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132A -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132A
KR20240029132A KR1020220107234A KR20220107234A KR20240029132A KR 20240029132 A KR20240029132 A KR 20240029132A KR 1020220107234 A KR1020220107234 A KR 1020220107234A KR 20220107234 A KR20220107234 A KR 20220107234A KR 20240029132 A KR20240029132 A KR 2024002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t
bracket
insulator
moun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132A/ko
Publication of KR2024002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EPT의 전방 좌측을 프레임에 마운팅하는 브라켓은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가 많이나가 원가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연비를 떨어뜨리는 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모터와 감속기 조합인 EPT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체결공(210)이 상하에 구비되어 EPT(100)측에 체결되며, 중앙에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이 구비된 EPT측 브라켓(200); 러버탄성체(310) 및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로 구성되어 EPT측 브라켓(200)의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00); 상기 인슐레이터(300)의 인너슬리브(320)에 압입되는 삽입부(410)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프레임(500)의 마운팅볼트(510)에 체결되도록 볼트공(420)이 구비되어 프레임(500) 측에 체결되는 바형 브라켓(4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EPT측 브라켓(200)의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 중량이 감소되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EPT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EPT의 전방 좌측을 프레임에 마운팅하기 위한 브라켓을 단순한 구조로 변경하여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자동차 및 연료전지 자동차(이하 전기자동차라 칭함)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런 전기자동차의 특징은 연비에 관련된 규제가 기존 내연기관에 비하여 적다는 것이다.
기존의 내연기관은 연비를 올려 버리면 질산황 및 이산화탄소 등의 환경에 나쁜 물질들이 방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각종 규제가 있으나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차량이기 때문에 환경규제에서보다 더 자유로운 것이다.
상기 전기자동차에서는 구동모터와 인버터 및 감속기가 조합된 EPT(Electric Powertrain; 이하 EPT라 칭함)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EPT는 배터리의 용량, 제로백 모터토크, 모터출력, 주행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품으로서 장점은 공회전 진동이 없다는 것이다.
한편, 전기자동차에서의 EPT를 차체 프레임에 마운팅하는 시스템은 차량의 진동 제어 및 롤링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운팅 부재를 이용하여 3점 지지 방식으로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EPT의 마운팅 구조는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여 전체 차량가의 가격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무게가 무거워서 연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 10-2022-0094336호(2022.07.06등록)(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EPT의 전방 좌측을 프레임에 마운팅하는 브라켓을 단순한 구조로 변경하여 원가절감은 물론 중량을 저감시켜 연비향상을 이룰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모터와 감속기 조합인 EPT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체결공이 상하에 구비되어 EPT측에 체결되며, 중앙에 인슐레이터 장착홀이 구비된 EPT측 브라켓; 러버탄성체 및 파이프형 인너슬리브로 구성되어 EPT측 브라켓의 인슐레이터 장착홀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의 인너슬리브에 압입되는 삽입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프레임의 마운팅볼트에 체결되도록 볼트공이 구비되어 프레임 측에 체결되는 바형 브라켓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EPT 마운팅 구조는 단순하면서도 강건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여 전체적인 차량의 단가를 낮추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중량을 저감시켜 연비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EPT에 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EPT측 브라켓에 바형 브라켓을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EPT에 마운팅된 EPT측브라켓을 프레임에 마운팅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EPT측 브라켓을 프레임에 마운팅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EPT에 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EPT측 브라켓에 바형 브라켓을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EPT에 마운팅된 EPT측 브라켓을 프레임에 마운팅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EPT측 브라켓을 프레임에 마운팅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모터와 감속기 조합인 EPT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체결공(210)이 상하에 구비되어 EPT(100)측에 체결되며, 중앙에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이 구비된 EPT측 브라켓(200); 러버탄성체(310) 및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로 구성되어 EPT측 브라켓(200)의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00); 상기 인슐레이터(300)의 인너슬리브(320)에 압입되는 삽입부(410)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프레임(500)의 마운팅볼트(510)에 체결되도록 볼트공(420)이 구비되어 프레임(500) 측에 체결되는 바형 브라켓(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230)은 EPT측 브라켓을 EPT에 마운팅하기 위한 체결볼트이고, (520)은 프레임의 마운팅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EPT(100)를 3점 지지에 의해 즉, 전방 좌측과 전방 우측, 후방 우측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프레임(500)에 마운팅하여 주행시 EPT(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절연하여 승차감을 향상되게 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전방 좌측에 사용되는 브라켓을 단순하면서도 강건한 구조를 채용하여 원가절감 및 중량저감으로 인한 연비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EPT측 브라켓(200)은 중앙에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이 구비되고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에는 러버탄성체(310)및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가 구비된 인슐레이터(300)를 장착하고 EPT측 브라켓(200)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공(210)이 상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형 브라켓(400)을 구비하되 일측에는 인슐레이터(300)의 인너슬리브(320)에 압입되는 삽입부(4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프레임(500)의 마운팅볼트(5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42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EPT측 브라켓(200)은 우선 EPT(100)에 밀착시켜 체결공(210)을 통해 볼트를 EPT(100)에 체결하여 EPT측 브라켓(200)이 EPT(100)에 고정되게 한 다음 바형 브라켓(400)의 일측 삽입부(410)를 인슐레이터(300)에 구비된 인너슬리브(320)에 압입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및 이에 압입되는 바형 브라켓(400)을 각진 형태로 형성하여 바형 브라켓(400)을 인너슬리브(320)에 압입시킬 시 방향성의 일치로 각도설정이 용이한 것은 물론 균일하게 압입되어 바형 브라켓(400)이 인너슬리브(320)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처럼 EPT측 브라켓(200)에 장착된 인슐레이터(300)의 인너슬리브(320)에 바형 브라켓(400)의 일측 삽입부(410)를 끼운 상태에서 바형 브라켓(400)의 타측에 형성된 볼트공(420)에 프레임(500)에 고정된 마운팅볼트(510)가 끼워져 마운팅볼트(510)의 선단이 볼트공(420)을 통해 돌출되게 한다.
이후 볼트공(420)을 통해 돌출된 선단에 너트(520)를 체결하게 되면 EPT측 브라켓(200)은 EPT(100)에 고정되면서도 프레임(500)에 고정되어 EPT(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 상쇄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의 내주면에 러버돌기(321)를 다수 구비한 것으로 이는 바형 브라켓(400)의 삽입부(410)를 인너슬리브(320)에 압입할 때 러버돌기(321)가 눌리면서 삽입부(410)의 원활한 삽입과 러버돌기(321)의 마찰력으로 인슐레이터(300)와 바형 브라켓(400)의 결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바형 브라켓(400)의 삽입부(410)가 인슐레이터(300)의 인너슬리브(320)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상기 러버돌기(321)는 바형 브라켓(400)과 접면되는 전부 또는 측면부에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한 마운팅 구조에 의해 EPT(100)를 프레임(500)에 마운팅할 수 있음에 따라 원가절감은 중량 감소로 인한 연비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EPT 200 : EPT측 브라켓
210 : 체결공 220 : 인슐레이터 장착홀
230 : 체결볼트 300 : 인슐레이터
310 : 러버탄성체 320 : 인너슬리브
321 : 러버돌기 400 : 바형 브라켓
410: 삽입부 420 : 볼트공
500 : 프레임 510 : 마운팅볼트
520 : 너트

