 하판부(35, 55) 사이에 분리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판부(32, 52) 및 하판부(35, 55)를 연결하는 복수의 격벽부(37, 57)를 구비한다. 상판부(32, 52)에는 상향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 리브(33, 53)가 형성된다.
우측 바닥편부(31)의 좌측 단부에는 좌측에 이웃한 중간 바닥편부(11)의 암형 결합구(25), 우측 상단 리브(27), 및 지지 리브(29)에 대응되는 수형 결합구(40), 좌측 상단 리브(42), 및 하부 수평 리브(44)가 마련된다. 우측 바닥편부(31)는 우측 단부에 상판부(3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단차진 우측 말단 상판부(34)를 구비한다. 우측 말단 상판부(34)는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세워진 우측 게이트(200B)의 하단과 마주보게 된다.
좌측 바닥편부(51)의 우측 단부에는 우측에 이웃한 중간 바닥편부(11)의 수형 결합구(20), 좌측 상단 리브(22), 및 하부 수평 리브(24)에 대응되는 암형 결합구(65), 우측 상단 리브(67), 및 지지 리브(69)가 마련된다. 좌측 바닥편부(51)는 좌측 단부에 상판부(5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단차진 좌측 말단 상판부(54)를 구비한다. 좌측 말단 상판부(54)는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세워진 좌측 게이트(200A)의 하단과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바닥판(10)은 가볍고 견고하며, 연접되는 복수의 중간 바닥편부(11)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사이즈(size)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부연하면, 연접되는 중간 바닥판부(11)의 개수를 변경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물차용 적재함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크기의 바닥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바닥판(10)을 지지하고, 화물차(미도시)의 샤시(chassis)(미도시)에 지지된다. 좌측 레일(rail)(101A), 우측 레일(101B), 전단 크로스바(cross bar)(111), 후단 크로스바(116), 복수의 중간 크로스바(120), 및 한 쌍의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을 구비한다. 좌측 레일(101A), 우측 레일(101B), 전단 크로스바(111), 및 후단 크로스바(116)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프레임(100)의 외측 경계를 한정한다. 프레임(100)의 구성 요소들(101A, 101B, 111, 116, 130)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레일(101A) 및 우측 레일(101B)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다. 좌측 레일(101A)은 바닥판(10)의 좌측 모서리를 지지하고, 우측 레일(101B)은 바닥판(10)의 우측 모서리를 지지한다. 전단 크로스바(111) 및 후단 크로스바(11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다. 전단 크로스바(111)는 바닥판(10)의 전단 모서리를 지지하고, 후단 크로스바(116)는 바닥판(10)의 후단 모서리를 지지한다.
복수의 중간 크로스바(1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판(10)을 지지한다. 한 쌍의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중간 크로스부(120)를 지지한다.
도 2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각각의 중간 크로스바(120)는 바닥판(10)을 지지하는 지지판부(121), 지지판부(121)의 아래에 위치하고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에 탑재되는 레일 탑재 빔부(beam portion)(123), 및 지지판부(121)와 레일 탑재 빔부(12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목부(neck portion)(122)를 구비한다. 지지판부(121)와 바닥판(10)은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레일 탑재 빔부(123)는 강성 보강을 위해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보강 리브(125)를 구비한다. 보강 리브(125)의 아래에 레일 탑재 빔부(123)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127)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127)은 하측으로 개방된 하부 개구(128), 및 중간 크로스바(120)의 길이 방향 양 측 말단의 개구(미도시)에 의해 외부에 개방된다.
중간 크로스바(120)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의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127)에는 결합 매개 블록(block)(136)이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매개 블록(136)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크로스바(120)와 중간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은 결합 매개 블록(136)을 매개로 하여 볼트(bolt)(139)에 의해 결합된다.
부연하면, 중간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은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 ㄷ 자 형상의 레일로서, 위아래로 이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131)와 하판부(132), 및 상판부(131) 및 하판부(132)를 이어주는 연결벽부(133)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벽부(13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보강 리브가 구비된다.
