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527A - 이중 작동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작동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527A
KR20240028527A KR1020247004265A KR20247004265A KR20240028527A KR 20240028527 A KR20240028527 A KR 20240028527A KR 1020247004265 A KR1020247004265 A KR 1020247004265A KR 20247004265 A KR20247004265 A KR 20247004265A KR 20240028527 A KR20240028527 A KR 2024002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go
ramp
outward
pivo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리 카바너스
마이클 고든 레티
Original Assignee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매틱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화물 밴 도어 시스템은 화물칸을 갖춘 화물 밴, 하나 이상의 도어가 화물칸의 3개의 외향 측벽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도어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제1 선회 수단, 도어가 화물칸의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제2 선회 수단, 및 제1 선회 수단 및 제2 선회 수단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도어가 외향 측벽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선회하여 계속해서 도어로서 기능하게 할 때,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림 해제되고,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도어가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선회하여 계속해서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할 때, 제1 선회 수단이 맞물림 해제된다.

Description

이중 작동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및 경사로(ramp)의 분야, 특히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화물칸을 갖춘 화물 밴은 중소 규모의 화물을 운송하는 데 유용하다. 화물은 손에 들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은 패키지부터 더 큰 포장 품목, 가구, 건축 자재 및 수많은 다른 화물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물 밴은 옆으로 선회 개방되는 단일 후방 도어 또는 반대 방향으로 옆으로 선회 개방되는, 차량의 중심선에 걸쇠로 잠긴 2개의 도어를 갖는다. 이러한 도어 또는 도어들은 대안적으로 화물칸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사람이 화물을 하역하는 경우, 그 사람은 전달될 화물을 도어 또는 도어들과 인접한 화물칸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그 사람은 손으로 또는 카트, 트롤리 또는 다른 운송 수단으로 운송될 화물을 화물칸에서 들어 올리기 위해 화물칸 바닥에서 지상으로 뛰어내리거나 내려와야 한다. 화물칸에 출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계단이 제공될 수 있지만, 지상으로 뛰어내리는 것이 일부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 두 사람이 하역 작업에 참여하면 이들 중 한 명은 화물칸에 머물고 다른 한 명은 지상에 서서 하역된 화물을 받는다.
때때로, 화물 짐은 이 간단한 하역 과정에 비해 너무 크거나 무거우며 밴에서 화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일종의 경사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 명 이상의 사람이 화물을 들고 경사로를 따라 내려갈 수 있거나, 화물을 실은 트롤리 또는 카트를 경사로 아래로 안내할 수 있거나, 화물을 경사로 아래로 밀어 지상으로 미끄러뜨릴 수 있다. 때때로 화물칸 바닥의 높이 아래 또는 위의 지상 위로 화물을 하역할 때 경사로가 또한 도움이 된다. 분명히, 하역 동안 존재하는 동일한 요인 중 상당수가 또한 화물을 밴에 실을 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경사로는 화물칸 바닥 아래에 보관되고 밴 뒤쪽으로 당겨진다. 일부 경사로는 전개될 때 화물칸 바닥과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다. 다른 경사로가 화물칸 바닥에서 연속적인 표면을 나타내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고, 따라서 화물칸 바닥에서 약간 더 낮은 거리에 배치된 경사로까지 하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화물칸 바닥 아래에 장착된 경사로가 인입 위치에서 수동으로 당겨지지만, 때때로 이 경사로 전개는 모터로 작동된다. 이러한 견인 경사로의 무게는 충분한 힘이 부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경사로를 수동으로 전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일부 사용자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경사로와 이의 캐리지가 사용하면서 마모될 때, 정렬 문제가 발생하거나 경사로의 전개에 대한 마찰 및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경사로 전개 동안 적용되는 요인 중 다수는 경사로를 사용 후 인입될 때도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측면 스윙 밴 도어와 전개 가능한 경사로 둘 다가 화물 밴의 특정한 상황에서 유용하기 때문에, 단순화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더 적은 개별적인 컴포넌트로 기능 둘 다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경사로 전개와 관련된 무게 문제, 마찰 저항 및 컴포넌트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이 또한 유익할 것이다.
