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325Y1 -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25Y1
KR200306325Y1 KR20-2002-0035885U KR20020035885U KR200306325Y1 KR 200306325 Y1 KR200306325 Y1 KR 200306325Y1 KR 20020035885 U KR20020035885 U KR 20020035885U KR 200306325 Y1 KR200306325 Y1 KR 200306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
support
prefabricat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외련
Original Assignee
장외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외련 filed Critical 장외련
Priority to KR20-2002-0035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연결부위에 변형이나 손상됨 없이 보다 큰 고정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절곡된 걸림고리와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의 절개편에는 하향으로 탄지편을 형성하며 그 후방으로 일측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재치공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연결고정대와; 상기 재치공에는 몸체 상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중간으로 상기 지지돌기와 가이드면 사이와 대응되는 캠리이브가 형성되며 밑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회동캠과; 전방에는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이 각각 형성된 인입부를 형성하고 바닥면 중간에는 돌출된 지지턱을 형성하며 상면으로 상기 회동캠의 몸체와 대응되는 지지홈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방공이 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apparatus for coupling a frames}
본 고안은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연결부위에 변형이나 손상됨 없이 보다 큰 고정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프레임은 전시장이나 진열장 및 부스 등을 제작시 그 뼈대를 구성하는 지지틀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대부분이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시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통상적인 종래의 방식은 주로 연결브라켓 등을 사용하여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용접이나 대응되는 위치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스크류 등을 통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같이 연결브라켓을 사용하는 종래의 연결방식에 있어서는 많은 연결부위를 일일이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용접 또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연결시키므로서, 조립작업에 따른 상당히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연결브라켓을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으로 용접이나 스크류에 고정하므로서, 조립작업에 따른 연결이 잘못 연결되었을 경우 그 연결부분의 자국이 그대로 남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 상에 여러 번거러운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연결부위에 변형이나 손상됨 없이 보다 큰 고정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동캠의 회전시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의 연결 후에도 외부적인 압력에 의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절곡된 걸림고리와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의 절개편에는 하향으로 탄지편을 형성하며 그 후방으로 일측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재치공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연결고정대와; 상기 재치공에는 몸체 상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중간으로 상기 지지돌기와 가이드면 사이와 대응되는 캠리이브가 형성되며 밑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회동캠과; 전방에는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이 각각 형성된 인입부를 형성하고 바닥면 중간에는 돌출된 지지턱을 형성하며 상면으로 상기 회동캠의 몸체와 대응되는 지지홈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방공이 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고정대의 가이드면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 상하부에 각각의 유동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이 연결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b는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이 연결된 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c는 도 2b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고정대
12,12a : 걸림고리 14 : 절개편
15 : 탄지편 16 : 재치공
16a : 지지돌기 18 : 가이드면
20 : 회동캠
22 : 몸체 22a : 끼움홈
24 : 캠리이브 26 : 지지돌기
30 : 하우징
30a : 유동방지턱 32,32a : 안내면
34 : 인입부 35 : 지지턱
36 : 재치홈공 38 : 개방공
F : 종프레임 F1 : 횡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장이나 진열장 및 부스 등을 제작시 그 뼈대를 구성하는 지지틀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결시켜 사용하는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
본 고안은 일단에 상기 종프레임의 지지리이브로 엇갈리게 걸려질 수 있도록 절곡된 걸림고리(12)와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12a)가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14)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의 절개편에는후술하는 하우징으로 삽입되어 바닥면과의 지지력을 갖도록 하향으로 탄지편(15)을 형성하며 그 후방으로 일측에 후술하는 회동캠의 캠리이브가 회전되는 회전범위를 갖는 지지돌기(16a)가 형성된 재치공(16)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후술하는 캠리이브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면(18)이 형성되는 연결고정대(10)와;
상기 재치공에는 몸체(22) 상면에 렌치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가 끼워져 회전시킬 수 있는 끼움홈(22a)이 형성되고 중간으로 상기 지지돌기와 가이드면 사이와 대응되는 캠리이브(24)가 형성되며 밑면에는 지지돌기(26)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정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동캠(20)과;
상기 종프레임과 연결되어 지는 횡프레임의 내부로 내장되도록 전방에는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32)(32a)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가 그 경사면으로 인해 양측으로 벌려져 종프레임의 지지리브로 걸려지도록 인입부(34)를 형성하고 바닥면 중간에는 상기 연결고정대의 탄지편으로 지지되어 후방으로 연결고정대가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되게 돌출되는 지지턱(35)을 형성하며 상면으로 상기 회동캠(20)의 몸체(22)와 대응되는 지지홈공(3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회동캠의 캠리이브가 회전시 그 캠부분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개방공(38)이 형성된 하우징(30)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연결고정대(10)의 가이드면(18)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호형태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회동캠을 회전시켜 연결고정대를 후방으로 이동시에 캠리이브가 지지되는 가이드면이 점차적으로 호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보다 작은 힘으로도 지지력을 크게 가지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지지턱(35)은 양단을 곡면 형태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하우징으로 연결고정대의 인입 및 인출시 탄지편이 원활하게 넘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면 상하부에 각각의 유동방지턱(30a)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의 연결 후 그 종프레임이나 횡프레임으로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의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이 연결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인입부 측으로 연결고정대(10)의 일단으로 형성된 절개편(14)의 걸림고리(12)(12a)가 위치하도록 삽입시킴과 동시에 그 연결고정대의 재치공으로 회동캠(20)를 올려 놓고 삽입시켜 상기 회동캠의 몸체가 하우징의 상면으로 형성된 지지홈공에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연결고정대의 탄지편(15)은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형성된 지지턱을 타고 넘어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연결고정대가 하우징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우징으로 연결고정대와 회동캠의 조립이 완료되면 연결시키고자 하는 종프레임(F)과 대응되는 위치의 횡프레임(F1) 선단으로 상기 하우징을 삽입하여 내장시킨 후 상기 연결고정대의 걸림고리가 종프레임의 리이브살 사이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횡프레임에는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연결고정대의 회동캠이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작업공을 형성한다.