볼트(139)가 상판부(131)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하부 개구(128)를 통해 결합 매개 블록(136)과 체결됨으로써 중간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에 중간 크로스바(120)가 고정 지지된다. 결합 매개 블록(136)은 마치 너트(nut)처럼 볼트(139)에 분리되지 않게 체결된다.
보강 리브(125)의 하측면에는 중간 크로스바(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돌기(126)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 매개 블록(136)의 상측면에는 안내 돌기(126)가 끼워지는 안내 홈(groove)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을 조립하는 작업자는 중간 크로스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지점으로 결합 매개 블록(136)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좌측 레일(101A) 및 우측 레일(101B)은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 ㄷ 자 형상의 레일로서, 중간 크로스바(120)의 상하 높이만큼 위아래로 이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판부(102)와 하판부(103), 및 상판부(102) 및 하판부(103)를 이어주는 연결벽부(104)를 구비한다. 중간 크로스바(120)의 길이 방향 양 측 단부는 연결벽부(104)와 마주보고 상판부(102) 및 하판부(103)와 겹쳐지게 좌측 레일(101A) 및 우측 레일(101B)에 끼워진다. 따라서, 중간 크로스바(120)의 길이 방향 양 측 단부는 하판부(103)에 지지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가드(150)는 바닥판(10)의 전방에 배치되고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부연하면, 전방 가드(150)는 상측 가로 창살(155), 좌측 세로 창살(160A), 우측 세로 창살(160B), 하측 가로 창살(185), 전방벽(151), 복수의 중간 세로 창살(187), 및 한 쌍의 보강 기둥(180)을 구비한다.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은 상측 가로 창살(155)과 교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좌측 세로 창살(160A)의 하단부는 전방 가드 좌측 연결 브라켓(190A)을 매개로 좌측 레일(101A)의 전단부에 고정 연결된다. 우측 세로 창살(160B)의 하단부는 전방 가드 우측 연결 브라켓(190B)을 매개로 우측 레일(101B)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은 좌우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의 길이 방향 양 측 단부는 좌측 세로 창살(160A)의 상단부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측 가로 창살(155)의 좌측 단부와 좌측 세로 창살(160A)의 상단부, 및 상측 가로 창살(155)의 우측 단부와 우측 세로 창살(160B)의 상단부는 각각, L자 브라켓(170)과 결합 매개 블록(175, 177)을 매개로 볼트(176, 178)에 의해 결합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은 각각,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 ㄷ 자 형상인 외부 빔(beam)(156, 161)과, 외부 빔(156, 161)의 내측에 내부 레일(rail)(158, 163)을 구비한다. 내부 레일(158, 163)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159, 164)이 형성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의 내부 레일(158)의 내부 공간(159) 및 외부 빔(156)은 상측 가로 창살(155)의 길이 방향 양 측 말단과 하측을 통해 외부에 개방된다. 좌측 세로 창살(160A)의 내부 레일(163)의 내부 공간(164) 및 외부 빔(161)은 좌측 세로 창살(160A)의 길이 방향 상단과 우측을 통해 외부에 개방된다. 별도의 확대 도면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우측 세로 창살(160B)의 내부 레일(163)의 내부 공간(164) 및 외부 빔(161)은 좌측 세로 창살(160A)의 경우와 유사하게 우측 세로 창살(160B)의 길이 방향 상단과 좌측으로 통해 외부에 개방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의 내부 레일(158)의 길이 방향 양 측 말단을 통해 내부 레일(158)의 내부 공간(159)에 제1 결합 매개 블록(175)이 삽입될 수 있다. 좌측 세로 창살(160A)의 내부 레일(163)의 길이 방향 상단을 통해 좌측 세로 창살(160A)의 내부 레일(163)의 내부 공간(164)에 제2 결합 매개 블록(177)이 삽입될 수 있다. 우측 세로 창살(160B)의 내부 레일(163)의 길이 방향 상단을 통해서도 우측 세로 창살(160B)의 내부 레일(163)의 내부 공간(164)에 제2 결합 매개 블록(175)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매개 블록(175, 177)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L자 브라켓(170)은 상측 가로 창살(155)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171) 및 좌측 및 우측 세로 창살(160A, 160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 연장부(173)를 구비한다. 