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717A -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717A
KR20240028717A KR1020220106805A KR20220106805A KR20240028717A KR 20240028717 A KR20240028717 A KR 20240028717A KR 1020220106805 A KR1020220106805 A KR 1020220106805A KR 20220106805 A KR20220106805 A KR 20220106805A KR 20240028717 A KR20240028717 A KR 20240028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upper frame
wheelchai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환
Original Assignee
고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환 filed Critical 고대환
Priority to KR102022010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717A/ko
Publication of KR2024002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서 와상 환자를 침대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침대로 다시 옮기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방향에 상관없이 침대의 좌우 측방향으로 접근하여 환자를 옮겨 싣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바퀴(110)가 부착된 하부 프레임(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부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의 상단이 지지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전,후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1,2지지판부(320,330)와, 상기 제1,2지지판부(320,33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3,4지지판부(340,350)로 이루어져 상기 제1,2,3,4지지판부(320,330,340,3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하거나 누운 상태로 탑승이 가능하고, 상기 제1,3지지판부(320,340)와, 제2,4지지판부(330,350)는 환자의 방향에 상관없이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상체나 하체를 선택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Variable wheelchair for transport patients}
본 발명은 일반 병원이나 요양 병원 등에서 거동이 다소 불편한 와상 환자를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가 침대에서 다른 곳으로 운반하거나 침대로 다시 옮기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방향에 상관없이 침대의 좌우 측방향으로 접근하여 침대 위로 상부 프레임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환자를 옮겨 싣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휠체어를 침대로 변환시키거나 침대를 휠체어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가변식 휠체어에 대한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의 휠체어는 시트를 상승시켜 시트 높이를 침대의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양측 팔걸이를 외측으로 전개하여 환자가 옆으로 몸을 돌린 상태에서 침대에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환자가 최소한 팔이나 다리가 어느 정도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의 침대 가변형 휠체어는 착좌부를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부와 발받침부를 수평상태로 변형시켜 환자를 침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침대의 측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환자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침대와 휠체어는 물리적으로 중첩되지 않고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환자가 침대에서 휠체어로 또는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하여야 했으므로 이동 거리가 길어져 환자 및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의 육체적인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휠체어는 등받이부와 발받침부가 구조적으로 상이하고 상호 호환이 불가능하여 침대의 어느 일측으로만 접근이 가능하고, 타측으로 접근할 경우에는 침대의 방향과 환자의 방향이 뒤바뀌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3에도 침대로 형태 변환이 가능한 휠체어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휠체어와 침대 사이의 옮겨타기에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특허문헌 4에도 환자를 침상으로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휠체어가 개시시되어 있으나 등받이를 슬로프로 사용하여 환자가 슬로프를 통해 휠체어에서 침대로 다시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또한 거동이 아주 불편한 와상 환자가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함은 물론, 환자가 슬로프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낙상의 위험이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20-00028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616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3694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357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이나 각종 요양기관 등에서 거동이 다소 불편한 와상 환자를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가 침대에서 다른 곳으로 운반하거나 침대로 다시 옮기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방향에 상관없이 침대의 좌우 측방향으로 접근하여 안전하면서도 힘들이지 않고 환자를 옮겨 실을 수 있는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바퀴가 부착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승강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상단이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1,2지지판부와, 상기 제1,2지지판부에 각각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3,4지지판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2,3,4지지판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하거나 누운 상태로 탑승이 가능하고, 상기 제1,3지지판부와, 제2,4지지판부는 환자의 방향에 상관없이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상체나 하체를 선택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된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와상 환자를 침대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침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방향으로라도 접근이 가능하고, 침대의 내측으로 깊숙히 진입이 가능하여 옮겨타는 거리가 짧고 간단하여 환자가 옮겨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환자 자신의 육체적인 부담을 덜 수 있으며,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도 환자를 부축하여 옮기는 과정에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보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식 휠체어가 이동식 침대로 전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식 휠체어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일측 안전 난간을 분리한 상태도,
