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721A - 표피재 부착구 - Google Patents

표피재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721A
KR20240021721A KR1020230103541A KR20230103541A KR20240021721A KR 20240021721 A KR20240021721 A KR 20240021721A KR 1020230103541 A KR1020230103541 A KR 1020230103541A KR 20230103541 A KR20230103541 A KR 20230103541A KR 20240021721 A KR20240021721 A KR 2024002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skin material
groove
pair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도카 난부
다카요시 다나카
완리 장
즈요시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7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표피재 부착구(5)는 쿠션재(2)의 홈(21) 내에 설치되는 기부(51)와, 홈(21)의 개구를 향하여 기부(51)에 기립 설치되며, 또한 홈(2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와,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 부재(4)에 걸림 결합되는 제1 돌기(53A) 및 제2 돌기(53B)와, 홈(21)의 개구 측을 향하여 기부(51)에 기립 설치되며, 또한 홈(2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프레임부(54A) 및 제2 프레임부(54B)를 구비하고, 제1 프레임부(54A) 및 제2 프레임부(54B)의 각각은, 걸림 부재(4)를 제1 돌기(53A)와 제2 돌기(53B) 사이의 간극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544)를 갖는다.

Description

표피재 부착구{COVER MATERIAL ATTACHMENT}
본 발명은 표피재를 쿠션재에 부착하는 표피재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좌석이나 의자 등에서는, 시트면이나 등받이 등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쿠션재를 설치하고, 그 표면을 표피재로 피복한 것이 다용되고 있고, 표피재를 쿠션재에 부착하는 수단으로서의 표피재 부착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 1(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45600호 공보)의 표피재 부착구(클립)는 쿠션재의 홈에 설치되어 있고, 표피재에 부착된 걸림 부재(서스펜더)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표피재를 쿠션재에 부착할 수 있다. 이 표피재 부착구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걸림 부재는, 당해 한 쌍의 돌기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표피재 부착구에 걸림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돌기의 각각은, 걸림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걸림 부재의 기울기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걸림 부재를 한 쌍의 돌기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문헌 1의 표피재 부착구에서는, 좌석의 사용 시 등, 시트면으로부터 쿠션재에 압박이 가해진 경우, 당해 압박이 한 쌍의 돌기에 있어서의 각 가이드면에 전해짐으로써, 표피재 부착구가 탄성 변형되어, 한 쌍의 돌기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문헌 1의 표피재 부착구에서는, 걸림 부재와의 걸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걸림 부재와의 걸림 결합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걸림 부재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표피재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는, 좌석의 쿠션재에 형성된 홈 내에 설치됨과 함께, 표피재에 부착된 걸림 부재에 걸리는 표피재 부착구이며, 상기 쿠션재의 상기 홈 내에 설치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홈의 개구를 향하여 기립 설치되어, 상기 홈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림 결합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홈의 개구 측을 향하여 기립 설치되어, 상기 홈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상기 걸림 부재를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간극으로 안내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각각은, 상기 홈의 개구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걸림 부재를 제1 돌기와 제2 돌기 사이의 간극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표피재 부착구와 걸림 부재의 걸림 결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각각은, 제1 돌기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제2 돌기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 때문에, 좌석의 사용 시 등, 시트면으로부터 쿠션재에 가해진 압박이 제1 프레임부 또는 제2 프레임부에 전해진 경우에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제1 지지부에 마련된 제1 돌기와 제2 지지부에 마련된 제2 돌기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표피재 부착구와 걸림 부재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각각은, 상기 기부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각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근접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피재 부착구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양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표피재 부착구의 폭을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4 양태)
본 발명의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는, 보다 적합하게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5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것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측 및 상기 홈의 개구 측에 면하도록, 상기 홈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가이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걸림 부재를 쿠션재의 홈에 삽입할 때, 걸림 부재를 제1 돌기와 제2 돌기 사이의 간극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6 양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제2 돌기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걸림 부재를 쿠션재의 홈에 삽입할 때, 걸림 부재를 제1 돌기와 제2 돌기 사이의 간극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무하중 상태」란, 쿠션재에 대한 외부의 하중(예를 들어 착좌자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면 된다.
