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817A - 근가 일체형 인입주 - Google Patents

근가 일체형 인입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817A
KR20240028817A KR1020220107046A KR20220107046A KR20240028817A KR 20240028817 A KR20240028817 A KR 20240028817A KR 1020220107046 A KR1020220107046 A KR 1020220107046A KR 20220107046 A KR20220107046 A KR 20220107046A KR 20240028817 A KR20240028817 A KR 2024002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electric pole
pole
ground
grou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817A/ko
Publication of KR2024002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81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가 일체형 인입주에 관한 것으로, 전주바디와 상기 전주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근가부를 포함하여 전주바디와 근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시공방법이 단순화되어 작업시간과 비용이 감소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가 일체형 인입주{LEAD-IN POLE HAVING EARTH WIRE UNDER-BRACING}
본 발명은 전주를 세워 설치하는 전주 공사시에 매립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근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근가의 일측면에 접지판을 구비하여 설치가 간편한 근가 일체형 인입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를 설치하는 건주공사 시 수직으로 세워진 전주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주의 매립부분 즉, 전주의 밑동부분에 전주용 근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전주용 근가의 설치 작업은 오거크레인을 사용하여 전주 구덩이를 굴착하고 굴착된 구덩이에 전주의 밑동부분을 삽입한 후 상기 밑동부분에 전주용 근가를 설치하여 상기 전주가 지반에 견고히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오거크레인을 비롯한 차량진입이 어려운 장소에 건주공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백호우 로더 또는 순수 인력만으로도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주용 근가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전주용 근가는 전주(1)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며, U볼트(2)의 양단부가 관통되는 볼트구멍(3a)이 형성된 반원형 근가몸체부(3)를 포함한다.
상기 전주용 근가는 반원형 근가몸체부(3)로 전주(1)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한 후 U볼트(2)의 양단부를 상기 반원형 근가몸체부(3)의 볼트구멍(3a)에 각각 관통시킨 후 너트(4)를 체결하여 설치된다.
또한, 오거크레인을 이용한 기계화 건주공사를 하는 경우 해당 전주를 고정하기 위한 원형근가의 기계화시공법 및 오거크레인을 이용한 기계화시공에 있어서, 원형근가의 전주 구덩이를 굴착하고 있으나 근가 설치용 상기 U볼트(2)의 너트(4)를 취부하거나 U볼트(2)에서 너트(4) 조임 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추가로 굴착하는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4539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주근가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좁은 구덩이에서 전주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근가 일체형 인입주는, 전주바디와, 상기 전주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근가부를 포함한다.
상기 근가부는 상기 전주바디의 둘레를 일부 감싸는 반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근가 일체형 인입주는, 상기 근가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접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근가 일체형 인입주는, 일측이 상기 접지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주바디에 전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접지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판은 토양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표면에 다수의 접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돌기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돌기는 원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근가부는 상기 전주바디와 결합부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근가부는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소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는 플라스틱을 열처리한 피치를 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에 의하면, 전주바디와 근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시공방법이 단순화되어 작업시간과 비용이 감소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주근가를 전주에 결합하는 모습을 사선에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를 외측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의 접지판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의 접지판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의 근가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10)는, 전주바디(11)와, 상기 전주바디(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근가부(12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근가부(12a)는 상기 전주바디(11)의 둘레를 일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상기 전주바디(11)의 둘레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원 형태의 기둥으로 도 2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중심각이 예각이나 직각 또는 둔각인 원호 형태나 중공 형태의 사각 기둥이나 다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10)는, 상기 근가부(12a)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접지판(13)을 더 포함하며, 지면을 향하는 상기 근가부(12a)의 하부에 형성되나 상기 근가부(12a)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판(13)은 금, 은, 구리, 니켈, 아연, 주석, 크롬, 황동, 청동, 대용금(imitation gold), 니켈-철, 크롬-철, 스테인레스스틸, 니켈-몰리브덴, 니켈-텅스텐 또는 니켈-코발트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식성이 우수한 니켈-몰리브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지판(13)은 토양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접지판바디(13a) 표면에 다수의 접지돌기(13b)가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접지판(13)은 상기 근가부(12a)의 본체 표면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의 접지판바디(13a)와 상기 접지판바디(13a)의 상부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기둥 형상의 접지돌기(13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접지돌기(13b)의 사이에 토양이 채워지므로 접촉면적이 증가하며 모래와 같이 토양을 구성하는 성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다수로 형성된 상기 접지돌기(13b) 간의 간격은 2mm 이상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mm 미만인 경우 모래와 같이 크기가 작은 입자들이 침투할 수 없고, 5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토양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접지능력이 낮아진다.
상기 접지돌기(13b)는 상기 접지판바디(13a)로부터 돌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외부 토양과의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되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10)는, 일측이 상기 접지판(1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주바디(11)에 전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접지선(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근가부(12a)는 내부에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소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근가부(12a)는 복수의 탄소섬유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나 플라스틱이나 페놀 수지, 요소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에 합침되거나 분산되는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지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근가부(12a)의 내부에 복수의 탄소섬유가 일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상기 탄소섬유는 플라스틱을 열처리한 피치를 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치는 석유증류의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석유계 잔사유와 폐기물 플라스틱을 혼합한 후, 200℃ 이상 500℃ 이하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600분 이하 동안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통하여 제조된다.
반응온도가 200℃ 미만이거나 반응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고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반응온도가 500℃를 초과하거나 반응시간이 600분을 초과하는 경우 수율이 감소하며 코크스화가 일어나 균일한 피치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후, 상기 피치를 용융방사하여 피치섬유를 제조한 다음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700℃ 이상 3000℃ 이하의 온도로 처리(탄화)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는 접지판(14)을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지판(14)은 상기 근가부(12a)의 본체 표면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의 접지판바디(14a)와 상기 접지판바디(14a)의 상부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단면이 원뿔 또는 다각뿔 형태의 접지돌기(14b)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지돌기(14b) 간의 내측에 토양이 접촉될 수 있으므로 토양을 구성하는 성분의 직경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다수로 형성된 상기 접지돌기(14b) 간의 간격은 5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mm 미만인 경우 자갈과 같이 크기가 큰 입자들이 침투하기 어렵고, 10mm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토양과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므로 접지장소로 부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는 근가부(12b)를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가 일체형 인입주에서 근가부(12b)는 상기 전주바디와 결합부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양에서 흘러내리는 수분 등이 상기 근가부(12b)의 상부에서 미끄러져 내려가므로 수분이 고여 손상되거나 이끼 등의 생물이 성장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전주
2 : U볼트
3 : 근가몸체부
4 : 너트
10 : 근가 일체형 인입주
11 : 전주바디
12a,12b : 근가부
13,14 : 접지판
15 : 접지선