가로 연장부(171)와 세로 연장부(173)는 절곡되게 서로 연결되어, L자 브라켓(170)의 단면 형상은 알파벳 L자 형상이 된다. L자 브라켓(17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 연장부(171)가 상측 가로 창살(155)의 내부 레일(158)의 좌측 단부에 면접촉되고 세로 연장부(173)가 좌측 세로 창살(160A)의 내부 레일(163)의 상단부에 면접촉되도록 L자 브라켓(170)은 전방 가드(150)의 좌측 상단 코너(corner)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볼트(176)가 가로 연장부(171)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제1 결합 매개 블록(175)과 체결됨으로써 L자 브라켓(170)이 상측 가로 창살(15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제2 볼트(178)가 세로 연장부(173)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관통하여 제2 결합 매개 블록(177)과 체결됨으로써 L자 브라켓(170)이 좌측 세로 창살(160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결합 매개 블록(175, 177)은 마치 너트처럼 제1 및 제2 볼트(176, 178)에 분리되지 않게 체결된다. 이로써 상측 가로 창살(155)이 좌측 세로 창살(160A)에 고정 결합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의 좌측 단부와 좌측 세로 창살(160A)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코너 브라켓(167)이 상측 가로 창살(155)과 좌측 세로 창살(160A)에 결합되며 전방 가드(150)의 좌측 상단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L자 브라켓(170)의 가로 연장부(171)가 상측 가로 창살(155)의 내부 레일(158)의 우측 단부에 면접촉되고 세로 연장부(173)가 우측 세로 창살(160B)의 내부 레일(163)의 상단부에 면접촉되도록 다른 하나의 L자 브라켓(170)은 전방 가드(150)의 우측 상단 코너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볼트(176)가 가로 연장부(171)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제1 결합 매개 블록(175)과 체결됨으로써 L자 브라켓(170)이 상측 가로 창살(155)의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제2 볼트(178)가 세로 연장부(173)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여 제2 결합 매개 블록(177)과 체결됨으로써 L자 브라켓(170)이 우측 세로 창살(160B)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결합 매개 블록(175, 177)은 마치 너트처럼 제1 및 제2 볼트(176, 178)에 분리되지 않게 체결된다. 이로써 상측 가로 창살(155)이 우측 세로 창살(160B)에 고정 결합된다. 상측 가로 창살(155)의 우측 단부와 우측 세로 창살(160B)의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코너 브라켓(167)이 상측 가로 창살(155)과 우측 세로 창살(160B)에 결합되며 전방 가드(150)의 우측 상단 코너에 설치될 수 있다.
전방벽(151)은 바닥판(10)의 전방을 폐쇄한다. 전방벽(15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의 하부에 결합 지지된다. 하측 가로 창살(185)은 전방벽(151)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측 가로 창살(185)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도 5의 L자 브라켓(170)과 유사한 L자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볼트(미도시)에 의해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의 내부 레일(163)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 결합 매개 블록(177)이 삽입 배치되어 볼트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세로 창살(187)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간 세로 창살(187)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측 가로 창살(155) 및 하측 가로 창살(18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보강 기둥(180)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강 기둥(180)은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 ㄷ 자 형상의 부재이다. 보강 기둥(180)의 상단부는 상측 가로 창살(155)에 도 5의 L자 브라켓(170)과 유사한 L자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측 가로 창살(155)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측 가로 창살(155)의 내부 레일(158)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결합 매개 블록(175)이 삽입 배치되어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보강 기둥(180)의 하단부는 크로스바 지지 레일(130)의 전단부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좌측 게이트(200A) 및 우측 게이트(200B)는 바닥판(10)의 좌측 및 우측이 개폐되도록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좌측 게이트(200A) 및 우측 게이트(200B)는 각각 이격된 제1 측벽부(201), 제2 측벽부(211), 및 제1 측벽부(201)와 제2 측벽부(211) 사이에 개재되는 사이드 포스트(side post)(220)를 구비한다.
