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275A -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275A
KR20240023275A KR1020220100704A KR20220100704A KR20240023275A KR 20240023275 A KR20240023275 A KR 20240023275A KR 1020220100704 A KR1020220100704 A KR 1020220100704A KR 20220100704 A KR20220100704 A KR 20220100704A KR 20240023275 A KR20240023275 A KR 20240023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tetracaffeoylglucaric
obesity
preventin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신유경
김현재
류제식
안혜신
나창선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275A/ko
Publication of KR2024002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에 유래한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비만 및 대사성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비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세계 각국에서 빠르게 증가하지만 의학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매우 심각한 질환이다. 세계 보건기구 (WHO)는 체지방 지수 (BMI: Body Mass Index) 30 이상을 비만으로 규정했는데, OECD 회원국 평균 비만율은 19.5%로 나타났으며, 그 비율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비만은 유전적 원인 또는 생활습관상의 원인에 의한 체내 지방의 과잉축적 상태를 말하며, 성인병, 만성퇴행성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여 선진국의 경우 총 국민의료비의 2 ~ 7%가 과체중 및 비만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비만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장애와 과다한 지방 축적으로 생기는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등 2차적인 합병증이 문제가 된다.
2013년 WHO에서 비만을 21세기의 새로운 전염병으로 명시함을 비롯하여 전 세계가 비만과의 전쟁을 선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비만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비만방지를 위해 개개인의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것은 복잡한 산업 정보화 속에서 바쁜 생활을 영위하는 개개인에게 완벽한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항비만 및 비만치료의 영역에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비만에 대한 의·생물학적 기초연구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비만의 증가 사실은 이 두가지 요인 간의 괴리를 보여준다. 따라서, 보다 접근이 용이하고 장기간 항비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식품류 및 화장품류의 개발 및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3T3-L1 Adipocyte(전지방세포)는 분화 과정에서 많은 전사인자들을 활성화시켜 지방을 축적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분화인자로는 C/EBPa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및 이에 의해 유도되는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가 있다. 이런 상위 인자들의 발현으로 하위 여러 단백질이 합성되는데, 이러한 단백질들은 우리 몸에 해로운 중성지방 (Triglyceride)의 합성 및 저장 기능을 촉진시켜 세포내 많은 지방을 축적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금불초(Inula japonica)는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잎 부위가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생약명으로 구아선복하라고 하며 꽃은 약용하고 잎은 식용으로, 특히 잎은 거담, 진해, 진정등에 예로부터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756149호에서는 위궤양 치료 효능을 갖는 금불초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는 분자량 858.71의 C42H34O20 화학식을 가지며, 금불초 (Inula japonica) 추출물에서 신규로 발견되어 기능성이 밝혀 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금불초 추출물에서 유래한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가 지방형성 억제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음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98041
일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1]
.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는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금불초 추출물은 그 수목의 지상부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로부터 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일부분은 수목의 줄기, 뿌리, 잎, 꽃, 꽃잎, 종실(씨앗), 과육, 열매 껍질 또는 열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잎일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된 상기 수목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는 분쇄 또는 세절되거나 적당하게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금불초 추출물은 종래에 천연식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이용된 열수추출, 용매추출, 증류추출, 초임계 추출 등 어떠한 추출방법으로도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수용액의 알코올 농도는 1 내지 99.5 (v/v)%, 예를 들면,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v/v)%, 5 내지 50(v/v)%, 5 내지 40(v/v)%, 10 내지 50(v/v)%, 또는 10 내지 40(v/v)%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금불초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50 (w/w)배, 예를 들면, 3 내지 40 (w/w)배, 3 내지 30 (w/w)배, 5 내지 50 (w/w)배, 5 내지 40 (w/w)배, 5 내지 30 (w/w)배, 또는 4 내지 40(w/w)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불초 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50 kg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환류냉각 추출, 수증기 증류, 고압효소분해, 초음파 추출, 용출, 압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 ℃ 내지 90 ℃, 예를 들면, 4 ℃ 내지 80 ℃, 4 ℃ 내지 70 ℃, 5 ℃ 내지 80 ℃, 10 ℃ 내지 70 ℃, 15 ℃ 내지 70 ℃ 또는 20 ℃ 내지 70 ℃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 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1 시간 내지 10 시간, 2 시간 내지 1개월, 2 시간 내지 15일, 2 시간 내지 10일, 2 시간 내지 5일, 2 시간 내지 3일, 2 시간 내지 2일, 2 시간 내지 1일 또는 2 시간 내지 10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금불초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는 금불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금불초 추출물의 분획물 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fraction)은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상기 2,3,4,5-tetracaffoylglucaric acid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그 조합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0.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6 내지 15 중량%, 8 내지 15 중량% 또는 7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는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는 지방형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2,3,4,5-tetracaffoylglucaric acid가 지방형성을 억제시키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여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시키고, 비만을 원인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 또한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용어 "비만(obesity)"은 체지방이 과도한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체중이 정상치보다 높은 경우를 의미하지만 체중이 많이 나가지 않더라도 몸의 구성성분 중 체지방의 비율이 높은 경우 비만이라고 진단하며,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서 발병하는 질환을 말한다.
