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508A - 팬츠형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508A
KR20240023508A KR1020237041291A KR20237041291A KR20240023508A KR 20240023508 A KR20240023508 A KR 20240023508A KR 1020237041291 A KR1020237041291 A KR 1020237041291A KR 20237041291 A KR20237041291 A KR 20237041291A KR 20240023508 A KR20240023508 A KR 2024002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pants
absorbent article
engaging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구도
하루카 이치하라
히데유키 기노시타
기요코 니시무라
유리코 모리자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81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059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8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059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81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05912A/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5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Abstract

흡수성 본체(10),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와 중첩하여 배치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20),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부재(30)를 가지며,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가 서로 접합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1)으로서, 계합 부재(30)가 허리 전면부(20f)에 접합되며,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양측 가장자리(20fe, 20fe) 사이에서 허리 전면부(20f)는 평면에서 보아 계합 부재(3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주위보다 탄성 계수가 큰 고 탄성부(20NA)를 갖는다.

Description

팬츠형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허리 부재의 일부를 분리시켜 테이프형(전개형) 흡수성 물품로서 사용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기저귀의 대향 측부가 접합된 팬츠형 기저귀 또는 기저귀의 대향 측부가 체결편으로 접합되는 전개형 기저귀인 2종의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수 있는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허리 부재의 일부를 분리하여 테이프형(전개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외장체의 복측부에 한쌍의 파단 유도선이 제공되며, 파단 유도선을 따라 외장체를 절단하여 이중문형 방식으로 전개 가능한 팬츠형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팬츠형 기저귀는 개방 후 인출되는 파스닝 테이프를 사용하여 테이프형 기저귀로서 사용될 수 있는 2중 용도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번호 H05-317356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번호 2010-131197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되는 과제는 하기 제1의 과제 내지 제3의 과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의 과제는 하기와 같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에서, 앞길 및 뒷길을 대향 측부에서 접합시키는 접합부에 근접하는 앞길의 부위에서 앞길을 뒷길로부터 절단 및 분리시키기 위한 절단선이 제공된다.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후, 뒷길의 대향 측부를 넘어서 연장된 체결편으로 앞길 및 뒷길을 연결시켜 기저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저귀는 착용자 본인이 스스로 착용하는 것으로 가정된 기저귀가 아니라, 착용자가 착용하게 하도록 가정된 기저귀이다. 따라서, 상기 기저귀의 착용자가 변기에 앉아 있거나 또는 서 있는 상태로(하프 스쿼트 자세로) 앞길을 구성하는 허리 부재를 혼자서 절단선을 따라 절단 및 분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한 경우에서, 하기와 같이 가능하다: 절단선에 힘을 가하기가 어렵거나; 또는 허리 부재가 신장되어 절단하기가 어렵다. 이는 착용자가 그립을 여러번 바꾸어 절단하는데 시간 및 수고가 발생하게 될 우려를 야기한다. 게다가, 분리시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어 기저귀의 일부가 파손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가 스스로 부착시킬 경우 부착 용이성과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스스로 착용하기가 쉬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2의 과제는 하기와 같다. 테이프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쇼츠형 생리대로서 또는 경실금용 기저귀로서 사용되는 경우 또는 그의 목표 착용자가 경도의 간병 수혜자인 경우 착용자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스스로 착탈시킨다. 상기 경우에서, 하기 착용 방법을 고려한다: 착용자는 파단 유도선에 의하여 절단한 허리 부재를 한쪽 허벅지에 감싸고, 허리 부재의 절단한 부분을 허벅지의 전측까지 잡아당기고, 체결 테이프(계합 부재)를 허벅지 위의 상기 부분에 부착시킨다. 이는 체결 테이프를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파단 유도선은 흡수성 코어를 갖는 하대 부재(흡수성 본체)의 2개의 폭방향 측면 모서리부의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 테이프를 계합시킬 때, 착용자는 하대 부재를 유지하여야만 하지만, 하대 부재는 기저귀의 높이방향으로(상하방향으로) 길며, 후측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유지되기가 어렵다. 게다가, 체결 테이프를 계합시킬 경우, 착용자는 하대 부재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잡아당겨야 하는데, 이는 착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대안적으로, 착용자는 허벅지 사이에서 불안정한 가랑이 부재의 부분과 체결 테이프를 계합시켜야만 한다. 그러한 방식에서,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가 스스로 부착시킬 때 부착 용이성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스스로 장착하기 쉬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3의 과제는 하기와 같다. 특허 문헌 2에는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고령자 등이 흡수성 물품을 팬츠형으로 착탈시켜서 팬츠를 스스로 장착하는 재활에 적절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반대로, 특허 문헌 2에는 테이프형으로 간병인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가 스스로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하기 착용 방법을 고려한다: 착용자는 파단 유도선에 의하여 절단한 허리 부재를 한쪽 허벅지에 감싸고, 허리 부재의 절단한 부분을 허벅지의 전측까지 잡아당기고, 체결 테이프(계합 부재)를 허벅지 위의 상기 부분에 부착시킨다. 이는 체결 테이프를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변기에 앉거나 또는 변기 부근에서 엉덩이를 반만 대고 서 있는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한쪽 허벅지에 감쌀 때, 허벅지로부터 늘어져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부위가 변기와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위생 상태는 저하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우수한 위생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스로 장착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중첩 배치되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된 계합 부재를 포함하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가 접합되어 있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허리 전면부의 좌우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허리 전면부가 평면에서 보아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허리 전면부가 고 탄성부를 가지며, 고 탄성부가 주위보다 더 큰 탄성 계수를 갖는 영역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다.
제2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된 계합 부재,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 부재는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에서 허리 부재에 접합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에 대하여 계합 부재와 중첩하는 허리 전면부의 부위의 상하방향의 길이의 최소값은 80 ㎜ 이상 150 ㎜ 이하이며,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100 ㎜ 이상 16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다.
제3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 및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를 제외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제1의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프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스스로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2의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프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스스로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3의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는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우수한 위생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스로 장착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은 생리대(1)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2는 두께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전개 및 신장 상태의 생리대(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허리 개구부(1a) 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생리대(1)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 생리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A 내지 7D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은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절취선(25)을 따라 분리한 후 탭(30)을 계합시킨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두께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전개 및 신장된 상태의 생리대(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A-A를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허리 개구부(1a) 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생리대(1)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 생리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15A 내지 15C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6A 내지 16D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7은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허리 전면부(20f)를 좌우방향의 일측에서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허리 전면부(20f)를 좌우방향의 일측에서 분리하고, 탭(30)이 외측으로 전개된 상태의 허리 후면부(20b)의 부위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20은 허리 전면부(20f)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양측에서 분리한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 생리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2는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계합부(32)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심선(CL11)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된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지한 변형예의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적어도 하기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기재로 명백할 것이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 배치되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된 계합 부재를 포함하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가 접합되어 있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허리 전면부의 좌우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허리 전면부가 평면에서 보아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허리 전면부가 고 탄성부를 가지며, 고 탄성부가 주위보다 더 큰 탄성 계수를 갖는 영역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전 착용자는 계합 부재를 한손으로 잡고, 이를 좌우방향으로 외측으로 펼친다. 게다가, 착용자는 펼치기 전 계합 부재가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해당하는 허리 전면부의 부위를 다른 한손으로 잡는다. 계합 부재 및 허리 전면부를 잡으면서, 서로 분리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할 때 고 탄성부는 신장되기 어려우므로 허리 전면부는 고 탄성부로부터 찢어지기 쉽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가 좌우방향에 대하여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허리 전면부는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의 상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상측 영역에서 또는 허리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상하방향의 하측 영역에서 고 탄성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허리 전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하측 가장자리는 허리 전면부를 찢을 때 찢어짐의 시작점이 된다. 고 탄성부는 덜 신장되며, 더 잘 찢어지는 부위이다. 따라서, 상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상측 영역에 또는 하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하측 영역에 상기 고 탄성부를 제공하여 찢어짐의 시작점은 찢어지기가 쉬워져서 착용자가 찢어짐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자연 상태에서, 좌우방향에 대하여 허리 전면부가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의 길이의 최소값은 8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150 ㎜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를 더 쉽게 찢을 수 있다.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을 경우 착용자의 신체를 덮는 면적이 너무 작으며, 이는 착용자의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상하방향의 길이를 80 ㎜ 이상으로 하여 그러한 불안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은 허리 전면부의 고 탄성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고 탄성부는 덜 신장되어 찢어지기가 더 쉬운 부분이므로, 고 탄성부에 절취선을 제공하는 것은 허리 전면부를 더 쉽게 찢을 수 있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의 좌우방향의 양측부 및 허리 후면부의 좌우방향의 양측부는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며, 자연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절취선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절취선의 길이는 더 짧으므로 찢을 때 일정한 힘을 가하는 경우 절취선에 해당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단위 길이당 힘은 접합부에 가해지는 단위 길이당 힘보다 더 크다. 이는 절취선에 해당하는 부분을 더 쉽게 찢을 수 있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허리 후면부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계합부가 좌우방향에서 절취선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절취선이 좌우방향에서 계합부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이는 찢은 후 계합 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위를 감소시킨다. 제품을 찢지 않고 사용할 경우더라도, 장착시 제품을 잡아당길 때 절취선에서 쉽게 찢어지게 된다. 계합부가 좌우방향에서 절취선 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허리의 크기 범위를 넓게 유지하면서 찢지 않고 사용할 경우 제품을 잡아당길 때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허리 후면부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계합 부재가 절취선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위치하며, 절취선의 상단이 계합 부재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절취선의 하단은 계합 부재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를 전개시키기 이전에 절취선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허리 전면부를 찢어야 하는지를 더 쉽게 결정하게 하며, 이는 작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자연 상태에서, 고 탄성부는 절취선으로부터 좌우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10 ㎜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절취선에서 찢은 후 절취선 내측에 위치하는 고 탄성부의 부분은 계합 부재를 허리 전면부와 계합시킬 때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부위이다.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부위가 덜 변형되는 고 탄성부가 되는 경우, 상기 부위는 덜 말리게 되며, 이는 사용자가 더 쉽게 집게 한다. 게다가, 상기 부위는 착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폭 이상의 폭을 가지며, 이는 착용자가 더 쉽게 집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좌우방향에서, 계합부의 내측단으로부터 탭의 내측단까지의 길이는 5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부의 내측단으로부터 계합 부재의 내측단까지의 길이가 5 ㎜ 이상이 되게 하면 계합부의 내측단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를 손가락 끝으로 집어서 계합 부재를 허리 전면부로부터 더 쉽게 박리시키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길이를 50 ㎜ 이하가 되게 하면 계합 부재가 집히는 위치로부터 절취선까지의 거리는 지나치게 길지 않게 되어 절취선을 따라 허리 전면부를 찢을 때 작동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한쌍의 계합 부재를 포함하며, 한쌍의 계합 부재는 각각 좌우방향에서의 양측에서 허리 전면부에 접합되며, 평면에서 보아 허리 전면부는 좌우방향에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고 탄성부를 가지며, 중첩 영역은 허리 전면부가 한쌍의 계합 부재와 각각 중첩되는 영역이며, 허리 전면부의 좌우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고 탄성부 사이에는 고 탄성부보다 탄성 계수가 더 작은 저 탄성부가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신장시키기 어려운 고 탄성부 사이에서 신장시키기 쉬운 저 탄성부를 제공하면 흡수성 물품의 허리 부분의 핏팅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계합부가 허리 전면부에 계한되는 상태에서 저 탄성부는 평면에서 보아 계합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부는 변형되기 어려운 고 탄성부의 부분보다 변형되기 쉬운(신축되기 쉬운) 저 탄성부의 부분과 더 쉽게 계합된다. 따라서, 계합시 저 탄성부가 계합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부분의 존재는 착용자가 계합부를 더 쉽게 계합시킨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좌우방향에서 계합 부재의 최대 길이는 20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가 상기 범위 내의 최대 길이를 갖게 하면 계합 부재를 손으로 잡아 전개시키고, 허리 전면부를 찢은 후 다시 잡지 않고 허리 전면부를 더 쉽게 계합시킨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는 좌우방향의 일측 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을 가지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를 허리 후면부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한 후 계합 부재가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된 상태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보다도 상하방향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허리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는 계합 부재의 돌출부에 의하여 숨겨지며, 이는 찢어진 허리 전면부의 단부(하측 가장자리)를 보기가 어려워진다. 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속옷과 같은 외관에 더욱 가깝게 된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된 계합 부재를 가지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 부재는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에서 허리 부재에 접합되며, 좌우방향에 대하여 계합 부재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허리 전면부 부위의 상하방향의 길이의 최소값은 80 ㎜ 이상 150 ㎜ 이하이며,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100 ㎜ 이상 16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때, 배측 접촉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비교적 짧으며, 이는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를 더 쉽게 잡을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배측 접촉부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게 하면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후방부 전체를 더 쉽게 잡아당기게 한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허리 부재의 좌우방향의 일측에 제공되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및 자연 상태에서 좌우방향에서 배측 접촉부의 일측 단으로부터 좌우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는 좌우방향으로 허리 후면부의 일측 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경우, 배측 접촉부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길어지기 쉬우며,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기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후면부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짧아지기 쉽다. 따라서,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는 좌우방향의 일측의 단부에서 절취선을 가지며, 절취선은 상하방향으로 길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절취선을 따라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좌우방향에서 배측 접촉부의 일측 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는 좌우방향으로 허리 후면부의 일측 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경우, 배측 접촉부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길어지기 쉬우며,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기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후면부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짧아지기 쉽다. 따라서,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절취선을 따라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되고, 계합 부재가 좌우방향의 일측으로 펼쳐진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좌우방향에서 전측의 흡수성 코어의 일측 단으로부터 배측 접촉부의 일측 단까지의 거리는 50 ㎜ 이상 200 ㎜ 이하이며, 좌우방향에서 후측의 흡수성 코어의 일측 단으로부터 좌우방향에서 계합 부재의 일측 단까지의 거리는 100 ㎜ 이상 300 ㎜ 이하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경우, 배측 접촉부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길어지기 쉬우며,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기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좌우방향으로 외측으로 펼쳐지는 계합 부재의 길이 및 허리 후면부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짧아지기 쉽다. 따라서,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외측으로 펼쳐지는 계합 부재와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분리된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배측 접촉부의 하단은 배측 접촉부의 상단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배측 접촉부의 절단 단부의 기울기는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의 배측 접촉부를 잡고 있는 착용자 손의 기울기와 일치하며, 이는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를 더 쉽게 잡을 수 있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는 좌우방향의 일측의 단부에서 절취선을 가지며, 절취선은 상하방향으로 길며,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절취선으로부터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되고, 계합 부재가 좌우방향의 일측에 펼쳐지는 분리된 상태에서 및 자연 상태에서 배측 접촉부로부터 분리된 허리 전면부의 부위는 좌우방향으로 계합부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부는 접합부 측상에 유지되는 허리 전면부의 부위에 의하여 덮히지 않으므로, 계합 부재는 계합부로 인하여 허리 전면부와 계합될 수 있다. 게다가, 접합부 측 상에 남아 있는 허리 전면부의 부분은 허리 전면부와 마찰되며, 이는 허리 후면부 및 계합 부재에 대하여 허리 전면부가 덜 변위되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는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 신축 영역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저 신축 영역; 및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을 포함하며, 저 신축 영역은 신축 영역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절취선은 좌우방향에서 저 신축 영역의 양측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절취선을 따라 허리 전면부를 더 쉽게 찢게 한다. 저 신축 영역은 배측 접촉부의 절단된 단부가 덜 말리게 하므로, 계합 부재를 허리 전면부와 안정적으로 계합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배측 접촉부의 절단 단부 및 접합부 측 상에 남아 있는 허리 전면부의 부위는 저 신축 영역으로 인하여 덜 말리게 되므로, 장착 중 불안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절취선으로부터 저 신축 영역의 좌우방향의 타측 단까지의 거리는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으로부터 절취선(26)까지의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덜 말리는 배측 접촉부의 단부 부분(저 신축 영역)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길며,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배측 접촉부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긴다. 게다가, 접합부 측에 남아 있는 허리 전면부의 부분은 덜 말리는 배측 접촉부(저 신축 영역)의 단부 부분으로 덮힐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장착 중 불안을 감소시킨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우방향으로 허리 부재의 양측 상에 계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때 허리 부재가 착용자의 양쪽 허벅지를 감쌀 수 있으며, 이는 바지 또는 신발을 벗지 않고도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 중 하나가 좌우방향으로 허리 부재의 양측 각각에 제공되며,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하나의 계합부를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를 허리 전면부와 계합시키는 작업이 더 쉬워진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서, 허리 전면부의 상단으로부터 흡수성 코어의 전측 상단까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계합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를 허리 전면부와 계합시킬 때 계합부 및 흡수성 코어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쉽게 이동된다. 따라서, 계합부는 흡수성 코어가 신축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영역에서 허리 부재를 계합시킬 수 있으며, 계합 부재의 계합 강도가 증가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서, 허리 후면부의 상단으로부터 흡수성 코어의 후측 상단까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계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더 짧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로 인하여 허리 후면부의 상단의 강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후면부는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의 색 및 계합 부재의 비피부측 면의 색은 유사하며, 계합 부재는 계합부가 배치된 영역에서 복수의 압착부를 가지며, 압착부 각각은 계합 부재가 두께방향으로 압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외관이 향상된다. 게다가, 이는 계합 부재의 비피부면측(외측)으로부터 계합부의 위치를 더 쉽게 파악하게 하여 계합 부재를 허리 전면부와 더 쉽게 계합시킨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 계합 부재의 상하방향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를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의 자유 단부는 가늘어지며, 이는 착용자가 계합 부재를 더 쉽게 잡을 수 있다. 게다가, 계합 부재는 호흡시 또는 다리를 들어올릴 때 착용자와 덜 접촉하게 되어 장착 중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하방향으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는 200 ㎜ 이상 350 ㎜ 이하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하방향의 길이는 짧다. 