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068A - 분리 가능한 필름 라미네이트 및 영구 접착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필름 라미네이트 및 영구 접착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068A
KR20240029068A KR1020247003922A KR20247003922A KR20240029068A KR 20240029068 A KR20240029068 A KR 20240029068A KR 1020247003922 A KR1020247003922 A KR 1020247003922A KR 20247003922 A KR20247003922 A KR 20247003922A KR 20240029068 A KR20240029068 A KR 20240029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film laminate
acry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고 노이베르트
아르네 콥스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24002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5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09J2301/5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process for debonding adher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2Ceramic
    • C09J2400/123Ceram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층: a) 제1 접착 화합물 층, 바람직하게는 접촉 접착제 층, b)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제1 지지 물질, c) 분리 층, d)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제2 지지 물질, e) 제2 접착 화합물 층, 바람직하게는 접촉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영구 접착 결합 후에 분리되도록 형성 및 설계된 필름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고, 상기 분리 층은 - 40 nm 내지 500 nm의 두께를 갖고, - 흑색이고, - 최대 투과율이 30%이고, - 레이저 방사선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접착 화합물 층은 레이저 빔에 반투명하고/거나 제1 접착 화합물 층 및 상기 제1 지지 물질은 레이저 빔에 반투명하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필름 라미네이트 및 영구 접착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접착제의 제1 층, 제1 캐리어 물질, 분리 층, 및 접착제의 제2 층을 포함하는, 장기간 접착 결합 후 분리되도록 설계 및 장착된 필름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름 라미네이트에 의해 제조된 장기간 접착 결합을 이형시키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리점 및 수명이 다한 전자 장치의 재활용에서, 전자 장치 또는 다른 자동차를 수리할 수 있거나, 이를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분해 및/또는 재활용할 수 있기를 원하는 희망은 환경적인 이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이유로 중요해지고 있다.
여기에는 재활용 가능성 및 재활용 정도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있다:
· 대형 가전 제품(백색 가전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세탁기, 냉장고 및 냉동고, 오븐;
· 소형 가전 제품(또한 백색 가전에 포함됨):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 커피 머신, 전자레인지;
· 정보 기술 및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휴대폰, 전화기;
· 소비자 전자 장치(갈색 가전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텔레비전,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카메라.
전기 및 전자 장치는 특히 다수의 물질 및 재료를 함유한다. 사용된 전기 및 전자 장치가, 예를 들어, 가정용 쓰레기 등으로 부적절하게 폐기되는 경우, 일부 경우에 여전히 포함된 오염 물질로부터 환경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중금속 및 HCFC와 같은 오염 물질 뿐만 아니라, 사용된 전기 및 전자 장치는 또한 회수되어 재순환되어야 하는 다양한 가치 있는 물질을 함유한다. 반대로, 사용된 전기 및 전자 장치가 적절하게 폐기되는 경우, 주요 원자재(및 이에 따라 이들의 비용이 많이 들고 힘든 추출)를 대체하고 천연 자원의 보존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폐전기 및 전자 장비(WEEE)에 관한 지침 2012/19/EU의 시행에서 전기 및 전자 제품의 판매, 반품, 및 환경적으로 건전한 폐기를 관리하는 법률에 의해 독일의 모든 관련 행위자(제조업체, 무역, 지방 자치 단체, 소유자, 폐기물 관리자)에게 부과되는 특정 의무가 있다. 폐기물 방지, 전체 장치 또는 개별 구성 요소의 재사용 준비 가능성에 대한 합리적인 시험, 및 폐기물로부터 보다 광범위한 가치 회수에 관한 요건에 의해, 천연 자원을 보존하고 오염 물질 배출을 감소시키는데 실질적인 기여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문형 분해(주문형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상응하는 재활용-친화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재활용-친화적인 설계는 분리 가능한 접착 결합을 포함한다.
그 이유는 특히 소형 전자 장치에서, 기계적으로 풀 수 없는 방식으로 부품을 연결하기 보다는 부품을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접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경향이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의 필름 라미네이트는, 예를 들어, 2개의 구성 요소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구성 요소를 이러한 필름 라미네이트에 의해 장기적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결합 및/또는 제품의 상응하는 긴 수명과 내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접합된 구성 요소의 예는 컴퓨터 스크린 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종류의 터치 패널이다. 2개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손상된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교체하기 위해 결합된 어셈블리를 다시 분리하는 것은 완전히 불가능하거나, 상당한 자원(힘)을 적용할 때만 가능하다. 또한, 분리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은 구성 요소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DE 10 2020 209 557 A1는 하기 층을 포함하는, 장기간 결합 후에 분리되도록 설계 및 장착된 필름 라미네이트를 개시한다:
- 감압 접착제의 제1 층,
- 분리 층,
- 감압 접착제의 제2 층,
여기서 분리 층은 40 nm 내지 500 nm의 두께를 갖고, 감압 접착제의 제1 층은 레이저 빔-반투명하고, 분리 층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가능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금속은 레이저로 제거되어 분리된다.
반투명도는 본체의 부분적인 광 투과도이다. 이 단어는 빛을 의미하는 라틴어 lux에서 유래되었다. 왁스, 인간 피부, 잎, 및 많은 다른 물질은 부분적으로 빛을 투과시키지만 투명하지 않기 때문에 반투명하다. 투명성으로부터의 경계에서, 반투명도는 광 투과도로 기술될 수 있다. 반투명도에 대한 상호 특성은 불투명도이다. 따라서, 물질이 높은 반투명도를 갖는 경우, 이는 낮은 불투명도를 가지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발명의 의미에서 광 투과도는 광의 각각의 파장에서 투과도를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흑체(예를 들어, 흑색 폴리머)가 인간에게 가시적인 빛의 범위에서는 불투명하지만, NIR과 같은 비가시적인 범위에서는 반투명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 파장 범위의 방사선이 이를 통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EP 3 390 553 A1은 적어도 2개의 접착 필름(F1 및 F2)을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 필름 시스템에 의해 2개의 표면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접착 필름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구성 요소(R1 및 R2)를 포함하고, 결합은 둘 모두의 반응성 구성 요소(R1 및 R2)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반응에 의해 야기되고, 결합 전에 반응을 위해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접착 필름(F1 및 F2) 사이에는 반응성 구성 요소(R1 및 R2)에 대해 불침투성인 이형 층(T)이 존재한다.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이형 층(T)은 레이저에 의해 이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거되고, 이에 따라 접착 필름(F1 및 F2)은 서로 직접 접촉하고 반응은 2개의 반응성 구성 요소(R1 및 R2)가 있을 때 발생한다.