제1 측벽부(201) 및 제2 측벽부(211)는, 각각 측벽(202, 212)과, 측벽(202, 212)의 하단 모서리에 설치되는 복수의 힌지(hinge)(204, 214)와, 측벽(202, 212)의 상측 전단 코너에 설치되는 전단 후크(hook)(207, 217)과, 측벽(202, 212)의 상측 후단 코너에 설치되는 후단 후크(208, 218)를 구비한다.
좌측 게이트(200A)의 제1 측벽부(201)와 제2 측벽부(211)에 설치된 복수의 힌지(204, 214)는 좌측 레일(101A)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좌측 게이트(200A)의 제1 측벽부(201)와 제2 측벽부(211)는 바닥판(10)의 좌측을 통해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힌지(204, 214)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우측 게이트(200B)의 제1 측벽부(201)와 제2 측벽부(211)에 설치된 복수의 힌지(204, 214)는 우측 레일(101B)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우측 게이트(200B)의 제1 측벽부(201)와 제2 측벽부(211)는 바닥판(10)의 우좌측을 통해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힌지(204, 214)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사이드 포스트의 몸체부를 상승시킨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7은 경량 적재함의 밖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경량 적재함의 안에서 본 도면이며, 도 9는 상승된 포스트 보디가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좌측 게이트(200A) 및 우측 게이트(200B)의 사이드 포스트(220)는 각각, 포스트 보디(post body)(221),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 포스트 힌지(hinge)(240), 및 한 쌍의 래치(latch)(254)를 구비한다.
포스트 보디(221)는 제1 측벽부(201)와 제2 측벽부(21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사각판 형상의 부재로서, 폭 방향의 양 측으로 확장된 한 쌍의 스토퍼(223)를 구비한다.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은 제1 브라켓부(231) 및 제2 브라켓부(233)를 구비한다. 좌측 게이트(200A)의 제1 브라켓부(231)는 좌측 레일(101A)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되고, 우측 게이트(200B)의 제1 브라켓부(231)는 우측 레일(101B)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제2 브라켓부(233)는, 제1 브라켓부(231)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양 측 단부와, 제1 브라켓부(233)의 양 측 단부 사이에 하부 삽입 홈(groove)(236)이 형성되도록 양 측 단부와 단차지게 이어진 중간부를 구비한다. 포스트 보디(221)의 하부(226)가 하부 삽입 홈(23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스트 보디(221)는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의 상측에 위치한다.
포스트 힌지(240)는 제2 브라켓부(233)에 결합 고정되는 제1 힌지판(241), 한 쌍의 연결 볼트(250)에 의해 포스트 보디(211)의 하부(226)에 결합되는 제2 힌지판(245), 및 제2 힌지판(245)이 제1 힌지판(241)에 대해 회전하도록 제1 힌지판(241)과 제2 힌지판(245)을 연결하는 힌지 핀(pin)(249)를 구비한다. 제2 힌지판(245)에는 한 쌍의 연결 볼트(250)가 관통하여 포스트 보디(211)의 하부(226)에 체결되도록 제2 힌지판(245)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장공(247)이 형성된다.
한 쌍의 연결 볼트(250)는 각각 장공의 폭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볼트 보디(252)와, 볼트 보디(252)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고 볼트 보디(2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볼트 헤드(251)를 구비한다. 따라서, 한 쌍의 연결 보트(250)가 한 쌍의 장공(247)을 관통하여 포스트 보디(211)의 하부(226)에 체결되면 포스트 보디(221)가 포스트 힌지(240)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한 쌍의 장공(247)은 포스트 보디(22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포스트 보디(221)가 세워진 상태로 아래로 내려지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스트 보디(221)의 하부(226)가 하부 삽입 홈(236)에 삽입되고, 포스트 보디(221)는 좌측 레일(101A) 또는 우측 레일(101B)에 대해 접히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한 쌍의 연결 볼트(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공(247)의 하단에 위치한다.