화물 밴 도어에서 도어와 경사로의 기능을 결합하는 새로운 수단이 개발되어 왔다. 도어와 경사로는 단일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서로 직교하게 위치된 해제 가능한 선회 수단을 사용하여, 도어는 화물칸의 측벽에 인접하게 장착된 제1 선회 수단을 사용하여 옆으로 선회 개방되어 화물을 경사로 없이 싣거나 내릴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화물칸 바닥에 인접하게 장착된 제2 선회 수단에 하향 선회되어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제 가능한 선회 수단 둘 다는 도어와 경사로가 완전히 폐쇄될 때 걸쇠로 잠길 수 있다. 해제 가능한 선회 수단은 힌지(hinge) 또는 힌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밴에는 구조적 지지를 위해 화물칸의 후방에 기둥 또는 기둥들이 제공된다. 이 기둥은 도어 또는 도어들이 장착되는 화물칸의 외향 측벽에 있는 개구부의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걸쇠식 힌지는 단일 지지 기둥에 장착될 수 있거나 측면 걸쇠식 힌지는 이격된 지지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거나 경사로가 전개될 때, 해제 가능한 힌지 중 하나는 걸쇠로 잠기거나 맞물려 있는 반면에, 다른 해제 가능한 힌지는 걸쇠로 잠기지 않거나 분리되어 이 이중 도어 및 경사로 기능을 허용한다. 밴에 대해 수직으로 제2 힌지 상에서 회전하는 경사로의 운동은 코일 스프링, 버팀대 보조 기구, 전기 모터에 의해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경사로와 제어 수단 사이의 케이블 또는 다른 적합한 연결 수단은 경사로가 제어하에서 원활하게 개방되고 폐쇄되게 한다. 단일 도어 및 경사로 장치 또는 나란히 장착된 2개의 도어 및 경사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다수의 제1 힌지와 제2 힌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종래 걸쇠를 사용하여 단일 도어를 밴 측벽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거나 도어가 폐쇄될 때 2개의 나란한 도어를 함께 해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2개의 도어가 나란히 장착되고 화물칸 개구부의 중심선에 해제 가능하게 걸쇠로 잠긴다. 3개의 외향 측벽이 있다. 도어 또는 도어들은 후향 측벽에 또는 밴의 횡방향 측벽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또는 이들의 조합에도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 양상에서, 화물 밴 도어 시스템은 지붕, 바닥 및 3개의 외향 측벽을 포함하는 화물칸을 갖춘 화물 밴, 외향 측면과 내향 측면, 제1 횡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 및 상향 측면과 하향 측면을 포함하는 외향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될 때 측면들 전부는 방향이 있게(directionally) 획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외향 측벽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도어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제1 선회 수단,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제2 선회 수단, 제1 선회 수단 및 제2 선회 수단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제1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화물칸의 외향 측벽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선회하여 계속해서 도어로서 기능하게 할 때,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림 해제되고,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화물칸의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선회하여 계속해서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할 때, 제1 선회 수단이 맞물림 해제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경사로의 움직임은 코일 스프링, 버팀대 보조 기구,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수단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외향 횡방향 측면과 코일 스프링, 버팀대 보조 기구,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수단 중 하나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제1 선회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해제 가능한 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2개의 도어는 외향 측벽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고 바닥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프레임에 나란히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프레임은, 연결될 때, 도어가 수평으로 회전하여 도어의 역할을 하게 하거나 함께 개폐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고, 분리될 때, 도어가 수직으로 회전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는, 개구의 중심에 그리고 바닥과 인접하게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L-브래킷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다수의 제1 해제 가능한 힌지는 프레임과 도어의 각각 사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걸쇠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해제하여 회전 개폐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해제 가능한 힌지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제1 횡방향 측면과 화물칸의 외향 측벽 중 인접한 하나 사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해제 가능한 힌지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하향 측면과 화물칸의 바닥과 인접한 것 사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수직으로 배향될 때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내향 측면에 기대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연장을 제공하기 위해 외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상향 측면에 힌지 고정된(hinged) 경사로 플랩(ramp flap)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화물칸의 후방에서 외향 측벽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화물칸의 측면에서 외향 측벽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단일 도어는 화물칸의 측벽과 인접하게 해제 가능하게 걸쇠로 잠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서, 2개의 도어는 화물칸 개구의 중심선에서 나란히 장착되고 해제 가능하게 걸쇠로 잠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양상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갖춘 화물 밴의 재현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갖춘 화물 밴의 후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경사로로서 전개되는 2개의 도어를 나타내는 화물 밴의 후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수의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갖춘 화물 밴의 재현적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및 도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6은 도어가 폐쇄된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및 도어의 재현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의 역할을 하는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및 도어의 재현적 사시도이다.
