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826A - 스테인레스 절단기 - Google Patents

스테인레스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826A
KR20240020826A KR1020220099031A KR20220099031A KR20240020826A KR 20240020826 A KR20240020826 A KR 20240020826A KR 1020220099031 A KR1020220099031 A KR 1020220099031A KR 20220099031 A KR20220099031 A KR 20220099031A KR 20240020826 A KR20240020826 A KR 2024002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cutting
jig
stainless steel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원
Original Assignee
(주)유연스텐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연스텐레스 filed Critical (주)유연스텐레스
Priority to KR102022009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826A/ko
Publication of KR202400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8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재의 낭비를 막고 가공효율을 개선한 스테인레스 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의 환봉 소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에 있어서, 공급되는 환봉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의 맞은편에 고정되어 상기 환봉의 단부가 밀착되어 환봉의 절단 길이를 정하는 밀착대와; 상기 지그와 밀착대 사이를 상하 왕복하면서 상기 지그에서 돌출된 환봉을 절단시키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환봉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서 환봉의 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부지지대를 이용하여 환봉을 전단 가공함으로써, 소재의 변형없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환봉을 절단할 수 있어 종래의 절단날을 회전시켜 절단시키는 방법보다 소재이용율 및 가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프레스를 이용한 고속 가공을 통한 절단이 가능하여 가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인레스 절단기 { STAINLESS CUTTER }
본 발명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Stainless)는 철의 결점인 내식성의 부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내식용 강을 총칭하며, 일반적으로 보통 철강에 비해 그다지 녹슬지 않는다는 점과 높은 강도를 가진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스테인레스는 제품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특히 환봉의 스테인레스 소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후공정에서 절삭가공과 단조 가공을 통해 가공하는 방법으로 제품을 제작하게 되며, 일반적인 합금강보다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스테인레스는 높은 강도 때문에 단조 가공보다는 절삭기를 이용하여 환봉 소재를 절단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약술하면 환봉 형태의 스테인레스 소재를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회전되는 회전날 등을 이용한 절단기를 이용하여 소재를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게 되며, 이후 후공정에서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형상으로 단조 성형 및 절삭 가공을 통해 가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단 방법은 절단으로 인한 칩(Chip) 발생 등의 소재 낭비가 심하고, 높은 강도를 가져 절단날이 파손되는 등과 같은 가공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고속 가공이 어려워 절단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장시간의 가공시간이 요구된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0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의 낭비를 막고 가공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환봉 소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에 있어서, 공급되는 환봉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의 맞은편에 고정되어 상기 환봉의 단부가 밀착되어 환봉의 절단 길이를 정하는 밀착대와; 상기 지그와 밀착대 사이를 상하 왕복하면서 상기 지그에서 돌출된 환봉을 절단시키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환봉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서 환봉의 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환봉의 전단 가공시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절단되는 환봉의 단부에 접하는 접촉부위가 반원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측면은 일정 각도로 라운딩되는 라운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환봉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환봉을 절단시 충격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에 의하면, 하부지지대를 이용하여 환봉을 전단 가공함으로써, 소재의 변형없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환봉을 절단할 수 있어 종래의 절단날을 회전시켜 절단시키는 방법보다 소재이용율 및 가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에 의하면, 프레스를 이용한 고속 가공을 통한 절단이 가능하여 가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환봉의 절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절단기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된 환봉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환봉의 절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스테인레스 환봉의 절단기는 지그(10)와 밀착대(20)와 절단날(30) 및 하부지지대(40)로 구성된다.
지그(10)는 공급되는 환봉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양측으로 분할되는 내측에 요입홈이 형성되어 환봉을 압착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종래의 전단가공이나 절삭가공에서 사용되는 소재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그(10)는 종래의 회전 절단날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경우보다 수직하중이 크게 작용되므로 보다 견고히 환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대(20)는 지그(10)의 맞은편에 고정되어 환봉의 단부가 밀착되어 환봉의 절단 길이를 정하는 역할을 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소재의 가공 길이 변화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를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날(30)은 지그(10)와 밀착대(20) 사이를 상하 왕복하면서 지그(10)에서 돌출된 환봉을 유압 프레스 등에 연결되어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절단날(30)에는 소재에 접촉되는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홈(32)이 형성되어 전단 가공시 충격하중을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부지지대(40)는 절단날(30)에 의해 절단되는 환봉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서 환봉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지지대(40)는 절단되는 환봉의 단부에 접하는 접촉부위가 반원 형상의 함몰부(42)가 형성되고, 함몰부(42)의 측면은 일정 각도로 라운딩되는 라운딩부(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대(40)는 절단기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절단되는 환봉의 단부측에 밀착대(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함몰부(42)는 반원 형상으로 환봉이 절단되는 경우 충격 하중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환봉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제작되며, 밀착대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운딩부(44)는 환봉의 단부가 절단되는 경우 하부지지대(40)에 의한 찍힘 현상 등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함몰부(42)의 단부를 라운딩 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는 하부지지대가 없는 경우의 환봉의 절단 단면을 촬영한 것이며,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를 결합하여 전단 가공된 환봉의 전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가 없는 경우에는 전단면이 수직으로 전단되지 아니하고 변형되어 전단됨을 알 수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변형을 발생되지만 전체적으로 깨끗한 전단면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태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하고자 하는 환봉(1)은 지그(10)에 고정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 길이 만큼 돌출되어 밀착대(20)에 밀착하게 된다.
밀착대(20)는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 길이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환봉(1)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봉(1)이 지그(20)와 밀착대(20)에 의해 고정되면 절단날(30)이 하강하면서 환봉(1)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환봉(1)을 전단가공하게 되며, 절단날(30)에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환봉(1)이 충격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절삭되는 환봉(1)은 절단날(30)에 의해 하부로 미세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환봉(1)의 단부는 하부에 위치한 하부지지대(40)의 함몰부(42)에 접촉한다.
따라서 절단날(30)의 전단 가공에 따른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에 의해 굽힘이 방지되어 가공되는 환봉의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전단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하부지지대(40)는 환봉과 2 ∼ 5㎜ 이격되어 하부에 배치되어 지그에 고정된 환봉(1)이 일정 정도 전단 가공된 후 하부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날(30)에 의해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 환봉(1)은 이차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하부지지대(40)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을 통해 절단되는 환봉(1)의 전단면은 종래의 회전 절단날을 이용하여 가공되는 환봉(1)의 단부와 동일하게 수직으로 전단되어 다음 공정에 무리없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절단날(30)은 스테인레스의 종류에 따라 하강 속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원활한 전단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환봉(1)의 지름에 따라 지그(10)와 절단날(30)의 요입홈을 조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환봉(1)을 가공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그(10)의 구성을 자동화하고 전단날(30)의 이동과 연동시켜 절단 장치를 자동화하여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절단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지그 20: 밀착대
30: 절단날 32: 요입홈
40: 하부지지대 42: 함몰부
44: 라운딩부

