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724A -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724A
KR20240022724A KR1020220101120A KR20220101120A KR20240022724A KR 20240022724 A KR20240022724 A KR 20240022724A KR 1020220101120 A KR1020220101120 A KR 1020220101120A KR 20220101120 A KR20220101120 A KR 20220101120A KR 20240022724 A KR20240022724 A KR 2024002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rame
press
frame
fitte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산
오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트
Priority to KR102022010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724A/ko
Publication of KR2024002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2012/403Joints for furniture tubing with inserts for joining tubes co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틀 등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프레임과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리벳팅이나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압입 함으로 인해 맞물림과 텐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일측 변 양측에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맞물려 고정되는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반대 측 변에 압입되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을 텐션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각각의 탄력 고정부; 및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사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공이 형성된 걸 고리편;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의 연결이 신속하고 간편하면서 우수한 연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조립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Hook bracket for connection aluminum fr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장식용 틀 등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프레임과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리벳팅이나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압입 함으로 인해 맞물림과 텐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 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브래킷이나 연결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32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종 프레임과 횡 프레임을 소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의 절곡된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연결고정대와, 회동캠과,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회동캠에 의해 연결고정대가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4538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평프레임을 연결형 선발틀의 조립 용도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판상체의 정착판, 걸림부와 고리부가 형성되는 걸고리, 걸림부가 형성되는 고정훅 및 외측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연결형 선반틀 조립용 연결구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954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제1,2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C 형강, 단면이 "ㄷ"자 형태의 몸체와 한 쌍의 날개, 복수의 돌기, 제1,2 밀착면 및 제1,2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반듯이 종 프레임과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점과 함께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특허문헌 2는 앵글 형태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 또한 복잡하나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조립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도 가진다.
특허문헌 3 또한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반듯이 체결을 위해 볼트가 요구되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한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 사용되는 연결장치 또는 연결 브래킷에는 걸어놓을 수 있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는 단점 또한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3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453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954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장식용 틀 등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프레임과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리벳팅이나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압입 함으로 인해 맞물림과 텐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가 압입 시 일측 변은 맞물리고 타측 변은 텐션에 의해 지지함에 따라 우수한 연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편 또한 압입되는 프레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길이 방향의 일측 변 양측에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맞물려 고정되는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반대 측 변에 압입되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을 텐션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각각의 탄력 고정부; 및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사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공이 형성된 걸 고리편;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 단부가 압입되는 반대 측 방향으로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맞물림턱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와 걸 고리편 사이에는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편의 배면이 압입되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곡 설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탄력 고정부는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과 텐션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 텐션 공간부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각각의 탄력 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탄력 편의 외측 변은 그 각각의 탄력 고정부가 형성되는 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탄력 편 외측 변에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 단부가 압입되는 반대 측 방향으로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맞물림 탄력턱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장식용 틀 등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프레임과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리벳팅이나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압입 함으로 인해 맞물림과 텐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의 연결이 신속하고 간편하면서 우수한 연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조립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가 압입 시 일측 변은 맞물리고 타측 변은 텐션에 의해 지지함에 따라 우수한 연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편 또한 압입되는 프레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연결 부위의 높은 연결 고정력은 물론 우수한 현수력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걸 고리편이 절곡되기 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걸 고리편이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걸 고리편이 절곡되기 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걸 고리편이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틀 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브래킷이나 연결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제한적인 뿐만 아니라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장식용 틀을 구성함에 있어,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걸 고리 또한 요구되는 바, 종래 장식용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걸 고리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용접이나 리베팅 또는 스크류 체결이 요구되는 단점 또한 가진다.
본 발명은 장식용 틀 등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리벳팅이나 용접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의 각 단부를 압입 함으로 인해 맞물림과 텐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위치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은 알루미늄 재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고정이나 체결을 위한 수단 없이 간단하면서 손쉽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 동시에 걸 고리에 의해 필요로 하는 어떠한 위치에도 걸어놓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1)은 전체적인 형상이 편 형태로,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10), 각각의 탄력 고정부(20) 및 걸 고리편(30)으로 구성되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10)는 길이 방향의 일측 변 양측에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100)의 일측 내면에 맞물려 고정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10)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100) 단부가 압입되는 반대 측 방향으로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맞물림턱(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맞물림 고정부인 복수 개의 맞물림턱은 각 알루미늄 프레임이 압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단부가 압입 될 때에는 원활하게 압입된다.
그리고 압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맞물림턱이 그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을 파고들어가 박힘에 따라 압입되는 반대 방향으로는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맞물림 고정부는 양측에서 압입되는 각각의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를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탄력 고정부(20)는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10)가 형성된 반대 측 변에 압입되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100)의 타측 내면을 텐션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각의 탄력 고정부는 맞물림 고정부가 연결 고정되는 반대 측의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을 텐션에 의해 지지 고정함으로써, 더욱더 견고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을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가, 타측 내면은 각각의 탄력 고정부에 의해 연결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견고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각각의 탄력 고정부(20)는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100)의 타측 내면과 텐션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 텐션 공간부(22)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각각의 탄력 편(24)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탄력 편(24)의 외측 변은 그 각각의 탄력 고정부(20)가 형성되는 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각의 탄력 고정부는 각각의 텐션 공간부에 의해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각 단부가 압입시 수축됨으로 인해 원활하게 압입되고, 압입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다시 수축되었던 만큼 복원되면서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을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탄력 편(24) 외측 변에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100) 단부가 압입되는 반대 측 방향으로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맞물림 탄력턱(24A)을 형성함으로써, 압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그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 또한 파고 들어가 박힘에 따라 압입되는 반대 방향으로는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진다.
걸 고리편(30)은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10) 사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공(32)이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걸 고리편은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사이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종래 틀 프레임을 제작시 별도의 리베팅이나 용접,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할 필요가 없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10)와 걸 고리편(30) 사이에는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편(30)의 배면이 압입되는 알루미늄 프레임(100)의 일측 내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곡 설정홈(3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 고리편을 절곡 형성하는 과정에서 절곡 설정홈에 의해 절곡 위치를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과 맞닿는 위치로 절곡할 수 있는 관계로, 상기 걸 고리편 역시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로 인해 더욱더 높은 연결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걸 고리편이 걸려지는 상태에서도 높은 현수력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 각 단부의 일측 내면을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가, 타측 내면은 각각의 타력 고정부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입 후에는 분리나 이탈 또한 방지하는 조건으로 인해 높은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일체로 구비되는 걸 고리편에 의해 장식용 틀 등의 조립은 물론 제작의 편리성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도 제공한다.
1 : 걸 고리 브래킷
10 : 맞물림 고정부 12 : 맞물림 턱
20 : 탄력 고정부 22 : 텐션 고정부
24 : 탄력 편 24A : 맞물림 탄력턱
30 : 걸 고리편 32 : 걸 고리공