도 8은 1개의 도어가 폐쇄되고 1개의 도어가 개방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는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및 도어의 재현적 사시도이다.
도 9는 1개의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의 역할을 하고 1개의 도어가 개방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는 개략적인 화물칸의 개구에 장착된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및 도어의 재현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1개의 도어가 폐쇄되고 1개의 도어가 개방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는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및 도어의 재현적 부분 사시도이다.
임의의 다양한 양상 또는 각각의 개별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이전의 문단, 청구범위 또는 다음의 설명 및 도면의 실시형태, 실시예 및 대안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획득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와 관련되어 설명되는 특징은 이러한 특징이 호환 불가능하지 않는 한, 모든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도면이 1개의 도어가 경사로로서 전개되지만 다른 도어가 폐쇄된 위치에 있고 도어로서 개방되는 화물 밴을 예시하기 때문에 부분적 재현도이다. 그러나, 화물 밴 상에 장착될 때, 각각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오직 폐쇄되거나, 도어로서 개방되거나 언제든 경사로로서 개방될 것이다. 도 2는 1개의 도어가 폐쇄되고 다른 도어가 도면의 좌측에서 도어로서 개방되고, 도면의 우측에서 경사로로서 전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경사로로서 전개되는 도어 둘 다 위로 트롤리를 미는 사용자의 도면이다. 도 4는 화물 밴의 측면과 화물 밴의 후면 둘 다에 장착된 도어 둘 다가 개방되어 도어의 역할을 하고 함께 전개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예시하기 때문에 다시 재현적이다. 도 5는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에 장착된 재현적 도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은 이들이 프레임에 장착된 추상적인 도어를 예시하기 때문에 다시 재현적이다. 도어가 화물 밴에 실제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도어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도 9는 화물칸을 나타내기 위해 도어가 구조체에 장착된 재현적 프레임을 예시한다. 이것은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이 화물 밴에 실제로 나타날 것이지만 설명의 간결성을 위해 제공되기 때문에 이중 작동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화물 밴(1)은 지붕(5), 바닥(7), 외향 측벽(9, 11 및 13), 및 외향 측벽 중 하나의 개구(15)를 가진 화물칸(3)을 포함한다. 또한 경사로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17)가 개구(15)에 장착된다. 도어(17)는 외향 측면(19), 내향 측면(21), 제1 횡방향 측면(23), 제2 횡방향 측면(25), 상향 측면(27) 및 하향 측면(29)을 갖는다. 위치는 도어(17)가 폐쇄될 때 방향이 있게 획정된다.