이형 층은 금속 층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 작업에 의해 접착 테이프의 제조 동안 접착 필름 사이에 도입되는 금속 호일일 수 있다.
EP 3 178 660 B1은 캐리어 기재 및 광학 가변 층을 포함하는 개인화 가능한 보안 요소를 개시하며, 상기 보안 요소는 하기 층 순서를 갖는다:
a) 레이저-기록 가능한 흑색 금속성 코팅 또는 열-활성화 가능한 염료를 포함하는 코팅을 갖는 가요성 폴리머 필름, 또는 직접 열 코팅을 갖는 종이로 구성된 캐리어 기재
b) 선택적으로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
c) 액정 물질 또는 컬러 플롭 효과 바니시의 층.
레이저-기록 가능한 흑색 금속화와 관련하여, EP 1 567 363 B1을 참조한다.
EP 1 567 363 B1는 레이저 빔으로 새겨질 수 있고 레이저 빔에 대해 투과성인 적어도 하나의 단일층 또는 다층 상부 필름을 갖는 필름을 기재하고, 필름은 상기 상부 필름 아래, 그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위치하며, 이의 매질은 레이저 빔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매트릭스 물질에 결합된 미세한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매질에 불투명도를 제공하고 매질이 국소적으로 투명해지도록 레이저 노출을 통해 파괴될 수 있다. 미세한 입자는 가장 큰 방향의 직경이 실질적으로 100 μm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금속 입자는 레이저 빔에 의해 불투명하게 변경될 수 있지만 레이저 노출에 의해 국소적으로 파괴될 수 있는 매질을 부여한다.
절제를 위한 레이저의 사용은 광범위하다 - 예를 들어, 미세가공에서, 특정 레이저 빔 소스는 절제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국소 가열이 미립자 파편 또는 탄화/증발을 야기하기 때문에 극도로 얇은 층이 기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가능한 한 적게 절제 작업을 실현하기 위해, 800 내지 2000 nm의 파장 범위의 레이저가 주로 사용된다. 열에 대한 낮은 노출을 갖는 광화학 반응을 위해, 엑시머 레이저가 흔히 사용된다. 엑시머 레이저는 레이저 빔이 UV 파장 범위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주요 레이저의 방출 파장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금속-코팅된 필름은 1064 μm에서 탁월하게 박리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파장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캐리어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이 투과성이기 때문이다. 반투명도는 폴리머 필름에 손상 없이 금속 층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빔 경로가 또한 필름을 통과할 수 있다. Nd:YAG 레이저는 금속 층의 영역 제거에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층이 승화에 의해 절제되기 때문이다.
하기 표는 Nd:YAG 레이저의 전형적인 특성을 열거한다.
표 1: Nd:YAG 레이저의 전형적인 특성
또한, USP(초단 펄스) 레이저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초단 펄스 레이저는 피코초 및 펨토초 범위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갖는 펄스 레이저 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빔 소스이다.
초단 펄스 레이저는 광 에너지가 극도로 짧은 시간으로 압축되는 광 펄스를 방출하며, 펄스 동안 메가와트 범위의 광도가 달성된다. 따라서, 적절한 공간 포커싱에 의해, 평방 센티미터 당 수 기가와트의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높은 강도에서, 빛과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는 비선형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 중 하나는 다광자 흡수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모든 물질이 충분히 높은 강도에서 절제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펨토초 레이저의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 이들의 흡수, 경도 또는 기화 온도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으며, 심지어 복합 재료와 같은 까다로운 재료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초단 펄스 레이저의 추가 이점은 높은 정밀도이다.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초점 직경 및 펄스 당 낮은 에너지 입력은 높은 공간 분해능으로 레이저 절제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규칙은 다음과 같다: 펄스 지속 시간이 짧을수록, 주변 물질이 레이저 빔에 의해 손상되는 정도가 적고, 물질이 절제될 수 있는 계량 정도가 더 정확해진다. 결과는 버링(burring) 없이 깨끗한 절단 모서리이고, 따라서 재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금속 가공에서, 일반적으로 나노초 펄스면 충분하다; 보다 정교한 가공은 피코초 펄스를 필요로 하는 반면, 세라믹, 폴리머. 및 많은 복합 물질과 같은 비금속 물질의 경우, 펨토초 펄스가 사용된다. 그러나, 펄스 지속 시간이 짧을수록 재료 절제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은 가공이 전반적으로 더 오래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단 펄스 레이저에 대한 현재 개발 작업의 한 가지 목적은 펄스 반복률(초 당 레이저 펄스의 수)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평균 전력 및 이에 따라 제조에서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실험실에서, 1 킬로와트 초과의 평균 전력을 갖는 펨토초 레이저가 이미 시연되었다. 이들은 20 메가헤르츠의 펄스 반복률, 55 마이크로줄의 펄스 에너지 및 600 펨토초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갖는다. 오늘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백 와트 이하의 평균 전력을 갖는 펨토초 레이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테르븀-도핑된 레이저 결정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2개의 구성 요소를 서로 장기적이고 신뢰성 있게 결합시킬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에 따라 구성 요소를 깨끗하고 신뢰성 있게 분리할 수 있는 필름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라미네이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층을 포함하는, 장기간 접착 결합 후에 분리되도록 설계 및 장착된 필름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a) 접착제의 제1 층,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층,
b)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제1 캐리어 물질,
c) 분리 층,
d)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제2 캐리어 물질,
e) 접착제의 제2 층,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층.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층은 하기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 분리 층은 40 nm 내지 500 nm의 두께를 갖는다.
- 분리 층은 흑색이다.
- 분리 층은 30%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다.