(제7 양태)
본 발명의 제5 양태 또는 제6 양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부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걸림 부재를 쿠션재의 홈에 삽입할 때, 걸림 부재를 제1 돌기와 제2 돌기 사이의 간극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제8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것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각각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홈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 부재를 상기 간극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홈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쿠션재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쿠션재에 대한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를 쿠션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를 사용한 표피재 부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표피재 부착구에 삽입하기 전의 걸림 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를 사용한 표피재 부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걸림 부재가 표피재 부착구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부착구(5)는 차량용 좌석 등을 구성하는 쿠션재(2)에 대하여 표피재(3)를 부착하는 표피재 부착 구조(1)를 구성한다. 즉, 표피재 부착 구조(1)는 표피재(3)에 부착되는 걸림 부재(4)와, 쿠션재(2)의 홈(21)에 설치되는 표피재 부착구(5)에 의해 구성되며, 걸림 부재(4)를 표피재 부착구(5)에 걸리게 함으로써, 표피재(3)를 쿠션재(2)에 부착할 수 있다.
쿠션재(2)는 좌석의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 우레탄폼재이다. 쿠션재(2)에는, 표피재 부착 구조(1)가 배치되는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홈(21)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벽면(211) 및 제2 측벽면(212)을 갖고 있고, 쿠션재(2)의 상하 방향의 일방 측에 개구를 형성하면서, 쿠션재(2)의 표면의 임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표피재(3)는 쿠션재(2)의 표면을 덮는 시트이며,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직물 시트이다. 표피재(3)의 단부 에지부(31)는 걸림 부재(4)에 대하여 부착된다.
이하, 표피재 부착 구조(1)의 구성의 설명에서는, 걸림 부재(4)가 표피재 부착구(5)에 걸린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XYZ의 3축 방향을 사용한다(도 1 참조). 예를 들어, 표피재 부착 구조(1)의 길이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표피재 부착 구조(1)의 좌우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표피재 부착 구조(1)의 상하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또한, 표피재 부착 구조(1)에 의해 표피재(3)가 쿠션재(2)에 설치된 상태(도 1 참조)에서는, X 방향이 쿠션재(2)의 홈(2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고, Y 방향이 홈(21)의 폭 방향에 대응하고, Z 방향이 홈(21)의 깊이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Z 방향의 일방 측(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Z 방향의 타방 측(하방)을 향하는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홈(21)은 쿠션재(2)에 있어서 +Z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으로 한다.
걸림 부재(4)는 표피재(3)의 단부 에지부(31)에 매달리는 소위 서스펜더이다.
구체적으로는, 걸림 부재(4)는 표피재(3)의 단부 에지부(31)가 부착되는 부착부(41)와, 부착부(41)의 -Z측의 선단에 마련된 삽입부(42)를 구비한다.
부착부(41)는 삽입부(42)와 일체 성형된 수지 등이어도 되고, 삽입부(42)에 대하여 인서트 성형된 부직포 등의 테이프 부재 등이어도 된다. 이 부착부(41)는 표피재(3)에 대하여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삽입부(42)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성형품이며, 부착부(41)로부터 -Z측으로 돌출되는 닻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삽입부(42)는 +Z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피걸림 결합면(421)과, -Z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경사면(422)을 갖는다. 한 쌍의 피걸림 결합면(421)은 부착부(41)로부터 Y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경사면(422)은 -Z 방향으로 나아갈수록 삽입부(42)의 Y 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걸림 부재(4)는 X 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어 있고, 걸림 부재(4)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는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4)의 X 방향 치수는, 후술하는 표피재 부착구(5)의 X 방향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표피재 부착구(5)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성형품이다. 이 표피재 부착구(5)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피재 부착구(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51)와, +Z측을 향하여 기부(51)에 기립 설치되어, Y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와,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Y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53A) 및 제2 돌기(53B)와, +Z측을 향하여 기부(51)에 기립 설치되어, Y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프레임부(54A) 및 제2 프레임부(54B)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5)는 Y 방향 중심에 있어서의 XZ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이하의 표피재 부착구(5)의 설명에서는,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를 지지부(52A, 52B)라고 칭하고, 제1 돌기(53A) 및 제2 돌기(53B)를 돌기(53A, 53B)라고 칭하고, 제1 프레임부(54A) 및 제2 프레임부(54B)를 프레임부(54A, 54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4는 표피재 부착구(5)의 Y 방향 일방 측의 구성(제1 지지부(52A), 제1 돌기(53A), 제1 프레임부(54A))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표피재 부착구(5)의 Y 방향 타방 측의 구성(제2 지지부(52B), 제2 돌기(53B), 제2 프레임부(54B))도 마찬가지로 나타내어진다.
