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138A -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 Google Patents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138A
KR20240025138A KR1020220103017A KR20220103017A KR20240025138A KR 20240025138 A KR20240025138 A KR 20240025138A KR 1020220103017 A KR1020220103017 A KR 1020220103017A KR 20220103017 A KR20220103017 A KR 20220103017A KR 20240025138 A KR20240025138 A KR 2024002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ontitis
kit
diagnosing
present
nucleotid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련
김윤학
이한송
주지영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138A/ko
Priority to PCT/KR2023/009443 priority patent/WO2024039065A1/ko
Publication of KR2024002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75Horm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8Dental and oral disor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염 환자 혈액의 단일세포 전사체(single cell RNA sequencing) 데이터에서 정상 조직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 염증성 신호전달기전 확인을 통해 골수성 수지상세포(myeloid dendritic cell, mDC)에서 레지스틴(resistin) 리간드를 내보내고, 이를 혈액 내 면역세포들이 CAP1, TLR4 수용체가 받는 것을 확인 한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PERIODONTITIS DISEASE AND DIAGNOSTIC KIT THEREOF}
본 발명은 치주염 환자 혈액의 단일세포 전사체(single cell RNA sequencing) 데이터에서 정상 조직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 염증성 신호전달기전 확인을 통해 골수성 수지상세포(myeloid dendritic cell, mDC)에서 레지스틴(resistin) 리간드를 내보내고, 이를 혈액 내 면역세포들이 CAP1, TLR4 수용체가 받는 것을 확인 한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주염은 숙주의 구강 미생물 세균 불균형(dysbiosis)과 면역반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치주 조직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치조골 손실과 더불어 치아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2016년 글로벌 질병 부담 연구에 따르면, 치주염은 전 세계적으로 11 번째로 가장 흔한 질병으로, 나이가 들수록 치주염 유병률은 점점 증가한다. 치주염은 전신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 질환, 당뇨병, 자가 면역 질환 등과 같은 다양한 비 감염성 질환(NCD)과 상호 작용하며 공통 위험 요소를 공유한다. 치주염의 진행은 결국 치아 상실을 유발하여 발음 및 저작과 관련된 기능적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심미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치주염은 성인의 대다수가 이환되어 있으며 큰 증상 없이 진행되어 치아를 잃을 수 있다. 하지만, 정기 검진과 스케일링으로 꾸준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재발이 잦고, 완치가 어려워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2015-0052311 (2015.05.1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염 환자 혈액의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염증성 신호전달 기전 확인을 통해 치주염 진단에 대한 객관적 지표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염 발병 기전 관련 인자를 객관적 수치화함으로써 치주염 진행 특성에 적합한 치료계획 수립 기준 및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과 같은 생물학적 시료내에 분포한 레지스틴(resistine)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진단용 조성물 구성하여 치주염을 진단하는 키트로 활용하고자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은,
상기 골수성 수지상세포(myeloid dendritic cell, mDC)의 리간드이며, 면역세포의 수용체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역세포의 수용체는,
CAP1(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구조를 포함하거나, TLR4(Toll-like receptor 4)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치주염 진단용 키트
본 발명에 따른 치주염 진단용 키트는,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주염 진단용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칩 키트,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블랏팅(Blotting) 키트, 면역침전법 키트, 면역형광검사 키트, 단백질 침 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주염 진단용 키트는,
시퀀싱, PCR 기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치주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본 발명에 따른 치주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은,
생물학적 시료 내 혈액, 치은열구액 또는 타액에 분포한,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증가한 경우 치주염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치주염 환자 혈액의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염증성 신호전달 기전 확인을 통해 치주염 진단에 대한 객관적 지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주염 발병 기전 관련 인자를 객관적 수치화함으로써 치주염 진행 특성에 적합한 치료계획 수립 기준 및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과 같은 생물학적 시료내에 분포한 레지스틴(resistine)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진단용 조성물 구성하여 치주염을 진단하는 키트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강한 상태의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의 세포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치주염 상태에서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의 세포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치주염 치료 후,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의 세포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에 포함된 ligand-receptor(LR) pair의 건강 상태별 상대적 기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세포(monocyte)의 상태별 RETN 발현 비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태별 RETN을 발현(RETN+) 하는단세포(monocyte)의 비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mDC의 상태별 RETN 발현 비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태별 RETN을 발현(RETN+)하는 mDC의 비율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본 발명은 정상인(대조군)의 체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혈액, 치은열구액 또는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포함하는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정상인(대조군)”이란, 실험 결과가 제대로 도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집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정상인(대조군)”이란 치주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개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치주염(periodontitis)" 이란, 풍치라고도 하며, 치태세균의 불균형 (dysbiosis)에 의해 개시되어 치주조직을 손상시키는 만성염증성질환을 의미하는데, 병증의 심도 (stage Ⅰ,Ⅱ,Ⅲ,Ⅳ )와 진행속도 (grade A,B,C)에 따라 세분화된다. 치주염의 발병시 염증 및 면역반응이 진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치주낭(periodontal pocket)이 형성된다.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는데,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하부의 결합조직 파괴를 초래하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골소실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진단”이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진단은 치주염의 발병 여부, 병의 진전 정도 또는 이로 인한 위험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포함하는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이다.