- 분리 층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가능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접착제의 제2 층은 레이저 빔-반투명하고/거나, 접착제의 제1 층 및 제1 캐리어 물질은 레이저 빔-반투명하다.
상기 목적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분리 층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필름 라미네이트를 제1 부분-라미네이트 및 제2 부분-라미네이트로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트에 의해 제조된 장기간 접착 결합을 이형시키는 방법에 의해 추가로 달성된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라미네이트 및 청구항 제7항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구체예는 종속항에서 재현된다.
이러한 종류의 필름 라미네이트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유리/유리, 유리/금속, 유리/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플라스틱과 같은 2개의 기재가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얇은 금속 층을 제어하며 제거한 결과, (감압) 접착제의 두 층 사이의 복합 접착력은 층을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감소될 수 있다 - 최상의 경우, 복합 접착력은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이를 통해 실제로 더 이상 변경될 수 없는 연결로 만들어진 접착 결합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풀릴 수 있음을 의미하는, 재작업성으로 지칭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금속 층의 이러한 제거는 금속 층의 절제 또는 승화에 의해 달성된다.
필름 라미네이트는 접착제의 제1 층과 분리 층 사이에, 레이저 빔-반투명일 수 있는 제1 캐리어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캐리어 층은 금속의 특히 효과적인 접착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캐리어 층의 물질이 접착제 층의 특성에 관한 어떠한 요구 없이 금속의 요건에 적합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리어 층의 물질은 금속 분리 층의 접착이 특히 효과적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제의 제2 층과 분리 층 사이에, 필름 라미네이트는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레이저 빔-반투명한 제2 캐리어 물질을 갖는다.
적어도 선택적으로 제공된 접착제의 제2 층 및/또는 제2 캐리어 물질이 레이저 빔-반투명하지 않을 때, 제1 캐리어 물질은 접착제의 제1 층과 함께 레이저 빔-반투명하다.
정확히 반대로, 제1 캐리어 물질 및/또는 접착제의 제1 층이 레이저 빔-반투명하지 않을 때, 선택적으로 제공된 접착제의 제2 층 및 제2 캐리어 물질은 레이저 빔-반투명하다.
또한, 제1 캐리어 물질 및/또는 제2 캐리어 물질이 라미네이팅 접착제에 의해 분리 층에 접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팅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제2 캐리어 물질과 분리 층 사이에만 접합된다.
사용되는 라미네이팅 접착제는 통상적인 공지된 라미네이팅 접착제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 층을 금속으로 코팅하고,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라미네이팅 접착제에 의해 다른 캐리어 층을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트에 의해 제조된 장기간 접착 결합을 이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분리 층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거되고 필름 라미네이트는 제1 부분-라미네이트 및 제2 부분-라미네이트로 분리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분-라미네이트의 서로에 대한 간격을 증가시키는 힘을 부분-라미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름 라미네이트는 특히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2개의 부분-라미네이트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트의 전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a) 감압 접착제의 제1 층
b) 제1 캐리어 층
c)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
d) 분리 층
e)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
f) 제2 캐리어 층
g) 감압 접착제의 제2 층,
여기서 층 a), b), d) 및 g)만이 필수이고, 다른 층은 선택 사항이지만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의 제1 층 및 제1 캐리어 층, 또는 감압 접착제의 제2 층은 레이저가 분리 층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용된 레이저 방사선에 대해 반투명하다. 적어도 레이저 방사선이 도입되는 측의 결합용 기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기재는 또한 레이저 방사선에 대해 투과성이어야 한다. 분리 층 자체는 레이저 방사선을 흡수한다.
후보 라미네이팅 접착제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폴리머를 기반으로 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모든 용매-함유, 무용매 및 수성 라미네이팅 접착제이며, 예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이다. 라미네이팅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기반 라미네이팅 접착제이다. "폴리우레탄-기반"은 본원에서 폴리우레탄 또는 다중 폴리우레탄의 전체가 이러한 라미네이팅 접착제의 폴리머 조성물의 주성분을 형성하여, 폴리머 조성물 내에서 가장 큰 분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무용매 폴리우레탄 라미네이팅 접착제는 1-성분(1K) 또는 2-성분(2K) 시스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가 차이는 폴리우레탄의 구조 및 가교의 특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하기 폴리머가 자주 선호된다:
- 1K 시스템: 저분자량, NCO-종결된, 수분-가교의 프리폴리머;
- 2K 시스템: NCO 말단기 + 폴리올을 갖는 프리폴리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가 자주 사용되지만, 이 경우 1차 방향족 아민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접촉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때때로 - 특히 또한 UV 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 -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더 나은 접착 및 더 빠른 경화가 달성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은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보다 높은 온도 안정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종,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종종, 추가의 가교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3배 이상의 작용기화를 갖는 폴리올이 또한 사용되며, 이는 종종 차례로 더 높은 온도 안정성을 초래한다.
라미네이팅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무용매 2K 시스템에 기반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기반 라미네이팅 접착제이다. 또한, 결합 전에 서로 결합될 면을 코로나 전처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들)은 유리하게는 1 내지 1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μm의 두께로 사용된다.
필름 라미네이트의 캐리어 층 또는 캐리어 층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며,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BOPP) 또는 이축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은 PET 및 PP 필름에 특히 잘 부착된다. 또한, PET 및 PP 필름은 진공 기상 증착에 매우 용이하여 금속의 적용을 단순화한다.
캐리어 층은 착색되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착색에 사용되는 물질에 의해 레이저 빔 투과도가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착색에 특히 적합한 것은 유기 염료이다.
각각의 캐리어 물질의 두께는 각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μm, 보다 특히 12 내지 50 μm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결합에서, 금속 광택의 외관은 접착 테이프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고정/장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제트-블랙이고 매우 높은 불투명도를 갖는다. 이들은 또한 디스플레이에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흑색 금속화의 사용이 본 발명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2개의 캐리어 층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보다 특히 안료성 카본 블랙과 같은 흑색 안료에 의해 흑색으로 착색된다. 흑색 필름을 사용하면 불투명도가 추가로 증가할 수 있다.
