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036A - 라운드 슬링 - Google Patents

라운드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036A
KR20240025036A KR1020247004236A KR20247004236A KR20240025036A KR 20240025036 A KR20240025036 A KR 20240025036A KR 1020247004236 A KR1020247004236 A KR 1020247004236A KR 20247004236 A KR20247004236 A KR 20247004236A KR 20240025036 A KR20240025036 A KR 2024002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hreads
wrap
weft threads
round s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커 홈바흐
Original Assignee
슈판 세트 게젤샤프트 퓌어 트란스포트시스테메 운트 테크니쉐 벤더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운트 코.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판 세트 게젤샤프트 퓌어 트란스포트시스테메 운트 테크니쉐 벤더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운트 코. 코만디트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슈판 세트 게젤샤프트 퓌어 트란스포트시스테메 운트 테크니쉐 벤더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운트 코.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4002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3Protective fabrics for elongated members, i.e.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8Jackets or coverings having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03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woven 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2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5Auxiliary apparatus for making sl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을 지지하는 내부 직물로 구성되는 라운드 슬링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부 직물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하중 지지 스레드의 무한 랩, 및 보호 텍스타일 튜브 형태의 반경 방향 자유도를 갖는 내부 직물을 둘러싸는 보호 슬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 튜브는 랩과 웨프트 스레드로 직조된 텍스타일 직물이다. 상기 텍스타일 직물은 다층 직물로 구성되고, 각각의 직물 층은 상기 보호 튜브의 종방향(L)으로 또는 종방향 연장으로 이어지는 랩 스레드를 갖고, 높은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낮은 신장 용량을 갖는 섬유 또는 얀으로 구성되며,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웨프트 스레드는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용량을 가지며, 상기 다층 직물의 직물 층은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용량을 갖는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를 갖는다.