Claims (5)

  1. 길이 방향의 일측 변 양측에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맞물려 고정되는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반대 측 변에 압입되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을 텐션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각각의 탄력 고정부; 및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 사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공이 형성된 걸 고리편;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 단부가 압입되는 반대 측 방향으로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맞물림턱인 것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맞물림 고정부와 걸 고리편 사이에는 절곡 형성되는 걸 고리편의 배면이 압입되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곡 설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력 고정부는 압입되는 각 알루미늄 프레임의 타측 내면과 텐션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 텐션 공간부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각각의 탄력 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탄력 편의 외측 변은 그 각각의 탄력 고정부가 형성되는 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력 편 외측 변에는 상기 각 알루미늄 프레임 단부가 압입되는 반대 측 방향으로 래칫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맞물림 탄력턱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KR1020220101120A 2022-08-12 2022-08-12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KR20240022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20A KR20240022724A (ko) 2022-08-12 2022-08-12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20A KR20240022724A (ko) 2022-08-12 2022-08-12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724A true KR20240022724A (ko) 2024-02-20

Family

ID=9005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120A KR20240022724A (ko) 2022-08-12 2022-08-12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72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25Y1 (ko) 2002-11-30 2003-03-04 장외련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KR101124538B1 (ko) 2008-07-11 2012-03-15 최천순 연결형 선반틀 조립용 연결구
KR200489954Y1 (ko) 2017-10-25 2019-09-02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25Y1 (ko) 2002-11-30 2003-03-04 장외련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KR101124538B1 (ko) 2008-07-11 2012-03-15 최천순 연결형 선반틀 조립용 연결구
KR200489954Y1 (ko) 2017-10-25 2019-09-02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747B1 (ko) 소방용 앤드 브라켓
US20210156146A1 (en) Ceiling system
KR20240022724A (ko)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CN214696609U (zh) 一种墙板连接卡扣
KR100403489B1 (ko)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EP4148198A1 (en) Connector for construction profiles
JP4125519B2 (ja) ジョイント
JP2019210981A (ja) 交差部支持金具
KR20190043265A (ko) 와이어 로프 고정구
JP6481742B1 (ja) 天井下地構造
KR20100007059A (ko) 연결형 선반틀 조립용 연결구
KR20170091362A (ko) 안내표지판 현수장치
EP3297495A1 (en) Coupling unit for a support structure
KR200402360Y1 (ko) 행거
CN211399242U (zh) 展架用显示设备安装组件
CN216007623U (zh) 一种中拼组合插件
CN217440499U (zh) 一种螺母及可装配式支吊架及螺栓
KR20150057417A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JPH0731714Y2 (ja) 組立用枠材の接合金具
KR101907627B1 (ko)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KR102569120B1 (ko) 천장재 어셈블리
JP6516982B2 (ja) 天井落下防止器具
CN212672175U (zh) 一种家具连接件
CN220268944U (zh) 工位屏风支架安装装置
CN210599708U (zh) 主机部件上的侧板与壳体的联接结构及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