착색을 위해, 흑색 안료가 캐리어 물질에 첨가된다.
적합한 흑색 안료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유기 아조 염료 및/또는 크롬 착물이다. 크롬 착물을 기반으로 하는 흑색 안료의 예는 [1-[(2-하이드록시-4-니트로페닐)아조]-2-나프탈레놀레이토(2-)][1-[(2-하이드록시-5-니트로페닐)아조]-2-나프탈레놀레이토(2-)]크로메이트(1-), 비스[1-[(2-하이드록시-4-니트로페닐)아조]-2-나프탈레놀레이토(2-)]크로메이트(1-), 및 비스[1-[(2-하이드록시-5-니트로페닐)아조]-2-나프탈레놀레이토(2-)]크로메이트(1-)이다.
흑색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의 분율이 8 부피%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사용된다.
흑색 안료는 특히 1.3 부피% 내지 1.8 부피% 범위로 첨가된다.
카본 블랙 입자가 흑색 안료로서 혼합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착색 접착제(즉, 착색 안료와 블렌딩된 접착제)를 기준으로 최대 12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우수한 착색을 달성하기 위해, 카본 블랙을 적어도 1.2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이 흑색 안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캐리어 물질이 2.1 내지 3.1 wt%의 중량 분율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카본 블랙은 다음과 같다:
· 피그먼트 블랙
· 램프 블랙
· 퍼니스 블랙
· 아세틸렌 블랙
· 산화 가스 블랙
· 써멀 블랙
분리 층은 금속 층으로도 지칭되는 흑색 금속 층으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금속"은 금속, 합금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금속 층은,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 작업에 의해 라미네이트의 제조 동안 도입되는 금속 호일일 수 있다. 분리 층은 또한 특히 금속, 금속 산화물 등에 대해 미분된 원자, 이온 또는 분자 형태의 물질의 기상 증착, 스퍼터링, 정전 코팅 또는 다른 적용에 의해 탁월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감압 접착제 층 중 하나 또는 캐리어 물질 중 하나에서 발생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분리 층은 전체 영역에 걸쳐 그리고 제1 캐리어 물질과 제2 접착제 층 사이 또는 제1 캐리어 물질과 제2 캐리어 물질 사이에 연속 층으로서 놓여 있다. 분리 층은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2개의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이형 층은 유리하게는 40 nm 내지 500 nm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250 nm의 두께로 사용된다.
특히 적합한 금속 층은 금속 중 통상적인 불순물을 배제하지 않는 Al, Cu, Ag, Au, Pt, Pd, Zn, Cr, Ti 등의 층이다. 알루미늄이 특히 적합한 금속으로 부상하였다. 합금의 층도 본 발명의 개념 내에 있다. 합금은 적어도 2개의 원소(성분)를 포함하는 거시적으로 균질한 금속 물질이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이고, 금속의 전형적인 금속 결합의 특징을 공동으로 갖는다. 추가의 이점으로, 구리 또는 티탄 또는 금속 산화물의 층(MeOx 층)이 본 발명에서 분리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한 금속 산화물 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디옥사이드(SiO2), 티탄 디옥사이드(TiO2) 또는 아연 주석 옥사이드(ZnSnO)로 구성되거나, 이들은 이러한 금속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보론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몰리브데이트, 및 바나데이트를 포함하고, 이들의 하이드록사이드 및 옥사이드 수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코팅은 특히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티탄과 같은 금속 또는 예를 들어, SiO2, TiO2 및/또는 ZnSnO와 같은 금속 산화물에 의해 전체 면적에 걸쳐 연속 층으로서 증착된다. 생성된 층 깊이는 40 nm 내지 500 nm의 두께를 특징으로 한다. 금속 층 또는 금속 산화물 층은 스퍼터링 공정을 사용하여 코팅함으로써 이상적으로 생성된다. 고진공 하에 캐소드 원자화라고도 불리는 스퍼터링(스퍼터 코팅)은 분진 형태로 제거된 물질로 기재를 코팅하기 위해 에너지 이온 충격에 의해 고체로부터 분진 형태의 물질의 절제 또는 제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공정은 소위 PVD 공정(물리적 기상 증착)이다. 안정적인 진공 코팅 작업은 층의 높은 균일성 및 순도를 가능하게 한다. 절차는 바람직하게는 코팅 소스(스퍼터 소스)가 희가스(일반적으로 아르곤)를 포함하는 저압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는 10-3 내지 102 mbar 압력 범위의 진공 챔버에서 발생한다. 층을 위한 출발 물질은 타겟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퍼터 소스에 위치한다. 스퍼터 공정 기술은 기술적인 면에서 매우 높은 수준이며, 또한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공정으로서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갈바닉 전기분해 또는 CVD(화학 기상 증착) 공정이 분리 층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이한 금속의 2개 이상의 층을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분리 층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다. 이는 입사된 레이저 방사선의 대부분이 분리 층에서 흡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흑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EP 1 522 606 A1을 참조한다.
흑색 분리 층의 시각적 인상을 기구로 캡처하기 위해, CIE 1976 L*a*b* 색 공간(DIN EN ISO/CIE 11664-4)에서 파라미터 a*, b* 및 L*에 대한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이 유리하다.
L* = 0일 때, 층은 완전히 흑색이며, 이는 빛이 반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금속 분리 층에 대해 실현된 값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L*: < 12
a*: -2 내지 2.5
b*: -2.5 내지 5.5.
본 발명의 유리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금속 분리 층은 알루미늄 옥사이드로 구성되고, CIE 1976 L*a*b* 색 공간에서 20% 이하의 투과율 및/또는 상기-언급된 파라미터를 갖는다.
분리 층은 레이저에 의해, 보다 특히 절제에 의해 제거된다. 여기서의 절차는 특히 레이저가 한쪽에서 필름 라미네이트를 통해 빔을 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분리 층은 이의 전체 영역에 걸쳐 제거될 수 있거나, 제거는 하나 이상의 영역 또는 부분에서만 일어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남아 있는 접촉 영역에 대해 의도된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파손 지점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지점에서는 추가 노출이 거의 없어도 분리가 발생하는 반면, 처음에는(즉, 레이저 조사 후) 연결이 여전히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분리 층의 완전한 제거의 경우, 필름 라미네이트의 100% 분리는 1초 미만 내에 가능하다. 따라서, 장기간 기준으로 원래 접합된 기재는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매우 빠르고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다.
