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624A -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의 조정 - Google Patents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의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624A
KR20240022624A KR1020247001810A KR20247001810A KR20240022624A KR 20240022624 A KR20240022624 A KR 20240022624A KR 1020247001810 A KR1020247001810 A KR 1020247001810A KR 20247001810 A KR20247001810 A KR 20247001810A KR 20240022624 A KR20240022624 A KR 2024002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station
electric vehicle
evalu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하르트 비스브룬
Original Assignee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4002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소(L)에서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PL_neu)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에서는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P1 내지 P4, R1 내지 R4)가 이 충전소(L)에 연결된 전기차(F1 내지 F4)로부터 외부 평가 엔티티(AI)에 보고되며; 평가 엔티티(AI)는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P1 내지 P4, R1 내지 R4)를 평가하며; 그리고 평가 엔티티(AI)는 평가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PL_neu)를 이 충전소(L)에서의 미래의 충전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F1 내지 F4)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의 조정
본 발명은, 충전소에서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공 충전소에 적용될 수 있다.
공공 충전소에서 이루어지는 전기차의 충전 프로세스에서, 관련 구성 요소에 의해 통신 프로토콜이 지원되는 경우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간단히 시작되거나 종료되는 ISO 15118("Plug & Charge") 표준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충전 프로세스에 대한 금액 청구를 승인하기 위해 충전 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충전소의 충전 전류 개방을 실행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앱 또는 선택된 충전소는, 충전소의 제어 엔티티에 충전 프로세스를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시작/중지 기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사용자가 결함이 있는 공공 충전소를 예를 들어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충전소 운영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충전소를 설정할 때에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의 잘못된 또는 부정확한 입력으로 인해 그리고/또는 제조업체 사양으로부터 벗어나는 충전소 충전 특성의 부품과 관련된 또는 구조와 관련된 편차로 인해, 이 충전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차 사용자에 대해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소의 지리 위치는 경로 플래너 내에 명시된 지리 위치와 다만 부정확하게만 일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사용자에 의한 충전소의 발견을 어렵게 한다. 또한, 충전소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충전 전류 개방/충전 시작에 대해 경우에 따라서는 다만 상당히 지연된 상태에서만 반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 충전소에서의 충전 프로세스의 잠금 해제(unlock) 또는 시작이 실패했다고 잘못 가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충전을 위해 이 충전소를 새로이 잠금 해제하려고 시도하면 - 이 충전소가 이전의 잠금 해제를 실현하려고 계속해서 시도하더라도 - 이 충전소의 작동이 특정 기간 동안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몇몇 충전소가 동시적인 또는 단기간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 해제를 특히 온라인 연결을 통해 중단시키는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전기차를 다른 충전소에 연결해야 할 필요성을 자주 느끼게 되고, 이와 같은 상황은 짜증스러운 재주차(reparking)와 결부될 수 있다.
WO 2013/053394 A1호는, 충전소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모바일 텔레폰의 모빌리티 이벤트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 그리고 특히 충전소에서의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현재의 특성 정보를 조정하거나 보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부에 따라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충전소에서의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 방법에서는,
-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이하에서는 일반성을 한정하지 않고 "충전 파라미터"로서 지칭됨)가 이 충전소에 연결된 (그리고 이로써 충전되거나 충전될) 전기차로부터 외부 평가 엔티티(external evaluation entity)에 보고되며;
- 평가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를 평가하며; 그리고
- 평가 엔티티는 평가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이 충전소에서의 미래의 충전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제공한다.
이 방법은, 복수의 전기차의 (역사적) 충전 파라미터의 평가에 의해서 현재의 그리고/또는 미래의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가 통계적으로 안전하게 입증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서는 재차 충전 프로세스의 실행이 용이하게 되는데, 특히 이 충전소에서 충전 프로세스를 간단히 실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전기차 사용자의 기대가 실망으로 바뀔 가능성이 줄어들며, 이와 같은 상황은 재차 사용자 만족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이 방법은 특히 특정 제조업체의 전기차 그룹 또는 군(fleet)의 충전 파라미터를 평가함으로써, 이 그룹의 복수의 전기차가 이용하는 개별 충전소의 특성에 대한 "그룹 학습 곡선"을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충전소에서의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란, 특히 충전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충전소의 특성에 관한 각각의 검색 가능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성 정보의 조정은 특성 정보의 보정 또는 더욱 정확한 명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평가 엔티티는 예를 들어 전기차 제조업체의 백엔드(backend)일 수 있다.