Claims (1)

  1. 스테인레스 재질의 환봉 소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에 있어서,
    공급되는 환봉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의 맞은편에 고정되어 상기 환봉의 단부가 밀착되어 환봉의 절단 길이를 정하는 밀착대와;
    상기 지그와 밀착대 사이를 상하 왕복하면서 상기 지그에서 돌출된 환봉을 절단시키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환봉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서 환봉의 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절단기.
KR1020220099031A 2022-08-09 2022-08-09 스테인레스 절단기 KR20240020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31A KR20240020826A (ko) 2022-08-09 2022-08-09 스테인레스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31A KR20240020826A (ko) 2022-08-09 2022-08-09 스테인레스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826A true KR20240020826A (ko) 2024-02-16

Family

ID=9005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031A KR20240020826A (ko) 2022-08-09 2022-08-09 스테인레스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8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31Y1 (ko) 2006-02-16 2006-04-26 홍성돈 파이프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31Y1 (ko) 2006-02-16 2006-04-26 홍성돈 파이프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5499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wblades, especially jigsaw or sabresaw blades
US4457197A (en) Device for cutting and/or stamping metal bars and sections
US3357462A (en) Cutting blade
JP3735160B2 (ja) 針状ころ軸受用保持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1611A (ja) 鋸刃
US20070163416A1 (en) Circular saw blade
US20220126383A1 (en) Saw blad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aw blade
JP2010036195A (ja) 凹部を有するパンチによる打ち抜き加工方法
KR20240020826A (ko) 스테인레스 절단기
JP4356582B2 (ja) 切削インサート
US20010002566A1 (en) Punch press, specifically a high-speed punch press
JPS61172629A (ja) 打抜加工用工具
KR20100012443A (ko) 비철금속절단용 원형커터
RU2708912C1 (ru) Способ сдвиговой обработки
KR100808218B1 (ko) 스테인레스 환봉의 절단 장치
CN211991233U (zh) 一种新型弧形往复锯
CN108405703A (zh) 一种用于矩形管材开槽的加工装置
CN211101892U (zh) 一种高效率切削锯条
CN208245550U (zh) 一种针对矩形管快速开槽的模具
CN217369884U (zh) 一种顶弯组装装置
CN214814030U (zh) 一种u形冲头
CN211387776U (zh) 离心风机机架角钢材料切斜角工装
CN102483128B (zh) 制造预定成为无级变速器的推送带的一部分的横向元件的方法
CN210908342U (zh) 一种角钢加工生产用切割装置
CN202388058U (zh) 一种双金属锯条