도어(17)는 화물칸(3)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국 화물칸(3)에 장착되는 프레임(51)에 장착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제1 선회 수단(31)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17)가 외향 측벽(9, 11, 13)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도어의 역할을 하게 한다. 또한, 제2 선회 수단(33)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17)가 바닥(5)에 대해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나란히 장착된 단일 도어 또는 2개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또는 도어들은 외향 측벽(9, 11, 13) 중 임의의 것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17)의 제1 횡방향 측면(23)과 화물칸(3)의 외향 측벽(9, 11, 13) 중 인접한 것 사이에 장착된다. 이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는 도어(17)가 옆으로 수평으로 선회 개방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17)의 하향 측면(29)과 화물칸(3)의 바닥(7)과 인접한 것 사이에 장착된다.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는 도어(17)가 수직으로 상하로 선회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가 맞물려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17)가 화물칸(3)의 외향 측벽(9, 11, 13)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선회하게 할 때,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가 맞물림 해제된다. 정반대로,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가 맞물려서 적어도 하나의 도어(17)가 화물칸(3)의 바닥(7)에 대해 수직으로 선회하게 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가 맞물림 해제된다. 제1 및 제2 해제 가능한 힌지의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를 조정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적합한 걸쇠(39)가 사용되어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와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를 해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걸쇠(39)가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를 해제할 때,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가 맞물릴 것이고, 걸쇠(39)가 제2 해제 가능한 힌지(34)를 해제할 때, 제1 해제 가능한 힌지(32)가 맞물릴 것이다. 걸쇠(39)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어(17)가 수직으로 개폐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7)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71)이 개구(15)와 인접한 화물칸(3)의 외향 측벽(9, 11, 13) 중 하나로부터 도어의 횡방향 측면(23)까지 연장되어 지지를 제공하거나 능동 원동력 제어부, 예컨대, 전기 모터(77)의 제어하에서 감기고 풀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일 스프링(73), 기체 버팀대 보조 기구(75) 등과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수동 움직임 제어기가 사용되어 제어하에서 도어(17)를 낮춰서 경사로의 역할을 하고 도어(17)를 폐쇄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데 필요한 물리적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기체 버팀대는 미국 6,773,047(발명의 명칭: Lift Assist Mechanism for Vehicle Tailgates)에 설명된다. 기체 버팀대가 폐쇄 순간을 생성하기 위해 단순한 레버 암에서 작용할 수 있고 테일게이트 환경에서와 같이 병진하도록 허용되는 것보다 오히려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어/경사로 환경에서 다소 더 간단하다.
요구사항에 따라서, 도어(17)는 외향 측벽(9)에서 또는 외향 측벽(11, 13) 중 하나 또는 둘 다에서 화물칸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개구(3)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차량의 제작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지만,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한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다.
경사로로서 작동을 위해, 도어(17)에는 바람직하게 경사로 플랩(43)이 제공된다. 경사로 플랩(43)은 도어(17)가 수직으로 배향될 때 적어도 하나의 도어(17)의 상향 측면(27)에 힌지 고정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내향 측면(21)에 기댈 수 있다. 도어(17)가 수직으로 회전하여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경사로 플랩(43)은 외향으로 회전하여 화물칸(3)으로부터 먼 연장을 경사로에 제공한다. 적합한 지지부(44)는 상향 측면(27)과 인접한 도어 또는 도어들(17)의 외부에 장착되어 도어가 낮춰져서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도어(17)에 대한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44)가 지면 또는 다른 표면과 도어(17)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도어(17)의 페인트 마감 및 일반적인 무결성을 보호할 수 있다. 