Description

라운드 슬링
본 발명은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라운드 슬링(round sling)에 관한 것이다. 라운드 슬링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내부 직물(inner fabric)이 있다. 코어라고도 알려진 내부 직물은 복수의 평행한 하중 지지 스레드(thread)의 무한 랩(endless wrap)으로 형성되며 반경 방향 자유도로 내부 직물을 둘러싸는 텍스타일 튜브(textile tube) 형태의 보호 슬리브가 제공된다.
과거에는, DE 10 2011 052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섬유(fiber) 성분 또는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능력을 갖는 얀(yarn), 소위 스트레치 얀(stretch yarn)을 갖는 텍스타일 시트 제품이 보호 튜브의 신축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보호 튜브를 형성하는 텍스타일 시트 제품도 알려져 있는데, 보호 튜브는 랩(wrap)과 웨프트 스레드(weft thread)로 짜여진 텍스타일 시트 제품이며, 여기서 보호 튜브의 종방향(L) 또는 종방향 연장으로 이어지는 랩 스레드는 높은 인장 강도에 비해 신장 능력이 낮은 섬유 또는 스레드로 구성되고, 웨프트 스레드는 이들의 인장 강도에 비해 신장 능력이 높다. 이는, 예를 들어 DE 10 2011 052 146 A1호 및 FR 2 959 223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트레치 섬유(stretch fiber) 또는 스트레치 얀으로 구성된다.
라운드 슬링을 그 기능에 따라 슬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 인장력이 예를 들어, 하중, 하중 서스펜션 디바이스 또는 하중 후크(load hook)와 같은 하중 지지 디바이스에 인가할 때, 직물은 종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팽창한다. 결과적으로 필요한 추가 튜브 재료는 랩 스레드를 묶거나 이동시키면서 웨프트 스레드를 늘림으로써 이전에 압축된 직물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단층 탄성 튜브 직물이 필요할 때 높은 신장 능력을 갖는 경우, 랩 스레드는 특정 신장으로부터 닫힌 직물 표면을 유지하기 위해 더 이상 맞물릴 수 없다. 결과적으로, 랩 스레드는 직물 구조에서 쉽게 이동될 수 있으며 튜브에 구멍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직물의 팽창이나 구멍은 이물질이나 유사한 물체가 보호 튜브를 관통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점을 나타낸다. 노출된 스레드는 외부 영향으로 인해 직물 구조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튜브로 하중을 받을 때 직물 팽창 또는 직물 구멍의 단점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라운드 슬링에 의해 달성되며,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더 유리한 추가적인 실시형태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슬링은 다음의 특징들을 가진다.
라운드 슬링은 하중을 지지하는 내부 직물로 구성되고, 내부 직물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하중 지지 스레드의 무한 랩, 소위 얀 랩(yarn Wrap), 및 보호 텍스타일 튜브 형태의 반경 방향 자유도를 갖는 내부 직물을 둘러싸는 보호 슬리브로 형성되고, 보호 튜브는 랩과 웨프트 스레드로 직조된 텍스타일 시트 제품이고, 텍스타일 시트 제품은 다층 직물로 구성되고, 다층 직물의 직물 층은 각각의 경우 보호 튜브의 종방향(L)(종방향 연장이라고도 함)으로 이어지는 랩 스레드로 구성되고 높은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신장 능력이 낮은 섬유 또는 얀으로 구성되고, 횡방향(Q)으로 종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랩 스레드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웨프트 스레드는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능력을 가지며, 다층 직물의 직물 층은 추가 웨프트 스레드,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능력 용량을 갖는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횡방향(Q)으로) 이어지는 소위 연결 스레드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다층 직물은 2개 또는 그 초과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는 다층 직물의 랩 스레드를, 예를 들어 각각의 랩 스레드와 교차하는 방식으로 다층 직물의 랩 스레드를 연결 스레드로서 연결한다.
추가 웨프트 스레드의 신장 용량은 다층 직물의 웨프트 스레드의 신장 용량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다.
웨프트 스레드 및 추가 웨프트 스레드가 복수형으로 언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이는 또한 단지 보호 튜브를 생산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보빈의 단일 웨프트 스레드 또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 또는 복수의 보빈으로부터의 스레드도 의미할 수도 있다.
신장 능력 또는 신축성이 언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이는 항상 탄성 신장 능력을 지칭한다. 이런 점에서, 이는 탄성 확장으로 구성된다.
웨프트 스레드 및/또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 길이는 탄성 범위에서 180% 또는 그 초과,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높은 신장 능력으로 정의되는 250%까지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웨프트 스레드 및/또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의 높은 신장 능력은 탄성 범위에서 1.8배 내지 2.5배이다.
당업자는 또한 보호 튜브의 신장 능력이 웨프트 스레드의 신장 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 웨프트 스레드 밀도, 스레드의 직조(weave)의 유형 및 인터레이싱(interlacing)의 유형에 의해 신장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고 있음을 언급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웨프트 스레드 및/또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는 폴리에스테르로 감겨진 엘라스테인 섬유, 탄성 섬유로 방적된 고성능 섬유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보호 튜브는 2개의 직물 층을 가지며, 보호 튜브의 비대칭 구조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수의 웨프트 스레드를 갖지만 바인딩 반복(binding repeat)당 적어도 하나의 추가 웨프트 스레드를 갖는다. 신축성 및 압축성 측면에서 층의 서로 다른 특성을 달성하고 이를 보호 튜브의 각각 요구되는 특성과 정렬하기 위해 추가 웨프트 스레드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연결 스레드의 조합도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보다 폐쇄된 직물 구조를 생성하여, 하중을 받을 때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 직물의 팽창 또는 개방이 감소된다. 따라서 구멍이 생기고 이물질이 침투할 위험이 줄어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한 두 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들, 특징들, 및 실시예들이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이완된 상태의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 직물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추가 웨프트 스레드는 두 직물 층의 각각의 랩 스레드와 교차한다.