Claims (3)

  1. 전기자동차의 모터와 감속기 조합인 EPT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체결공(210)이 상하에 구비되어 EPT(100)측에 체결되며, 중앙에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이 구비된 EPT측 브라켓(200);
    러버탄성체(310) 및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로 구성되어 EPT측 브라켓(200)의 인슐레이터 장착홀(22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00);
    상기 인슐레이터(300)의 인너슬리브(320)에 압입되는 삽입부(410)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프레임(500)의 마운팅볼트(510)에 체결되도록 볼트공(420)이 구비되어 프레임(500) 측에 체결되는 바형 브라켓(4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 및 이에 압입되는 바형 브라켓(400)을 각진 형태로 형성하여,
    바형 브라켓(400)의 압입 시에 삽입되는 방향성의 일치로 각도 설정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압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이프형 인너슬리브(320)는 바형 브라켓(400)의 삽입부(410)를 압입할 때 눌리는 작은 러버돌기(321)를 내주면에 다수 구비하여
    삽입부(410)의 원활한 삽입과 러버돌기(321)의 마찰력으로 인슐레이터(300)와 바형 브라켓(400)의 결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KR1020220107234A 2022-08-26 2022-08-26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KR20240029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234A KR20240029132A (ko) 2022-08-26 2022-08-26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234A KR20240029132A (ko) 2022-08-26 2022-08-26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132A true KR20240029132A (ko) 2024-03-05

Family

ID=9029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234A KR20240029132A (ko) 2022-08-26 2022-08-26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1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336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336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5543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電動機の取付構造
US20130075572A1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 vacuum pump
JP6626480B2 (ja) 車体構造
EP3988359A1 (en) An energy storage mounting system
KR101295087B1 (ko)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JP5338642B2 (ja) 電動機の取付構造
KR20180000065A (ko) 배터리 및 연료탱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KR20240029132A (ko) 전기자동차의 ept 마운팅 구조
CN215284972U (zh) 联接有电池的车身
CN211000894U (zh) 电动车动力总成支撑装置、副车架总成及汽车
TW200508089A (en) Hybrid vehicle
CN201769672U (zh) 一种汽车动力总成的悬置系统支架
CN203020390U (zh) 电动货车车厢车架总成
CN103277441B (zh) 汽车发动机橡胶悬置
KR102074343B1 (ko) 소형전기차의 후륜 현가모듈
KR101511560B1 (ko) 전기차의 모터부와 파워컨트롤부의 장착구조
KR102631101B1 (ko)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구조
CN211519233U (zh) 右悬置组件以及具有其的车辆
CN113263897B (zh) 动力电池安装装置及车辆
CN215205205U (zh) 一种电动自行车的车架及电动自行车
CN219467518U (zh) 一种增程车型后部集成结构
CN203496647U (zh) 汽车蓄电池支撑装置
CN202319864U (zh) 悬置支架
KR102615535B1 (ko)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20230151670A (ko) 전기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