따라서,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는 좌우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의 내측단의 위치에서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계합 부재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며, 좌우방향에 대하여 계합부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허리 전면부 부위의 상하방향 길이의 최소값이 계합부의 상하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더 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짧으므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때 착용자는 허리 전면부를 더 쉽게 잡는다. 다른 한편으로, 계합 부재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길기 때문에,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후방부 전체를 허벅지의 후측으로부터 더 쉽게 잡아당긴다. 게다가, 계합부의 상하방향 전체 부위는 허리 전면부와 계합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적어도 좌우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영역에서 허리 부재는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을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전면부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잡아당긴다.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후면부는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좌우방향에서 계합 부재의 최대 길이는 20 ㎜ 이상 120 ㎜ 이하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지나치게 짧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는 계합 부재를 더 쉽게 잡는다. 계합 부재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과도하게 길지 않으므로, 계합 부재가 외측으로 펼쳐지더라도 변기와의 덜 접촉하게 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계합부는 좌우방향으로 흡수성 코어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와 두께방향으로 중첩하지 않으며, 허리 전면부의 신축성이 저하되지 않은 영역과 계합부가 쉽게 계합되며, 이는 계합 부재의 계합 강도를 증가시킨다.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 및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의 위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이 제품의 최하단인 경우에 비하여 흡수성 코어는 덜 늘어지게 되어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우수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며, 둘로 접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1회 접은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 및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둘로 접힘부가 흡수성 코어의 전면부의 폭방향 측단의 상측과 교차하는 지점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관하여,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수평선으로부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까지의 연직방향에서의 길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수평선으로부터 최상단까지의 연직방향에서의 길이보다 더 짧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벅지 아래(수평선)에 늘어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부위의 길이는 감소되며, 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성 본체의 전측이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인 제1중심, 흡수성 본체의 전측을 종방향으로 2분하는 중앙선의 폭방향 중심인 제2중심,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인 제3중심을 가지며,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 및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제1중심 및 제2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제2중심 및 제3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와 동일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종방향에서 흡수성 본체의 가랑이 측 부위는 허리 측의 부위보다 덜 굴곡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본체(흡수성 코어)는 덜 늘어지게 되어 흡수성 본체와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측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본체의 후측의 피부측 면은 흡수성 본체의 한쌍의 폭방향 측단 중 하측 아래에서 보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싼 후, 흡수성 본체를 허벅지 사이에서 더 쉽게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측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본체의 후측의 피부측 면은 흡수성 본체의 한쌍의 폭방향 측단의 상측의 위에서 보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변기와 접촉하기 쉬운 흡수성 본체의 후측을 상측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또 다른 계합 부재가 폭방향으로 계합 부재의 반대측의 위치에 제공되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다른 계합 부재의 계합부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의 위에 위치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싸게 한 후, 반대측의 계합 부재(다른 계합 부재)를 더 쉽게 보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반대측 계합 부재를 전개시켜 허리 전면부를 찢는 그 다음 동작으로 더 쉽게 이행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또 다른 계합 부재가 폭방향으로 계합 부재의 반대측의 위치에 제공되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다른 계합 부재의 계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계합 부재의 계합부의 종방향으로 허리 측단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허리측에 위치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싸게 한 후, 반대측의 계합 부재(다른 계합 부재)를 착용자에 가깝게 배치한다. 따라서, 반대측의 계합 부재는 쉽게 시각적으로 파악되며, 착용자가 허벅지 아래로부터 반대쪽의 계합 부재를 더 쉽게 잡게 한다.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부위의 체적이 100 ㎤ 이상 25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의 질량 및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코어는 덜 늘어지게 되며, 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의 폭은 50 ㎜ 이상 100 ㎜ 미만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배설액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흡수성 코어의 질량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부위의 두께는 5.5 ㎜ 미만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11)의 질량은 10 g 이상 40 g 이하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배설액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흡수성 코어의 질량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계합 부재에 포함된 계합부는 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족한다: 흡수성 본체의 전측의 외측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위치할 것; 흡수성 본체의 전측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허리 측의 위치에 위치할 것.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를 떼어냈을 때 흡수성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계합부는 흡수성 본체로 인한 신축성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허리 전면부의 부위와 계합될 수 있으며, 이는 계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1개의 계합부를 갖는 1개의 계합 부재는 허리 부재의 폭방향의 일측에 제공되며, 1개의 계합부를 갖는 또 다른 계합 부재는 허리 부재의 폭방향의 타측에 제공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계합 부재는 허리 전면부와 쉽게 계합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는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을 가지며, 허리 전면부가 절취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찢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계합 부재가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보인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는 계합 부재를 쉽게 파악하며, 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적어도 폭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를 중첩하여 위치하는 영역에서 허리 전면부는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을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며,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전면부가 착용자에게 핏팅되게 하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전면부가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의 2개의 폭방향 측부 및 허리 후면부의 2개의 폭방향 측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며, 폭방향으로 한쌍의 접합부 사이의 영역에서, 허리 후면부는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을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후면부를 착용자에게 핏팅시키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후측이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종방향으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길이는 200 ㎜ 이상 350 ㎜ 이하이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자의 성인 신체에 따른 크기로 하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흡수체 탄성 부재를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가랑이에 핏팅시키면서 흡수성 본체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종방향의 가랑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를 가지며, 연장 부재는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을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연장 부재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후면부는 허리 후면부의 비피부측 면을 구성하는 비피부측 시트를 가지며, 비피부측 시트의 종방향으로 허리측 단부는 피부측으로 뒤로 접히며, 피부측으로부터 흡수성 본체의 종방향 단부를 덮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허리 후면부의 허리측의 강성은 증가되며, 따라서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후측이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는 폭방향의 측부에서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측부에서 흡수성 본체의 강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싼 후, 허리 부재를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더 쉽게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는 폭방향의 측부에서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측부 탄성 부재를 가지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축 영역에서의 폭방향의 응력은 측부 탄성 부재가 배열된 영역에서 길이방향의 응력보다 크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형으로 하고,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부재를 착용자에게 핏팅시키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체의 측부는 덜 늘어난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싼 후, 허리 부재를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더 쉽게 회전시키게 된다.
제1의 실시양태
하기는 본 발명에 의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예로서 팬츠형(쇼츠형) 생리대(1)(또한, 이하에서 "생리대(1)"로서 약칭함)를 기재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또한 팬츠형 기저귀 등을 포함한다.
생리대(1)의 기본 구조
도 1은 생리대(1)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2는 두께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전개 및 신장 상태의 생리대(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생리대(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직교)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갖는다. 게다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있는 방향인 "두께방향"을 갖는다. 상하방향에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해당하는 측은 "상측"으로 하며, 착용자의 가랑이에 해당하는 측은 "하측"으로 한다. 게다가, 전후방향에서 착용시 착용자의 복측에 해당하는 측은 "전측"으로 하며, 착용자의 등측에 해당하는 측은 "후측"으로 한다. 게다가, 두께방향에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측은 "피부측"으로 하며, 반대측은 "비피부측"으로 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생리혈과 같은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액성 흡수성 본체(10);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 상에 적층되며,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를 갖는 허리 부재(20); 및 허리 부재(20)의 좌우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된 한쌍의 탭(30)(계합 부재에 해당함)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생리대(1)의 전개된 상태는 좌우방향으로 생리대(1)의 양측에 제공된 한쌍의 사이드 접합부(40)가 분리되어 있으며, 생리대(1)가 펼쳐져서 평면적으로 전개된 상태이다. 환언하면, 도 2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의 생리대(1)는 상하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1회 접히며,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양측부 및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의 양측부는 한쌍의 사이드 접합부(40)(접합부)에서 접합되어 팬츠형 상태의 생리대(1)를 형성한다. 사이드 접합부(40)에 사용된 접합 방법의 예는 열 용착 및 초음파 용착과 같은 공지의 접합 방법을 포함한다. 팬츠형 생리대(1)(도 1)에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는 환상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허리 개구부(1a)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형성한다.
생리대(1)의 "신장 상태"는 생리대(1)의 탄성 부재(예, 하기 기재된 흡수체 탄성 부재(50), 피부측 시트(22 및 23) 등)를 신장시켜서 생리대(1) 전체(제품 전체)를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생리대(1)의 구성 부재(예, 하기 기재된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및 23) 등)의 치수가 부재 그 자체의 치수(즉, 탄성 부재의 탄성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상태에서의 치수)에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할 때까지 생리대(1)가 신장된 상태를 지칭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본체(10)의 부분과 비교시, 측정 및 비교는 탭(30)이 계합 해제된 상태(박리된 상태) 및 생리대(1)가 팬츠형 상태(절취선(25)에서 찢기 이전의 상태)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30)에서, 생리대(1)를 전개한 후 또는 계합 해제된 상태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기재된 측정 방법은 단지 예이며, 기타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1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그의 길이방향이 생리대(1)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흡수성 코어(11), 흡수성 코어(11)에 대하여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12) 및 흡수성 코어(11)에 대하여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13)를 포함한다. 그러나, 흡수성 본체(10)는 상기 이외의 시트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의 시트(도시하지 않음)는 두께방향으로 톱 시트(12) 및 흡수성 코어(1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1)는 생리혈과 같은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하며, 예를 들면 고 흡수성 중합체(SAP)과 혼합된 액체 흡수성 섬유(예, 펄프 섬유)에 의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흡수성 코어(11)는 티슈 페이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액체 투과성 시트 부재(코어 랩핑 시트)로 덮힌 그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톱 시트(12)는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친수성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하여 형성된다.
백 시트(13)는 흡수성 코어(11)에 흡수된 생리혈과 같은 액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액불투과성 시트(13a); 및 액불투과성 시트(13a)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소수성 시트(13b)를 포함하는 2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 형성된다. 액불투과성 시트(13a)로서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하며, 예를 들면 소수성 시트(13b)로서 유연성 부직포 시트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소수성 시트(13b)는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백 시트(13)는 액불투과성 시트(13a)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샘 방지 벽 부분(도시하지 않음)은 좌우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샘 방지 벽 부분은 각각 이른바 입체 개더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생리대(1) 착용시 샘 방지 벽 부분은 흡수성 본체(10)의 좌우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여 생리혈과 같은 배설액이 흡수성 본체(10)의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한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10)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복수의 흡수체 탄성 부재(50)를 갖는다. 흡수체 탄성 부재(50)는 각각 예를 들면 고무끈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양태에서 액불투과성 시트(13a) 및 소수성 시트(13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상태로 배치된다(도 3).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5개의 흡수체 탄성 부재(50)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에서 제공된다(도 2 참조).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장 배율은 약 1.4 내지 3.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배율은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의 길이를 자연 상태의 탄성 부재의 길이로 나누어 얻은 값으로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장 배율을 다소 강한 배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하기 기재되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들어올려지며, 흡수성 본체(10)는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질구)에 밀착되기 쉬워져서 배설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허리 부재(20)
허리 부재(20)는 복수의 시트 부재로 구성된 외장체이며, 적어도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및 23)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추가로, 하기 기재에서, 길이방향으로 중앙 위치(CL)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하는 허리 부재(20)의 부분은 또한 허리 전면부(20f)로서 지칭하며, 중앙 위치(CL)에 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허리 후면부(20b)로 지칭한다. 허리 전면부(20f)는 생리대(1) 착용시 착용자의 복측과 접하게 되는 부분이다. 허리 후면부(20b)는 생리대(1) 착용시 착용자의 등측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비피부측 시트(21)는 생리대(1)에서 비피부측에서 가장 멀게 배치된 비신축성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 및 SMS 부직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의 비피부측 시트(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의 중앙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피부측 시트(22)는 길이방향의 전측에서 비피부측 시트(21)의 피부측에 적층된 신축성을 갖는 시트 부재이다. 피부측 시트(22)는 예를 들면 신축성 부직포로 형성된다. "신축성 부직포"는 특정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섬유 및 신축성 섬유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신장성 섬유를 함유하며, 기어 연신과 같은 적절한 연신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를 지칭한다. 본 실시양태의 피부측 시트(22)에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탄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일종임)로 생성된 섬유는 신축성 탄성 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수지(비탄성 열가소성 수지의 일종임)인 폴리프로필렌(PP)으로 생성된 섬유는 신장성 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피부측 시트(22)는 복수의 점재하는 시트 접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비피부측 시트(21)에 접합되어 적어도 좌우방향으로 허리 전면부(20f) 신축성을 부여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시트 접합부는 초음파 용착과 같은 공지된 접합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피부측 시트(23)는 신축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의 후측에서 비피부측 시트(21)의 피부측에 적층된 시트 부재이다. 피부측 시트(23)는 피부측 시트(2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피부측 시트(23)는 신축성 부직포 시트에 의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점재하는 시트 접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비피부측 시트(21)에 접합된다. 그 결과, 적어도 좌우방향으로의 신축성은 허리 후면부(20b)에 부여된다.
허리 부재(20)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로서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및 23) 이외의 시트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허리 부재(20)는 비신축성 부직포 시트가 신축성 피부측 시트(22 및 23)의 피부측에 배치되며, 신축성 부직포 시트가 비신축성 부직포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3층 구조의 경우에서, 피부측 시트(22 및 23)는 신축성 필름일 수 있다. 게다가, 비피부측 시트(21)는 전방부 및 후방부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하기 구성이 허용 가능하다: 백 시트(13)의 비피부측 면은 비피부측 시트(21)의 전방부 및 비피부측 시트(21)의 후방부 사이에서 노출되거나 또는 가랑이 부분에서 비피부측 시트(21)의 전방부 및 비피부측 시트(21)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또 다른 비피부측 시트가 제공된다.
탭(30)
생리대(1)는 허리 부재(20)의 좌우방향의 양측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한쌍의 탭(30)(계합 부재)을 갖는다. 도 2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보이는 생리대(1)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계합되는 탭(30)은 가상적으로 도시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탭(30) 각각은 기재 시트(31) 및 계합부(32)를 갖는다. 기재 시트(31)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시트 부재이다. 기재 시트(31)의 좌우방향의 외측 단부는 사이드 접합부(40)에 의하여 허리 부재(20)에 접합된다. 즉, 사이드 접합부(40)는 허리 전면부(20f), 허리 후면부(20b) 및 탭(30)을 일체형으로 접합한다. 그러나, 탭(30)은 사이드 접합부(40)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허리 부재(20)에 접합될 수 있다.
계합부(32)는 좌우방향으로 사이드 접합부(40)에 의하여 접합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기재 시트(31)의 단부에 제공된다. 추가로, 계합부(32)는 기재 시트(31)의 피부측 면에 제공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대향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부재이다. 계합부(32)의 예는 비피부측 시트(21)를 구성하는 섬유에 후크가 있는 돌기(후크 부재)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수 부재를 포함한다. 계합부(32)가 쉽게 계합되는 부재(예,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암 부재)는 비피부측 시트(21)의 비피부측 면에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생리대(1)의 장착 방법
도 4A 및 4B는 허리 개구부(1a) 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생리대(1)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A는 팬츠형으로 사용되는 생리대(1)의 다이아그램이며, 도 4B는 테이프형으로 사용되는 생리대(1)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허리 전면부(20f)가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는 생리대(1)의 전개 평면도이다.
패키지로부터 바로 꺼낸 초기 상태의 생리대(1)는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가 환상 방식으로 연결된 팬츠형이 된다(도 4A). 따라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착탈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생리대(1)의 허리 전면부(20f)는 좌우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25)을 갖는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는 절취선(2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찢어지며,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후 생리대(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탭(30)이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테이프형이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착탈시킬 수 있다.
하기 기재에서, 적어도 좌우방향의 측이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된 허리 전면부(20f)의 부분은 "배측 접촉부(20fA)"로 지칭한다. 게다가,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사이드 접합부(40) 측에 잔존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분은 또한 "비분리부(20fB)"로 지칭한다.
도 6A 내지 6C 및 도 7A 내지 7D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착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생리대(1)의 대상 착용자는 일반적으로 생리대(1)를 스스로 착탈시킨다. 게다가, 착용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등(도시하지 않음)에 앉아 있거나 또는 서 있는 상태로(하프 스쿼트 자세로) 생리대(1)를 착탈시킨다.
다음,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장착하는 방법의 예를 기재할 것이다. 우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팬츠형인 생리대(1)의 좌우방향의 일측에서의 탭(30)을 좌우방향의 외측(한쪽)으로 전개하여 절취선(25)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 착용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 일측 단을 상하방향으로 찢고,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인 배측 접촉부(20fA)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착용자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부재(20)의 분리된 부분을 허벅지의 전측까지 잡아당기고, 허리 부재(20)를 한쪽 허벅지에 감싼다. 그 후,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탭(30)(계합부(32))을 허벅지에서 허리 전면부(20f)(배측 접촉부(20fA))의 비피부측 면과 계합시킨다.
도 7A의 상태에서, 사이드 접합부(40)는 허벅지에 위치하며,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는 허벅지 사이에 늘러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허벅지의 원주방향(도 7A에서 우측 허벅지에 제시된 방향)을 따라 생리대(1)를 회전시킨다. 그 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는 착용자의 다리측과 정렬시키고, 착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흡수성 본체(10)를 잡아당긴다.
그 다음,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반대측 탭(30)을 좌우방향에서 외측으로 전개하고, 절취선(2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타측 단을 찢고,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인 배측 접촉부(20fA)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시킨다. 게다가, 착용자는 생리대(1)가 감싸져 있는 허벅지에 가까운 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흡수성 본체(10)의 기울기를 허벅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가 따르도록 보정하며, 흡수성 본체(10)를 허벅지 사이(착용자의 폭방향 중심)에서 정렬시킨다. 그 후,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허리 부재(20)의 분리된 부분을 허벅지의 전측까지 잡아당기고, 허리 부재(20)를 반대측의 허벅지에 감싸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으로 계합시킨다.
그와 같이 하여,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25)에 의하여 분리된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는 한쌍의 탭(30)에 의하여 허리 후면부(20b)에 다시 환상 방식으로 연결한다. 또한, 착용자의 허벅지 둘다 생리대(1)의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착용자는 생리대(1)를 잡아당겨 생리대(1)의 착용을 완료한다.