도 5는 환자를 운반하기 위해 침대에 진입한 상태,
도 6은 침대에서 환자를 옮겨 이동하는 상태,
도 7은 침대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접근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1)는 복수의 바퀴(110)가 부착된 하부 프레임(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부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의 상단이 지지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전,후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1,2지지판부(320,330)와, 상기 제1,2지지판부(320,330)에 각각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3,4지지판부(340,350)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제1,2,3,4지지판부(320,330,340,3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도시 생략됨)가 앉은 상태(도 1)로 탑승하거나 누운 상태(도 2)로 탑승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3지지판부(320,340)와, 제2,4지지판부(330,350)는 환자의 방향에 상관없이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상체나 하체를 선택적으로 받쳐줄 수 있어 침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방향에서도 환자를 옮겨 태우거나 침대에 내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0)은 네 모서리 부분에 캐스터형 바퀴(110)가 부착되어 있어 제자리 회전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 즉, 승강용 액추에이터(200)가 위치한 방향의 두 바퀴(110)에는 브레이크(112)가 구비되어 있어 침대의 내측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브레이크(112)를 밟아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휠체어(1)가 침대(B) 외측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200)는 하부 프레임(100)의 일측과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일측에 각각 하단과 상단이 고정되며,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의 좌우측으로는 상부 프레임(300)의 승강동작시 상부 프레임(3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지지 가이드(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100)과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사이에는 승강용 액추에이터(200)가 설치된 반대편에 침대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이 가능한 공간부(S)가 형성되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00)에 누워있던 환자가 침대(B)로 옮겨타거나 침대(B)에 누워있던 환자가 상부 프레임(300)에 올라타는 동작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환자 스스로 몸을 약간 옆으로 굴리면서 움직이거나 간병인이나 요양 보호사가 환자를 힘들이지 않고 부축하여 옆으로 약간만 옮겨주기만 하면 되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이동을 위하여 환자 자신은 물론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의 육체적인 피로와 부담을 덜어 보호사가 환자를 온몸으로 부축하여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간병인이나 요양 보호사의 허리 및 어깨와 팔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의 도면에 도시된 승강용 액추에이터(200)는 일종의 수동 조작식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승강 조절구(210)를 손이나 발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승강용 액추에이터(200)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부 프레임(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승강용 액추에이터(200)가 수동 조작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으로 승강되는 방식을 적용하고 조작자가 유선 스위치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수월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전,후로 부착된 제1,2지지판부(320,330) 및 상기 제1,2지지판부(320,330)에 각각 부착된 제3,4지지판부(340,350)는 각각 그 힌지결합부의 일측에 부착된 각도조절핸들(322,332,342, 35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고 이를 다시 조여주는 것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 외에도 각도조절핸들(322,332,342,352)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공지의 의자 등받이와 발판의 각도조절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운반용 가변식 휠체어(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B)에 누운 와상 환자를 다른 장소로 옮기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몸체부(310)와 제1,2,3,4지지판부(320,330,340,350)를 수평이 되도록 펼쳐서 일종의 이동식 베드 형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침대(B)의 일측으로 접근하여 수평이 되도록 펼쳐진 상부 프레임(300)이 침대(B) 위로 올라갈 수 있는 높이가 되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300)을 깊게 밀어 넣어 침대 위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침대에 누운 환자를 상부 프레임(300)으로 이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반드시 하부 프레임(100)의 바퀴(110)에 구비된 브레이크(112)를 눌러주어 휠체어(1)가 외측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는 상,하부 프레임(100,300) 사이의 일측에 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침대(B)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상부 프레임(300)을 침대(B) 위로 깊숙히 삽입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환자를 휠체어(1)의 상부 프레임(300)에 옮겨 태운 후에는 환자가 그대로 누운 상태에서 바퀴(110)의 브레이크(112)를 풀어 준 후 이동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지지판부(320,330,340,350)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가 앉은 상태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좌우측에는 각각 고정형 안전 난간(312)과 분리형 안전 난간(3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분리형 안전 난간(314)은 몸체부(310)의 일측에 구비된 난간 착탈부(313)에 결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환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겨 태우거나 휠체어에서 침대로 옮길 때에는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1)는 제1,3지지판부(320,340)와 제 2,4지지판부(330,350)가 환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선택적으로 받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침대(B)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접근과 삽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침대가 여러 개 배치되어 있는 병실에서 모든 침대에 호환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1대의 가변식 휠체어를 다인 병실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는 휠체어에서 베드로의 상호 변환이 가능함은 물론,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받쳐주는 부분의 구분이 없이 호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침대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접근이 가능하고,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침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공간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부 프레임을 침대 위에 포개지도록 삽입이 가능하여 환자를 옮겨태우는 동작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100 : 하부 프레임