도 1.1은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라운드 슬링 보호 튜브 직물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추가 웨프트 스레드가 두 직물 층의 각각의 랩 스레드와 교차한다.
도 2는 이완된 상태의 라운드 슬링 보호 튜브의 추가 직물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추가 웨프트 스레드는 층과 교차하기 전에 2개의 직물 층의 3개의 랩 스레드 위로 플로팅(float)된다.
도 2.1은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라운드 슬링 보호 튜브의 추가 직물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추가 웨프트 스레드는 층과 교차하기 전에 두 직물 층의 3개의 랩 스레드 위로 플로팅된다.
두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층 직물은 단지 2개의 직물 층으로 구성된다.
탄성 웨프트 스레드(1 및 1')는 랩 스레드(3/1 내지 3/4)와 결합하여 제 1 직물 층(2)을 형성한다. 탄성 웨프트 스레드(1'' 및 1''')는 랩 스레드(3/5 내지 3/8)와 함께 추가 직물 층(4)을 형성한다. 제 1 직물 층(2)과 추가 직물 층(4)의 랩 스레드(3)은 종방향(L), 즉 라운드 슬링의 종방향 코스 방향으로 이어진다. 웨프트 스레드(1' 내지 1''')는 라운드 슬링의 종방향(L)에 직각으로 횡방향(Q)으로 이어진다. 제 1 및 추가 직물 층(2, 4)은 추가 탄성 웨프트 스레드(5)에 의해 연결되며, 이 웨프트 스레드는 또한 횡방향(Q)으로 이어진다(도 1).
횡방향 하중하에서 제 1 및 추가 직물 층(2, 4)은 도 1.1에 표시된 대로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단층의 횡방향 신축성 직물에 존재하는 제 1 직물 층(2)의 랩 스레드(3/1 내지 3/4) 사이의 공간은 이제 추가 직물 층(4)의 랩 스레드(3/5 내지 3/8)로 채워지고,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가 횡방향(Q)으로 늘어날 때, 서로 위에 겹쳐진 랩 스레드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장력으로 인해 서로 옆에 배열되도록 노력한다(도 1.1). 따라서 랩 스레드(3/1 내지 3/8)는 횡방향(Q)의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를 늘린 후 배열(3/5, 3/1, 3/6, 3/2, 3/7, 3/3, 3/8 및 3/4)로 놓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슬링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 및 2.1에서, 도 1 및 1.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의 일 부분이 텍스타일 시트 제품 중 하나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종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하중 지지 스레드로부터 무한 랩으로 형성되는, 내부 직물을 구비한 라운드 슬링의 단면을 나타내고, 내부 직물은 반경 방향 자유도를 갖는 텍스타일 시트 제품으로서 보호 튜브에 의해 둘러져 싸이고, 이는 도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 친숙하기 때문이다.
도 2 및 2.1은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의 직물에 있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다른 배열의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직물은 또한 다층이고 제 1 및 추가 직물 층(2, 4)으로 구성되고,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삽입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1.1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추가의 탄성 웨프트 스레드(5)는 직물 층과 교차하기 전에 3개의 랩 스레드(3) 위에 플로팅되고, 이는 각각의 랩 스레드과의 교차점을 제공하는 도 1의 배열에 비해 덜 강한 직조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도 2.1에 표시된 것처럼 횡방향(Q)으로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 직물의 신축성이 더 커진다. 랩 스레드(3/1 내지 3/8)는 도 1.1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배열이며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가 횡방향(Q)으로 늘어난 후에 위에서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추가 웨프트 스레드(5)는 또한 직물 층과 교차하기 전에 두 개 이상의 랩 스레드(3) 위에 플로팅되어야 한다.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 직물의 신축 거동은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삽입 빈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중 웨프트 스레드 외에도, 보호 튜브의 가능한 가장 균일한 신축 거동이 횡방향(Q)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여러 웨프트 스레드에 걸쳐 추가 웨프트 스레드(5) 삽입을 건너뛸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슬링에 부과된 각각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진다.
두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수의 랩 스레드만이 2층 보호 슬리브에서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효과는 보호 슬리브의 횡방향(Q)으로의 신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라운드 슬링에 과부하가 걸리면, 보호 튜브의 다층 직물의 구멍 형성 확장이 예상되고, 이는 또한 과부하의 표시일 수도 있으므로, 당업자는 그러한 표시가 제공될 때 라운드 슬링의 취급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
1. 웨프트 스레드
2. 제 1 직물 층
3. 랩 스레드
4. 추가 직물 층
5. 추가 웨프트 스레드
Q 횡방향
L 종방향