그래서,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탭(30)을 제공하여 착용자가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하여 사용시 착용자는 착용자의 전측의 탭(30)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스스로 장착할 때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생리대(1)의 제거시, 착용자는 착용자의 전측의 탭(30)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장착할 때, 팬츠형으로 유지하면서 벗을 수 있다. 그러나,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5)에서 찢어서 벗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때 탭(30)을 떼어내지 않고 벗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팬츠형(쇼츠형) 생리대를 착용자가 스스로 장착하는 테이프형으로 하기 위하여 착용자는 스스로 그의 허리 부재의 일부를 찢고, 이를 그의 신체에 부착한 후, 그의 탭을 허리 부분에 고정시키는 것을 고려한다. 허리 부재를 찢는 것이 어려울 경우 칙용자가 그립을 여러번 바꾸어 절단을 시도하는 시간 및 수고를 기울여야 하는 우려가 있으며, 과도한 힘을 가하여 생리대의 일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하기 구성을 갖는다. 도 8 및 9는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정면도이다. 우선, 도 2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피부측 시트(22, 23) 및 허리 탄성 부재(24)를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즉,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의 적어도 좌우방향 중앙부는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하기 기재된 저 탄성부(20EA))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하여 생리대(1)가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되게 한다. 더욱이, 도 8(및 도 2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는 좌우방향의 양단부에서 주위보다 탄성 계수가 더 큰 고 탄성부(20NA)를 갖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고 탄성부(20NA)는 각각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양측에서 해당 측면 모서리부(20fe)로부터 해당 계합부(3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및 상하방향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측 가장자리(20fup)로부터 하측 가장자리(20fdw)까지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기재된 범위에 제한되지 않으며, 평면에서 보아 허리 전면부(20f) 및 탭(30)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20fc)(도 8 참조)의 적어도 일부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 측면 모서리부(20fe 및 20fe) 사이에 고 탄성부(20NA)가 제공되는 것이 충분하다.
허리 전면부(20f)의 탄성 계수는 하기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연 상태에서 고 탄성부(20NA) 및, 좌측 및 우측 고 탄성부(20NA) 사이의 부분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절단하여 샘플을 생성하고, 인장 시험기(예,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 AG-1KN1, 시마즈 코포레이션(Shimadzu Corporation) 등 제조)를 사용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영의 계수를 계산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는 초음파 접합에 의하여 허리 전면부(20f)를 구성하는 피부측 시트(22) 및 비피부측 시트(21)를 접합시킬 때 점재하는 시트 접합부(도시하지 않음)와 관련하여 시트 접합부의 접합 패턴은 고 탄성부(20NA) 및 하기 기재된 저 탄성부(20EA) 사이에서 상이하게 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 탄성부(20NA)에서 시트 접합부의 개수를 증가시켜 피부측 시트(22)의 신축성을 약하게 하여 고 탄성부(20NA)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 방법은 초음파 접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열 밀봉과 같은 또 다른 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고 탄성부(20NA)는 또 다른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와 같은 또 다른 비신축성 시트 부재는 고 탄성부(20NA)가 형성되는 부분에 부착시키고, 그에 의하여 고 탄성부(20NA)에 해당하는 피부측 시트(22)의 부위는 신축되기 어려워서 탄성 계수가 큰 고 탄성부(20NA)를 형성한다. 게다가, 예를 들면, 원하는 탄성 계수를 갖는 고 탄성부(20NA)는 하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허리 전면부(20f)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신축성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고, 허리 전면부(20f)는 2개의 비신축성 시트 부재(예, 부직포)에 의하여 형성되며, 고무끈으로 생성된 좌우방향의 신축성 탄성 부재는 2개의 시트 부재 사이에서 배열되며, 고무끈의 두께는 고 탄성부(20NA) 및 저 탄성부(20EA) 사이에서 상이하게 된다.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사용시 착용자는 우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좌우방향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는 탭(30)을 한손으로 잡는다. 다른 손으로 착용자는 도 8에 도시된 탭(30)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20fc)에 해당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를 잡는다. 그 후, 착용자는 탭(30) 및 허리 전면부(20f)가 서로 분리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한다.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는 변형(신장)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므로,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는 쉽게 찢어진다. 착용자가 스스로 장착하는 절차의 최초 단계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쉽게 찢을 수 있으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며, 그 다음 단계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탭(30)을 반대측에서 찢을 때(도 7C에 도시된 동작 동안), 착용자는 고 탄성부(20NA)에서의 허리 전면부(20f)를 유사하게 쉽게 찢으며, 앉은 상태에서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는 상측 가장자리(20fup)로부터 하측 가장자리(20fdw)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좌우방향에 대하여 탭(30)과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고 탄성부(20NA)가 상측 가장자리(20fup)를 포함하는 상측 영역 또는 하측 가장자리(20fdw)를 포함하는 하측 영역에 제공되는 구성도 또한 허용된다. 허리 전면부(20f)의 상측 가장자리(20fup) 또는 하측 가장자리(20fdw)는 도 6B 및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때 찢는 시작점이 된다. 특히,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을 꺼내고,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을 상하방향으로 찢을 때 사용자는 종종 허리 전면부(20f)의 상측 가장자리(20fup) 측으로부터 찢는다. 그러한 경우에서, 상측 가장자리(20fup)를 포함하는 상측 영역에 고 탄성부(20NA)가 제공될 경우, 찢는 동작을 더 원활하게 더 쉽게 수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앉은 상태에서, 절취선(25)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반대측(다른쪽)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찢을 때, 사용자는 종종 허리 전면부(20f)의 하측 가장자리(20fdw) 측으로부터 찢는다. 그러한 경우에서, 하측 가장자리(20fdw)를 포함하는 하측 영역에 고 탄성부(20NA)가 제공될 경우, 찢는 동작을 더 원활하게 더 쉽게 수행하게 된다.
생리대(1)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지만,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도 8)는 간병인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장착시키는 간병 수혜자를 대상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비하여 짧은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좌우방향으로 내측으로 폐쇄되고,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된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좌우방향에 대하여 허리 전면부(20f) 및 탭(30)이 중첩되는 영역(20fc)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의 최소값은 80 ㎜ 이상 150 ㎜ 이하이다.
게다가, 생리대(1)를 패키지로부터 꺼낸 초기 상태가 도 8에 도시한 상태인 경우, 생리대(1)의 측정은 초기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수행한다. 초기 상태가 도 8의 상태가 아닌 경우(예, 탭(30)이 접혀 있는 경우), 생리대(1)의 측정은 자연 상태의 생리대(1)(자연 상태의 허리 부재(20))에서 탭(30)이 좌우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사이드 접합부(40)로부터 펼쳐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되는 상태로 수행한다.
각각 탭(30)과 중첩되는 허리 전면부(20f)의 영역(20fc)은 각각 도 6B 및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30)을 전개하고,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때 착용자가 쉽게 잡는 부분이다. 따라서, 영역(20fc)의 상하방향의 길이(L1)를 150 ㎜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20f)를 더 쉽게 찢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가 지나치게 짧을 경우 착용자의 신체를 덮는 부위는 너무 작으며, 이는 착용자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영역(20fc)의 상하방향의 길이(L1)를 8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불안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25)은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에 제공된다. 절취선(25)은 각각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때 허리 전면부(20f)의 찢어짐을 안내하는 선이다. 덜 신장되며, 더 쉽게 찢어지는 고 탄성부(20NA)에 절취선(25)을 제공하여 허리 전면부(20f)를 더 쉽게 찢게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좌우방향으로 내측으로 폐쇄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절취선(25)의 상하방향의 길이(L3)보다 더 길다. 절취선(25)의 길이는 더 짧으므로, 도 6B 및 7C에 도시된 찢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힘을 가할 때 절취선(25)에 해당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단위 길이당 힘은 사이드 접합부(40)에 가해지는 단위 길이당 힘보다 더 크다.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때, 이는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더 쉽게 찢게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가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 및 탭(30)이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상태에서, 계합부(32)는 좌우방향으로 해당 절취선(25)의 내측에 위치한다. 절취선(25)이 좌우방향에서 계합부(32)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7C에 도시한 찢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후 도 7D에 도시한 허벅지에 생리대(1)를 감싸고, 정렬시키는 경우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길이를 감소시키며, 그 결과 탭(30)을 부착시키는 부위는 감소된다. 환언하면, 분리 후, 배측 접촉부(20fA) 측에 위치하는 절취선(25)을 가로지르도록 탭(30)을 좌우방향으로 내측으로 잡아당기고, 고정시키므로, 허리에서 사용 가능한 크기 범위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생리대(1)를 찢지 않고 사용하더라도, 좌우방향으로 계합부(32)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는 허리 전면부(20f)가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절취선(25)을 상기 위치에 제공하는 것은 착용시 생리대(1)를 잡아당길 때 제품(생리대(1))을 절취선(25)에서 쉽게 찢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계합부(32)가 좌우방향으로 절취선(25)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허리의 크기 범위를 넓게 유지하면서 찢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생리대(1)를 잡아당길 때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유사하게,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를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하기 이전의 상태 및 탭(30)이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된 상태에서, 해당 절취선(25)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탭(30)이 각각 위치한다. 절취선(25)의 상단(25up)은 탭(30)의 상단(30up) 위에 위치한다. 허리 전면부(20f)의 절취선(25)의 전체를 덮도록 탭(30)이 위치할 경우 탭(30)이 좌우방향으로 외측으로 전개될 때까지 착용자는 절취선(2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그러나, 탭(30)을 전개시키기 이전에 절취선(25)의 일부를 볼 수 있는 것은 허리 전면부(20f)를 찢어야하는 위치를 착용자가 더 쉽게 결정하게 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절취선(25)의 하단이 탭(30)에 의하여 덮히며, 시각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더라도, 절취선(25)의 하단은 탭(30)의 하단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는 착용자가 찢는 위치를 더 쉽게 결정하게 한다.
또한, 고 탄성부(20NA) 각각은 허리 전면부(20f)의 측면 모서리부(20fe)로부터 절취선(25)의 좌우방향의 내측까지 연장된다. 자연 상태에서, 고 탄성부(20NA)는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절취선(25)으로부터 10 ㎜ 이상의 길이(도 9에서 길이(W2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찢은 후 절취선(25) 내측에 위치하는 고 탄성부(20NA)의 부위는 착용자가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배측 접촉부(20fA))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시킬 때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부위이다. 고 탄성부(20NA)는 덜 변형되므로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부위가 고 탄성부(20NA)가 되는 것은 말리기가 어렵게 되며, 이는 착용자가 더 쉽게 집게 된다. 게다가, 길이(W20)는 10 ㎜ 이상이므로, 착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폭이거나 또는 이에 가깝거나 또는 더 크며, 이는 착용자가 더 쉽게 집게 된다.
착용자가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박리(계합 해제)시킬 때 착용자는 그의 선단측을 잡아서 탭(30)을 박리시키는 것으로 추정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에서 계합부(32)의 내측단(32e)으로부터 탭(30)의 내측단(30e)까지의 길이(W30)는 5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부(32)의 내측단(32e)으로부터 탭(30)의 내측단(30e)까지의 길이(W30)를 5 ㎜ 이상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계합부(32)의 내측단(32e)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그의 손가락 끝으로 집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더 쉽게 박리시키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길이(W30)를 50 ㎜ 이하로 하면 탭(30)을 집는 위치로부터 절취선(25)까지의 거리는 지나치게 길지 않을 것이며, 이는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때 작동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서, 좌우방향으로 탭(30)의 최대 길이(W5)는 20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탭(30)의 좌우방향의 길이(W5)를 20 ㎜ 이상으로 하면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시킬 때 착용자는 탭(30)을 더 쉽게 잡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탭(30)의 좌우방향의 길이(W5)가 120 ㎜ 이하로 함으로써,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외측으로 전개되는 탭(30)과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탭(30)의 좌우방향의 길이(W5)를 지나치게 길게 하지 않음으로써 탭(30)을 전개시키고 허리 전면부(20f)를 찢은 후, 계합부(32)를 허리 전면부(20f)와 더 쉽게 계합시키기 위하여 착용자는 계합부(32)에 더 가까운 또 다른 위치에서 탭(30)을 다시 잡을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탭(30)을 구성하는 기재 시트(31)는 부직포 시트 등이며, 탭(30) 그 자체는 신축하는 요소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다.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비교하면 탭(30) 각각은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보다 더 큰 탄성 계수를 갖는다. 환언하면, 탭(30)은 고 탄성부(20NA)보다 덜 쉽게 변형(신장)된다. 따라서, 도 6B 및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30) 및 허리 전면부(20f)를 잡고, 절취선(25)을 따라 이를 찢을 때 탭(30)을 잡아당기는 힘은 허리 전면부(20f)의 고 탄성부(20NA)에 쉽게 전달된다.
또한, 도 2에서,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 있는 생리대(1)에서 상하방향(좌우방향에 직교하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생리대(1)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CL)까지의 길이(L6)는 200 ㎜ 이상 3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L6)를 2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생리대(1)는 성인인 대상 착용자의 크기에 맞추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길이(L6)를 350 ㎜ 이하로 함으로써,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와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허리 전면부(20f)는 좌우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며 각각 한쌍의 탭(30)과 중첩되는 각각의 중첩 영역(20fc)의 적어도 일부에서 고 탄성부(20NA)를 갖는다.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고 탄성부(20NA) 사이에서 탄성 계수가 고 탄성부(20NA)보다 더 작은 저 탄성부(20EA)를 연속적으로 제공한다. 저 탄성부(20E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측 시트(22) 및 허리 탄성 부재(24)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부위이다. 저 탄성부(20EA)를 갖는 것은 생리대(1)를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되게 한다. 특히,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4B),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는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배측 접촉부(20fA)는 한쌍의 탭(30) 사이에서 양측에 외측으로 좌우방향으로 잡아당기며, 이는 착용자의 허리에 더 쉽게 핏팅되게 한다. 추가로, 탭(30)을 부착시킨 후, 고 탄성부(20NA)는 좌우방향으로 계합부(32)의 외측에 위치한다. 더욱이, 고 탄성부(20NA)는 탭(30)에 대하여 피부측에 위치한다. 고 탄성부(20NA)는 변형되기가 어려우므로,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 단부는 덜 말리게 된다. 게다가, 상기 고 탄성부(20NA)는 각각 사용 중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이며, 이는 착용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탭(30)의 계합부(32)가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되는 상태에서, 저 탄성부(20EA)는 평면에서 보아 계합부(3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부(32)는 변형되기 어려운 고 탄성부(20NA)의 부위보다 변형되기 쉬운(신축되기 쉬운) 저 탄성부(20EA)의 부위와 더 쉽게 계합된다. 환언하면, 계합부(32)에 포함되며, 섬유에 걸기 위한 돌기는 거의 팽팽한 부위에서보다는 수축으로 인하여 주름이 있는 부위에 더 쉽게 걸린다. 따라서, 계합부(32)와 계합시, 계합부(32)가 저 탄성부(EA)와 중첩되는 부위의 존재는 착용자가 계합부(32)에 더 쉽게 계합되게 한다.
도 10은 절취선(25)을 따라 분리한 후 탭(30)을 계합시킨 생리대(1)의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생리대(1)는 절취선(25)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를 분리한 후 배측 접촉부(20fA)를 자연 상태에서 펼치게 하고, 탭(30)이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상태에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30)이 계합되는 상태에서 탭(30)은 각각 허리 전면부(20f)의 하측 가장자리(20fdw)를 넘어서 상하방향으로 하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0T)를 갖는다.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5)을 따라 찢고, 탭(30)을 다시 계합시키는 상태에서, 탭(30)의 돌출부(30T)는 허리 전면부(20f)의 하측 측면 모서리부(20fdw)의 좌우방향 단부 둘다를 숨기므로, 찢어진 허리 전면부(20f)의 단부(하측 측면 모서리부(20fdw))는 보이기 어렵게 된다. 이는 생리대(1)가 더욱 속옷과 같아 보이게 한다.
기타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허리 부재(20)를 구성하는 피부측 시트(22 및 23)로서 신축성 부직포 등의 신축성 시트를 사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성이 허리 부재(20)에 부여된다. 그러나, 또 다른 탄성 부재는 허리 부재(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끈과 같은 허리 탄성 부재(24)는 좌우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의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허리 탄성 부재(24)를 제공하여 허리 개구부(1a)의 핏은 추가로 증가되며, 허리 부재(20)의 위치 일탈은 생리대(1)를 장착할 때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탭(30)은 좌우방향에서 허리 부재(20)의 양측에 제공되지만, 한쪽에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에만 제공된 탭(30)을 잡아당기면 허리 전면부(20f)에서 강성차가 큰 사이드 접합부(40)의 좌우방향 내측단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쉽게 찢어낼 수 있는 구성이 허용 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사용시 한쪽에만 전개될 수 있는 팬츠형 생리대가 실현된다. 그러한 경우에서, 사이드 접합부(40)의 좌우방향의 내측단은 본 실시양태의 절취선(25)으로서 기능하므로 천공 등이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제2의 실시양태 및 제3의 실시양태
하기는 본 실시양태에 의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 팬츠형(쇼츠형) 생리대(1)(이하, 또한 "생리대(1)"로 지칭함)를 기재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또1한 팬츠형 기저귀, 팬츠형 흡수성 패드 등을 포함한다.