기부(51)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51)는 쿠션재(2)의 홈(21)의 저부에 단순히 적재되어 있다. 단, 기부(51)는 홈(21)의 폭 방향보다 Y 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됨으로써, 쿠션재(2)에 매설되어도 된다.
지지부(52A, 52B)의 각각은,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사이에 Y 방향의 간극을 두고 기부(51)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521)와, 한 쌍의 다리부(521)의 각 선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가이드부(5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부(52A, 52B)의 각각에 있어서, 한 쌍의 다리부(521)에 있어서의 Z 방향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보다 +Z측)에는, X 방향을 따른 절곡부(52F)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2A, 52B)는 절곡부(52F)에서 Y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52A, 52B)의 각 중간 가이드부(522)는 Y 방향 내측 및 +Z측에 면하는 중간 가이드면(522P)을 갖는다.
제1 돌기(53A)는 제1 지지부(52A)의 중간 가이드부(522)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돌기(53B)는 제2 지지부(52B)의 중간 가이드부(522)로부터 -Y 방향으로 돌출되고 있다. 이들 돌기(53A, 53B)는 서로의 사이에 Y 방향의 간극 G를 두고 있다. 또한, 돌기(53A, 53B)는 Y 방향 내측 및 +Z측에 면하는 보조 가이드면(53P)을 갖는다.
프레임부(54A, 54B)의 각각은,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사이에 Y 방향의 간극을 두고 기부(51)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541)와, 한 쌍의 다리부(541)의 각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542)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부(54A, 54B)의 각각에는,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연결부(542)에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프레임부(54A)의 한 쌍의 다리부(541) 사이(즉 제1 프레임부(54A)의 내측 공간)에는, 제1 지지부(52A)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 지지부(52A)는 제1 프레임부(54A)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연결부(54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 SA를 형성한다. 제1 프레임부(54A)는 제1 지지부(52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SA에 의해, 제1 지지부(52A)와는 독립적으로 Y 방향의 탄성 변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부(54B)의 한 쌍의 다리부(541) 사이(즉 제2 프레임부(54B)의 내측 공간)에는, 제2 지지부(52B)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2 지지부(52B)는 제2 프레임부(54B)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연결부(54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 SB를 형성한다. 제2 프레임부(54B)는 제2 지지부(52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SB에 의해, 제2 지지부(52B)와는 독립적으로 Y 방향의 탄성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프레임부(54A, 54B)의 각각에 있어서, 한 쌍의 다리부(541)에 있어서의 Z 방향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보다 +Z측이며, 절곡부(52F)와 동일 위치)에는, X 방향을 따른 절곡부(541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42)에 있어서의 임의 위치에는, X 방향을 따른 절곡부(542F)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54A, 54B)는 2개소의 절곡부(541F, 542F)에서 Y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부(54A, 54B) 중, 절곡부(541F)보다 -Z측의 부분은, 기부(51)로부터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부(543)를 구성하고, 2개소의 절곡부(541F, 542F) 사이의 부분은,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가이드부(544)를 구성하고, 절곡부(542F)보다 Y 방향 외측의 부분은, XY면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부(545)를 구성한다.