사용되는 레이저는 원칙적으로 통상적인 표준 레이저일 수 있다. 사용되는 레이저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방사선이 감압 접착제 층 및 필름 라미네이트의 임의의 다른 층을 통해 최대 투과율로 방출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800 내지 20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예를 들어, 통상적인 감압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흡수 성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이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접착제 시스템은 또한 반투명하다.
파장이 통상적인 접착제 및 이형 물질의 방사관통(transradiation)에 매우 적합한 고체 상태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Nd:YAG 고체 상태 레이저가 사용된다. Nd:YAG 레이저(네오디뮴-도핑된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 레이저의 약어)는 이의 활성 매질로서 네오디뮴-도핑된 YAG 결정을 사용하고 주로 파장 1064 nm의 적외선을 방출하는 고체 상태 레이저이다. 추가 전이는 946 nm, 1320 nm 및 1444 nm에 존재한다. 이 레이저에 의해 방출된 광의 파장은 -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 1064 μm의 영역에 위치한다. 이 파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층에 의해 흡수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해당 파장에 대해 반투명하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캐리어 층도 손상 없이 이들을 통해 보내진 이러한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파장으로의 방사선의 변환은 제2(532 nm) 및 제3(355 nm) 고조파의 생성에 의해 필요할 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적절한 파장을 갖는 모든 가스 레이저, 염료 레이저, 고체 레이저, 금속 증기 레이저, 및 엑시머 레이저가 적합하다.
적용에 사용되는 레이저 파라미터의 세트, 및 관련된 레이저 전략은 사용되는 접착제 시스템(흡수성 및 비흡수성 접착제)에 의존적이다.
하기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파워: 0.1 - 12 watts
· 속도: 100 - 12 000 mm/초
· 주파수: 1 - 200 kHz
· 초점: 25 - 250 μm
· 펄스 시간: 30 - 300 ns
감압 접착제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인 용법 내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 특히 실온에서 - 영구적으로 점착성이고 또한 접착성인 물질로서 이해된다. 감압 접착제의 특징은 압력에 의해 기재에 적용될 수 있고 거기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다는 것이며, 적용된 압력 또는 이러한 압력에 대한 노출 기간에 대한 추가 정의는 없다. 특정 경우에, 감압 접착제의 정확한 특성, 온도, 대기 습도 및 또한 기재에 따라, 짧은 순간 동안 부드러운 접촉을 넘지 않는 짧은 지속 시간의 최소 압력에 노출되는 것이 접착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반면, 다른 경우에 고압에 대한 장기간의 노출이 필요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영구적인 점착성 및 접착성을 초래하는 특별한 특징적인 점탄성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접착제의 특징은 이들이 기계적으로 변형될 때 점성 흐름의 과정이 있고 탄성의 탄성력도 발달한다는 것이다. 두 과정은 고려 중인 감압 접착제의 정확한 조성, 구조, 및 가교도 뿐만 아니라, 변형의 속도 및 지속 시간, 및 온도에 따라 각각의 비율 측면에서 서로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접착을 달성하려면 비례적인 점성 흐름이 필요하다. 비교적 높은 이동도를 갖는 거대분자에 의해 야기된 점성 성분만이 결합이 일어나는 기재로의 효과적인 습윤 및 효과적인 흐름을 허용한다. 고점성 유동 성분은 높은 점착성(표면 점착성으로도 지칭됨)을 초래하고, 따라서 종종 또한 높은 박리 강도를 초래한다. 고도로 가교된 시스템, 결정질 폴리머, 또는 유리와 같은 고형화를 갖는 폴리머는 유동성 성분이 부족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점착성이 없거나 적어도 약간의 점착성만을 갖는다.
탄성의 비례적인 탄성력은 응집력의 달성에 필요하다. 이들은, 예를 들어, 높은 정도의 코일링을 갖는 매우 긴-사슬 거대분자, 및 또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거대분자에 의해 발생하고, 이들은 접착 결합에 작용하는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탄성력의 결과로서, 접착 결합은, 예를 들어,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충분히, 장기간 전단 하중의 형태로 이에 작용하는 장기간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탄성 및 점성 성분의 정도, 및 또한 성분들 사이의 관계의 보다 정확한 설명 및 정량화를 위해, 저장 모듈러스(G') 및 손실 모듈러스(G")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적 기계적 분석(DM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G'는 물질의 탄성 성분의 척도이고, G"는 물질의 점성 성분의 척도이다. 두 변수 모두는 변형 빈도 및 온도에 의존적이다.
변수는 레오미터의 도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사 중인 물질은 플레이트/플레이트 배열에서 사인파 진동 전단 응력에 노출된다. 전단 응력 제어로 작동하는 기구의 경우, 변형은 시간의 함수로서 측정되고, 이러한 변형의 시간 오프셋은 전단 응력의 도입에 대해 측정된다. 이러한 시간 오프셋은 위상각 δ로 지칭된다.
저장 모듈러스 G'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 = (τ/γ)·cos(δ)(τ = 전단 응력, γ = 변형, δ = 위상각 = 전단 응력 벡터와 변형 벡터 사이의 위상 변이). 손실 모듈러스 G"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 = (τ/γ)·sin(δ)(τ = 전단 응력, γ = 변형, δ = 위상각 = 전단 응력 벡터와 변형 벡터 사이의 위상 변이).