제2의 실시양태 및 제3의 실시양태의 생리대(1)의 기본 구조
도 1은 생리대(1)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11은 전개 및 신장된 상태의 두께방향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생리대(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A-A를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생리대(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직교)하는 "상하방향(또는 종방향)", "좌우방향(또는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갖는다. 게다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부재가 서로 적층되는 방향인 "두께방향"을 갖는다. 상하방향(종방향)에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착용하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해당하는 측이 "상측"이며, 착용자의 가랑이에 해당하는 측이 "하측"이다. 게다가, 전후방향에서, 사용 중 착용자의 복측에 해당하는 측은 "전측"이며, 착용자의 등측에 해당하는 측은 "후측"이다. 게다가, 두께방향에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측은 "피부측"이 되며, 반대측은 "비피부측"이 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생리혈과 같은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10); 전후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 상에 적층되며(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 상에 배치되며),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를 갖는 허리 부재(20); 및 좌우방향(폭방향)으로 허리 부재(20)의 양측에 제공된 한쌍의 탭(30)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생리대(1)의 전개된 상태는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생리대(1)의 양측 상에 제공된 한쌍의 사이드 접합부(40)가 분리되어 있으며, 생리대(1)를 펼쳐서 평편하게 전개시킨 상태이다. 환언하면, 도 11에 도시된 전개된 상태의 생리대(1)는 전후방향으로 상하방향(종방향) 중앙 위치(둘로 접힘부(F))에서 1회 접고, 허리 전면부(20f)의 2개의 좌우방향(폭방향) 측 부분 및 허리 후면부(20b)의 2개의 좌우방향(폭방향) 측 부분을 한쌍의 사이드 접합부(40)(접합부)에서 접합시켜 생리대(1)를 팬츠형 상태로 형성한다. 사이드 접합부(40)에 사용된 접합 방법의 예는 널리 공지된 접합 방법, 예컨대 열 용착 및 초음파 용착을 포함한다. 팬츠형 생리대(1)(도 1)에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는 환상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허리 개구부(1a)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형성한다.
생리대(1)의 신장 상태는 생리대(1)의 주름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생리대(1)의 탄성 부재가 신장된 상태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생리대(1)의 구성 부재의 치수가 그 자체의 부재의 치수(즉, 탄성 부재의 탄성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상태에서의 치수)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가까울 때까지 생리대(1)가 신장된 상태를 지칭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생리대(1)의 본체 부분의 길이 등을 측정 및 비교시 측정 및 비교는 탭(30)을 계합 해제한 상태(또는 탭(30)을 분리(박리)한 상태) 및 허리 부재(20)가 절취선(26)에서 찢어지지 않은 상태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탭(30)(계합 부재)의 길이 등은 탭(30)이 허리 부재(20)와 계합되는 상태 또는 계합을 해제한 상태로 측정될 수 있다. 이는 허리 부재(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측정 및 비교 방법은 단지 예이며, 기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그의 길이방향이 생리대(1)의 상하방향(종방향)을 따르는 평면도에서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그 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성 코어(11), 흡수성 코어(11)에 대하여 피부측 상에 배치된 톱 시트(12) 및 흡수성 코어(11)에 대하여 비피부측 상에 배치된 백 시트(13)를 포함한다. 그러나, 흡수성 본체(10)는 상기 이외에 시트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의 시트(도시하지 않음)는 두께방향으로 톱 시트(12) 및 흡수성 코어(1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1)는 생리혈과 같은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하며, 예를 들면 고 흡수성 중합체(SAP)와 혼합된 액체 흡수성 섬유(예, 펄프 섬유)에 의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흡수성 코어(11)는 티슈 페이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액체 투과성 시트 부재(코어 랩핑 시트)로 덮힌 그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톱 시트(12)는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친수성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하여 형성된다.
백 시트(13)는 흡수성 코어(11)가 흡수한 생리혈과 같은 액체를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액불투과성 시트(13a); 및 액불투과성 시트(13a)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소수성 시트(13b)를 포함하는 2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 형성된다. 액불투과성 시트(13a)로서 예를 들면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하며, 소수성 시트(13b)로서 유연성 부직포 시트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소수성 시트(13b)는 반드시 제공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백 시트(13)는 액불투과성 시트(13a)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10)는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양측에서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 가능한 샘 방지 벽 부분(14)을 갖는다. 예를 들면,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소수성 시트(13b)의 양측은 톱 시트(12)의 피부측 면에 위치하도록 좌우방향(폭방향)으로 내측으로 접으며, 접힌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샘 방지 벽 탄성 부재(141)(예, 고무끈)가 제공되어 샘 방지 벽 부분(14)을 형성한다. 샘 방지 벽 부분(14)으로 인하여, 배설액의 측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샘 방지 벽 부분(14)은 흡수성 본체(10)에 제공될 필요는 없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10)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복수의 흡수체 탄성 부재(15)를 갖는다. 흡수체 탄성 부재(15)는 각각 예를 들면 고무끈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코어(11)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 시트(13a)에 대하여 비피부측에(도 12에서 액불투과성 시트(13a) 및 소수성 시트(13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5개의 흡수체 탄성 부재(15)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제공된다(도 11 참조). 흡수체 탄성 부재(15)의 신장 배율은 약 1.4 내지 3.3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배율은 신장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길이를 자연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길이로 나누어 얻은 값에 의하여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장 배율을 다소 강한 배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 기재되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흡수성 본체(10)는 착용자의 피부 측을 향하여 들어올려져서 흡수성 본체(10)가 착용자의 가랑이부(질구)에 쉽게 접착되어 배설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허리 부재(20)
허리 부재(20)는 복수의 시트 부재로 구성된 외장체이며, 적어도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및 23)를 포함한다(도 12 참조). 하기 기재에서, 전개된 상태의 생리대(1)(도 11)가 상하방향(종방향)의 중앙 위치(CL)에서 2개의 부분으로 나뉘는 경우, 전측의 허리 부재(20) 중 상하방향(종방향)에 대하여 사이드 접합부와 중첩되는 부위는 "허리 전면부(20f)"로 지칭하며, 그 아래의 부위(가랑이측에 위치함)는 "전측 연장부(20fe)"로 지칭한다. 유사하게, 중앙 위치(CL)에 관하여 후측에서의 허리 부재(20)의 부위에서, 상하방향(종방향)과 관련하여 사이드 접합부(40)와 중첩하는 부위는 "허리 후면부(20b)"로 지칭하며, 그 아래의 부위는 "후측 연장부(20be)"로 지칭한다.
비피부측 시트(21)는 생리대(1)의 비피부측에서 가장 멀리 배치된 비신축성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 및 SMS 부직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의 비피부측 시트(2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중앙부에서 좌우방향(폭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피부측 시트(22 및 23)는 각각 허리 부재(20)의 전측 및 후측에서 비피부측 시트(21)의 피부측 상에 적층된 신축성 시트 부재이다. 피부측 시트(22 및 23) 각각은 적어도 생리대(1)의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신축성 시트 부재의 예는 신축성 부직포 및 신축성 필름을 포함하며, 본 실시양태의 피부측 시트(22 및 23)는 신축성 부직포로 생성된다.
신축성 부직포는 특정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섬유 및, 신축성 섬유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신장성 섬유를 함유하며, 기어 연신과 같은 적절한 연신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를 지칭한다. 신축성 탄성 섬유로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탄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일종)로 생성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신장성 섬유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비탄성 열가소성 수지의 일종)인 폴리프로필렌(PP)로 생성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및 23)는 점재되는 접합부(도시하지 않음;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한 접합부)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피부측 시트(22 또는 23)가 배치된 허리 부재(20)의 부위는 좌우방향(폭방향)을 따라 신축성을 갖는다. 또한, 허리 부재(20)가 수축될 때 비피부측 시트(21)는 접합부 사이에서 굴곡되며(볼록 형상이 되며), 허리 부재(20)의 질감을 향상시켜 더 부드러운 시각적 인상을 부여한다.
허리 부재(20)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로서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및 23) 이외에 시트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허리 부재(20)는 비신축성 부직포 시트가 신축성 피부측 시트(22 및 23)의 피부측에 배치되며, 신축성 부직포 시트는 비신축성 부직포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비피부측 시트(21)는 전방부 및 후방부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하기 구조가 허용된다: 백 시트(13)의 비피부측 면은 비피부측 시트(21)의 전방부 및 비피부측 시트(21)의 후방부 사이에 노출되거나; 또는 비피부측 시트(21)의 전방부 및 비피부측 시트(21)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또 다른 비피부측 시트를 가랑이부에 제공한다.
탭(30)
생리대(1)는 허리 부재(20)의 좌우방향(폭방향)의 양측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한쌍의 탭(30)(계합 부재)을 갖는다. 도 11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보이는 생리대(1)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계합된 탭(30)을 가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탭(30) 각각은 기재 시트(31) 및 계합부(32)를 갖는다. 기재 시트(31)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시트 부재이다. 기재 시트(31)의 좌우방향(폭방향)의 외측 단부는 사이드 접합부(40)에 의하여 허리 부재(20)에 접합된다. 즉, 사이드 접합부(40)는 허리 전면부(20f), 허리 후면부(20b) 및 탭(30)이 일체형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탭(30)은 사이드 접합부(40)와는 상이한 부위에서 허리 부재(20)에 연결될 수 있다.
계합부(32)는 좌우방향(폭방향)으로 사이드 접합부(40)에 의하여 접합된 측에 대한 반대측에서 기재 시트(31)의 단부에 제공된다. 추가로, 계합부(32)는 기재 시트(31)의 피부측 면에 제공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대향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부재이다. 계합부(32)의 예는 비피부측 시트(21)를 구성하는 섬유에 후크로 거는 돌기(후크 부재)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수 부재를 포함한다. 계합부(32)가 쉽계 계합되는 부재(예,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암 부재)가 비피부측 시트(21)의 비피부측 면에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2의 실시양태 및 제3의 실시양태에 의한 생리대(1)의 착용성
도 13A 및 13B는 허리 개구부(1a) 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생리대(1)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3A는 팬츠형으로 사용되는 생리대(1)의 다이아그램이며, 도 13B는 테이프형으로 사용되는 생리대(1)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14는 허리 전면부(20f)가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된 생리대(1)의 전개 평면도이다.
생리대(1)는 패키지로부터 바로 꺼낸 초기 상태에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가 환상 방식으로 연결된 팬츠형(도 13A)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착탈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생리대(1)의 허리 전면부(20f)는 좌우방향(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상하방향(종방향)으로 가는 절취선(26)을 갖는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는 절취선(25)을 따라 상하방향(종방향)으로 찢고,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를 허리 후면부(20b)로분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후의 생리대(1)는 한쌍의 탭(30)이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좌우방향(폭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이프형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착탈시킬 수 있다.
하기 기재에서, 적어도 좌우방향(폭방향) 측이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된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는 "배측 접촉부(20fA)"로 지칭한다. 게다가,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사이드 접합부(40) 측에 잔존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를 또한 "비분리부(20fB)"로 지칭한다.
도 15A 내지 15C 및 도 16A 내지 16D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착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생리대(1)의 대상 착용자는 일반적으로 생리대(1)를 스스로 착탈시킨다. 게다가, 착용자는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등(도시하지 않음)에 앉은 상태로 또는 서 있는 상태로(하프 스쿼트 자세로) 생리대(1)를 착탈시킨다.
그 다음,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장착하는 방법의 예를 기재할 것이다. 우선,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팬츠형인 생리대(1)의 좌우방향(폭방향)의 한쪽의 탭(30)을 좌우방향(폭방향)의 외측으로(한쪽을 향하여) 전개하여 절취선(26)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폭방향) 일측 단을 상하방향(종방향)으로 부수고,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인 배측 접촉부(20fA)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허리 부재(20)의 분리된 부위를 허벅지의 전측으로 잡아 당기고,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싼다. 그 후,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탭(30)(계합부(32))을 허벅지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배측 접촉부(20fA))과 계합시킨다. 게다가, 도 16B는 도 16A에서와 같이 생리대(1)를 감싼 허벅지의 내측을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6A 및 16B의 상태에서, 사이드 접합부(40)는 허벅지에 위치하며,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는 허벅지 사이에서 늘어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그 후,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는 착용자의 다리 측과 정렬되며, 흡수성 본체(10)를 착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잡아 올린다.
그 다음, 착용자는 반대측 탭(30)을 좌우방향(폭방향)의 외측으로 전개하고, 반대측에서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허리 전면부(20f)를 분리시킨다. 게다가, 착용자는 생리대(1)를 감싼 허벅지에 가까운 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흡수성 본체(10)의 기울기를 허벅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가 따르도록 보정하며, 흡수성 본체(10)를 허벅지 사이(착용자의 폭방향 중심)에서 정렬시킨다. 그 후,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허리 부재(20)의 분리된 부위를 허벅지의 전측으로 잡아당기고, 허리 부재(20)를 반대측 허벅지에 감싸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계합시킨다.
그와 같이 하여,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26)에 의하여 분리된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는 환상 방식으로 다시 한쌍의 탭(30)에 의하여 허리 후면부(20b)에 연결시킨다. 또한, 착용자의 두 허벅지는 생리대(1)의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착용자는 생리대(1)를 잡아올려 생리대(1)의 장착을 완료한다.
그래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을 탈착가능하게 계합시키는 탭(30)을 갖는다. 따라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하여 사용시 착용자는 착용자의 전측에서 탭(30)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생리대(1)를 스스로 장착할 때 착용성은 우수하다. 또한, 생리대(1)를 제거시 착용자는 착용자의 전측에서 탭(30)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탭(30)이 허리 부재(20)에 대하여 비피부측(외측)에 제공되며, 각각의 탭(30)의 피부측 면에 제공된 계합부(32)는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계합된다. 그러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탭(30)이 허리 부재(20)의 피부측(내측)에 제공되며, 허리 부재(20)를 분리한 후 각각의 탭(30)의 비피부측 면에 제공된 계합부(32)는 허리 전면부(20f)의 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구성이 허용된다.
게다가,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장착시 팬츠형으로 유지하면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절취선(26)에서의 허리 전면부(20f)를 찢어서 제거할 수 있다. 반대로,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장착시 탭(30)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벗을 수 있다.
제2의 실시양태의 생리대(1)
도 17은 전측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좌우방향의 일측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시킨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18에서, 분리된 측의 탭(30)은 좌우방향으로 내측에 탭(30)이 닫힌 상태로 있으면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사이에 위치한다. 도 19는 허리 전면부(20f)가 좌우방향의 일측에서(절취선(26)을 따라) 분리되고, 탭(30)이 외측으로 전개된 상태로 허리 후면부(20b)의 부위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20은 좌우방향의 양측에서 허리 전면부(20f)가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된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생리대(1)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지만(대상 착용자는 또한 초경을 겪은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포함함),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비교적 짧다. 예를 들면,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간병인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입히는 간병 수혜자를 위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비하여 더 짧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쇄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하기와 같다. 우선, 좌우방향에 대하여 탭(30)과 중첩되어 위치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20fC)의 상하방향의 최소 길이(L1)는 80 ㎜ 이상 150 ㎜ 이하이다. 또한, 탭(30)이 접합된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100 ㎜ 이상 160 ㎜ 이하이다.
게다가, 생리대(1)를 패키지로부터 꺼낸 초기 상태가 도 17에 도시된 상태인 경우에서, 생리대(1)의 측정은 초기 상태에서 및 자연 상태에서 수행한다. 초기 상태가 도 17의 상태가 아닌 경우(예, 탭(30)이 접힌 경우)에서, 생리대(1)의 측정은 자연 상태의 생리대(1)(자연 상태의 허리 부재(20))에서 사이드 접합부(40)로부터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펼쳐져서 탭(30)이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되는 상태로 수행된다.
탭(30)이 중첩된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20fC)는 탭(30)을 개방하고, 허리 전면부(20f)를 찢은 착용자가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쉽게 잡게 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부위(20fC)의 상하방향의 길이(L1)를 비교적 짧게 하여, 착용자는 부위(20fC)를 쉽게 잡게 하며, 허리 전면부(20f)를 허벅지의 앞으로 잡아 당긴다. 게다가,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의 위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손으로 잡아 내릴 때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을 광범위하게 손으로 잡아 내릴 수 있으며, 허리 전면부(20f)를 안정하게 위치시키면서 탭(30)을 계합시킬 수 있다.
인공 지능 연구 센터에 의한 일본인의 손 크기 데이타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엄지와 검지의 지근으로부터 검지의 끝까지의 평균 길이는 여성의 경우 100.6 ㎜, 남성의 경우 109.7 ㎜ 및 양성(남성 및 여성)의 경우 107 ㎜이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의 치수(L1)를 150 ㎜ 이하로 하면, 착용자는 허리 전면부(20f)를 그의 상하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상을 잡거나 또는 누를 수 있다. 이는 탭(30)을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으며, 생리대(1)의 착용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부재(20)는 좌우방향으로 신장되는 부재이며, 허리 부재(20)는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된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기 기재된 치수(L1)는 80 ㎜ 이상으로 하며, 지나치게 짧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리대(1)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생리대(1)를 편안하게 사용하게 한다.
또한,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를 허리 전면부(20f)로 유사하게 단축시킴으로써,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의 상하방향의 길이도 또한 단축된다. 따라서,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탭(30)을 쉽게 잡는다. 그러나,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보다 약간 더 길며, 100 ㎜ 이상 160 ㎜ 이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탭(30)을 잡으며, 생리대(1)를 허벅지 아래로부터 잡아당길 때 상하방향으로 긴 접합부(40)는 생리대(1)의 후방부의 상하방향을 광범위하게 끌어당기는 힘을 쉽게 전달한다. 이는 생리대(1)의 후방부를 허벅지 아래로부터 쉽게 잡아당긴다. 그러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동일할 수 있다.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길이(L2)를 상기 방식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생리대(1)를 스스로 장착시 착용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스스로 장착하는 착용자를 위한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예,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 및 경실금용 기저귀 등)의 경우 간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비하여 흡수성 코어(11)는 더 작으며, 배설 후 흡수성 코어(11)는 또한 가볍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길이(L2)가 단축되더라도,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덜 어긋나게 된다.