가이드부(544)는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보다 +Z측에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부(544)는 Y 방향 내측 및 +Z측에 면하는 가이드면(544P)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프레임부(54A)의 가이드면(544P)은 제1 프레임부(54A)의 한 쌍의 다리부(541)의 +Z측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결부(542)의 Y 방향 내측의 일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부(54B)의 가이드면(544P)은 제2 프레임부(54B)의 한 쌍의 다리부(541)의 +Z측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결부(542)의 Y 방향 내측의 일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545)는 쿠션재(2)의 제1 측벽면(211) 또는 제2 측벽면(212)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쿠션재(2)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545) 중, -Z측에 면하는 이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재(2)와의 밀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볼록부(546)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표피재 부착구(5)는 걸림 부재(4)를 안내하는 면으로서, 프레임부(54A, 54B)의 가이드면(544P), 지지부(52A, 52B)의 중간 가이드면(522P), 및 돌기(53A, 53B)의 보조 가이드면(53P)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지부(52A)의 중간 가이드면(522P)은 제1 프레임부(54A)의 가이드면(544P)과 제1 돌기(53A)의 보조 가이드면(53P)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면(544P) 및 중간 가이드면(522P)은 보조 가이드면(53P)보다 +Z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54A)의 가이드면(544P), 제1 지지부(52A)의 중간 가이드면(522P), 및 제1 돌기(53A)의 보조 가이드면(53P)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부(52B)의 중간 가이드면(522P)은 제2 프레임부(54B)의 가이드면(544P)과 제2 돌기(53B)의 보조 가이드면(53P)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면(544P) 및 중간 가이드면(522P)은 보조 가이드면(53P)보다 +Z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54B)의 가이드면(544P), 제2 지지부(52B)의 중간 가이드면(522P), 및 제2 돌기(53B)의 보조 가이드면(53P)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표피재 부착 방법)
본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5)를 사용한 표피재(3)의 부착 방법에 대하여, 도 5, 도 6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 도 6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표피재(3)의 도시를 생략하고, 쿠션재(2)의 홈(21)의 기본적인 윤곽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작업자는, 표피재(3)가 장착된 걸림 부재(4)와, 홈(21) 내에 표피재 부착구(5)가 설치된 쿠션재(2)를 준비하고, 쿠션재(2)를 덮도록 표피재(3)를 배치한다. 그리고, 임의의 압박 수단에 의해, 걸림 부재(4)를 쿠션재(2)의 홈(21)에 삽입하고, 이 걸림 부재(4)에 대하여 -Z 방향의 압박을 가한다.
걸림 부재(4)가 홈(21)에 삽입될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부재(4)의 자세가 Z 방향에 대하여 기울거나, 걸림 부재(4)의 위치가 표피재 부착구(5)의 Y 방향 중심으로부터 위치 어긋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 부재(4)의 삽입부(42)가 표피재 부착구(5)에 있어서의 각 가이드면(즉, 프레임부(54A, 54B)의 가이드면(544P), 지지부(52A, 52B)의 중간 가이드면(522P), 및 돌기(53A, 53B)의 보조 가이드면(53P))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고 누름으로써, 표피재 부착구(5)의 Y 방향 중심, 즉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를 향하여 안내된다. 이에 의해, 걸림 부재(4)의 삽입부(42)는 표피재 부착구(5)의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에 삽입된다.
걸림 부재(4)의 삽입부(42)가 표피재 부착구(5)의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에 삽입될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42)의 각 경사면(422)이 돌기(53A, 53B)를 누름으로써, 지지부(52A, 52B)가 Y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이 넓어진다. 삽입부(42)가 돌기(53A, 53B)를 타고 넘으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52A, 52B)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삽입부(42)의 각 피걸림 결합면(421)이 돌기(53A, 53B)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걸림 부재(4)는 표피재 부착구(5)에 보유 지지된다.