보고는 예를 들어 무선을 통해 예컨대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엔티티가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를 평가한다는 것은, 특히 평가 엔티티가 하나 이상의 보고된 충전 파라미터 및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파라미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결정하거나 계산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는 평가의 입력 변수에 상응하고,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는 평가의 결과에 상응한다. 하나의 특성 정보가 충전 파라미터에 상응하지만, 다시 말해 특성 정보와 충전 파라미터가 동일한 변수이지만 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개선예이다. 하나의 특성 정보가 충전 파라미터들 중 어느 것과도 상응하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의 개선예이다.
평가 엔티티가 평가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이 충전소에서의 미래의 충전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제공한다는 것은, 이제 경우에 따라 조정되었거나 보정된 특성 정보가 이 충전소에서의 미래의 충전 프로세스에 포함 또는 편입될 수 있는 바로 그 엔티티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결정된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검색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포함될 수 있는 엔티티로 능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충전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충전소의 충전 특성 및/또는 충전소에서 충전되거나 충전될 전기차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파라미터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기하학적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가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 그룹, 즉,
- 충전소에 연결된 전기차의 (지리)위치;
- 충전소에 연결된 전기차의 정렬;
- 전기차 또는 충전소의 충전 케이블의 길이;
- 전기차가 연결된 충전소의 식별자(이하에서는 일반성을 한정하지 않고 "충전소 식별자"로서 지칭됨);
- 전기차의 식별자;
- 충전 프로세스의 성공 또는 실패(예를 들어 불충분한 잠금 해제, 중단);
- 충전소의 충전 특성;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은 하나의 예이다.
충전될 전기차의 기하학적 변수인 "지리 위치"는 예를 들어 GPS, WLAN 또는 다른 지리 위치 확인 방법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충전될 전기차의 기하학적 변수인 "정렬", 특히 충전소에 대한 전기차의 길이 방향의 각도는 예를 들어 주행 데이터 및/또는 전기차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의 평가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기하학적 변수인 "충전 케이블의 길이"는 전기차의 충전 케이블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전기차의 충전 케이블이 충전소에 대한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충전 케이블의 길이는 전기차에 의해 직접 보고되거나 전기차의 유형으로부터, 예컨대 전기차의 - 특히 마찬가지로 보고된 - VIN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미리 데이터 메모리 내에 충전 케이블의 길이를 입력했을 수 있거나, 차량에 있는 충전 소켓에 꽂은 후에 차량이 측정에 의해서 길이를 결정했을 수도 있다.
충전소가 공지된 길이를 갖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면, 이 길이는 예를 들어 충전소 식별자를 통해서도 도출될 수 있다. 충전소 식별자는, 예를 들어 충전소와 전기차 간의 데이터 교환에 의해서 전기차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충전소의 충전 특성은 하나 또는 복수의 충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충전 해제가 요청되는 시간과 실제로 충전 해제가 이루어진 시간 사이의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의 식별자, 예를 들어 전기차의 VIN에 의해서는, 또한 특정의 특성 정보가 전기차 유형에 의존하는지의 여부도 평가될 수 있다. 이로써, 특정 충전소가 다만 특정 전기차 유형과 관련해서만, 예를 들어 동일한 전기 인프라 구조 세대와 관련해서만 문제점을 야기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전기차는 예를 들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완전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차량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포함될 수 있는 엔티티가
- 충전소에서 충전하기 원하는 전기차;
- 충전소(예를 들어 충전소 운영자)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 엔티티; 및/또는
- 예를 들어 관심 지점(point-of-interest)으로서의 충전소를 구비하는 경로 플래너의 운영자를 포함하는 것은 하나의 예이다.
충전을 원하는 전기차는 예를 들어 경로를 계획할 때에 이 경로를 따라가는 미래의 충전을 위해 특정 충전소를 선택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충전을 원하는 전기차는 현재 충전소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차일 수도 있다. 충전소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제어 엔티티는 예를 들어 충전소 운영자의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전기차는 예를 들어 경로 플래너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지도/맵 상에는 적어도 이 지도/맵 상에 표시된 충전소의 위치가 명시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예를 들어 플러그 유형, 충전 전력, 이용 가능한 중단 유형 등의 충전소 충전 특성과 같은 또 다른 정보도 명시될 수 있다.