더욱이,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길이(L2)를 단축시킴으로써,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특히 흡수성 본체(10))는 덜 늘어지게 된다. 이는 생리대(1)가 변기와 덜 접촉하게 하며, 생리대(1)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게다가, 생리대(1)의 형상은 속옷과 유사하므로, 생리대(1)의 외관도 또한 향상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가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인 배측 접촉부(20fA)가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 가장자리(40a)(도 17 참조)를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는 상태 및 자연 상태에 있을 경우 구성은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좌우방향으로 배측 접촉부(20fA)의 일측 단(P1)으로부터 좌우방향의 타측에서의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40a)까지의 길이(W1)는 좌우방향으로 허리 후면부(20b)의 일측 단(P2)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40a)까지의 길이(W2)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 일측 단(P1)은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P2)에 대한 일측(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리대(1)를 장착하기 위하여 착용자가 허리 부재(20)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을 찢을 때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길이(W1)는 더 길어지며, 허리 후면부(20b) 방향의 좌우방향의 길이(W2)를 더 짧게 한다. 착용자가 사이드 접합부(40)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찢는 경우 상기 기재된 길이 관계는 충족된다.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길이(W1)가 긴 경우,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자는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긴다. 따라서, 착용자는 허벅지에서 탭(30)을 배측 접촉부(20fA)와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으며, 생리대(1)의 착용성이 향상된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의 길이(W2)가 짧은 경우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흡수성 본체(10))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가 절취선(26)을 갖는 경우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인 배측 접촉부(20fA)가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될 때 및 생리대(1)가 자연 상태에 있을 때 구성은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26)에서 분리한 상태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18의 생리대(1)가 절취선(26)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가 분리된 상태(보이지 않음)에 있다. 상기 언급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에서 배측 접촉부(20fA)의 일측 단(P3)으로부터 좌우방향에서 타측에서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40a)까지의 길이(W3)는 좌우방향에서 허리 후면(20b)의 일측 단(P2)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40a)까지의 길이(W2)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절취선(26)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때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길이(W3)는 더 길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긴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의 길이(W2)는 짧게 된다. 따라서,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의 좌우방향의 길이 및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허리 전면부(20f)에서, 허리 탄성 부재(24)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허리 후면부(20b)보다 더 짧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는 좌우방향의 중앙부의 신축 영역(20EA)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저 신축 영역(20NA)(하기에 상세하게 기재됨)을 좌우방향의 양 단부에서 갖는다. 따라서, 허리 후면부(20b)에 비하여, 허리 전면부(20f)에서 좌우방향에서의 수축력은 더 약하며,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W1 및 W3)(수축 치수)는 더 짧다.
게다가, 생리대(1)가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가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좌우방향으로의 외측으로(일측을 향하여) 탭(30)이 펼쳐지는 상태에서 및 자연 상태에서 있을 때 구체적인 길이는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에서의 흡수성 코어(11)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11a)으로부터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P1)까지의 길이(W4)는 5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측에서의 길이(W4)를 50 ㎜ 이상 비교적 길게 하여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자는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긴다. 그러나, 전측에서의 길이(W4)가 200 ㎜ 이하로 너무 길지 않게 하여 허리 부재(20)는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생리대(1)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에서 흡수성 코어(11)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11a)으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된 탭(30)의 좌우방향의 일측 단까지의 길이(W5)는 10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후측의 길이(W5)를 비교적 짧은 300 ㎜ 이하로 함으로써,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외측으로 펼쳐진 탭(30)이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후측에서의 길이(W5)를 100 ㎜ 이상으로 지나치게 짧지 않게 함으로써 허리 부재(20)를 착용자에게 체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좌우방향으로 탭(30)의 최대 길이(W6)는 20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탭(30)의 좌우방향의 길이(W6)를 2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는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시킬 때 탭(30)을 더 쉽게 잡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탭(30)의 좌우방향의 길이(W6)를 120 ㎜ 이하로 함으로써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외측으로 전개된 탭(30)이 변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탭(30)의 좌우방향의 길이(W6)를 지나치게 길게 하지 않음으로써 탭(30)을 전개시키고, 허리 전면부(20f)를 찢은 후, 착용자는 계합부(32)를 허리 전면부(20f)와 더 쉽게 계합시키기 위하여 계합부(32)에 더 근접한 또 다른 위치에서 탭(30)을 다시 잡을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좌우방향의 내측에서 폐쇄되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하기 구성이 바람직하다. 우선, 탭(30)이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40a)의 위치에서의 탭(30)의 상하방향의 길이(L3)는 동일한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40a)의 위치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착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단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착용자가 탭(30)을 잡고, 생리대(1)를 허벅지 아래로부터 잡아당길 때 상하방향으로 긴 탭(30)은 생리대(1)의 후방부의 수직방향을 광범위하게 당기는 힘을 전달하여 생리대(1)를 더 쉽게 잡아당기게 한다.
그러나, 좌우방향에 대하여 계합부(32)와 중첩되는 허리 전면부(20f) 부위의 상하방향의 최소 길이(L4)는 계합부(32)의 최대 상하방향의 길이(L5)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계합부(32)의 상하방향 전체 부위는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될 수 있으며, 이는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강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는 좌우방향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26)(예, 천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20f)를 쉽게 찢는다.
본 실시양태의 절취선(26)은 각각 상하방향의 허리 전면부(20f) 전체에서 제공되지만, 절취선(26)은 상하방향의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에서만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절취선(26)은 신장 상태의 생리대(1)(도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상하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또한, 절취선(26)은 허리 전면부(20f)를 상하방향으로 쉽게 찢으며, 절취선(26)은 허리 전면부(20f)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제공된 절단 등일 수 있다면 충분하다.
그러나, 생리대(1)는 절취선(26)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러한 경우에서조차, 사이드 접합부(40)는 용접 등에 의하여 형성되며, 허리 부재(20)의 다른 영역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다. 그래서, 착용자는 사이드 접합부(40)의 좌우방향 내측 가장자리(40a)를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한쌍의 탭(30)은 좌우방향으로 허리 부재(20)의 양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5C 및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부재(20)를 양쪽 허벅지에 감싸서 생리대(1)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생리대(1)를 제거할 때, 생리대(1)는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떼내어 허벅지 사이로부터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착탈시키는 경우와 달리, 생리대(1)를 다리 개구부(1b)를 통하여 착탈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착용자는 바지, 신발, 스타킹 등을 벗지 않고도 생리대(1)를 착탈시킬 수 있으며, 외출 시에도 생리대(1)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생리대(1)가 좌우방향의 양측에서 탭(30)을 갖는 경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가 좌우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 가장자리(40a)를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는 상태 및 자연 상태인 경우 구성은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방향으로 배측 접촉부(20fA)의 일측 단(P1)으로부터 타측 단(P5)까지의 길이(W7)는 좌우방향으로 허리 후면부(20b)의 일측 단(P2)으로부터 타측 단(P6)까지의 길이(W8)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우방향에서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 양단부(P1 및 P5)는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 양단부(P2 및 P6)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부재(20)를 한쪽 허벅지에 감쌀 때뿐 아니라, 다른쪽 허벅지에 감쌀 때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긴다. 다른 한편으로, 생리대(1)를 양쪽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1개의 계합부(32)를 갖는 1개의 탭(30)은 좌우방향으로 생리대(1)의 양측 각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는 단지 탭(30)(계합부(32))을 좌우방향의 각각의 양측에 1회 계합하며, 쉽게 장착할 수 있어서 착용성을 향상시킨다. 생리대(1)의 외관도 또한 향상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착용자가 스스로 장착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경우 흡수성 코어(11)는 더 작으며, 배설 후 흡수성 코어(11)는 또한 간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비하여 더 가볍다. 그러한 이유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생리대(1)는 간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같이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2개의 계합부를 갖는 각각의 탭을 제공하거나 또는 1개의 계합부를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2개의 탭을 좌우방향의 양측 각각에(각각의 좌우방향측에 2개의 쌍) 제공하여 탭을 허리 전면부(20f)에 강하게 고정하는 경우에서조차 덜 어긋나게 된다. 그러나, 구성은 각각 1개의 계합부(32)를 갖는 탭(30)이 좌우방향의 양측에 하나씩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탭(30)이 좌우방향으로 허리 부재(20)의 일측에만 제공되는 생리대(1)일 수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적어도 그의 좌우방향 일측이 테이프형으로 사용 가능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인 것이 충분하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더 쉽게 착탈할 수 있는데, 이는 착용자가 한쪽 다리의 발가락만을 다리 개구부(1b)에 통과시키고, 허리 부재(20)를 다른쪽 다리의 허벅지에 감쌀 수 있으며, 착용자는 한쪽 허벅지로부터 허리 부재(20)를 제거하고, 다른쪽 다리의 발가락만을 다리 개구부(1b)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서, 탭(30)이 있는 측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하방향의 길이(L1)를 단축시키거나 또는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길이(W1)를 단축시켜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착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11을 살펴보면, 전개 및 신장된 상태의 생리대(1)에서, 상하방향(좌우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생리대(1)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CL)가지의 길이(L6)는 200 ㎜ 이상 3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L6)를 2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생리대(1)는 성인인 대상 착용자의 크기에 맞추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길이(L6)를 350 ㎜ 이하로 함으로써,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와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생리대(1)가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 가장자리(40a)를 따라 또는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가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또는 자연 상태에 있을 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측 접촉부(20fA)의 하단(P1)은 배측 접촉부(20fA)의 상단(P4)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배측 접촉부(20fA)의 절단 단부(P1로부터 P4로 연장됨)는 허리 측으로부터 가랑이측까지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배측 접촉부(20fA)의 절단 단부의 배향은 착용자가 스스로 생리대(1)를 장착하기 위하여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개구부(1a) 측으로부터 배측 접촉부(20fA)를 잡는 착용자의 손의 배향을 따른다. 이는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20fA)를 더 쉽게 잡아서 착용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도 14 참조)에서, 배측 접촉부(20fA)의 상단 부위에는 신축성 피부측 시트(22) 이외에 허리 탄성 부재(24)가 제공된다. 따라서, 배측 접촉부(20fA)의 상단 부위는 하단 부위보다 더 높은 수축력을 가지며, 생리대(1)의 자연 상태에서 좌우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배측 접촉부(20fA)의 상단 부위의 신축성을 상기 방식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생리대(1)는 착용자의 허리에서 더 쉽게 핏팅되게 하며, 이는 생리대(1)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각각은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피부측 시트(22, 23) 및 허리 탄성 부재(24)를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도 11 및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각각은 적어도 좌우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와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좌우방향에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20E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리대(1)를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시킨다. 특히,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사용할 경우(도 13B),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는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한쌍의 탭(30) 사이에서 배측 접촉부(20fA)는 좌우방향의 양쪽 외측에서 잡아당기고,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시킨다. 게다가,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기며, 이는 생리대(1)의 전방부를 덜 늘어지게 한다. 유사하게, 허리 후면부(20b)는 또한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시키고,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의 후방부는 덜 늘어지게 된다.
그러나, 하기 구성이 허용된다: 두께방향에서 흡수성 코어(11)를 중첩시키는 신축 영역(20EA) 내의 영역에서 신축력을 감소시켜 흡수성 코어(11)의 평탄성을 보장한다. 예를 들면, 두께방향에서 흡수성 코어(11)를 중첩시키는 영역에서, 기타 영역에 비하여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23)의 접합부(용착부)의 면적률을 증가시켜 피부측 시트(22, 23)의 탄성 특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추천한다. 이는 흡수성 코어(11)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며, 흡수성 코어(11) 및 착용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허리 전면부(20f)는 신축 영역(20EA)보다 좌우방향으로 신축 영역(20EA)의 외측(탭(30)이 존재하는 측)에서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저 신축 영역(20N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 신축 영역(20NA)의 제공으로,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20f)를 좌우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이를 찢을 때 그 힘을 파단부에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작은 힘으로 찢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가 절취선(26)을 갖는 경우 절취선(26)은 좌우방향으로 해당 저 신축 영역(20NA)의 양측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절취선(26)의 양측이 덜 신장되며, 따라서 착용자는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쉽게 찢을 수 있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를 저 신축 영역(20NA)에서 찢어서 허리 전면부(20f)의 절단 단부의 형상은 확실하게 확보되며, 이는 덜 말리게 한다. 즉, 분리되는 측인 배측 접촉부(20fA)의 단부는 덜 말리므로, 착용자는 배측 접촉부(20fA)를 쉽게 잡아서 탭(30)을 배측 접촉부(20fA)와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배측 접촉부(20fA)의 단부 및 사이드 접합부(40) 측에 잔존하는 비분리부(20fB)는 덜 말리게 되므로, 착용자는 생리대(1)의 착용 중 이물로서 허리 전면부(20f)의 절단 단부를 덜 느끼게 되어 착장감이 향상된다.
저 신축 영역(20NA)이 신축 영역(20EA)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것이 충분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저 신축 영역(20NA)은 신축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신축성 피부측 시트(22 및 23)는 저 신축 영역(20NA)에 제공된다. 따라서, 저 신축 영역(20NA)에서, 신축 영역(20EA)에 비하여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23)의 접합부(용착부)의 면적률을 증가시켜 피부측 시트(22, 23)의 탄성 특성을 억제하는 것을 추천한다. 게다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탄성 부재(24)의 신축성 부위는 저 신축 영역(20NA)까지 좌우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는 또한 저 신축 영역(20NA)의 신축성을 감소시킨다.
저 신축 영역(20NA) 및 신축 영역(20EA) 사이의 신축성(신축 응력)의 비교는 각각의 영역을 수동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인장 시험기(예,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 AG-1KN1, 시마즈 코포레이션 등 제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 신축 영역(20NA) 및 신축 영역(20EA)은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잘라내어 저 신축 영역(20NA)의 샘플 및 신축 영역(20EA)의 샘플을 생성하고, 이들 샘플은 생리대(1)의 좌우방향 및 종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그 후, 생리대(1)의 좌우방향(신장방향)으로 각각의 샘플의 양단을 척(chuck)으로 조이고, 샘플이 파손될 때까지 척 분리 거리를 증가시켜 신장시킨다. 샘플이 파손될 때까지 신축 영역의 샘플이 저 신축 영역의 샘플보다 더 긴 척 분리 거리를 갖는 경우 신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가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가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고, 탭(30)이 좌우방향의 외측으로(일측을 향하여) 펼쳐지는 상태 및 자연 상태에 있을 때 구성은 하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접합부(40) 측에 잔존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비분리부(20fB)(즉, 배측 접촉부(20fA)로부터 분리된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는 계합부(32)의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허리 전면부(20f)의 비분리부(20fB)는 계합부(32)를 덮지 않으며, 탭(30)은 계합부(32)로 인하여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에 강하게 계합될 수 있다. 또한, 탭(30)을 배측 접촉부(20fA)와 계합시킬 때 비분리부(20fB)의 절단 단부의 요철은 배측 접촉부(20fA)의 비피부측 면과 마찰되며, 이는 탭(30) 및 허리 후면부(20b)에 대하여 배측 접촉부(20fA)의 위치 일탈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탭(30)이 배측 접촉부(20fA)와 더 쉽게 계합되며, 착용 중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 있는 생리대(1)에서, 절취선(26)으로부터 저 신축 영역(20NA)의 좌우방향의 내측(타측) 단부까지의 길이(W10)는 탭(30)이 접합되어 있는 측(좌우방향의 일측)에 있는 사이드 접합부(40)의 내측단으로부터 절취선(26)까지의 좌우방향의 길이(W9)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6)에서 찢을 때 배측 접촉부(20fA)에서 저 신축 영역(20NA)의 좌우방향의 길이(W10')는 사이드 접합부(40) 측에 잔존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비분리부(20fB)의 좌우방향의 길이(W9')보다 더 길다(도 19). 따라서, 탭(30)이 배측 접촉부(20fA)와 계합될 때 사이드 접합부(40)에 잔존하는 비분리부(20fB)는 덜 말리는 배측 접촉부(20fA)의 단부 영역(저 신축 영역(20NA))으로 덮힐 수 있다. 따라서, 비분리부(20fB)는 착용자의 피부와 덜 접촉하게 되어 착용 중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길이(W10)를 더 길게 함으로써, 덜 말리는 배측 접촉부(20fA)의 말단 부위의 길이는 더 길어지며, 이는 착용자가 배측 접촉부(20fA)를 더 쉽게 잡게 한다. 이는 안정한 방식으로 탭(30)과 더 쉽게 계합된다.
게다가, 허리 부재(20)가 좌우방향에서 신축성을 갖더라도, 두께방향으로 흡수성 코어(11)와 중첩되며, 높은 강성을 갖는 허리 부재(20)의 부위에서 신축성은 감소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와 중첩되는 허리 부재(20)의 부위의 신축성은 의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탭(30)의 계합부(32)가 흡수성 코어(11)와 중첩되고, 감소된 신축성을 갖는 허리 부재(20)의 부위와 계합될 때 계합부(32)와 허리 부재(20)의 섬유의 얽힘 정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 있는 생리대(1)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단으로부터 흡수성 코어(11)의 전측의 상단까지의 상하방향의 길이(L6)(도 14 참조)는 계합부(32)의 상하방향의 길이(L8)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시킬 때, 계합부(32) 및 흡수성 코어(11)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쉽게 어긋나며, 두께방향으로 덜 중첩된다. 즉, 계합부(32)는 두께방향으로 흡수성 코어(11)와 중첩되지 않으며, 감소된 신축성을 갖지 않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를 쉽게 계합시킨다. 따라서, 계합부(32)의 후크 부재는 허리 부재(20)의 섬유와 쉽게 얽히며, 탭(30)의 계합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 있는 생리대(1)에서, 허리 후면부(20b)의 상단으로부터 흡수성 코어(11)의 후측의 상단까지의 상하방향의 길이(L7)(도 14 참조)는 계합부(32)의 상하방향의 길이(L8)보다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11)의 후방부는 상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며, 따라서 허리 후면부(20b)의 상단의 강성은 증가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허리 후면부(20b)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배설물의 뒤쪽 누출도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탭(30)(계합부(32))은 허리 후면부(20b)와 계합되지 않으므로, 후측의 흡수성 코어(11)가 상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더라도 계합부(32)의 계합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펼쳐지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좌우방향으로 흡수성 코어(11)의 외측(이에 대하여 일측)에 계합부(3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계합부(32)는 흡수성 코어(11)와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으며, 감소된 신축성을 갖지 않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와 쉽게 계합된다. 따라서, 계합부(32)의 후크 부재는 허리 부재(20)의 섬유와 쉽게 얽히며, 탭(30)의 계합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탭(30)이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폐쇄된 상태에서(도 17 참조), 각각의 탭(30)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양태에서 상단 및 하단 둘다)는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 탭(30)의 상하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30A)를 갖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탭(30)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되는 측에 대향하는 측에서 탭(30)의 자유 단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탭(30)의 자유 단부(탭(30)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측과 대향하는 단부)를 더 쉽게 잡게 한다. 게다가, 탭(30)의 상단은 호흡시 착용자의 복부와 덜 접촉하게 되며, 탭(30)의 하단은 다리를 올릴 때 착용자의 다리와 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생리대(1)를 착용하면서 이물로서 탭(30)을 덜 느끼며,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허리 전면부(20f)(전체)의 비피부측 면의 색상 및 탭(30)(전체)의 비피부측 면의 색상은 동계색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는 상이한 간호용 기저귀에서, 백색 탭 각각은 청색 또는 녹색 계합부를 가지며, 계합부의 색상은 기저귀의 외측으로부터 보이며, 탭 및 허리 전면부는 종종 그의 비피부측 면에서 상이한 색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와 같이,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 및 탭의 비피부측 면이 동계색을 갖게 함으로써 기저귀와 같은 외관이 경감되어 생리대(1)의 외관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서, 착용자는 생리대(1)의 비피부면측으로부터 계합부(32)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탭(30)은 계합부(32)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복수의 압착부(33)를 가지며, 압착부(33) 각각은 탭(30)이 두께방향으로 압착된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탭(30)의 비피부면측으로부터 계합부(32)의 위치를 더 쉽게 파악하며, 탭(30)은 허리 전면부(20f)를 더 쉽게 계합시켜 생리대(1)의 착용성을 향상시킨다. 압착부(33)는 탭(30)의 피부측으로부터 압착될 수 있거나 또는 비피부측으로부터 압착된다. 어느 하나의 경우에서, 압착부(33)는 탭(30)의 외측(비피부측)으로부터 보인다.