도 2b는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이 연결된 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동캠(20)을 끼움홈으로 필요로 하는 렌치나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그 캠리이브(24)의 넓은 부분이 점차적으로 하우징(30)의 측면으로 형성된 개방공(38)을 거쳐 연결고정대(10)의 가이드면(18)을 타고 회전하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연결고정대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형성된 인입부의 경사면으로 인해 연결고정대의 걸림고리(12)(12a)가 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벌려지면서 종프레임(F)의 리이브살로 걸려지면서 지지하게 되어 종프레임(F)과 횡프레임(F1)이 밀착되도록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캠리이브가 접하는 연결고정대의 가이드면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점차적으로 호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캠을 회전시 좀더 작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면 상하단으로 형성된 유동방지턱(30a)에 의해 상기와 같이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종프레임이나 횡프레임으로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의해서도 상기 유동방지턱이 종프레임의 리이브살 상하단을 지지하게 되어 비틀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연결고정대를 회동캠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결고정대의 걸림편이 중간과 그 양측으로 분할된 형태의 고정력을 가지게 되어 연결부분의 변형 및 손상됨을 최소하면서 연결되어 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연결부위에 변형이나 손상됨 없이 보다 큰 고정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견고하면서 긴밀한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조립에 따른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회동캠의 회전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호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면으로 인해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연결작업이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하우징의 전방 상하단으로 형성된 유동방지턱에 의해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의 연결 후에도 외부적인 압력에 의해 비틀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조립식 프레임인 종프레임과 횡프레임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절곡된 걸림고리(12)와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12a)가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14)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의 절개편에는 하향으로 탄지편(15)을 형성하며 그 후방으로 일측에 지지돌기(16a)가 형성된 재치공(16)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가이드면(18)이 형성되는 연결고정대(10)와;
    상기 재치공에는 몸체(22) 상면에 끼움홈(22a)이 형성되고 중간으로 상기 지지돌기와 가이드면 사이와 대응되는 캠리이브(24)가 형성되며 밑면에는 지지돌기(26)가 형성된 회동캠(20)과;
    전방에는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32)(32a)이 각각 형성된 인입부(34)를 형성하고 바닥면 중간에는 돌출된 지지턱(35)을 형성하며 상면으로 상기 회동캠의 몸체와 대응되는 지지홈공(36)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방공(38)이 형성된 하우징(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대(10)의 가이드면(18)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전방면 상하부에 각각의 유동방지턱(30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KR20-2002-0035885U 2002-11-30 2002-11-30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KR200306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85U KR200306325Y1 (ko) 2002-11-30 2002-11-30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85U KR200306325Y1 (ko) 2002-11-30 2002-11-30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25Y1 true KR200306325Y1 (ko) 2003-03-04

Family

ID=4940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885U KR200306325Y1 (ko) 2002-11-30 2002-11-30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0U (ko) 2017-10-25 2019-05-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KR20200030187A (ko) * 2018-09-12 2020-03-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220112063A (ko) * 2021-02-03 2022-08-10 문진태 시스템 벽선반
KR20240022724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나인트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0U (ko) 2017-10-25 2019-05-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KR20200030187A (ko) * 2018-09-12 2020-03-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프레임 연결장치
KR102147018B1 (ko) 2018-09-12 2020-08-28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220112063A (ko) * 2021-02-03 2022-08-10 문진태 시스템 벽선반
KR102455512B1 (ko) * 2021-02-03 2022-10-17 문진태 시스템 벽선반
KR20240022724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나인트 알루미늄 프레임 연결용 걸 고리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0554B2 (ja) 管コネクタ
CA2499679A1 (en) Fluorescent bulb retaining spring
JP5231760B2 (ja) クランプ
JP2008543485A (ja) 支持棒用の多目的固定具
KR200306325Y1 (ko) 조립식 프레임용 연결장치
HUE026905T2 (en) Suction bell assembly
JP6267076B2 (ja) スライド式ボ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室外機用の据付台
CN112515564A (zh) 清洁机器人
KR19980081546A (ko) 파이프행거
JP2006069736A (ja) パンタグラフ型ジャッキの組付け構造
JP4090360B2 (ja) 天井板取付具
JP4617409B2 (ja) ワイヤ枠体物の連結金具
CN217713229U (zh) 伸缩杆定位关节及伸缩杆
KR102327987B1 (ko) 체결성이 용이한 힌지 결합구조
CN214712348U (zh) 清洁机器人
KR20060133128A (ko) 차량용 와이어링 및 호스의 고정 클립구조
JPH08338644A (ja) 空気調和機
JP4383928B2 (ja) 高さ変更可能な間仕切装置
JP3950944B2 (ja) 防音扉の錠
CN111576559A (zh) 一种应用于台面安装的简易安装模组
JPS6127510Y2 (ko)
JPS6320440Y2 (ko)
JP2814348B2 (ja) 浴槽における排水用栓体の取付構造
KR0177904B1 (ko) 파이프 등의 골조물 고정구
JP2007152009A (ja) カーテンポール用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