또 다른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
용어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은 에너지 과잉 섭취 또는 호르몬 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체내 에너지 대사가 비정상적으로 일어나 지방이 과다하게 합성되거나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비만에 의해 대사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이상지질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용어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허용가능한 염"이란, 일 양상에 따른 특정 화합물과 비교적 무독성인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해서 조제되는 염을 의미한다. 상기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 관능기를 포함할 때, 순수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충분한 양의 염기를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와 접촉시킴으로써 염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민, 혹은 마그네슘의 염 또는 유사한 염이 포함된다. 상기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염기성 관능기를 포함할 때, 순수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충분한 양의 산을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와 접촉시킴으로써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은 염산, 브롬화 수소산, 질산, 탄산, 탄산 수소 이온, 인산, 인산 1수소 이온, 인산 2수소 이온, 황산, 황산 수소 이온, 요오드화 수소산 또는 아인산 등의 무기산의 염, 그리고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안식향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술폰산, p-톨릴술폰산, 구연산, 주석산, 메탄술폰산 등의 유기산의 염을 들 수 있고, 나아가 아미노산(예를 들면 아르기닌 등)의 염 및 글루쿠론산 등의 유기산의 염도 포함된다.
상기 허용 가능한 염은 산성 또는 염기성 부분을 포함하는 모체 화합물로부터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수중 또는 유기 용매 중 또는 이 2종의 혼합물 중에서, 이들 화합물의 유리산 또는 염기의 형태를 화학량론적으로 적량인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켜서 조제된다. 일반적으로 에테르, 아세트산에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비수성 매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및 개선,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및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
또 다른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
또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이상지질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체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모체 화합물의 염은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 염기성 또는 산성 모이어티(moiety)를 함유하는 모체 화합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이들 화합물의 자유 산 형태를 적절한 염기, 예를 들어,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또는 칼륨의 화학양론량과 반응시킴으로써 또는 이들 화합물의 자유 염기 형태를 적절한 산의 화학양론량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수중 또는 유기 용매 중 또는 둘의 혼합물 중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실시 가능한 경우,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비수성 매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산 또는 염기의 부가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를 모두 포함하며, 예컨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염에는 투여 대상에서 모체 화합의 활성을 유지하며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유발하지 않는 염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염에는 무기염과 유기염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아세트산, 질산, 아스파트산, 술폰산, 설퓨릭산, 말레산, 글루탐산, 포름산, 숙신산, 인산, 프탈산, 탄닌산, 타르타르산, 히드로브롬산, 프로피온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스테아르산, 락트산(lactic acid), 비카르본산, 비설퓨릭산, 비타르타르산, 옥살산, 부틸산, 칼슘 이데트, 카르보닉산, 클로로벤조산, 시트르산, 이데트산, 톨루엔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셉트산, 에실린산, 파모익산, 글루코닉산, 메틸니트릭산, 말론산, 히드로클로린산, 히드로요도익산, 히드록시나프톨산, 이세티온산, 락토비오닉산, 만델산, 점액산, 나프실릭산, 뮤코닉산, p-니트로메탄설포닉산, 헥사믹산, 판토테닉산, 모노히드로겐인산, 디히드로겐인산, 살리실산, 술파민산, 술파닐린산, 메탄술폰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의 형태로는, 암모늄염, 리튬염, 소듐염, 포타슘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과 같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의 염, 예를 들어, 벤자틴, N-메틸-D-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염과 같은 유기 염기를 갖는 염, 및 아르기닌, 리신과 같은 아미노산을 갖는 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 형태는 적당한 염기 또는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유리 형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체로의 