적어도 충전소에 연결된 전기차의 지리 위치 및 충전소 식별자가 외부 평가 엔티티에 보고되며, 그리고 평가 엔티티가,
- 적어도 전기차의 지리 위치 및 사용되는 충전 케이블의 길이를 토대로 하여, 해당 충전소가 그 내부에 위치해 있어야만 하는 표면을 결정하고,
- 충전소의 사전 설정된 위치가 그 표면 내부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 한 번 이상 그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 충전소에서 충전했던 복수의 전기차의 표면으로부터 충전소의 가능한 위치를 확정된 특성 정보로서 결정하고 이와 더불어 충전소의 지금까지의 위치를 보정, 예를 들어 대체함으로써, 평가 엔티티가 지리 위치 및 충전소 식별자를 평가하는 것은 하나의 예이다.
이로 인해서는, 지금까지 경우에 따라 잘못 또는 매우 부정확하게 사전 설정된 (특성 정보로서의) 충전소의 위치가 보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전기차의 사용자가 이 충전소를 더 우수하게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사전 설정된 위치의 부정확성은 예를 들어 충전소의 위치를 수동으로 잘못 입력(예를 들어 숫자 뒤집기 등) 함으로써 또는 충전소를 설정할 때에 다만 충전소의 부정확한 지리 위치 선정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위치는 조정되거나 보정된다.
충전소에 연결된 전기차의 지리 위치 및 충전소 식별자가 보고되는 것은 하나의 개선예이다. 전기차 충전 케이블의 길이도 마찬가지로 보고되거나 전기차의 유형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충전소가 고정 부착된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면, 전기차와의 데이터 교환 후에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보고될 수 있거나 충전소 식별자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 파라미터는 관련 충전소가 그 내부에 위치해 있을 수 있거나 반드시 위치해 있어야만 하는 표면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전기차의 지리 위치 및 충전 케이블의 길이에 의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차의 위치 정확도와 같은 시스템적 불안전성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차 충전 소켓의 위치에 관한 부정확한 지식 등으로 인해 충전소의 가능한 위치가 명확하게 제한되기 때문이다.
충전소가 이 표면 내부에 위치해 있지 않고, 이와 같은 상황이 하나 또는 복수의 충전 프로세스에 대해 결정된 경우에는, 이 충전소에서 충전했던 복수의 전기차의 표면으로부터 충전소의 가능한 위치가 확정된 특성 정보로서 결정되고, 사전 설정되었거나 공지되었거나 저장된 지금까지의 충전소의 위치를 대신하여 확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정된다.
충전소의 가능한 (새로운) 위치가 복수의 전기차에 대해 결정된 표면의 기하학적 중첩으로부터 예를 들어 대부분의 개별 표면에 의해 중첩되는 중첩 영역 또는 중첩 영역들의 기하학적 무게 중심으로서 계산되는 것은 하나의 개선예이다.
상기 표면이 전기차 또는 충전소의 충전 케이블의 길이에 상응하는 반경을 갖는 원형 표면인 것은 하나의 예이다. 이와 같은 표면 결정은 특히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원형 표면의 중심점이 전기차의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응하는 것은 하나의 예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는 표면이 더욱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기차의 정렬에 따라 표면이 결정되는 것은 하나의 개선예이다. 이로 인해서도 표면은 더욱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SUV 또는 버스와 같이 높은 전기차의 경우에는, 충전 케이블이 전기차 위로 가이드 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에 충전 소켓으로부터 전기차 앞으로 연장되는 반원만 표면으로서 인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는, 전기차의 정렬 상태를 알고 있는 경우에도 충전 소켓의 위치가 더욱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평가 엔티티가 이 충전소에서 충전하기 원하는 전기차에 이 충전소의 가능한 위치 및/또는 관심 지점으로서의 충전소 등을 구비하는 경로 플래너의 운영자를 포함 가능한 엔티티로서 제공하는 것은 하나의 예이다.
충전소의 충전 특성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가 평가 엔티티에 보고되는 것은 하나의 예이며; 평가 엔티티는 평가를 위해 이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를 통계적으로 평가하고, 이 통계적 평가의 결과를 분류하며, 그리고 평가 엔티티는 이 분류 결과를 하나 이상의 포함 가능한 엔티티의 특성 정보로서 제공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제조 업체 사양을 토대로 하는 목표 특정 정보 또는 표준 특성 정보가 전기차의 실제 작동에 의해서 그에 대해 확인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정될 수 있다는 장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전기차 집단은 이로부터 계산된 특성 정보(들)의 통계적 타당성(validation)을 획득하기 위해 활용된다.