도 1의 상태를 사이드 포스트(220)가 세워진 상태라고 칭한다. 사이드 포스트(220)가 세워진 상태에서 한 쌍의 스토퍼(223) 중 포스트 보디(221)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된 스토퍼(223)는 제1 측벽부(201)가 바닥판(10) 측으로 접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지도록 제1 측벽부(201)의 후단부를 가로 막는다. 한 쌍의 스토퍼(223) 중 포스트 보디(221)의 후방으로 확장 돌출된 스토퍼(223)는 제2 측벽부(211)가 바닥판(10) 측으로 접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지도록 제2 측벽부(211)의 전단부를 가로 막는다.
한편, 포스트 보디(221)의 하부(226)가 하부 삽입 홈(236)에서 빠져나오도록 포스트 보디(221)가 올려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보디(221)는 힌지 핀(249)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측 레일(101A) 또는 우측 레일(101B)에 대해 접힐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연결 볼트(250)는 한 쌍의 장공(247)의 상단에 위치한다.
도 9의 상태를 사이드 포스트(220)가 접힌 상태라고 칭한다. 제1 측벽부(201), 제2 측벽부(211), 및 사이드 포스트(220)가 모두 접힌 상태가 바닥판(10)의 좌측 또는 우측이 전부 개방된 상태이고, 제1 측벽부(201), 제2 측벽부(211), 및 사이드 포스트(220)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부재가 접힌 상태가 바닥판(10)의 좌측 또는 우측이 부분 개방된 상태이다.
한 쌍의 래치(254) 중에서 제2 측벽부(211)보다 제1 측벽부(201)에 더 가까운 래치(254)에는 제1 측벽부(20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고, 제1 측벽부(201)보다 제2 측벽부(211)에 더 가까운 래치(254)는 제2 측벽부(2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된다. 부연하면, 각각의 래치(254)는 포스트 보디(2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래치 후크(hook)(255)와, 래치 후크(225) 아래에 이격되게 설치된 레버(257)와, 레버(257)에 연결된 루프(loop)(256)를 구비한다. 레버(257)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포스트 보디(221)에 지지된다.
사이드 포스트(2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 있는 제1 측벽부(201)를 들어 올려 세우면, 제1 측벽부(201)의 후단 후크(208)가 제1 측벽부(20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래치(254)의 래치 후크(255)와 레버(257) 사이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루프(256)로 래치 후크(255)를 느슨하게 에워싸고 레버(257)의 하단부가 아래로 내려지는 방향으로 레버(257)를 회전시키면 루프(256)의 상단부가 래치 후크(225)에 밀착 고정되면서 루프(256)가 고정되고, 후단 후크(208)가 루프(256)에 가로막힌다. 즉, 후단 후크(208)가 사이드 포스트(220)에 록킹(locking)된다.
이에 따라 제1 측벽부(201)가 접혀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레버(257)의 하단부가 위로 올려지는 방향으로 레버(257)를 회전시키면 루프(256)가 래치 후크(255)에서 분리 이탈되어 제1 측벽부(201)가 다시 접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포스트(2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 있는 제2 측벽부(211)를 들어 올려 세우면, 제2 측벽부(211)의 전단 후크(218)가 제2 측벽부(21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래치(254)의 래치 후크(255)와 레버(257) 사이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루프(256)로 래치 후크(255)를 느슨하게 에워싸고 레버(257)의 하단부가 아래로 내려지는 방향으로 레버(257)를 회전시키면 루프(256)의 상단부가 래치 후크(225)에 밀착 고정되면서 루프(256)가 고정되고, 전단 후크(217)가 루프(256)에 가로막힌다. 즉, 전단 후크(217)가 사이드 포스트(220)에 록킹된다.