투여 시에 몇몇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는 분자 또는 화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는 진단적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개선; 질병, 증상,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 및 일반적으로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대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비만 및 대사성 질환에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예방(prevention)"은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 또는 재획득을 막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증상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 예를 들어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
용어 "개선"이란 상태의 완화 도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시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Nasal), 흡입, 안구 및 피하와 같은 경구 이외의 투여경로를 통한 투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을 개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약학적 활성 성분의 종류는 항암제, 조영제(염료), 호르몬제, 항호르몬제, 비타민제, 칼슘제, 무기질 제제, 당류제, 유기산 제제, 단백질 아미노산 제제, 해독제, 효소 제제, 대사성 제제, 당뇨 병용제, 조직 부활 용약, 클로로필 제제, 색소제제, 종양 용약, 종양 치료제, 방사성 의약품, 조직 세포 진단제, 조직 세포 치료제, 항생 물질 제제, 항바이러스제, 복합항생물질제제, 화학요법제, 백신, 독소, 톡소이드, 항독소, 렙토스피라혈청, 혈액 제제, 생물학적 제제, 진통제, 면역원성 분자,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용약, 비특이성 면역원 제제, 마취제, 각성제, 정신 신경 용제, 저분자 화합물, 핵산, 앱타머, 안티센스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펩타이드, siRNA 및 마이크로 R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리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탄수화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1일 1 ug/kg/일 내지 1,OOO mg/kg/일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치유를 필요로 하거나 체중을 줄이려는 욕구가 있는 개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1]
.
상기 비만 예방 또는 개선은 셀룰라이트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셀룰라이트(cellulite)"는 과도한 지방과 노폐물의 축적으로 인한 순환장애로 인하여 특히 허벅지나 엉덩이 부분에서 지방이 군데군데 튀어나와 보이는 것을 말한다. 셀룰라이트의 발생원인은 근본적으로 지방세포의 증가 또는 비대에 원인이 있다.
용어 "셀룰라이트 예방 또는 개선"이란 셀룰라이트의 부피가 작아지는 것, 셀룰라이트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 셀룰라이트가 제거되는 것, 셀룰라이트 및 그 주위가 편평하여지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셀룰라이트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로 인해 상기 조성물은 바디 슬리밍 효과가 있다. 용어 "바디 슬리밍"이란 지방이 피하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바디 라인에 있어, 지방이 고르게 재분포되도록 촉진하는 것,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붓기를 제거하여 결과적으로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국소 비만 상태의 개선, 지방 세포 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배출시켜 주는 것, 지방 세포 내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체액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손세정제,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및 시트를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 점증제, 방부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담체, 향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토코페릴아세테이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등), 방부제(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르페네신 등), 착색제, pH 조절제(트리에탄올아민, 씨트릭애씨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 보습제(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헥실렌 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베타인, 글리세레스-26, 메칠글루세스-20 등), 윤활제 등의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성분들을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배합 성분 및 방법은 통상의 기술에 따를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상기 발명에 대해 기술한 용어 및 방법 등은 각 발명들 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 양상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 유래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비만 및 대사성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의 1H-NMR(DMSO-d6, D2O) 스펙트럼이다.
도 2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의 MS negative스펙트럼이다.
도 3은 금불초 추출물 및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의 HPLC 스펙트럼이다.