경사로 플랩(43)이 내구성 플라스틱과 같이, 마모에 내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아무튼, 경사로 플랩(43)이 바람직하게는 도어가 사용 중이 아닐 때 도어(17)의 내부에 인입되기 때문에, 경사로 플랩(43)의 마모는 일반적으로 경사로 플랩(43)이 전개될 때를 제외하고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개의 도어(17)가 나란히 장착될 때, 도어는 도어와 경사로의 역할을 둘 다 할 때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어(17)는 개구(15)의 중심선에서 걸쇠 기구(38)에 의해 통상적으로 걸쇠로 잠길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도어(17)는 다른 도어가 수평으로 개방될 때 폐쇄될 수 있거나 도어(17) 둘 다가 선회 개방되어 화물칸(3)에 대한 접근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1개의 도어(17)는 다른 도어가 낮춰져서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폐쇄될 수 있거나 도어(17) 둘 다가 낮춰져서 경사로의 역할을 하여, 화물칸에 대한 접근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해제 가능한 힌지는, 힌지를 제자리에 유지하거나 힌지를 해제하는 걸쇠와 함께, 도어 배향의 이러한 다양성을 허용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도어 또는 도어들(17)은 화물칸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에, 도어 또는 도어들(17)은 결국 화물칸(3)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51)에 장착된다. 이 구성은 도 5 내지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편의를 위해, 2개의 도어 구성이 설명된다. 프레임(51)은 2개의 부분, 즉, 수직 암(57, 59) 및 수평 기저부(61, 63)를 가진 거울-이미지 L-브래킷(53, 55)을 포함한다. 이 L-브래킷(53, 55)의 기저부(61, 63)는 개구의 중심 위치에서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해제 가능한 연결은 L-브래킷(53, 55)이 화물칸(3)의 바닥(7)에 대해 함께 또는 별도로 회전하게 한다; 이것은 도어(17)가 함께 또는 별도로 경사로로 전개되게 한다. 단 하나의 도어(17)가 경사로로서 전개될 때, 해당 도어(17)의 L-브래킷(53, 55)이 바닥(7)에 대해 회전하는 반면에 다른 L-브래킷(53, 55) 및 이의 도어(17)는 고정되고 폐쇄된다.
도어 또는 도어들로서 기능할 때, 도어(17)는 프레임(51) 내에 고정될 수 있고 프레임(51)은 화물칸(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어(17)가 프레임(51)의 수직 암(57, 59) 중 하나에 각각 힌지 고정될 수 있고, 도어(17)가 프레임(51)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고, 프레임(51)이 화물칸(3)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걸쇠(39)는 트리거링되어 프레임(51)을 해제해서 프레임이 도어(17)가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수직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특정한 컴포넌트 배열이 예시된 실시형태에 개시되지만, 다른 배열이 여기에서 유익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한 단계 시퀀스가 도시되고, 설명되고 주장되지만, 단계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으로부터 여전히 유익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된 특정한 컴포넌트를 갖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이 특정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로부터의 특징부 또는 컴포넌트와 조합하여 실시예 중 하나로부터의 컴포넌트 또는 특징부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개시되었지만, 당업자는 특정한 변경이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것임을 인지할 것이다. 이 이유로, 다음의 청구범위는 참된 정신 및 내용을 결정하도록 검토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화물 밴 도어 시스템으로서,
    지붕, 바닥 및 3개의 외향 측벽을 포함하는 화물칸을 갖춘 화물 밴;
    외향 측면과 내향 측면, 제1 횡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 및 상향 측면과 하향 측면을 포함하는 외향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될 때 측면들 전부는 방향이 있게(directionally) 획정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상기 외향 측벽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도어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제1 선회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상기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해제 가능하게 선회하여 경사로(ramp)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제2 선회 수단;
    상기 제1 선회 수단 및 상기 제2 선회 수단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상기 화물칸의 상기 외향 측벽 중 하나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선회하여 계속해서 도어로서 기능하게 할 때, 상기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림 해제되고, 상기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상기 화물칸의 상기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선회하여 계속해서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할 때, 상기 제1 선회 수단이 맞물림 해제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회 수단이 맞물려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상기 경사로의 움직임은 코일 스프링, 버팀대 보조 기구,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수단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외향 횡방향 측면과 상기 코일 스프링, 상기 버팀대 보조 기구, 상기 전기 모터 또는 다른 적합한 제어 수단 중 하나 사이에 연결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hinge)를 포함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도어는 외향 측벽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닥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프레임에 나란히 장착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연결될 때, 상기 도어가 수평으로 회전하여 도어의 역할을 하게 하거나 상기 도어가 함께 