상기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은 상기 골수성 수지상세포(myeloid dendritic cell, mDC)의 리간드이며, 면역세포의 수용체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면역세포의 수용체는 CAP1(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구조를 포함하거나, TLR4(Toll-like receptor 4)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periodontitis)은 치은출혈(gingival bleeding), 치은퇴축(gingival retraction), 치주낭(periodontal pocket), 치조골 파괴(alveolarbone destruction) 또는 치조골 소실(alveolar bone loss)과 같은 증상과 징후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 소실은 치조골에서 골형성과 골흡수의 균형이 깨어져 골흡수가 골형성을 초과하여 골량이 한계 이하로 감소하면서 나타나는 치주 질환의 일종으로, 치조골 흡수(alveolar bone resorption)가 나타날 수 있다.
(2) 치주염 진단용 키트
본 발명은 상기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칩 키트,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블랏팅(Blotting) 키트, 면역침전법 키트, 면역형광검사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키트는 시퀀싱(sequencing), PCR 기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키트는 대사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자를 포함하며, 특히, 치주 질환을 진단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자는 항체, 기질, 리간드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화학물질, 고분자 또는 보조인자(cofactor) 등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각 마커를 인식하는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각 마커에 상호작용하는 특정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고분자 또는 화학물질, 또는 각 마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특정 화학 물질로 변환되도록 가능한 화학물질 또는 화합물, 또한 추가적으로 항체,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고분자 또는 화학물질에 수식(modification) 가능한 나노입자, 형광 염료(fluorescent dyes) 등의 측정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키트는 검체로서 혈액, 치은열구액 또는 타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주염 진단용 키트는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치주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본 발명에 따른 치주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은 생물학적 시료 내 혈액, 치은열구액 또는 타액에 분포한,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증가한 경우 치주염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험예 1) 샘플 채취
말초 혈액 샘플은 EDTA가 포함된 플라스틱 혈액 수집 튜브에 수집되었다. PBMC는 수집 30분 이내에 SepMate(Stemcell Technologies Inc.)를 사용하여 분리되었다. 배지와 샘플을 조심스럽게 혼합한 후, 튜브를 1200 x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했다. 상단 층을 새 튜브에 붓고 2% FBS를 함유하는 PBS로 두 번 세척했다. 튜브를 실온에서 8분 동안 300 xg에서 원심분리했다. 수집된 PBMC를 동결하고 사용할 때까지 -80°C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2) 분석
라이브러리는 10x chromium Next GEM Single Cell 3' v3.1 프로토콜에 따라 크롬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준비되었다. 단일 세포의 RNA 전사체는 droplet 내에서 고유하게 바코드화 및 역전사되었다. cDNA 분자를 풀링한 다음 단일 'A' 염기 추가 및 어댑터 결찰을 수행했다. 다음으로, 생성물을 정제하고 PCR로 농축하여 최종 cDNA 라이브러리를 생성했다. 마지막으로 Illumina HiSeq 플랫폼을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시퀀싱했다.
단일 세포 유전자 발현 데이터는 10X Genomics Cell Ranger v3.1.0을 사용하여 처리되었다. 'cellranger mkfastq'를 사용하여 FASTQ 파일을 생성하고 'cellranger count'를 사용하여 raw FASTQ 파일을 분석했다. 결과 cell-by-gene count matrix를 생성하여 세포 별 유전자 발현량을 정량화하여 분석했다.
이 정량화 matrix를 이용해 CellChatDB에서 리간드-수용체 쌍의 발현을 기반으로 세포-세포 통신을 추론하였다. 여기서, R 패키지 'CellChat'의 공식 워크플로를 따랐다. 분비 신호, 세포외 기질-수용체 및 세포-세포 접촉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리간드-수용체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했다. 그런 다음 computeCommunProb 및 computeCommunProbPathway 함수를 사용하여 통신 확률을 계산하고 세포 간 통신망을 유추했다. 마지막으로 추정된 신호 경로를 집계하고 그 강도와 세포 구성 요소를 비교했다.