이상에 의해, 표피재 부착구(5)는 표피재(3)를 쿠션재(2)에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피재 부착구(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54A, 54B)가 걸림 부재(4)를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로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피재 부착구(5)는 걸림 부재(4)와의 걸림 결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54A, 54B)는 돌기(53A, 53B)를 지지하는 지지부(52A, 52B)와는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의 사용 시 등, 시트면으로부터 쿠션재(2)에 가해진 압박 F가 각 가이드면(544P)에 전해진 경우, 지지부(52A, 52B)는 탄성 변형되지 않고, 프레임부(54A, 54B)가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지지부(52A, 52B)에 마련된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피재 부착구(5)는 걸림 부재(4)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부(54A, 54B)의 각각은, 기부(51)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541)와, 한 쌍의 다리부(541)의 각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542)를 구비하고, 연결부(542)는 가이드면(544P)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프레임부(54A, 54B)와, 지지부(52A, 52B)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 채, 서로 근접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피재 부착구(5)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지부(52A)는 제1 프레임부(54A)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54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52B)는 제2 프레임부(54B)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541)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표피재 부착구(5)의 폭을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지부(52A)는 제1 프레임부(54A)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연결부(54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 SA를 형성하고, 제2 지지부(52B)는 제2 프레임부(54B)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연결부(54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 SB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부(54A, 54B)는 지지부(52A, 52B)로부터 적합하게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부(54A, 54B)는 Y 방향 내측 및 +Z측에 면하도록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가이드면(544P)을 갖는다. 이 때문에, 걸림 부재(4)를 쿠션재(2)의 홈(21)에 삽입할 때, 걸림 부재(4)를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기(53A, 53B)의 각각은, 무하중 상태의 제1 프레임부(54A)(또는 제2 프레임부(54B))의 가이드면(544P)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면(53P)을 갖는다. 이 때문에, 걸림 부재(4)를 쿠션재(2)의 홈(21)에 삽입할 때, 걸림 부재(4)를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의 각각은, 무하중 상태의 제1 프레임부(54A)(또는 제2 프레임부(54B))의 가이드면(544P)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면(522P)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걸림 부재(4)를 쿠션재(2)의 홈(21)에 삽입할 때, 걸림 부재(4)를 돌기(53A, 53B) 사이의 간극 G에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부(54A, 54B)의 각각은, 기부(51)로부터 연장되는 기립부(543)와, 기립부(543)로부터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 부재(4)를 간극 G로 안내하는 가이드부(544)와, 가이드부(544)로부터 홈(21)의 Y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쿠션재(2)에 고정되는 고정부(545)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쿠션재(2)에 대한 고정 강도가 향상된다.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52A, 52B) 및 프레임부(54A, 54B)는 각각 한 쌍의 다리부(521, 541)를 갖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52A, 52B)는 한 쌍의 다리부(521) 대신에 플레이트상의 다리부를 갖고, 이러한 다리부로부터 돌기(53A, 53B)가 돌출해도 된다.
또한, 프레임부(54A, 54B)는 한 쌍의 다리부(521) 대신에 플레이트상의 다리부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부(54A, 54B)는 지지부(52A, 52B)보다 Y 방향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부(52A, 52B)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부(54A, 54B)는 지지부(52A, 52B)와는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52A, 52B)의 각각은, 중간 가이드면(522P)을 갖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돌기(53A, 53B)의 각각은, 보조 가이드면(53P)을 갖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실시 형태의 표피재 부착구(5)에서는, 적어도 프레임부(54A, 54B)가 걸림 부재(4)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부(54A, 54B)는 쿠션재(2)에 끼워 넣어지는 고정부(545)를 갖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부(51)가 쿠션재(2)의 홈(21)의 저부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부(54A, 54B)가 쿠션재(2)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Claims (8)

  1. 좌석의 쿠션재(2)에 형성된 홈(21) 내에 설치됨과 함께, 표피재(3)에 부착된 걸림 부재(4)에 걸리는 표피재 부착구(5)이며,
    상기 쿠션재(2)의 상기 홈(21) 내에 설치되는 기부(51)와,
    상기 기부(51)로부터 상기 홈(21)의 개구를 향하여 기립 설치되어, 상기 홈(2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부(52A) 및 제2 지지부(52B)와,
    상기 제1 지지부(52A) 및 상기 제2 지지부(52B)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 부재(4)에 걸림 결합되는 제1 돌기(53A) 및 제2 돌기(53B)와,