개폐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고, 분리될 때, 상기 도어가 수직으로 회전하여 개별적으로 경사로의 역할을 하게 하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 그리고 상기 바닥과 인접하게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L-브래킷을 포함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1 해제 가능한 힌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각각 사이에 장착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걸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해제하여 회전 개폐되어 경사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해제 가능한 힌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상기 제1 횡방향 측면과 상기 화물칸의 상기 외향 측벽 중 인접한 하나 사이에 장착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해제 가능한 힌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상기 하향 측면과 상기 화물칸의 상기 바닥과 인접한 것 사이에 장착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수직으로 배향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상기 내향 측면에 기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경사로의 역할을 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연장을 제공하기 위해 외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상기 상향 측면에 힌지 고정된(hinged) 경사로 플랩(ramp flap)을 더 포함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상기 화물칸의 후방에서 외향 측벽에 장착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상기 화물칸의 횡방향 측면에서 외향 측벽에 장착되는, 화물 밴 도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단일 도어는 상기 화물칸의 외향 측벽과 인접하게 해제 가능하게 걸쇠로 잠긴, 화물 밴 도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도어는 상기 화물칸의 상기 개구의 중심선에서 나란히 장착되고 해제 가능하게 걸쇠로 잠긴, 화물 밴 도어 시스템.
KR1020247004265A 2021-07-12 2022-07-12 이중 작동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 KR20240028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20831P 2021-07-12 2021-07-12
US63/220,831 2021-07-12
PCT/CA2022/051081 WO2023283729A1 (en) 2021-07-12 2022-07-12 Dual acting cargo van door and ramp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527A true KR20240028527A (ko) 2024-03-05

Family

ID=8491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265A KR20240028527A (ko) 2021-07-12 2022-07-12 이중 작동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0372A1 (ko)
KR (1) KR20240028527A (ko)
CN (1) CN117730019A (ko)
CA (1) CA3222904C (ko)
WO (1) WO20232837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3639A1 (de) * 1988-07-13 1990-01-18 Kuehbeck Alois Gmbh Lastkraftwagen bzw. anhaenger
ITMI20052416A1 (it) * 2005-12-20 2007-06-21 Italplant S R L Portellone di carico per veicoli rimorchi semirimorchi
FR2916701A3 (fr) * 2007-05-29 2008-12-05 Renault Sas Vehicule utilitaire comportant a sa partie arriere au moins une porte rabattable pour constituer une rampe de char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3729A1 (en) 2023-01-19
CA3222904A1 (en) 2023-01-19
EP4370372A1 (en) 2024-05-22
CN117730019A (zh) 2024-03-19
CA3222904C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1418B2 (ja) 順応形態の運搬用小型トラック
US7121607B2 (en) Truck bed extension
US4084713A (en) Vehicle wheelchair ramp
EP2616368B1 (en) Collapsible freight container
EP2807070B1 (en) Apparatus for self-levelling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AU2017101634A4 (en) A roof rack for a vehicle
JP5769903B2 (ja) シートを含む実用荷台を有する車両
US9713977B1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a vehicle
US7708327B2 (en) Vehicle cargo floor organizer
KR101073647B1 (ko)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US5391042A (en) Truck for carrying goods
KR20240028527A (ko) 이중 작동 화물 밴 도어 및 경사로 시스템
KR101485290B1 (ko) 자동 덤프장치
US11084362B2 (en) Adjustable tonneau cover
US20090146450A1 (en) Deployable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EP0005960B1 (en) Load carrying decks
US5692794A (en) Removable combination shell and carpet kit for pickup truck
KR101563842B1 (ko) 측면 덤프 장치
JP7237418B2 (ja) 移動ボックス
KR100482970B1 (ko) 차량 적재함의 보조 스탭
JP2535615Y2 (ja) 貨物自動車用補助階段
JP2003276509A (ja) 車両用ステップ
JPH08258612A (ja) テ−ルゲ−トリフタの荷受台起立保持装置
JPH049218Y2 (ko)
JPH021497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