도 4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의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불초( Inula japonica )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금불초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국내에서 자생하는 금불초를 구입하여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후,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켰다. 그 후, 완전히 건조된 건조물에 30% 발효주정(30배,w/w) 900kg을 준비한 후, 상기 건조물을 30 kg 첨가하였다. 이때, 건조물과 30%발효주정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30 배수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물과 혼합한 30%발효주정을 항온 수조에 넣어서 80 ℃, 5시간 동안 교반추출 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하우징필터 (10 um)로 여과 후 감압 농축을 통하여 황갈색의 수용성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의 제조
실시예 1로 얻어진 추출 분말에 1배수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Diaion HP-20 레진을 사용해 gel filteration을 실시하였다. 전개용매는 [증류수 : 메탄올 = 1 : 0 ~ 0 : 1]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용매분획 하였으며 9개의 소분획(Fr.1~9)으로 나누었다. 이중 소분획 5을 Sephadex LH-20 레진을 사용해 gel filteration을 실시하였다. 전개용매는 [메탄올 : 증류수 = 7 : 3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용매분획 하여 총 10개의 소분획(Fr.5-1~10)으로 나누었다. 그중 소분획 5-9을 Silica gel 레진을 사용해 gel filteration을 실시하였다. 전개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 : 증류수 = 7 : 3 : 0 ~ 0 : 0 : 1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용매분획 하여 총 5개의 소분획(Fr.5-9-1 ~ 5)으로 나누었다. 그중 소분획 5-9-4 에서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 화합물 1 (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단일물질을 순수하게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 1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1H-NMR(도 1 참조)과 MS negative spectrum(도 2 참조)을 확인하였다. 1H-NMR(도 1 참조)의 결과 C-2,3,4,5에 caffeoyl 기가 4개 붙은 glucaric acid 임을 알 수 있었고, MS negative spectrum 상 [M-H]- = 857 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문헌과 비교하여 볼때, 화합물 1이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엑시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Zheng X, et al. The genus Gnaphalium L. (Compositae):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Molecules. 2013 Jul 15;18(7):8298-318.)
실험예 1: 금불초 추출물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 함량분석
상기 실시예 1로 얻어진 추출 분말과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와 자외부흡광도검출기 (UV/Vis detector)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HPLC 기기는 Waters e2695 Series system, Waters 24489 UV/Vis detector(Worcester, MA, USA),X select C18(5 μm, 250 Х 4.6 mm, waters, Milford, Massachusetts, USA)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모든 용매는 J.T. Baker(Phillipsburg, NJ, USA)로부터 구입한 HPLC급 용매를 사용하였다. 분석 시 컬럼의 온도는 35℃, 주입 용량은 10㎕, 측정 파장은 325nm로 설정하였다. 이동상은 0.1% 포름산 아세토니트릴(0.1% formic acid ACN)과 0.1% 포름산 3차 증류수(0.1% formic acid D.W)를 사용하였으며, 0.7㎖/분 의 속도로 ACN -D.W (0:10 - 10:0, v/v) 혼합 용액을 50분간 분석하였다. 분석 시료는 실시예 1로 얻어진 추출 분말 100 mg을 정밀히 칭량하여 메탄올 10㎖을 가한 후 20분간 초음파 진탕기에 넣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 후 상등액을 취해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사용하였으며, 2,3,4,5-테트라카페오일클루카릭 엑시드는 1 mg을 정밀히 칭량하여 메탄올 2㎖을 가한 후 20분간 초음파 진탕기에 넣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 후 메탄올을 가하여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석시료는 325 nm에서 크로마토그램을 추출하여 금불초 추출물 및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 피크를 비교 분석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물질 처리에 따라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3T3-L1을 96-웰 플레이트 상에 24시간동안 부착시켜 안정화시켰다. 이후 각 농도 시료를 처리한 배지로 교환하여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는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Oil Red O 염색을 통한 지방축적 억제 평가
본 실험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3T3-L1 세포를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10% BS 배지에서 세포밀도가 10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세포의 분화단계에서 10% FBS 분화배지 (Insulin 5μg/ml, Dexametasone 1μM, 3-Isobutyl-1-methylxanthine 0.5mM; 이하 도면에서 분화배지는 DM으로 표시)에 각각 25 ppm 및 50 ppm, 100ppm 농도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처리하였다. 8일 후 Oil Red-O 염색 및 정량 분석을 통하여 지방의 축적을 얼마나 억제할 수 있는지 측정하였다. 육안평가를 위해 염색 후 이미지 촬영을 하였으며, 이후 염색시킨 세포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DMSO (Dimethyl Sulfoxide)로 용해시켜 96-웰 플레이트로 옮겨 450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가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시키고, 비만을 원인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 또한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형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에 대하여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1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 중량 (mg)
실시예 2 10.0000
이산화규소 15.30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0.8000
결정셀룰로오스 799.4951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9.070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27.0000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6930