분류는, 충전 파라미터의 통계적 모집단을 기반으로 하여 이로부터 결정된 특성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특성 정보를 확인, 폐기, 개선 또는 보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충전소는 특정 전기차 유형에 대해 "적합" 또는 "부적합" 등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충전소의 충전 특성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가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충전소에 요구되는 충전 잠금 해제 요청 시간과 충전소가 잠금 해제될 때까지의 시간 사이에서 나타나는 충전소의 일시적인 특성을 포함하며 그리고 평가 엔티티가 충전소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엔티티의 분류 결과를 제공하는 것은 하나의 예이다. 이로써, 예를 들어 요청과 충전소의 잠금 해제 사이의 기간은 목표 기간 안에 있는 것으로서 또는 "예외적으로 길게 지속하는" 것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플러그가 동시에 개방될 수 없는 경우에, 스위칭 시간이 더 길게 나타나면, 이와 같은 스위칭 시간은 통계적으로 수집될 수 있고 특수한 충전소를 제어할 때에 고려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엔티티는 가급적 신속하게 충전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 제어 시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충전소가 공공 충전소인 것은 하나의 예이다. 충전소가 교류 충전소인 것은 하나의 개선예이다.
작동 중의 특성 변경을 암시하는, 충전소 내에 설치된 구성 요소의 변경에 대한 간접 증거가 존재한다면, 그 다음 충전 프로세스가 한 대의 차량에 의해 실행될 때까지 관련 분류가 확인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성, 특징부 및 장점 그리고 이와 같은 것들이 달성되는 유형 및 방식은 일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개략적인 설명과 관련하여 더욱 명확하고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며, 본 실시예는 도 1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충전하기 위해 개별 위치(P1 내지 P4)에서 시간상 연속적으로 공공 교류 충전소(L)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차(F1 내지 F4)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충전소(L)의 지리 위치(PL_alt)는 데이터 베이스(도시되지 않음)가 설정될 때에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입력되었으며, 예를 들어 입력하는 사람의 숫자 뒤집기로 인해 충전소의 실제 위치와 다만 부정확하게만 일치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충전소를 인식하기 위하여 그리고 목적지로서 이동할 수 있기 위하여 경로 플래너에 의해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경로 플래너 내에서 충전소(L)는 설정된 후에 처음에는 마찬가지로 다만 매우 부정확하게만/틀리게만 위치 지정되고, 이로 인해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다만 어렵게만 또는 심지어 다만 운(luck)에 의해서만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전기차(F1 내지 F4) 그룹의 그룹 운영자, 예를 들어 전기차(F1 내지 F4)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 그룹 운영자는 특히 전기차(F1 내지 F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기차의 위치, 차량 식별자(예컨대 VIN), 충전소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 충전소(L)에 의해 수신된 충전소 식별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룹 운영자는 또한 평가 엔티티(AI)로서도 이용된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전기차(F1)가 충전되어야만 하고, 사용자/운전자가 운 좋게 실제 위치에서 충전소(L)를 발견했다면, 사용자는 휴대한 자신의 충전 케이블을 충전하기 위하여 이 충전 케이블을 충전소(L)에 꽂게 된다. 이때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충전소(L)가 이곳에 고정 설치된 자체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그 다음에, 주차된 전기차(F1)는 적어도 자신의 지리 위치(P1), 자신의 VIN 및 충전소(L)의 충전소 식별자를 충전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어 무선 메시지를 이용하여 평가 엔티티(AI)에 보고한다. 일 변형예에서는, 전기차(F1)의 충전 케이블의 길이도 보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가 엔티티(AI)는 차량에 전형적인 케이블 길이로부터 길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평가 엔티티(AI)는 충전소 식별자와 일치하는 충전소(L)의 현재 저장된 지리 위치(PL_alt)가 원형 표면(A1) 내부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 원형 표면의 중심점은 차량(F1)의 위치(P1), 특히 차량의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응하고, 이 원형 표면의 반경(R1)은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길이에 상응한다.