물질은 일반적으로 감압 접착제로 간주되며,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실온(현재 정의상 23℃)에서 변형 빈도 범위가 100 내지 101 rad/sec이고, G'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103 내지 107 Pa 범위에 위치하며, G"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감압 접착제로 정의된다. "부분적으로"는 G' 곡선의 적어도 한 섹션이 100 내지 101 rad/sec의 변형 빈도 범위(가로 좌표) 및 103 내지 107 Pa의 G' 값 범위(세로 좌표)에 의해 기술된 창 내에 있고, G" 곡선의 적어도 한 섹션이 마찬가지로 이 창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감압 접착제의 2개 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천연 고무, 보다 특히 비닐방향족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합성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상기 언급된 폴리머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의 외부 층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2개의 감압 접착제 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40 wt%의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특히, 감압 접착제의 외부 층은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인 이해에 따라 아크릴 및/또는 메틸아크릴 모노머 및 또한 선택적으로 추가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라디칼 중합을 통해 접근 가능한 폴리머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폴리머 뿐만 아니라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폴리머, 및 메타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에 기반한 폴리머를 포함하며, 폴리머는 항상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감압 접착제의 외부 층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2 000 000 g/mol 이하의 평균 몰 질량 Mw를 갖는다.
감압 접착제의 외부 층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 및 이의 정량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소위 Fox 방정식(E1)이 (T.G. Fox, Bull. Am. Phys. Soc. 1 (1956) 123 참조) ≤ 25℃의 폴리머에 대한 대한 Tg 값을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종류의 값은 실질적으로 실온에서 사용되는 감압 접착제에 특히 유리하다.
방정식 E1에서, n은 사용된 모노머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고, wn은 각각의 모노머 n의 질량 분율(wt%)을 나타내고, 및 Tg,n은 각 모노머 n의 호모폴리머의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를 켈빈 단위로 나타낸다.
감압 접착제의 2개 층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모노머 조성물로 소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a) 하기 화학식 (F1)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여기서 RI = H 또는 CH3이고, RII는 1 내지 30개의 C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4개의 C 원자,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다;
b) 가교제 물질과 반응성을 나타내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계 불포화 모노머;
c) 선택적으로, 모노머 (a) 및 (b)와 공중합 가능한 추가의 올레핀계 불포화 모노머.
모노머 a)의 예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분지형 이성질체, 예를 들어, 이를 테면,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II는 메틸, n-부틸, 및 2-에틸헥실 기, 보다 특히 n-부틸 및 2-에틸헥실 기이거나, 또는 모노머 a)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모노머 b)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사이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계 불포화 모노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b)는 각각 하이드록실, 카르복실, 설폰산 및 포스폰산 기, 산 무수물 작용기, 에폭사이드 기,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함유한다. 보다 특히 모노머 b)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디메틸아크릴산, β-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트리클로로아크릴산, 비닐아세트산, 비닐포스폰산, 말레산 무수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알코올,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b)는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보다 특히 아크릴산이다.
적합한 모노머 c)는 원칙적으로 모노머 a) 및 모노머 b)와 공중합 가능한 모든 비닐 작용기화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모노머 c)의 선택 및 양을 통해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감압 접착제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노머 c)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차-부틸 아크릴레이트, 3차-부틸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아크릴레이트, 3차-부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n-운데실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3,5-디메틸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4-쿠밀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바이페닐릴 아크릴레이트, 4-바이페닐릴 메타크릴레이트,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3-메톡시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디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350,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500,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디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트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4,4,5,5,6,6,7,7,8,8,8-펜타데카플루오로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1-메틸운데실)아크릴아미드, N-(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옥타데실)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치환된 아미드, 특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벤질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N-3차-옥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추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 메틸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및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와 같은 비닐 에테르;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닐 에스테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할라이드, 비닐리덴 할라이드, 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N-비닐프탈이미드, N-비닐락탐,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α- 및 p-메틸스티렌, α-부틸스티렌, 4-n-부틸스티렌, 4-n-데실스티렌, 3,4-디메톡시스티렌, 2-폴리스티렌-에틸 메타크릴레이트(4000 내지 13 000 g/mol의 분자량 Mw),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000 내지 8000 g/mol의 Mw)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특히, 모노머 c)는 메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모노머 c)는 또한 유리하게는 이들이 (예를 들어, 전자 빔 또는 UV에 의해) 방사선-화학적 가교를 지지하는 작용기를 함유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공중합 가능한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작용기화된 벤조페논 유도체이다. 전자 충격에 의한 가교를 지지하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및 알릴 아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의 층이 복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감압 접착제의 층에서 모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기재된 모노머 조성물로 소급될 수 있다. 보다 특히, 감압 접착제의 층에서 모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모노머 조성물로 소급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층에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모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모노머 조성물로 소급될 수 있다:
아크릴산 1 내지 10 wt%
메틸 아크릴레이트 1 내지 15 wt%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30 내지 60 wt%
n-부틸 아크릴레이트 25 내지 50 wt%,
모노머의 비율은 최대 100 wt%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감압 접착제의 층은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고, 이는 피넨 수지, 인덴 수지, 및 로진, 및 또한 이들의 불균등화, 수소화, 중합화, 및 에스테르화된 유도체 및 염;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및 또한 상기 언급된 점착부여 수지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탄화수소 수지 중에서, 해당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용성(가용성)인 모든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특히, 모든 지방족, 방향족, 및 알킬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순수한 모노머를 기반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탄화수소 수지, 작용성 탄화수소 수지, 및 천연 수지, 및 특히 C5 내지 C9 탄화수소 수지가 언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의 층은 테르펜-페놀 수지 및 C5 내지 C9 탄화수소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감압 접착제의 층은 테르펜-페놀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시스템을 통한 결합에 특히 적합한 기재는 금속,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이다. 결합될 기재는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반응성 접착제 시스템은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을 접착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양극산화된 알루미늄이 접착 결합된다.
결합될 기재의 표면이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물리화학적 공정에 의해 전처리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 또는 접착 촉진제 조성물의 적용이 본원에서 유리하다.