이산화티타늄 1.4697
홍국적색소 4.4082
분말카라멜색소 1.7640
제형예 2: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에 대하여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2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연질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 중량 (mg)
실시예 2 10
비타민 E 2.25
비타민 C 2.25
팜유 0.5
식물성 경화유 2
황납 1
레시틴 2.25
연질캡슐 충진액 427.75
제형예 3: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에 대하여 기호에 적합한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3의 성분을 혼합하고 과병 또는 파우치에 충전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실시예 2 0.5050
산탄검 0.0075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쌍화농축액 1.5000
홍삼향 0.0450
정제수 11.1425
원료명 단위중량 (g)
실시예 2 0.5050
산탄검 0.0075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쌍화농축액 1.5000
홍삼향 0.0450
정제수 11.1425
제형예 4: 젤리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에 대하여 기호에 적합한 젤리 제조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4의 성분을 혼합하고 삼면포에 충전하여 젤리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실시예 2 0.5000
푸드겔 0.3600
카라기난 0.0600
젖산칼슘 0.1000
구연산나트륨 0.06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정제수 15.4560
제형예 5: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에 대하여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 량 (%)
실시예 2 0.2
시토 스테롤 4.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3.0
세테아레스-4 2.0
콜레스테롤 3.0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선플라우어오일 22.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조성비는 일반적으로 적합한 성분을 혼합하여 제형예로 조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배합비 및 원료를 임의로 변경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이에 유래하는 성분은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므로 제형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1]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는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는 지방형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및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1]
    .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이상지질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1]
    .
  10. 하기 화학식 1로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1]
    .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이상지질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하기 화학식 1로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2,3,4,5-tetracaffeoylglucaric acid)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1]
    .
KR1020220100704A 2022-08-11 2022-08-11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40023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04A KR20240023275A (ko) 2022-08-11 2022-08-11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04A KR20240023275A (ko) 2022-08-11 2022-08-11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275A true KR20240023275A (ko) 2024-02-21

Family

ID=9005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704A KR20240023275A (ko) 2022-08-11 2022-08-11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2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8041A1 (en) 2018-09-24 2020-03-26 Comenity Llc Determining attribution for an electronic credit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8041A1 (en) 2018-09-24 2020-03-26 Comenity Llc Determining attribution for an electronic credit appl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256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8698A (ko)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3275A (ko) 2,3,4,5-테트라카페오일글루카릭 엑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40023274A (ko) 아피게닌-7-오-글루크로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082974A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4585227B2 (ja) 痩身用キット
KR20230010116A (ko) 멸가치 추출물 또는 네오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22782B1 (ko)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23080725A1 (ko)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너지 대사 촉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61431B1 (ko) 회향 추출물 및 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
KR20230008956A (ko) 멸가치 추출물 또는 네오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10115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02445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0429B1 (ko) 필로둘신(Phyllodulc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또는 모발의 멜라닌 색소 조절용 조성물
KR20220165545A (ko) 3,3',4-tri-O-methylellag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9394801A (zh) 含有栗寄生提取物的用于抑制糖基化终产物的生成及促进糖基化终产物的分解的组合物
KR101356213B1 (ko)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5920A (ko) 대황 추출물 또는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너지 대사 촉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04170A (ko)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151027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KR20220008930A (ko) 바닐라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