상황이 여기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평가 엔티티(AI)는 추후에 또 한 대의 제2 차량(F2)이 이 충전소(L)에 연결될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대기하게 된다. 상황이 그 경우에 해당한다면, 평가 엔티티(AI)는 충전소(L)의 현재 저장된 지리 위치(PL_alt)가 차량(F2) 주변의(예를 들어 차량 충전 소켓의 위치 주변의) 표면(A2) 내부에 놓여 있는지의 여부, 표면의 반경(R2)이 차량(F2)의 충전 케이블의 길이에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황이 차량(F2)에 대해서도 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평가 엔티티(AI)에 의해 표면(A1과 A2)의 교차 표면의 기하학적 중심점이 특성 정보로서 결정되어 새로운 지리 위치(PL_neu)로서 저장된다. 새로운 지리 위치(PL_neu)는 예를 들어 차량 그룹 운영자의 차량 그룹의 전기차에게 그리고/또는 경로 계획자의 운영자 등에게 보고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는, 충전소(L)의 지리 위치(PL_neu)가 대부분의 표면(A1, A2, A3, A4, ...)으로 이루어진 교차 표면의 기하학적 중심점으로서 계산됨으로써, 이 지리 위치는 각각의 연결된 차량(F3, F4, ...)으로써 점점 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본 도면에서 네 대의 차량(F1 내지 F4)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4개의 모든 표면(A1 내지 A4)에 대한 교차 표면은 지리 위치(PL_neu) 주변에서 직접적으로 진행하는 폐쇄된 선에 상응한다.
물론,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확히 하나의"라는 표현 등에 의해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a", "an" 등은 단수 또는 복수로, 특히 "하나 이상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등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숫자 표시는 정확하게 명시된 숫자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공차 범위도 포함할 수 있다.
Al: 평가 엔티티
A1 내지 A4: 표면
F1 내지 F4: 전기차
L: 충전소
P1 내지 P4: 위치
PL_alt: 충전소의 지금까지의 지리 위치
PL_neu: 충전소의 새로운 지리 위치
R1 내지 R4: 충전 케이블의 길이

Claims (10)

  1. 충전소(L)에서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PL_neu)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는,
    -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P1 내지 P4, R1 내지 R4)가 상기 충전소(L)에 연결된 전기차(F1 내지 F4)로부터 외부 평가 엔티티(external evaluation entity)(AI)에 보고되며;
    - 상기 평가 엔티티(AI)가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P1 내지 P4, R1 내지 R4)를 평가하며; 그리고
    - 상기 평가 엔티티(AI)가 상기 평가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PL_neu)를 상기 충전소(L)에서의 미래의 충전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F1 내지 F4)에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P1 내지 P4, R1 내지 R4)가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 그룹, 즉,
    - 충전소(L)에 연결된 전기차(F1 내지 F4)의 지리 위치(P1 내지 P4);
    - 충전소(L)에 연결된 전기차(F1 내지 F4)의 정렬;
    - 전기차(F1 내지 F4) 또는 충전소(L)의 충전 케이블의 길이(R1 내지 R4);
    - 전기차(F1 내지 F4)가 연결된 충전소(L)의 식별자;
    - 충전 프로세스의 성공;
    - 충전소(L)의 충전 특성;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함될 수 있는 엔티티가,
    - 충전소(L)에서 충전하기 원하는 전기차(F1 내지 F4);
    - 충전소(L)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 엔티티; 및/또는
    - 충전소(L)를 구비하는 경로 플래너의 운영자;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 적어도 충전소에 연결된 전기차(F1 내지 F4)의 지리 위치(P1 내지 P4) 및 충전소 식별자가 외부 평가 엔티티에 보고되며;
    평가 엔티티가,
    Figure pct00001
    적어도 전기차의 지리 위치(F1 내지 F4) 및 사용되는 충전 케이블의 길이(R1 내지 R4)를 토대로 하여, 해당 충전소(L)가 그 내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표면(A1 내지 A4)을 결정하고,
    Figure pct00002
    충전소(L)의 사전 설정된 지리 위치(PL_alt))가 상기 표면(A1 내지 A4) 내부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그리고
    Figure pct00003
    한 번 이상 그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충전소(L)에서 충전했던 복수의 전기차(F1 내지 F4)의 표면(A1 내지 A4)으로부터 충전소(L)의 가능한 위치(PL_neu)를 확정된 특성 정보로서 결정하고 이와 더불어 충전소(L)의 지금까지의 위치(PL_alt)를 보정함으로써,
    - 상기 평가 엔티티가 지리 위치(P1 내지 P4) 및 충전소 식별자를 평가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A1 내지 A4)이 전기차(F1 내지 F4) 또는 충전소(L)의 충전 케이블(L)의 길이(R1 내지 R4)에 상응하는 반경을 갖는 원형 표면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표면(A1 내지 A4)의 중심점이 전기차(F1 내지 F4)의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응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엔티티(AI)가 이 충전소(L)에서 충전하기 원하는 전기차(F1 내지 F4)에 상기 충전소(L)의 가능한 위치(PL_neu) 및/또는 충전소(L)를 포함하는 경로 플래너의 운영자를 포함 가능한 엔티티(F1 내지 F4)로서 제공하는, 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충전소(L)의 충전 특성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가 평가 엔티티(AL)에 보고되며;
    - 상기 평가 엔티티(AI)가 평가를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를 통계적으로 평가하고, 상기 통계적 평가의 결과를 분류하며; 그리고
    - 상기 평가 엔티티(AI)가 상기 분류 결과를 하나 이상의 포함 가능한 엔티티(F1 내지 F4)의 특성 정보로서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충전소(L)의 충전 특성과 관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파라미터가 전기차(F1 내지 F4)의 사용자에 의해 충전소(L)에 요구되는 충전 요청 시간과 충전소(L)가 잠금 해제될 때까지의 시간 사이에서 나타나는 충전소(L)의 일시적인 특성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평가 엔티티가 충전소(L)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엔티티의 분류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L)가 공공 충전소인, 방법.