    상기 기부(51)로부터 상기 홈(21)의 개구 측을 향하여 기립 설치되어, 상기 홈(2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상기 걸림 부재(4)를 상기 제1 돌기(53A)와 상기 제2 돌기(53B) 사이의 간극(G)으로 안내하는 제1 프레임부(54A) 및 제2 프레임부(54B)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54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54B)의 각각은, 상기 홈의 개구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52A) 및 상기 제2 지지부(52B)로부터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표피재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54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54B)의 각각은,
    상기 기부(51)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541)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541)의 각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542)를 구비하는, 표피재 부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52A)는 상기 제1 프레임부(54A)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54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52B)는 상기 제2 프레임부(54B)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541) 사이에 배치되는, 표피재 부착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52A)는 상기 제1 프레임부(54A)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상기 연결부(54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SA)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부(52B)는 상기 제2 프레임부(54B)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541) 및 상기 연결부(54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연속하는 간극(SB)을 형성하는, 표피재 부착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54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54B)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부(541)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측 및 상기 홈(21)의 개구 측에 면하도록, 상기 홈(21)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가이드면(544P)을 갖는, 표피재 부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53A)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1 프레임부(54A)의 상기 가이드면(544P)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면(53P)을 갖고,
    상기 제2 돌기(53B)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2 프레임부(54B)의 상기 가이드면(544P)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면(53P)을 갖는, 표피재 부착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52A)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1 프레임부(54A)의 상기 가이드면(544P)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부(522)를 갖고,
    상기 제2 지지부(52B)는 무하중 상태의 상기 제2 프레임부(54B)의 상기 가이드면(544P)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부(522)를 갖는, 표피재 부착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54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54B)의 각각은,
    상기 기부(51)로부터 연장되는 기립부(543)와,
    상기 기립부(543)로부터 상기 홈(21)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 부재(4)를 상기 간극(G)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544)와,
    상기 가이드부(544)로부터 상기 홈(2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쿠션재(2)에 고정되는 고정부(545)를 갖는, 표피재 부착구.
KR1020230103541A 2022-08-10 2023-08-08 표피재 부착구 KR202400217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27670A JP2024024788A (ja) 2022-08-10 2022-08-10 表皮材取付具
JPJP-P-2022-127670 2022-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721A true KR20240021721A (ko) 2024-02-19

Family

ID=8980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541A KR20240021721A (ko) 2022-08-10 2023-08-08 표피재 부착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51445A1 (ko)
JP (1) JP2024024788A (ko)
KR (1) KR20240021721A (ko)
CN (1) CN117582077A (ko)
DE (1) DE1020232076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600U (ja) 1983-09-07 1985-03-30 リオン株式会社 可変利得型補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207641A1 (de) 2024-02-15
CN117582077A (zh) 2024-02-23
JP2024024788A (ja) 2024-02-26
US20240051445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8562B2 (ja) 表皮係止用クリップ
CN107599917B (zh) 部件连接结构和交通工具座椅
JP6345143B2 (ja) 表皮係止用クリップ
US9758126B2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and shoulder pad
JP2021175637A (ja) アンカ装置
KR20240021721A (ko) 표피재 부착구
CN109071208B (zh) 表皮材料固定用端部件
WO2023120262A1 (ja) 表皮材取付具のクリップ係合部材および表皮材取付具
CN113573614B (zh) 表皮卡合固定用卡扣
JP2021070357A (ja) 乗り物用シート
JP7214733B2 (ja) 乗物用シート
JP7372645B2 (ja) シート
JP2024024405A (ja) 表皮材取付具
WO2023089993A1 (ja) クリップ部材
US20240077095A1 (en) Clip, Cover-Member Attachment Tool, and Clip Assembly
JP3242440U (ja) シート
JP7210420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7381968B2 (ja) シート
WO2023238485A1 (ja) 表皮材止着具
WO2024084575A1 (ja) クリップおよびクリップ連結体
JP7353920B2 (ja) 表皮材取付具
WO2023095509A1 (ja) 表皮係止用クリップ
JP3116204B2 (ja) 椅子用シェル構造
JP7436774B2 (ja) 表皮固定装置及び乗物用シート
JP7246164B2 (ja) 背もたれ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