접착 결합될 금속 기재는 일반적으로 모든 통상적인 금속 및 금속 합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강철, 마그네슘, 아연, 니켈, 황동, 구리, 티탄, 제1철 금속, 및 합금이다. 접착 결합되는 부품은 또한 상이한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플라스틱 기재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ABS), 폴리카르보네이트(PC), ABS/PC 블렌드, PMMA, 폴리아미드, 유리 섬유-강화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렌 플루오라이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액정 폴리머(LCP), 폴리락티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메타크릴로메틸이미드, 폴리메틸펜텐, 폴리페닐 에테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시메틸렌,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를 테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기재는 코팅, 프린팅, 기상 증착, 또는 스퍼터링을 거칠 수 있다. 결합될 기재는 생성된 어셈블리의 사용에 필요한 임의의 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기재는 평면이다.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트는 보다 특히 감압 접착 테이프, 특히 양면 감압 접착 테이프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 스트립"(감압 접착 스트립)과도 동의어인 일반적 표현 "접착 테이프"(감압 접착 테이프)는 2차원적으로 연장된 필름 또는 필름 부분과 같은 모든 시트형 구조, 연장된 길이 및 제한된 폭을 갖는 테이프, 테이프 부분 등, 및 또한, 마지막으로, 다이컷(diecut) 또는 라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는 종방향(x 방향) 및 횡방향(y 방향)을 갖는다. 접착 테이프는 또한 2개의 방향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두께(z 방향)를 가지며, 횡방향 및 종방향은 두께보다 몇 배 더 크다. 두께는 길이 및 폭으로 정의되는 접착 테이프의 전체 표면 범위에 걸쳐 거의 매우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동일하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층의 감압 접착제 또는 접착제 층과 캐리어 층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특성은 접착 테이프의 두께, 강성, 가요성, 내열성, 탄성, 및 난연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감압) 접착제의 2개 층에 대해 동일한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트에 대한 가능한 적용은 매우 다양하다. 터치 패널의 분해는 이미 언급되었다. 휴대폰의 주요 중요성의 관점에서, 이는 특히 중요한 사용 영역이다. 한편으로,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매우 강력하고 또한 특히 밀봉 결합에 대한 요구가 있다. 그러나, 반면에 디스플레이는 종종 제거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라미네이트는 이러한 의도된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추가 사용 분야는 보안 라벨의 분야이다. 기본적으로, 보안 라벨이 제거 가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상황에서 제거성과 함께 특정 정도의 보안이 바람직한 적용이 존재한다. 레이저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본 발명의 사용을 통해, 용이한 제거가 불가능하고, 따라서 조작에 대한 특정 보호가 존재한다. 그러나, 적절한 기술적 노력으로, 라벨은 실제로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롤 형태의 물질의 가공과 관련하여, 스플라이싱으로 알려진 작업에서, 본 발명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는 주제는 "재작업성"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수명 주기가 끝난 제품을 물질별로 개별화하여 폐기하는 것과 관련된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상이한 물질로 구성된 구성 요소는 사전에 "분리 불가능하게" 서로 접합되었더라도 폐기하기 전에 다시 개별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이한 구성 요소 사이에 매우 강하고 장기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성 요소가 필요에 따라 분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특히 분리 층이 2개의 캐리어 층과 직접 접촉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비점착성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과 접촉하는 경우 이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분리 절차 후, 노출된 점착성 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분리된 층은 다시 함께 붙을 수 없다.
측정 방법
측정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23 ± 1℃ 및 50 ± 5% 상대 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 수행된다.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 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 Mw에 대한 분자량 결정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수행한다. 사용된 용리액은 0.1 부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갖는 THF(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다. 측정은 23℃에서 수행된다. 사용된 예비컬럼은 PSS-SDV, 10 μ, 103 Å, ID 8.0 mm x 50 mm이다. 분리는 각각 ID 8.0 mm x 300 mm인 컬럼 PSS-SDV, 10 μ, 103 및 또한 105 및 107 Å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샘플 농도는 0.5 g/l이고, 유량은 분당 0.5 ml이다. 보정은 PSS Polymer Standard Service GmbH(Mainz, Germ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ReadyCal 폴리(스티렌) 하이 키트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Mark-Houwink 파라미터 K 및 알파를 사용하여, 이는 일반적으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변환되므로 데이터는 PMMA 질량 당량으로 보고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결과적으로 제한되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실시예 및 2개의 도면에 의해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06 μm에서 방출되는 FAYb(섬유 레이저) 레이저가 사용된다. 레이저의 제조업체는 SUNX/Panasonic Electric Works이다. 레이저는 LP-V10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된다.
레이저는 하기 파라미터에 의해 구별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해, 투명 PET 필름으로 구성된 12 μm의 두께를 갖는 흑색-금속화 필름을 50 g/m2의 코팅 중량으로 아크릴레이트-기반 접착제로 자유 표면에 코팅한다.
금속 층은 알루미늄 옥사이드로 구성되고 100 nm의 두께를 갖는다. 레이저 가공에 사용되는 레이저 광에 대한 금속 층의 투과율은 20%이다.
12 μm의 두께를 갖는, 카본 블랙을 사용하여 흑색으로 착색된 제2 PET 필름을 50 g/m2의 코팅 중량으로 아크릴레이트-기반 접착제로 바닥면에 코팅한다. 필름은 상부면에 3 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기반의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을 갖는다. 이 층은 금속 층 상에 접착 결합된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2개의 유리체 사이에 결합되어, 이들 본체를 서로 접합시킨다. 유리체는 각각 2 mm의 두께를 갖는다.
레이저 파워, 주파수, 및 편향률을 포함하는 시험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두 접착제 층 사이의 금속 층의 최적 승화를 확립한다.
다층 어셈블리는 생산된 물질-비함유 중간층을 통해 분리된다. 접착제 상의 가스상 금속 증기의 승화 및 결과적인 응축의 결과로, 이 표면은 더 이상 접착성이 아니다. 따라서, 어셈블리는 분리될 수 있다.
다음 파라미터가 레이저에 설정된다:
도 2는 양면 접착 테이프(2)의 구성 및 또한 이의 사용을 도시한다. 접착 테이프(2)는 2개의 기재(11 및 12) 사이에 위치하며, 이 경우 둘 모두는 유리 층으로 구성된다.
접착 테이프(2)는 100 nm의 두께를 갖는 적용된 흑색 금속 층(23)을 갖는 12 μm PET 필름(22)을 갖는다. 각각의 접착제 층(21 및 24)은 PET 필름 캐리어(22) 및 금속 층(23)의 상부면 및 바닥면에 적용된다.