이에 따라 제2 측벽부(211)가 접혀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레버(257)의 하단부가 위로 올려지는 방향으로 레버(257)를 회전시키면 루프(256)가 래치 후크(255)에서 분리 이탈되어 제2측벽부(211)가 다시 접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에는 제1 측벽부(201)의 전단 후크(207)를 좌측 세로 창살(160A) 및 우측 세로 창살(160B)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하는 래치(195)가 설치된다. 이 래치(195)의 구성은 사이드 포스트(220)에 구비된 래치(154)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후방 게이트(270)는 바닥판(10)의 후방이 개폐되도록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 게이트(270)는 후방벽(272)과, 후방벽(272)의 하단 모서리에 설치되는 복수의 힌지(274)와, 후방벽(272)의 상측 좌단부 코너 및 상측 우단부 코너에 설치되는 한 쌍의 좌단 및 우단 후크(278)를 구비한다. 후방 게이트(270)에 설치된 복수의 힌지(274)는 후단 크로스바(11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방 게이트(270)는 바닥판(10)의 후방을 통해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힌지(274)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한 쌍의 리어 포스트(300)는 좌측 게이트(200A)의 제2 측벽부(211)의 후단부와 후방 게이트(270)의 좌측 단부 사이, 다시 말해, 좌측 후단 코너와, 우측 게이트(200B)의 제2 측벽부(211)의 후단부와 후방 게이트(270)의 우측 단부 사이, 다시 말해 우측 후단 코너에 개재된다. 한 쌍의 리어 포스트(300)는 각각, 포스트 보디(301), 힌지(305), 힌지 지지 브라켓(309), 제1 및 제2 스토퍼(303, 304), 및 제1 및 제2 래치(311, 315)를 구비한다.
포스트 보디(301)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힌지(305)는 후단 크로스바(116)와 포스트 보디(301)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포스트 보디(301)가 후방 게이트(27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포스트 보디(301)를 지지한다. 다시 말해서, 리어 포스트(300)는 후방 게이트(27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후단 크로스바(116)에 결합된다. 좌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힌지 지지 브라켓(309)은 좌측 레일(101A)의 후단부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좌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힌지(30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우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힌지 지지 브라켓(309)은 우측 레일(101B)의 후단부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우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힌지(30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포스트 보디(301)에서 전방으로 확장 돌출된 제1 스토퍼(303)는 제2 측벽부(211)가 바닥판(10) 측으로 접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지도록 제2 측벽부(211)의 후단부를 가로 막는다. 제1 스토퍼(304)는 포스트 보디(301)에서 후방 게이트(270) 측으로 확장 돌출된다. 좌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제2 스토퍼(304)는 후방 게이트(270)가 바닥판(10) 측으로 접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지도록 후방 게이트(270)의 좌측 단부를 가로 막는다. 우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제2 스토퍼(304)는 후방 게이트(270)가 바닥판(10) 측으로 접히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지도록 후방 게이트(270)의 우측 단부를 가로 막는다.
좌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제1 래치(311)는 좌측 게이트(200A)의 제2 측벽부(211)의 후단 후크(218)를 리어 포스트(300)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locking)하고, 제2 래치(315)는 후방 게이트(270)의 좌단 후크(278)를 리어 포스트(300)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후단 코너의 리어 포스트(300)의 제1 래치(311)는 우측 게이트(200B)의 제2 측벽부(211)의 후단 후크(218)를 리어 포스트(300)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하고, 제2 래치(315)는 후방 게이트(270)의 우단 후크(278)를 리어 포스트(300)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1)은, 가볍고 견고하며, 사이즈(size)를 변경할 수 있게 조립되는 바닥판(10)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물차용 적재함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크레인 카고에 설치되는 경우에 크레인의 무게에 불구하고 많은 화물을 적재하고 적절한 속도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1)은 사이드 포스트(220)를 구비하여 좌측 게이트(200A) 또는 우측 게이트(200B)를 전부 개폐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개폐한 상태로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상하차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좌측 게이트(200A) 또는 우측 게이트(200B)를 전부 개폐할 때에는 사이드 포스트(220)를 프레임(100)에 지지된 상태로 접거나 세울 수 있어서 사이드 포스트(220)의 분실이 예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경량 적재함 10: 바닥판
11: 중간 바닥편부 31: 우측 바닥편부
51: 좌측 바닥편부 100: 프레임
101A, 101B: 좌측, 우측 레일 111, 116: 전단, 후단 크로스바
120: 중간 크로스바 130: 크로스바 지지 레일
136: 결합 매개 블록 150: 전방 가드
200A, 200B: 좌측, 우측 게이트 201, 211: 제1, 제2 측벽부
220: 사이드 포스트 230: 프레임 결합 브라켓
240: 포스트 힌지 254: 래치
270: 후방 게이트 300: 리어 포스트

Claims (12)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바닥편부가 연접(連接)하여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가드(guard);
    상기 바닥판의 좌측 및 우측이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게이트(gate) 및 우측 게이트; 및