게다가, 계합부(32)가 종종 탭(30)을 구성하는 기재 시트(31)에 접착제로 접합되기는 하더라도, 탭(30) 및 계합부(32) 사이의 접합 강도는 압착부(33)에 의하여 추가로 향상된다. 이는 계합부(32)를 탭(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탭(30)을 다시 부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생리대(1)를 착용하면서 탭(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탭(30)에 제공된 복수의 압착부(33)의 평균 피치(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피치)는 사이드 접합부(40)에 제공된 복수의 접합부(예, 도시되지 않은 용착부)의 평균 피치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33)의 평균 피치를 증가시키고, 압착부(33)의 면적률을 감소시킴으로써 계합부(32)의 후크 부재가 압착부(33)에 의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이드 접합부(40)를 구성하는 접합부의 평균 피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이드 접합부(40)의 접합 강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생리대(1) 착용시 탭(30)을 잡아당기더라도 탭(30)이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계색은 먼셀(Munsell) 색 체계(100 색조)에서 그의 색조차가 5 미만이며, 명도차는 1 미만이거나 또는 채도차는 1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동계색의 의미는 색상이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색상차 ΔE가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차는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1) 엑스라이트 인코포레이티드(X-Rite Inc.)가 제조한 엑스라이트 이그잭트(X-Rite eXact) 스탠다드(측정 직경: 1.5 ㎜)를 준비한다. (2) 10개 이상의 상이한 부위에서 샘플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의 CIE L*a*b* 좌표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 (L1*, a1* 및 b1*)을 계산한다. (3) 샘플의 비교하고자 하는 부위(탭(30)의 비피부측 면)의 CIE L*a*b* 좌표를 10개 이상의 상이한 부위에서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L2*, a2* 및 b2*)을 계산한다. (4) 상기 결과 값으로부터 색상차 ΔE를 계산한다(ΔE = [(L1* -L2*)2 + (a1* - a2*)2 + (b1* - b2*)2]1/2).
기타
예를 들면,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신축성을 갖는 피부측 시트(22, 23)를 허리 부재(20)에 제공하여 좌우방향의 신축성이 허리 부재(20)에 부여된다. 신축성 시트 대신에,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끈과 같은 탄성 부재(고무끈 등)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어 신축성을 허리 부재(20)에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하기 조건 둘다를 충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족하여야 한다: 탭(30)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의 상하방향의 최소 길이(L1)는 80 ㎜ 이상 150 ㎜ 이하이며, 사이드 접합부(40)의 상하방향의 길이(L2)는 100 ㎜ 이상 160 ㎜ 이하이며; 허리 전면부(20f)를 사이드 접합부(40)에서 찢을 경우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허리 후면부(20b)의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길다(W1 > W2).
제3의 실시양태의 생리대(1)
도 21은 절취선(26)을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한 생리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2는 정면으로부터 본 바와 같은 팬츠형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계합부(32)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심선(CL11)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된 생리대(1)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지된 생리대(1)의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3의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허리 전면부(20f)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탭(30)을 갖는다.
따라서, 착용자가 테이프형으로 하여 생리대(1)를 사용할 때 착용자는 착용자의 전측에서 탭(30)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스스로 생리대(1)를 장착할 때 착용성은 우수하다. 또한, 생리대(1)를 제거할 때 착용자는 착용자의 전측에서 탭(30)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탭(30)은 허리 부재(20)에 관하여 비피부측(외측)에 제공되며, 각각의 탭(30)의 피부측 면에 제공된 계합부(32)는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과 계합된다. 그러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탭(30)이 허리 부재(20)의 피부측(내측)에 제공된 구성이 허용되며, 각각의 탭(30)의 비피부측 면에 제공된 계합부(32)는 허리 부재(20)의 분리 후 허리 전면부(20f)의 피부측 면에 계합된다.
게다가,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장착할 때 팬츠형으로 유지하면서 벗을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절취선(26)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찢어서 제거할 수 있다. 반대로,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장착할 때 탭(30)을 떼어내지 않고 벗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는 폭방향의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긴 절취선(26)(예, 천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20f)를 쉽게 찢게 한다.
본 실시양태의 절취선(26)은 각각 종방향으로 허리 전면부(20f) 전체에 제공되지만, 절취선(26)은 종방향으로 허리 전면부(20f)의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절취선(26)은 신장 상태의 생리대(1)(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종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또한, 절취선(26)은 허리 전면부(20f)를 종방향으로 쉽게 찢으며, 절취선(26)은 허리 전면부(20f)의 허리측 단부 또는 가랑이측 단부에 제공된 절단부 등일 수 있으면 충분하다.
그러나, 생리대(1)는 절취선(26)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러한 경우에서조차 사이드 접합부(40)는 용착 등에 의하여 형성되며, 허리 부재(20)의 기타 영역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다. 그래서, 착용자는 사이드 접합부(40)의 폭방향 내측 가장자리(40a)를 따라 허리 전면부(20f)를 찢을 수 있다.
게다가, 패키지로부터 꺼낸 초기 상태의 생리대(1)에서, 탭(30)은 생리대(1)의 비피부면측(외측)으로부터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가 절취선(26)을 갖는 경우에서, 허리 전면부(20f)를 절취선(26)을 따라 종방향으로 찢지 않은 상태에서 탭(30)은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리대(1)가 팬츠형 또는 테이프형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착용자가 더 쉽게 인지한다. 따라서, 생리대(1)의 착용자는 그 때의 상황에 의존하여 초기 팬츠형으로 또는 테이프형으로 변경시켜 착탈할 수 있다. 그래서, 생리대(1)의 착탈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착용자가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하고, 스스로 장착할 때 도 15C 및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26) 등에서 절단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싸면서 허벅지에 탭(30)을 계합시키는 방법을 고려한다. 이는 탭(30)(계합부(32))을 허리 전면부(20f)와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착용자가 변기에 앉거나 또는 변기 부근에서 엉덩이를 반만 대고 서 있는 착용자가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늘어지기 쉽다. 특히, 생리대(1)의 대부분의 중량을 차지하는 흡수성 코어(11)는 허벅지로부터 늘어지기 쉽다. 허벅지로부터 늘어진 생리대(1)의 부위가 변기와 접촉될 경우 그로부터 착용되는 생리대(1)의 위생 상태는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탭(30)에 포함된 계합부(32)의 종방향 허리측(일측) 단부의 폭방향 중심(32a) 및 계합부(32)의 종방향 가랑이측(타측) 단부의 폭방향 중심(32b)을 연결하는 중심선(CL1)(도 21 및 22 참조)에 관하여,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잡을 때(도 23 참조), 흡수성 코어(11)의 최하단(11L)은 생리대(1)(제품)의 최하단(11L)의 상측에 위치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싸는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서, 생리대(1)의 대부분의 중량을 차지하는 흡수성 코어(11)는 생리대(1)의 최하단의 상측에 위치한다.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11)이 제품의 최하단인 경우에 비하여 흡수성 코어(11)는 늘어지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도 16B),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생리대(1)의 우수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생리대(1)는 변기와 덜 접촉하게 되므로, 착용자는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싸는 동작에 집중할 수 있으며, 이는 생리대(1)의 착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시킨 후, 착용자는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생리대(1)를 회전시키며,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흡수성 본체(10))를 허벅지 사이에서 잡아당긴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11)는 덜 늘어지게 되므로, 흡수성 코어(11)를 쉽게 잡아당길 수 있다.
허리 부재(20)가 절취선(26) 등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여전히 팬츠형인 생리대(1)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을 위하여 유지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생리대(1)를 패키지로부터 바로 꺼낸 초기 상태에서, 생리대(1)는 탭(30)에서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생리대(1)가 패키지로부터 바로 꺼낸 초기 상태는 도 22에 도시한 상태이다. 따라서, 허리 부재(20)에 접합된 위치로부터(사이드 접합부(40)로부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탭(30)이 펼쳐지는 상태에 있는 허리 전면부(20f)에 탭(30)이 계합된다. 하나의 탭(30)의 위치에서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생리대(1)를 패키지로부터 꺼낸 초기 상태가 도 22에 도시한 상태가 아닌 경우, 예를 들면 탭(30)(계합부(32))이 접힌 상태에서, 접혀 있는 탭(30) 중 하나의 위치에서 계합부(32)의 중심선(CL1)(계합부(32)가 또한 접힌 경우에서 접힌 상태의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한다.
게다가,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하기 위하여, JIS 등급 1에 따른 금속 자(예, 신와 룰즈 컴파니, 리미티드(Shinwa Rules Co., Ltd.)가 제조한 금속 자(길이 335 ㎜ 또는 500 ㎜, 폭 25 ㎜, 두께 1 ㎜)) 또는 등가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자(51)의 평면을 작업대(50)의 수평면에 정렬시키고, 자(51)를 작업대(50)로부터 200 ㎜ 돌출시킨다. 그 다음, 자(51)를 생리대(1)의 다리 개구부(1b) 및 허리 개구부(1a)에 통과시킨다. 그 후, 생리대(1)의 허리 개구부 단부를 자(51)의 돌출된 단부로부터 50 ㎜ 내측(작업대(50) 측)의 위치에 정렬시킨다. 또한, 종방향으로 생리대(1)의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을 자(51)의 폭(25 ㎜)의 중앙 위치와 정렬시킨다. 그 후, 자(51)로부터 늘어진 생리대(1)의 상태를 관찰한다(예, 흡수성 코어(11) 및 생리대(1)의 최하단의 위치를 비교한다).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작업대(50)와 자(51) 또는 자(51)와 생리대(1)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게다가, 자(51)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중량 하에서 휘어질 때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두께방향으로 2 또는 3개의 자(51)를 적층시켜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업대(50)로부터 돌출되는 자(51)의 길이는 단축될 수 있다. 하기 측정 및 비교는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도 23의 상태에서 생리대(1)의 측정 및 비교는 실제의 생리대(1)에서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도 23의 상태에서 전측으로부터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기 기재에서, 생리대(1)의 둘로 접힘부(F)에 관하여 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11)의 일부(종방향에서 가랑이측의 단부)는 또한 "전측 흡수성 코어(11F)"로 지칭한다. 추가로, 둘로 접힘부(F)에 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11)의 부분은 "후측 흡수성 코어(11B)"로 지칭한다. 유사하게, 생리대(1)의 둘로 접힘부(F)에 관하여 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10)의 일부는 또한 "전측 흡수성 본체(10F)"로 지칭하며, 둘로 접힘부(F)에 관하여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10)의 부분은 "후측 흡수성 본체(10B)"로 지칭한다.
추가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할 때(도 23), 구성은 하기와 같다. 우선, 수평선(LH)(연직방향으로 수평 위치)은 생리대(1)의 둘로 접힘부(F)가 전측 흡수성 코어(11F)의 폭방향 측단의 상측 단부(11SU)와 교차하는 점(P1)을 통과하는 것을 확인한다. 생리대(1)의 수평선(LH)으로부터 최하단(11L)까지의 연직방향(상하방향)의 길이(L4)는 생리대의 수평선(LH)으로부터 최상단(1U)(즉, 자(51)의 상면)까지의 연직방향의 길이(L3)보다 짧다.
수평선(LH)의 위치는 대략 허리 부재(20)가 감싸진 허벅지의 하면의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생리대(1)의 수평선(LH)으로부터 최하단(11L)까지의 연직방향의 길이(L4)를 감소시킴으로써,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의 늘어지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생리대(1)에서, 길이(L4)는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이 제품의 의 최하단인 흡수성 물품에 비하여 단축될 수 있다. 이는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의 늘어지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하기 방법은 상기 길이(L3, L4)의 측정 방법으로서 언급한다. 우선, 펜을 사용하여 도 22에 도시한 자연 상태의 생리대(1)(예를 들면 수평 테이블에 편평하게 둔 무부하 상태의 생리대(1))의 전측 비피부측 면을 표시한다. 즉, 생리대(1)의 둘로 접힘부(F) 및, 계합부(32)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측의 흡수성 코어(11)의 측단(11SU) 사이의 교차점(P1)의 위치를 표시한다. 그 다음, 펜을 사용하여 도 23에 도시한 상태의 생리대(1)에 교차점(P1)을 통과하는 수평선(LH)을 표시한다. 자 등을 사용하여 수평선(LH)으로부터 각각 생리대(1)의 최상단(1U) 및 최하단(1L)까지의 길이(L3 및 L4)를 측정한다. 대안적으로, 수평선(LH)은 도 23의 상태의 생리대(1)의 전측 화상으로부터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특정하고, 길이(L3 및 L4)를 비교한다.
게다가, 자연 상태(도 22)에서, 전측 흡수성 본체(10F)는 제1중심(C1), 제2중심(C2) 및 제3중심(C3)을 가지며, 제1중심(C1)은 종방향 허리측(일측) 단부의 폭방향 중심이며, 제2중심(C2)는 전측 흡수성 본체(10F)를 2개의 부분으로 종방향으로 나누는 중심선의 폭방향 중심이며, 제3중심(C3)은 종방향 가랑이 측(기타 측) 단부의 폭방향 중심이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할 때(도 23),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1중심(C1) 및 제2중심(C2)을 연결하는 선(La)의 기울기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2중심(C2) 및 제3중심(C3)을 연결하는 선(Lb)의 기울기와 동일하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선(La 및 Lb)의 기울기가 동일하다는 사실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야 하며, 기울기가 5 도 이하의 오차를 갖는 경우 이들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선(La 및 Lb)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선(La 및 Lb)이 동일 선 상에 있다는 사실은 흡수성 본체(10)의 종방향 가랑이 측 부위(C2 내지 C3 범위 내의 부위)가 흡수성 본체(10)의 종방향 허리측 부위(C1 내지 C2 범위 내의 부위)에 대하여 기울여져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생리대(1)가 도 23의 상태에 있더라도, 흡수성 본체(10)는 종방향으로 가운데서 굽혀지지 않으며, 흡수성 본체(10)의 가랑이 측 부위는 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와 변기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하기 방법은 선(La) 및 선(Lb)의 기울기의 확인 방법으로서 언급된다. 우선, 펜을 사용하여 도 22에 도시한 자연 상태의 생리대(1)의 전측 비피부측 면에 대하여 제1중심(C1) 내지 제3중심(C3)의 위치를 표시한다. 그 다음, 도 23에 도시한 상태의 생리대(1)의 경우 펜을 사용하여 제1중심(C1) 및 제2중심(C2)을 연결하는 선(La) 및 제2중심(C2) 및 제3중심(C3)을 연결하는 선(Lb)을 표시한다. 그 후, 자 등을 사용하여 수평방향에 대하여 선(La) 및 선(Lb)의 기울기를 확인한다. 대안적으로, 도 23의 상태의 생리대(1)의 전측 화상을 촬영하여 얻은 화상 데이타에서 선(La 및 Lb)을 특정하고, 선(La 및 Lb)의 기울기를 비교할 수 있다.
게다가,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된 전측 생리대(1)로부터 보았을 때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한쌍의 폭방향 측단의 하측 단부(10SL) 아래에서(즉, 하측에 위치하는 다리 개구부(1b)로부터) 후측 흡수성 본체(10B)의 피부측 면이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탭(30)이 폭방향으로 내측 위치에서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되거나 또는 허리 후면부(20b)의 폭방향의 신축성을 감소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부재(20)가 허벅지를 감쌀 때 전측 흡수성 본체(10F)는 상측에 위치하므로, 생리대(1)를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흡수성 본체(10)를 허벅지 사이에서 잡아당기는 것을 더 쉽게 한다. 환언하면, 전측 흡수성 본체(10F)의 폭방향 양측을 잡아서 착용자가 잡아당기는 양은 감소되며, 이는 그 다음 동작으로 더 쉽게 이행하게 한다.
그러나, 도 23과는 반대로, 도 24의 변형예에 도시한 구성은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 생리대(1)를 전측에서 보았을 때 후측 흡수성 본체(10B)의 피부측 면이 흡수성 본체(10)의 한쌍의 폭방향 측단의 상측 단부(10SU)의 위에서(즉, 상측에 위치한 다리 개구부(1b)로부터) 보이는 것이 허용된다.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 외측의 위치에서 탭(30)이 허리 전면부(20f)와 교합되거나 또는 허리 후면부(20b)의 폭방향의 신축성을 증가시킨다.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비하여 변기에 근접하게 배치되기 더 쉬우며, 허벅지 아래를 통과하여 감싼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후측 흡수성 본체(10B)를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생리대(1)의 후방부와 변기가 접촉하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경우에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전측 흡수성 본체(10F)의 기울기는 도 23의 경우에서보다 더 작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벅지 사이에서 전측 흡수성 본체(10F)를 잡아당길 때(도 16C), 허벅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전측 흡수성 본체(10F)의 기울기는 작으며, 전측 흡수성 본체(10F)를 정렬하는 동작은 용이하다.