그 결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세포(monocyte)가 리간드(ligand)로 작용하며, 화살표가 향하는 세포들은 수용체(receptor)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치주염 상태에서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의 세포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로, 도 1과 비교하여 mDC의 역할이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에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의 세포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로, 치료가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mDC의 역할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레지스틴(resistine) 경로에 포함된 ligand-receptor(LR) pair의 건강 상태 별 상대적 기여도로, 건강한 일반인, 치주 염 치료 전과 후, RESISTIN 경로의 LR pair의 비율은 같음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단세포(monocyte)의 상태별 RETN 발현 비율로, 유의미성을 나타내는 p값은 다음과 같으며, 그룹 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 ≤ 0.05 (*), p ≤ 0.01 (**), p ≤ 0.001 (***), p ≤ 0.0001). 도 6은 상태별 RETN을 발현(RETN+) 하는 단세포(monocyte)의 비율을 나타내었고, 도 7은 mDC의 상태별 RETN 발현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유의미성을 나타내는 p값은 다음과 같으며, 치료 전과 후, mDC 세포의 RETN 발현율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p ≤ 0.05 (*), p ≤ 0.01 (**), p ≤ 0.001 (***), p ≤ 0.0001, p ≥ 0.05 (ns)). 도 8은 상태별 RETN을 발현(RETN+)하는 mDC의 비율로, 치주염 치료에도 불구하고 RETN+ mDC의 세포 비율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치주염 환자 혈액의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염증성 신호전달 기전 확인을 통해 치주염 진단에 대한 객관적 지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주염 발병 기전 관련 인자를 객관적 수치화함으로써 치주염 진행 특성에 적합한 치료계획 수립 기준 및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과 같은 생물학적 시료내에 분포한 레지스틴(resistine)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진단용 조성물 구성하여 치주염을 진단하는 키트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은
    상기 골수성 수지상세포(myeloid dendritic cell, mDC)의 리간드이며, 면역세포의 수용체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의 수용체는
    CAP1(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의 수용체는
    TLR4(Toll-like receptor 4)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염 진단용 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진단용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칩 키트,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블랏팅(Blotting) 키트, 면역침전법 키트, 면역형광검사 키트, 단백질 침 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용 키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진단용 키트는,
    시퀀싱, PCR 기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용 키트.
  8. 생물학적 시료 내 혈액, 치은열구액 또는 타액에 분포한,
    레지스틴(resistin)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레지스틴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단편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증가한 경우 치주염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KR1020220103017A 2022-08-18 2022-08-18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KR20240025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17A KR20240025138A (ko) 2022-08-18 2022-08-18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PCT/KR2023/009443 WO2024039065A1 (ko) 2022-08-18 2023-07-04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17A KR20240025138A (ko) 2022-08-18 2022-08-18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138A true KR20240025138A (ko) 2024-02-27

Family

ID=8994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017A KR20240025138A (ko) 2022-08-18 2022-08-18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5138A (ko)
WO (1) WO20240390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311A (ko) 2012-09-10 2015-05-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t-icr-ms/ms를 이용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바이오마커에 대한 타액 프로테옴의 분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311A (ko) 2012-09-10 2015-05-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t-icr-ms/ms를 이용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바이오마커에 대한 타액 프로테옴의 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065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311B1 (ko) 리포칼린-2를 이용한 혈관성 치매의 진단방법
JP2011509676A5 (ko)
EP3384047A1 (fr) Procede d'evaluation du risque de complications chez les patients qui presentent un syndrome de reponse inflammatoire systemique (sirs)
EP2992332A1 (en) In vitro method for the early detection of a potential inflammation, in particular associated with rejection of a transplant,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or a depression
WO2022071601A1 (ja) 血中エクソソームのタンパク質マーカーを利用したcovid-19重症化予測方法
CN106841593B (zh) Lacc1和fhl2基因在制备脊柱侧弯检测产品中的应用
JP2008547006A5 (ko)
WO2017146529A1 (ko) 대장암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CN109439744A (zh) 重症哮喘诊断用分子标志物
JP2023538836A (ja) バフィーコート試料に使用するための膵臓癌診断用組成物
TWI716827B (zh) 檢測心血管疾病的檢驗套組及心血管疾病相關生物標記的濃度檢測方法
KR102210530B1 (ko) 뇌전증의 진단 마커 및 이의 용도
EP271014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t risk of having or developing a chronic kidney disease
KR20240025138A (ko) 치주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진단용 키트
CN108034707B (zh) Spag7基因在制备老年痴呆诊断制剂中的应用
CN107937515B (zh) 一种阿尔茨海默的诊疗基因靶点及其应用
Liu et al. Identification of nine signature proteins involved in periodontitis by integrated analysis of TMT proteomics and transcriptomics
KR102343240B1 (ko) 대장암 환자에서 세툭시맙에 대한 내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CN110988346A (zh) 一种辅助诊断肺癌的标记物以及检测方法
KR101815253B1 (ko) 간 섬유화 진단용 바이오마커 cxcl14
JP6436777B2 (ja) 精神関連疾患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キット
TWI741915B (zh) 檢測心血管疾病的檢驗套組及心血管疾病相關生物標記的濃度檢測方法
KR102312534B1 (ko) 뇌척수액 유래 미토콘드리아 마커를 이용한 지연성 허혈 진단 방법
KR102665392B1 (ko) 무증상 갑상선 저하증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20230144442A (ko) 급성기 만성골수성백혈병 진단용 신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