110 : 바퀴
112 : 브레이크
200 : 승강용 액추에이터
210 : 승강 조절구
220 : 지지 가이드
300 : 상부 프레임
310 : 몸체부
312 : 안전 난간(고정형)
313 : 난간 착탈부
314 : 안전 난간(분리형)
320 : 제1지지판부
322,332,342,352 : 각도조절핸들
330 : 제2지지판부
340 : 제3지지판부
344,354 : 손잡이
350 : 제4지지판부
B : 침대
S : 공간부

Claims (5)

  1. 복수의 바퀴(110)가 부착된 하부 프레임(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부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의 상단이 지지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전,후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1,2지지판부(320,330)와, 상기 제1,2지지판부(320,33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제3,4지지판부(340,350)로 이루어져 상기 제1,2,3,4지지판부(320,330,340,3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하거나 누운 상태로 탑승이 가능하고, 상기 제1,3지지판부(320,340)와, 제2,4지지판부(330,350)는 환자의 방향에 상관없이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상체나 하체를 선택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전,후로 부착된 제1,2지지판부(320,330) 및 상기 제1,2지지판부(320,330)에 각각 부착된 제3,4지지판부(340,350)는 각각 그 힌지결합부의 일측에 부착된 각도조절핸들(322,332,342, 35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키고, 다시 조여주는 것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200)는 하부 프레임(100)의 일측과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일측에 각각 하단과 상단이 고정되며, 승강용 액추에이터(200)의 좌우측으로는 상부 프레임(300)의 승강동작시 상부 프레임(3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지지 가이드(22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00)과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사이에는 승강용 액추에이터(200)가 설치된 반대편에 침대(B)의 내측으로 삽입이 가능한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몸체부(310) 좌우측에는 각각 고정형 안전 난간(312)과 분리형 안전 난간(3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00)은 네 모서리에 캐스터형 바퀴(110)가 부착되어 제자리 회전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일측의 두 바퀴(110)에는 브레이크(1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KR1020220106805A 2022-08-25 2022-08-25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KR20240028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05A KR20240028717A (ko) 2022-08-25 2022-08-25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05A KR20240028717A (ko) 2022-08-25 2022-08-25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717A true KR20240028717A (ko) 2024-03-05

Family

ID=9029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05A KR20240028717A (ko) 2022-08-25 2022-08-25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71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745A (ko) 2020-10-29 2020-12-03 정인수 환자를 침상으로 수월하게 이동시키는 휠체어
KR20200002852U (ko) 2019-06-21 2020-12-30 장태희 간병인이 용이하게 환자를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KR102336949B1 (ko) 2021-03-15 2021-12-07 이준원 형태 변환이 가능한 모션 휠체어
KR102361691B1 (ko) 2021-10-29 2022-02-14 이용욱 침대 가변형 휠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52U (ko) 2019-06-21 2020-12-30 장태희 간병인이 용이하게 환자를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KR20200135745A (ko) 2020-10-29 2020-12-03 정인수 환자를 침상으로 수월하게 이동시키는 휠체어
KR102336949B1 (ko) 2021-03-15 2021-12-07 이준원 형태 변환이 가능한 모션 휠체어
KR102361691B1 (ko) 2021-10-29 2022-02-14 이용욱 침대 가변형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2906B1 (en) A wheel chair with commode for a patient that converts in to a bed
JP6899171B2 (ja) 多目的、多用途かつ再組み立て可能な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兼用ベッド
US5060960A (en) Combination wheelchair and lifting device
EP1912611B1 (en) Patient transfer system
US11052005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handles for patient ambulation
US10646396B2 (en) Hybrid mobility and transfer assistance device
AU2013304839B2 (en) Patient repositioning system
US20160354267A1 (en) Transfer device
JP2005304626A (ja) 車椅子機能を有する介護用ベッドの構成方法及び介護用ベッド
US11826284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a side ramp
WO2020053143A1 (de)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r eigenfortbewegungsfähigkeit eines in seiner mobilität eingeschränkten menschen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US20180036191A1 (en) Electric wheelchair
WO2018172599A1 (en) Adjustable bed solution
US10568793B2 (en) Patient mobility system with integrated ambulation device
KR20240028717A (ko) 환자 운반용 양방향 가변식 휠체어
KR20210067375A (ko) 신체약자용 휠체어
KR20130098508A (ko) 와상환자용 이동수단
KR20180094887A (ko) 수직화 장치를 구비하고, 로봇식의 이동성이 있는 변경 가능한 침대
JP3069731U (ja) 側部格子部材を備えたベッド
WO2020053117A1 (de) Assistent zum stabilisieren, mobilisieren und sichern eines patienten
US10980691B1 (en) Mobile seat supporting transfer apparatus
JP2000126232A (ja) 患者移送装置
KR101205094B1 (ko) 하반신 부자유자 이송용 의료보조기
HU201667B (en) Wheel-chair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ataxic sick per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