더욱이,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할 때(도 23), 계합부(32)(32A)의 폭방향의 반대측에 제공된 하측(또 다른 계합 부재)에 위치하는 탭(30)의 계합부(32)(32B)는 생리대(1)의 최하단(1L)의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반대 탭(30)(계합부(32B))은 허벅지 사이로부터 보이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는 반대측에 탭(30)을 전개 및 찢는 그 다음 동작을 의식하기 쉬우며, 그 다음 동작으로 쉽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생리대(1)를 유지할 때(도 23), 하부 탭(30)의 계합부(32)(32B)의 적어도 일부는 계합부(32)(32A)의 종방향 허리측 단부(32Aa)을 통과하는 연직선(LV)에 대하여 허리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반대측의 탭(30)(계합부(32B))은 착용자에 가까이 위치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앞으로 숙이지 않아도 단순히 아래를 보아서 반대측의 탭(30)(계합부(32B))을 찾을 수 있으며, 그 다음 동작으로 쉽게 이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기재된 생리대(1)의 착용 방법으로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싼 후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를 잡아당기면서 허리 전면부(20f)를 반대측의 탭(30)을 전개하여 찢는 방법이 기재되지만, 착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는 탭(30)을 반대쪽 허벅지 아래로부터 유지하고, 탭(30)을 허벅지 아래에서 전개하여 찢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찢어진 부위는 허벅지 아래로부터 허벅지에 감쌀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반대측의 탭(30)(계합부(32B))을 착용자에 가까이 위치하여 착용자가 탭(30)을 허벅지의 아래로부터 더 쉽게 유지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지만(대상 착용자는 또한 초경을 겪은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포함함), 흡수성 코어(11)는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갖는다. 엄밀히 말하자면,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체적은 비교적 작으며, 100 ㎤ 이상 250 ㎤ 이하이다.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체적은 "흡수성 코어(11)의 길이방향의 길이", "흡수성 코어(11)의 폭" 및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두께(도 12에서 톱 시트(11)로부터 비피부측 시트(21)까지의 두께)"를 곱하여 얻는다. 그러나, 흡수성 코어(11) 상에 적층된 시트의 두께는 흡수성 코어(11)의 두께보다 더 작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체적은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에 가깝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체적은 또한 간단히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으로 지칭한다.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을 250 ㎤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11)의 질량 및 치수(길이, 폭, 두께 등)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의 대부분의 중량을 차지하는 흡수성 코어(11)는 덜 늘어지게 되며,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의 우수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착용성도 또한 향상된다. 게다가, 착용자가 스스로 장착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예,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 경실금용 기저귀 등)의 경우 배설량은 간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비하여 더 작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이 100 ㎤ 이상 250 ㎤ 이하이더라도 배설액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코어(11)의 폭은 50 ㎜ 이상 10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11)의 폭을 100 ㎜ 미만으로 함으로써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코어(11)의 최하단의 위치(11L)(도 24 참조)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흡수성 코어(11)의 폭을 5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하고, 배설액의 측면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개 및 신장 상태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두께, 즉, 흡수성 코어(11) 상에 적층된 흡수성 코어(11) 및 시트의 총 두께는 5.5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흡수성 코어(11)의 체적과 유사하게, 흡수성 코어(11) 상에 적층된 시트의 두께는 흡수성 코어(11)의 두께보다 더 작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의 부위의 두께는 간단히 흡수성 코어(11)의 두께로 지칭한다.
흡수성 코어(11)의 두께를 5.5 ㎜ 미만으로 함으로써,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생리대(1)의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 코어(11)의 질량은 10 g 이상 4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11)의 질량을 40 g 이하로 함으로써,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코어(11)가 늘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흡수성 코어(11)의 질량을 10 g 이상으로 함으로써, 배설액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1)의 체적, 폭, 두께 및 질량의 측정 방법은 하기에 기재한다.
(1)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이 없는 정도로 생리대(1)를 전개 및 신장시키고, 길이방향(생리대(1)의 종방향)의 최대 길이는 흡수성 코어(11)를 평편하게 신장시키는 상태로 측정된다.
(2) 그 다음, 흡수성 코어(11)는 길이방향으로 3개의 영역 R1 내지 R3으로 분할한다(도 21 참조). 그 후, 길이방향에서 영역 R1 내지 R3의 중앙 위치에서 흡수성 코어(11)의 폭(W1 내지 W3)을 측정한다. 3개의 폭(W1 내지 W3)의 평균값은 흡수성 코어(11)의 폭(W)로 한다. 폭(W)는 50 ㎜ 이상 10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3) 그 다음, 흡수성 코어(11)의 두께(t1 내지 t3)는 흡수성 코어(11)를 길이방향에서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얻은 영역 R1 내지 R3의 각각의 중심(길이방향 및 폭방향에서의 중심)에서 측정한다. 3개의 두께(t1 내지 t3)의 평균값은 흡수성 코어(11)의 두께(t)(흡수성 코어(11)가 배치된 생리대(1) 부위의 두께)로 한다. 두께(t)는 5.5 ㎜ 미만이 바람직하다.
(4) 그 후, 흡수성 코어(11)의 길이를 폭(W) 및 두께(t)로 곱하여 얻은 값을 흡수성 코어(11)의 체적(흡수성 코어(11)를 배치한 생리대(1)의 부위의 체적)으로 한다. 체적은 100 ㎤ 이상 2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질량의 측정은 상기 기재된 치수를 측정한 후 수행한다. 우선, 톨루엔을 사용하여 생리대(1)를 구성하는 재료를 분리하고, 흡수성 코어(11)(코어 랩핑 시트 포함)를 취출한다. 분리된 흡수성 코어(11)를 24 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 흡수성 코어(11)(펄프 섬유, SAP, 코어 랩핑 시트 등)의 질량을 측정한다. 질량은 10 g 이상 4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흡수성 코어(11)가 늘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특히 생리대(1)의 둘로 접힘부(F)에서 흡수성 코어(11)의 폭방향 측면 모서리부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둘로 접힘부(F)에서 흡수성 코어(11)의 폭방향 측면 모서리부의 두께는 상기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흡수성 코어(11)의 두께(즉, 폭방향 중심부에서의 두께)보다 얇으며, 4 ㎜ 이하가 바람직하다. 게다가, 흡수성 코어(11)의 측면 모서리부의 두께는 상기 기재된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상이한 측정 개소에서 측정한다. 또한, 두께를 1개의 생리대(1)의 경우 2개의 개소(좌측 및 우측 측면 모서리부)에서 측정하고, 평균값은 흡수성 코어(11)의 측면 모서리부의 두께로 한다.
흡수성 코어(11)의 두께는 예를 들면 미츠도요 코포레이션(Mitutoyo Corporation)이 제조한 다이알 두께 게이지 ID-C1012C 또는 그의 등가예를 사용하여 대상 부위에 3.0 gf/㎠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측정한 값이다
게다가, 흡수성 코어(11)의 체적, 폭, 두께 및 질량의 측정과 관련하여, 복수(예, 5개)의 생리대(1)에 대하여 측정하고, 평균값을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하고자 하는 생리대(1)는 동일한 패치지에 포장된 생리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판지에 수용된 생리대 또는 동일한 제조 일자의 생리대일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살펴보면, 전개 및 신장된 상태에 있는 생리대(1)에서, 종방향(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에 따르는 방향)에서 생리대(1)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CL)까지의 길이(L6)는 200 ㎜ 이상 3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L6)를 350 ㎜ 이하로 함으로써, 허리 부재(20)로부터 가랑이측까지 연장된 생리대(1)의 부위의 길이는 적절하게 작게 한다. 따라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는 덜 늘어지게 되어 생리대(1)와 변기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길이(L6)를 2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생리대(1)는 성인에 핏팅되는 크기로 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의 폭은 흡수성 본체(10)의 폭보다 더 좁으며, 흡수성 본체(10)는 폭방향 측부에서 흡수성 코어(11)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폭방향으로 측부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강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싼 후,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회전시키고, 흡수성 본체(10)를 잡아당길 때 흡수성 본체(10)의 측부는 착용자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쉽게 정렬되며, 이는 허리 부재(20)를 더 쉽게 회전시킨다. 따라서, 생리대(1)의 착용성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한쌍의 탭(30)은 폭방향으로 허리 부재(20)의 양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5C 및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부재(20)를 양쪽 허벅지에 감싸서 생리대(1)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생리대(1)를 제거할 때, 생리대(1)는 탭(30)을 허리 전면부(20f)로부터 제거하여 허벅지 사이로부터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를 팬츠형으로 착탈시키는 경우와 달리, 다리 개구부(1b)를 통하여 생리대(1)를 착탈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착용자는 팬츠, 신발, 스타킹 등을 벗지 않고도 생리대(1)를 착탈시킬 수 있으며, 외출 시에도 생리대(1)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1개의 계합부(32)를 갖는 1개의 탭(30)(계합 부재)은 허리 부재(20)의 폭방향 일측에 제공되며, 1개의 계합부(32)를 갖는 1개의 탭(30)(또 다른 계합 부재)은 허리 부재(20)의 폭방향 타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1개의 탭(30)은 생리대(1)의 폭방향 양측 각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는 단지 폭방향 양측의 각각에 탭(30)(계합부(32))를 1회 계합시켜야 하며,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생리대(1)의 외관도 또한 향상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와 같이 스스로 장착하는 착용자를 위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경우 배설량은 작으며, 또한 배설 후 흡수성 코어(11)는 가볍다. 그러한 이유로,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생리대(1)는 간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계합부를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탭을 제공하거나 또는 1개의 계합부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탭을 제공하여 탭을 허리 전면부(20f)에 강하게 고정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어긋남이 더 적다.
그러나, 계합부(32) 및 탭(30)은 폭방향으로 각각의 양측에서 하나씩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탭(30)이 허리 부재(20)의 폭방향의 일측에만 제공되는 생리대(1)일 수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적어도 그의 폭방향 일측이 테이프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면 충분하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각각은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피부측 시트(22, 23); 및 종방향의 허리측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허리 탄성 부재(24)(예, 고무끈)를 포함한다. 도 11 및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각각은 적어도 폭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20E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리대(1)를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시킨다. 특히,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사용시(도 13B), 허리 전면부(20f)의 배측 접촉부(20fA)를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나, 배측 접촉부(20fA)를 한쌍의 탭(30)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외측으로 잡아당겨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시킨다.
게다가, 착용자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더 쉽게 잡아당기며, 이는 탭(30)이 배측 접촉부(20fA)를 허벅지에 더 쉽게 계합시킨다. 게다가, 피부측 시트(22, 23) 및 허리 탄성 부재(24)로 인하여,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는 폭방향으로 수축하여(허벅지에 핏팅되어) 생리대(1)가 덜 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생리대(1)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구성이 허용된다: 흡수성 코어(11)를 두께방향에서 중첩시킨 신축 영역(20EA) 내의 영역에서, 흡수성 코어(11)의 평탄성은 신축력을 감소시켜 보장된다. 예를 들면, 두께방향에서 흡수성 코어(11)를 중첩시킨 영역에서, 기타 영역에 비하여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23)의 접합부(용착부)의 면적률을 증가시켜 피부측 시트(22, 23)의 탄성 특성을 억제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는 흡수성 코어(11)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며, 흡수성 코어(11) 및 착용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허리 전면부(20f)는 신축 영역(20EA)의 폭방향 외측으로(탭(30)이 존재하는 측에서) 신축 영역(20EA)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저 신축 영역(20N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 신축 영역(20NA)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 전면부(20f)를 폭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이를 찢을 때 그 힘이 찢기는 부분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작은 힘으로도 찢을 수 있다. 생리대(1)가 절취선(26)을 갖는 경우, 절취선(26)은 각각 폭방향으로 해당 저 신축 영역(20NA)의 양측 사이에 배열된다. 이는 각각의 절취선(26)의 양측이 덜 신장되어 허리 전면부(20f)를 더 쉽게 찢는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의 절단 단부는 저 신축 영역(20NA)으로 인하여 덜 말리게 되며, 이는 탭(30)을 허리 전면부(20f)와 더 쉽게 계합시켜서 착용자는 허리 전면부(20f)의 절단 단부를 이물로서 덜 느끼게 한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는 적어도 폭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를 중첩시킨 영역에서 연속 신축 영역(20E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생리대(1)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비하여 변기에 가까이 배치되기가 더 쉬우며, 후방부가 허벅지 아래를 통과하여 감싸기 때문에 변기와 접촉되기가 쉽다. 따라서, 허리 후면부(20b)는 폭방향으로 한쌍의 사이드 접합부(40) 사이의 영역에서 연속 신축 영역(20E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후면부(20b)에서 신축성은 폭방향으로 광범위하게 부여되며, 허리 부재(20)를 착용자의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의 후방부가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허리 후면부(20b)는 그의 비피부측 면을 구성하는 비피부측 시트(21)를 갖지만, 도 11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피부측 시트(21)의 종방향 허리측 단부는 피부측으로 다시 접히며, 종방향 허리측 단부는 후측 흡수성 본체(10B)의 종방향 단부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후면부(20b)의 상단(허리측 단부)에서, 다수의 재료가 두께방향으로 적층되어 강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허리 부재를 허벅지에 감쌀 때 변기와 더 쉽게 접촉하게 되는 생리대(1)의 후방부(허리 후면부(20b))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생리대(1)의 후방부가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폭방향 측부에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샘 방지 벽 탄성 부재(141)(측부 탄성 부재)를 갖는다. 그러한 경우에서,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 중 어느 하나의 신축 영역(20EA)에서 폭방향에서의 응력(신축 응력)이 샘 방지 벽 탄성 부재(141)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길이방향에서의 응력(신축 응력)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의 신축 응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생리대(1)를 착용자의 허리로의 핏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가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신축 응력을 흡수성 본체(10)의 측부에서 억제함으로써 허벅지의 원주방향을 따라 허벅지를 감싸는 허리 부재(20)를 회전시 흡수성 본체(10)는 길이방향으로 덜 신장하게 되며, 이는 허리 부재(20)를 더 쉽게 회전시킨다. 생리대(1)의 경우 간호용 기저귀에 비하여 배설량이 더 작다. 따라서, 샘 방지 벽 탄성 부재(141)의 신축 응력이 약하더라도, 배설액을 차단하고, 측부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 또는 허리 후면부(20b)의 폭방향 신축 응력 및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 신축 응력 사이의 비교는 인장 시험기(예,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 AG-1KN1, 시마즈 코포레이션 등 제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우선, 허리 부재(20f)로부터 허리 전면부(20f)의 전체 신축 영역(20EA)(필요할 경우 저 신축 영역(20NA)을 제외한 영역) 또는 허리 후면부(20b)의 전체 신축 영역(20EA)을 절단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10)로부터 샘 방지 벽 탄성 부재(141)의 신장 부위 전체를 포함한 부위를 절단한다. 절단한 신축 영역(20EA)의 폭방향(신장방향) 길이×폭(신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길이) 및 길이방향(신장방향) 길이×절단한 샘 방지 벽 탄성 부재(141)의 신장 부위의 폭이 동일하도록(예, 200 ㎜×25 ㎜) 샘플을 준비한다. 그 후, 신장방향으로 각각의 샘플의 양단부를 척으로 조인다. 100 ㎜/min의 속도로 척 간격을 분리시키고, 샘플을 최대 신장 상태로 신장시킨 후, 샘플을 역전시켜서 샘플을 80%의 길이로 수축시킬 때 인장 하중(N/25 ㎜)을 얻는다. 인장 하중(N/2 ㎜)을 샘플의 응력(신축 응력)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이 허리 부위(20f 및 20b)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이한 경우 적어도 허리 부위(20f 및 20b)의 최대 응력이 흡수성 본체(10)의 측면의 응력보다 더 크면 충분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허리 부위(20f 및 20b)의 최소 응력은 흡수성 본체(10)의 측면에서의 응력보다 더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하는 복수의 흡수체 탄성 부재(15)를 갖는다. 흡수체 탄성 부재(15)는 각각 예를 들면 고무끈으로 생성되며, 흡수성 코어(11)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 시트(13a)에 대하여 비피부측(도 12에서 액불투과성 시트(13a) 및 소수성 시트(13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배열된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5개의 흡수체 탄성 부재(15)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수축하며,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들어올려지며, 이는 흡수성 본체(10)가 착용자의 가랑이(질구)와 가까이 쉽게 접하게 되어 배설액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10)를 피부측을 향하여 들러올림으로써,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흡수성 본체(10)가 변기와 접촉하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체 탄성 부재(15)의 신장 배율은 약 1.4 내지 3.3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배율은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의 길이를 자연 상태의 탄성 부재의 길이로 나누어 얻은 값으로 나타낸다. 흡수체 탄성 부재(15)의 신장 배율을 다소 강한 배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로부터 종방향의 가랑이측으로 연장하는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연장 부재)를 갖는다.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는 착용자의 하복부 및 둔부를 덮을 수 있으며, 생리대(1)의 외관은 향상된다. 그러나,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는 허리 부재(20)(허벅지)로부터 늘어지는 부위이다. 따라서,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가 변기와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에 다리 개구부(1b)를 따라 신축하는 다리 탄성 부재(25)(예, 고무끈 등)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 탄성 부재(25)는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가 폭방향으로 및 종방향으로 수축하게 한다. 따라서,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는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피부측 시트(22 및 23)는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사이드 접합부(40))를 넘어서 가랑이측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의 적어도 일부에서 신축성 피부측 시트(22 및 23)를 제공함으로써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전측 연장부(20fe) 및 후측 연장부(20be)는 덜 늘어지게 되어 변기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배열된 일부 탄성 부재(신축 영역)를 갖는다. 따라서, 생리대(1)는 자연 상태에서 전체가 수축되며, 생리대(1)의 전체 크기는 감소된다. 따라서, 생리대(1)는 허리 부재(20)를 허벅지에 감쌀 때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펼쳐지며,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으로 계합되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하기 구성이 바람직하다. 탭(30)에 포함된 계합부(32)는 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측 흡수성 본체(10F)의 폭방향 외측의 위치로 배치함; 및 전측 흡수성 본체(10F)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허리 개구부 측의 위치에 배치함. 즉, 탭(30)의 계합부(32)는 두께방향으로 전측 흡수성 본체(10F)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전측 흡수성 본체(10F)의 외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에서, 계합부(32)는 전측 흡수성 본체(10F)를 폭방향의 외측에 배치한다.