Claims (10)

  1. 하중을 지지하는 내부 직물로 구성된 라운드 슬링으로서,
    상기 내부 직물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하중 지지 스레드의 무한 랩, 및 보호 텍스타일 튜브 형태의 반경 방향 자유도를 갖는 내부 직물을 둘러싸는 보호 슬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 튜브는 랩과 웨프트 스레드(3),(1)로 직조된 텍스타일 시트 제품이고, 상기 텍스타일 시트 제품은 다층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다층 직물의 직물 층은 각각 상기 보호 튜브의 종방향(L)으로 또는 종방향 연장으로 이어지는 랩 스레드(3)를 갖고, 상기 랩 스레드(3)는 높은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낮은 신장 용량을 갖는 섬유 또는 얀으로 구성되고, 횡방향(Q)으로,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웨프트 스레드(1)는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용량을 가지며, 상기 다층 직물의 직물 층은 상기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5)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웨프트 스레드는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높은 신장 용량을 갖는, 라운드 슬링.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 웨프트 스레드(5)는, 연결 스레드로서, 다층 직물의 랩 스레드(3)와 교차하도록 다층 직물의 랩 스레드를 연결하는, 라운드 슬링.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 웨프트 스레드(5)는, 연결 스레드로서, 다층 직물의 각각의 랩 스레드(3)와 교차하도록 다층 직물의 랩 스레드를 연결하는, 라운드 슬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튜브의 비대칭 구조의 경우에, 2개의 직물 층은 서로 다른 수의 웨프트 스레드(5)를 갖지만 바인딩 반복(binding repeat)당 적어도 하나의 추가 웨프트 스레드를 갖는, 라운드 슬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직물은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라운드 슬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웨프트 스레드(5)는 직물 층들과 교차하기 전에 2개의 직물 층의 2 개 이상의 랩 스레드(3) 위로 플로팅(float)되는, 라운드 슬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신장 용량은 다층 직물의 웨프트 스레드(1)의 신장 용량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라운드 슬링.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프트 스레드(1) 및/또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높은 신장 용량은 탄성 범위에서 1.8배 내지 2.5배인, 라운드 슬링.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프트 스레드(1) 및/또는 추가 웨프트 스레드(5)는 폴리에스테르로 감겨진 엘라스테인 섬유, 또는 탄성 섬유로 방적된 고성능 섬유로 구성되는, 라운드 슬링.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운드 슬링의 보호 튜브의 직물의 신장 용량은 추가 웨프트 스레드(5)의 삽입 빈도에 의존하는, 라운드 슬링.
KR1020247004236A 2021-07-06 2022-07-05 라운드 슬링 KR20240025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003473.2A DE102021003473A1 (de) 2021-07-06 2021-07-06 Rundschlinge
DE102021003473.2 2021-07-06
PCT/EP2022/068584 WO2023280849A1 (de) 2021-07-06 2022-07-05 Rundschli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036A true KR20240025036A (ko) 2024-02-26

Family

ID=8249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236A KR20240025036A (ko) 2021-07-06 2022-07-05 라운드 슬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7305A1 (ko)
KR (1) KR20240025036A (ko)
AU (1) AU2022307937A1 (ko)
DE (1) DE102021003473A1 (ko)
WO (1) WO20232808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9857U1 (ko) * 1992-07-22 1992-10-29 Westdeutscher Drahtseil-Verkauf Dolezych Gmbh & Co Kg, 4600 Dortmund, De
DE9214173U1 (ko) * 1992-10-21 1993-01-28 Spanset Inter Ag, Oetwil Am See, Ch
US7628435B1 (en) * 2005-02-16 2009-12-08 Murdock Webbing Co., Inc. Web section, round sling made from the web se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round sling
FR2959223B1 (fr) 2010-04-26 2018-11-23 Pms International Elingue de levage
DE102011052146B3 (de) 2011-07-26 2013-01-03 Spanset Inter Ag Rundschlinge zum Heben von Lasten
DE102017127067A1 (de) * 2017-11-17 2019-05-23 Mbg Techbelt Innovation Gmbh Schutzschlauch für Zurrgurte und Vorrichtung zur Ladungssicherung
DE202017107079U1 (de) * 2017-11-22 2017-11-29 Westdeutscher Drahtseil-Verkauf Dolezych Gmbh & Co. Kg Schutz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003473A1 (de) 2023-01-12
EP4367305A1 (de) 2024-05-15
WO2023280849A1 (de) 2023-01-12
AU2022307937A1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934A (en) Warp knit weft insertion fabric and plastic sheet reinforced therewith
RU2505630C2 (ru) Сверхупругая ткань
KR20150016593A (ko) 합성 섬유 로프
JPH0723571B2 (ja) 多層織物
US20140178615A1 (en) Ribbed woven material
KR910700370A (ko) 이송 벨트
CN105209368A (zh) 多部件合成环眼和环眼吊索
JP2007107157A (ja) 工業用二層織物
FI72881B (fi) Daempningsanordning foer dynamisk belastning.
US6260692B1 (en) Conveyor belt
FI122410B (fi) Puristinhihna
US5402832A (en) Endless textile sling having binding elements for hoisting
KR20240025036A (ko) 라운드 슬링
US20160039610A1 (en) Fiber Reinforcement Layer for Conveyor Belts
JP5169465B2 (ja) コンベヤベルト
US3249128A (en) Mechanical belting
JPH0224946B2 (ko)
WO2019197888A1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EA007051B1 (ru) Армирующая ткань с однонаправленным армированием, прикрепляемая к механической армируемой структуре
JP3933448B2 (ja) 工業用多層織物
RU2196195C2 (ru) Тканая прокладка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FI58316B (fi) Baerrem foer lyftanordning
RU2408401C1 (ru) Тканый ленточ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для гашения ударной нагрузки
RU2135654C1 (ru) Цельнотканый каркас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WO2022009494A1 (ja) 工業用織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