Claims (10)

  1. 전주바디;
    상기 전주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근가부;
    를 포함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가부는,
    상기 전주바디의 둘레를 일부 감싸는 반원 형태를 가지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가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접지판;
    을 더 포함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접지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주바디에 전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접지선;
    을 더 포함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토양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표면에 다수의 접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지돌기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지돌기는,
    원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가부는,
    상기 전주바디와 결합부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특징으로 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가부는,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는,
    플라스틱을 열처리한 피치를 방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가 일체형 인입주.
KR1020220107046A 2022-08-25 2022-08-25 근가 일체형 인입주 KR20240028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046A KR20240028817A (ko) 2022-08-25 2022-08-25 근가 일체형 인입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046A KR20240028817A (ko) 2022-08-25 2022-08-25 근가 일체형 인입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817A true KR20240028817A (ko) 2024-03-05

Family

ID=9029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046A KR20240028817A (ko) 2022-08-25 2022-08-25 근가 일체형 인입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8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90B1 (ko) 2009-07-24 2010-03-04 대원전기 주식회사 역방향 조임구조의 체결수단과 고정부재가 매설된 전주근가를 이용한 전주근가의 고정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90B1 (ko) 2009-07-24 2010-03-04 대원전기 주식회사 역방향 조임구조의 체결수단과 고정부재가 매설된 전주근가를 이용한 전주근가의 고정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721B1 (ko) 그레이딩링 삽입 어셈블리
US2821365A (en) Electrical wire fence with plastic posts
JP3986392B2 (ja) 柱状物補強装置
KR100648419B1 (ko) 전주 지지 구조물
KR20240028817A (ko) 근가 일체형 인입주
JP4795372B2 (ja) 隆起部を有する電柱工事用c型電柱根枷
JP2008152927A (ja) 接地装置
JP4303780B1 (ja) 電気柵用支柱
CN211498874U (zh) 一种基坑桩锚支护装置
KR101543961B1 (ko) 복합파일
KR20080039020A (ko) 피, 에이치, 씨 파일
KR101506650B1 (ko) 다중 방사형 전해질 접지봉
KR101580095B1 (ko) 철망펜스용 주주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1143950U (zh) 混凝土桩式电杆结构
KR200257089Y1 (ko) 전주용 접지극
CN112531367B (zh) 一种便于埋设维护的接地电极
KR20110081510A (ko) 동관 및 망관 복합형 접지봉
KR100646320B1 (ko) 전기적 처리를 이용한 말뚝기초공법
JP7028818B2 (ja) 傾斜地の崩壊防止補強体および補強材の挿入方法並びに傾斜地の崩壊防止補強工法
JP4168345B2 (ja) 支線用ブロック
JP2006336352A (ja) 地中アンカ
JP3058521U (ja) 施工面敷設ブロック
CN204982880U (zh) 一种预应力锚索内嵌式锚固装置
KR102152396B1 (ko) 콘크리트 전주 근입 깊이 보강을 위한 길이연장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