이는 팬츠형인 생리대(1)를 테이프형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착용자가 탭(30)(계합부(32))을 떼어낼 때 흡수성 본체(10)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10)의 흡수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는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만, 높은 강성을 갖는 흡수성 본체(10)에서 두께방향으로 중첩되는 부위에서 신축성은 감소된다(일부 경우에서, 신축성은 의도적으로 억제된다). 계합부(32)가 신축성이 감소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와 계합될 때 계합부(32)의 후크 부재는 허리 전면부(20f)의 섬유와 덜 얽힌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계합부(32)를 배치함으로써, 계합부(32)는 두께방향으로 흡수성 본체(10)와 중첩되지 않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와 더 쉽게 계합된다. 이는 계합부(32)의 후크 부재가 허리 전면부(20f)의 섬유와 쉽게 얽히게 되며, 탭(30)의 계합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생리대(1)를 패키지로부터 꺼낸 초기 상태가 도 22에 도시된 상태인 경우에서, 생리대(1)에서의 위치의 비교는 초기 상태에서 및 자연 상태에서 수행한다. 초기 상태가 도 22의 상태가 아닌 경우(예, 탭(30)이 접힌 경우), 생리대(1)에서의 위치의 비교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자연 상태의 허리 부재(20)에서) 탭(30)이 사이드 접합부(40) 등으로부터 폭방향의 내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허리 전면부(20f)와 계합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추가로, 생리대(1)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지만,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전면부(20f)의 종방향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종방향 길이(L2)는 비교적 짧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이 폭방향 내측으로 폐쇄되고, 허리 전면부(20f)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자연 상태의 생리대(1)에서, 허리 전면부(20f)의 종방향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종방향 길이(L2)는 하기와 같다. 우선, 폭방향에 대하여 탭(30)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20fC)의 최소 종방향 길이(L1)는 80 ㎜ 이상 150 ㎜ 이하이다. 또한, 탭(30)이 접합되어 있는 사이드 접합부(40)의 종방향 길이(L2)는 100 ㎜ 이상 160 ㎜ 이하이다.
탭(30)과 중첩되는 허리 전면부(20f)의 부위(20fC)는 착용자가 탭(30)을 전개시키고, 허리 전면부(20f)를 찢어서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쉽게 유지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부위(20fC)의 상하방향의 길이(L1)를 비교적 짧게 함으로써, 착용자는 부위(20fC)를 쉽게 유지하고, 허리 전면부(20f)를 허벅지의 전측까지 쉽게 잡아당긴다. 게다가,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 위의 허리 전면부(20f)를 위로부터 손으로 누를 때 허리 전면부(20f)의 종??항으로 광범위하게 손에 의하여 누를 수 있으며, 허리 전면부(20f)를 안정하게 배치하면서 탭(30)을 계합시킬 수 있다.
인공 지능 연구 센터에 의한 일본인의 손 크기 데이타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엄지와 검지의 지근으로부터 검지의 끝까지의 평균 길이는 여성의 경우 100.6 ㎜, 남성의 경우 109.7 ㎜ 및 양성(남성 및 여성)의 경우 107 ㎜이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의 치수(L1)를 150 ㎜ 이하로 하면, 착용자는 허리 전면부(20f)를 그의 상하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상을 잡거나 또는 누를 수 있다. 이는 탭(30)을 안정하게 계합시킬 수 있으며, 생리대(1)의 착용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허리 부재(20)는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부재이며, 허리 부재(20)는 착용자의 허리에 핏팅된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의 상기 기재된 치수(L1)는 80 ㎜ 이상으로 하며, 지나치게 짧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리대(1)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생리대(1)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허리 전면부(20f)와 유사하게 사이드 접합부(40)의 종방향 길이(L2)를 단축시킴으로써, 사이드 접합부(40)에 접합된 탭(30)의 종방향 길이도 또한 단축된다. 따라서,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탭(30)을 쉽게 잡는다. 그러나, 사이드 접합부(40)의 종방향 길이(L2)는 허리 전면부(20f)의 종방향 길이(L1)보다 약간 더 길며, 100 ㎜ 이상 160 ㎜ 이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탭(30)을 잡고, 생리대(1)를 허벅지의 아래로부터 잡아당길 때 종방향으로 가는 사이드 접합부(40)는 생리대(1)의 후방부의 종방향으로 광범위하게 당기는 힘을 쉽게 전달한다. 이는 생리대(1)의 후방부를 허벅지의 아래로부터 쉽게 잡아당긴다. 그러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허리 전면부(20f)의 종방향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종방향 길이(L2)는 동일할 수 있다.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길이(L2)를 그와 같은 방식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생리대(1)를 스스로 장착할 때 착용성이 향상된다. 착용자가 스스로 착용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경우(예, 본 실시양태의 생리대(1) 및 경실금용 기저귀 등), 흡수성 코어(11)는 더 작으며, 배설 후 흡수성 코어(11)는 또한 간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비하여 더 가볍다. 따라서,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길이(L2)가 단축되더라도,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덜 어긋난다.
더욱이, 허리 전면부(20f)의 길이(L1) 및 사이드 접합부(40)의 길이(L2)를 단축시킴으로써,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를 허벅지에 감쌀 때 생리대(1)(특히 흡수성 본체(10))는 덜 늘어지게 된다. 이는 생리대(1)가 변기와 덜 접촉하게 되며, 이는 생리대(1)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생리대(1)의 형상은 속옷과 유사하므로, 생리대(1)의 외관 또한 향상된다.
기타
예를 들면,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서, 허리 부재(20)에 신축성을 갖는 피부측 시트(22, 23)를 제공함으로써, 폭방향의 신축성이 허리 부재(20)에 부여된다.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실과 같은 탄성 부재(고무끈 등)는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신축성을 허리 부재(20)에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하기 조건 중 모두를 충족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기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족하여야 한다: 흡수성 코어(11)의 체적은 100 ㎤ 이상 250 ㎤ 이하이며; 계합부(32)의 중심선(CL1)이 수평이 되도록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11)은 제품의 최하단의 위에 배치되며; 수평선(LH)(도 23 참조)으로부터 제품 최하단까지의 길이는 수평선(LH)으로부터 제품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짧으며; 제1중심(C1) 및 제2중심(C2)을 연결하는 선(La)의 기울기는 제2중심(C2) 및 제3중심(C3)을 연결하는 선(Lb)의 기울기와 동일하다.
게다가, 허리 전면부(20f) 및 허리 후면부(20b)는 용착 등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드 접합부(40)에 의하여 접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들은 약한 접착제로 서로 접착될 수 있거나 또는 허리 부재(20) 및, 허리 부재(20)와 계합되는 후크 부재 또는, 후크 부재 및 후크와 루프 파스너의 암 부재에 의하여 계합될 수 있다. 게다가, 후크 부재는 탭(계합 부재)의 계합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양태를 상기에 기재하긴 하였으나, 본 개시내용의 상기 실시양태는 단지 본 개시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은 그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될 수 있으며, 그의 등가예를 포함한다.
1 생리대 (팬츠형 흡수성 물품)(본 실시양태),
1a 허리 개구부, 1b 다리 개구부,
10 흡수성 본체,
11 흡수성 코어,
12 톱 시트,
13 백 시트,
13a 액불투과성 시트, 13b 소수성 시트,
14 샘 방지 벽 부분, 141 샘 방지 벽 탄성 부재 (측부 탄성 부재),
20 허리 부재,
20f 허리 전면부, 20fA 배측 접촉부,
20fB 비분리부, 20fc 중첩 영역
20fe 측면 모서리부, 20fup 상측 가장자리,
20fdw 하측 가장자리, 20b 허리 후면부,
20EA 저 탄성부, 신축 영역,
20NA 고 탄성부, 저 신축 영역,
21 비피부측 시트, 22 피부측 시트, 23 피부측 시트,
24 허리 탄성 부재, 25 분리부,
26 절취선, 27 다리 탄성 부재,
30 탭(계합 부재, 기타 계합 부재),
30T 돌출부,
31 기재 시트, 32 계합부, 33 압착부,
40 사이드 접합부(접합부)
50 흡수체 탄성 부재,
CL 중앙 위치

Claims (54)

  1.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되고,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 전면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가 접합되어 있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허리 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허리 전면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허리 전면부가 상기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주위보다 탄성 계수가 더 큰 영역인 고 탄성부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계합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허리 전면부가,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 상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상측 영역에 또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상하방향 하측 영역에 상기 고 탄성부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연 상태에서, 상기 허리 전면부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계합 부재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 길이의 최소값이 80 ㎜ 이상 15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이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기 고 탄성부에 제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의 좌우방향 양측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의 좌우방향 양측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며,
    자연 상태에서, 상기 접합부 각각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절취선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상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절취선 내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상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절취선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위치하며,
    상기 절취선의 상단이 상기 계합 부재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절취선의 하단이 상기 계합 부재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8. 제4항에 있어서,
    자연 상태에서, 상기 고 탄성부가 상기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10 ㎜ 이상의 길이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에서, 상기 계합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계합 부재의 내측단까지의 길이가 5 ㎜ 이상 5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한쌍의 계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계합 부재는 각각 상기 좌우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허리 전면부에 접합되며,
    평면에서 보아, 상기 허리 전면부는, 상기 허리 전면부가 상기 한쌍의 계합 부재와 각각 중첩하는 영역인, 상기 좌우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고 탄성부를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 탄성부 사이에, 상기 고 탄성부보다 탄성 계수가 더 작은 저 탄성부가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계합부가 상기 허리 전면부에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 탄성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계합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부분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에서 상기 계합 부재의 최대 길이가 20 ㎜ 이상 12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는, 좌우방향 일측 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를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상기 절취선을 따라 분리한 후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기 비피부측 면에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상하방향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4.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 전면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좌우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에서 상기 허리 부재에 접합되며,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부위의 최소 상하방향 길이가 80 ㎜ 이상 150 ㎜ 이하이며,
    상기 좌우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상하방향 길이가 100 ㎜ 이상 16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15. 서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부재; 및
    상기 허리 부재의 좌우방향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 전면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좌우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된 분리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배측 접촉부의 일측 단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허리 후면부의 일측 단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는,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의 단부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기 배측 접촉부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배측 접촉부의 상기 일측 단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허리 후면부의 상기 일측 단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기 배측 접촉부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에 펼쳐진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전측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좌우방향 일측 단으로부터 상기 배측 접촉부의 일측 단까지의 길이가 50 ㎜ 이상 200 ㎜ 이하이며,
    후측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좌우방향 일측 단으로부터 상기 계합 부재의 좌우방향 일측 단까지의 길이가 100 ㎜ 이상 30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상기 배측 접촉부의 하단부가 상기 배측 접촉부의 상단부보다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9.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는,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의 단부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배측 접촉부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허리 후면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에 펼쳐진 상태 및 자연 상태에서,
    상기 배측 접촉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허리 전면부의 부위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계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0.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는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
    상기 신축 영역보다 더 낮은 신축성을 갖는 저 신축 영역; 및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저 신축 영역은 상기 신축 영역보다도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저 신축 영역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절취선으로부터 상기 저 신축 영역의 좌우방향으로 위치하는 타측 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절취선까지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22.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허리 부재의 양측에 상기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 중 1개가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허리 부재의 양측 각각에 제공되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하나의 계합부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4.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전측 상단까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계합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허리 후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코어의 후측 상단까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계합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짧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26.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측 면의 색과 상기 계합 부재의 비피부측 면의 색이 유사하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계합부가 배치된 영역에서, 각각 상기 계합 부재가 두께방향으로 압착된 부위인 복수의 압착부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7.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좌우방향의 내측을 향해 갈수록 상기 계합 부재의 상하방향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길이가 200 ㎜ 이상 35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29.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의 내측단의 위치에서,
    상기 계합 부재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허리 전면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중첩하여 위치하는 상기 허리 전면부의 부위의 상하방향 최소 길이가 상기 계합부의 상하방향 최대 길이보다 더 긴 팬츠형 흡수성 물품.
  30.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부재는, 적어도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중첩하여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1.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좌우방향으로 상기 계합 부재의 최대 길이가 20 ㎜ 이상 12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32.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허리 전면부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계합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상기 좌우방향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3.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상기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
    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상기 흡수성 코어의 최하단이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4.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상기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고,
    둘로 접힘부에서 상기 전후방향으로 1회 접힌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상기 둘로 접힘부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전측의 폭방향 양측단 중 상측단과 교차하는 지점을 관통하는 수평선에 관하여,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상기 수평선으로부터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까지의 연직방향 길이가 상기 수평선으로부터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상단까지의 상기 연직방향 길이보다 더 짧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35.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상기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측이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인 제1중심,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측을 종방향으로 2분하는 중심선의 폭방향 중심인 제2중심, 및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인 제3중심을 가지며,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일측 단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타측 단의 폭방향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상기 제1중심과 상기 제2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상기 제2중심과 상기 제3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와 동일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측의 피부측 면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한쌍의 폭방향 측단 중 하측단보다 하측에 보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7.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측의 피부측 면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한쌍의 폭방향 측단 중 상측단보다 상측에 보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8.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으로 상기 계합 부재의 반대측의 위치에 다른 계합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상기 다른 계합 부재의 계합부가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최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9.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으로 상기 계합 부재의 반대측의 위치에 다른 계합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중심선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유지할 때, 상기 다른 계합 부재의 계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계합부의 종방향 허리측 단부를 통과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허리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0. 서로 교차하는 종방향, 폭방향, 및 전후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 상에 적층된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를 갖는 허리 부재;
    상기 허리 전면부에 탈착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계합 부재를 포함하는 성인용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부위의 체적이 100 ㎤ 이상 25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41.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이 50 ㎜ 이상 100 ㎜ 미만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42.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부위의 두께가 5.5 ㎜ 미만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43.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질량이 10 g 이상 40 g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44.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에 포함된 상기 계합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측보다 상기 폭방향으로 외측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측보다 상기 종방향으로 허리측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5.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부재의 폭방향 일측에, 1개의 계합부를 갖는 1개의 계합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허리 부재의 폭방향 타측에, 1개의 계합부를 갖는 다른 계합 부재가 제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6.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는 상기 종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가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종방향으로 찢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허리 전면부의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보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7.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가, 적어도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중첩하여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8.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의 폭방향 양측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의 폭방향 양측부가 한쌍의 접합부에 접합되며,
    상기 폭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접합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허리 후면부가, 상기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연속 신축 영역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9.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 및 신장 상태에 있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일측 단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길이가 200 ㎜ 이상 350 ㎜ 이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50.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흡수체 탄성 부재를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1.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허리 전면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가랑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를 가지며,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2.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후면부는 상기 허리 후면부의 비피부측 면을 구성하는 비피부측 시트를 가지며,
    상기 비피부측 시트의 종방향 허리측 단부가 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여, 상기 흡수성 본체의 종방향 단부를 상기 피부측으로부터 덮고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3.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폭방향으로 측부에 상기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4. 제33항 내지 제35항 및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전면부 및 상기 허리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폭방향으로 측부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측부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허리 전면부 및 허리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신축 영역에서의 상기 폭방향의 응력이 상기 측부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상기 길이방향의 응력보다 더 큰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1020237041291A 2021-06-29 2022-05-31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20240023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8180A JP2023005913A (ja) 2021-06-29 2021-06-29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21108178A JP2023005911A (ja) 2021-06-29 2021-06-29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21108179A JP2023005912A (ja) 2021-06-29 2021-06-29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JP-P-2021-108179 2021-06-29
JPJP-P-2021-108180 2021-06-29
JPJP-P-2021-108178 2021-06-29
PCT/JP2022/022154 WO2023276530A1 (ja) 2021-06-29 2022-05-31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508A true KR20240023508A (ko) 2024-02-22

Family

ID=8469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291A KR20240023508A (ko) 2021-06-29 2022-05-31 팬츠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23508A (ko)
TW (1) TW202312958A (ko)
WO (1) WO20232765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197A (ko) 2009-06-05 2010-12-1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소형가정기기에 대한 연료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152B2 (ja) *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4538045B2 (ja) * 2006-11-30 2010-09-08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紙おむつ
JP5014452B2 (ja) * 2010-03-31 2012-08-2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19691B2 (ja) * 2013-11-14 2017-10-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839760B1 (ja) * 2015-08-31 2016-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9187928A (ja) * 2018-04-26 2019-10-3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軟便漏れ防止用吸収性パッド
JP2021083694A (ja) * 2019-11-27 2021-06-03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197A (ko) 2009-06-05 2010-12-1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소형가정기기에 대한 연료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2958A (zh) 2023-04-01
WO2023276530A1 (ja)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9043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otected fastening system
EP1600132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djustable and prefastening tape
KR20080007475A (ko) 일회용 기저귀
US20040236300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stretchability
JP2009125087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0527739A (ja) 転用可能な吸収用品
JPH10512480A (ja) 改良廃棄手段を備えた使い捨て排泄しつけ用パンツ
EA037225B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556679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EP1529506B1 (en) Disposal means on an absorbent diaper
KR20240023508A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JP3229304U (ja) 吸収性物品
JP4212519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4057974A1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WO2019235316A1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の製造方法
CN117479910A (zh) 内裤型吸收性物品
WO2022004790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90161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23005912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3095602A1 (ja) 吸収性物品
JP202300591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461237B2 (ja) スカート付き使い捨ておむつ
JP2023005807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3210618U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852203B2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