KR1020247001810A 2021-08-24 2022-07-26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의 조정 KR20240022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1896.9A DE102021121896A1 (de) 2021-08-24 2021-08-24 Anpassen einer einen Ladevorgang betreffenden Eigenschaftsinformation
DE102021121896.9 2021-08-24
PCT/EP2022/070936 WO2023025498A1 (de) 2021-08-24 2022-07-26 Anpassen einer einen ladevorgang betreffenden eigenschafts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624A true KR20240022624A (ko) 2024-02-20

Family

ID=830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810A KR20240022624A (ko) 2021-08-24 2022-07-26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의 조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22624A (ko)
CN (1) CN117769503A (ko)
DE (1) DE102021121896A1 (ko)
WO (1) WO20230254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3887B4 (de) 2010-04-13 2024-0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Informationssignals für ein Kraftfahrzeug
EP2767105A1 (en) 2011-10-13 2014-08-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for a charging station
US9348381B2 (en) * 2011-10-19 2016-05-24 Zeco Systems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US9379559B2 (en) * 2012-02-03 2016-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a vehicle using a dynamic power grid, an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the vehicle
US20150298565A1 (en) * 2012-09-03 2015-10-22 Hitachi, Ltd. Charging support system and charging suppor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DE102013014527A1 (de) * 2013-09-03 2015-03-05 Rwe Ag Verfahren und System zum dynamischen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über Ladestationen
US20150226571A1 (en) * 2014-02-07 2015-08-13 Recargo, Inc. Identifying available charging stations for an electric vehicle
DE102014207532A1 (de) 2014-04-22 2015-10-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rowd Sourcing zur Verifikation von Ladestationen
DE102017215794B4 (de) 2017-09-07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ntextbasierten Unterstützung eines Ladevorgangs d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von Plug-In-Hybri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5498A1 (de) 2023-03-02
DE102021121896A1 (de) 2023-03-02
CN117769503A (zh)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5420B2 (en) Full-servic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186195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point
DE102016121384B4 (de)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eines mobilen hotspots in der nähe eines fahrzeugs
EP2870022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electric vehicle parking and wireless charging
US20120140752A1 (en) Vehicle mobile gatway for controlling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terminal,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terminal
US10665102B2 (en) Parking system
WO2012157096A1 (ja) 車両の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端末、サーバー、および、車両
CN110758171A (zh) 移动充电系统及其操作方法
US11017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f position of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ehicle, control method of vehicl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8933775B (zh) 自动建立安全无线连接的方法及系统
US20200079236A1 (en) Recharging system, recharging controller, battery charger, user terminal, rechar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0194072A (zh) 基于充电优先级执行充电会话交换
CN107948237B (zh) 服务器以及车辆
US20200065869A1 (en) Determining shared ride metrics
CN110509887B (zh) 用于车辆预订网络的车辆配置
JP7028052B2 (ja) 制御装置
CN113689306A (zh) 用于充电过程的能量核实的方法和系统及用于该系统的服务器装置
CN110234064B (zh) 确定车辆停放位置
EP163550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tainable in ad hoc network
KR20240022624A (ko) 충전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 정보의 조정
JP6833391B2 (ja) 車載通信機器、および該車載通信機器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190105995A1 (en) Packet communication to facilitate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N112706641B (zh) 交流充电桩充电控制方法、控制设备和存储介质
CN115107549A (zh) 无线充电装置的对齐方法、电动汽车及地端电磁发射装置
JP2023544230A (ja) 車両制御方法、モジュール、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