    상기 바닥판의 후방이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편부 중에서 가장 좌측에 배치된 바닥편부 및 가장 우측에 배치된 바닥편부를 제외한 바닥편부는 각각,
    상기 바닥판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수형 결합구; 및
    상기 수형 결합구가 끼워지고 상기 바닥판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암형 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판부는 각각,
    위아래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판부 및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격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편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게이트 및 상기 우측 게이트는 각각,
    서로 이격된 복수의 측벽부; 및
    상기 복수의 측벽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부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복수의 래치(latch)를 구비한 사이드 포스트(side pos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래치가 설치된 포스트 보디(body);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 보디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홈(groove)이 형성된 프레임 결합 브라켓; 및
    상기 포스트 보디의 상기 하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지 않은 때 상기 포스트 보디가 상기 프레임 결합 브라켓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보디 및 상기 프레임 결합 브라켓에 결합된 포스트 힌지(hing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게이트와 상기 후방 게이트 사이, 및 상기 우측 게이트와 상기 후방 게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좌측 게이트 및 상기 우측 게이트 중 하나의 게이트 및 상기 후방 게이트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복수의 래치를 구비한 한 쌍의 리어 포스트(rear pos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 포스트는 상기 후방 게이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크로스바(cross bar);
    상기 크로스바의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 결합 매개 블록(block); 및
    상기 크로스바를 지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바 지지 레일(rail);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매개 블록을 매개로 하여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 지지 레일이 볼트(bolt)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드는,
    서로 교차하는 가로 창살 및 세로 창살; 및
    상기 가로 창살에 접촉되며 상기 가로 창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 및 상기 세로 창살에 접촉되며 상기 세로로 창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 연장부를 구비하여 알파벳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L자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L자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가로 창살 및 상기 세로 창살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창살 및 상기 세로 창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가드는,
    상기 가로 창살 및 상기 세로 창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L자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 매개 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은 크레인(crane)이 설치된 크레인 카고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KR1020220107509A 2022-08-26 2022-08-26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KR20240029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09A KR20240029658A (ko) 2022-08-26 2022-08-26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09A KR20240029658A (ko) 2022-08-26 2022-08-26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658A true KR20240029658A (ko) 2024-03-06

Family

ID=9023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509A KR20240029658A (ko) 2022-08-26 2022-08-26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6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182B2 (en) Vehicle bed storage extender
EP2389328B1 (en) Base frame / end cover engagement assembly for a collapsible container
JP7261430B2 (ja)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テナ
TWI381959B (zh) Flap-shaped containers for the conveyance of plate-like goods and trailers carrying them
FI121746B (fi) Lukitusjärjestely
KR20240029658A (ko) 화물차용 경량 적재함
CN214242101U (zh) 一种托盘箱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JPS61127483A (ja) 可搬型コンテナ型構造要素及びこれによつて構成された構造
KR102466048B1 (ko) 관절형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CN201012820Y (zh) 一种折叠集装箱
KR20240057110A (ko) 화물차 적재함용 게이트 포스트
CN100515887C (zh) 一种增加端部内宽的超宽折叠箱
EP2686252B1 (en) Freight container
CN110936991B (zh) 笼车及其锁定和解锁方法
KR100218496B1 (ko) 덤프트럭용 적재함
CN217598559U (zh) 一种多功能平车底架
GB2368336A (en) A freight container
CN220484023U (zh) 物流周转箱
CN215944559U (zh) 运输架组件及运输车
CN217625282U (zh) 散货集装箱
CN217124791U (zh) 箱挡组件以及铁路集装箱平车
CN220410725U (zh) 一种加高货车车厢
JP4659598B2 (ja) ダンプ式コンテナ装置
KR101577570B1 (ko)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