레이저 빔(31)은 금속 층(23)을 절제하여, 접착제의 하부 층(12)을 부동화시켜, 박리 접착력의 손실을 초래한다.
도 3은 양면 접착 테이프(2)의 변형예의 구성 및 또한 이의 사용을 도시한다. 접착 테이프(2)는 2개의 기재(11 및 12) 사이에 위치하며, 이 경우 둘 모두는 유리 층으로 구성된다.
접착 테이프(2)는 100 nm의 두께를 갖는 적용된 금속 층(23)을 갖는 12 μm PET 필름(22)을 갖는다. 금속 층(23)은 3 μm의 두께를 갖는 비-점착성 라미네이팅 접착제 층(26)을 통해 12 μm의 두께를 갖는 흑색-착색된 PET 필름(25)에 접합된다.
각각의 접착제 층(21 및 24)은 제1 PET 필름(22) 및 제2 PET 필름(25)에 적용되며, 이들 층은 기재에 대한 연결을 보장한다.
레이저 빔(31)은 금속 층(23)을 절제하여, 접착제의 하부 층(12)을 부동화시켜, 박리 접착력의 손실을 초래한다.

Claims (12)

  1. a) 접착제의 제1 층,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층,
    b)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제1 캐리어 물질,
    c) 분리 층,
    d)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태의 제2 캐리어 물질,
    e) 접착제의 제2 층,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장기간 접착 결합 후에 분리되도록 설계 및 장착된 필름 라미네이트로서,
    상기 분리 층이
    - 40 nm 내지 500 nm의 두께를 갖고,
    - 흑색이고,
    - 30% 이하의 투과율을 갖고,
    -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가능한 금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착제의 제2 층이 레이저 빔-반투명하고/거나 상기 접착제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캐리어 물질이 레이저 빔-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제2 층과 분리 층 사이에, 필름 라미네이트가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레이저 빔-반투명한 제2 캐리어 물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캐리어 물질 및/또는 제2 캐리어 물질이 라미네이팅 접착제에 의해 분리 층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층 또는 캐리어 층들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으로 구성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감압 접착제 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40 wt%의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이 금속, 합금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라미네이트에 의해 제조된 장기간 접착 결합을 이형시키는 방법으로서, 분리 층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거되고 필름 라미네이트가 제1 부분-라미네이트 및 제2 부분-라미네이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부분-라미네이트의 서로 간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힘이 부분-라미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적외선 레이저가 레이저 조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층의 전체 영역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자동차 산업에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라미네이트의 용도.
  12. 전자 산업에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름 라미네이트의 용도.
KR1020247003922A 2021-07-07 2022-06-30 분리 가능한 필름 라미네이트 및 영구 접착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20240029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07161.9 2021-07-07
DE102021207161.9A DE102021207161A1 (de) 2021-07-07 2021-07-07 Lösbares Folienlaminat und Verfahren zum Lösen dauerhafter Verklebungen
PCT/EP2022/068079 WO2023280673A1 (de) 2021-07-07 2022-06-30 Lösbares folienlaminat und verfahren zum lösen dauerhafter verkleb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068A true KR20240029068A (ko) 2024-03-05

Family

ID=8265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922A KR20240029068A (ko) 2021-07-07 2022-06-30 분리 가능한 필름 라미네이트 및 영구 접착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66909A1 (ko)
KR (1) KR20240029068A (ko)
CN (1) CN117916051A (ko)
DE (1) DE102021207161A1 (ko)
TW (1) TWI833269B (ko)
WO (1) WO20232806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6470A1 (de) 2002-12-03 2004-06-24 Schreiner Gmbh & Co. Kg Laserbeschriftbare Folie
DE50312204D1 (de) 2003-10-10 2010-01-21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bandförmigem Material mit schwarzem Aluminiumoxid
PL3178660T3 (pl) 2015-12-07 2019-07-31 Hueck Folien Ges.M.B.H Personalizowany element zabezpieczający
DE102015225854A1 (de) 2015-12-18 2017-06-22 Tesa Se Reaktives 2-Komponentenklebesystem in Filmform und Verfahren zur Verklebung
DE102016108216B4 (de) * 2016-05-03 2023-11-02 Schreiner Group Gmbh & Co. Kg Folienaufbau mit Schutz vor Manipulation
DE102020209557B4 (de) 2019-07-31 2022-01-27 Tesa Se Lösbares Folienlaminat, Verwendung und Verfahren zum Lösen dauerhafter Verkleb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33269B (zh) 2024-02-21
EP4366909A1 (de) 2024-05-15
CN117916051A (zh) 2024-04-19
WO2023280673A1 (de) 2023-01-12
DE102021207161A1 (de) 2023-01-12
TW202311028A (zh)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238B1 (ko) 양면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10773490B2 (en) Surface-modified adhesives
TWI595066B (zh) 光學壓感黏著片、光學膜及顯示裝置
EP2212395B1 (en) Optical adhesive with diffusive properties
WO2013061938A1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JP6940927B2 (ja)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DE102020209557B4 (de) Lösbares Folienlaminat, Verwendung und Verfahren zum Lösen dauerhafter Verklebungen
JP2010285548A (ja) 光学部材用粘着テープ
JP2009530464A (ja) エレクトルミネセント接着剤
TWI826518B (zh) 透明構件貼合用黏著片、積層體的製造方法及積層體
JP2020037657A (ja) 光学部材貼合用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60060595A (ko) 내열성 점착 시트 및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40029068A (ko) 분리 가능한 필름 라미네이트 및 영구 접착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JP2021140160A (ja)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2059388B1 (en) Decorative and/or information containing label comprising emblem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H11302613A (ja) 意匠性粘着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203351A1 (en) Partable laminate and method for parting long-term bonds
JP2005068214A (ja) ステッカー用粘着フィルムおよびステッカー
JP5771970B2 (ja) 光学用粘着剤及び光学用粘着シート
JP6743422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17014309A (ja) 熱剥離性粘着テープ、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その解体方法
JP5038604B2 (ja) 易剥離性ウィンドウ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貼着方法
JP4843130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感圧性粘着シート
JP6743421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16153509A (ja) 車両ステッカー用粘着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